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2254B1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2254B1
KR101892254B1 KR1020120055996A KR20120055996A KR101892254B1 KR 101892254 B1 KR101892254 B1 KR 101892254B1 KR 1020120055996 A KR1020120055996 A KR 1020120055996A KR 20120055996 A KR20120055996 A KR 20120055996A KR 101892254 B1 KR101892254 B1 KR 1018922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isplay device
transparent
light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5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1986A (ko
Inventor
서정렬
김영국
김현아
박지은
손진호
이승훈
최기석
최원용
최윤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55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2254B1/ko
Priority to EP13157771.0A priority patent/EP2666390B1/en
Priority to US13/845,232 priority patent/US9074749B2/en
Priority to CN201310146358.0A priority patent/CN103426367B/zh
Publication of KR20130131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19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2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22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11/00Arrangements in shop windows, shop floors or show cases
    • A47F11/06Means for bringing about special optical effe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F21V14/02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movement of light sour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7/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A47F7/02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jewellery, dentures, watches, eye-glasses, lenses, or the lik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투명 디스플레이부와,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부에 위치하며 빛을 반사시켜 투명 디스플레이부로 공급하는 반사부와, 빛을 발생시켜 반사부에 투사하는 발광부와, 투명 디스플레이부와 발광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회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뒷쪽에 있는 사물이 보이는 상태로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분야에서, 다양한 유형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와 같은 차세대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연구 논의가 가속화되고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란 투명한 성질을 가져서 장치 뒷쪽 배경이 그대로 비치는 장치를 의미한다. 종래에는 실리콘(Si), 갈륨비소(GaAs) 등과 같은 불투명 반도체 화합물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작하였으나, 기존의 디스플레이 패널로는 감당할 수 없는 다양한 응용분야가 개척되면서, 새로운 형태의 전자 소자에 대한 개발 노력이 이루어졌었다. 이러한 노력 하에 개발된 것 중 하나가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는 건물이나 차량의 창문, 상가의 쇼윈도우에도 적용될 수 있어, 광고, 정보제공, 디스플레이 본래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디자인이 뛰어나므로, 소비자의 감성품질을 만족시킬 수 있어 미래 디스플레이의 하나로서 주목을 받고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는 투명한 산화물 반도체막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되어, 투명한 성질을 가지게 된다.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할 경우 사용자는 장치 뒷쪽에 위치하는 후면 배경을 보면서, 필요한 정보를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화면을 통해 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기존 디스플레이 장치들이 가지고 있는 공간적, 시간적 제약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를 활용한다면, 광고, 전시 등 비즈니스 영역에서 폭넓게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라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 장치 내부에 물건을 배치하고, 일 면에 투명 디스플레이를 설치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를 내부의 물건과 함께 볼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투명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부에 위치하며 빛을 반사시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로 공급하는 반사부와, 상기 빛을 발생시켜 상기 반사부에 투사하는 발광부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발광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회로부를 포함한다.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면에 위치하고, 상기 반사부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와 마주보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발광부는, 상기 발생시킨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내부의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의 모서리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하여 상기 반사부로 빛을 투사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내부에 물체를 배치할 수 있는 공간을 포함하는 입체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제어회로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부는, 투명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측면부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투명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이와 마주보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내부의 타 측면부는 반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양 측면부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투명 디스플레이부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는 자발광 소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발광부가 생성하는 빛의 진행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발광조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조정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부에 배치된 물체의 위치에 따라 상기 반사부에 반사된 빛이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에 균일하게 투사되도록 상기 발광부 및 상기 반사부를 자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투명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 내부에 위치한 물체를 보면서, 투명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를 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내부에 상품을 진열하고 상품에 대한 설명을 디스플레이 정보로 표시하는 광고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박물관에 유물을 전시하고, 투명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유물과 관련된 정보를 얻는데도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개념도,
도 3은 투명 디스플레이부의 단면을 나타낸 참고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발광부의 배치를 보여주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평방향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측면에 투명 디스플레이 수단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투명 디스플레이부의 세 모서리에 발광부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념도,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외관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3은 투명 디스플레이부(110)의 단면을 나타낸 참고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투명 디스플레이부(110), 반사부(120), 발광부(130) 및 제어회로부(140)를 포함한다.
