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1879B1 - 백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체 에너지 소비 촉진 또는 근육 대사 촉진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백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체 에너지 소비 촉진 또는 근육 대사 촉진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1879B1
KR101891879B1 KR1020160076491A KR20160076491A KR101891879B1 KR 101891879 B1 KR101891879 B1 KR 101891879B1 KR 1020160076491 A KR1020160076491 A KR 1020160076491A KR 20160076491 A KR20160076491 A KR 20160076491A KR 101891879 B1 KR101891879 B1 KR 1018918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present
metabolism
energy consum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6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42654A (ko
Inventor
송미영
정효원
Original Assignee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76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1879B1/ko
Publication of KR20170142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26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18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18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4Atractylod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regeneration or building of ligaments or musc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백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체 에너지 소비 촉진 또는 근육 대사 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백출 추출물은, PGC1-α을 촉진하고 미토콘드리아의 생성을 촉진함으로써, 신체 에너지 소비 및 근육 대사를 촉진하는 효과가 확인된 바, 미토콘드리아 기능 장애에서 기인하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한 의약품 및 건강기능식품으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백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체 에너지 소비 촉진 또는 근육 대사 촉진용 조성물 {Composition for improving metabolism containing extraction of Atractylodes macrocephala Koidzumi}
본 발명은 백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체 에너지 소비 촉진 또는 근육 대사 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미토콘드리아는 글루코오스 수송 및 지방산 산화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에너지 대사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에너지 섭취 및 소비의 불균형은 비만, 인슐린 저항성, 및 제2형 당뇨병과 같은 만성 대사성 질환 및 노화 관련 질환의 병인에 기여하는 미토콘드리아 장애로 연결된다.
골격근(Skeletal muscle)은 미토콘드리아 기능 부전 및 인슐린 저항성에 있어 중요한 조직이다. 골격근에서 미토콘드리아 기능의 저하가 인슐린 저항성 및 제2형 당뇨병 발생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인슐린 저항성은 지방 축적에 의한 비만 유도 및 골격근의 손상된 산화 능력과 강하게 연관되어 있다.
퍼옥시좀 증식인자-활성화 수용체 감마 보조 활성자 1-알파(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coactivator 1-alpha, PGC1α)는 미토콘드리아 기능의 핵심 요소이다. PGC1α는 미토콘드리아 신성의 master regulator와, 전신의 에너지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전사 인자 과잉의 강력한 보조 활성인자로 여겨지고 있다. 또한 PGC1α는 미토콘드리아의 유전자 발현과 게놈 복제에 필요한 nuclear respiratory factor-1 (NRF-1), 및 transcription factor A (TFAM)와 같은 핵전사인자의 보조 활성인자이다.
골격근에서, 대사 센서인 AMP-activated protein kinase (AMPK)는 PGC-1α의 활성화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AMPK는 대부분의 세포 및 전신 수준에서 에너지 균형의 조절에 중요한 요소이며, AMPK의 조절 작용은 비만, 당뇨, 및 각 종 대사 증후군의 연구 분야에서 주목되고 있다.
최근, AMPK 활성화 약물인 메트포민 (Metformin), PPARγ 작용제인 thiazolidinedione, 및 SIRT1 활성인자인 레스베라트롤(Resveratrol)과 같은 미토콘드리아 조절 표적 약물 개발이 비만, 인슐린 저항성 및 제2형 당뇨병의 치료제 개발 분야에서 주목되고 있다. 상기 약물 및 천연물들은 근육세포에서 미토콘드리아 기능을 조절함으로써 에너지 대사를 향상시키고, 인슐린 저항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백출(Atractylodes macrocephala Koidzumi (Atractylodis Rhizoma Alba, ARA, 국화과)의 뿌리는 위장 질환, 복통, 비만의 치료를 위해 한의학에서 사용된다. 상기 백출 추출물은 항염증, 항궤양, 및 항종양 효과를 보이는 것도 확인되었다(C.-Q. Li, L.-C. He, and J.-Q. Jin, Phytotherapy Research, vol. 21, no. 4, pp. 347353, 2007).
