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1482B1 - 치과인상재 믹싱팁 구조 - Google Patents

치과인상재 믹싱팁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1482B1
KR101891482B1 KR1020170135539A KR20170135539A KR101891482B1 KR 101891482 B1 KR101891482 B1 KR 101891482B1 KR 1020170135539 A KR1020170135539 A KR 1020170135539A KR 20170135539 A KR20170135539 A KR 20170135539A KR 101891482 B1 KR101891482 B1 KR 1018914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xing
tip
impression material
mixing tip
cart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5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남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마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마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마음
Priority to KR1020170135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14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1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1482B1/ko
Priority to PCT/KR2018/010138 priority patent/WO201907848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26Syringes or guns for injecting impression material; Mixing impression material for immediate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11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 B01F27/112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with arms, paddles, vanes or blades
    • B01F27/1125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with arms, paddles, vanes or blades with vanes or blades extending parallel or oblique to the stirrer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11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 B01F27/114Helically shaped stirrers, i.e. stirrers comprising a helically shaped band or helically shaped band sections
    • B01F27/1143Helically shaped stirrers, i.e. stirrers comprising a helically shaped band or helically shaped band sections screw-shaped, e.g. w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11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 B01F27/114Helically shaped stirrers, i.e. stirrers comprising a helically shaped band or helically shaped band sections
    • B01F27/1144Helically shaped stirrers, i.e. stirrers comprising a helically shaped band or helically shaped band sections with a plurality of blades following a helical path on a shaft or a blade support
    • B01F7/00291
    • B01F7/00416
    • B01F7/0042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2202Mixing compositions or mixers in the medical or veterinary field
    • B01F2215/0034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과인상재 믹싱팁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세히는 분리 수용된 인상재와 경화재가 각각 토출되는 카트리지 소켓이 믹싱팁연결구 내부로 결합되는 구조로 사용후 폐기하는 믹싱팁내에 남아 있게 되는 인상재의 잔여량을 최소화 있 수 있도록 하며, 카트리지의 믹싱팁결합단부와 결합되는 테이퍼형 믹싱팁결합단턱으로 믹싱팁과 카트리지간 밀폐결합력을 증진하도록 하며, 각기 분리된 카트리지 소켓을 통해 배출되는 인상재와 경화재 토출구와 연접되게 형성시킨 믹싱룸 챔버공간의 믹싱룸격벽 양편으로 1차 분리혼합시키고, 믹싱룸격벽 상측으로 트인 믹싱룸배출반홈을 통해 2차 분리혼합시키고, 최종적으로는 믹싱팁연결커넥터 상측의 믹싱룸배출반홈 중심부에 일체 형성되는 혼합베인은 혼합베인축을 심부로 그 저면부는 양편의 믹싱룸배출반홈과 인접된 직상방위치에서 양단은 믹싱룸배출반홈의 트인 방향이나 중간부는 혼합베인축을 중심으로 360°나선구조로 일체형성된 혼합베인 모듈단위로 90°간격으로 교번형성된 혼합베인에 의해 추가혼합이 진행되는 효과로 인상재의 혼합율이 높아 종래의 믹싱부에 비해 혼합베인의 단수를 줄여 원가절감과 함께 1회 사용으로 폐기되는 믹싱팁내 잔존폐기되는 인상재의 원가를 대폭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달성하도록 하는 치과인상재 믹싱팁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치과인상재 믹싱팁 구조{structure for a mixing tip of style dental impression materal}
본 발명은 치과인상재 믹싱팁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세히는 분리 수용된 인상재와 경화재가 각각 토출되는 카트리지 소켓이 믹싱팁연결구 내부로 결합되는 구조로 사용후 폐기하는 믹싱팁내에 남아 있게 되는 인상재의 잔여량을 최소화 있 수 있도록 하며, 믹싱팁과 카트리지간 밀폐결합력 증진과 믹싱캡이 없는 구조로 믹싱튜브와 믹싱부로 원가를 절감시키며, 카트리지 소켓을 통해 각각 배출되는 인상재 및 경화재는 믹싱룸 양편으로 분리 혼입되면서 사전 배합되며, 이어 믹싱룸 양편에 형성된 믹싱룸배출반홈을 통해 배출되면서 믹싱팁연결커넥터와 연접되고 어긋나게 배치된 다단 혼합베인을 통해 교반되면서 배출되는 짧은 구간이지만 경화재와 인상재의 고른 혼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치과인상재 믹싱팁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치과인상도구로는 길이방향으로 2개의 카트리지가 일체로 형성된 각각의 카트리지에 수용된 인상재와 경화재를 카트리지건으로 사출시켜 카트리지 종단에 형성된 2구의 소켓에 탈착 결합하는 믹싱팁을 통과시켜 액상의 인상재와 경화재가 혼합되어진 인상재를 가지고 치아 인상을 실시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수회 사용하는 카트리지와는 달리 믹싱팁은 1회용으로 치아인상작업이 끝나면 믹싱팁연결구를 분리해 폐기하게 된다.
