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1273B1 - 공동주택의 분전상태 제어를 위한 스위치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의 분전상태 제어를 위한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1273B1
KR101891273B1 KR1020180064176A KR20180064176A KR101891273B1 KR 101891273 B1 KR101891273 B1 KR 101891273B1 KR 1020180064176 A KR1020180064176 A KR 1020180064176A KR 20180064176 A KR20180064176 A KR 20180064176A KR 101891273 B1 KR101891273 B1 KR 1018912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ressing
movement
breaker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4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호진
Original Assignee
(주)진전기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진전기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진전기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80064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12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1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12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5/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actuation in opposite directions, e.g. slide switch
    • H01H15/02Details
    • H01H15/06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5/10Operat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5/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actuation in opposite directions, e.g. slide switch
    • H01H15/02Details
    • H01H15/06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5/16Driving mechanisms
    • H01H15/18Driving mechanisms acting with snap a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25Safety arrangements, e.g. in case of excessive pressure or fire due to electrical def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분전상태 제어를 위한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분전함 내에 배치되는 다수의 차단기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차단기 핸들의 이동에 따른 플레이트의 가압에 따라 트리거 플레이트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차단기의 이상 여부를 신속히 검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공동 주택의 분전 상태 제어를 위한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동주택의 분전상태 제어를 위한 스위치{SWITCH APPARATUS FOR CONTROLLING ELECTRIC DISTRIBUTION IN APARTMENT HOUSE}
본 발명은 공동주택 전기 기술 분야 중 공동주택의 분전상태 제어를 위한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분전함 내에 배치되는 다수의 차단기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차단기 핸들의 이동에 따른 플레이트의 가압에 따라 트리거 플레이트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차단기의 이상 여부를 신속히 검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공동 주택의 분전 상태 제어를 위한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 주택은 외부에서 인입되는 고압의 전력을 하강시켜 각 세대에 알맞은 전력으로 변경시켜 제공하기 위한 분전반이 설치된다.
이러한 분전반은 공급되는 전력을 각종 부하로 분배, 공급시키는 전원 분배기와, 부하에 공급되는 전압 상태를 감지하여 과부하 누전 등과 같은 이상 상태 발생시 이를 신속히 차단시켜 전기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누전차단기 또는 이상이 있는 부하측만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배선용 차단기, 일정기간 동안 사용한 전력의 총량을 측정하는 전력량계 등의 각종 기기들을 한 곳에 모아 건물 시공시에 벽면에 매설되는 구성을 갖는다.
