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9059B1 - 폐 액형 재료를 줄일 수 있는 이액형 믹싱팁 - Google Patents

폐 액형 재료를 줄일 수 있는 이액형 믹싱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9059B1
KR101599059B1 KR1020150141112A KR20150141112A KR101599059B1 KR 101599059 B1 KR101599059 B1 KR 101599059B1 KR 1020150141112 A KR1020150141112 A KR 1020150141112A KR 20150141112 A KR20150141112 A KR 20150141112A KR 101599059 B1 KR101599059 B1 KR 1015990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xing
connector
pipe
pair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1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두락
신경수
Original Assignee
(주)디엑스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엑스엠 filed Critical (주)디엑스엠
Priority to KR1020150141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90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9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9059B1/ko
Priority to PCT/KR2016/011081 priority patent/WO201706174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26Syringes or guns for injecting impression material; Mixing impression material for immediate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05Devices for the manual mixing of small quantities of materials, e.g. trays for mixing dental porcel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B01F13/00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3/00Other mixers; 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01F7/00416
    • B01F2215/0034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액형 믹싱팁에 관한 것으로서, 판면에 제1재료와 제2재료가 공급되는 한 쌍의 공급공이 형성되는 커넥터와; 선단에 혼합재료배출공이 형성되는 스크류수용관과, 상기 스크류수용관의 후단에 구비되며 상기 커넥터가 결합되는 커넥터결합관을 갖는 믹싱관과; 상기 스크류수용관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한 쌍의 공급공으로부터 배출된 제1재료와 제2재료가 혼합되어 상기 혼합재료배출공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믹싱스크류를 포함하되, 상기 커넥터는, 상기 커넥터결합관에 접촉 지지되는 커넥터본체와; 상기 한 쌍의 공급공에 연통되게 상기 커넥터본체의 후단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제1재료와 제2재료를 각각 공급받는 한 쌍의 공급관과; 상기 한 쌍의 공급공의 주변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공급공으로부터 배출된 재료을 서로 다른 경로로 분산시켜 다층구조로 상기 믹싱스크류로 공급되도록 하는 제1분산안내홈과 제2분산안내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폐 액형 재료를 줄일 수 있는 이액형 믹싱팁{MIXING TIP TO REDUCE WASTE MATERIAL}
본 발명은 이액형 믹싱팁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믹싱관 내부에 잔류하여 버려지는 폐 이액형 재료를 줄일 수 있는 이액형 믹싱팁에 관한 것이다.
치과에서는 치아 인상을 얻기 위해 액상의 실리콘 베이스에 경화제를 혼합하여 신속하게 경화되도록 한 치과용 재료이 사용된다. 치과용 재료은 통상 재료 카트리지 조립체에 수용되어 사용된다. 재료 카트리지 조립체는 실리콘 베이스와 경화제를 각각 수용하는 재료 카트리지에, 두 가지를 혼합하여 배출시키는 믹싱팁을 부착하여 사용된다.
종래 믹싱팁의 일례가 공개특허 제10-2014-0136777호 "믹싱장치용 믹싱팁 어셈블리"에 개시된 바 있다.
도 1은 종래 믹싱팁(1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믹싱팁(10)은 믹싱관(13) 내부에 고정된 상태로 두 종류의 재료(a,b)를 혼합하는 믹싱날개(15)를 포함한다. 커넥터(11)에 형성된 재료공급구(11a)를 통해 공급된 두 종류의 인상재료(a,b)는 믹싱날개(15)를 따라 이동하면서 점차 혼합된다.
즉, 처음 커넥터(11)를 통과하고 첫 번째 믹싱날개(15a)에 도달했을 때는 두 개의 재료(a,b)이 두 층으로 혼합되어 이동되고, 두 번째 믹싱날개(15b)에 도달했을 때는 네 층으로 혼합되어 이동되고, 세 번째 믹싱날개(15c)에서는 여덟층으로 혼합되어 이동된다.
