KR101892301B1 -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자세를 검출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자세를 검출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2301B1
KR101892301B1 KR1020120078031A KR20120078031A KR101892301B1 KR 101892301 B1 KR101892301 B1 KR 101892301B1 KR 1020120078031 A KR1020120078031 A KR 1020120078031A KR 20120078031 A KR20120078031 A KR 20120078031A KR 101892301 B1 KR101892301 B1 KR 1018923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uator
capacitance
portable terminal
camera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8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8514A (ko
Inventor
이정현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2/006311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3022273A2/en
Priority to US14/236,047 priority patent/US9325887B2/en
Priority to CN201280038872.6A priority patent/CN103733721B/zh
Priority to JP2014524929A priority patent/JP6230535B2/ja
Priority to EP12822481.3A priority patent/EP2742771A4/en
Publication of KR20130018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85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2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23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8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5Control of camera operation in relation to power supply
    • H04N23/651Control of camera operation in relation to power supply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by affecting camera operations, e.g. sleep mode, hibernation mode or power off of selective parts of the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7Sensing arrangement for detection of housing movement or orientation, e.g. for controlling scrolling or cursor movement on the display of an handheld compu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Details Of Cameras Including Film Mechanis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피사체를 촬영하는 렌즈; 초점 조정을 위해 렌즈를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 상기 액츄에이터의 정전용량을 측정하는 정전용량 측정부; 및 상기 정전용량 측정부에서 측정된 정전용량에 따라 카메라의 자세를 검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자세를 검출하는 방법{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detecting posture of the same}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자세를 검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각종 휴대 단말기의 보급이 널리 일반화되고,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상용화됨에 따라 휴대 단말기와 관련된 소비자들의 요구도 다양화되고 있는바, 이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부가장치들이 휴대 단말기에 장착되고 있다.
그 중에서 피사체를 사진이나 동영상으로 촬영하여 그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한 후 필요에 따라 이를 편집 및 전송할 수 있는 대표적인 것이 카메라 모듈이다.
한편, 카메라는 렌즈와 피사체간의 거리에 따라 렌즈의 초점이 변화된다.
그러므로, 카메라는 우수한 품질의 사진 촬상을 위하여, 피사체와의 거리 변화에 따라 초점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기능, 즉 자동초점조절(Auto Focus: AF) 기능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위치센서 또는 중력센서를 내장하지 않아도, 휴대 단말기의 자세를 감지할 수 있어, 휴대 단말기의 내부 실장 자유도를 더 확보할 수 있고,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피사체를 촬영하는 렌즈; 초점 조정을 위해 렌즈를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 상기 액츄에이터의 정전용량을 측정하는 정전용량 측정부; 및 상기 정전용량 측정부에서 측정된 정전용량에 따라 카메라의 자세를 검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액츄에이터는 마이크로 액츄에이터 또는, 정전기력(Electrostatic force)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전용량 측정부에서 측정된 정전용량의 변화시점으로 카메라의 자세를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상기 액츄에이터를 반복 진동 구동시키는 액츄에이터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고, 상기 정전용량의 변화시점에 대응되어 카메라의 자세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카메라의 자세 데이터로, 