본 발명자들은 백출 추출물의 인체 에너지대사 촉진 효과에 대해 연구하던 중, PGC1-α(퍼옥시좀 증식인자-활성화 수용체 감마 보조 활성자 1-알파,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coactivator 1-alpha)의 활성을 촉진하고, 미토콘드리아의 에너지 생성을 촉진하는 작용을 통해, 신체 에너지 소비 및 근육 대사를 촉진한다는 것에서, 그 기전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백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체 에너지 소비 촉진 또는 근육 대사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백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체 에너지 소비 촉진 또는 근육 대사 촉진용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백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체 에너지 소비 촉진 또는 근육 대사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서, 상기 백출 추출물은 물, C1 내지 C4의 저급알코올, n-헥산,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부틸아세테이트, 1,3-부틸렌 글리콜,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용매로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백출 추출물은 백출의 뿌리로부터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조성물은 퍼옥시좀 증식인자-활성화 수용체 감마 보조 활성자 1-알파(PGC1-α)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조성물은 미토콘드리아의 생성을 촉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백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체 에너지 소비 촉진 또는 근육 대사 촉진용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백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체 에너지 대사 저하에 따른 비만 또는 제2형 당뇨병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백출 추출물을 피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체 에너지 소비 촉진 또는 근육 대사 촉진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백출 추출물의 신체 에너지 소비 촉진 또는 근육 대사 촉진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백출 추출물은 근육에서 PGC1-α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미토콘드리아의 생성을 촉진시키는 것이 확인되어, 에너지 대사를 촉진하고, 근육 대사를 촉진함으로써, 미토콘드리아 기능 장애와 관련된 비만과 제2형 당뇨병 및 각 종 대사성 질환의 치료, 예방, 또는 개선에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백출 추출물을 처리한 C2C12 세포에서 PGC1-α의 발현 정도를 약물 처리를 하지 않은 대조군 및 메트포민을 처리한 양성 대조군과 비교하여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백출 추출물을 처리한 C2C12 세포에서 AMPK의 인산화 수준을 약물 처리를 하지 않은 대조군 및 메트포민을 처리한 양성 대조군과 비교하여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백출 추출물을 처리한 C2C12 세포에서 미토콘드리아 ATP 양의 발현 정도를 약물 처리를 하지 않은 대조군 및 메트포민을 처리한 양성 대조군과 비교하여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백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체 에너지 소비 촉진 또는 근육 대사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백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체 에너지 소비 촉진 또는 근육 대사 촉진용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백출 추출물은, 마우스 근육 아세포 (C2C12 myoblasts)를 배양하여 근육세포(myotubes)로 분화를 유도한 후, 백출을 처리한 결과, PGC1-α(퍼옥시좀 증식인자-활성화 수용체 감마 보조 활성자 1-알파,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coactivator 1-alpha)의 발현을 촉진하고 미토콘드리아의 기능 향상을 통해 에너지 생성을 촉진하는 것이 관찰되어, 상기 추출물에 신체 에너지 소비 및 근육 대사를 촉진하는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백출 추출물은 미토콘드리아 기능 장애에 의한 질환, 즉 에너지 대사 및 근육 대사가 부족하여 유발되는 비만, 당뇨병 등의 대사성 질병이나 노화 관련 질병에 유용한 의약품과, 신체 에너지 소비 촉진 또는 근육 대사 촉진용 건강기능식품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백출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 즉, 통상적인 온도와 압력의 조건하에서, 통상적인 용매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백출 추출물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추출용매로는 예를 들면, 물, C1 내지 C4의 저급알코올, n-헥산,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부틸아세테이트, 1,3-부틸렌 글리콜,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용매 등의 추출용매를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물이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추출 