투명 디스플레이부(110)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구성으로, 각종 투명소자에 전압을 인가하여 후방에 위치한 물체가 투명하게 비치는 상태에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정보란 이미지, 텍스트, 컨텐츠 재생 화면,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웹 브라우저 화면, 각종 그래픽 객체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물체란 구체적인 형상을 가지고 존재하는 것으로, 판매 가능한 상품, 동식물, 가구, 벽, 벽지, 유물 등과 같은 다양한 사물이 될 수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부(110)는 실시 예에 따라 투명 LCD(Liquid Crystal Display) 형, 투명 TFEL(Thin-Film Electroluminescent Panel) 형, 투명 OLED 형, 투사형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투명 디스플레이부(110)의 다양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투명 LCD 형이란 현재 사용되고 있는 LCD 장치에서 백라이트 유닛을 제거하고, 한 쌍의 편광판, 광학 필름, 투명 박막 트랜지스터, 투명 전극 등을 사용하여 구현한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를 의미한다. 투명 LCD 장치에서는 편광판이나 광학 필름등에 의해 투과도가 떨어지고, 백라이트 유닛 대신 주변 광을 이용하게 되므로 광 효율이 떨어지지만, 대면적 투명 디스플레이를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투명 TFEL 형이란 투명 전극, 무기 형광체, 절연막으로 이루어진 교류형 무기박막 EL 디스플레이(AC-TFEL)를 사용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AC-TFEL은 무기 형광체 내부에 가속이 된 전자가 지나가면서 형광체를 여기시켜 빛을 내게 하는 디스플레이이다. 투명 디스플레이부(130)가 투명 TFEL 형태로 구현된 경우, 제어부(130)는 적절한 위치로 전자가 투사되도록 조정하여, 정보 표시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무기 형광체, 절연막이 투명한 특성을 가지므로, 매우 투명한 디스플레이를 구현할 수 있다.  
그 밖에, 투명 OLED형이란 자체 발광이 가능한 OLED를 이용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를 의미한다. 유기 발광층이 투명하기 때문에, 양쪽 전극을 투명 전극으로 사용하면,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 가능하다. OLED는 유기 발광층 양쪽에서 전자와 정공을 주입하여 이들이 유기 발광층 내에서 결합되면서 빛을 내게 된다. 투명 OLED 장치는 이러한 원리를 사용하여 원하는 위치에 전자 및 정공을 주입하여, 정보를 표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투명 LCD 형의 투명 디스플레이부(110)는 상부 투명패널(111), 필터층(112), LCD패널(113), 하부 투명패널(114)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투명패널(111)은 투명 디스플레이부(110)의 최상측면에 설치되어, 투명 디스플레이부(110)의 손상을 방지한다. 투명 아크릴 재질 또는 폴리머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강화유리(hardened protection glass)와 같은 재질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부 투명 패널(111)은 후술할 LCD 패널(113)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좋은데, 이는 LCD 패널(113)의 발열에 따라, 상부 투명 패널(111)이 열변형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또다른 이유로는, 상부 투명 패널(111)이 물체와 물리적으로 접촉하게 되는 경우 LCD 패널(113)의 내구성에 문제를 야기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필터층(112)은 LCD 패널(113)과 광원 사이에 개재되어, 투사된 빛을 균일하게 LCD 패널(113) 측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부 투명 패널(111)과 동일 재질의 하부 투명 패널(114)이 LCD 패널(113)의 하측에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설치될 수도 있다. 이 하부 투명 패널(114)은 LCD 패널(113)과 LCD 패널(113)의 하부에 배치되는 필터층(112)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강화유리로 대체되는 것도 가능하다.
