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2209B1 - 일방향 볼트 체결장치 - Google Patents

일방향 볼트 체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2209B1
KR101892209B1 KR1020180025878A KR20180025878A KR101892209B1 KR 101892209 B1 KR101892209 B1 KR 101892209B1 KR 1020180025878 A KR1020180025878 A KR 1020180025878A KR 20180025878 A KR20180025878 A KR 20180025878A KR 101892209 B1 KR101892209 B1 KR 1018922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fastening
fastened
head
wedg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5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기
Original Assignee
이원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기 filed Critical 이원기
Priority to KR1020180025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22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2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2209B1/ko
Priority to PCT/KR2018/016281 priority patent/WO201917251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9/00Bolts without screw-thread; Pins, including deformable elements; Rivets
    • F16B19/04Rivets; Spigots or the like fastened by riveting
    • F16B19/08Hollow rivets; Multi-part rivets
    • F16B19/10Hollow rivets; Multi-part rivets fastened by expanding mechanically
    • F16B19/1027Multi-part rivets
    • F16B19/1036Blind rivets
    • F16B19/1081Blind rivets fastened by a drive-p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5/00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 F16B35/04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with specially-shaped head or shaft in order to fix the bolt on or in an obj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4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rive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ow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체결부재의 이면이 폐쇄되어 손이나 공구가 들어갈 수 없는 경우 전면 한쪽에서만 작업하여 볼트와 너트를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고, 별도의 일방향 볼트 전용체결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피체결부재의 전면 한쪽에서 볼트와 너트를 간단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한 일방향 볼트 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피체결부재(10)에 형성된 체결공(11)의 전면(12)에서 끼워져 이면(13)으로 돌출되는 헤드(110) 및 체결공(11)에 끼워진 상태에서 전면(12)으로 돌출되는 수나사(120)를 구비하는 볼트(100); 상기 볼트(100)의 헤드(110)와 같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수나사(120)에 확장가능하게 끼워진 상태에서 체결시 확장되면서 볼트(100)의 헤드(110)와 피체결부재(10)의 이면(13) 사이에 밀착되는 확장부재(200); 상기 볼트(100)의 수나사(120)에 끼워진 상태에서 체결시 확장부재(200)의 내경으로 끼워지면서 확장부재(200)를 확장시키는 쐐기부재(300); 상기 볼트(100)의 수나사(120)에 체결되는 암나사(410)를 구비하여 체결시 쐐기부재(300)를 확장부재(200)측으로 이동시키면서 피체결부재(10)의 전면(12)에 밀착되는 너트(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일방향 볼트 체결장치{One way bolting device}
본 발명은 일방향 볼트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피체결부재의 이면이 폐쇄되어 손이나 공구가 들어갈 수 없는 경우 전면 한쪽에서만 작업하여 볼트와 너트를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별도의 일방향 볼트 전용체결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피체결부재의 전면 한쪽에서 볼트와 너트를 간단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한 일방향 볼트 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두 개의 피체결부재를 체결함에 있어서는 용접, 리벳팅, 볼트 등의 다양한 체결구조들이 적용될 수 있으나, 그 중 볼트 체결은 작업이 용이하고 열을 수반하지 아니하여 피체결부재에 대한 열변형이 발생할 우려가 없다는 점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체결구조의 하나이다.