특히, 배선용 차단기의 경우에 하나의 분전함에 다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단위 차단기들이 하나의 패널에 다수개가 설치되어 각 패널들을 추가하는 것으로 상술한 배선용 차단기들의 개수를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배선용 차단기들은 댁네의 해당 부분, 예를 들어 구획 별로 해당 전력을 공급하고 있으며, 공급되는 전력의 이상 유무에 따라 자동으로 해당 부하에 대한 전력 공급만을 차단시키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차단기들은 각각 개별적으로 차단되기는 하지만 하나의 차단기가 차단될 경우 주변 전력이 이상 유무에 따라 이웃하는 차단기의 이상 유무를 확인할 수 없고, 이상이 있는 해당 차단기에 대하여 사용자 또는 작업자에게 알려줄 수 있는 상황이 전무하여 분전함 관리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일부 개선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185179호(2012.09.24.)에는 '공동 주택의 분전 상태 제어를 위한 스위칭 장치'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공동 주택의 분전 상태 제어를 위한 스위칭 장치는 차단기 핸들의 이동에 따라 플레이트의 이동이 쉽게 이루어지지 못하기 때문에 트리거 플레이트의 이동에 따른 스위칭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85179호(2012.09.24.) '공동 주택의 분전 상태 제어를 위한 스위칭 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분전함 내에 배치되는 다수의 차단기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차단기 핸들의 이동에 따른 플레이트의 가압에 따라 트리거 플레이트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차단기의 이상 여부를 신속히 검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공동 주택의 분전 상태 제어를 위한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정 크기의 내부공간(102)을 갖는 분전함(101); 상기 분전함(101)의 내부에서 적어도 두 개의 종렬로 일정 간격을 가지며 배치되며, 온(ON),오프(OFF)가 가능한 돌출된 핸들(111,121,131,141,151,161)을 각각 가지되, 하나의 열에 적어도 두 개가 배치되는 다수의 차단기들(110,120,130,140,150,160); 상기 다수의 차단기들의 각 핸들에 공통으로 적용되어 어느 하나의 차단기의 핸들이 오프되더라도 상기 핸들의 유동에 따라 수평 이동되는 구동유닛(1); 및 상기 구동유닛(1)의 수평 이동을 감지하여 상기 오프된 차단기의 이상 정보를 검출하고 사용자 또는 작업자에게 알리는 제어유닛(40)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유닛(1)은, 상기 각 열에 종방향으로 배치된 모든 차단기(110,120,130,140,150,160)의 핸들(111,121,131,141,151,161)을 동시에 수용할 수 있는 대응 걸림 구멍(231,232,233,331,332,333)이 형성되며, 각각의 열에 각각 하나씩 배치되는 플레이트(20,30); 상기 각 플레이트(20,30)의 상방에 설치되어 상기 각 플레이트(20,30)가 동시에 고정되며,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트리거 플레이트(13); 상기 분전함(101)의 내부에 고정되어 상기 트리거 플레이트(13)의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리브(10); 상기 가이드리브(10)와 상기 트리거 플레이트(13)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트리거 플레이트(13)의 이동을 유연하도록 보조하는 베어링 수단(11); 및 상기 트리거 플레이트(13)의 일측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트리거 플레이트(13)의 이동에 따른 이동 동작을 상기 제어유닛(40)에 제공하는 트리거(14)를 포함하여, 상기 차단기들(110,120,130,140,150,160)의 핸들(111,121,131,141,151,161)이 상기 플레이트(20,30)의 각 걸림 구멍(231,232,233,331,332,333)에 각각 돌출되어 걸리도록 하되, 걸림 구멍은 차단기의 온,오프에 따른 핸들이 이동 거리보다 길도록 형성되고, 차단기의 핸들이 오프에 의해 이동되었을 때 나머지 차단기의 핸들을 오프시키지 않으면서 상기 플레이트(20,30) 및 트리거 플레이트(13)를 핸들 이동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하며, 상기 제어유닛(40)은, 상기 트리거(14)의 이동에 따라 눌려지면서 작동하는 스위치(42); 상기 스위치(42)의 동작을 감지하는 제어부(41); 상기 제어부(41)의 제어에 따라 상기 각 차단기(110,120,130,140,150,160)의 전압을 체크하여 이상 유무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어부(41)에 제공하는 전압 체크부(43); 상기 제어부(41)의 제어에 따라 상기 각 차단기를 개별적으로 오프시킬 수 있는 차단기 제어부(44); 상기 제어부(41)의 제어에 따라 특정 차단기의 이상 정보를 원격지의 사용자 또는 작업자에게 전송할 수 있는 무선 송수신부(45); 및 상기 제어부(41)의 제어에 따라 이상이 있는 특정 차단기에 대하여 주변 사용자 또는 작업자에게 알람음 및 알람등으로 이상이 있음을 인지시킬 수 있는 알람부(46)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41)는 상기 스위치(42)의 작동을 감지하면 상기 전압 체크부(43)를 제어하여 이상이 있는 차단기와, 작동되더라도 기준 전압과 다른 전압을 갖는 차단기를 식별하도록 하여 이의 정보를 무선 송수신부(45) 및 알람부(46)를 통하여 원격지 및 근거리에 있는 사용자에게 알리도록 하며, 상기 제어부(41)는 상기 차단기 제어부(44)를 제어하여, 작동되더라도 기준 전압과 다른 전압을 갖는 차단기를 오프시켜 발생할 수 있는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공동주택의 분전상태 제어를 위한 스위치에 있어서, 차단기 핸들의 이동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20,30)를 가압하여 상기 트리거 플레이트(13)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가압부(50)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가압부(50)는, 상기 플레이트(20,30)의 하부를 연결하는 연결바(60); 상기 연결바(60)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고정판(61); 