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0794B1 -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0794B1
KR101340794B1 KR1020110080567A KR20110080567A KR101340794B1 KR 101340794 B1 KR101340794 B1 KR 101340794B1 KR 1020110080567 A KR1020110080567 A KR 1020110080567A KR 20110080567 A KR20110080567 A KR 20110080567A KR 101340794 B1 KR101340794 B1 KR 1013407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ion
portable terminal
camera module
information acquisition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0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7872A (ko
Inventor
이정현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80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0794B1/ko
Priority to PCT/KR2012/005779 priority patent/WO2013024974A1/en
Priority to US14/234,591 priority patent/US9648235B2/en
Publication of KR20130017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78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07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07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ingle or a set of motion sensors for pointer control or gesture input obtained by sensing movements of the portable compu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5Control of camera operation in relation to power supply
    • H04N23/651Control of camera operation in relation to power supply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by affecting camera operations, e.g. sleep mode, hibernation mode or power off of selective parts of the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H04W4/027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using movement velocity, acceler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5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 H04W52/025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detecting a user operation or a tactile contact or a motion of the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7Sensing arrangement for detection of housing movement or orientation, e.g. for controlling scrolling or cursor movement on the display of an handheld compu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는 피사체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과; 휴대용 단말기의 모션(Motion)을 감지하는 위치 정보 획득 센서와; 상기 위치 정보 획득 센서에서 감지된 휴대용 단말기의 모션으로 상기 카메라 모듈을 온(On) 또는 오프(Off)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구동 방법 {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기기의 형태로 구현된 휴대 단말기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적 측면에서 새로운 시도들이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는 카메라 역할도 가능하고, 음악 또는 동영상 플레이어의 역할도 수행하고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는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기 위한 개인 휴대품으로 여겨지면서, 다양한 디자인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휴대용 단말기는 피사체를 사진이나 동영상으로 촬영하여 그 이미지데이터를 저장한 후 필요에 따라 이를 편집 및 전송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고 있다.
피사체의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해 카메라 모듈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의 케이스 또는 터치 스크린의 아이콘을 클릭하는 불편함이 있다.
배경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2011-0012110호에는 제1모션센서와 제2모션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결과들로부터 상기 충격 또는 움직임이 가해진 상기 단말기바디 상의 특정 위치를 터치된 위치로 파악하여 입력정보로 사용하는 기술이 개시어 있으나, 카메라 모듈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배경기술은 존재하지 않아, 이에 대한 기술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특정 모션으로 카메라 모듈을 구동시킴으로써,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의 케이스에 부착된 기구적 버튼을 클릭하거나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카메라 모듈을 활성화시키는 소모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피사체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과;
휴대용 단말기의 모션(Motion)을 감지하는 위치 정보 획득 센서와;
상기 위치 정보 획득 센서에서 감지된 휴대용 단말기의 모션으로 상기 카메라 모듈을 온(On) 또는 오프(Off)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위치 정보 획득 센서에서 감지된 휴대용 단말기의 모션에 대응되는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 정보 획득 센서에서 감지된 휴대용 단말기의 모션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모션을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상기 카메라 모듈이 온 또는 오프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카메라 모듈로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카메라 모듈을 구동시키는 카메라 모듈 구동부와; 상기 카메라 모듈 구동부에 전압이 공급되는 전원과; 상기 카메라 모듈 구동부와 상기 전원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로 상기 전원에서 공급되는 전압을 스위칭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로 상기 전원에서 상기 카메라 모듈 구동부로 전압을 공급하거나, 또는 공급되는 전압을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위치 정보 획득 센서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모션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위치 정보 획득 센서에서 감지된 휴대용 단말기의 모션이 특정 모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위치 정보 획득 센서에서 감지된 휴대용 단말기의 모션이 특정 모션인 경우, 카메라 모듈을 온 또는 오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구동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특정 모션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회전시키는 모션이거나, 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모션일 수 있다.
