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1964B1 - 플랜트 배관용 파이프 절단장치 - Google Patents

플랜트 배관용 파이프 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1964B1
KR101891964B1 KR1020180032755A KR20180032755A KR101891964B1 KR 101891964 B1 KR101891964 B1 KR 101891964B1 KR 1020180032755 A KR1020180032755 A KR 1020180032755A KR 20180032755 A KR20180032755 A KR 20180032755A KR 101891964 B1 KR101891964 B1 KR 1018919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er
wedge
pipe
delete delete
body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2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세곤
Original Assignee
김세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세곤 filed Critical 김세곤
Priority to KR1020180032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19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1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19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7/00Other grinding machines or devices
    • B24B27/06Grinders for cutting-off
    • B24B27/0683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7/00Other grinding machines or devices
    • B24B27/06Grinders for cutting-off
    • B24B27/08Grinders for cutting-off being portable
    • B24B27/085Stand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surfaces of revolution on work, including those which also grind adjacent plane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 B24B5/18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surfaces of revolution on work, including those which also grind adjacent plane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involving centreless means for supporting, guiding, floating or rotating work
    • B24B5/22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surfaces of revolution on work, including those which also grind adjacent plane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involving centreless means for supporting, guiding, floating or rotating work for grinding cylindrical surfaces, e.g. on bo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a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며 파이프를 회전시키면서 절단할 수 있는 플랜트 배관용 파이프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플랜트 배관용 파이프 절단장치는, "C"자 형상의 일측개방형 구조로 형성된 본체 프레임; 본체 프레임의 일측에 부착되며 절단기가 장착되기 위한 절단기 장착부; 및 일단이 본체 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되며 타단이 주변 금속성 벽체에 자력에 의해 부착되는 자력 거치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플랜트 배관용 파이프 절단장치{PLANT PIPE CUTTER}
본 발명은 각종 플랜트 분야에서 배관을 위해 사용되는 플랜트 배관용 파이프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가 간단하며 파이프를 회전시키면서 절단할 수 있는 플랜트 배관용 파이프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이프를 절단하기 위해서, 소구경의 파이프는 쇠톱을 이용하거나 절단카날을 파이프의 외주면에 밀은 상태로 계속적인 회전을 통해 절단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또한, 대구경의 파이프는 파이프의 외주면에 컷팅되야 할 위치를 표시한 후, 헨드컷팅기를 이용하여 작업자는 파이프를 수동으로 회전시키면서 조금씩 절단하는 방법을 택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의 절단방법은 사람의 눈과 손을 이용한 수동의 방식을 취하고 있으므로 표시된 선에서 조금씩 벗어날 소지도 있으며, 비스듬한 각도로 파이프를 절단하게 되면 간혹 컷팅날이 튀어 상해를 입기도 한다.
공개특허 제2014-0008967호(특허문헌 1)는 파이프(1) 외경을 따라 구동하는 캐리지(10)와; 상기 캐리지(10)를 파이프(1)에 밀착시키는 체인(2)과; 상기 캐리지(10) 내부에서 상기 체인(2)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 조절부(20)와; 상기 캐리지(1)에 부착되어 파이프(1)를 가공하는 회전툴(30)로 구성된다.
특허문헌 1과 같은 종래의 파이프 가공장치는 구조가 매우 복잡할 뿐만 아니라 체인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 조절부를 구비하지만 일방향에서 조절하게 되므로 장력의 조절이 용이하지 않고 아울러 파이프를 고정된 상태에서 절단툴에 의해 절단하게 되므로 작업시간이 많이 요구되는 단점을 내포하고 있다.