용매의 적합한 양은 백출 건조 중량의 1 내지 10배 정도이며, 추출방법으로는 열 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및 초음파 추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1회 또는 다수회 반복하여 추출시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추출온도는 백출 유용성분의 유효활성이 제거되지 않을 정도의 온도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상온에서 침적시켜 추출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백출 추출물과 함께 신체 에너지 소비 촉진 또는 근육 대사 촉진 효과를 갖는 공지의 유효성분을 1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투여를 위해서 상기 기재한 유효성분 이외에 추가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덱스트로오스 용액, 말토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1 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당분야의 적정한 방법으로, 각 질환에 따라 또는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경구 투여하거나 비경구 투여(예를 들어, 정맥 내, 피하, 복강 내 또는 국소에 적용)할 수 있으며,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및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다. 상기 백출 추출물의 일일 투여량은 약 0.0001-500 ㎎/㎏, 바람직하게는 약 0.001-300 ㎎/㎏이며, 하루 일회 내지 수회에 나누어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신체 에너지 소비 촉진 또는 근육 대사 촉진을 위하여 단독으로, 또는 수술, 호르몬 치료, 약물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신체 에너지 소비 촉진 또는 근육 대사 촉진을 목적으로 건강기능식품에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백출 추출물을 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백출 추출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 본 발명의 백출 추출물은 원료에 대하여 15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기능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및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오스 및 수크로오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덱스트린 및 시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및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당 일반적으로 약 0.01-0.20g, 바람직하게는 약 0.04-0.10g 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01-0.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백출 추출물을 피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체 에너지 소비 촉진 또는 근육 대사 촉진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피험자는 인간 또는 비-인간을 포함하는 포유류이며, 비-인간 포유류는 마우스, 랫트, 개, 고양이, 말, 소, 양, 염소, 돼지, 토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실험 준비
1.1. 백출( Atractylodes macrocephala Koidzumi ) 추출물의 제조
백출(Atractylodes macrocephala Koidzumi) 물 추출물(ARA)을 제조하기 위해, 백출(Atractylodes macrocephala Koidzumi)을 구매하여 사용하였다(Kwangmyungdang Medicinal Herbs, Ulsan, Korea). 건조된 백출 200 g을 준비하여, 정제수 2 L를 가하여 열탕 추출기에서 3시간 동안 가열하여 얻은 추출물을 여과지(Whatman NO. 1; Sigma-Aldrich, St. Louis, MO, USA)로 여과한 후 회전식 감압농축기로 감압 농축하여 백출 물 추출물의 건조 파우더를 제조하였다. 수득률은 26%였다.
상기 파우더는 -80℃에서 보관하였고, 분석을 위해 증류수에 용해하였다. 상기 ARA 의 조성 분석은 HPLC system (Agilent Technologies 1260 Infinity, USA)에 의해서 수행하였다. Atractylenolide III (Sigma-Aldrich, St. Louis,MO, USA)를 표준 물질로 사용하였고, 시료는 원심분리에 의해서 수득된 후(13,000 g × 3min), 0.2 μm 시린지 필터를 통해서 여과해주었다.
1.2. 세포 배양
마우스 유래 C2C12 세포주는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ATCC) (CRL-1772; Manassas, VA, USA)으로부터 분양받았고, 10% FBS (Invitrogen) 및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penicillin/streptomycin mix, Invitrogen)를 함유하는 DMEM(Invitrogen, Grand Island, NY, USA)에서 배양하여 사용하였다.
C2C12 근육세포는 60 mm petridish에 각각 1×106의 seeding한 후, fetal bovine serum (10%) 및 penicillin streptomycin (1%)를 함유한 고농도 포도당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DMEM)에서 100% confluence될 때까지 배양하였다.
분화를 위해, C2C12 근육세포는 6-well plate에서 증식때까지 배양해주고, 배지는 분화 배지(DMEM supplemented with 2% horse serum; Invitrogen)로 5일간 24시간마다 바꾸어 준 후, C2Cl2 근육세포에 백출, metformin을 각각 다른 농도로 처리해주었다.
