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2211B1 - 접이식 키보드 및 그것을 이용한 시청각장애인용 소통장치 - Google Patents

접이식 키보드 및 그것을 이용한 시청각장애인용 소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2211B1
KR101892211B1 KR1020170022983A KR20170022983A KR101892211B1 KR 101892211 B1 KR101892211 B1 KR 101892211B1 KR 1020170022983 A KR1020170022983 A KR 1020170022983A KR 20170022983 A KR20170022983 A KR 20170022983A KR 101892211 B1 KR101892211 B1 KR 1018922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board
unit
foldable
main body
h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2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남칠
Original Assignee
㈜건융아이비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융아이비씨 filed Critical ㈜건융아이비씨
Priority to KR1020170022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22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2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22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21Arrangements for reducing keyboard size for transport or storage, e.g. foldable keyboards, keyboards with collapsible ke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9Special purpose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1Cordless keyboar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7/00Facilitation of operation; Human engineering
    • H01H2217/034Support for hands or 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편하게 몸에 지니고 다니면서도 매우 편리하게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접이식 키보드 및 그것을 이용한 시청각장애인용 소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통신모듈을 구비한 본체부; 상기 중심부에 탈착가능하게 접히도록 구비되는 제1키보드부; 상기 중심부에 탈착가능하게 접히도록 구비되는 제2키보드부; 상기 본체부, 제1키보드부 및 제2키보드부와 접이부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는 중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접이식 키보드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시청각장애인들이 간편하게 휴대하고 다닐 수 있으며, 언제든지 서로 용이하게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접이식 키보드 및 그것을 이용한 시청각장애인용 소통장치{Folding keyboard and communication device for hearing and visual impaired person}
본 발명은 접이식 키보드 및 그것을 이용한 시청각장애인용 소통장치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간편하게 몸에 지니고 다니면서도 매우 편리하게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접이식 키보드 및 그것을 이용한 시청각장애인용 소통장치에 관한 것이다.
시각장애인을 위한 점자입력을 할 수 있는 점자입력 키보드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점자는 양각으로 된 6개의 점을 조합하여 글자에 매칭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점자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각 점에 대응하도록 적어도 6개의 키가 필요하다.
도 1을 참조하면, 등록특허 제10-0567134호에 의한 점자 입출력기는 점자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6점자 입력키(40), 6점자 입력키(40)와 조합되어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펑션키(42), 키입력시 커서를 이동시키기 위한 스페이스키(44), 커서를 상하좌우로 이동시키기 위한 4개의 방향키, 출력되는 파일에 대한 점자데이터를 표시하는 점자표시부(28)를 포함한다.
상기 특허에 의한 점자 입출력기는 컴퓨터에 연결하여 점자를 쉽게 입력하고 출력할 수 있는 특징은 있으나, 일정 공간에서 컴퓨터에 연결하여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가지고 다니면서 사용할 수는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점자를 입력하여 점자표시부로 출력되는 점자를 읽을 수는 있으나, 시청각장애인들이 실시간으로 의사소통을 할 수는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간편하게 가지고 다니면서 언제 어디서나 쉽게 점자를 입력할 수 있는 접이식 키보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시청각장애인들이 편리하게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통신모듈을 구비한 본체부; 상기 중심부에 탈착가능하게 접히도록 구비되는 제1키보드부; 상기 중심부에 탈착가능하게 접히도록 구비되는 제2키보드부; 상기 본체부, 제1키보드부 및 제2키보드부와 접이부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는 중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접이식 키보드를 제공한다.