믹싱날개를 한번씩 경유할 때마다 유입되는 혼합층의 두 배만큼 재료(a,b)의 혼합층이 증가된다. 재료(a,b)가 완전히 혼합되기 위해서는 최소 8개 이상의 믹싱날개를 거쳐야만 균일하게 혼합된다. 이 때, 8개 이상의 믹싱날개가 수용되기 위해서는 전체 믹싱관(15)의 길이(L1)가 길어지게 된다.
믹싱관(15)으로부터 혼합된 재료이 배출되고 시술이 완료되면, 믹싱팁(10)은 디스펜서(미도시)와 분리된다. 이 때, 믹싱팁(10)의 내부에 잔류하는 재료(a,b)은 경화되어 사용하지 못하므로 폐기된다.
믹싱관(15)의 길이(L1)가 길수록 내부에 잔류되는 인상재료(a,b)의 양이 많으므로 버려지는 인상재료(a,b)의 양도 증가된다. 인상재료(a,b)의 가격이 고가인 것을 감안하면 버려지는 인상재료(a,b)의 양이 많을수록 관리비용이 증가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재료가 혼합되는 믹싱관의 길이를 줄여 믹싱관 내부에 잔류되어 버려지는 폐 이액형 재료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는 믹싱팁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1재료와 제2재료를 서로 혼합시켜 배출하는 믹싱팁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믹싱팁은, 판면에 제1재료와 제2재료가 공급되는 한 쌍의 공급공이 형성되는 커넥터와; 선단에 혼합재료배출공이 형성되는 스크류수용관과, 상기 스크류수용관의 후단에 구비되며 상기 커넥터가 결합되는 커넥터결합관을 갖는 믹싱관과; 상기 스크류수용관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한 쌍의 공급공으로부터 배출된 제1재료와 제2재료가 혼합되어 상기 혼합재료배출공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믹싱스크류를 포함하되, 상기 커넥터는, 상기 커넥터결합관에 접촉 지지되는 커넥터본체와; 상기 한 쌍의 공급공에 연통되게 상기 커넥터본체의 후단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제1재료와 제2재료를 각각 공급받는 한 쌍의 공급관과; 상기 한 쌍의 공급공의 주변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공급공으로부터 배출된 재료을 서로 다른 경로로 분산시켜 다층구조로 상기 믹싱스크류로 공급되도록 하는 제1분산안내홈과 제2분산안내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분산안내홈과 상기 제2분산안내홈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분산안내홈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제1분산가지와 상기 제2분산안내홈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제2분산가지는 서로 교번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분산안내홈과 상기 제2분산안내홈은 "E"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분산가지와 상기 제2분산가지는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나 면적이 서로 상이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1분산가지와 상기 제2분산가지를 통해 상기 믹싱관으로 공급되는 제1재료와 상기 제2재료의 혼합비율이 상이하게 조절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분산가지와 상기 제2분산가지는 서로 개수가 상이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1분산가지와 상기 제2분산가지를 통해 상기 믹싱관으로 공급되는 제1재료와 상기 제2재료의 혼합비율이 상이하게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믹싱팁은 믹싱관으로 제1재료와 제2재료가 유입되기 전에 커넥터에서 1차적으로 혼합되게 된다. 이에 의해 재료를 균일하게 혼합하기 위한 믹싱스크류와 믹싱관의 길이를 줄일 수 있어 믹싱관 내부에 잔류하여 버려지는 재료의 양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 믹싱팁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믹싱팁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믹싱팁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믹싱팁의 커넥터로부터 재료이 배출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믹싱팁을 통해 재료이 혼합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 예시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믹싱팁(100)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믹싱팁(100)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믹싱팁(100)은 제1재료(a)와 제2재료(b)가 수용되는 디스펜서(미도시)에 결합되어 사용된다. 디스펜서(미도시)는 내부에 제1재료(a)가 수용되는 제1재료카트리지(미도시)와 제2재료(b)가 수용되는 제2재료카트리지(미도시)가 결합된다. 디스펜서(미도시)는 각 재료카트리지(미도시)에 장착된 피스톤(미도시)을 사용자가 수동으로 가압하여 제1재료(a)와 제2재료(b)를 믹싱팁(100)으로 공급한다.