상기 고정판(61)를 가압하는 가압수단(70); 및 상기 분전함(101)의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가압수단(70)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바(80)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수단(70)은, 상기 고정판(61)과 대향되는 일단부가 개방되어 내측으로 공간부(71a)가 형성되는 케이싱(71); 일단부는 상기 고정판(61)을 향하고, 타단부는 상기 공간부(71a)로 수용되는 가압부재(72); 상기 공간부(71a)로 수용되며, 상기 가압부재(72)를 가압하여 상기 가압부재(72)가 상기 고정판(61)에 접하도록 하는 스프링(73); 및 개방된 상기 케이싱(71)의 일단부로 결합되어 상기 가압부재(72)가 상기 케이싱(7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캡(74)을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재(72)는, 타단부가 상기 공간부(71a)에 위치되고 일단부가 상기 이탈방지캡(74)을 통과하는 가압바(75); 상기 가압바(75)의 타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스프링(73)과 접하는 압착판(76); 및 상기 가압바(75)의 일단부에 구비되면서 상기 고정판(61)에 접하는 가압판(77)을 포함하고, 상기 가압바(75)는, 타단부에 상기 압착판(76)을 통과하며, 직경이 상기 가압바(75)보다 작게 형성되는 체결돌기(75a)가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재(72)는, 상기 체결돌기(75a)에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압착판(76)을 상기 가압바(75)에 분리 가능하게 결속하는 체결부재(78)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압수단(70)은, 상기 가압판(77)과 상기 이탈방지캡(74) 간에 위치되도록 상기 가압바(75)의 외측으로 결합되면서 상기 이탈방지캡(74)이 상기 케이싱(71)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조스프링(78)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73) 및 상기 보조스프링(78)은, 수축된 상태로부터 차단기 핸들의 이동에 따른 상기 플레이트(20,30)의 이동에 따라 이완되면서 상기 고정판(61)을 가압하여 상기 플레이트(20,30)의 원활한 이동과 함께 상기 트리거 플레이트(13)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분전상태 제어를 위한 스위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분전함내의 다수의 차단기 중 특정 차단기의 이상 유무를 신속히 발견하여 사용자 또는 작업자에게 알릴 수 있으며, 나머지 차단기들의 이상 유무를 미연에 검출하여 신속히 조치함으로써 분전반의 효율적인 제어 및 관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분전상태 제어를 위한 스위치를 포함하는 분전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스위칭 장치 중 구동 유닛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스위칭 장치 중 제어 유닛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의 분전반 중 특정 차단기에 이상이 발생했을 경우 구동 유닛의 동작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분전상태 제어를 위한 스위치에서 가압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가압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도 6에서 가압바에 압착판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분전반(100)은 박스 형태의 분전함(101)과 분전함(101)의 내부공간(102)에 종렬로 배치되는 다수의 배선용 차단기(이하 '차단기')(110,120,130,140,150,160)와, 이상이 있는 특정 차단기의 핸들 동작에 따라 일괄적으로 유동되는 구동유닛(1)과, 구동유닛(1)의 이동에 따라 이를 검출하고 특정 차단기의 이상을 작업자 또는 사용자에게 알려줌과 동시에 나머지 차단기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는 제어유닛(40)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차단기(110,120,130,140,150,160)는 종방향으로 2열이 배치되며, 하나의 열에 3개의 차단기가 배치된다.
각 열에는 3개의 차단기를 모두 커버할 수 있는 플레이트(20,30)가 종방향으로 설치된다.
플레이트(20,30)에는 3개의 차단기의 핸들(스위치버튼)을 각각 수용할 수 있는 걸림 구멍(231,232,233,331,332,333)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즉, 제1플레이트(20)에는 종방향으로 배치된 제1,2,3차단기(110,120,130)의 각 핸들(111,121,131)을 수용하기 위한 걸림 구멍(231,232,233)이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제2플레이트(30)에는 종방향으로 배치된 제4,5,6차단기(140,150,160)의 각 핸들(141,151,161)을 수용하기 위한 걸림 구멍(331,332,333)이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제1,2플레이트(20,30)의 상부에는 각 플레이트(20,30)를 동시에 이송하기 위한 트리거 플레이트(13)가 설치된다.
제1,2플레이트(20,30)는 소정의 결합부(22,32)에 의해 트리거 플레이트(13)의 하측에 고정될 수 있다.
트리거 플레이트(13), 결합부(22,32) 및 제1,2플레이트(20,30)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트리거 플레이트(13)는 분전함(101)의 내부공간(102)에 고정되는 가이드리브(10)에 의해 수평이동이 가능하도록 고정된다.