공개특허 제2014-0008967호 등록실용신안 제20-0329195 공개실용신안 제1999-0038770호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며 파이프를 회전시키면서 절단할 수 있는 파이프 절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플랜트 배관용 파이프 절단장치에 있어서, "C"자 형상의 일측개방형 구조로 형성된 본체 프레임; 본체 프레임의 일측에 부착되며 절단기가 장착되기 위한 절단기 장착부; 및 일단이 본체 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되며 타단이 주변 금속성 벽체에 자력에 의해 부착되는 자력 거치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체 프레임의 내측 양단부에는 각각 파이프를 안정적으로 지지해주는 한쌍의 가이드 롤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절단기 장착부는, 다수의 쇄기형 홈이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 및 배면에 다수의 쇄기형 홈에 삽입되는 쇄기형 돌기가 형성된 절단기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절단기 고정부는 절단기를 고정하는 한쌍의 고정 바이스와 연동 바이스를 포함하는 바이어스형 고정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절단물인 파이프를 지지하는 한쌍의 지지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절단기는 핸드형 그라인더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자력 거치대는 일단이 마그네트부에 의해 주변 금속성 벽체에 부착되며 타단이 연결부재에 의해 본체 프레임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마그네트부는 온, 오프 기능을 구비한 마그네트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자력 거치대는 양단에 마그네트부가 구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연결부재는 일단이 마그네트부에 결합되는 제1 바와, 본체 프레임에 일단이 결합되는 제2 바와, 제1 바 및 제2 바의 각 타단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끼워져 결합되고, 끼워진 제1 바 또는 제2 바의 타단을 조여 고정하기 위한 조임부재를 구비한 연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제1 바 및 제2 바에는 각각 각도가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한 제1 조인트부 및 제2 조인트부가 추가로 제공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구조가 간단하며 파이프를 회전시키면서 절단작업을 수행하게 되므로 파이프 절단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랜트 배관용 파이프 절단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랜트 배관용 파이프 절단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랜트 배관용 파이프 절단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본체 프레임의 내측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지지롤러의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랜트 배관용 파이프 절단장치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고 의도된 것은 아니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절단장치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랜트 배관용 파이프 절단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랜트 배관용 파이프 절단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랜트 배관용 파이프 절단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본체 프레임의 내측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지지롤러의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랜트 배관용 파이프 절단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플랜트 배관용 파이프 절단장치는 "C"자 형상의 일측개방형 구조로 형성된 본체 프레임(100); 본체 프레임(100)의 일측에 부착되며 절단기(400)가 장착되기 위한 절단기 장착부(200); 및 일단이 본체 프레임(100)의 일측에 결합되며 타단이 주변 금속성 벽체에 자력에 의해 부착되는 자력 거치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본체 프레임(100)은 파이프(P)를 감싸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C"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체 프레임(100)의 내측 양단부에는 각각 파이프를 안정적으로 지지해주는 한쌍의 가이드 롤러(101, 103)가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가이드 롤러(101, 103)는 이후에 설명되는 지지롤러(500)와 함께 절단 대상인 파이프(P)가 회전하면서 절단되도록 함으로써 파이프 절단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절단기 장착부(200)는 절단기(400)가 장착되는 부분으로서, 베이스 플레이트(210), 및 절단기 고정부(220)로 이루어진다.
베이스 플레이트(210)는 본체 프레임(100)의 일측에 용접 등에 의해 견고하게 접합되며, 그 상면에는 다수의 쇄기형 홈들(211-213)이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210)는 절단작업시 불꽃 및 분진 등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는 보호대 기능을 수행하며, 이를 위해서 상단측으로 일정 높이만큼 연장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수의 쇄기형 홈들(211-213)은 베이스 플레이트(210)의 좌측의 일부에서 우측으로 일정 경사도를 갖고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때, 다수의 쇄기형 홈들(211-213)은 좌측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쇄기형상의 슬롯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절단기 고정부(220)는 그 배면에 쇄기형 홈들(211-213) 중 하나에 삽입되는 쇄기형 돌기(221)가 길이방향의 중앙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절단기 고정부(220)는 절단기(400)를 고정하는 한쌍의 고정 바이스(222)와 연동 바이스(223)를 포함하는 바이어스형 고정부로서 구성된다.
또한, 절단기 고정부(220)는 바이스 바디(224), 너트부(225), 너트(226)를 포함하는데, 연동 바이스(223)는 너트부(225)와 고정 바이스(222) 사이에 구비되어 너트(226)에 의해 이동되도록 구성되며, 결과적으로 한쌍의 고정 바이스(222)와 연동 바이스(223) 사이에 절단기(400)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절단기(400)의 절단날(401)은 본체 프레임(100)을 향해 장착되도록 하며, 이로써 파이프의 절단작업시에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한다.
절단기(400)는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핸드형 그라인더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참고로, 핸드형 그라인더는, 도면에 상세히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기본적으로 그라인더 날을 회전시키기 위해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축과, 이 구동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메인 모터가 각각 내장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절단기 고정부(220)의 바이스 바디(224)는 경사지게 형성된 쇄기형 홈들(211-213) 중 하나에 쇄기형 돌기(221)가 결합되어, 파이프(P)의 직경이 다른 경우에도 절단작업이 가능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파이프의 직경이 큰 경우에는 최상단의 쇄기형 홈(211)에 쇄기형 돌기(221)를 결합하고, 파이프의 직경이 약간 작은 경우에는 중간단의 쇄기형 홈(212)에 쇄기형 돌기(221)를 결합하며, 파이프의 직경이 더 작은 경우에는 최하단의 쇄기형 홈(213)에 쇄기형 돌기(221)를 결합하게 된다.