여기서, 볼트 체결구조는 통상적으로 피체결부재의 일면에서 체결공에 볼트를 삽입하고, 피체결부재의 타면에서 체결공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된 볼트의 수나사에 너트의 암나사를 체결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피체결부재의 양면은 작업자의 손이나 공구의 접근이 용이하도록 개방되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피체결부재의 이면이 폐쇄되어 손이나 공구가 들어갈 수 없는 경우, 즉 피체결부재의 양면에서 볼트와 너트를 체결할 수 없는 경우 상술한 통상적인 볼트와 너트의 체결구조로는 피체결부재를 체결할 수 없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하기 특허문헌인 국내 특허공보 공고번호 제90-000221호에는 일방향 즉, 외면에서만 분할와셔를 개재한 보울트를 판체등의 체결공으로 집어넣어 외부조작으로 결합, 체결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이러한 체결에 있어서도 특히 내측 분할와셔에 대한 외부에서의 조립 용이성과 그 작업안정성면에서 우수한 성가를 나타내는 분할와셔를 이용한 보울트 체결방법 및 그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분할와셔를 인장선으로 당겨서 하나의 와셔형태로 조합되게 하는 것으로, 분할와셔가 보이지도 않는 상태에서 인장선의 당김만으로 완전히 서로 분리된 각 분할와셔를 일체화시키면서 정위치에 자리 잡게 한다는 것은 숙련공이 아니면 현실적으로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분할와셔의 고정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하기 특허문헌인 국내 등록특허 제10-1743074호에는 일측면이 폐쇄된 공간에 위치한 면인 경우와 같이 통상적인 볼트, 너트의 체결이 불가능한 경우에도 볼트체결 구조를 가능하게 하고, 피체결부재의 이면에 위치하게 되는 와셔가 자연스럽게 정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볼트의 체결작업이 매우 용이한 일방향 볼트 체결 결합체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일방향 볼트 체결 결합체는 피체결부재에 체결 고정되는 일방향 체결볼트 유닛과, 상기 일방향 체결볼트 유닛을 상기 피체결부재에 고정시키기 위한 진입봉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별도의 일방향 볼트 전용체결공구인 진입봉을 사용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상기 별도의 일방향 볼트 전용체결공구인 진입봉을 사용하므로 인해 비경제적으로 시간과 비용이 상승하는 동시에 체결공정이 복잡하여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 특허공보 공고번호 제90-000221호(공고일자 : 1990.01.23) 특허문헌 2 : 등록특허 제10-1743074호(등록일자 : 2017.05.29)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 피체결부재의 이면이 폐쇄되어 손이나 공구가 들어갈 수 없는 경우, 즉 피체결부재의 양면에서 볼트와 너트를 체결할 수 없는 경우 전면 한쪽에서만 작업하여 볼트와 너트를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한 일방향 볼트 체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일방향 볼트 전용체결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피체결부재의 전면 한쪽에서 볼트와 너트를 간단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경제적으로 시간과 비용을 절감함과 동시에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일방향 볼트 체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볼트는 피체결부재에 형성된 체결공의 전면에서 끼워져 이면으로 돌출되는 헤드 및 체결공에 끼워진 상태에서 전면으로 돌출되는 수나사를 구비하고, 상기 볼트의 수나사에는 헤드와 같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체결시 확장되면서 헤드와 피체결부재의 이면 사이에 밀착되는 확장부재를 확장가능하게 끼워서 조립하며, 상기 볼트의 수나사에는 체결시 확장부재의 내경으로 끼워지면서 확장부재를 확장시키는 쐐기부재를 끼워서 조립하고, 상기 볼트의 수나사에는 체결시 쐐기부재를 확장부재측으로 이동시키면서 피체결부재의 전면에 밀착되는 너트를 나사결합으로 체결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수나사의 단부에는 사각돌부를 일체로 형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확장부재의 내경과 쐐기부재의 외경 선단에는 서로 대응하는 경사부를 형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확장부재의 중앙에는 확장이 용이하도록 절개부를 형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확장부재는 이등분으로 분리하여 외경에는 링홈을 형성하고, 상기 링홈에는 고무링을 끼워서 조립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쐐기부재의 내경에는 볼트의 수나사에 나사결합으로 체결되는 암나사를 형성하고, 상기 쐐기부재와 너트에는 서로 결합되는 요,철부를 형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쐐기부재의 외경에는 피체결부재의 체결공으로 습기가 유입되는 경우 자체적으로 팽창되면서 체결공에 긴밀하게 밀착되는 수팽창지수재를 형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쐐기부재는 머리부와 몸체부로 분리하여 머리부는 볼트의 헤드와 같은 직경으로 형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방향 볼트 체결장치에 따르면, 볼트의 헤드와 확장부재를 피체결부재에 형성된 체결공의 전면에서 끼워 이면으로 노출시킨 상태에서 너트를 조이면 쐐기부재에 의해 확장부재가 확장되면서 볼트와 너트의 체결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피체결부재의 이면이 폐쇄되어 손이나 공구가 들어갈 수 없는 경우 전면 한쪽에서만 작업하여 볼트와 너트를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별도의 일방향 볼트 전용체결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피체결부재의 전면 한쪽에서 볼트와 너트를 간단하게 체결할 수 있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시간과 비용을 절감함과 동시에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단면도.
도 4a,4b,4c는 본 발명의 체결공정을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확장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5의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쐐기부재와 너트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8은 도 7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쐐기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쐐기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단면도.