LCD패널(113)은 인가전압에 따른 액정 투과도의 변화를 이용하여 여러 가지 전기적인 정보를 시각정보로 변화시켜 전달하는 구성으로, 투명 박막(TFT) 트랜지스터와 화소 전극이 배열된 하판과 색상을 나타내기 위한 컬러 필터 및 투명 공통 전극으로 구성된 상판(미도시), 그리고 이 두 유리기판 사이에 채워져 있는 액정(미도시)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두 유리기판의 양쪽 면에는 가시광선(자연광)을 선평광하여 주는 편광판(미도시)이 각각 부착되어 있다. 상하판 전극 사이에 있는 액정으로 인해 축전기(capacitor) 및 보조 축전기가 형성되어 영상 정보를 표현한다.
투명 박막 트랜지스터(미도시)는 기존 박막 트랜지스터의 불투명한 실리콘을 투명한 아연산화물, 산화 티타늄 등과 같은 투명 물질로 대체하여 제작한 트랜지스터를 말하며, LCD패널(113)의 레이어를 형성한다. 투명 박막 트랜지스터층(미도시) 내에는 소스, 게이트, 드레인이 마련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표면의 전체 영역에 고르게 분포된 복수 개의 투명 트랜지스터가 마련된다. 후술하는 제어회로부(140)는 투명 박막 트랜지스터 레이어 내의 각 투명 박막 트랜지스트들의 게이트로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해당 투명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동시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투명 전극(미도시)은 각각 복수 개의 라인 전극을 포함하며, 라인 전극의 정렬 방향은 서로 수직하게 형성된다. 가령, 제1 투명 전극의 라인 전극들이 가로 방향으로 배열되었다면, 제2 투명 전극의 라인 전극들은 세로 방향으로 배열된다. 이에 따라, 제1 투명 전극 및 제2 투명 전극 간에는 복수의 교차 영역이 형성된다. 각 교차 영역에는 투명 박막 트랜지스터가 연결된다.
투명 전극으로는 ITO(indium tin oxide)가 사용될 수 있다. 또는, 그래핀과 같은 신소재가 사용될 수도 있다. 그래핀이란 탄소원자가 서로 연결돼 벌집 모양의 평면 구조를 이루며 투명한 성질을 가지는 물질을 의미한다.
화소를 이루고 있는 투명 TFT의 게이트에 전압을 인가하여 트랜지스터를 turn-on 상태로 만들면 액정에 영상전압이 입력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영상전압을 인가하여 액정에 영상정보를 저장한 뒤 트랜지스터를 turn-off 하면 액정 충전기 및 보조 충전기에 저장된 전하가 일정한 시간 동안 영상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한다. 액정에 전압을 인가하면 액정의 배열이 변화하는데 이 상태의 액정에 빛이 지나가면 회절이 일어나고, 이 빛을 편광판에 투과시켜 원하는 영상을 얻는다.
반사부(1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내부에 위치하며 빛을 반사시켜 투명 디스플레이부(110)로 제공하는 구성이다. 투명 디스플레이부(110)를 자체적으로 발광하지 않는 소자, 예를 들면, LCD를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는데, 이 경우 광원을 공급하기 위한 백라이트 유닛(Backlight Unit : BLU)를 구비하지 않는게 일반적이다. 백라이트 유닛을 구비하게 되면 투명 디스플레이부(110)의 후면에 백라이트 유닛을 두게 되므로 투명 디스플레이부(110)의 후면의 상을 투과시키지 않게 되어 투명 디스플레이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백라이트 유닛을 제거하면, 자연광 등의 주변 빛을 이용해야 하므로 휘도와 색재현성이 현저히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후술하는 것처럼 백라이트 유닛에 대응하는 발광부(130)를 구비하고, 발광부(130)에서 발생된 빛을 반사시켜 투명 디스플레이부(110)로 제공함으로써 충분한 광원을 확보하게 되므로, 휘도, 색재현성 등에서 높은 퀄리티를 보장할 수 있다. 다만, 후술하는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내부에 물체(a)를 배치할 수 있는 공간을 포함하는 입체구조를 갖고, 반사부(120)는 공간을 사이에 두고 투명 디스플레이부(110)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발광부(130)에서 발생된 빛을 반사부(120)가 반사시켜 디스플레이 장치 내부 공간을 가로질러 투명 디스플레이부(110)로 전달하게 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 외부의 사용자는 투명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정보와 함께 공간에 배치된 물체를 볼 수 있게 된다.
