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1290B1 - 단말기 연동형의 스마트 라바콘 시스템 - Google Patents

단말기 연동형의 스마트 라바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1290B1
KR101891290B1 KR1020160020754A KR20160020754A KR101891290B1 KR 101891290 B1 KR101891290 B1 KR 101891290B1 KR 1020160020754 A KR1020160020754 A KR 1020160020754A KR 20160020754 A KR20160020754 A KR 20160020754A KR 101891290 B1 KR101891290 B1 KR 1018912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construction site
module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0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8618A (ko
Inventor
이태봉
Original Assignee
엠피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피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엠피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20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1290B1/ko
Publication of KR20170098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86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1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12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H04N5/2251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 연동형의 스마트 라바콘 시스템을 개시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라바콘에 카메라와 통신모듈을 탑재 구성한 것이며, 이에따라 도로의 공사현장에 라바콘을 설치함과 동시에 휴대단말기와의 페어링이 이루어져, 라바콘의 설치 위치는 물론, 라바콘이 설치된 주변 상황의 영상정보를 휴대단말기를 통해 관제센터(예; 도로공사)에 자동 전송하여, 도로의 공사 진행 상황은 물론, 공사 현장 주변의 교통 흐름을 관제센터에서 실시간 파악하고, 파악된 정보를 토대로 도로의 전광판을 이용하여 공사현장 주변의 교통상황을 실시간 안내하면서 도로 공사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단말기 연동형의 스마트 라바콘 시스템{Smart rubber corn system of terminal linkage type}
본 발명은 라바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라바콘을 설치함과 동시에 휴대단말기와의 페어링이 이루어져, 라바콘의 설치 위치는 물론, 라바콘이 설치된 주변 상황의 영상정보를 휴대단말기를 통해 관제센터(예; 도로공사)에 자동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단말기 연동형의 스마트 라바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라바콘은 통신용 맨홀공사, 도로공사나 건설현장 통제시, 또는 주차장 입구나 기타 안전이 필요한 경계표시가 요구될 때, 작업자 및 보행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교통안전 시설물로서 사용되며, 특히 도로에서는 운전자의 시선을 유도하기 위하여 차선유도봉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즉, 상기 라바콘은 각종 공사 및 교통 통제 안내시 안전 확보를 위하여 지면에 세워지는데, 운전자나 보행자는 이와 같이 설치된 라바콘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전방에서 공사 중이거나 또는 통제중임을 인지하여 주의성을 인식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라바콘은 운전자가 공사현장에 근접시 발견할 수 있도록 시인성만을 가진 것이며, 이에따라 종래에는 도로 공사를 관리 감독하는 관제센터에서 도로의 공사 진행 상황이나 주변 교통흐름을 실시간 파악하기는 어려웠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420426 호(등록일 2006.06.26)
등록특허공보 제 10-1078390 호(등록일 2011.10.25)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라바콘에 카메라와 통신모듈을 탑재 구성함으로써, 도로의 공사현장에 라바콘을 설치함과 동시에 휴대단말기와의 페어링이 이루어져, 라바콘의 설치 위치는 물론, 라바콘이 설치된 주변 상황의 영상정보를 휴대단말기를 통해 관제센터(예; 도로공사)에 자동 전송하여, 도로의 공사 진행 상황은 물론, 공사 현장 주변의 교통 흐름을 관제센터에서 실시간 파악하고, 파악된 정보를 토대로 도로의 전광판을 이용하여 공사현장 주변의 교통상황을 실시간 안내하면서 도로 공사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단말기 연동형의 스마트 라바콘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단말기 연동형의 스마트 라바콘 시스템은, 도로의 공사현장에 설치되고, 제 1 통신모듈과 카메라모듈이 탑재된 라바콘; 상기 라바콘이 도로의 공사현장에 설치시, 상기 제 1 통신모듈과 페어링되는 제 2 통신모듈과 GPS모듈을 탑재한 작업자의 휴대단말기; 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휴대단말기에는 상기 제 1,2 통신모듈의 페어링으로부터 상기 GPS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라바콘의 설치 위치 정보와 상기 카메라모듈에 의해 촬영되는 공사현장의 영상정보를 사전 등록된 관제센터로 전송 처리하는 어플리케이션 처리부; 를 설치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라바콘에는, 작동스위치와, 상기 작동스위치의 작동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통신모듈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제 1 통신모듈은 상기 전원부로부터 구동전원을 공급받음과 동시에 페어링모드로 동작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카메라모듈은 상기 제 1,2 통신모듈의 페어링시 공사현장을 촬영하는 모드로 동작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라바콘에는, 상기 제 1,2 통신모듈의 페어링상태를 표시하는 제 1 표시부와, 상기 카메라모듈의 