믹싱팁(100)은 디스펜서(미도시)와 결합되는 커넥터(110)와, 커넥터(110)에 결합되어 제1재료(a)와 제2재료(b)가 혼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믹싱관(120)과, 믹싱관(120) 내부에 수용되어 제1재료(a)와 제2재료(b)가 혼합되도록 하는 믹싱스크류(130)를 포함한다.
커넥터(110)는 디스펜서(미도시)로부터 제1재료(a)와 제2재료(b)를 공급받아 믹싱관(120) 내부로 공급한다. 이 때, 본 발명의 커넥터(110)는 제1재료(a)와 제2재료(b)를 1차적으로 혼합하여 믹싱관(120) 내부로 공급하여 보다 빠르게 제1재료(a)와 제2재료(b)가 혼합될 수 있도록 한다.
커넥터(110)는 원판 형태로 형성된 커넥터본체(111)와, 커넥터본체(111)의 후단에 결합되어 제1재료(a)와 제2재료(b)를 각각 디스펜서(미도시)로부터 공급하는 제1공급관(113) 및 제2공급관(115)과, 제1공급관(113)의 주변에 형성되어 제1재료(a)를 복수개의 경로로 분산시켜 믹싱관(120)으로 공급하는 제1분산안내홈(117)과, 제2공급관(115)의 주변에 형성되어 제2재료(b)를 복수개의 경로로 분산시켜 믹싱관(120)으로 공급하는 제2분산안내홈(119)을 포함한다.
커넥터본체(111)는 원판 형태로 형성되고, 전면이 믹싱관(120)을 향해 배치되고 배면이 디스펜서(미도시)를 향해 배치된다. 커넥터본체(111)의 외경은 믹싱관(120)의 커넥터결합관(121)의 내경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이에 의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본체(111)가 커넥터결합관(121)의 내부에 수용되어 위치가 고정된다.
이 때, 커넥터본체(111)의 배면에는 커넥터본체(111)의 위치를 커넥터결합관(121) 내부에 고정시키는 결합고리(112)가 구비된다. 결합고리(112)는 탄성적으로 이동되고, 단부의 결합돌기(112a)가 커넥터결합관(121) 내부에 걸림결합되어 커넥터본체(111)를 커넥터결합관(121) 내부에 고정된다.
커넥터본체(111)는 배면에 제1공급관(113)과 제2공급관(115)이 일정 길이 연장되게 결합된다. 제1공급관(113)은 제1재료카트리지(미도시)와 결합되어 제1재료(a)를 공급하고, 제2공급관(115)은 제2재료카트리지(미도시)와 결합되어 제2재료(b)를 공급한다.
이 때, 커넥터본체(111)의 전면에는 제1공급관(113)과 연통되는 제1공급공(113a)과, 제2공급관(115)과 연통되는 제2공급공(115a)이 형성된다. 제1공급공(113a)과 제2공급공(115a)은 커넥터본체(111)의 전면의 판면에 대해 일정 깊이 함몰되게 형성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본체(111)의 전면 외주면에 비해 일정 깊이 함몰되게 제1공급공(113a)과 제2공급공(115a)이 위치된다. 제1공급공(113a)과 제2공급공(115a)은 서로 대향되는 방향에 이격되게 배치된다.