상기 본체부는 삼각기둥 형상의 결합부 및 제3키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에는 자석이 구비되어 제1키보드부 및 제2키보드부의 끝단과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또한, 무선입력장치 및 무선출력장치를 포함하는 시청각장애인용 소통장치에 있어서, 상기 무선입력장치는, 무선통신모듈을 구비한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탈착가능하게 접히도록 구비되는 키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출력장치는, 무선통신모듈을 구비한 하우징; 일렬로 배열되어 신호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키는 액추에이터;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어 손목에 고정가능한 손목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청각장애인용 소통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시청각장애인들이 간편하게 휴대하고 다닐 수 있으며, 언제든지 서로 용이하게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휴대성을 살리면서 동시에 입력시 보통 키보드와 같은 폭을 제공하여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점자입력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접이식 키보드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도 2에서 결합부의 구조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상세도;
도 4는 키보드부의 구조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상세도;
도 5는 중심부 및 접이부의 구조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상세도;
도 6은 제1키보드부와 제2키보드부를 접었을 때의 외관을 나타내는 외관도;
도 7은 오픈태그에 의한 제2키보드부를 펼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무선출력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9는 손목밴드의 결합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접이식 키보드는 본체부(200), 제1키보드부(300), 제2키보드부(400), 중심부(500), 접이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는 제1키보드부(300)와 제2키보드부(400)를 본체부로부터 이탈시켜 펼친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본체부(200)는 PC(Polycarbonate)와 같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키보드부(300) 및 제2키보드부(400)와 함께 접혔을 때 접이식 키보드의 한 면을 이룬다.
상기 본체부(200)는 제3키보드부(210) 및 결합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키보드부(210)에는 스페이스바 및 특수기능키가 구비되어 주로 엄지손가락으로 입력될 수 있게 구비되며, 상기 결합부는 전체적으로 삼각기둥 형상으로 구비되어 제1키보드부(300) 및 제2키보드부(400)의 끝단과 결합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결합부(230)는 삼각형 기둥 형상의 외주면부(232) 및 결합경사부(23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230)의 내부에는 자석(미도시)이 구비되어 제1키보드부(300) 및 제2키보드부(400)와 다른 결합구조가 없이도 간편하게 결합시킬 수가 있다.
상기 결합경사부(234)는 제1키보드부(300) 및 제2키보드부(400)의 끝단부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경사진 형태로 구비되어 결합력이 강화된다.
한편, 제1키보드(300)와 제2키보드(400)를 펼친 상태에서 접이식키보드는 전체적으로 'T'자 형태로 펼쳐지며, 중심부(500)를 중심으로 세개의 키보드부가 세 갈래로 갈라지게 된다.
상기 제1키보드부(300) 및 제2키보드부(400)에는 각각 4개의 버튼이 구비되며, 버튼의 개수는 설계조건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키보드부(300)의 측면(310)은 위쪽으로 갈수록 단면폭이 좁아지도록 경사면을 이루고 있으며, 각 버튼도 마찬가지로 측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경사면은 키보드부를 접거나 펼칠 때 용이하게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준다.
그리고, 제1키보드부(300)의 상면에는 돌출부(350)가 구비된다. 상기 돌출부(350)는 손끝의 느낌만으로 버튼의 위치를 확실하게 알려주어 실수하지 않고 정확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제1키보드부(300)부와 제2키보드부(400)는 서로 대칭적인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상기한 구조는 제2키보드부(400)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다만, 제2키보드부(400)에는 키보드부를 펼치기 용이하도록 오픈태그(430)가 구비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중심부(500)는 대체적으로 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측면에는 측면경사부(510)가 형성되어 본체부(200), 제1키보드부(300) 및 제2키보드부(400)를 접었을 때 자연스럽게 접히게 된다.
상기 중심부(500)와 본체부(200), 제1키보드부(300) 및 제2키보드부(400)는 각각 접이부(600)를 사이에 두고 연결된다. 상기 접이부(600)는 fPCB와 fabric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fabric은 Chamude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접이부는 강성을 지니면서도 접히거나 펴짐을 반복하여도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심부의 내부에는 자석이 구비되어 제1키보드부(300) 및 제2키보드부(400)를 접었을 때 결합이 용이하게 된다. 상기 중심부 자체를 자성을 가진 물체로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중심부(500)는 상하좌우로 눌려지도록 구비되며, 이러한 중심부는 방향키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키보드부를 이용하여 입력을 하면 블루투스통신으로 스마트폰으로 전송이 되는데, 스마트폰에 설치되어 있는 전용앱은 입력되는 점자를 한글이나 영어로 변환시켜줄 수 있다. 이때, 상기 중심부(500)를 상하좌우로 눌러 커서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커서가 스마트폰에 표시되는 문자에 위치한 상태에서 중심부(500)를 오른쪽으로 누르면 리더기능이 수행되어 스마트폰의 스피커를 통해 문자의 발음이 소리로 전달될 수 있다.