가이드리브(10)와 트리거 플레이트(13) 사이에는 소정의 베어링 수단(11)이 구비되면서 트리거 플레이트(13)의 수평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트리거 플레이트(13)의 일단은 돌출 연장된 트리거(14)를 포함하여 트리거 플레이트(13)의 이동에 따라 상술한 제어유닛(40)의 스위치(42)를 구동시킬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2,3차단기(110,120,130)에 동시에 설치되는 제1플레이트(20)만을 도시하였으나, 제4,5,6차단기(140,150,160) 역시 동일한 형식으로 설치되며, 분전함(101)의 내부공간(102)이 허여되고, 더 많은 개수의 차단기들이 요구된다면 3열, 4열....등 더 많은 플레이트가 설치되어 상술한 트리거 플레이트(20)와 함께 수평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최초의 설치시에 각 플레이트(20,30)의 걸림 구멍(231,232,233,331,332,333)에 각 차단기(110,120,130,140,150,160)의 핸들(111,121,131,141,151,161)이 걸리도록 설치되되, 차단기(110,120,130,140,150,160)의 핸들(111,121,131,141,151,161)은 걸림 구멍(231,232,233,331,332,333)에서 온(ON)된 상태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차단기들 중 어느 특정 차단기의 이상이 발견되어 자동으로 핸들이 오프(OFF)되는 상태로 이동되면 다른 이상이 없는 차단기의 핸들은 이동되지 않은 상태에서 특정 차단기의 핸들의 이동에 따라 플레이트들만이 이동된다.
상술한 걸림 구멍은 차단기들의 핸들(231,232,233,331,332,333)의 온(ON), 오프(OFF)를 위한 이동 거리보다 긴 거리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스위칭 장치 중 제어유닛(4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칭 장치의 제어유닛(40)은 분전함(101)의 내부공간(102)에 설치되며, 상술한 트리거 플레이트(13)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는 스위치(42)를 포함한다.
즉, 다수의 차단기 중 하나의 특정 차단기에 이상이 발생하여 해당 차단기의 핸들이 이동하였을 경우 이로 인해 플레이트(20,30)가 이동하고, 플레이트(20,30)의 이동에 따라 트리거 플레이트(13)가 가이드리브(10)의 지지를 받으며 수평으로 이동한다.
트리거 플레이트(13)의 이동에 따라 트리거(14)는 상술한 제어유닛(40)의 스위치(42)를 스위칭시킨다.
제어유닛(40)은 분전반(100)에 설치된 다수의 배선용 차단기(110,120,130,140,150,160)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차단기의 해당 전압(전력)을 측정하기 위한 전압 체크부(43), 전압 체크부(43)의 체크에 따라 이상이 발견되면 해당 차단기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기 제어부(44), 특정 차단기의 이상이 발견되면 이를 육안으로 식별이 가능하도록 주변 사용자에게 시각 또는 청각으로 알려주기 위한 알람부(46), 특정 차단기의 이상이 발견되었을 때 원거리 사용자 또는 작업자에게 무선으로 알려주기 위한 무선 송수신부(45) 및 상술한 스위치(42)의 감지에 따라서 상술한 전압 체크부(43), 차단기 제어부(44), 알람부(46) 및 무선 송수신부(45)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41)를 포함한다.
차단기 제어부(44)는 각 차단기의 배선용 전력을 차단할 수 있는 미도시된 별도의 차단용 스위칭 수단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차단기 제어부(44)에 의해 개별적으로 해당 차단기를 온, 오프시킬 수 있는 여타 공지의 다양한 스위칭 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제어유닛(40)의 제어부(41)는 상술한 트리거 플레이트(13)의 이동에 따라 스위치(42)의 감지 신호를 인가받으면 전압 체크부(43)를 구동시켜 각 차단기(110,120,130,140,150,160)의 이상 유무를 확인한다.
전압 체크부(43)는 각 차단기의 전압을 체크하여 해당 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즉 핸들이 오프된 차단기 정보를 제어부(41)에 제공한다.
또한, 전압 체크부(43)는 기준 각 차단기에서 기준 전압 이외의 전압이 체크되는지 검사하여 제어부에 이상 정보를 제공한다.
