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6536A - 카메라 장치 및 그의 오토 포커스 캘리브레이션 방법 - Google Patents

카메라 장치 및 그의 오토 포커스 캘리브레이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6536A
KR20130106536A KR1020120028149A KR20120028149A KR20130106536A KR 20130106536 A KR20130106536 A KR 20130106536A KR 1020120028149 A KR1020120028149 A KR 1020120028149A KR 20120028149 A KR20120028149 A KR 20120028149A KR 20130106536 A KR20130106536 A KR 201301065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ure
camera module
auto
auto focusing
actu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8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재근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28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06536A/ko
Publication of KR20130106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65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to co-operate with a remote control mechanism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9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for automatic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04N23/671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in combination with active ranging signals, e.g. using light or sound signals emitted toward objec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28Systems for automatic generation of focusing signals
    • G02B7/36Systems for automatic generation of focusing signals using image sharpness techniques, e.g. image processing techniques for generating autofocus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장치 및 그의 오토 포커스 캘리브레이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적어도 1매 이상의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부를 이동시켜 오토 포커싱(Auto focusing)하는 오토 포커싱 엑츄에이터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과; 상기 카메라 모듈의 자세와 상기 오토 포커싱 엑츄에이터의 변위(Displacement)에 대응된 코드가 수록된 룩업테이블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부와; 상기 카메라 모듈의 자세를 감지하는 자세 감지부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룩업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자세 감지부에서 감지된 카메라 모듈의 자세에 대응된 코드로 상기 오토 포커싱 엑츄에이터를 구동시키는 오토 포커스 구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카메라 장치 및 그의 오토 포커스 캘리브레이션 방법 { Camera module and calibration method thereof }
본 발명은 카메라 장치 및 그의 오토 포커스 캘리브레이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메라 모듈은 소형으로써 카메라폰, PDA 및 스마트폰 등 휴대용 이동통신 기기와 다양한 IT기기에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이 엑츄에이터를 구비하여, 렌즈 배럴을 이동시켜 오토 포커스(Auto focus, AF)을 수행하는 경우, 원거리(Infinity)에서 근거리(Macro)로 렌즈를 이동시켜 베스트 포커스 위치를 찾게 된다.
현재, 대부분의 모바일 폰에 실장되는 오토 포커스 카메라의 경우, VCM을 이용한 AF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자기력을 이용하는 VCM의 경우 부정확한 위치 이동과 상 하향 방향의 히스테리시스 및 VCM의 위치에 따른 자세차 때문에 구조적인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VCM 구동부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VCM 개별 캘리브레이션을 해야한 VCM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오토 포커스 구동시키기 위한 동일한 코드를 복수의 카메라 모듈에 적용하게 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마다 VCM 구동부의 이동 변위가 다르게 된다.
그리고, 카메라 모듈(10)이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해, 하부 수직 방향의 자세(도 2a), 상부 수직 방향의 자세(도 2b)와 수평 방향의 자세(도 2c) 각각에 위치할 때마다 VCM 구동부의 이동 변위가 다르게 된다.
그러므로, 오토 포커싱 엑츄에이터의 고정된 전류값에 해당되는 코드로 오포 포커싱하는 경우, 위치 이동 편차, 오토 포커싱 엑츄에이터의 초기 이동하기 시작하는 전류, 상하 히스테리시트(Hysteresis)로 인한 편차가 발생하여 오토 포커스 속도 및 정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야기시킨다.
본 발명은 오토 포커스 속도 및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적어도 1매 이상의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부를 이동시켜 오토 포커싱(Auto focusing)하는 오토 포커싱 엑츄에이터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과;
상기 카메라 모듈의 자세와 상기 오토 포커싱 엑츄에이터의 변위(Displacement)에 대응된 코드가 수록된 룩업테이블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부와;
상기 카메라 모듈의 자세를 감지하는 자세 감지부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룩업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자세 감지부에서 감지된 카메라 모듈의 자세에 대응된 코드로 상기 오토 포커싱 엑츄에이터를 구동시키는 오토 포커스 구동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가 제공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상기 자세는, 상기 카메라 모듈의 전방위(Omnidirectional) 자세일 수 있다.