여기서, 최상단의 쇄기형 홈(211)은 베이스 플레이트(210)의 하단부에 대해 약 25 내지 30도의 경사도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중간단의 쇄기형 홈(212) 및 최하단의 쇄기형 홈(213)도 역시 최상단의 쇄기형 홈(211)과 동일한 경사도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홈들의 각도 및 개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본 실시예에 있어서, 쇄기형 홈들은 서로다른 파이프의 직경에 따라 그 경사각도를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자력 거치대(300)는 크게 마그네트부(30)와 연결부재(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자력 거치대(300)는 그 일단이 주변 금속성 벽체에 자력에 의해 부착되며 타단이 본체 프레임(100)에 결합되는 구성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자력 거치대(300)는 일단이 마그네트부(30)에 의해 주변 금속성 벽체에 부착되며 타단이 연결부재(40)에 의해 본체 프레임(100)에 결합된다.
예를 들면, 마그네트부(30)는 작업대(도시안됨) 또는 주변에 배치된 금속성 기계장치의 표면에 자력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마그네트부(30)는 온, 오프 기능을 구비한 마그네트 스위치(32)의 조작에 의해 자력을 발생시키거나 소멸시키도록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마그네트 스위치(32)를 조작하여 마그네트부(30)를 금속체, 바람직하게는 금속성 벽체에 부착하거나 또는 부착된 마그네트부(30)를 제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마그네트부(30)는 자력 거치대(300)의 일단에 제공되고 있으나, 필요한 경우에는 마그네트부(30)가 자력 거치대(300)의 양단에 제공될 수 있다.
연결부재(40)는 마그네트부(30)와 본체 프레임(100)의 일측(또는 타측)을 서로 연결하여 절단장치의 위치나 각도 등을 자유롭게 조절하고, 조절된 위치나 각도를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연결부재(40)는 일단이 마그네트부(30)에 결합되는 제1 바(44A)와, 본체 프레임(100)에 일단이 결합되는 제2 바(44B)와, 제1 바(44A) 및 제2 바(44B)의 각 타단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끼워져 결합되고, 끼워진 제1 바(44A) 또는 제2 바(44B)의 타단을 조여 고정하기 위한 조임부재(44C)를 구비한 연결구(44D)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제1 바(44A) 및 제2 바(44B)에는 각각 추가적인 각도 변화를 달성할 수 있도록 각도가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한 제1 조인트부(44E) 및 제2 조인트부(44F)가 제공될 수 있다. 상세히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제1 조인트부(44E) 및 제2 조인트부(44F)에는 이들 몸체를 관통하여 힌지핀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의 연결부재(40)는 연결구(44D)에 끼워지는 제1 바(44A) 및 제2 바(44B)를 움직여 본체 프레임(100)의 위치나 각도 등을 조절하여 결정 한 후에 조임부재(44C)를 조여 그 조절된 상태를 고정할 수 있으며, 특히 제1 조인트(44E) 및 제2 조인트(44F)를 추가로 조절함으로써 미세하게 전후좌우로 각도를 자유롭게 변경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절단장치는 주변 금속성 벽체(W1)에 자력에 의해 부착되는 자력 거치대(300)에 의해 지탱된 상태에서 전후좌우, 상하로 위치와 각도를 조절하면서 절단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플랜트 배관용 파이프 절단장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물인 파이프(P)를 하부에서 회전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롤러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롤러부(500)는 한쌍의 지지롤러(501, 502), 지지롤러(501, 502)와 연결되어 지지롤러(501, 502)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503)를 포함하며, 구동모터(503)을 동작시키면 모터의 회전력이 벨트(533)를 통해 풀리(516)에 전달되어 기어가 회전되고, 이에 따라 각각의 지지롤러(501, 502) 축에 서리ㅊ된 기어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파이프(P)를 회전시키게 되는 것이다.