제1분산안내홈(117)은 제1공급공(113a)의 주변에 형성되어 제1공급공(113a)을 통해 배출된 제1재료(a)를 세 개의 서로 다른 경로로 분산시켜 믹싱관(120)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제1분산안내홈(117)은 커넥터본체(111)의 가운데를 향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분기된 세 개의 분산가지(117a,117b,117c)를 갖는다. 제1분산가지(117a), 제2분산가지(117b) 및 제3분산가지(117c)는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커넥터본체(111)의 가운데를 향해 분기된다.
제2분산안내홈(119)은 커넥터본체(111)의 가운데를 향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분기된 세 개의 분산가지(119a,119b,119c)를 갖는다. 제4분산가지(119a), 제5분산가지(119b) 및 제6분산가지(119c)는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커넥터본체(111)의 가운데를 향해 분기된다.
제1분산안내홈(117)과 제2분산안내홈(119)은 커넥터본체(111)의 전면에서 제1공급공(113a) 및 제2공급공(115a)과 동일한 깊이로 함몰 형성된다. 제1분산안내홈(117)과 제2분산안내홈(119)은 서로 "E"자 형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그리고, 제1분산안내홈(117)과 제2분산안내홈(119)은 서로의 분산가지가 서로 교번적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즉, 일측으로부터 제1분산가지(117a), 제4분산가지(119a), 제2분산가지(117b), 제5분산가지(119b), 제3분산가지(117c), 제6분산가지(119c)의 순으로 서로 교번적으로 배치된다.
이에 의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110)를 통해 제1재료(a)와 제2재료(b)가 믹싱관(120)으로 배출될 때, 제1재료(a)와 제2재료(b)가 제1분산안내홈(117)과 제2분산안내홈(119)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분산가지(117a,117b,117c, 119a,119b,119c)를 향해 분산된다. 그리고, 복수개로 분산된 제1재료(a)와 제2재료(b)가 서로 교번적으로 적층되어서 배출된다.
따라서, 커넥터(110)를 통해 제1재료(a)와 제2재료(b)가 유입된 후 제1공급공(113a)과 제2공급공(115a)으로 배출되면서 제1재료(a)와 제2재료(b)가 서로 교번적으로 적층된 6개의 층으로 나뉘어져 믹싱관(120)으로 유입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종래 믹싱팁(10)이 제1재료(a)와 제2재료(b)의 두 층으로 믹싱관(13)으로 유입되던 것과 비교할 때, 본 발명의 믹싱팁(100)은 6개의 층으로 제1재료(a)와 제2재료(b)가 미리 혼합되어 유입될 수 있다.
믹싱관(120)은 커넥터(110)를 통해 배출되는 6개층으로 혼합된 제1재료(a)와 제2재료(b)가 완전히 혼합될 수 있도록 혼합공간을 제공한다. 믹싱관(120)은 커넥터(110)가 결합되는 커넥터결합관(121)과, 커넥터결합관(121)으로부터 연장되며 내부에 믹싱스크류(130)가 수용되는 스크류수용관(123)을 포함한다.
커넥터결합관(121)과 스크류수용관(123) 사이에는 복수개의 분산가지(117a,117b.117c,119a,119b,119c)들로 분산되어 있는 6개층의 제1재료(a)와 제2재료(b)를 스크류수용관(123)으로 안내하는 재료안내관(122)이 형성된다. 또한, 스크류수용관(123)의 일측에는 보강리브(127)가 형성된다.
커넥터결합관(121)은 내부에 커넥터(110)를 수용한 채로 디스펜서(미도시)와 결합한다. 디스펜서(미도시)와 고정된 상태에서 디스펜서(미도시)로부터 제1재료(a)와 제2재료(b)가 커넥터(110)로 공급되도록 한다.
믹싱스크류(130)는 스크류수용관(123) 내부에 수용되어 6개층으로 유입되는 제1재료(a)와 제2재료(b)가 균일하게 혼합되도록 한다. 믹싱스크류(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수용관(123)의 축방향을 따라 배치된 연결축(135)에 제1혼합날개(131)와 제2혼합날개(133)가 결합되어 형성된다.