때문에 믹싱팁내부에 잔존되는 인상재의 잔여량은 적을수록 좋지만 인상재와 경화재의 혼합율 때문에 믹싱팁 본체와 그 내부에 수용되는 혼합스크류는 일정길이를 유지해야 하는 실정이나 인상재의 잔여량을 줄이면서 믹싱팁의 길이가 짧으면서도 혼합율이 좋은 것이 이상적이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고 제조원가절감과 더불어 혼합스크류의 바람직한 구조 및 믹싱팁 본체부에 대한 검토도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믹싱팁과 카트리지본체부와의 결합구조에 있어서도 견고한 결합상태유지와 더불어 믹싱팁 풀림으로 인한 인상재 누출현상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주된 과제이다.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국내등록특허 제10-0954836호 인상재 카트리지의 믹싱팁 결합구조에서는 믹싱팁의 캡부에 형성된 결합용날개부의 끝단부 측면에는 결합용날개부가 인상재 카트리지의 믹싱팁결합단부의 회전결합홈에 회전결합될 때 믹싱팁결합단부의 측면에 걸리게 되는 회전걸림턱이 대각 대칭을 이루게 형성되고, 인상재 카트리지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결합판의 상부에는 양측면에 가이드핀삽입용 직선부와 가이드핀안내용 곡선부와 가이드핀결합홈이 대각 대칭을 이루도록 각각 형성된 믹싱팁결합용안내판이 돌출되게 구성된다.
또, 인상재카트리지의 연결용 소켓에 형성되는 사출공의 상부내주면은 하부로 갈수록 내경이 좁아지는 테이퍼형상으로 구성되며, 믹싱팁의 캡부의 내측에 삽입설치되는 연결용커넥터의 연결관은 하부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전의 인상재 카트리지 인상팁 결합구조에서도 믹싱팁 내부의 커넥터 연결관이 카트리지 연결용 소켓에 형성되는 사출공내부로 결합되는 구조로 사용후 믹싱팁을 제거시 믹싱팁결합 하단부 내부에 잔존되는 인상재와 경화재가 묻혀나가 허실이 많다. 또한 카트리지 상부에서 인상재와 경화재가 분리사출되어 믹싱팁결합하단 내측공간에서 믹싱튜브내의 믹싱스크류하단부 양측으로 각각 사출되는 구조로 다단의 믹싱스크류를 통과하면서 인상재와 경화재가 혼합되는 방식으로 믹싱팁의 배출구 끝단에서도 혼합율이 불량인 경우가 많은 실정이다.
한편, 국내등록특허 제10-1091062호 자동형 치과인상재 혼합믹싱팁에서는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는 덮개의 하부에 하단끼움부가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사용후 폐기하는 믹싱팁 내에 남아 있데 되는 인상재의 잔여량을 최소화 할 수 있게 하고, 또 스크류에 형성되는 1차혼합구는 외주에 V홈을 형성하고 상하부륜의 양측에 수직날개부를 형성하고, 그 상하부륜에 다수개의 상하부 수직홈이 어긋나는 구조로 형성해 경화재와 베이스와의 혼합이 잘 될 수 있도록 한 것이라고는 하나,
믹싱팁덮개의 하단끼움부가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었지만, 베이스유입구를 통해 역테이퍼형으로 형성된 호퍼부 내측으로 유입되는 베이스는 베이스채움부가 우각으로 형성된 만큼의 공간에 해당하는 베이스가 잔존하게 되는 것으로 오히려 1회용으로 사용되는 믹싱팁내에 잔존하는 인상재가 많이 폐기되는 문제점이 잔존하며, 또한 상부륜과 하부륜에 형성된 1차혼합구의 상하부수직홈 공간과 그 외주전길이에 걸친 V홈 공간에도 많은 양의 인상재가 사용되지 못하고 폐기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 다른 국내 공개된 선원기술로 공개번호 10-2015-0078712호에 따른 치과치료용 인상재의 믹싱팁구조 역시 카트리지에 분리형성된 2구의 소켓 외부로 결합되는 믹싱팁의 연결관구조로 사용후 폐기되는 믹싱팁을 분리하면, 믹싱팁연결관내부에 잔존되는 베이스의 허실이 수반되는 문제점과 믹싱부의 연결용커넥터 상부에 형성된 분리날개 양측에 형성된 연결관을 통해 각기 유입되는 베이스와 경화재가 다단으로 형성된 믹싱부재를 사출통과되면서 혼합되는 방식으로 혼합율 때문에 일정길이 이하로는 믹싱부재를 채택하지 못하며, 믹싱팁 풀림으로 인한 인상재 누출현상에 대한 해결책은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또 다른 기술 일례로 국내의 등록특허 제10-1599059호 폐액형 재료를 줄일수 있는 이액형 믹싱팁에서는 디스펜서로부터 제1재료와 제2재료를 공급받아 믹싱스크류가 수용된 믹싱관내부로 공급하기 전에, 믹싱관과 연통결합되게 커넥터수용관 배부에 수용 고정되는 커넥터본체는 원판형태로 배면인 디스펜서쪽에 일정길이로 형성되는 제1공급관 및 제2공급관과 각 연통된 제1공급공 및 제2공급공은 커넥터본체 전면의 판면에 대하여 일정깊이 함몰되게 서로 대향 방향에 이격되게 배치되며, 제1공급공과 제2공급공 주변에는 각각 세개의 분산가지를 갖는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커넥터본체를 향해 분기된 구조로 각각 제1분산안내홈과 제2분산안내홈이 제공된다.