전원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카메라의 자세 데이터로, 상기 휴대 단말기의 부품 각각을 온(On) 또는 오프(Off)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자세를 검출하는 방법은 액츄에이터를 초기 구동하는 단계; 상기 액츄에이터 초기 구동에 따른 정전용량을 피드백 받는 단계; 상기 액츄에이터를 반복적으로 구동시켜 정전용량을 피드백 받는 단계; 및 상기 액츄에이터 초기 구동에 의해 피드백 받은 정전용량값과 상기 액츄에이터 반복 구동에 의해 피드백 받은 정전용량 값을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교하는 단계는 편차가 임계값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편차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 휴대 단말기의 자세 변이가 발생되었다고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츄에이터를 초기 구동하는 단계는 통화 음이 발생된 경우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액츄에이터를 초기 구동하는 단계에서 상기 통화 음이 발생된 경우, 상기 액츄에이터를 초기 구동하기 전에, 상기 액츄에이터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의 자세 변이가 발생되었다고 인식하는 단계 후에, 상기 액츄에이터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상기 액츄에이터 동작을 종료 후에, 상기 통화음 해제 또는 진동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휴대 단말기는 위치센서 또는 중력센서를 내장하지 않아도, 휴대 단말기의 자세를 감지할 수 있어, 휴대 단말기의 내부 실장 자유도를 더 확보할 수 있고,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에서 정전용량의 변화시점으로 카메라의 자세를 검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자세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다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자세에 따라 위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휴대 단말기의 일례의 자세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휴대 단말기의 다른 예의 자세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자세를 검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은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휴대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폴더 타입, 바 타입, 스윙타입, 슬라이더 타입 등과 같은 여러 타입의 휴대 단말기들을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휴대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상기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 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피사체를 촬영하고, 초점 조정을 위해, 렌즈를 이동시키는 마이크로 액츄에이터에서 발생된 정전용량을 측정하는 카메라(200)와, 상기 카메라(200)에서 측정된 정전용량의 변화시점으로 휴대 단말기의 자세를 검출하는 휴대 단말기 제어부(100)를 포함한다. 상기 카메라(200)는 마이크로 액츄에이터에서 발생된 정전용량을 측정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 제어부(100)는 상기 카메라(200)에서 측정된 정전용량의 변화시점으로 휴대 단말기의 자세를 검출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위치센서 또는 중력센서를 내장하지 않아도, 휴대 단말기의 자세를 감지할 수 있어, 센서의 크기만큼 휴대 단말기의 내부 실장 자유도를 더 확보할 수 있고,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일반적인 휴대 단말기에서 자세 감지 기능을 갖기 위해서는 위치센서 또는 중력센서가 구비되어 있어야 하고, 휴대 단말기는 상기 센서에서 감지된 자세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자이로센서 등이 될 수 있다. 특히, 휴대 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에서 사진 촬영 시, 감지된 휴대 단말기의 자세 정보를 상기 촬영된 사진에 기록하고, 사진을 재생할 때 상기 저장된 자세 정보를 기초로 하여 사진을 자동으로 90도, 180도 또는 270도 회전시켜 항상 피사체가 직립되도록 사진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 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다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 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초점 조정을 위해, 렌즈를 정전기력(Electrostatic force)으로 이동시키는 마이크로 액츄에이터로 마련되는 액츄에이터(210)와, 상기 액츄에이터(210)에서 발생된 정전용량을 측정하는 정전용량 측정부(220) 및 상기 액츄에이터(210)를 반복 진동 구동시키는 액츄에이터 구동부(230)를 포함하는 카메라(200)와 상기 정전용량 측정부(220)에서 측정된 정전용량의 변화시점으로 휴대 단말기의 자세를 검출하는 휴대 단말기 제어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츄에이터 구동부(230)는 상기 액츄에이터(210)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압을 조절하는 구동부로 정의될 수 있으며, 상기 전압을 조절하여 상기 렌즈의 이동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액츄에이터(210)는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그 일 예로 마이크로 액츄에이터가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액츄에이터(210)는 정전기력으로 렌즈를 상, 하 이동시키며 초점을 조정할 때 정전용량이 발생되고, 상기 액츄에이터(210)에서 발생된 정전용량을 상기 정전용량 측정부(220)에서 측정한다. 