촬영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제 2 표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 처리부에는, 상기 제 1,2 통신모듈의 페어링으로부터 상기 GPS모듈의 위치정보를 추출하는 위치 정보 추출부; 및, 상기 위치정보 추출부로부터 추출되는 위치정보와 상기 카메라모듈로부터 촬영된 공사현장의 영상정보를 상기 휴대단말기의 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관제센터에 전송하는 전송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된 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관제센터는 작업자의 상기 휴대단말기로부터 위치정보와 영상정보를 수신한 후 그 접수 상황 정보를 작업자의 상기 휴대단말기로 응답 처리하는 응답 프로그램을 탑재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관제센터에는 상기 휴대단말기로부터 위치정보와 영상정보를 수신시 그 위치정보에 인접하는 전광판으로 도로의 공사상황과 교통흐름을 알리는 메세지 표시의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메세지 요청 프로그램을 탑재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라바콘에 카메라와 통신모듈을 탑재 구성한 것이며, 이를 통해 도로의 공사현장에 라바콘을 설치함과 동시에 휴대단말기와의 페어링이 이루어져, 라바콘의 설치 위치는 물론, 라바콘이 설치된 주변 상황의 영상정보를 휴대단말기를 통해 관제센터(예; 도로공사)에 자동 전송하여, 도로의 공사 진행 상황은 물론, 공사 현장 주변의 교통 흐름을 관제센터에서 실시간 파악하고, 파악된 정보를 토대로 도로의 전광판을 이용하여 공사현장 주변의 교통상황을 실시간 안내하면서 도로 공사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단말기 연동형의 스마트 라바콘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블럭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단말기 연동형의 스마트 라바콘에 대한 개략적인 블럭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어플리케이션 처리부에 대한 개략적인 블럭 구성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거나 필요한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영역은 라운드 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장치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동일한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해당 도면에서 언급 또는 설명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또한, 참조 부호가 표시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단말기 연동형의 스마트 라바콘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블럭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단말기 연동형의 스마트 라바콘에 대한 개략적인 블럭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어플리케이션 처리부에 대한 개략적인 블럭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연동형의 스마트 라바콘 시스템은, 라바콘(10), 작업자의 휴대단말기(20), 어플리케이션 처리부(30), 관제센터(40)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라바콘(10)은 도로의 공사현장에 설치되는 것이며,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의 제 1 통신모듈(11), 그리고 공사현장의 주변 상황을 촬영하는 카메라모듈(12)을 탑재하여둔 것이다.
더불어, 상기 라바콘(10)에는 작동스위치(13)와, 상기 작동스위치(13)의 작동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통신모듈(11)과 카메라모듈(12)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4), 그리고, 상기 제 1 통신모듈(11)의 페어링상태를 표시하는 제 1 표시부(15)와, 상기 카메라모듈(12)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제 2 표시부(16)를 구성하여둔 것이고, 상기 제 1 통신모듈(11)은 상기 전원부(14)로부터 구동전원을 공급받음과 동시에 페어링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제 1 통신모듈(11)이 페어링모드로 동작시 공사현장의 주변을 촬영하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
상기 휴대단말기(20)는 상기 라바콘(10)을 도로에 설치하는 작업자가 휴대하는 것으로, 상기 라바콘(10)을 공사현장의 도로에 설치시, 상기 제 1 통신모듈(11)과 페어링되는 제 2 통신모듈(21), 그리고 위치 추적을 위한 GPS모듈(22)을 탑재한 것이며, 이는 통상적으로 무선통신이 가능한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패드를 설명하는 것이지만, 반드시 이러한 것은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무선통신이 가능한 단말기이면 모두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처리부(30)는 상기 휴대단말기(20)에 설치되는 전송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도록 상기 휴대단말기(20)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 1,2 통신모듈(11)(21)의 페어링으로부터 상기 GPS모듈(22)을 이용하여 상기 라바콘(10)의 설치 위치 정보와 상기 카메라모듈(12)에 의해 촬영되는 도로 공사현장 주변의 영상정보를 사전 등록된 관제센터(40)로 자동 전송처리하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
이에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 처리부(30)에는 상기 제 1,2 통신모듈(11)(21)의 페어링으로부터 상기 GPS모듈(22)의 위치정보를 추출하는 위치 정보 추출부(31)와, 상기 위치정보 추출부(31)로부터 추출되는 위치정보와 상기 카메라모듈(12)로부터 촬영된 공사현장의 영상정보를 상기 휴대단말기(20)의 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관제센터(40)에 전송하는 전송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된 제어부(32)를 포함하여 구성하여둔 것이다.