사용자가 사용을 마친 후 제1키보드부(300) 및 제2키보드부(400)를 접으면 도 6과 같이 삼각기둥 형태로 접혀지며, 걸이부(250)를 통해 줄을 매달아 목에 걸고 다닐 수 있으므로 휴대하기가 매우 용이하다.
또한, 다시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도 7과 같이 오픈태그(430)를 살짝 밀어주면 제2키보드부(400)가 펼쳐지게 되고, 내부의 빈 공간을 이용하여 제1키보드부(300)도 용이하게 펼칠 수 있다.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접이식 키보드와 무선통신이 가능하도록 무선출력장치(700)가 구비된다.
상기 무선출력장치(700)는 하우징(750) 내부에 블루투스와 같은 무선통신모듈(미도시),제어부(미도시) 및 배터리(미도시)가 구비되고, 액추에이터(730) 및 결합클립(710)을 포함한다.
상기 액추에이터(730)는 전기적인 신호를 받아 피에조모터에 의하여 상하 움직임을 발생시키며, 4개의 액추에이터가 구비된다. 즉, 각 액추에이터는 접이식 키보드의 각 버튼에 대응하는 신호를 수신하도록 되어 있어 접이식 키보드의 특정 버튼이 입력되면 대응하는 액추에이터가 튀어나오도록 움직인다.
상기 결합클립(710)은 판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에 의하여 도 9와 같이 탄성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손목밴드와 결합하도록 구비된다.
이렇게 상기 무선출력장치(700)는 손목밴드에 의하여 손목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다른 사람과 소통시 입력과 출력을 동시에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시청각장애인 소통과정의 예를 설명한다.
사용자는 걸이부(250)를 이용하여 줄을 목에 걸어 접이식 키보드를 휴대하고 다닐 수 있으며, 양 손목에는 무선출력장치(700)를 시계처럼 차고 다닐 수 있다.
이때, 다른 사람에게 의사전달을 하기 위하여 오픈태그(430)를 이용하여 제2키보드부(400) 및 제1키보드부(300)를 펼친다. 그러면, ‘T’자 형상으로 접이식 키보드가 펼쳐지고 사용자는 버튼을 눌러 입력을 시작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키보드(300)의 버튼은 좌에서 우로 7,3,2,1번 입력이 가능하게 구비되고, 제2키보드(400)의 버튼은 좌에서 우로 4,5,6,8번 입력이 가능하게 구비된다. 여기서, 1 ~ 6번은 점자입력을 하고 7,8번은 특수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한글 입력시 초성, 중성 이후 7번 또는 8번을 누르면 종성(받침)이 없는 글자로 인식하게 된다.
제1키보드(300) 및 제2키보드(400)에서 입력된 신호는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스마트폰으로 전송된다. 상기 스마트폰에는 전용앱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으며, 스마트폰을 통하여 의사소통을 하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신호가 전송된다.
그러면, 수신자는 휴대하고 있는 스마트폰을 통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스마트폰은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손목에 고정된 무선출력장치(700)로 신호를 전송하여 준다. 또한, 무선출력장치(700)는 신호를 수신받아 해당 액추에이터를 진동시킨다.
이러한 방법으로 사용자는 손목에 접촉한 액추에이터에 의해 신호를 수신함과 동시에 접이식 키보드를 이용하여 상대방에게 의사전달을 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200 : 본체부 230 : 결합부
300 : 제1키보드부 400 : 제2키보드부
500 : 중심부 600 : 접이부
700 : 무선출력장치 710 : 결합클립
730 : 액추에이터

Claims (4)

  1. 통신모듈을 구비한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탈착가능하게 접히도록 구비되는 제1키보드부;
    상기 본체부에 탈착가능하게 접히도록 구비되는 제2키보드부;
    상기 본체부, 제1키보드부 및 제2키보드부와 접이부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는 중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본체부는 삼각기둥 형상의 결합부 및 제3키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키보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에는 자석이 구비되어 제1키보드부 및 제2키보드부의 끝단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키보드.