발광부(130)는 빛을 발생시켜 반사부(120)에 투사하는 구성으로, CCFL이나 다수 개의 LED 광원을 사용할 수 있다.
제어회로부(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며, 특히, 빛을 생성하고, 투명 디스플레이부(110)에 전압을 인가하도록 투명 디스플레이부(110)와 발광부(130)의 동작을 제어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구성을 포함하여, 빛을 발생시키고 이를 반사시켜 투명 디스플레이부(110)에 광원을 공급함으로써, 투명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필요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투명 디스플레이부(1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일면에 위치하고, 반사부(120)는 투명 디스플레이부(110)와 마주보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내면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발광부(130)를 통해 발생된 빛이 투명 디스플레이부(110)와 마주보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내면의 반사부(120)에 반사되어 투명 디스플레이부(110)로 제공되므로 충분한 광원이 공급되어 선명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투명 디스플레이부(110)와 발광부(13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므로, 공간에 물체를 배치하는 경우, 물체와 투명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된 정보를 함께 볼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을 더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발광부(130)는 발생시킨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확산부(132)는 빛을 확산시키는 구성으로, 상세하게는 점이나 선 광원에서 나오는 빛을 면을 따라 확산시켜 색상 및 밝기가 균일한 빛을 통과시키는 반투명 부품이다. 예를 들어, 필름 형태나 고순도 아크릴 수지를 이용하여 고른 확산이 되도록 경사도를 유지하는 형태로 제작된다. 대체적인 구성으로 고른 면 광원을 사용하여 확산부를 생략하는 구현도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발광부(130)의 배치를 보여주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수평방향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투명 디스플레이부의 세 모서리에 발광부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100-3)의 개념도이다.
도 5 및 7을 더 참조하면, 발광부(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부의 투명 디스플레이부(110)의 모서리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하여 반사부(120)로 빛을 투사할 수 있다. 즉, 도 5 및 7와 같이 투명 디스플레이부(110)의 좌우측 모서리 영역에 배치된 발광수단(131)을 통해 발생된 빛이 확산부(132)를 통과하여 확산되어 반사부(120)로 투사되면, 반사부(120)는 투사된 빛을 반사시켜 투명 디스플레이부(110)로 향하게 한다. 특히 도 7은 투명 디스플레이부의 세 모서리에 발광부를 구비한 실시 예를 보여주고 있다.
또한, 상술한 것처럼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내부에 물체(a)를 배치할 수 있는 공간을 포함하는 입체구조일 수 있다. 즉, 도 2와 같이 직육면체의 정면에 투명 디스플레이부(110)가 위치하고, 직육면체의 내부는 빈 공간이 형성되어 이곳에 물체를 배치할 수 있다. 이 경우, 투명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디스플레이 정보와 함께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부의 물체를 볼 수 있게 된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부의 물체를 다양한 각도에서 볼 수 있도록 도 2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측면을 투명하게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전술한 제어회로부(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하단부에 위치하게 된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측면을 투명하게 하면, 반사부(120)가 위치한 후면을 제외하고는 모두 투명한 상태로 되어 제어회로부(140)의 배치 공간이 문제되는 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하단부에 제어회로부(140)를 위치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해결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측면에 투명 디스플레이 수단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2)의 개념도이다.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측면부 역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2)의 일측면에 투명 디스플레이 수단(110-2')을 더 구비한 경우 이와 마주보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면은 반사부(120-2')를 구비하고, 발광부(130-2')는 투명 디스플레이 수단(110-2')의 주변 모서리에 구비하여 상술한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디스플레이 정보를 선명하고 밝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2)의 두 면(정면, 일측면)을 통해 선명한 영상과 내부의 물체를 함께 볼 수 있게 된다.
이와 달리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의 양 측면 각각에 투명 디스플레이 수단을 더 구비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는 OLED와 같은 자발광소자로 구성함으로써, 발광수단의 공간적 제약을 극복할 수 있다.