제어부는 전압 체크부(43)의 특정 차단기의 이상 정보를 무선 송수신부(45)를 통해 원격지에 위치한 사용자 또는 작업자에게 송신하며, 이와 동시에 알람부(46)를 구동시켜 주변 사용자에게 특정 차단기의 이상이 있음을 알린다.
이러한 알람부(46)는 미도시되었으나, 해당 차단기마다 배치된 알람등 중 이상이 있는 특정 알람등을 점등시키는 것으로 수행될 수 있다.
알람부는 스피커 장치를 포함하여 주변 작업자에게 청각으로 인지시킬 수도 있다.
만일, 제어부(41)는 특정 차단기가 OFF 되지는 않았더라도 전압이 기준전압과 다르다는 정보를 전압 체크부(43)로부터 인가받으면, 차단기 제어부(44)를 제어하여 해당 차단기를 강제로 OFF 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 역시 상술한 무선 송수신부(45) 및 알람부(46)에 의해 외부로 알릴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분전반 중 특정 차단기에 이상이 발생했을 경우 구동유닛의 동작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우선 분전함(101)의 내부공간(102)에 배치된 다수의 배선용 차단기(110,120,130,140,150,160) 중 특정 차단기(120)의 이상이 검출되어 해당 차단기(120)의 핸들(121)이 이동된다.
도 4에서는 다수의 차단기들(110,120,130,140,150,160) 중 제2차단기(120)의 핸들(121)이 오프(OFF)되었다.
이러한 경우, 차단기(120)의 핸들(121)의 이동에 따라 제1플레이트(20)와 제2플레이트(30) 역시 이동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121)의 이동에 따라 제1,2플레이트(20,30) 역시 트리거 플레이트(13)와 함께 분전함(101)의 내부공간(102)에 설치된 가이드리브(10)의 지지를 받아 왼쪽으로 이동한다.
제1플레이트(20)의 두 번째 걸림 구멍(232)에 걸려있던 핸들(121)이 이동하면서 제1플레이트(20)를 왼쪽으로 이동시키며, 이로 인하여 트리거 플레이트(13) 및 제2플레이트(30) 역시 동시에 왼쪽으로 이동한다.
제1,2플레이트(20,30)가 제2차단기(120)의 핸들(121)에 의해 이동되더라도 제2차단기(120)의 핸들(121) 이외에 나머지 차단기(110,130,140,150,160)의 핸들들(111,131,141,151,161)은 오프되지 않는다.
이는, 제1,2플레이트(20,30)의 각 걸림 구멍(231,232,233,331,332,333)이 일정 길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으로 이해될 수 있다.
트리거 플레이트(13)가 왼쪽으로 이동하면, 트리거 플레이트(13)와 일체로 형성되며, 제어유닛(40)의 내부로 일부 인입된 트리거(14) 역시 함께 이동하여 제어유닛(40)의 내부에 배치되는 스위치(42)를 작동시킨다.
제어유닛(40)의 제어부(41)는 스위치(42)가 작동된 것을 감지하고, 전압 체크부(43)를 구동시켜 이상이 있는 제2차단기(120) 및 이상이 없는 나머지 차단기(110,130,140,150,160) 역시 이상 유무를 검사한다.
제2차단기(120) 이외의 나머지 차단기들(110,130,140,150,160)이 이상이 없음이 감지되면, 제어부(41)는 무선 송수신부(45)를 구동시켜 해당 차단기(120)의 이상 정보를 원격지의 사용자 또는 작업자에게 전송하고, 이와 동시에 알람부(46)를 구동시켜 근거리 사용자 또는 작업자에게 분전반(100)에 이상이 있음을 알리게 된다.
제2차단기(120)뿐만 아니라 나머지 차단기들(110,130,140,150,160) 중 특정 차단기의 이상이 있음이 감지되면, 오프된 해당 차단기(120)의 이상 정보뿐만 아니라 이상이 있되, 동작하고 있는 특정 차단기의 이상 정보까지 무선 송수신부(45)를 구동시켜 원격지의 사용자 또는 작업자에게 전송하고, 이와 동시에 알람부(46)를 구동시켜 근거리 사용자 또는 작업자에게 분전반(100)에 이상이 있음을 알리게 된다.
이와 동시에 제어부(41)는 차단기 제어부(44)를 제어하여 상술한 동작을 하되, 이상이 감지된 차단기 역시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오프시킨다.
