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1641B1 - 접촉 면적을 확대한 접속핀 - Google Patents

접촉 면적을 확대한 접속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1641B1
KR101891641B1 KR1020170108820A KR20170108820A KR101891641B1 KR 101891641 B1 KR101891641 B1 KR 101891641B1 KR 1020170108820 A KR1020170108820 A KR 1020170108820A KR 20170108820 A KR20170108820 A KR 20170108820A KR 101891641 B1 KR101891641 B1 KR 1018916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pin
terminal
contac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8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행수
Original Assignee
프라임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라임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프라임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08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16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16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16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11Probe needles; Cantilever beams; "Bump" contacts; Replaceable probe pins
    • G01R1/06733Geometry aspe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11Probe needles; Cantilever beams; "Bump" contacts; Replaceable probe pins
    • G01R1/06716Elasti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2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25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household appliances or professional audio/video equipment

Abstract

본 발명은 일측에 선접촉 형태의 접촉단을 형성한 단자 접속부를 구비하고 타측에 기판 접속부를 구비하는 접속핀;과, 상기 접속핀이 관통되는 복수의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접속핀은 상기 단자 접속부에 비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정렬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는 상기 정렬돌기의 형상에 대응하는 정렬홈을 구비하여 상기 접속핀이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에 대하여 회전하지 않도록 한 핀 블럭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접촉 면적을 확대한 접속핀{CONTACT PINHAVING ENHANCED CONTACT AREA}
본 발명은 전자 모듈을 검사하기 위한 접속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접속핀의 접촉 성능을 향상시킨 접속핀과 이를 이용한 블럭에 관한 것이다.
전자 제품 관련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전자기는 소형화되고, 소형화된 기기가 발휘하는 기능은 다양해지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가진 전자기기 내부에는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는 많은 전자 모듈과 전자 부품들이 포함된다.
이동통신 단말기를 예를 들면, 통신 모듈, 카메라 모듈, 스피커 모듈, 배터리 모듈 등이 조립되어 제품을 구성한다. 각각의 모듈은 조립전에 정상 작동 여부를 검사를 거치게 된다. 그러지 않으면 조립된 제품이 불량이 되어버리기 때문에 모듈 단계에서 각각의 모듈의 정상 작동 여부를 검사하게 된다.
전자 모듈은 커넥터를 통해 조립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전자 모듈을 검사하기 위해서는 전자 모듈의 커넥터에 접속되는 검사용 소켓을 이용하고 있다.
검사용 소켓에는 커넥터의 각각의 단자에 접속되는 접속핀과, 접속핀이 커넥터의 단자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배열된 핀 블럭을 포함한다.
접속핀의 일측은 커넥터의 단자에 접속되고, 타측은 테스트 장비와 연결되는 회로기판(PCB)에 접속되는 구조를 가진다. 종래의 접속핀은 양측의 접속부가 모두 점 접촉 형상을 가지고 있었다.
그런데, 전자 모듈의 기능이 향상됨에 따라 전자 모듈에서 주고 받는 신호(데이터)량이 증가하여, 접속핀의 접촉 불량으로 인해서 전자 모듈의 검사의 정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관련 선행문헌으로는 본 출원인에 의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10601호(공고일자 2017년 2월 28일) '노이즈를 저감한 카메라 모듈 검사용 비자성 소켓'이 있다.
상기 등록특허의 경우 카메라 모듈의 고사양화에 따라 자기장에 의한 노이즈를 감소시켜 검사의 신뢰성을 향상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접속핀의 접촉 면적을 확보함으로써, 접속 불량에 따른 노이즈를 저감하여 검사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접속핀과 이를 이용한 핀 블럭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커넥터 단자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핀에 있어서, 접속핀과 커넥터 단자와의 접촉 면적을 확보하여, 접속핀과 커넥터 단자의 접속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접속핀이 커넥터 단자에 선접촉으로 접속되는 구조를 가지되, 접속핀의 선접촉 방향을 설정할 수 있는 핀 블럭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핀 블럭은 접속핀이 커넥터 단자와 선접촉하는 구조를 제공하며, 커넥터 단자의 형상에 따라 선접촉의 방향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핀 블럭의 접속 안정성을 향상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본 발명은 원통 형상을 가지는 원통부; 상기 원통부에 입출 가능하게 결합되는 기판 접속부; 상기 원통부에 고정되는 단자 접속부; 및 상기 원통부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기판 접속부가 돌출되는 방향을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단자 접속부는 비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정렬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단자 접속부의 접속단은 커넥터 단자와 선접촉되는 형상을 가지는 접속핀을 제공한다. 상기 단자 접속부는 상기 원통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연결봉을 구비하고, 상기 기판 접속부는 상기 원통부 내부에 삽입되는 대경부와, 상기 원통부에서 돌출되는 소경부를 구비할 수 있다.