상기와 같이 디스펜서로부터 사출된 제1재료와 제2재료가 제1공급공과 제2공급공을 통해 낮게 함몰된 제1,2분산안내홈을 통해 분산가지쪽으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압력으로 인해 사출시키는데 많은 힘이 들며, 디스펜서로부터 사출되는 제1,2재료는 주입되어 통과하는 길이방향으로만 진행되기 때문에 믹싱스크류를 통과하더라도 배수로 분산되지 않아 실질적으로 높은 혼합율을 기대할 수 없는 실정이다.
믹싱스크류와 스크류 수용관 길이를 줄이면서도 이상적인 혼합과 사용상의 편의를 기대하기 위해서는 디스펜서로부터 사출된 제1재료와 제2재료가 믹싱관에 공급전 용이하게 1차 혼합되고, 이어 믹싱관내의 이상적인 믹싱스크류에 의해서만 그 효과가 실현될 것이다.
또 다른 국내의 등록특허인 제10-1652278호 인상재 디스팬서는 압출할 유체를 수용하는 제1,2실린더부에 각각 형성된 압출튜브와; 압출튜브를 둘러싼 일정 곡률을 가지고 이격 배치된 부재의 내향면에는 고정톱니부가 형성되어 있는 홀더와; 상기 압출튜브와 연결되는 연결부가 수용되는 믹싱스크류를 수용한 믹싱팁과; 상기 고정톱니부에 밀착결합하는 톱니판부를 갖는 체결어뎁터로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조의 인상재 디스펜서 역시 압출튜브 내부로 조립되는 연결부의 구조로 인하여, 사용후 믹싱팁을 분리폐기시, 압출튜브 내부로 조립되는 연결부 공간만큼의 인상재가 잔존 되어 폐기되는 문제점과, 분할된 고정톱니부로 인하여, 톱니판부의 하단부에 비해 고정톱니부 상단에서의 저하된 강도로 인상재를 사출시킬 경우 믹싱팁의 밀착결합도가 취약하며, 인상재와 경화재가 혼입되는 믹싱팁내부의 혼입공간이 충분치 않아 혼합율로 인하여 일정길이 이하로는 믹싱부재를 채택하지 못하는 문제를 내포한다.
그리고, 국내의 등록특허 제10-1685323호는 인상재 및 경화재가 각각 저장되는 한쌍의 실린더로 이루어진 카트리지와, 상기 카트리지가 결합되어 인상재와 경화재가 서로 혼합되면서 압출되는 치과용 믹싱팁에 있어서도 카트리지에 결합되는 커낵터부의 배면에 형성된 두개의 결합홀은 커낵터부의 배면측에서 전면측으로 연통하게 형성된 것으로, 인상재와 경화재가 2개의 결합공사이로 위치된 믹싱튜브내의 베인부재의 샤프트사이로 사출되어 수용된 믹싱튜브로 유입되는 관계로 혼합율 재고를 위해 제1베인부재가 샤프트축에서 회전하도록 하는 부싱 또는 와셔를 부가하거나, 제1베인부재의 연결축부 내부에 영구자석을 내장하고 믹싱튜브내부에는 전자석을 내장하여 이를 회전시키는 강제혼합방식을 채택하는 구성으로 1회 사용 후 폐기되는 믹싱팁은 기능에 비하여 제조원가 상승부담과 유지비용이 증가로 인하여 치과인상비용이 상승 되는 문제가 대두 된다.