1.3. Western blot
1% sodium deoxycholate, 0.1% SDS, 0.15M NaCl, 및 1% NP-40을 포함하는 ice-cold lysis buffer (0.1mL of 50mM Tris-HCl (pH 7.2))에서 세포를 lysis하여 얻어진 세포용균액을 Bradford staining에 의해서 단백질 농도를 분석해주었다. 상기 단백질(20 μg/mL)을 같은 양으로 10% SDS-아크릴아마이드겔에서 전기영동했고, electric transfer system을 이용하여 니트로셀룰로오스 멤브레인으로 옮겨주었다. Nonspecific binding은 TBST buffer (5mM Tris-HCl, pH 7.6, 136mM NaCl, and 0.1% Tween-20)에서 3% skim milk를 멤브레인에 1시간 동안 처리하여 차단해주었다.
Anti-PGC1α (Santa Cruz Biotechnology, Santa Cruz, CA, USA), anti-phospho-AMPKα (Thr 172), anti-AMPKα, 및 anti-β-actin (Sigma-Aldrich, St.Louis, MO, USA) 에 대한 1차 항체를 1시간동안 상온에서 배양한 후, horseradish peroxidase- (HRP-) labeled anti-mouse IgG (1 : 1000, Santa Cruz Biotechnology)와 함께 1시간 동안 배양해주었고, 1x TBST로 3차례 세척하고 ECL Western detection reagents (GE Healthcare Bio-Sciences, Pittsburgh, PA, USA)을 이용하여 현상해주었다. 단백질 밴드는 Image J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정량계에 의해서 정량화되었다.
1.4. Reverse Transcriptase -Polymerase Chain Reaction (RT- PCR )
총 RNA는 TRIzol 시약을 사용하여 세포로부터 분리하였다(Gibco-BRL Life Technologies Inc., Grand Island, NY, USA). PCR 반응은 2μL cDNA, 4 μM 5'- 3' 프라이머, 10x buffer (10mM Tris-HCl (pH 8.3), 50mM KCl, 0.1% Triton X-100, 25mM MgCl2; Takara Bio Ltd., Shiga, Japan), 250 μM 의 dNTP, 및 Tag polymerase 1U (Takara Bio Inc., Shiga, Japan) 의 혼합액에서, 94℃에서 30 초 (denaturation), 60℃에서 30 초 (annealing), 및 72℃에서 1분 (extension) 씩 30 cycle 수행하였고, 최종 extension은 72℃에서 5분간 수행하였다. 사용된 프라이머는 다음과 같다.
mouse PGCα [sense; 5'-CAC CAA ACC CACAGAAAACAG-3, antisense; 5'-GGG TCAGAGGAA GAG ATA AAG TTG]. GAPDH는 PCR의 대조군으로 사용된 것이다. 밴드는 UV에 의해 검출되었고, Image J program을 사용하여 농도계에 의해 정량화되었다.
1.5. ATP 측정
앞서 설명한 세포배양법에 따라 골격근 세포를 분화시킨 후 각 농도의 추출물 또는 메트포민을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Adenosine triphosphate (ATP) calorimetric assay kit (BioVision Inc., Milpitas, CA, USA)를 이용하여 제시된 프로토콜에 따라 실험 후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총 ATP 양은 ATP 열량 분석 키트 (BioVision, Inc., CA, USA)에 의해 결정되었다. 세포는 5일간 분화시키고, ARA 또는 메트포민을 24시간 동안 처리해주었다. ATP 농도는 제조업체의 프로토콜에 따라 측정되었고, 흡광도는 λ = 570 ㎚에서 측정 하였다.
1.6. 통계분석
GraphPad Prism (GraphPad Software Inc., San Diego, CA, USA)을 이용하여 통계처리하였다. 각 3회의 반복 실험의 결과를 mean±standard errors of mean으로 나타내고, analysis of variance (Tukey's test)를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통계적인 유의성은 P-value가 0.05 이하인 경우에 인정하였다.
실시예 2: 결과
2.1. 백출에 의해 유도된 PGC1α의 발현 변화 확인
PGC1α는 미토콘드리아 신생에 중요한 요소이며, 골격근에서 지방산 산화 및 열 발생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 C2C12 세포에서 백출에 의한 PGC1α의 발현을 확인하기 위해, 각각 RT-PCR 및 웨스턴 블롯으로 PGC1α의 mRNA 및 단백질 수준을 측정하였다. 백출을 처리하였을 때, 약물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서 농도에 따라 PGC1α의 mRNA 수준이 증가하였고(도 1(a)), 단백질의 수준도 증가하였다(도 1(b)).