도 13은 도 11의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방향 볼트 체결장치는 도 1 내지 도 1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피체결부재(10)에 형성된 체결공(11)의 전면(12)에서 끼워져 이면(13)으로 돌출되는 헤드(110) 및 체결공(11)에 끼워진 상태에서 전면(12)으로 돌출되는 수나사(120)를 구비하는 볼트(100); 상기 볼트(100)의 헤드(110)와 같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수나사(120)에 확장가능하게 끼워진 상태에서 체결시 확장되면서 볼트(100)의 헤드(110)와 피체결부재(10)의 이면(13) 사이에 밀착되는 확장부재(200); 상기 볼트(100)의 수나사(120)에 끼워진 상태에서 체결시 확장부재(200)의 내경으로 끼워지면서 확장부재(200)를 확장시키는 쐐기부재(300); 상기 볼트(100)의 수나사(120)에 체결되는 암나사(410)를 구비하여 체결시 쐐기부재(300)를 확장부재(200)측으로 이동시키면서 피체결부재(10)의 전면(12)에 밀착되는 너트(4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방향 볼트 체결장치는 피체결부재(10)의 이면(13)이 폐쇄되어 손이나 공구가 들어갈 수 없는 경우 전면(12) 한쪽에서만 작업하여 체결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별도의 일방향 볼트 전용체결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간단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의 일방향 볼트 체결장치는 볼트(100), 확장부재(200), 쐐기부재(300) 및 너트(400)로 이루어진다.
상기 볼트(100)는 피체결부재(10)의 전면에서 체결공(11)에 끼워지는 것으로, 이러한 볼트(100)는 피체결부재(10)에 형성된 체결공(11)의 전면(12)에서 끼워져 이면(13)으로 돌출되는 헤드(110)와, 피체결부재(10)의 체결공(11)에 끼워진 상태에서 전면(12)으로 돌출되는 수나사(12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볼트(100)의 헤드(110)는 피체결부재(10)의 체결공(11)에 용이하게 끼울 수 있도록 헤드(110)의 외경은 체결공(11)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의 헤드(110)는 종래의 볼트 머리와 달리 육각으로 형성되지 않고 원형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수나사(120)의 단부에는 사각돌부(12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수나사(120)의 단부에는 사각돌부(121)가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체결시 피체결부재(10)의 전면(12)으로 돌출된 수나사(120)의 사각돌부(121)를 플라이어(뺀치) 등으로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확장부재(200)는 볼트(100)의 수나사(120)에 확장가능하게 끼워지는 것으로, 이러한 확장부재(200)의 외경은 헤드(110)의 외경과 같은 직경으로 형성되고, 확장부재(200)는 볼트(100)의 헤드(110)와 같이 피체결부재(10)에 형성된 체결공(11)의 전면(12)에서 끼워져 이면(13)으로 돌출된다. 이때, 상기 확장부재(200)는 도 4c에서와 같이 체결시 확장되면서 볼트(100)의 헤드(110)와 피체결부재(10)의 이면(13) 사이에 밀착되는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의 확장부재(200)는 체결시 체결공(11)보다 크게 확장되면서 피체결부재(10)의 이면(13)에 걸리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쐐기부재(300)는 볼트(100)의 수나사(120)에 끼워지는 것으로, 이러한 쐐기부재(300)는 도 4c에서와 같이 체결시 확장부재(200)의 내경으로 끼워지면서 확장부재(200)를 확장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쐐기부재(300)는 도 4c에서와 같이 체결시 확장부재(200)의 내경으로 끼워지고, 이에 의해 상기 확장부재(200)는 쐐기부재(300)의 두께만큼 확장되면서 피체결부재(10)의 이면(13)에 밀착되고, 상기 쐐기부재(300)의 선단은 헤드(110)의 전면에 밀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확장부재(200)의 내경과 쐐기부재(300)의 외경 선단에는 서로 대응하는 경사부(210)(31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사부(210)는 확장부재(200)의 내경에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310)는 쐐기부재(300)의 외경에 형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경사부(210)(310)는 도 4c에서와 같이 체결시 쐐기부재(300)가 확장부재(200)의 내경으로 용이하게 끼워지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1,2에서와 같이, 상기 확장부재(200)의 중앙에는 절개부(22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개부(220)는 도 1,2에서와 같이 확장부재(200)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절개부(220)는 도 4c에서와 같이 체결시 확장부재(200)가 용이하게 확장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절개부(220)는 도 1,2에서와 같이 확장부재(200)의 중앙에서 양측으로 절개되고, 이러한 절개부(220)에 의해 확장부재(200)의 중앙 양단에는 체결시 끊어지거나 또는 탄력적으로 늘어나는 연결부(200a)가 형성된다. 