또, 상기 자세는, 상기 카메라 모듈의 특정 방향 자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정 방향 자세는, 상기 카메라 모듈이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해 위치된, 수평 방향의 자세, 상부 수직 방향의 자세와 하부 수직 방향의 자세 중 하나일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자세 감지부는, 자이로 센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오토 포커스 구동부는,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된 구동 IC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구동 IC칩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임베디드(Embedded)되어 있을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렌즈부와 상기 오토 포커싱 엑츄에이터를 내장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케이스의 내측벽 또는 외측벽에 장착되어 있을 수 있다.
또, 상기 오토 포커싱 엑츄에이터는, 보이스 코일 모터(Voice Coil Motor, VCM) 엑츄에이터, 압전력에 의해 구동되는 엑츄에이터, 정전용량 방식에 의해 구동되는 멤즈(MEMS) 엑츄에이터 중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오토 포커싱 엑츄에이터의 변위는, 레이저 변위 측정 장비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의 자세별로 오토 포커싱 엑츄에이터에 전류를 인가하여 상기 오토 포커싱 엑츄에이터의 변위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카메라 모듈의 자세와 상기 오토 포커싱 엑츄에이터의 변위(Displacement)에 대응된 코드를 룩업테이블에 수록하여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의 오토 포커스 캘리브레이션 방법이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오토 포커싱 엑츄에이터의 변위는, 레이저 변위 측정 장비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의 자세와 오토 포커싱 엑츄에이터의 변위에 대응된 코드로 오토 포커싱을 수행함으로써, 오토 포커싱 엑츄에이터의 고정된 전류값에 해당되는 코드로 오포 포커싱하는 경우, 위치 이동 편차, 오토 포커싱 엑츄에이터의 초기 이동하기 시작하는 전류, 상하 히스테리시트(Hysteresis)로 인한 편차가 발생하여 오토 포커스 속도 및 정확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기존의 카메라 모듈의 코드에 대한 렌즈부의 이동 변위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도 2a 내지 도 2c는 기존 카메라 모듈의 자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카메라 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카메라 장치의 카메라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카메라 장치의 오토 포커스 캘리브레이션(AF Calibration) 방법의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은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카메라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카메라 장치는 적어도 1매 이상의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부를 이동시켜 오토 포커싱(Auto focusing)하는 오토 포커싱 엑츄에이터(110)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100)과; 상기 카메라 모듈(100)의 자세와 상기 오토 포커싱 엑츄에이터(110)의 변위(Displacement)에 대응된 코드가 수록된 룩업테이블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부(120)와; 상기 카메라 모듈(100)의 자세를 감지하는 자세 감지부(130)와; 상기 메모리부(120)에 저장된 룩업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자세 감지부(130)에서 감지된 카메라 모듈(100)의 자세에 대응된 코드로 상기 오토 포커싱 엑츄에이터(110)를 구동시키는 오토 포커스 구동부(150)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카메라 장치는 상기 자세 감지부(130)에서 상기 카메라 모듈(100)의 자세를 감지하게 되면, 상기 오토 포커스 구동부(150)는 상기 메모리부(120)에 저장된 룩업테이블에서 상기 카메라 모듈(100)의 자세와 상기 오토 포커싱 엑츄에이터(110)의 변위에 대응된 코드를 읽고, 그 코드로 상기 오토 포커싱 엑츄에이터(110)를 구동시켜 오토 포커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자세는 상기 카메라 모듈(100)의 전방위(Omnidirectional) 자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세는 상기 카메라 모듈(100)의 특정 방향 자세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특정 방향 자세는 상기 카메라 모듈(100)이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해 위치된, 수평 방향의 자세, 상부 수직 방향의 자세와 하부 수직 방향의 자세 중 하나일 수 있다.