삭제
그리고, 본 발명은 일측에 선접촉 형태의 접촉단을 형성한 단자 접속부를 구비하고 타측에 기판 접속부를 구비하는 접속핀;과, 상기 접속핀이 관통되는 복수의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접속핀은 상기 단자 접속부에 비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정렬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는 상기 정렬돌기의 형상에 대응하는 정렬홈을 구비하여 상기 접속핀이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에 대하여 회전하지 않도록 한 핀 블럭을 제공한다.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는 관통공을 구비하는 전면 플레이트와, 상기 관통공으로 돌출되며 상기 단자 접속부가 관통되는 핀홀을 구비하는 가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전면 플레이트에 결합되며 상기 정렬홈을 구비하는 중간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중간 플레이트에 결합되며, 상기 단자 접속부가 관통하는 핀홀을 구비하는 커버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간 플레이트의 결합되며 상기 기판 접속부의 접촉단을 노출시키는 배면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접속 대상 커넥터의 외면을 지지하는 가이드 돌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전면 플레이트에 대하여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받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접속핀은 커넥터 단자와의 접촉 면적을 확보함으로써, 접속핀고 커넥터 단자의 접속 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핀 블럭은 커넥터 단자와 선접촉하는 접속핀의 방향을 설정할 수 있음으로써, 커넥터 단자의 배열 형태나 모양에 대응하여 접속핀이 안정적으로 커넥터 단자와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속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속핀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속핀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핀 블럭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핀 블럭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핀 블럭의 길이 방향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핀 블럭의 폭 방향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핀 블럭이 카메라 모듈의 커넥터에 접속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핀 블럭이 카메라 모듈의 커넥터에 접속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속핀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속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속핀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속핀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접속핀(100)은 커넥터 단자와 접속되는 단자 접속부(110)와, 검사설비에 연결되는 회로기판(PCB)에 접속되는 기판 접속부(130)와, 단자 접속부(110)와 기판 접속부(130)를 연결하는 원통부(120)를 포함한다. 단자 접속부(110)와 원통부(120)와 기판 접속부(130)는 모두 전기 전도도가 높은 도체 재질로 이루어져, 기판 접속부(130)에 접촉되는 커넥터 단자와 단자 접속부(110)에 접촉되는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단자 접속부(110)는 막대형상의 접속봉(112)과, 원통부(120)에 삽입되는 연결봉(116)과, 접속봉(112)과 연결봉(116) 사이에 구비되는 정렬돌기(114)를 포함한다. 이 때, 접속봉(112)의 접촉단(112a)은 커넥터 단자에 접촉되는 부분으로 안정적인 접촉 성능을 확보하기 위하여 일(-)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넥터 단자는 얇은 구리판이 곡선형태로 굽혀진 타입이 많은데, 이러한 커넥터 단자들과 안정적으로 접촉하기 위해서는 단부가 뾰족한 점 접촉 형태보다는 도시한 바와 같이 일자형으로 선접촉할 수 있는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자 접속부(110)의 정렬돌기(114)는 원형이 아닌 단면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렬돌기(114)는 적어도 하나의 평탄면을 구비하여, 평판면이 일자형 접촉단(112a)과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다. 종래의 접속핀들은 전체적으로 원형의 단면을 가지고 있어서 핀블럭 내부에서 임의의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이는 종래의 접촉 구조가 점 접촉 구조이기 때문에 접속핀이 핀블럭 내부에서 회전을 하더라도 접촉점이 변하지 않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접속핀(100)은 단자 접속부(110)가 일자형의 접촉단(112a)을 구비함으로써, 접속핀(100)이 회전하게 되면 접촉단(112a)의 방향이 달라지게 된다. 정렬돌기(114)는 비원형의 단면을 가짐으로써, 정렬돌기(114)의 형상에 대응하는 홈에 삽입되는 것으로, 접촉단(112a)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정렬돌기(114)는 도시한 바와 같이 양면이 절개된 원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으며, 일면이 절개된 D자형의 단면을 가지거나, 다각형의 단면을 가질수 있다. 정렬돌기(114)는 비원형의 형상으로, 그 형상에 대응하는 홈의 내부에서 회전하지 않을 수 있는 형상이면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접촉단(112a)은 단일 직선 형태의 접촉부를 구비하는 형태를 가지고 있으나, 접촉부는 곡선 형태 또는 복수의 직선 형태 또는 십자 형태등 선 접촉이 가능한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단자 접속부(110)의 연결봉(116)은 원통부(120)의 내부로 삽입되어 압입부(122)로 고정된다. 압입부(122)는 원통부(120)를 가압하여 연결봉(116)에 밀착되도록 한 것으로 단자 접속부(110)를 원통부(120)에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기판 접속부(130)는 기판에 접촉되는 접촉단을 구비하며 원통부(120)의 외부로 노출되는 소경부(132)와, 원통부(120)의 내부에 삽입되어 원통부(120)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대경부(134)를 포함한다.