이때, 상기 정전용량 측정부(220)는 상기 액츄에이터(210)가 렌즈를 이동시킬 때 정전용량을 실시간으로 피드백(Feedback) 받을 수도 있다. 상기 액츄에이터(210)는 정전력으로 직선 운동(Motion of straight line)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반복 진동 구동은 직선 왕복 운동(Reciprocating motion)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상기 액츄에이터(210)의 직선 운동으로 렌즈를 이동시켜 초점 조정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휴대 단말기 제어부(100)는 상기 정전용량 측정부(220)에서 측정된 정전용량의 변화시점으로 휴대 단말기의 자세를 검출하게 되고, 검출된 휴대 단말기의 자세로 특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정전용량의 변화시점에 대응되어 휴대 단말기의 자세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110)가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휴대 단말기 제어부(100)는 상기 정전용량 측정부(220)에서 측정된 정전용량의 변화시점의 데이터를 입력 받아, 상기 정전용량의 변화시점의 데이터에 대응되는 휴대 단말기의 자세 데이터를 상기 저장부(110)에서 리딩하여 휴대 단말기의 자세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 단말기 제어부(100)는 검출된 휴대 단말기의 자세 데이터로, 전원 구동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휴대 단말기가 엎어둔 상태의 자세가 일정시간 지속될 경우,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지 않은 상태로 인정될 수 있으므로, 배터리 소모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 제어부(110)는 상기 전원 구동부(120)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휴대 단말기의 최소 기능만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 제어부(100)는 검출된 휴대 단말기의 자세 데이터로 상기 휴대 단말기의 부품 각각을 온(On) 또는 오프(Off)시킬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는 디스플레이, 카메라 등의 부품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 제어부(100)는 검출된 휴대 단말기의 자세 데이터로, 오토 포커스 범위를 최적화시킬 수도 있다.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에서 정전용량의 변화시점으로 카메라의 자세를 검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고,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자세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도면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의 자세에 따라 정전용량의 최초 변화시점이 다르게 된다. 즉,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bottom up view'에서는 정전용량의 최초 변화시점이 도 3a의 'A'이고, 도 4b와 같이, 'top down view'에서는 정전용량의 최초 변화시점이 도 3b의 'B'이다. 그러므로, 도 3b와 같이, 정전용량의 'A'와 'B'사이의 변화시점을 검출하게 되면, 휴대 단말기의 자세를 검출할 수 있게 된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자세에 따라 위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는 본 발명에 따라 휴대 단말기의 일례의 자세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휴대 단말기의 다른 예의 자세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휴대 단말기가 수직적으로 세워진 자세(중력 방향 'G'로 놓여진 자세, 'Facing Horizontal'자세로 정의함)를 취하게 되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210)에는 중력(G)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렌즈를 이동시키는 힘(F)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가 수평적인 자세를 취하고, 상기 액츄에이터(210)가 상기 휴대 단말기의 상방향에 위치되는 자세('Facing Up'자세로 정의함)인 경우,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액츄에이터(210)에는 중력(G)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렌즈를 이동시키는 힘(F)이 발생하게 된다.
또, 상기 휴대 단말기가 수평적인 자세를 취하고, 상기 액츄에이터(210)가 상기 휴대 단말기의 하방향에 위치되는 자세('Facing Down'자세로 정의함)인 경우,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액츄에이터(210)(도 6a, 도 6b 참조)에는 중력(G)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렌즈를 이동시키는 힘(F)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자세에 따라 상기 액츄에이터(210)의 렌즈를 이동시키는 힘(F)는 중력(G)에 따른 합력 또는 분력이 발생하고, 도 6b와 도 6c의 자세에서 상기 액츄에이터(210)에 의한 렌즈의 물리적 이동거리에는 Sag라 지칭되는 치우침 현상이 존재한다. 참고로, 마이크로 액츄에이터가 포함된 카메라의 경우, Sag 발생에 따른 정전용량 차이는 약 10 pF 정도이며, 카메라의 위치가 'Facing Down'자세에서 'Facing Up'자세으로 바뀌는 극단적인 방향 전환이 이루어졌을 경우를 고려한다면 정전용량 차이는 최소 20 pF의 차이를 가져 올 수 있다. 그러므로, 이는 위치 판별에 대한 정량화된 의사 결정의 법칙으로 활용될 수 있다.
한편, 전술된 'Facing Down'자세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500)가 수평적인 자세를 취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500)의 상면(501)은 상방향을 향하고 있고, 상기 휴대 단말기(500)의 카메라(200)는 하방향에 위치되어 있다.