[문헌 1] KR 10-0954836 (B1) 2010.04.19 [문헌 2] KR 10-1091062 (B1) 2011.12.01 [문헌 3] KR 10-2015-0078712 (A) 2015.07.08 [문헌 4] KR 10-1599059 (B1) 2016.02.24 [문헌 5] KR 10-1652278 (B1) 2016.08.24 [문헌 6] KR 10-1685323 (B1) 2016.12.05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세히는 분리 수용된 인상재와 경화재가 각각 토출되는 카트리지 소켓이 믹싱팁연결구 내부로 결합되는 구조로 사용후 폐기하는 믹싱팁내에 남아 있게 되는 인상재의 잔여량을 최소화 있 수 있도록 하며, 카트리지의 믹싱팁결합단부와 결합되는 믹싱팁결합단턱에 테이퍼슬릿을 형성시켜 믹싱팁과 카트리지간 밀폐결합력을 증진하도록 하며, 각기 분리된 카트리지 소켓을 통해 배출되는 인상재와 경화재 토출구와 연접되게 형성시킨 믹싱룸을 통해 사전 혼합시키고, 믹싱룸과 일체로 연접되고 어긋나게 배치된 다단 혼합베인으로 인하여 경화재와 인상재의 혼합이 고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치과인상재 믹싱팁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치과인상재 믹싱팁 구조에 따른 믹싱팁(200)은 카트리지(100)의 믹싱팁결합단부(120)와 회전결합시키는 믹싱튜브(210)와 그 내부에 억지 끼움 수용되는 믹싱부(220)를 포함하는 것으로, 믹싱부(220)는 돌출된 2개의 믹싱팁연결구(224)가 카트리지소켓(130) 관내부로 접속되게 형성하고, 믹싱팁연결구(224)는 다단의 혼합베인(225)이 지지형성되는 테이퍼형상의 믹싱팁연결커넥터(221)와 일체 형성된다.
믹싱팁연결구(224)와 인접된 믹싱팁연결커넥터(221)의 하측외주연에는 테이퍼단턱요홈(227)이; 상측 외주연에는 믹싱룸격벽(222')으로 양분되는 챔버공간인 믹싱룸(222)이 옆트인체 형성되며, 믹싱룸(222) 바닥에는 2개의 믹싱팁연결구(224) 토출구가 믹싱룸격벽(222') 양편으로 분리형성되며, 옆트인 믹싱룸(222)의 양방 상측으로는 믹싱룸배출반홈(223)이 대칭 형성된다.
상기의 믹싱팁연결커넥터(221) 상측의 믹싱룸배출반홈(223) 중심부에 일체 형성되는 혼합베인(225)은 혼합베인축(226)을 심부로 그 저면부는 양편의 믹싱룸배출반홈(223)과 인접된 직상방위치에서 양단은 믹싱룸배출반홈(223)의 트인 방향이나 중간부는 혼합베인축(226)을 중심으로 360°나선구조로 일체형성된 혼합베인(225) 모듈단위로 90°간격으로 교번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믹싱부(220)의 혼합베인(225)을 수용하는 믹싱튜브(210)는 끝단에 배출구(215)가 마련되고, 그 대향편에는 상기의 믹싱팁연결커넥터(221)가 억지 끼움으로 내장 조립되는 믹싱튜브캡부(211)가 일체 형성된다.
상기의 믹싱튜브캡부(211)의 외주연에는 길이방향으로 대칭배치된 믹싱팁결합스톱퍼(212)가 돌출형성되며, 믹싱팁튜브캡부(211) 테두리와 연접되는 믹싱팁결합스톱퍼(212)의 하단 외측 우각으로는 일정 직경을 갖는 원호상에 상단이 테이퍼로 형성된 믹싱팁결합단턱(213)이 형성되며, 믹싱팁결합단턱(213)의 저면중간에는 믹싱튜브결합안내홈(214)이 형성되며, 믹싱튜브캡부(211)의 내주연에는 믹싱부(220)의 테이퍼단턱요홈부(227)와 밀착결합되는 테이퍼단턱(217)과 믹싱팁연결커넥터(221)를 압박단속하는 억지끼움스톱퍼(216)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치과인상재 믹싱팁 구조에 의하면, 상세히는 분리 수용된 인상재와 경화재가 각각 토출되는 카트리지 소켓이 믹싱팁연결구 내부로 결합되는 구조로 사용후 폐기하는 믹싱팁내에 남아 있게 되는 인상재의 잔여량을 최소화시켜 원가절감과 인상비용을 경감시키는 효과와 더불어, 카트리지의 믹싱팁결합단부와 결합되는 테이퍼형 믹싱팁결합단턱을 결합시 믹싱팁결합단부에 믹싱튜브를 끼워서 최대한 회전시켜 믹싱팁결합단턱스토퍼에 이르게 되는 위치에서는 가압력이 최대로 달하는 믹싱튜브결합안내홈(214) 위치에서 믹싱팁이 강하게 밀착 록킹 조립되는 효과로 인상재나 경화재의 유출에 의한 허실을 방지하도록 하는 효과를 추가로 제공하며, 최종적으로는 카트리지 소켓을 통해 배출되는 인상재와 경화재는 믹싱팁내의 믹싱팁연결커넥터부에 토출구와 연통되게 형성시킨 믹싱룸 챔버공간의 믹싱룸격벽(222')을 통해 1차 분리혼합시키고, 다시 믹싱룸과 상측으로 트인 믹싱룸배출반홈(223)을 통해 2차 분리혼합시키고, 최종적으로는 믹싱팁연결커넥터(221) 상측의 믹싱룸배출반홈(223) 중심부에 일체 