또한, 원통부(120)의 내부에는 탄성부재(140)가 구비되며, 탄성부재(140)는 양단이 각각 단자 접속부(110)의 연결봉(116)과 기판 접속부(130)의 대경부(134)에 의하여 지지된다. 기판 접속부(130)가 눌려지게 되면 탄성부재(140)가 수축하며 탄성력에 의하여 접촉 하중을 제공하게 된다. 다시말해, 기판 접속부(130)의 접촉단에서 단자 접속부(120)의 접촉단 사이의 거리는 탄성부재의 신축에 의하여 가변된다. 기판 접속부(130)의 접촉단에서 단자 접속부(120)의 접촉단까지의 도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탄성부재(140)의 재질을 도체 재질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속핀(100)을 이용한 핀 블럭에 관하여 살펴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핀 블럭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핀 블럭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핀 블럭(200)은 앞서 설명한 비원형의 정렬돌기(114)를 구비한 접속핀(100)이 회전하지 않도록 배열되어 접속핀(100)과 커넥터 단자의 접속 안정성을 향상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핀 블럭(200)은 전면 플레이트(250)와, 가이드 플레이트(240)와, 중간 플레이트(220)와, 커버 플레이트(230)와, 배면 플레이트(210)와, 복수개의 접속핀(100)을 포함한다.
전면 플레이트(250)는 커넥터 측에 대면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관통공(255)을 구비하며, 상기 관통공(255)을 통해 가이드 플레이트(240)가 노출된다.
가이드 플레이트(240)에는 접속핀의 단자 접속부(120)의 접촉단이 노출되는 핀홀(242)이 구비된다. 상기 핀홀(242)은 검사 대상 전자 모듈의 커넥터 단자 배열에 대응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가이드 플레이트(240)는 커넥터의 외측면을 지지하도록 돌출된 가이드돌기(245,246)가 구비된다. 가이드 돌기(245,246)는 커넥터의 외측면을 지지하여 가이드 플레이트(240)가 커넥터의 위치를 정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가이드 플레이트(240)는 외측으로 돌출된 날개부(247)를 구비한다. 상기 날개부는 상기 전면 플레이트(250)의 관통공(255)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여 가이드 플레이트(240)가 전면 플레이트(250)에 돌출되는 최대 길이를 제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중간 플레이트(220)는 접속핀의 정렬돌기(114)가 수용되는 정렬홀(224)이 구비된다. 정렬홀(224)은 정렬돌기(114)의 높이보다 큰 깊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정렬돌기(114)가 상기 정렬홀(224)의 내부에서 접속핀의 길이 방향으로 유동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그런데, 정렬돌기(114)는 비원형의 단면을 가지며, 정렬홀(224)은 상기 정렬돌기(114)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므로, 정렬돌기(114)가 정렬홀(224)의 내부에서 회전하지는 못한다. 따라서 정렬돌기(114)와 일체로 형성되는 단자 접속부(110)의 접촉단(112a)은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게 된다.
커버 플레이트(230)는 접속핀의 원통부(120)는 관통되며, 정렬돌기(114)는 통과하지 못하도록 형성된 핀홀(232)을 구비한다. 따라서 중간 플레이트(220)에 접속핀(100)을 조립하고 커버 플레이트(230)를 체결하면, 중간 플레이트(220)와 커버 플레이트(230)의 사이에 접속핀의 정렬돌기(114)가 구속되어, 접속핀(100)이 이탈하지 못하도록 조립된다.