그리고, 'Facing Up'자세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500)가 수평적인 자세를 취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500)의 상면(501)은 하방향을 향하고 있고, 상기 휴대 단말기(500)의 카메라(200)는 상방향에 위치되어 있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자세를 검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휴대 단말기의 자세 검출 방법은 먼저, 'S100단계'와 같이, 통화 음이 발생된 경우, 액츄에이터를 활성화시킨다(S110). 여기서, 상기 액츄에이터가 활성화된다는 의미는 촬상 소자에 필요한 전원을 넣는다는 의미가 아니고, 상기 액츄에이터를 별도로 구동하기 위하여 구동 드라이버 IC에만 필요한 전원 공급을 해준다는 의미이다. 즉, 카메라 활성화에 필요한 소모 전류를 최대한 절약하기 위한 것으로, 센서 구동 없이 액츄에이터에 별도로 전원을 공급해주면 가능한 원리이다. 또한, 정전방식의 마이크로 액츄에이터로 상기 액츄에이터를 구성하여 이를 구동시킬 때 소비되는 전력은 0.1mW 정도로 소비전력이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그리고, 액츄에이터 활성화에 필요한 부하를 없애기 위해서는 휴대 단말기 자체에 파워가 공급되는 동안 마이크로 드라이버 IC 구동부에 전원을 인가하여도 전력 소모에 대한 부담이 없으며 이를 활용할 경우, 'S110단계'의 과정은 생략될 수 있다.
상기 'S100단계'의 통화음이 발생되면, 액츄에이터를 초기 구동한다(S120). 이때, 상기 액츄에이터를 초기 구동하는 이유는 현재 휴대 단말기의 수직 방향('Facing down'자세 또는 'Facing up'자세)의 자세를 알기 위함이다. 일반적으로 액츄에이터는 풀(Full) 구동에 필요한 시간은 10~20ms 정도로 VCM 대비 10배의 빠른 속도를 갖는다. 그러므로, 구동 범위를 일정 범위로 제한할 경우, 수 ms 이내로 동작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상기 'S120단계' 후에, 액츄에이터 구동에 따른 정전용량을 피드백(Feedback) 받는다(S130 단계). 이러한, 정전용량을 피드백은 정전용량 측정부에서 수행하며, 피드백 받은 정전용량을 코드 단위로 저장한다.
그리고, 'S130단계'를 수행한 후, 액츄에이터를 반복적으로 구동시키고(S140), 'S130단계'에서 정전용량을 피드백 받는다. 이러한 액츄에이터를 반복 구동은 휴대 단말기의 자세 변화를 알기 위함이다. 'S130단계'에서 초기 정전용량 값이 저장되면 일정한 지연(Delay) 이후에 액츄에이터를 재차 반복 구동하여 실시간으로 정전용량을 피드백 받는다.
이어서, 상기 'S130단계'를 수행한 다음, 휴대 단말기의 수직 방향 자세 변이가 있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50).
이때, 상기 'S150단계'는 'S140단계'의 액츄에이터 반복 구동에 의해 피드백 받은 정전용량 값과 'S120단계'의 액츄에이터 초기 구동에 의해 피드백 받은 정전용량 값이 일정 편차를 갖는지를 판별하는 것이다.
상기 'S150단계'에서 휴대 단말기의 수직 방향 자세 변이가 있었던 경우, 즉, 액츄에이터 반복 구동에 의해 피드백 받은 정전용량 값과 액츄에이터 초기 구동에 의해 피드백 받은 정전용량 값의 편차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 휴대 단말기는 자세 변이가 발생되었다고 인식한다.
예컨대, 상기 휴대 단말기는 180도 회전되었다고 인식하는 것이다.
그 후, 상기 액츄에이터 동작을 종료한다(S160).
이어서, 'S160단계' 다음, 통화음 해제 또는 진동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로 수행한다(S170).