형성되는 혼합베인(225)은 혼합베인축(226)을 심부로 그 저면부는 양편의 믹싱룸배출반홈(223)과 인접된 직상방위치에서 양단은 믹싱룸배출반홈(223)의 트인 방향이나 중간부는 혼합베인축(226)을 중심으로 360°나선구조로 일체형성된 혼합베인(225) 모듈단위로 90°간격으로 교번 형성되는 구조로 인상재의 혼합율이 높아 종래의 믹싱부에 비해 혼합베인의 단수를 줄여 원가절감과 함께 1회 사용으로 폐기되는 믹싱팁내 잔존폐기되는 인상재의 원가를 대폭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달성하도록 하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인상재 믹싱팁 사용상태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부분발췌 조립사용상태 확대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믹싱팁의 믹싱튜브에 관한 도면으로 ⅰ)은 외관사시도, ⅱ)는 정면도 ,ⅲ)는 믹싱튜브 정면도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믹싱부에 관한 도면으로 ⅰ)은 외관사시도 ⅱ)는 믹싱부외관사시도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믹싱부 추가 참고도면으로 ⅰ)은 믹싱룸의 측개구부가 정면으로 도시된 참고도이며, ⅱ)는 믹싱룸의 측개구부가 정면으로 도시된 참고도의 A-A'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주요부분인 믹싱부의 사시방향 캐드모델링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주요부분인 믹싱부의 혼합베인과 믹싱팁연결커넥터에 일체 형성된 믹싱룸 및 믹싱팁연결구가 나타나는 캐드모델링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주요부분인 믹싱부의 밑면쪽에서 도시된 캐드모델링도면
도 10은 종래 치과인상재 믹싱팁의 믹싱부에 대한 참고도로 ⅰ)은 사시도 ⅱ)는 종단면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도면에 의하여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인상재 믹싱팁 사용상태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부분발췌 조립사용상태 확대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믹싱팁(200)은 카트리지(100)의 실린더(110)내에 분리 수용된 인상재와 경화재가 각각 토출되는 카트리지소켓(130) 외주연에 형성된 믹싱팁결합단부(120)에 착탈 결합되어 사용된다.
인상재와 경화재의 사출은 별도의 카트리지건(미도시)으로 가압시켜 카트리지소켓(130)으로 사출된다.
믹싱팁(200)은 카트리지(100)의 믹싱팁결합단부(120)와 회전결합시키는 믹싱튜브(210)와 그 내부에 억지 끼움 수용되는 믹싱부(220)를 포함하는 것으로, 믹싱부(220)는 도 5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된 2개의 믹싱팁연결구(224)가 카트리지소켓(130) 관외부로 접속되게 형성하고, 믹싱팁연결구(224)는 다단의 혼합베인(225)이 지지형성되는 테이퍼형상의 믹싱팁연결커넥터(221)가 일체 형성된다.
믹싱팁연결구(224)와 인접된 믹싱팁연결커넥터(221)의 하측외주연에는 테이퍼단턱요홈(227)이; 상측 외주연에는 믹싱룸격벽(222')으로 양분되는 챔버공간인 믹싱룸(222)이 옆트인체 형성되며, 믹싱룸(222) 바닥에는 2개의 믹싱팁연결구(224) 토출구가 믹싱룸격벽(222') 양편으로 분리형성되며, 옆트인 믹싱룸(222)의 양방 상측으로는 믹싱룸배출반홈(223)이 대칭 형성된다.
상기의 믹싱팁연결커넥터(221) 상측의 믹싱룸배출반홈(223) 중심부에 일체 형성되는 혼합베인(225)은 혼합베인축(226)을 심부로 그 저면부는 양편의 믹싱룸배출반홈(223)과 인접된 직상방위치에서 양단은 믹싱룸배출반홈(223)의 트인 방향이나 중간부는 혼합베인축(226)을 중심으로 360°나선구조로 일체형성된 혼합베인(225) 모듈단위로 90°간격으로 교번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믹싱부(220)의 혼합베인(225)을 수용하는 믹싱튜브(21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끝단에 배출구(215)가 마련되고, 그 대향편에는 상기의 믹싱팁연결커넥터(221)가 억지 끼움으로 내장 조립되는 믹싱튜브캡부(211)가 일체 형성된다.