따라서, 평상시 확장부재(200)는 연결부(200a)에 의해 원형을 유지하지만, 체결시 쐐기부재(300)가 확장부재(200)의 내경으로 끼워지면 연결부(200a)가 끊어지거나 또는 탄력적으로 늘어나기 때문에, 확장부재(200)는 상부와 하부로 벌어지면서 타원형으로 확장되어 피체결부재(10)의 이면(13)에 밀착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확장부재(200)의 다른 실시예를 보면 도 5,6에서와 같이, 상기 확장부재(200)는 이등분으로 분리되어 외경에는 링홈(230)이 형성되고, 상기 링홈(230)에는 고무링(240)이 끼워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무링(240)은 링홈(230)에 끼워진 상태에서 평상시 이등분으로 분리된 확장부재(200)가 벌어지지 않도록 원형으로 유지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고, 또한 상기 고무링(240)은 체결시 확장부재(200)가 탄력적으로 확장되도록 안내함과 동시에 확장시 이등분으로 분리되는 확장부재(200)의 링홈(230)을 탄력적으로 감싸 서로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또한 상기 고무링(240)은 볼트(100)와 너트(400)의 분리시 확장된 확장부재(200)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원상태로 복원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너트(400)는 볼트(100)에 체결되는 것으로, 이러한 너트(400)의 중앙 내경에는 볼트(100)의 수나사(120)에 나사결합으로 체결되는 암나사(410)가 형성되고, 너트(400)는 피체결부재(10)의 체결공(11)보다 큰 육각으로 형성되어 도 4c에서와 같이 체결시 전면(12)에 밀착된다. 이때, 상기 너트(400)는 도 4c에서와 같이 체결시 쐐기부재(300)를 확장부재(200)측으로 이동시키면서 피체결부재(10)의 전면(12)에 밀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쐐기부재(300)와 너트(400)의 다른 실시예를 보면 도 7,8에서와 같이, 상기 쐐기부재(300)의 내경에는 볼트(100)의 수나사(120)에 체결되는 암나사(320)가 형성되고, 상기 쐐기부재(300)와 너트(400)에는 서로 결합되는 요,철부(330)(42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쐐기부재(300)의 내경에는 볼트(100)의 수나사(120)에 체결되는 암나사(320)가 형성되고, 상기 쐐기부재(300)와 너트(400)에는 서로 결합되는 요,철부(330)(420)가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쐐기부재(300)는 체결시 너트(400)와 같이 회전하면서 확장부재(300)의 내경으로 끼워지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쐐기부재(300)의 다른 실시예를 보면 도 9,10에서와 같이, 상기 쐐기부재(300)의 외경에는 방수기능을 부여하는 수팽창지수재(34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수팽창지수재(340)는 물과 접촉하면 자체적으로 팽창되는 것으로, 이러한 수팽창지수재(340)는 피체결부재(10)의 체결공(11)으로 습기가 유입되는 경우 도 10에서와 같이 팽창되면서 체결공(11)에 긴밀하게 밀착되는 방수기능의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피체결부재(10)의 체결공(11)과 볼트(100) 및 너트(400) 체결부위의 누수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쐐기부재(30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면 도 11,12,13에서와 같이, 상기 쐐기부재(300)는 머리부(300a)와 몸체부(300b)로 분리되어 머리부(300a)는 볼트(100)의 헤드(110)와 같은 직경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쐐기부재(300)는 머리부(300a)와 몸체부(300b)로 분리되고, 상기 머리부(300a)는 볼트(100)의 헤드(110)와 같은 직경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체결시 도 13에서와 같이 머리부(300a)가 체결공(11)의 내경에 밀착되면서 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체적인 작동관계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a에서와 같이 볼트(100)의 수나사(120)에 확장부재(200)와 쐐기부재(300)를 끼워서 조립하고, 또한 볼트(100)의 수나사(120)에 너트(400)를 나사결합으로 조립한 후, 도 4b에서와 같이 볼트(100)의 헤드(110)를 피체결부재(10)에 형성된 체결공(11)의 전면(12)에서 끼워 헤드(110)와 확장부재(200)를 피체결부재(10)의 이면(13)으로 돌출시킨다. 이때, 도 4b에서와 같이 볼트(100)의 헤드(110)와 확장부재(200)는 피체결부재(10)의 이면(13)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고, 볼트(100)의 수나사(120)는 피체결부재(10)의 체결공(11)에 끼워진 상태에서 사각돌부(121)가 피체결부재(10)의 전면(12)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며, 쐐기부재(300)는 피체결부재(10)의 체결공(11)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고, 너트(400)는 피체결부재(10)의 전면(12)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4b에서와 같은 상태에서 피체결부재(10)의 전면(12)으로 돌출된 수나사(120)의 사각돌부(121)를 플라이어(뺀치) 등으로 고정시킨 후, 스패너 등을 이용하여 너트(400)를 조여지는 방향으로 돌려 조이면 너트(400)의 조임력에 의해 쐐기부재(300)는 확장부재(200)측으로 이동하고, 이에 의해 쐐기부재(300)의 선단은 확장부재(200)의 내경으로 끼워지면서 도 4c에서와 같이 확장부재(200)를 상하로 벌리면서 확장시킨다. 이때, 확장부재(200)는 도 4c에서와 같이 쐐기부재(300)의 두께만큼 상하로 벌어지면서 확장된다.