본 발명은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휴대 단말기 제어부 110; 저장부
120; 전원 구동부 200; 카메라
210; 액츄에이터 220; 정전용량 측정부

Claims (15)

  1. 피사체를 촬영하는 렌즈;
    초점 조정을 위해 렌즈를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
    상기 액츄에이터의 정전용량을 측정하는 정전용량 측정부; 및
    상기 정전용량 측정부에서 측정된 정전용량에 따라 카메라의 자세를 검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카메라의 자세 데이터로, 전원 구동부를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마이크로 액츄에이터인 휴대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정전기력(Electrostatic force)을 이용한 휴대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전용량 측정부에서 측정된 정전용량의 변화시점으로 카메라의 자세를 검출하는 휴대 단말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를 반복 진동 구동시키는 액츄에이터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6. 피사체를 촬영하는 렌즈;
    초점 조정을 위해 렌즈를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
    상기 액츄에이터의 정전용량을 측정하는 정전용량 측정부; 및
    상기 정전용량 측정부에서 측정된 정전용량에 따라 카메라의 자세를 검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액츄에이터는 정전기력(Electrostatic force)을 이용하고,
    상기 정전용량의 변화시점에 대응되어 카메라의 자세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가 더 포함되는 휴대 단말기.
  7. 삭제
  8. 피사체를 촬영하는 렌즈;
    초점 조정을 위해 렌즈를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
    상기 액츄에이터의 정전용량을 측정하는 정전용량 측정부; 및
    상기 정전용량 측정부에서 측정된 정전용량에 따라 카메라의 자세를 검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카메라의 자세 데이터로, 휴대 단말기의 부품 각각을 온(On) 또는 오프(Off)시키는 휴대 단말기.
  9. 액츄에이터를 초기 구동하는 단계;
    상기 액츄에이터 초기 구동에 따른 정전용량을 피드백 받는 단계;
    상기 액츄에이터를 반복적으로 구동시켜 정전용량을 피드백 받는 단계; 및
    상기 액츄에이터 초기 구동에 의해 피드백 받은 정전용량값과 상기 액츄에이터 반복 구동에 의해 피드백 받은 정전용량 값을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비교하는 단계는,
    편차가 임계값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자세를 검출하는 방법.
  10. 삭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편차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 휴대 단말기의 자세 변이가 발생되었다고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자세를 검출하는 방법.
  12. 액츄에이터를 초기 구동하는 단계;
    상기 액츄에이터 초기 구동에 따른 정전용량을 피드백 받는 단계;
    상기 액츄에이터를 반복적으로 구동시켜 정전용량을 피드백 받는 단계; 및
    상기 액츄에이터 초기 구동에 의해 피드백 받은 정전용량값과 상기 액츄에이터 반복 구동에 의해 피드백 받은 정전용량 값을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액츄에이터를 초기 구동하는 단계는, 통화 음이 발생된 경우 진행되는 휴대 단말기의 자세를 검출하는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를 초기 구동하는 단계에서 상기 통화 음이 발생된 경우, 상기 액츄에이터를 초기 구동하기 전에, 상기 액츄에이터를 활성화시키는 휴대 단말기의 자세를 검출하는 방법.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자세 변이가 발생되었다고 인식되면, 상기 액츄에이터의 동작을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자세를 검출하는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의 동작을 종료 후에, 통화음 해제 또는 진동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휴대 단말기의 자세를 검출하는 방법.