상기의 믹싱튜브캡부(211)의 외주연에는 길이방향으로 대칭배치된 믹싱팁결합스톱퍼(212)가 돌출형성되며, 믹싱팁튜브캡부(211) 테두리와 연접되는 믹싱팁결합스톱퍼(212)의 하단 외측 우각으로는 일정 직경을 갖는 원호상에 상단이 테이퍼로 형성된 믹싱팁결합단턱(213)이 형성되며, 믹싱팁결합단턱(213)의 저면중간에는 믹싱튜브결합안내홈(214)이 형성되며, 믹싱튜브캡부(211)의 내주연에는 믹싱부(220)의 테이퍼단턱요홈부(227)와 밀착결합되는 테이퍼단턱(217)과 믹싱팁연결커넥터(221)를 압박단속하는 억지끼움스톱퍼(216)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목적 달성을 위한 과제해결수단 과정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믹싱팁(200)은 사용후 폐기되는 과정에서 잔존되는 인상재와 경화재의 잔여량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분리 수용된 인상재와 경화재가 각각 토출되는 카트리지 소켓(130)이 믹싱팁연결구(224) 내부로 결합되는 구조로 카트리지소켓(130)이 믹싱팁연결구(224)내부로 접속결합된 부피만큼의 인상재와 경화재의 허실을 방지하는 것이다.
참고로 종래 믹싱부(1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믹싱팁 연결구(12) 카트리지소켓(130) 내부로 접속결합되는 관계로 믹싱팁을 폐기시 그 부피만큼의 인상재와 경화재가 묻어 나가는 허실이 발생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100)의 믹싱팁결합단부(120)와 결합되는 믹싱팁결합단턱(213)으로 인한 믹싱팁과 카트리지간 밀폐결합력을 증진하도록 하는 작용에는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100)에 형성된 2개의 카트리지소켓(130)과 믹싱팁(200)간의 밀폐결합력을 증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배경기술에 소개한 바와 같이 고정톱니부가 형성되어 있는 홀더와; 상기 고정톱니부에 밀착결합하는 톱니판부를 갖는 체결식이 갖는 지적된 단점을 극복하고 밀착도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카트리지의 믹싱팁결합단부(120)에 회전결합되는 믹싱팁의 믹싱팁결합단턱은 믹싱튜브캡부(211) 외주연에 단순하게 돌출된 단턱 또는 테이퍼진 단턱을 구비하여, 믹싱팁결합단부에 끼워 믹싱튜브를 회전결합시키더라도 카트리지건(미도시)으로 가압시켜 카트리지소켓(130)으로 경화재와 인상재를 사출시키는 과정에 발생하는 압력으로 믹싱부에 유격이나 나사풀림 현상으로 밀착도가 저하되어 인상재와 경화재가 유출되는 실정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도 2, 도 3,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믹싱튜브(210)의 믹싱튜브캡부(211)에 형성된 믹싱팁결합단턱(213)은 믹싱팁결합스톱퍼(212)의 하단 외측 우각으로는 일정 직경을 갖는 원호상에는 상단이 테이퍼로 형성된 믹싱팁결합단턱(213)은 카트리지의 믹싱팁결단부(120)에 끼워 회전시킬때 테이퍼로된 믹싱팁결합단턱(213)으로 인하여 믹싱팁(200) 길이방향으로는 가압 되어 밀착도가 증가한다.
하지만, 카트리지건의 잦은 가압작용과 믹싱팁(200) 내부에 수용된 혼합베인(225)의 나선와류흐름에 따라 나타나는 반력으로 인해 발생하는 풀림현상을 방지하도록 본 발명에서는 믹싱팁결합단부(120)에 믹싱튜브(210)을 끼워서 최대한 회전시켜 믹싱팁결합단턱스토퍼에 이르게 되는 위치에서는 가압력이 최대로 달하는 믹싱튜브결합안내홈(214) 위치에서 믹싱팁이 강하게 밀착 록킹 조립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으로 경화재와 인상재를 사출시키는 반력이나 혼합베인의 나선와류작업으로 발생하는 반력에 의한 믹싱부의 유격이나 나사풀림 현상이 제거되어 밀착도가 극대화 되어 인상재와 경화재가 유출을 방지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한편, 경화재와 인상재의 혼합이 고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목적 달성을 위한 수단으로 도 2, 도 3,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카트리지(100)에 분리 수용된 인상재와 경화재가 카트리지건(미도시)으로 가압시키면, 카트리지 소켓(130)을 통해 토출되어, 믹싱팁내의 믹싱팁연결커넥터부에 토출구와 연통되게 형성시킨 믹싱룸 챔버공간의 믹싱룸격벽(222')을 통해 1차 분리혼합시키고, 다시 믹싱룸과 상측으로 트인 믹싱룸배출반홈(223)을 통해 2차 분리혼합시키고, 최종적으로는 믹싱팁연결커넥터(221) 상측의 믹싱룸배출반홈(223) 중심부에 일체 형성되는 혼합베인(225)은 혼합베인축(226)을 심부로 그 저면부는 양편의 믹싱룸배출반홈(223)과 인접된 직상방위치에서 양단은 믹싱룸배출반홈(223)의 트인 방향이나 중간부는 혼합베인축(226)을 중심으로 360°나선구조로 일체형성된 혼합베인(225) 모듈단위로 90°간격으로 혼합베인(225)이 다단 교번형성된 혼합베인(225)에 의해 추가혼합이 진행되는 효과로 인상재의 혼합율이 높게 진행되는 관계로 인상재의 혼합율이 높아 종래의 믹싱부(10)에 비해 혼합베인(225)의 단수를 줄여 원가절감과 함께 1회 사용으로 폐기되는 믹싱팁(200)내 잔존폐기되는 인상재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을 달성하도록 하는 것이다.