이 상태에서 너트(400)를 더 조이면 너트(400)의 조임력에 의해 도 4c에서와 같이 볼트(100)의 헤드(110)는 확장된 확장부재(200)를 피체결부재(10)의 이면(13)에 견고하게 밀착시키고, 상기 쐐기부재(300)의 선단은 헤드(110)의 전면에 밀착되며, 이와 동시에 너트(400)는 피체결부재(10)의 전면(12)에 견고하게 밀착되기 때문에, 이러한 볼트(100)와 너트(400)의 체결에 의해 두 개의 피체결부재(10)는 서로 밀착되면서 견고하게 체결된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은 볼트(100)의 헤드(110)와 확장부재(200)를 피체결부재(10)에 형성된 체결공(11)의 전면(12)에서 끼워 이면(13)으로 노출시킨 상태에서 너트(400)를 조이면 쐐기부재(300)에 의해 확장부재(200)가 확장되면서 볼트(100)와 너트(400)의 체결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피체결부재(10)의 이면(13)이 폐쇄되어 손이나 공구가 들어갈 수 없는 경우 전면(12) 한쪽에서만 작업하여 볼트(100)와 너트(400)를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은 종래와 달리 별도의 일방향 볼트 전용체결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통상적으로 볼트 체결시 사용하는 플라이어와 스패너 등을 공구를 사용하여 피체결부재(10)의 전면(12) 한쪽에서 볼트(100)와 너트(400)를 간단하게 체결할 수 있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시간과 비용을 절감함과 동시에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 피체결부재 11 : 체결공
12 : 전면 13 : 이면
100 : 볼트 110 : 헤드
120 : 수나사 121 : 사각돌부
200 : 확장부재 210 : 경사부
220 : 절개부 230 : 링홈
240 : 고무링 300 : 쐐기부재
300a : 머리부 300b : 몸체부
310 : 경사부 320 : 암나사
330 : 요부 340 : 수팽창지수재
400 : 너트 410 : 암나사
420 : 철부

Claims (8)

  1. 피체결부재(10)에 형성된 체결공(11)의 전면(12)에서 끼워져 이면(13)으로 돌출되는 헤드(110) 및 체결공(11)에 끼워진 상태에서 전면(12)으로 돌출되는 수나사(120)를 구비하는 볼트(100); 상기 볼트(100)의 헤드(110)와 같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수나사(120)에 확장가능하게 끼워진 상태에서 체결시 확장되면서 볼트(100)의 헤드(110)와 피체결부재(10)의 이면(13) 사이에 밀착되는 확장부재(200); 상기 볼트(100)의 수나사(120)에 끼워진 상태에서 체결시 확장부재(200)의 내경으로 끼워지면서 확장부재(200)를 확장시키는 쐐기부재(300); 상기 볼트(100)의 수나사(120)에 체결되는 암나사(410)를 구비하여 체결시 쐐기부재(300)를 확장부재(200)측으로 이동시키면서 피체결부재(10)의 전면(12)에 밀착되는 너트(400)를 포함하고,
    상기 확장부재(200)의 내경과 쐐기부재(300)의 외경 선단에는 체결시 쐐기부재(300)가 확장부재(200)의 내경으로 용이하게 끼워지도록 안내하는 서로 대응하는 경사부(210)(310)가 형성되고, 상기 확장부재(200)는 쐐기부재(300)의 두께만큼 확장되면서 피체결부재(10)의 이면(13)에 밀착되고, 상기 쐐기부재(300)의 선단은 헤드(110)의 전면에 밀착되며,
    상기 쐐기부재(300)의 내경에는 볼트(100)의 수나사(120)에 체결되는 암나사(320)가 형성되고, 상기 쐐기부재(300)와 너트(400)에는 서로 결합되는 요,철부(330)(42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 볼트 체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나사(120)의 단부에는 사각돌부(12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 볼트 체결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재(200)의 중앙에는 절개부(22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 볼트 체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재(200)는 이등분으로 분리되어 외경에는 링홈(230)이 형성되고, 상기 링홈(230)에는 고무링(240)이 끼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 볼트 체결장치.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부재(300)의 외경에는 수팽창지수재(34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 볼트 체결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부재(300)는 머리부(300a)와 몸체부(300b)로 분리되어 머리부(300a)는 볼트(100)의 헤드(110)와 같은 직경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 볼트 체결장치.