따라서, 분전반(100) 주변 또는 원격지에 있는 사용자 또는 작업자는 분전반의 다수의 배선용 차단기 중 특정 차단기의 이상 유무를 즉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동작은 하되, 이상이 있는 차단기를 자동으로 오프시켜 발생할 수 있은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구성을 그대로 포함하면서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기 핸들의 이동에 따라 제1,2플레이트(20,30)를 가압하여 트리거 플레이트(13)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가압부(50)의 구성이 추가로 구현된다.
이는, 각 열을 이루는 복수의 차단기 중 최하층에 위치되는 제3,6차단기(130,160)의 핸들(131,161) 또는 최상층에 위치되는 제1,4차단기(110,140)의 핸들(111,141)이 이상이 검출되어 이동되는 경우, 제1,2플레이트(20,30)가 수직으로부터 일측으로 편심되면서 트리거 플레이트(13)의 원활한 진행을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단수의 핸들의 이동에 따른 가압에 따라 제1,2플레이트(20,30)와 함께 트리거 플레이트(13)의 이동을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가압부(50)는 제1,2플레이트(20,30)의 하부를 연결하는 연결바(60), 연결바(60)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고정판(61), 고정판(61)을 가압하는 가압수단(70) 및 분전함(101)의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가압수단(70)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바(80)를 포함한다.
연결바(60)는 가압수단(70)의 가압에 따른 제1,2플레이트(20,30)의 하부가 평행 상태로부터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등의 어긋남이 없이 동일 간격을 유지하며 동시에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고정판(61)은 양면이 분전함(101)의 양측을 향하며, 연결바(60)의 전후 폭보다 넓게 형성되면서 가압수단(70)에 의한 가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압수단(70)은 고정판(61)과 대향되는 일단부가 개방되어 내측으로 공간부(71a)가 형성되는 케이싱(71), 일단부는 고정판(61)을 향하고 타단부는 공간부(71a)로 수용되는 가압부재(72), 공간부(71a)로 수용되며 가압부재(72)를 가압하여 가압부재(72)가 고정판(61)에 접하도록 하는 스프링(73) 및 개방된 케이싱(71)의 일단부로 결합되어 가압부재(72)가 케이싱(7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캡(74)을 포함한다.
케이싱(71)은 일단부가 개방되는 원통 형태를 이루며 양단부가 분전함(101)의 양측을 향한다.
케이싱(71)은 공간부(71a)로 수용되는 스프링(73)을 보호하면서 원활한 수축,이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지지바(80)는 하부가 분전함(101)의 내부 바닥면에 연결되고 상부가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케이싱(71)에 연결되면서 분전함(101)으로부터 케이싱(71)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한편, 케이싱(71)이 분전함(101)의 바닥면과 이격되도록 한다.
지지바(80)는 케이싱(71)이 분전함(101)의 바닥면과 이격되도록 하여 가압수단(70)의 원활한 구동을 유도한다.
가압부재(72)는 일단부가 고정판(61)에 접하고 타단부가 공간부(71a)로 인입되는 가압바(75) 및 가압바(75)의 타단부에 연결되며 스프링(73)과 접하는 압착판(76)을 포함한다.
압착판(76)은 원판 형태를 이루며, 가압바(75)는 원기둥 형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압부재(72)는 가압바(75)의 일단부에 구비되며 고정판(61)에 접하는 가압판(7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압판(77)은 가압바(75)에 비해 고정판(61)과의 접촉면적이 증가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접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탈방지캡(74)은 타단부가 개방되면서 개방된 케이싱(71)의 일단부 외측으로 결합되며, 일단부에 가압바(75)의 일단부가 통과하는 통공(74a)이 형성된다.
케이싱(71)은 일단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이탈방지캡(74)은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케이싱(71)으로 나사결합될 수 있다.