10:종래의 믹싱부 11:종래 믹싱팁연결커넥터
12:종래 믹싱팁연결구 13a:종래의 경화재배출홈
13b:종래의 인상재배출홈 14:종래 혼합베인
100: 카트리지 110:실린더
120:믹싱팁결합단부 130:카트리지소켓
200:믹싱팁
210:믹싱튜브 211:믹싱튜브캡부
212:믹싱팁결합스토퍼 213:믹싱팁결합단턱
214:믹싱팁결합안내홈 215:배출구
216:억지끼움스토퍼 217:테이퍼단턱
220:믹싱부
221:믹싱팁연결커넥터 222:믹싱룸
222':믹싱룸 격벽
223:믹싱룸배출반홈 224:믹싱팁연결구
225:혼합베인 226:혼합베인축
227:테이퍼단턱요홈 228:믹싱부스톱퍼홈

Claims (4)

  1. 카트리지(100)의 실린더(110)내에 분리 수용된 인상재와 경화재가 각각 토출되는 카트리지소켓(130) 외주연에 형성된 믹싱팁결합단부(120)에 착탈 결합되어 사용되는 믹싱팁(200)에 있어서,
    믹싱팁(200)은 카트리지(100)의 믹싱팁결합단부(120)와 회전결합시키는 믹싱튜브(210)와 그 내부에 억지 끼움 수용되는 믹싱부(220)를 포함하는 것으로,
    믹싱부(220)는 돌출된 2개의 믹싱팁연결구(224)가 카트리지소켓(130) 관외부로 접속되게 형성하고, 믹싱팁연결구(224)는 다단의 혼합베인(225)이 지지형성되는 테이퍼형상의 믹싱팁연결커넥터(221)가 일체 형성되며,
    믹싱팁연결구(224)와 인접된 믹싱팁연결커넥터(221)의 하측외주연에는 테이퍼단턱요홈(227)이; 상측 외주연에는 믹싱룸격벽(222')으로 양분되는 챔버공간인 믹싱룸(222)이 옆트인체 형성되며, 믹싱룸(222) 바닥에는 2개의 믹싱팁연결구(224) 토출구가 믹싱룸격벽(222') 양편으로 분리형성되며, 옆트인 믹싱룸(222)의 양방 상측으로는 믹싱룸배출반홈(223)이 대칭 형성되며,
    상기의 믹싱팁연결커넥터(221) 상측의 믹싱룸배출반홈(223) 중심부에 일체 형성되는 혼합베인(225)은 혼합베인축(226)을 심부로 그 저면부는 양편의 믹싱룸배출반홈(223)과 인접된 직상방위치에서 양단은 믹싱룸배출반홈(223)의 트인 방향이나 중간부는 혼합베인축(226)을 중심으로 360°나선구조로 일체형성된 혼합베인(225)이 모듈단위로 90°간격으로 교번형성되며,
    상기의 믹싱부(220)의 혼합베인(225)을 수용하는 믹싱튜브(210)는 배출구(215)가 마련된 대향편에는 상기의 믹싱팁연결커넥터(221)가 억지 끼움으로 내장 조립되는 믹싱튜브캡부(211)가 일체 형성되며,
    상기의 믹싱튜브캡부(211)의 외주연에는 길이방향으로 대칭배치된 믹싱팁결합스톱퍼(212)가 돌출형성되며, 믹싱팁튜브캡부(211) 테두리와 연접되는 믹싱팁결합스톱퍼(212)의 하단 외측 우각으로는 일정 직경을 갖는 원호상에 상단이 테이퍼로 형성된 믹싱팁결합단턱(213)이 형성되며, 믹싱팁결합단턱(213)의 저면중간에는 믹싱튜브결합안내홈(214)이 형성되며, 믹싱튜브캡부(211)의 내주연에는 믹싱부(220)의 테이퍼단턱요홈부(227)와 밀착결합되는 테이퍼단턱(217)과 믹싱팁연결커넥터(221)를 압박단속하는 억지끼움스톱퍼(216)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인상재 믹싱팁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카트리지(100)에 분리 수용된 인상재와 경화재는 카트리지 소켓(130)을 통해 토출되어, 믹싱팁내의 믹싱팁연결커넥터부에 토출구와 연통되게 형성시킨 믹싱룸 챔버공간의 믹싱룸격벽(222')을 통해 1차 분리혼합이 진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인상재 믹싱팁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1차 혼합된 경화재와 인상재는 믹싱룸(222)과 상측으로 트인 믹싱룸배출반홈(223)을 통해 2차 분리혼합이 진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인상재 믹싱팁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믹싱룸배출반홈(223)을 통해 2차 분리혼합된 경화재와 인상재는 교번설치된 혼합베인(225)을 통과하면서 혼합이 반복진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인상재 믹싱팁 구조.