KR1020180025878A 2018-03-05 2018-03-05 일방향 볼트 체결장치 KR1018922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5878A KR101892209B1 (ko) 2018-03-05 2018-03-05 일방향 볼트 체결장치
PCT/KR2018/016281 WO2019172510A1 (ko) 2018-03-05 2018-12-20 일방향 볼트 체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5878A KR101892209B1 (ko) 2018-03-05 2018-03-05 일방향 볼트 체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2209B1 true KR101892209B1 (ko) 2018-08-27

Family

ID=63455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5878A KR101892209B1 (ko) 2018-03-05 2018-03-05 일방향 볼트 체결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92209B1 (ko)
WO (1) WO201917251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1886A (ko) 2021-05-31 2022-12-07 이원기 일방향 볼트 체결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82845A (ja) * 2015-10-26 2017-05-18 株式会社NejiLaw 締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4963U (ko) * 1997-12-16 1999-07-05 정몽규 한방향 체결 볼트 구조
KR20040057118A (ko) * 2002-12-24 2004-07-02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철골접합부의 일방향 체결장치
KR100716765B1 (ko) * 2005-08-31 2007-05-14 황요안 수팽창고무 지수링을 사용한 지수관과 맨홀의 접합 공법
KR101213456B1 (ko) * 2011-05-29 2012-12-18 주식회사 장평건설 체결구 조립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82845A (ja) * 2015-10-26 2017-05-18 株式会社NejiLaw 締結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1886A (ko) 2021-05-31 2022-12-07 이원기 일방향 볼트 체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72510A1 (ko) 2019-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24014A1 (en) Fastener for the temporary joinder of parts made of composite material
US10018212B1 (en) Blind bolt and tool combination
US3473431A (en) Blind fastener
CA2207060A1 (en) Blind fastener and blind fixing method
KR101892209B1 (ko) 일방향 볼트 체결장치
KR20180043692A (ko) 풀림 방지 체결구
KR20090036835A (ko) 셋트 앵커볼트
KR102306910B1 (ko) 탄성수단을 이용한 결속구조를 갖는 다용도 체결장치
KR20220161886A (ko) 일방향 볼트 체결장치
KR20140046297A (ko) 자석을 이용한 풀림방지 체결구
JP6212371B2 (ja) 固定手段のキャップ
KR20140046298A (ko) 자석을 이용한 풀림방지 체결구
KR100201905B1 (ko) 구조물의 부착물 부착 장치
KR200297166Y1 (ko) 앵커볼트 구조
KR200387963Y1 (ko) 앵커 볼트
JP2002103240A (ja) 桟木挟持用クランプ
JP2006316986A (ja) 螺締具用、突起付き円柱形座金と溝付きボルト
KR200386889Y1 (ko) 리벳볼트
KR200295045Y1 (ko) 건축물 지붕재 고정장치
KR20210094239A (ko) 전단 렌치 볼트
KR20220128747A (ko) 파이프 연결 고정구
JP4023638B2 (ja) 配管カバー
JP2585676Y2 (ja) タイトフレーム
KR0132001Y1 (ko) 너트용 구멍구조
JPH107055A (ja) 自転車の泥よけ固定用クリ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