상기와 유사하게 도 8과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4)의 상면에 디스플레이 수단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투명 디스플레이부(11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상면에 위치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면의 최상부 모서리의 양 끝단에 발광부(130')가 위치한다. 발광부(130')가 빛을 발생시키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내부 하면에 위치한 반사부(120')에 빛이 반사되어 투명 디스플레이부(110')로 광원이 전달된다. 도 8의 실시 예는 디스플레이 장치(100-4)가 직육면체구조가 아닌 상면이 수평면과 일정 각도를 갖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이는 사용자가 좀더 편한 자세로 내부의 물체와 함께 디스플레이 정보를 볼 수 있도록 돕는다. 도 8은 박물관의 유물을 전시하고 유물과 관련된 정보를 투명 디스플레이부(110-4)를 통해 표시하는 예를 보여주고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 내부에 배치된 물체(a)의 크기나 위치에 따라 반사부(120)에 의해 반사된 빛의 진행이 방해를 받을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는 발광부(미도시)가 생성하는 빛의 진행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발광조정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발광조정부(미도시)는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의 내부에 배치된 물체(미도시)의 위치에 따라 반사부(미도시)에 반사된 빛이 투명 디스플레이부(미도시)에 균일하게 투사되도록 발광부(미도시) 및 반사부(미도시)를 자동적으로 제어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투명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 내부에 위치한 물체를 보면서, 투명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를 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 2와 같이 내부에 상품을 진열하고 상품에 대한 설명을 디스플레이 정보로 표시하는 광고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박물관에 유물을 전시하고, 투명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유물과 관련된 정보를 얻는데도 활용될 수 있다. 기타 다양한 산업, 비즈니스 분야에서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디스플레이 장치 110 : 투명 디스플레이부
120 : 반사부 130 : 발광부
140 : 제어회로부

Claims (10)

  1.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빛을 생성하는 발광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측면부에 형성된 투명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발광부로부터 생성되는 빛을 반사시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로 공급하는 반사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발광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회로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부 중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된 일 측면부와 인접한 양 측면부에 형성된 각각의 측면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 디스플레이부 각각은 투명소재 및 자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된 일 측면부와 마주보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른 측면부의 내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생성되는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내부의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의 모서리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하여 상기 반사부로 빛을 투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내부에 물체를 배치할 수 있는 공간을 포함하는 입체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회로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부는,
    투명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가 생성하는 빛의 진행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발광조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조정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부에 배치된 물체의 위치가 변하더라도 상기 반사부에 반사된 빛이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에 균일하게 투사되도록 상기 발광부 및 상기 반사부를 자동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20055996A 2012-05-25 2012-05-25 디스플레이 장치 KR1018922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5996A KR101892254B1 (ko) 2012-05-25 2012-05-25 디스플레이 장치
EP13157771.0A EP2666390B1 (en) 2012-05-25 2013-03-05 Show case with transparent display panel
US13/845,232 US9074749B2 (en) 2012-05-25 2013-03-18 Display apparatus
CN201310146358.0A CN103426367B (zh) 2012-05-25 2013-04-24 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5996A KR101892254B1 (ko) 2012-05-25 2012-05-25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1986A KR20130131986A (ko) 2013-12-04
KR101892254B1 true KR101892254B1 (ko) 2018-08-27

Family

ID=47997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5996A KR101892254B1 (ko) 2012-05-25 2012-05-25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074749B2 (ko)
EP (1) EP2666390B1 (ko)
KR (1) KR101892254B1 (ko)