KR1020170135539A 2017-10-19 2017-10-19 치과인상재 믹싱팁 구조 KR1018914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5539A KR101891482B1 (ko) 2017-10-19 2017-10-19 치과인상재 믹싱팁 구조
PCT/KR2018/010138 WO2019078482A1 (ko) 2017-10-19 2018-08-31 치과인상재 믹싱팁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5539A KR101891482B1 (ko) 2017-10-19 2017-10-19 치과인상재 믹싱팁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1482B1 true KR101891482B1 (ko) 2018-08-24

Family

ID=63454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5539A KR101891482B1 (ko) 2017-10-19 2017-10-19 치과인상재 믹싱팁 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91482B1 (ko)
WO (1) WO201907848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70718A (zh) * 2022-06-22 2022-08-09 张亚璐 装配式建筑用双组分改性硅酮密封胶制备装置及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1062B1 (ko) 2011-07-04 2011-12-08 (주) 세일덴텍 자동형 치과인상재 혼합 믹싱팁
KR101599059B1 (ko) 2015-10-07 2016-03-02 (주)디엑스엠 폐 액형 재료를 줄일 수 있는 이액형 믹싱팁
KR101652278B1 (ko) 2015-05-14 2016-09-09 박동신 인상재 디스펜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37789A1 (de) * 2003-08-14 2005-09-15 3M Espe Ag Einzeldosisspritze für ein mehrkomponentiges Material
KR20150078712A (ko) * 2013-12-31 2015-07-08 김인자 치과 치료용 인상재의 믹싱팁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1062B1 (ko) 2011-07-04 2011-12-08 (주) 세일덴텍 자동형 치과인상재 혼합 믹싱팁
KR101652278B1 (ko) 2015-05-14 2016-09-09 박동신 인상재 디스펜서
KR101599059B1 (ko) 2015-10-07 2016-03-02 (주)디엑스엠 폐 액형 재료를 줄일 수 있는 이액형 믹싱팁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70718A (zh) * 2022-06-22 2022-08-09 张亚璐 装配式建筑用双组分改性硅酮密封胶制备装置及方法
CN114870718B (zh) * 2022-06-22 2024-04-12 佛山市粤昇装饰材料有限公司 装配式建筑用双组分改性硅酮密封胶制备装置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78482A1 (ko) 2019-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805385B (zh) 一种用于阀体的测试帽
US8672188B2 (en) Intermediate piece for the connection of a storage container to a static mixer
JP5013073B2 (ja) 2液混合注入装置及びそのミキサ
US6837399B1 (en) Dynamic mixer
JP3769058B2 (ja) ミキサと多反応性成分分配装置との組立体及び整合結合方法
KR101091062B1 (ko) 자동형 치과인상재 혼합 믹싱팁
CA2535459A1 (en) Unit-dose syringe for a multi-component material
KR101891482B1 (ko) 치과인상재 믹싱팁 구조
JP5506060B2 (ja) 攪拌機能を有する吐出装置
KR101479796B1 (ko) 인라인 믹서 장치
WO2011132290A1 (ja) 2液混合型注入機
US20060254585A1 (en) Powder medicine administering device
US5325887A (en) Connecting device for a sanitary appliance mixing valve
KR100970546B1 (ko) 크림타입 염색약 용기 및 그 제조방법
WO2022153954A1 (ja) 吐出装置、及び吐出システム
CN213648682U (zh) 多材料混合喷头
CN114144262B (zh) 排放布置结构、部件、配件、将配件连接到部件的方法以及系统
CN210484686U (zh) 一种用于调色机的换向阀
JP4112705B2 (ja) ミキサーヘッド
KR101997810B1 (ko) 치과용 혼합팁 및 이를 카트리지에 조립하는 방법
CN214466302U (zh) 水龙头主体及预埋式水龙头总成
JP3172561U (ja) 2液混合型注入機
JP6154785B2 (ja) 多液混合型注入機用ミキサー
CN213942900U (zh) 一种原料混合装置
CN218682664U (zh) 一种按压泵与染剂瓶密封连接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