또, 상기 위치 정보 획득 센서에서 감지된 휴대용 단말기의 모션이 특정 모션인 경우, 카메라 모듈을 온 또는 오프시키는 단계에는, 상기 카메라 모듈이 온되어 구동된 경우, 상기 촬영 모션이 해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촬영 모션이 해제된 경우, 상기 카메라 모듈을 오프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회전, 이동 등의 특정 모션을 수행하는 경우, 위치 정보 획득 센서는 상기 특정 모션을 감지하고, 제어부는 감지된 특정 모션에 따라 카메라 모듈을 즉시 온(On) 또는 오프(Off)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특정 모션으로 카메라 모듈을 구동시킴으로써,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의 케이스에 부착된 기구적 버튼을 클릭하거나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카메라 모듈을 활성화시키는 소모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의 일례의 모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의 다른 예의 모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구동 방법의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모듈의 일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동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구동 방법의 다른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로 촬영하는 모션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모듈을 오프하기 위한 일례의 모션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터치형 휴대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터치형 휴대 단말기는 폴더 타입, 바 타입, 스윙타입, 슬라이더 타입 등과 같은 여러 타입의 휴대 단말기들을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휴대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은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의 일례의 모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의 다른 예의 모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피사체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130)과; 휴대용 단말기의 모션(Motion)을 감지하는 위치 정보 획득 센서(110)와; 상기 위치 정보 획득 센서(110)에서 감지된 휴대용 단말기의 모션으로 상기 카메라 모듈(130)을 온(On) 또는 오프(Off)시키는 제어부(1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위치 정보 획득 센서(110)는 X,Y,Z축 각각의 가속도와 각 방향으로 기울이짐으로 센싱하는 가속도 센서와 기준 방향에 대해 돌아간 방향으로 센싱하는 자이로 센서를 적용하여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회전, 이동 등의 특정 모션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위치 정보 획득 센서(110)는 상기 특정 모션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감지된 특정 모션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130)을 즉시 온(On) 또는 오프(Off)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특정 모션으로 카메라 모듈(130)을 구동시킴으로써,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의 케이스에 부착된 기구적 버튼을 클릭하거나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카메라 모듈(130)을 활성화시키는 소모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모션들의 일례들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의 'A1'상태에서 'A2'상태로 회전시키는 모션이거나, 도 3과 같이, 'B1'상태에서 'B2'상태로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모션이다. 이러한 모션들은 특정 모션에 포함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모듈의 일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동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도 4와 같이, 위치 정보 획득 센서(110)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제 1 모션을 감지하고, 상기 위치 정보 획득 센서(110)는 상기 감지된 제 1 모션으로 제 1 감지 신호를 제어부(120)로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제 1 감지 신호에 대응하는 제 1 제어 신호를 카메라 모듈(130)로 출력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130)의 동작을 온(On)시킨다.
그리고, 상기 위치 정보 획득 센서(110)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제 2 모션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위치 정보 획득 센서는 상기 감지된 제 2 모션으로 제 2 감지 신호를 제어부(120)로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제 2 감지 신호에 대응하는 제 2 제어 신호를 카메라 모듈(130)로 출력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130)의 동작을 오프(Off)시킨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위치 정보 획득 센서(110)에서 감지된 휴대용 단말기의 모션에 대응되는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위치 정보 획득 센서(110)에서 감지된 휴대용 단말기의 모션과 상기 저장부(150)에 저장되어 있는 모션을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상기 카메라 모듈(130)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130)의 온 또는 오프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즉, 상기 위치 정보 획득 센서(110)에서 감지된 제 1 모션에 대응하는 제 1 감지 신호 및 상기 제 2 모션에 대응하는 제 2 감지 신호를 상기 제어부(120)는 입력받고,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저장부(150)에 저장되어 있는 제 1과 제 2 모션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독출하여 상기 제 1과 제 2 감지 신호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저장부(150)에 저장되어 있는 모션은 상기 카메라 모듈(130)을 온 또는 오프시키기 위한 특정한 모션이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카메라 모듈(130)은 카메라 모듈을 구동시키는 카메라 모듈 구동부(133)와; 상기 카메라 모듈 구동부(133)에 전압이 공급되는 전원(132)과; 상기 카메라 모듈 구동부(133)와 상기 전원(132)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어부(120)의 제어 신호로 상기 전원(132)에서 공급되는 전압을 스위칭하는 스위칭부(131)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제어부(120)의 제어 신호는 상기 스위칭부(131)로 입력된다.