제1혼합날개(131)와 제2혼합날개(133)는 한 개의 몸체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된다. 즉, 제1혼합날개(131)는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재료을 안내하고, 제2혼합날개(133)는 실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재료을 안내한다.
커넥터(110)를 통해 강제로 스크류수용관(123)으로 유입된 제1재료(a)와 제2재료(b)는 공급압력에 의해 강제로 제1혼합날개(131)와 제2혼합날개(133)를 경유하게 된다. 이 때,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교차지점에서 서로 혼합되고, 다시 두 개의 방향으로 분할된후 혼합되는 과정이 반복적으로 수행된다.
이에 한 개의 혼합날개세트(135a,135b)를 경유할 때마다 제1재료(a)와 제2재료(b)는 2배수로 혼합층이 형성되게 된다.
이 때, 커넥터(110)의 제1분산안내홈(117)과 제2분산안내홈(119)을 통해 1차적으로 6개의 층으로 혼합된 제1재료(a)와 제2재료(b)가 공급되므로, 제1재료(a)와 제2재료(b)를 균일하게 혼합하기 위한 믹싱스크류(130)의 길이가 종래 믹싱스크류(도1의 15)에 비해 짧아질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110)를 배출될 때 6개의 층으로 혼합된 제1재료(a)와 제2재료(b)는 1차믹싱날개(130a)를 경유하면서 12개의 층으로 혼합된다. 그리고, 다시 2차믹싱날개(130b)를 경유하면서 24개의 층으로 혼합된다.
동일한 구조의 믹싱스크류를 사용할 때 800층 이상으로 제1재료(a)와 제2재료(b)를 혼합하려면 종래 믹싱팁(10)은 최소 9번의 믹싱날개(15)를 경유해야 하는 반면, 본 발명의 믹싱팁(100)은 7번의 믹싱스크류(130)를 경유하면 된다.
따라서, 믹싱스크류(130)의 길이를 줄일 수 있고, 믹싱스크류(130)를 수용하는 스크류수용관(123)의 길이(L2)도 줄일 수 있다. 이 때, 동일한 구조의 믹싱스크류를 사용하는 경우 스크류수용관(123)의 길이(L2)는 종래 믹싱관(15)의 길이(도 1의 L1)에 비해 10~20% 줄일 수 있다.
이렇게 스크류수용관(123)의 길이가 줄어들게 되면, 시술이 완료된 후 믹싱관(120) 내부에 잔류하는 재료의 양도 줄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버려지는 재료의 양을 줄일 수 있어 관리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믹싱팁(100)을 통해 제1재료(a)와 제2재료(b)가 혼합되어 배출되는 과정을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믹싱팁(100)을 디스펜서(미도시)에 결합한다. 믹싱관(120)의 커넥터결합관(121)의 내부에 커넥터(110)를 결합하고, 커넥터결합관(121)의 후단을 디스펜서(미도시)에 결합시킨다.
이 때, 커넥터(110)의 제1공급관(113)과 제2공급관(115)은 각각 제1재료카트리지(미도시) 및 제2재료카트리지(미도시)에 결합된다.
믹싱팁(100)과 디스펜서(미도시)의 결합이 완료되고, 사용자가 피스톤(미도시)을 가압하면, 제1재료카트리지(미도시)와 제2재료카트리지(미도시)로부터 제1재료(a)와 제2재료(b)가 제1공급관(113)과 제2공급관(115)으로 공급된다.
제1공급관(113)과 제2공급관(115)으로 공급되는 제1재료(a)와 제2재료(b)는 제1공급공(113a)과 제2공급공(115a)을 통해 커넥터(110)의 전방으로 배출된다. 제1공급공(113a)과 제2공급공(115a)으로 배출된 제1재료(a)와 제2재료(b)는 함몰형성된 제1분산안내홈(117)과 제2분산안내홈(119)의 형상을 따라 안내되어 이동된다.