배면 플레이트(210)는 중간 플레이트(220)의 배면에 체결되는 것으로, 접속핀의 기판 접속부의 소경부가 관통되는 핀홀(212)을 구비한다. 배면 플레이트(210)의 핀홀(212)을 통해서 접속핀의 기판 접속부가 돌출되어 배면 플레이트(210)의 배면에 조립되는 기판에 접속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핀 블럭의 길이 방향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핀 블럭의 폭 방향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 플레이트(240)는 전면 플레이트(250)에 대하여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조립된다. 이 때 가이드 플레이트(240)의 날개부와 중간 플레이트(220)의 사이에는 탄성부재(미도시)가 구비되어, 가이드 플레이트(240)에 전면 플레이트(250)에 대하여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받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접속핀의 정렬돌기(114)는 커버 플레이트(230)와 중간 플레이트(220)의 사이에 구속된 상태가 되며, 상기 정렬돌기(114)는 상하로 유동 가능하게 유격을 가진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핀 블럭이 카메라 모듈의 커넥터에 접속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핀 블럭이 카메라 모듈의 커넥터에 접속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300)에는 커넥터(310)가 구비되며, 본 발명에 따른 핀 블럭의 접속핀은 상기 카메라 모듈의 커넥터(310) 단자에 접속된다.
도시한 도면은 전자 모듈의 예로 카메라 모듈을 예시적으로 나타내었으나, 전자 모듈의 종류가 카메라 모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커넥터를 구비하는 형태의 다양한 다른 종류의 전자 모듈에 적용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핀 블럭이 커넥터(310)에 이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핀 블럭의 검사용 소켓에 장착되는 것으로, 검사용 소켓은 핀 블럭이 승하강하며 커넥터에 접속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핀 블럭에 관한 것으로 검사용 소켓의 도시는 생략하였다.
핀 블럭이 검사용 소켓에 조립되면 배면 플레이트(210)의 외측에는 인쇄회로기판(P)이 부착되고, 인쇄회로기판(P)에는 접속핀의 기판 접속부가 접촉된다. 이 때 접속핀 내부의 탄성부재가 기판 접속부의 접촉 하중을 부여하게 된다.
가이드 플레이트(240)는 전면 플레이트(250)에서 최대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접속핀의 정렬돌기(114)는 커버 플레이트(230)에 밀착된 상태가 된다.
도 9에 도시한 상태에서 핀 블럭이 하강하게 되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 플레이트(240)가 커넥터(310)를 감싸며 맞닿게 된다. 이 때 가이드 플레이트(240)에 구비된 가이드 돌기(도 1의 245,246)가 커넥터(310)의 외측면을 감싸게 되므로, 가이드 플레이트(240)와 커넥터(310)의 위치가 서로 정렬된다.
도 10의 상태에서 핀 블럭이 추가로 하강하게 되면, 가이드 플레이트(240)는 커넥터(310)에 맞닿아 있으므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 플레이트(250)와 중간 플레이트(220)와 배면 플레이트(210)와 접속핀(100)만이 추가로 하강하게 된다. 다시말해 가이드 플레이트(240)가 전면 플레이트(250)로 밀려 들어가며 전면 플레이트(250)와 접속핀(100)이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도 12는 핀 블럭이 완전히 하강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의 상태에서 핀 블럭(200)이 추가로 하강하면, 접속핀의 단자 접속부가 커넥터 단자에 접촉된 상태에서 접촉하중을 받게 된다.
도 11과 도 12를 비교해 보면, 중간 플레이트(220)의 정렬홀(224) 내부에서 접속핀의 정렬돌기(114)의 위치가 상승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핀 블럭의 접속핀을 커넥터의 단자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카메라 모듈(전자 모듈)의 검사를 수행한 후, 다시 핀 블럭을 상승시켜 도 9의 상태가 되도록 하고, 다음 카메라 모듈에 대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검사를 수행하게 된다. 반복적으로 검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접속핀은 수축과 신장을 반복하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접속핀이 자전할 수 있다, 그런데, 본 발명에 따른 접속핀은 정렬돌기(114)를 비원형의 형상으로 하여, 정렬홀(224)의 내부에서 회전하지 못하도록 구속함으로써 커넥터 단자에 접속되는 단자 접속부의 접촉단이 일정한 방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핀 블럭은 접속핀이 커넥터 단자와 선접촉하는 구조를 제공하며, 커넥터 단자의 형상에 따라 선접촉의 방향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핀 블럭의 접속 안정성을 향상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접속핀 112 : 접속봉
112a : 접촉단 114 : 정렬돌기
116 : 연결봉 120 : 원통부
122 : 압입부 130 : 기판 접속부
132 : 소경부 134 : 대경부
140 : 탄성부재 200 : 핀 블럭
210 : 배면 플레이트 212 : 핀홀
220 : 중간 플레이트 224 : 정렬홀
230 : 커버 플레이트 232 : 핀홀
240 : 가이드 플레이트 242 : 핀홀
245, 246 : 가이드돌기 247 : 날개부
250 : 전면 플레이트 300 : 카메라 모듈
310 : 커넥터

Claims (2)

  1. 원통 형상을 가지는 원통부;
    상기 원통부에 입출 가능하게 결합되는 기판 접속부;
    상기 원통부에 고정되는 단자 접속부;
    상기 단자 접속부에 구비되는 비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정렬돌기;
    상기 단자 접속부에 구비되며 커넥터 단자와 선접촉되도록 일자형으로 돌출된 접속단; 및
    상기 원통부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기판 접속부가 돌출되는 방향을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정렬돌기와 상기 접속단은 서로 결합되어, 상기 정렬돌기의 방향에 따라 상기 접속단의 방향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접속부는
    상기 원통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연결봉을 구비하고,
    상기 기판 접속부는
    상기 원통부 내부에 삽입되는 대경부와, 상기 원통부에서 돌출되는 소경부를 구비하는 접속핀.