이탈방지캡(74)은 풀림 회전에 따라 케이싱(71)으로부터 분리되면서 스프링(73) 및 가압부재(72)가 케이싱(71)에서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이탈방지캡(74)의 분리에 따라 가압부재(72) 및 스프링(73)에 대한 점검과 함께 교체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스프링(73)은 수축된 상태로부터 차단기 핸들의 이동에 따른 제1,2플레이트(20,30)의 이동에 따라 이완되면서 가압부재(72) 및 고정판(61)을 가압하여 제1,2플레이트(20,30)의 원활한 이동과 함께 트리거 플레이트(13)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스프링(73)의 수축 정도는 차단기 핸들이 이동되지 않은 상태를 기준으로 자체 반발력 즉, 수축된 상태로부터 원상태로 복원되려는 힘만으로 제1,2플레이트(20,30)가 이동되지 않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스프링(73)은 차단기 핸들의 이동에 따른 제1,2플레이트(20,30)의 이동과 동시에 이완되면서 고정판(61)을 가압하여 제1,2플레이트(20,30)의 이동과 함께 트리거 플레이트(13)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가압부재(72)는 스프링(73)의 이완에 따라 제어유닛(40)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고정판(61)을 가압하며, 압착판(76)이 이탈방지캡(74)에 접하면서 이동이 정지되는 한편, 케이싱(71)으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된다.
가압바(75)는 타단부에 압착판(76)을 통과하는 체결돌기(75a)가 형성되고, 가압부재(72)는 체결돌기(75a)에 나사결합되면서 압착판(76)을 가압바(75)에 분리 가능하게 결속하는 체결부재(7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체결돌기(75a)는 직경이 가압바(75)보다 작게 형성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체결부재(78)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너트 등으로 이루어져 체결돌기(75a)에 나사결합되면서 압착판(76)을 가압바(75)에 분리 가능하게 결속한다.
이에 따라, 가압부재(72)는 케이싱(71)으로의 분리, 결합과 함께 이탈방지캡(74)으로의 분리,결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스프링(73)의 탄성력을 조절하기 위한 탄성력조절수단(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케이싱(71)은 상,하부에 일단부로부터 타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공(71b)이 형성된다.
탄성력조절수단(90)은 스프링(73)의 타단부에 접하도록 공간부(71a)로 수용되는 조절판(92)과 조절판(92)의 상,하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가이드공(71b)을 통과하는 가이드돌기(93)를 포함하는 조절부재(91) 및 케이싱(71)의 외측으로 나사결합되면서 회전에 따라 케이싱(7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며 조절부재(91)를 가압 또는 가압해제하면서 스프링(73)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조절너트(94)를 포함한다.
즉, 탄성력조절수단(90)은 조절너트(94)를 인위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조절부재(91)를 케이싱(7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압착판(76)과 조절판(92) 간의 이격거리 조절을 통해 스프링(73)의 수축 정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조절너트(94)는 복수의 지지바(80)에 의해 케이싱(71)이 분전함(101)의 바닥면과 이격됨으로써 인위적인 조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조절너트(94)는 압착판(76)과 조절판(252) 간의 이격거리 조절을 통해 스프링(73)의 수축 정도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스프링(73)의 반발력만으로 제1,2플레이트(20,30)가 이송되지 않도록 하는 한편, 차단기 핸들의 이동에 따라 스프링(73)의 반발력으로 인해 제1,2플레이트(20,30)의 이동과 함께 트리거 플레이트(13)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트리거 플레이트(13)는 핸들(121)의 이동에 따른 적은 가압에도 제어유닛(40) 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되면서 스위치(42)를 스위칭할 수 있다.
가압부(70)는 가압판(77)과 이탈방지캡(74) 간에 위치되도록 가압바(75)의 외측으로 결합되면서 이탈방지캡(74)이 케이싱(71)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조스프링(79)을 더 포함한다.