특히, 지지롤러(501, 502)는 한쌍의 가이드 롤러(101, 103)와 함께 파이프(P)를 압착하여 파이프의 유동을 방지하는 동시에 파이프(P)를 회전시키면서 절단날(401)로 파이프(P)를 절단시킬 수 있게 구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랜트 배관용 파이프 절단장치의 사시도로서, 앞서 설명한 절단기 고정부(220)와 달리, 절단기 고정부(220A)는 그 배면에 쇄기형 돌기가 형성되지 않고, 자력 거치대(300A)가 절단기 고정부(220A)의 배면에 직접 결합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자력 거치대(300A)가 절단기 고정부(220A)의 배면에 직접 결합되는 경우에는 앞서 설명한 본체 프레임(100) 및 절단기 장착부(200)의 구성이 불필요하게 되므로, 그 구조가 더욱 단순화될 뿐만 아니라 주변 금속성 벽체(W2)에 자력에 의해 부착되는 자력 거치대(300A)에 의해 지탱된 상태에서 전후좌우, 상하로 위치와 각도를 조절하면서 더욱 다양한 절단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본체 프레임 200 : 절단기 장착부
211-213 : 쇄기형 홈들 221 : 쇄기형 돌기
300 : 자력 거치대 400 : 절단기
P : 파이프

Claims (11)

  1. 플랜트 배관용 파이프 절단장치에 있어서,
    "C"자 형상의 일측개방형 구조로 형성된 본체 프레임;
    본체 프레임의 일측에 부착되며 절단기가 장착되기 위한 절단기 장착부; 및
    일단이 본체 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되며 타단이 주변 금속성 벽체에 자력에 의해 부착되는 자력 거치대를 포함하고,
    본체 프레임의 내측 양단부에는 각각 파이프를 안정적으로 지지해주는 한쌍의 가이드 롤러가 배치되며,
    절단기 장착부는,
    다수의 쇄기형 홈들이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 및
    배면에 다수의 쇄기형 홈들 중 하나에 삽입되는 쇄기형 돌기가 형성된 절단기 고정부를 포함하고,
    다수의 쇄기형 홈들은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해 일정 경사도를 갖고 경사지게 형성되되, 일방향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쇄기형상의 슬롯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절단기 고정부의 쇄기형 돌기는 길이방향으로 중앙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트 배관용 파이프 절단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절단기 고정부는 절단기를 고정하는 한쌍의 고정 바이스와 연동 바이스를 포함하는 바이어스형 고정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트 배관용 파이프 절단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80032755A 2018-03-21 2018-03-21 플랜트 배관용 파이프 절단장치 KR1018919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755A KR101891964B1 (ko) 2018-03-21 2018-03-21 플랜트 배관용 파이프 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755A KR101891964B1 (ko) 2018-03-21 2018-03-21 플랜트 배관용 파이프 절단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7111A Division KR101924762B1 (ko) 2018-08-21 2018-08-21 플랜트 배관용 파이프 절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1964B1 true KR101891964B1 (ko) 2018-08-27

Family

ID=63454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2755A KR101891964B1 (ko) 2018-03-21 2018-03-21 플랜트 배관용 파이프 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196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2852B1 (ko) 2019-02-23 2019-07-23 김현동 해양 플랜트용 배선설치용 배관 지지 구조
CN112756988A (zh) * 2020-12-28 2021-05-07 成都航飞航空机械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柔性加工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01709A (ja) * 2006-05-08 2007-11-22 Osamu Kawamura パイプの切断と面取り加工機
KR101387123B1 (ko) 2013-01-02 2014-04-21 이창호 파이프 절단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01709A (ja) * 2006-05-08 2007-11-22 Osamu Kawamura パイプの切断と面取り加工機
KR101387123B1 (ko) 2013-01-02 2014-04-21 이창호 파이프 절단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2852B1 (ko) 2019-02-23 2019-07-23 김현동 해양 플랜트용 배선설치용 배관 지지 구조
CN112756988A (zh) * 2020-12-28 2021-05-07 成都航飞航空机械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柔性加工系统
CN112756988B (zh) * 2020-12-28 2023-04-07 成都航飞航空机械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柔性加工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5125B1 (ko) 절단기
JP4186663B2 (ja) 卓上丸鋸
JP3867554B2 (ja) 左右傾斜式卓上切断機
KR101891964B1 (ko) 플랜트 배관용 파이프 절단장치
KR100914995B1 (ko) I형 철강빔을 베이스로 하는 탈착식 파이프 회전장치
US9796029B2 (en) Pipe cutting tool
KR100955216B1 (ko) 원터치식 면취량 조절이 가능한 용접 비드면 가공용 면취기
JP2015136789A (ja) 管状及び円形断面の対象物を操作するための装置
US5357714A (en) Apparatus for shaping the ends of tubular workpieces with recesses of different diameters
US20130149943A1 (en) Device for preventing removal of a fixing member of a whetstone cover in a disc grinder
US5954460A (en) Drill stand
KR101159642B1 (ko) 안전성이 개선된 양축이동형 용접비드 가공기
CA3031174A1 (en) Apparatus for machining pipes and/or pipe flanges
JPH11508828A (ja) チューブ端切断工具
KR101924762B1 (ko) 플랜트 배관용 파이프 절단장치
JP2018034251A (ja) バンドソー
US20020023527A1 (en) Apparatus to guide and stabilize the blade of a band saw
KR100782521B1 (ko) 휴대용 러그 절단기
US20070289424A1 (en) Workpiece-holding device for band saw machine
JP6469924B1 (ja) パイプカッター
JPH05169253A (ja) 手動ガス切断装置
CN110340442A (zh) 具有扭曲刀片的带锯
JP2020011402A (ja) 切断機
KR101172407B1 (ko) 파이프 절단 장치
KR200329195Y1 (ko) 대구경 파이프 절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