KR1020170108820A 2017-08-28 2017-08-28 접촉 면적을 확대한 접속핀 KR1018916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8820A KR101891641B1 (ko) 2017-08-28 2017-08-28 접촉 면적을 확대한 접속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8820A KR101891641B1 (ko) 2017-08-28 2017-08-28 접촉 면적을 확대한 접속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3253A Division KR101807098B1 (ko) 2017-06-12 2017-06-12 접촉 면적을 확대한 접속핀 및 이를 포함하는 핀 블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1641B1 true KR101891641B1 (ko) 2018-08-27

Family

ID=63455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8820A KR101891641B1 (ko) 2017-08-28 2017-08-28 접촉 면적을 확대한 접속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164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1538A (ja) * 1999-09-24 2001-04-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接触ピン
JP5486760B2 (ja) * 2006-07-04 2014-05-07 株式会社エンプラス コンタクトピン及び電気部品用ソケット
JP2015121476A (ja) * 2013-12-24 2015-07-02 株式会社エンプラス コンタクトプローブ及び電気部品用ソケット
US9310395B2 (en) * 2013-04-18 2016-04-12 Isc Co., Ltd. Probe member for pogo pin
KR20170018144A (ko) * 2015-08-05 2017-02-16 주식회사 오킨스전자 보드 일체형 rf 인터포저 유닛 및 이의 설치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1538A (ja) * 1999-09-24 2001-04-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接触ピン
JP5486760B2 (ja) * 2006-07-04 2014-05-07 株式会社エンプラス コンタクトピン及び電気部品用ソケット
US9310395B2 (en) * 2013-04-18 2016-04-12 Isc Co., Ltd. Probe member for pogo pin
JP2015121476A (ja) * 2013-12-24 2015-07-02 株式会社エンプラス コンタクトプローブ及び電気部品用ソケット
KR20170018144A (ko) * 2015-08-05 2017-02-16 주식회사 오킨스전자 보드 일체형 rf 인터포저 유닛 및 이의 설치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7098B1 (ko) 접촉 면적을 확대한 접속핀 및 이를 포함하는 핀 블럭
CN110088632B (zh) 探测器构造
US8465312B2 (en) Socket cartridge and socket cartridge assembly
US10398051B2 (en) Socket having a terminal unit assembly accommodated within a recess of a frame member
US20150369840A1 (en) Test socket assembly and related methods
US11901654B2 (en) Method of interconnecting printed circuit boards
JP2004325306A (ja) 検査用同軸プローブおよびそれを用いた検査ユニット
JP2007178165A (ja) 検査ユニット
US11619654B2 (en) Probe for characteristic inspection of a connector
JP2019138768A (ja) プローブ
US9484649B2 (en) Electromechanical assembly with socket and card edge connector
KR20120132271A (ko) 스위치가 부착된 동축 커넥터
US6958670B2 (en) Offset connector with compressible conductor
US11462859B2 (en) Coaxial terminal, coaxial connector, wiring board, and electronic component testing apparatus
KR101891641B1 (ko) 접촉 면적을 확대한 접속핀
KR20150059717A (ko) 하나의 절연성 몸체로 구성되는 소켓
KR102242276B1 (ko) 회로 검사장치
US6441632B1 (en) Spring probe contactor for testing PGA devices
JP5736227B2 (ja) 基板間接続用コネクタ
US9502825B2 (en) Shunt for electrical connector
TW201944075A (zh) 應用於探針基座之絕緣件及其探針基座
US20200371167A1 (en) Connector inspection apparatus and connector module
KR101970805B1 (ko) 정밀성을 향상시킨 핀블럭
KR102363837B1 (ko) 전자부품 테스트용 소켓
US20090140759A1 (en) IC socket having contact devices with low imped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