또, 상기 자세 감지부(130)는 자이로 센서일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오토 포커싱 엑츄에이터(110)는, 보이스 코일 모터(Voice Coil Motor, VCM) 엑츄에이터, 압전력에 의해 구동되는 엑츄에이터, 정전용량 방식에 의해 구동되는 멤즈(MEMS) 엑츄에이터 중 하나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의 자세와 오토 포커싱 엑츄에이터의 변위에 대응된 코드로 오토 포커싱을 수행함으로써, 오토 포커싱 엑츄에이터의 고정된 전류값에 해당되는 코드로 오포 포커싱하는 경우, 위치 이동 편차, 오토 포커싱 엑츄에이터의 초기 이동하기 시작하는 전류, 상하 히스테리시트(Hysteresis)로 인한 편차가 발생하여 오토 포커스 속도 및 정확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카메라 장치의 카메라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카메라 장치의 카메라 모듈은 렌즈부(111)와; 상기 렌즈부(111)를 이동시키는 오토 포커싱 엑츄에이터(110)를 포함하고, 전술된 바와 같은, 오토 포커스 구동부는 인쇄회로기판(161)에 실장된 구동 IC칩(162)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 IC칩(162)은 상기 인쇄회로기판(161)에 임베디드(Embedded)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카메라 모듈은 상기 렌즈부(111)와 상기 오토 포커싱 엑츄에이터(110)를 내장하는 케이스(미도시)를 포함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161)은 상기 케이스의 내측벽 또는 외측벽에 장착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 IC칩(162)은 12C 통신을 통해 카메라 모듈의 자세에 대응된 코드에 해당되는 전류를 상기 오토 포커싱 엑츄에이터(110)로 인가하여, 상기 오토 포커싱 엑츄에이터(110)를 구동시킨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카메라 장치의 오토 포커스 캘리브레이션(AF Calibration)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오토 포커스 캘리브레이션 방법은 카메라 모듈의 자세별로 오토 포커싱 엑츄에이터에 전류를 인가하여 상기 오토 포커싱 엑츄에이터의 변위를 측정한다.(S100단계)
여기서, 상기 오토 포커싱 엑츄에이터의 변위는 레이저 변위 측정 장비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그 다음, 상기 카메라 모듈의 자세와 상기 오토 포커싱 엑츄에이터의 변위(Displacement)에 대응된 코드를 룩업테이블에 수록하여 메모리부에 저장한다.(S100단계)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적어도 1매 이상의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부를 이동시켜 오토 포커싱(Auto focusing)하는 오토 포커싱 엑츄에이터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과;
    상기 카메라 모듈의 자세와 상기 오토 포커싱 엑츄에이터의 변위(Displacement)에 대응된 코드가 수록된 룩업테이블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부와;
    상기 카메라 모듈의 자세를 감지하는 자세 감지부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룩업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자세 감지부에서 감지된 카메라 모듈의 자세에 대응된 코드로 상기 오토 포커싱 엑츄에이터를 구동시키는 오토 포커스 구동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세는,
    상기 카메라 모듈의 전방위(Omnidirectional) 자세인 카메라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세는,
    상기 카메라 모듈의 특정 방향 자세인 카메라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특정 방향 자세는,
    상기 카메라 모듈이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해 위치된, 수평 방향의 자세, 상부 수직 방향의 자세와 하부 수직 방향의 자세 중 하나인 카메라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세 감지부는,
    자이로 센서인 카메라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토 포커스 구동부는,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된 구동 IC칩으로 구현된 카메라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구동 IC칩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임베디드(Embedded)되어 있는 카메라 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렌즈부와 상기 오토 포커싱 엑츄에이터를 내장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케이스의 내측벽 또는 외측벽에 장착되어 있는 카메라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토 포커싱 엑츄에이터는,
    보이스 코일 모터(Voice Coil Motor, VCM) 엑츄에이터, 압전력에 의해 구동되는 엑츄에이터, 정전용량 방식에 의해 구동되는 멤즈(MEMS) 엑츄에이터 중 하나인 카메라 장치.

  10. 카메라 모듈의 자세별로 오토 포커싱 엑츄에이터에 전류를 인가하여 상기 오토 포커싱 엑츄에이터의 변위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카메라 모듈의 자세와 상기 오토 포커싱 엑츄에이터의 변위(Displacement)에 대응된 코드를 룩업테이블에 수록하여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의 오토 포커스 캘리브레이션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오토 포커싱 엑츄에이터의 변위는,
    레이저 변위 측정 장비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카메라 장치의 오토 포커스 캘리브레이션 방법.