2.2. 백출에 의한 AMPK의 인산화 변화 확인
AMPK의 인산화는 골격근에서의 미토콘드리아 신생, 글루코스 수송, 및 지방산 산화를 증가시킨다. 특히, AMPK는 PGC1α를 직접적으로 인산화시킨다. 도 2에 도시 된 바와 같이, C2C12 세포에서의 약물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백출의 처리로 농도의 증가에 따라 AMPK의 인산화가 증가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2.3. 백출 에 의한 ATP 양의 변화 확인
PGC1α, AMPK 등 생체 에너지 조절과 관련된 효소가 증가되면 당과 지방산 대사가 증가되고 최종적으로 ATP 생산이 증가하게 된다. 앞선 실시예에서 백출의 PGC1α, AMPK 조절 효능을 확인하였고, 이로 인한 최종적인 ATP 생산량의 증가여부를 분석하였다. 백출 추출물은 약물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서 ATP 총량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3).
하기에 본 발명의 조성물을 위한 제제예를 예시한다.
제제예 1 : 약학적 제제의 제조
1. 산제의 제조
백출 추출물 200㎎
유당 100㎎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2. 정제의 제조
백출 추출물 200㎎
옥수수전분 100㎎
유당 100㎎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2㎎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3. 캡슐제의 제조
백출 추출물 200㎎
옥수수전분 100㎎
유당 100㎎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2㎎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4. 주사제의 제조
백출 추출물 200㎎
만니톨 100㎎
Na2HPO412H2O 2㎎
주사용 멸균 증류수 적량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2㎖)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여 주사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2 : 식품의 제조
본 발명의 백출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들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1. 조리용 양념의 제조
백출 추출물 20-95 중량%로 건강 증진용 조리용 양념을 제조하였다.
2. 토마토 케찹 및 소스의 제조
백출 추출물 0.2-1.0 중량%를 토마토 케찹 또는 소스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토마토 케찹 또는 소스를 제조하였다.
3. 밀가루 식품의 제조
백출 추출물 0.5-5.0 중량%를 밀가루에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이용하여 빵, 케이크, 쿠키, 크래커 및 면류를 제조하여 건강 증진용 식품을 제조하였다.
4. 스프 및 육즙(gravies)의 제조
백출 추출물 0.1-5.0 중량%를 스프 및 육즙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육가공 제품, 면류의 수프 및 육즙을 제조하였다.
5. 그라운드 비프(ground beef)의 제조
백출 추출물 10 중량%를 그라운드 비프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그라운드 비프를 제조하였다.
6. 유제품(dairy products)의 제조
백출 추출물 5-10 중량%를 우유에 첨가하고, 상기 우유를 이용하여 버터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유제품을 제조하였다.
제제예 3 : 음료의 제조
1. 탄산음료의 제조
백출 추출물 10-15%, 설탕 5-10%, 구연산 0.05-0.3%, 카라멜 0.005-0.02%, 비타민 C 0.1-1%의 첨가물을 혼합하고, 여기에 75-80%의 정제수를 섞어서 시럽을 만들었다. 상기 시럽을 85-98℃에서 20-180초간 살균하여 냉각수와 1:4의 비율로 혼합한 다음 탄산가스를 0.5-0.82%를 주입하여 백출 추출물을 함유하는 탄산음료를 제조하였다.
2. 건강음료의 제조
백출 추출물(고형분 2.5%, 97.16%), 대추 엑기스(65 brix, 2.67%), 과체복합 추출물(고형분 70%, 0.12%), 비타민 C(0.02%), 판톤텐산칼슘 (0.02%), 감초 추출물(고형분 65%, 0.01%)을 균질하게 배합하여 순간 살균을 한 후 이를 유리병, 패트병 등 소포장 용기에 포장하여 건강음료를 제조하였다.
3. 야채쥬스의 제조
백출 추출물 0.5g을 토마토 또는 당근 쥬스 1,000㎖에 가하여 건강 증진용 야채쥬스를 제조하였다.