제1분산안내홈(117)의 제1,2,3분산가지(117a,117b,117c)로 제1재료(a)가 분기되어 배출되고, 제2분산안내홈(119)의 제4,5,6분산가지(119a,119b,119c)로 제2재료(b)가 분리되어 배출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재료(a)와 제2재료(b)가 서로 교번적으로 혼합되게 배출되고, 재료안내관(122)의 안내에 의해 스크류수용관(123)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믹싱스크류(130)로 제1재료(a)와 제2재료(b)가 유입된다. 6층으로 혼합된 상태의 제1재료(a)와 제2재료(b)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믹싱스크류(130a), 2차믹싱스크류(130b), 3차믹싱스크류(130c)를 순차적으로 경유하면서, 12층, 24층, 48층..순으로 점점 혼합된다.
7차믹싱스크류를 경유하며 균일하게 혼합된 제1재료와 제2재료(a,b)는 배출공(129)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 때, 믹싱스크류(130)로 유입되기 전에 제1재료(a)와 제2재료(b)가 커넥터(110)에서 1차적으로 혼합되므로 믹싱스크류(130)와 스크류수용관(123)의 길이를 커넥터에서 혼합이 되지 않는 종래 믹싱팁(10)과 비교할 때 줄일 수 있다.
이에 의해 믹싱관(120) 내부에 잔류하여 버려지는 재료의 양을 줄일 수 있어 관리비용을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믹싱팁은 믹싱관으로 제1재료와 제2재료가 유입되기 전에 커넥터에서 1차적으로 혼합되게 된다. 이에 의해 재료을 균일하게 혼합하기 위한 믹싱스크류와 믹싱관의 길이를 줄일 수 있어 믹싱관 내부에 잔류하여 버려지는 재료의 양을 줄일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는 제1분산안내홈과 제2분산안내홈이 각각 3개씩의 분산가지를 구비하여, 제1재료와 제2재료가 6개의 층으로 혼합되어 믹싱스크류로 유입된다. 그러나, 이는 일례일 뿐이며 경우에 따라 제1분산안내홈과 제2분산안내홈은 2개씩의 분산가지를 가지거나, 4개 이상의 분산가지를 가질 수도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믹싱팁은 제1분산안내홈과 제2분산안내홈으로 안내된 제1재료와 제2재료가 동일한 비율로 스크류수용관으로 안내된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 제1재료와 제2재료가 상이한 비율로 스크류수용관으로 안내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분산안내홈을 형성하는 분산가지의 개수와 제2분산안내홈을 형성하는 분산가지의 개수가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재료와 제2재료가 1:1의 비율일 경우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동일한 형상으로 3개씩의 가지를 갖도록 제1분산안내홈과 제2분산안내홈이 형성될 수 있다.