KR1020120028149A 2012-03-20 2012-03-20 카메라 장치 및 그의 오토 포커스 캘리브레이션 방법 KR201301065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8149A KR20130106536A (ko) 2012-03-20 2012-03-20 카메라 장치 및 그의 오토 포커스 캘리브레이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8149A KR20130106536A (ko) 2012-03-20 2012-03-20 카메라 장치 및 그의 오토 포커스 캘리브레이션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6536A true KR20130106536A (ko) 2013-09-30

Family

ID=49454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8149A KR20130106536A (ko) 2012-03-20 2012-03-20 카메라 장치 및 그의 오토 포커스 캘리브레이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0653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1765A (ko) * 2014-09-15 2016-03-2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이동단말의 카메라모듈의 오토 포커싱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단말
KR20170022464A (ko) * 2015-08-20 2017-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중력 및 온도 센서를 이용한 카메라의 자동 초점 조절 방법, 카메라 제어 장치, 및 카메라 시스템
CN113031195A (zh) * 2021-03-10 2021-06-25 江苏金视传奇科技有限公司 一种红外无感自动调焦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0107A (ko) * 2007-08-22 2009-02-26 주식회사 하이소닉 휴대폰 카메라용 액츄에이터의 검사장치
JP4609183B2 (ja) * 2005-05-19 2011-01-1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撮像装置
KR20110073043A (ko) * 2009-12-23 2011-06-2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110080390A (ko) * 2010-01-05 2011-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자동초점 조절 장치 및 카메라 시스템
JP2011158553A (ja) * 2010-01-29 2011-08-18 Fujifilm Corp 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携帯電話機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09183B2 (ja) * 2005-05-19 2011-01-1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撮像装置
KR20090020107A (ko) * 2007-08-22 2009-02-26 주식회사 하이소닉 휴대폰 카메라용 액츄에이터의 검사장치
KR20110073043A (ko) * 2009-12-23 2011-06-2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110080390A (ko) * 2010-01-05 2011-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자동초점 조절 장치 및 카메라 시스템
JP2011158553A (ja) * 2010-01-29 2011-08-18 Fujifilm Corp 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携帯電話機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1765A (ko) * 2014-09-15 2016-03-2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이동단말의 카메라모듈의 오토 포커싱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단말
KR20210093806A (ko) 2014-09-15 2021-07-2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이동단말의 카메라모듈의 오토 포커싱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단말
KR20220092840A (ko) 2014-09-15 2022-07-0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이동단말의 카메라모듈의 오토 포커싱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단말
KR20240038672A (ko) 2014-09-15 2024-03-2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이동단말의 카메라모듈의 오토 포커싱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단말
KR20170022464A (ko) * 2015-08-20 2017-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중력 및 온도 센서를 이용한 카메라의 자동 초점 조절 방법, 카메라 제어 장치, 및 카메라 시스템
CN113031195A (zh) * 2021-03-10 2021-06-25 江苏金视传奇科技有限公司 一种红外无感自动调焦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3053B1 (ko) 카메라 모듈 및 그 구동 방법
US11601597B2 (en) Dual-camera device and terminal device
CN105824167B (zh) 镜头驱动装置、相机模块和光学设备
KR20130077216A (ko)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싱 방법
KR101859377B1 (ko) 액추에이터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US20140368724A1 (en) Methods for enhancing camera focusing performance using camera orientation
US20130169854A1 (en) Camera module,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the same and auto focus method
US11575821B2 (en) Camera device having first and second cameras,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KR20190108317A (ko) 카메라 모듈의 액츄에이터
KR101905408B1 (ko) 카메라 모듈, 그의 오토 포커스 방법 및 오토 포커스 캘리브레이션하는 방법
KR20130106536A (ko) 카메라 장치 및 그의 오토 포커스 캘리브레이션 방법
JP5326681B2 (ja) レンズ駆動装置及び撮像装置
KR101126295B1 (ko) 카메라 모듈 및 그의 오토 포커싱 탐색 범위 설정 방법
KR20160110032A (ko) 카메라 모듈 구동 장치
KR102083328B1 (ko) 카메라 모듈 및 그의 충격 감소 방법
JP5803090B2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WO2005059615A1 (ja) 自動焦点調節装置
KR101764433B1 (ko) 카메라 모듈 및 그를 이용한 거리 측정 방법
KR102413720B1 (ko) 이동단말의 카메라모듈의 오토 포커싱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단말
KR102103561B1 (ko) 카메라 모듈
KR20130018514A (ko)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자세를 검출하는 방법
KR102077849B1 (ko) 카메라 모듈 및 그의 오토 포커싱 방법
KR20130077217A (ko)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싱 방법
KR102178824B1 (ko) 보이스 코일 모터의 위치검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130024315A (ko)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스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