이때, 상기 스위칭부(131)는 상기 전원(132)에서 전압을 상기 카메라 모듈 구동부(133)로 공급하거나, 또는 차단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구동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구동 방법의 다른 흐름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로 촬영하는 모션을 도시한 도면이고,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 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모듈을 오프하기 위한 일례의 모션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구동 방법은 먼저, 위치 정보 획득 센서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모션을 감지한다.(S100단계)
그 후, 상기 위치 정보 획득 센서에서 감지된 휴대용 단말기의 모션이 특정 모션인지여부를 판단한다.(S110단계)
계속, 상기 위치 정보 획득 센서에서 감지된 휴대용 단말기의 모션이 특정 모션인 경우, 카메라 모듈을 온 또는 오프시킨다.(S120단계)
이때, 상기 'S120단계'에서, 도 8의 'S130단계'와 같이 상기 카메라 모듈이 온되어 구동된 경우, 상기 촬영 모션이 해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40단계)
여기서, 상기 촬영 모션은 예컨대, 사용자는 도 9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100)를 손으로 잡고, 도 10과 같이, 피사체(10)를 촬영하거나 또는 촬영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눈(20)으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를 시각하는 모션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촬영 모션이 해제된 경우, 상기 카메라 모듈을 오프시킨다.(S150단계)
상기 촬영 모션이 해제된 것은 예컨대, 사용자가 도 9 및 도 10의 모션을 탈피하여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를 손으로 잡는 모션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9)

  1. 피사체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과;
    휴대용 단말기의 축의 가속도, 기울어짐과 기준 방향에 대해 돌아간 방향으로 모션(Motion)을 감지하는 위치 정보 획득 센서와;
    상기 위치 정보 획득 센서에서 감지된 휴대용 단말기의 모션으로 상기 카메라 모듈을 온(On) 또는 오프(Off)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 획득 센서에서 감지된 휴대용 단말기의 모션에 대응되는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 정보 획득 센서에서 감지된 휴대용 단말기의 모션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모션을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상기 카메라 모듈이 온 또는 오프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카메라 모듈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휴대용 단말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카메라 모듈을 구동시키는 카메라 모듈 구동부와;
    상기 카메라 모듈 구동부에 전압이 공급되는 전원과;
    상기 카메라 모듈 구동부와 상기 전원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로 상기 전원에서 공급되는 전압을 스위칭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로 상기 전원에서 상기 카메라 모듈 구동부로 전압을 공급하거나, 또는 공급되는 전압을 차단하는 휴대용 단말기.
  5. 위치 정보 획득 센서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축의 가속도, 기울어짐과 기준 방향에 대해 돌아간 방향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모션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위치 정보 획득 센서에서 감지된 휴대용 단말기의 모션이 특정 모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위치 정보 획득 센서에서 감지된 휴대용 단말기의 모션이 특정 모션인 경우, 카메라 모듈을 온 또는 오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구동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특정 모션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회전시키는 모션이거나, 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모션인 휴대용 단말기의 구동 방법.
  7.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 획득 센서에서 감지된 휴대용 단말기의 모션이 특정 모션인 경우, 카메라 모듈을 온 또는 오프시키는 단계에는,
    상기 카메라 모듈이 온되어 구동된 경우, 촬영 모션이 해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촬영 모션이 해제된 경우, 상기 카메라 모듈을 오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구동 방법.