CN (1) CN10342636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17471B2 (en) * 2013-04-30 2016-08-16 Research Frontiers Incorporated Method and device for protecting objects from degradation by light with suspended particle device light valves
CN103676314B (zh) 2013-12-05 2016-08-1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透明显示装置
CN103676306B (zh) * 2014-01-15 2017-06-30 青岛斯博锐意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透明液晶显示板及透明展示装置
TWM502230U (zh) * 2014-07-22 2015-06-01 Pei-En Li 具有可調控光通透性及多面向可視之展示系統
DE102014012186A1 (de) * 2014-08-20 2016-02-25 Sig Technology Ag Verarbeitungsanlage,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Verarbeitungsanlage und Verwendung einer Verarbeitungsanlage
CN104332112A (zh) * 2014-10-24 2015-02-04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透明显示装置
CN105118400B (zh) 2015-09-29 2018-09-1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透明显示装置
KR101897323B1 (ko) * 2015-11-17 2018-09-11 (주)뉴옵틱스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CN205321904U (zh) * 2016-01-05 2016-06-22 合肥京东方显示光源有限公司 一种透明橱窗展示装置
JP6202698B1 (ja) 2016-09-28 2017-09-27 Boeジャパン株式会社 筐体及びシステム
US10181299B1 (en) * 2017-11-30 2019-01-15 Adobe Systems Incorporated Generating digital content overlays in relation to real-world objects via a display case with a multi-layered transmissive display
CN108597368A (zh) * 2018-03-20 2018-09-28 广东康云多维视觉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三维模型的展示装置及其方法
US11042345B2 (en) * 2018-08-31 2021-06-22 Google Llc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interactive visual displays
KR102421345B1 (ko) * 2020-09-11 2022-07-15 주식회사 베스트이노베이션 스마트 쇼케이스
KR102470008B1 (ko) * 2021-12-13 2022-11-25 (주)이담 이동식 전시물 쇼케이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8551A (ja) * 1999-04-27 2000-11-07 Yamasa Kk 表示装置付き収納ケース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0146A (ja) * 1998-06-12 2000-01-07 N Ii C Design:Kk 展示ケース
US20070103930A1 (en) * 2005-11-09 2007-05-10 Kun-Chui Lee Assembled device of a light module and a liquid crystal panel
US20100180615A1 (en) * 2009-01-20 2010-07-22 Nathan Linder Display refrigerator
CN202056740U (zh) * 2009-07-23 2011-11-30 杨凤元 户外高层建筑电脑变色幕墙投射灯
DE202011000021U1 (de) * 2011-01-05 2011-04-07 Göschel, Paul Beleuchtete Vitrine
KR101081617B1 (ko) * 2011-03-14 2011-11-09 (주)티원시스템즈 입체감을 갖는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쇼 케이스 냉장고.
CN202211156U (zh) * 2011-09-08 2012-05-09 徐卫华 一种发光展示烟盒
JP2013083904A (ja) * 2011-09-28 2013-05-09 Sony Corp 光源デバイスおよび表示装置、ならびに電子機器
KR102037320B1 (ko) * 2013-02-07 2019-10-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고 일체형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8551A (ja) * 1999-04-27 2000-11-07 Yamasa Kk 表示装置付き収納ケー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074749B2 (en) 2015-07-07
US20130314923A1 (en) 2013-11-28
EP2666390B1 (en) 2015-09-16
CN103426367A (zh) 2013-12-04
CN103426367B (zh) 2017-10-27
EP2666390A1 (en) 2013-11-27
KR20130131986A (ko) 2013-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225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JP6869638B2 (ja) 表示装置
US9614014B2 (en) Display device
KR102304004B1 (ko) 표시 매체 및 표시 장치
KR101323454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WO2017117852A1 (zh) 透明显示器
JP2017032782A (ja) 表示装置
WO2019134451A1 (zh) 显示面板及其驱动方法
JP2009252572A (ja) 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液晶ディスプレイ
WO2012026163A1 (ja)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KR20110065823A (ko) 액정표시장치
KR102146829B1 (ko) 표시 장치
JP6282663B2 (ja) 表示装置
KR102104980B1 (ko) 액정표시장치
CN203037965U (zh) 一种基于oled的lcd屏幕的背光结构
WO2012026162A1 (ja)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US20130049642A1 (en) Display
JP2014022060A (ja) バックライト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KR20130091920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모듈
US9733515B2 (en) Backlight unit
KR20120077572A (ko) 측면 발광 디스플레이 모듈
KR102229392B1 (ko) 액정표시장치
KR20160109438A (ko) 전자 디바이스
WO2014153808A1 (zh) 自发光反射式像素结构、显示面板、显示装置
KR102104029B1 (ko) 표시패널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