상기 관제센터(40)는 작업자에 의해 등록 저장되는 도로공사의 관제서버로서, 작업자의 상기 휴대단말기(20)로부터 위치정보와 영상정보를 수신한 후 그 수신된 상황을 작업자의 상기 휴대단말기(20)로 응답 처리하는 응답 프로그램이 탑재 구성됨은 물론, 및/또는 도로의 공사현장에 인접하는 전광판으로 공사현장과 그 주변의 교통상황을 알리는 메세지 표시의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메세지 요청 프로그램을 탑재 구성하여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연동형의 스마트 라바콘 시스템은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우선 휴대단말기(20)를 소지한 작업자가 유지 보수가 필요로 하는 도로에 접근하여 도로에 라바콘(10)을 설치한다.
이후, 작업자가 상기 라바콘(10)에 마련되는 작동스위치(13)를 조작하면, 상기 작동스위치(13)의 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라바콘(10)에 마련되는 전원부(14)는 제 1 통신모듈(11)과 카메라모듈(12)에 구동전원을 공급하게 되며, 이에따라 상기 제 1 통신모듈(11)은 페어링모드로 동작하면서, 작업자의 휴대단말기(20)에 구성된 제 2 통신모듈(21)과의 페어링을 실시하고, 상기 카메라모듈(12)은 상기 제 1,2 통신모듈(11)(21)의 페어링시 상기 라바콘(10)이 설치된 도로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게 된다.
이때, 상기 라바콘(10)에 구성된 제 1 표시부(15)는 상기 제 1,2 통신모듈(11)(21)의 페어링상태를 표시하고, 제 2 표시부(16)는 상기 카메라모듈(12)의 동작상태를 표시하게 되면서, 작업자는 상기 제 1,2 표시부(15)(16)의 표시동작으로부터 상기 라바콘(10)의 스마트 기능 즉, 휴대단말기(20)와의 페어링 연결 및 영상 촬영이 제대로 이루어졌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휴대단말기(20)의 제 2 통신모듈(21)이 상기 라바콘(10)의 제 1 통신모듈(11)과 페어링될 때, 그 페어링으로부터 상기 휴대단말기(20)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 처리부(30)의 제어부(32)는 탑재된 전송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키게 되고, 상기 전송 어플리케이션의 활성화로부터 위치 정보 추출부(31)는 상기 휴대단말기(20)에 마련되는 GPS모듈(22)의 위치정보를 추출한 후 이를 상기 제어부(32)에 제공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처리부(30)에 포함되는 상기 제어부(32)는 상기 위치정보 추출부(31)로부터 추출되는 위치정보는 물론, 상기 카메라모듈(12)로부터 촬영되는 공사현장 및 그 주변의 영상정보를 상기 휴대단말기(20)의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사전 등록이 이루어진 관제센터(40)에 전송시키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제어부(32)는 상기 제 1,2 통신모듈(11)(21)의 페어링으로부터 상기 GPS모듈(22)을 이용하여 상기 라바콘(10)의 설치 위치 정보와 상기 카메라모듈(12)에 의해 촬영되는 공사현장 및 그 주변의 교통흐름에 대한 영상정보를 사전 등록된 관제센터(40)로 전송 처리하게 되며, 이에따라 관제센터(40)에서는 관리자의 휴대단말기(20)를 통해 도로의 공사현장에 대한 위치를 파악한 상태에서, 그 공사현장은 물론 주변의 교통흐름을 영상정보를 통해 실시간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 응답 프로그램을 통해 작업자의 휴대단말기(20)에 정보 수신에 대한 응답을 처리하는 한편, 메세지 요청 프로그램을 통해서는 도로의 공사현장에 인접하는 전광판으로 도로의 공사진행상황과 그 주변의 교통흐름 상황을 알리는 메세지 표시의 요청신호를 전송 처리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면, 상기 전광판(100)에서 도로의 공사진행 상황과 교통흐름을 알리는 메세지를 표시하여 후속차량들의 서행을 유도하게 되므로, 공사현장에서 후속차량에 의한 2차 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단말기 연동형의 스마트 라바콘 시스템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 라바콘 11; 제 1 통신모듈
12; 카메라모듈 13; 작동스위치
14; 전원부 15; 제 1 표시부
16; 제 2 표시부 20; 휴대단말기
21; 제 2 통신모듈 22; GPS모듈
30; 어플리케이션 처리부 31; 위치 정보 추출부
32; 제어부 40; 관제센터

Claims (6)

  1. 도로 공사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도로의 공사현장에 설치되는 것으로, 작동스위치와 제 1 통신모듈 및 카메라모듈, 그리고 상기 작동스위치의 작동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통신모듈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라바콘; 및, 상기 라바콘이 도로의 공사현장에 설치시, 상기 제 1 통신모듈과 페어링되는 제 2 통신모듈과 GPS모듈을 탑재한 작업자의 휴대단말기; 를 구성하고,
    상기 제 1 통신모듈은 상기 전원부로부터 구동전원을 공급받음과 동시에 페어링모드로 동작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카메라모듈은 상기 제 1,2 통신모듈의 페어링시 공사현장을 촬영하는 모드로 동작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휴대단말기에는 상기 제 1,2 통신모듈의 페어링으로부터 상기 GPS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라바콘의 설치 위치 정보와 상기 카메라모듈에 의해 촬영되는 공사현장의 영상정보를 사전 등록된 관제센터로 전송 처리하는 어플리케이션 처리부; 를 설치 구성하며,