4. 과일쥬스의 제조
백출 추출물 0.1g을 사과 또는 포도 쥬스 1,000㎖에 가하여 건강 증진용 과일쥬스를 제조하였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백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대사 촉진용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로서,
    상기 조성물은 근육세포에서 에너지 소비 또는 대사 작용을 촉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백출 추출물은 물, C1 내지 C4의 저급알코올, n-헥산,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부틸아세테이트, 1,3-부틸렌 글리콜,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용매로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 대사 촉진용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백출 추출물은 백출의 뿌리로부터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 대사 촉진용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
KR1020160076491A 2016-06-20 2016-06-20 백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체 에너지 소비 촉진 또는 근육 대사 촉진용 조성물 KR1018918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6491A KR101891879B1 (ko) 2016-06-20 2016-06-20 백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체 에너지 소비 촉진 또는 근육 대사 촉진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6491A KR101891879B1 (ko) 2016-06-20 2016-06-20 백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체 에너지 소비 촉진 또는 근육 대사 촉진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2654A KR20170142654A (ko) 2017-12-28
KR101891879B1 true KR101891879B1 (ko) 2018-08-24

Family

ID=60939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6491A KR101891879B1 (ko) 2016-06-20 2016-06-20 백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체 에너지 소비 촉진 또는 근육 대사 촉진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18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8430B1 (ko) * 2018-05-28 2019-11-27 (주)뉴트리 해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2594107B1 (ko) * 2020-08-28 2023-10-2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백출 및 배초향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로 개선 또는 운동수행능력 증진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hang Keun Kim 외 9명, Effects of Atractylodes macrocephala Koidzumi rhizome on 3T3-L1 adipogenesis and an animal model of obesity.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Vol.137, pp.396-402, 2011년
Song HP 외 3명, Atractylodes macrocephala Koidz stimulates intestinal epithelial cell migration through a polyamine dependent mechanism, J.Ethnopharmacol, 2015 Jan 15;159:23-3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2654A (ko) 2017-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1879B1 (ko) 백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체 에너지 소비 촉진 또는 근육 대사 촉진용 조성물
KR101963141B1 (ko) 백년초 추출물, 여주 추출물 및 시계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갱년기 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13075874A (ja) 血糖代謝改善剤
KR20160016280A (ko) 타히보 추출물 또는 인삼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면역 증강용 조성물
KR102449530B1 (ko) 육계, 백출, 갈근, 백작약 및 마황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KR100805865B1 (ko)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혈전용조성물
KR101358197B1 (ko) 특정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렙틴 분비 촉진용 조성물
KR101828155B1 (ko) 백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의 분화 및 발달 촉진용 조성물
KR101392345B1 (ko) 영릉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용 약학조성물
KR100842054B1 (ko) 구운감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포함하는혈당 강하용 조성물
KR102561751B1 (ko) Blb301(블랙라즈베리 및 속단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육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80000127A (ko) 부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체 에너지 소비 촉진 또는 근육 대사 촉진용 조성물
KR102290222B1 (ko) 복분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30094553A (ko) 진저레논 에이를 포함하는 암 예방용 식품 조성물, 암 치료용 약학조성물 및 암 치료용 동물용 의약품
KR102632034B1 (ko) 익지, 작약 및 감초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 및 관절통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EP2889038B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cancer containing extracts of artocarpus altilis fruits, leaves, or stems, or fractions thereof as active ingredients
KR20180000124A (ko) 육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체 에너지 소비 촉진 또는 근육 대사 촉진용 조성물
KR101250198B1 (ko) 특정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욕억제 식품성분 조성물
KR20100108869A (ko) 생약재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050111657A (ko) 당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치료제제조성물
KR100626357B1 (ko) 목단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치료용조성물
KR20230068291A (ko) 자소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력강화, 근력증가 또는 근감소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40032222A (ko) 참당귀 추출물 및 타라곤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092444A (ko) 연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당뇨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10050807A (ko) 마리안 플럼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 기능 개선, 운동수행능력 증강 또는 항-피로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