  8. 피사체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상기 카메라모듈이 포함된 단말기의 모션(Motion)을 가속도 또는 각 방향으로 센싱하는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 및
    상기 가속도센서 또는 자이로센서에서 감지된 단말기의 모션으로 상기 카메라 모듈을 온(On) 또는 오프(Off)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모듈은,
    카메라모듈 구동부;
    상기 카메라모듈 구동부에 공급되는 전원; 및
    상기 구동부와 전원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를 받는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에서 감지된 휴대용 단말기의 모션에 대응되는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에서 감지된 휴대용 단말기의 모션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모션을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상기 카메라 모듈이 온 또는 오프 동작을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20110080567A 2011-08-12 2011-08-12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13407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0567A KR101340794B1 (ko) 2011-08-12 2011-08-12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구동 방법
PCT/KR2012/005779 WO2013024974A1 (en) 2011-08-12 2012-07-19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US14/234,591 US9648235B2 (en) 2011-08-12 2012-07-19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0567A KR101340794B1 (ko) 2011-08-12 2011-08-12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구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7872A KR20130017872A (ko) 2013-02-20
KR101340794B1 true KR101340794B1 (ko) 2013-12-11

Family

ID=47715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0567A KR101340794B1 (ko) 2011-08-12 2011-08-12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648235B2 (ko)
KR (1) KR101340794B1 (ko)
WO (1) WO20130249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77362B2 (en) 2013-08-02 2015-11-03 Facebook, Inc.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forming an image
KR102308968B1 (ko) * 2015-03-02 2021-10-05 김성일 화면을 제어하는 방법, 저장 매체 및 이동 단말
US10230888B2 (en) * 2015-07-31 2019-03-12 Qualcomm Incorporated Sensor-based camera initialization
CN105847667A (zh) * 2016-01-18 2016-08-10 乐视移动智能信息技术(北京)有限公司 拍照方法、装置及移动终端
WO2017131249A1 (ko) * 2016-01-27 2017-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N108737713A (zh) * 2017-04-25 2018-11-0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拍照的控制方法及装置
US10986287B2 (en) * 2019-02-19 2021-04-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Capturing a photo using a signature motion of a mobile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5970B1 (ko) * 2003-12-27 2006-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의 카메라모드 전환 방법
KR100678115B1 (ko) * 2005-07-11 200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시동 방법
KR100748443B1 (ko) 2006-02-06 2007-08-10 (주) 엘지텔레콤 움직임 감지를 이용하여 휴대용 기기의 응용 프로그램을자동으로 종료시키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읽을 수있는 기록매체
KR20120055331A (ko) * 2010-11-23 2012-05-31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92699B1 (en) * 2000-08-02 2006-01-3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amera device with selectable image paths
US8886298B2 (en) * 2004-03-01 2014-11-11 Microsoft Corporation Recall device
US20060240866A1 (en) * 2005-04-25 2006-10-26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based on its orientation
KR200449390Y1 (ko) * 2007-11-06 2010-07-07 송원무 비상작동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TWI373708B (en) * 2007-11-27 2012-10-01 Htc Corp Power management method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
KR101477542B1 (ko) * 2008-11-12 2014-12-3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5495602B2 (ja) * 2009-04-02 2014-05-21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撮影装置および撮影方法
KR101617289B1 (ko) 2009-09-30 2016-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US8665338B2 (en) * 2011-03-03 2014-03-04 Qualcomm Incorporated Blurred image detection for text recogni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5970B1 (ko) * 2003-12-27 2006-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의 카메라모드 전환 방법
KR100678115B1 (ko) * 2005-07-11 200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시동 방법
KR100748443B1 (ko) 2006-02-06 2007-08-10 (주) 엘지텔레콤 움직임 감지를 이용하여 휴대용 기기의 응용 프로그램을자동으로 종료시키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읽을 수있는 기록매체
KR20120055331A (ko) * 2010-11-23 2012-05-31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648235B2 (en) 2017-05-09
WO2013024974A1 (en) 2013-02-21
KR20130017872A (ko) 2013-02-20
US20140139696A1 (en) 2014-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0794B1 (ko)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구동 방법
US10048793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using grip sensing
US9547382B2 (en) Mobile electronic device
KR101672212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899812B1 (ko)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20110148789A1 (en) Mobile device having projector modul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20120281129A1 (en) Camera control
US8766926B2 (en) Touch-sensitive display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US2010002671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US2012005683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Program, and Control Method
EP2469393A2 (en) Image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image display control method
US20100001980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JP5645626B2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KR20110069526A (ko)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
US914096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projection mode in projection device
CN104123075B (zh) 控制终端的方法及装置
CN105824819A (zh) 图片加载方法、装置及电子设备
US20140148218A1 (en) Handheld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CA2713796C (en) Touch-sensitive display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JP6663131B2 (ja) 表示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186103B1 (ko) 상황인지 기반의 화면 스크롤 방법, 저장 매체 및 단말
EP1993035A1 (en) Devices with multiple functions, and methods for switching functions thereof
JP6230535B2 (ja) 携帯端末機及びその姿勢を検出する方法
JP6039325B2 (ja) 撮像装置、電子機器、およびタッチパネルの制御方法
KR101838719B1 (ko) 멀티 터치를 이용한 표시 정보 회전 방법 및 이를 구현한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