    상기 관제센터에는 상기 휴대단말기로부터 위치정보와 영상정보를 수신시 그 위치정보에 인접하는 전광판으로 도로의 공사상황과 교통흐름을 알리는 메세지 표시의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메세지 요청 프로그램을 탑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연동형의 스마트 라바콘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라바콘에는, 상기 제 1,2 통신모듈의 페어링상태를 표시하는 제 1 표시부와, 상기 카메라모듈의 촬영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제 2 표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연동형의 스마트 라바콘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처리부에는, 상기 제 1,2 통신모듈의 페어링으로부터 상기 GPS모듈의 위치정보를 추출하는 위치 정보 추출부; 및, 상기 위치정보 추출부로부터 추출되는 위치정보와 상기 카메라모듈로부터 촬영된 공사현장의 영상정보를 상기 휴대단말기의 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관제센터에 전송하는 전송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된 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연동형의 스마트 라바콘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센터는 작업자의 상기 휴대단말기로부터 위치정보와 영상정보를 수신한 후 그 접수 상황 정보를 작업자의 상기 휴대단말기로 응답 처리하는 응답 프로그램을 탑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연동형의 스마트 라바콘 시스템.
  6. 삭제
KR1020160020754A 2016-02-22 2016-02-22 단말기 연동형의 스마트 라바콘 시스템 KR1018912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0754A KR101891290B1 (ko) 2016-02-22 2016-02-22 단말기 연동형의 스마트 라바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0754A KR101891290B1 (ko) 2016-02-22 2016-02-22 단말기 연동형의 스마트 라바콘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8618A KR20170098618A (ko) 2017-08-30
KR101891290B1 true KR101891290B1 (ko) 2018-08-24

Family

ID=59760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0754A KR101891290B1 (ko) 2016-02-22 2016-02-22 단말기 연동형의 스마트 라바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12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6954B1 (ko) * 2017-11-08 2019-05-09 이태훈 공사중 교통처리 및 안전관리 장치
WO2021045252A1 (ko) * 2019-09-04 2021-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안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8618A (ko) 2017-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824455B (zh) 道路巡逻系统及控制方法
CN113377093B (zh) 自动驾驶汽车的远程控制方法和装置
US10303257B2 (en) Communication between autonomous vehicle and external observers
KR102011618B1 (ko) 자동 운전 지원 시스템, 자동 운전 감시 장치, 도로 관리 장치 및 자동 운전 정보 수집 장치
CN108025708B (zh) 用于运行车辆的方法和设备以及用于运行停车场的方法
CN105679023A (zh) 一种基于无人机的高速公路违章监测系统
CN203746230U (zh) 道路巡逻机器人及道路巡逻系统
AU2007360814A1 (en) Traffic monitoring system
CN104952260A (zh) 一种无线交通监控装置
CN103247168A (zh) 使用视讯雷达的远距交通管理系统
KR102316654B1 (ko) 운전 안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4077913A (zh) 融合多视角图像信息的交通事件监测方法及其装置
KR102042050B1 (ko) 드론을 이용한 차량 검문 및 단속 장치
KR101891290B1 (ko) 단말기 연동형의 스마트 라바콘 시스템
CN108399795A (zh) 一种基于智能交通基站的车辆碰撞提醒装置的工作方法
CN107945512A (zh) 一种交通事故处理方法及系统
CN208014169U (zh) 汽车鸣笛抓拍装置
CN107545737A (zh) 车辆管理方法、装置及系统
CN110610139A (zh) 障碍物预警方法、监控设备和监控系统
CN111835998A (zh) 超视距全景图像获取方法、装置、介质、设备及系统
KR101459087B1 (ko) 교통신호 보조장치 및 보조시스템
KR102195802B1 (ko) IoT 기반의 실시간 통학차량 운행정보 및 어린이 안전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CN104574882A (zh) 车辆发生交通事故的判断系统和判断方法
KR101742262B1 (ko) 스마트 안전 삼각대 시스템
CN105094121A (zh) 车辆系统及车辆系统的遥控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