반면, 상이한 비율, 일례로 제1재료와 제2재료가 2:3의 비율로 혼합되어야 할 경우, 제1분산안내홈은 2개의 분산가지를 갖고 제2분산안내홈은 3개의 분산가지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1분산안내홈의 분산가지와 제2분산안내홈의 분산가지는 동일한 면적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이한 비율로 제1재료와 제2재료가 혼합되게 하기 위해, 제1분산안내홈과 제2분산안내홈의 분산가지가 동일한 개수로 구비되나 면적이 상이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재료와 제2재료가 2:3의 비율로 혼합되어야 할 경우 제1분산안내홈과 제2분산안내홈은 모두 3개의 분산가지를 갖도록 형서되나, 제1분산안내홈의 분산가지의 두께보다 제2분산안내홈의 분산가지의 두께가 더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이액형 믹싱팁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믹싱팁 110 : 커넥터
111 : 커넥터본체 112 : 결합고리
113 : 제1공급관 113a : 제1공급공
115 : 제2공급관 115a : 제2공급공
117 : 제1분산안내홈 117a,117b,117c : 제1,2,3분산가지
119 : 제2분산안내홈 119a, 119b,119c : 제4,5,6분산가지
120 : 믹싱관 121 : 커넥터결합관
122 : 재료안내관 123 : 스크류수용관
127 : 보강리브 129 : 배출공
130 : 믹싱스크류 131 : 제1혼합날개
133 : 제2혼합날개 135 : 연결축
135a : 커넥터결합바 135b : 수용관결합바

Claims (5)

  1. 제1재료와 제2재료를 서로 혼합시켜 배출하는 믹싱팁에 있어서,
    판면에 제1재료와 제2재료가 공급되는 한 쌍의 공급공이 형성되는 커넥터와;
    선단에 혼합재료배출공이 형성되는 스크류수용관과, 상기 스크류수용관의 후단에 구비되며 상기 커넥터가 결합되는 커넥터결합관을 갖는 믹싱관과;
    상기 스크류수용관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한 쌍의 공급공으로부터 배출된 제1재료와 제2재료가 혼합되어 상기 혼합재료배출공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믹싱스크류를 포함하되,
    상기 커넥터는,
    상기 커넥터결합관에 접촉 지지되는 커넥터본체와;
    상기 한 쌍의 공급공에 연통되게 상기 커넥터본체의 후단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제1재료와 제2재료를 각각 공급받는 한 쌍의 공급관과;
    상기 한 쌍의 공급공의 주변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공급공으로부터 배출된 재료을 서로 다른 경로로 분산시켜 다층구조로 상기 믹싱스크류로 공급되도록 하는 제1분산안내홈과 제2분산안내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싱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산안내홈과 상기 제2분산안내홈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분산안내홈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제1분산가지와 상기 제2분산안내홈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제2분산가지는 서로 교번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싱팁.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산안내홈과 상기 제2분산안내홈은 "E"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싱팁.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산가지와 상기 제2분산가지는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나 면적이 서로 상이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1분산가지와 상기 제2분산가지를 통해 상기 믹싱관으로 공급되는 제1재료와 상기 제2재료의 혼합비율이 상이하게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싱팁.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산가지와 상기 제2분산가지는 서로 개수가 상이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1분산가지와 상기 제2분산가지를 통해 상기 믹싱관으로 공급되는 제1재료와 상기 제2재료의 혼합비율이 상이하게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싱팁.
KR1020150141112A 2015-10-07 2015-10-07 폐 액형 재료를 줄일 수 있는 이액형 믹싱팁 KR1015990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1112A KR101599059B1 (ko) 2015-10-07 2015-10-07 폐 액형 재료를 줄일 수 있는 이액형 믹싱팁
PCT/KR2016/011081 WO2017061747A1 (ko) 2015-10-07 2016-10-04 폐 액형 재료를 줄일 수 있는 이액형 믹싱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1112A KR101599059B1 (ko) 2015-10-07 2015-10-07 폐 액형 재료를 줄일 수 있는 이액형 믹싱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9059B1 true KR101599059B1 (ko) 2016-03-02