KR1020120078031A 2011-08-09 2012-07-18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자세를 검출하는 방법 KR1018923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2/006311 WO2013022273A2 (en) 2011-08-09 2012-08-08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detecting posture of the same
US14/236,047 US9325887B2 (en) 2011-08-09 2012-08-08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detecting posture of the same
CN201280038872.6A CN103733721B (zh) 2011-08-09 2012-08-08 便携式终端及用于检测该便携式终端的姿势的方法
JP2014524929A JP6230535B2 (ja) 2011-08-09 2012-08-08 携帯端末機及びその姿勢を検出する方法
EP12822481.3A EP2742771A4 (en) 2011-08-09 2012-08-08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THE POSITION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9080 2011-08-09
KR20110079080 2011-08-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8514A KR20130018514A (ko) 2013-02-25
KR101892301B1 true KR101892301B1 (ko) 2018-09-28

Family

ID=47897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8031A KR101892301B1 (ko) 2011-08-09 2012-07-18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자세를 검출하는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325887B2 (ko)
EP (1) EP2742771A4 (ko)
JP (1) JP6230535B2 (ko)
KR (1) KR101892301B1 (ko)
CN (1) CN103733721B (ko)
WO (1) WO201302227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37315B2 (ja) * 2016-11-07 2021-03-03 ローム株式会社 静電アクチュエータの駆動回路、カメラモジュール、電子機器、容量測定回路
CN108242907A (zh) * 2018-03-07 2018-07-03 信利光电股份有限公司 一种音圈马达的闭环反馈装置、音圈马达和摄像模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69509A1 (en) * 2010-01-12 2011-07-14 Maxim Integrated Products, Inc. Electrostatic mems driver with on-chip capacitance measurement for autofocus application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67715B1 (en) * 2000-04-19 2003-05-20 Sandia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ed on-chip material and structural certification of MEMS devices
TW200407025A (en) * 2002-08-27 2004-05-01 Vitec Co Ltd Pocket terminal device
CN101142813B (zh) * 2005-03-18 2010-06-23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成像装置
KR100554484B1 (ko) * 2005-05-12 200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작 인식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및 동작 인식 방법
JP4874067B2 (ja) * 2006-02-07 2012-02-08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角速度センサ
US7623774B2 (en) * 2006-08-01 2009-11-24 Motorola, Inc. Device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orientation of a camera
JP5359864B2 (ja) * 2007-03-13 2013-12-04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端末及びその機能制御方法
US20100105429A1 (en) * 2007-03-16 2010-04-29 Yusuke Koitabashi Mobile terminal apparatus, function starting method and program thereof
TWI373708B (en) * 2007-11-27 2012-10-01 Htc Corp Power management method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
US9258473B2 (en) * 2012-04-10 2016-02-09 Digitaloptics Corporation Camera orientation sensing using camera module with MEMS AF actuat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69509A1 (en) * 2010-01-12 2011-07-14 Maxim Integrated Products, Inc. Electrostatic mems driver with on-chip capacitance measurement for autofocus applic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733721A (zh) 2014-04-16
JP6230535B2 (ja) 2017-11-15
EP2742771A2 (en) 2014-06-18
WO2013022273A3 (en) 2013-03-14
EP2742771A4 (en) 2015-03-11
JP2014528189A (ja) 2014-10-23
CN103733721B (zh) 2018-04-27
KR20130018514A (ko) 2013-02-25
US9325887B2 (en) 2016-04-26
WO2013022273A2 (en) 2013-02-14
US20140139726A1 (en) 2014-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2300B1 (ko)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싱 방법
KR102051501B1 (ko) 카메라 모듈
US7623774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orientation of a camera
US7679849B2 (en) Mobile lens unit with detection device
US7428376B2 (en) Lens driving mechanism, lens unit and image pickup apparatus
CN102298162B (zh) 背光调节系统及方法
CN101909155B (zh) 防抖装置以及具有该防抖装置的便携式拍照设备
CN113711581B (zh) 相机模块及光学装置
US20140368724A1 (en) Methods for enhancing camera focusing performance using camera orientation
KR101743053B1 (ko) 카메라 모듈 및 그 구동 방법
US9204045B2 (en) Image capture method and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CN102752506A (zh) 手持电子装置以及其中摄影设备的自动对焦方法
CN109581616B (zh) 相机模块和包括相机模块的电子装置
US20170244901A1 (en) Imaging apparatus and image blur correction method
KR102561934B1 (ko) 카메라 모듈의 액츄에이터
KR101340794B1 (ko)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1892301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자세를 검출하는 방법
KR102161254B1 (ko) 카메라 모듈
US20110221923A1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image captur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KR102083328B1 (ko) 카메라 모듈 및 그의 충격 감소 방법
KR20220092840A (ko) 이동단말의 카메라모듈의 오토 포커싱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단말
JP2015114615A (ja) 撮影用光学装置および撮影用光学装置の制御方法
KR101921247B1 (ko)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싱 방법
KR20130106536A (ko) 카메라 장치 및 그의 오토 포커스 캘리브레이션 방법
KR20150118310A (ko) 방향감지센서를 구비하는 모바일 기기용 흔들림 보정 카메라모듈 및 이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