  4. 삭제
KR1020170022983A 2017-02-21 2017-02-21 접이식 키보드 및 그것을 이용한 시청각장애인용 소통장치 KR1018922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2983A KR101892211B1 (ko) 2017-02-21 2017-02-21 접이식 키보드 및 그것을 이용한 시청각장애인용 소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2983A KR101892211B1 (ko) 2017-02-21 2017-02-21 접이식 키보드 및 그것을 이용한 시청각장애인용 소통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5121A Division KR20180097171A (ko) 2018-08-14 2018-08-14 접이식 키보드 및 그것을 이용한 시청각장애인용 소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2211B1 true KR101892211B1 (ko) 2018-08-27

Family

ID=63455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2983A KR101892211B1 (ko) 2017-02-21 2017-02-21 접이식 키보드 및 그것을 이용한 시청각장애인용 소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22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5988A (ko) * 2019-01-08 2020-07-16 (주)건융아이비씨 외부단말기 연동 점자입력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47081A (ja) * 1995-11-20 1997-06-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画像入力装置
KR20090077644A (ko) * 2008-06-02 2009-07-15 유상규 휴대용 컴퓨터의 스윙 타입 접이식 키보드
WO2016036443A1 (en) * 2014-09-04 2016-03-10 Intel Corporation Three dimensional contextual feedback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47081A (ja) * 1995-11-20 1997-06-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画像入力装置
KR20090077644A (ko) * 2008-06-02 2009-07-15 유상규 휴대용 컴퓨터의 스윙 타입 접이식 키보드
WO2016036443A1 (en) * 2014-09-04 2016-03-10 Intel Corporation Three dimensional contextual feedback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5988A (ko) * 2019-01-08 2020-07-16 (주)건융아이비씨 외부단말기 연동 점자입력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14542A1 (ko) 시각장애인용 착용형 햅틱 패턴 디스플레이 장치
CN104737090A (zh) 用于失明或低视力的用户的移动计算装置
KR101774707B1 (ko) 사용자별 커스텀 키보드 매핑이 가능한 블루투스 IoT 키보드
US20160233914A1 (en) Multipurpose casing for a computer based device
US10372210B2 (en)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by Braille
KR101918399B1 (ko) 시각장애인용 웨어러블 점자 입력 장치
KR101892211B1 (ko) 접이식 키보드 및 그것을 이용한 시청각장애인용 소통장치
KR20180097171A (ko) 접이식 키보드 및 그것을 이용한 시청각장애인용 소통장치
JP3134195B2 (ja) 情報入力装置
Ramachandran et al. Text to Braille Converting Communication Device forthe Visual and Hearing Impaired Persons
RU2651444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приёма и передачи информации посредством шрифта брайля
US20150084880A1 (en) Functional fingertip sleeve
KR20150068883A (ko) 휴대단말기용 키패드
CN114489352A (zh) 一种拼音键盘输入法及一种便携键盘
KR100755040B1 (ko) 장갑을 이용한 점자 입력장치 및 그 방법
Kala et al. Development of device for gesture to speech conversion for the mute community
KR101959166B1 (ko) 스마트aac시스템 입력 보조 장치
KR100796335B1 (ko) 입력수단의 모르스부호 입력 구조 및 입력 방법
KR20180007490A (ko) 진동 패널을 이용한 문자/모양/패턴 인식 방법 및 장치
KR20180121306A (ko) 전도성 섬유 손목 키보드
US9128535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JP3229038U (ja) アルファベット入力補助用キーキャップ
KR100365017B1 (ko) 단축한글조합방법 및 장치
JP2004013885A (ja) 手のひら書き入出力システム
KR100374710B1 (ko) 문자입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