Family

ID=55582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1112A KR101599059B1 (ko) 2015-10-07 2015-10-07 폐 액형 재료를 줄일 수 있는 이액형 믹싱팁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99059B1 (ko)
WO (1) WO2017061747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61747A1 (ko) * 2015-10-07 2017-04-13 (주)디엑스엠 폐 액형 재료를 줄일 수 있는 이액형 믹싱팁
KR101891482B1 (ko) 2017-10-19 2018-08-24 주식회사 한마음 치과인상재 믹싱팁 구조
KR101985970B1 (ko) * 2018-11-01 2019-06-07 영진전문대학 산학협력단 전동식 치과용 약액 믹싱 건
KR101985969B1 (ko) * 2018-11-01 2019-09-30 영진전문대학 산학협력단 믹싱 팁 및 그를 구비하는 치과용 약액 믹싱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4836B1 (ko) * 2009-12-18 2010-04-28 (주)세일글로발 인상재 카트리지의 믹싱팁 결합구조
KR101355130B1 (ko) * 2013-04-25 2014-01-27 (주)디엑스엠 인상재 믹싱팁
KR20140136777A (ko) * 2013-05-21 2014-12-01 박병섭 믹싱장치용 믹싱팁 어셈블리
KR20150078712A (ko) * 2013-12-31 2015-07-08 김인자 치과 치료용 인상재의 믹싱팁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80959B1 (de) * 2011-02-28 2016-07-27 Sulzer Mixpac AG Dynamischer mischer und dessen verwendung
KR101599059B1 (ko) * 2015-10-07 2016-03-02 (주)디엑스엠 폐 액형 재료를 줄일 수 있는 이액형 믹싱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4836B1 (ko) * 2009-12-18 2010-04-28 (주)세일글로발 인상재 카트리지의 믹싱팁 결합구조
KR101355130B1 (ko) * 2013-04-25 2014-01-27 (주)디엑스엠 인상재 믹싱팁
KR20140136777A (ko) * 2013-05-21 2014-12-01 박병섭 믹싱장치용 믹싱팁 어셈블리
KR20150078712A (ko) * 2013-12-31 2015-07-08 김인자 치과 치료용 인상재의 믹싱팁 구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61747A1 (ko) * 2015-10-07 2017-04-13 (주)디엑스엠 폐 액형 재료를 줄일 수 있는 이액형 믹싱팁
KR101891482B1 (ko) 2017-10-19 2018-08-24 주식회사 한마음 치과인상재 믹싱팁 구조
WO2019078482A1 (ko) * 2017-10-19 2019-04-25 주식회사 한마음 치과인상재 믹싱팁 구조
KR101985970B1 (ko) * 2018-11-01 2019-06-07 영진전문대학 산학협력단 전동식 치과용 약액 믹싱 건
KR101985969B1 (ko) * 2018-11-01 2019-09-30 영진전문대학 산학협력단 믹싱 팁 및 그를 구비하는 치과용 약액 믹싱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61747A1 (ko) 2017-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9059B1 (ko) 폐 액형 재료를 줄일 수 있는 이액형 믹싱팁
US8672188B2 (en) Intermediate piece for the connection of a storage container to a static mixer
CA2311815C (en) Double-barreled syringe with detachable locking mixing tip
CN101601979B (zh) 静态混合器
JP2014087790A (ja) 混合流体を吐出する吐出組立体及び方法
US20100012210A1 (en) Mixing tip
TWI568492B (zh) 動態混合器
CN106390802B (zh) 动态混合器接头
WO2014156403A1 (ja) 塗布装置
EP2415516A3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livery of a dry mixture
JP2008114151A (ja) 流体混合器及び混合要素部材
CN204841444U (zh) 一种物料混料进料装置
CN102091547A (zh) 静态混合器
DE502005002373D1 (de) Mischer umfassend einen Mischkopf zur Zuführung von Medien zu dem Mischraum des Mischers.
MX2020000885A (es) Dispositivo mezclador.
US8763861B2 (en) Dispensing device having an array of concentric tubes
KR101748601B1 (ko) 듀얼 배럴 카트리지 어댑터
EP2241370A3 (en) Micromixer for mixing fluids
KR20190050031A (ko) 믹싱팁
CN110869110B (zh) 用于输送多个液体流的适配器
KR101997810B1 (ko) 치과용 혼합팁 및 이를 카트리지에 조립하는 방법
KR101891482B1 (ko) 치과인상재 믹싱팁 구조
CN215542371U (zh) 一种无溶剂复合机用混胶装置
US20160288066A1 (en) Dynamic mixer and use thereof
KR20200124912A (ko) 인상재 카트리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