보조스프링(79)은 차단기 핸들이 이동되지 않은 상태에서 수축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가압판(77)으로부터 이탈방지캡(74)을 가압하여 이탈방지캡(74)이 케이싱(71)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보조스프링(79)은 스프링(73)과 함께 차단기 핸들의 이동에 따라 이완되면서 고정판(61)을 가압하여 플레이트(20,30)의 원활한 이동과 함께 트리거 플레이트(13)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분전함(101)의 내부공간(102)에 배치된 다수의 배선용 차단기(110,120,130,140,150,160) 중 특정 차단기(120)의 이상이 검출되어 해당 차단기(120)의 핸들(121)이 이동되면, 그 이동에 따라 제1,2플레이트(20,30) 및 트리거 플레이트(13)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분전상태 제어를 위한 스위치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써,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 : 구동 유닛 10 : 가이드리브
20 : 제1플레이트 30 : 제2플레이트
40 : 제어유닛 50 : 가압부
60 : 연결바 61 : 고정판
70 : 가압수단 71 : 케이싱
72 : 가압부재 73 : 스프링
74 : 이탈방지캡 75 : 가압바
76 : 압착판 77 : 가압판
78 : 체결부재 79 : 보조스프링
80 : 지지바 90 : 탄성력조절수단
91 : 조절부재 92 : 조절판
93 : 가이드돌기 94 : 조절너트
100 : 분전반 101 : 분전함

Claims (1)

  1. 분전함(101); 상기 분전함(101)의 내부에서 적어도 두 개의 종렬로 배치되며, 온(ON),오프(OFF)가 가능한 돌출된 핸들(111,121,131,141,151,161)을 각각 가지되, 하나의 열에 적어도 두 개가 배치되는 다수의 차단기들(110,120,130,140,150,160); 상기 다수의 차단기들의 각 핸들에 공통으로 적용되어 어느 하나의 차단기의 핸들이 오프되더라도 상기 핸들의 유동에 따라 수평 이동되는 구동유닛(1); 및 상기 구동유닛(1)의 수평 이동을 감지하여 상기 오프된 차단기의 이상 정보를 검출하는 제어유닛(40)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유닛(1)은, 상기 각 열에 종방향으로 배치된 모든 차단기(110,120,130,140,150,160)의 핸들(111,121,131,141,151,161)을 동시에 수용할 수 있는 대응 걸림 구멍(231,232,233,331,332,333)이 형성되며, 각각의 열에 각각 하나씩 배치되는 플레이트(20,30); 상기 각 플레이트(20,30)의 상방에 설치되어 상기 각 플레이트(20,30)가 동시에 고정되며,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트리거 플레이트(13); 상기 분전함(101)의 내부에 고정되어 상기 트리거 플레이트(13)의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리브(10); 및 상기 트리거 플레이트(13)의 일측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트리거 플레이트(13)의 이동에 따른 이동 동작을 상기 제어유닛(40)에 제공하는 트리거(14)를 포함하는 공동주택의 분전상태 제어를 위한 스위치에 있어서,
    차단기 핸들의 이동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20,30)를 가압하여 상기 트리거 플레이트(13)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가압부(50)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가압부(50)는,
    상기 플레이트(20,30)의 하부를 연결하는 연결바(60);
    상기 연결바(60)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고정판(61);
    상기 고정판(61)를 가압하는 가압수단(70); 및
    상기 분전함(101)의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가압수단(70)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바(80)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수단(70)은,
    상기 고정판(61)과 대향되는 일단부가 개방되어 내측으로 공간부(71a)가 형성되는 케이싱(71);
    일단부는 상기 고정판(61)을 향하고, 타단부는 상기 공간부(71a)로 수용되는 가압부재(72);
    상기 공간부(71a)로 수용되며, 상기 가압부재(72)를 가압하여 상기 가압부재(72)가 상기 고정판(61)에 접하도록 하는 스프링(73); 및
    개방된 상기 케이싱(71)의 일단부로 결합되어 상기 가압부재(72)가 상기 케이싱(7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캡(74)을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재(72)는,
    타단부가 상기 공간부(71a)에 위치되고 일단부가 상기 이탈방지캡(74)을 통과하는 가압바(75);
    상기 가압바(75)의 타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스프링(73)과 접하는 압착판(76); 및
    상기 가압바(75)의 일단부에 구비되면서 상기 고정판(61)에 접하는 가압판(77)을 포함하고,
    상기 가압바(75)는,
    타단부에 상기 압착판(76)을 통과하며, 직경이 상기 가압바(75)보다 작게 형성되는 체결돌기(75a)가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재(72)는,
    상기 체결돌기(75a)에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압착판(76)을 상기 가압바(75)에 분리 가능하게 결속하는 체결부재(78)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압수단(70)은,
    상기 가압판(77)과 상기 이탈방지캡(74) 간에 위치되도록 상기 가압바(75)의 외측으로 결합되면서 상기 이탈방지캡(74)이 상기 케이싱(71)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조스프링(78)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73) 및 상기 보조스프링(78)은,
    수축된 상태로부터 차단기 핸들의 이동에 따른 상기 플레이트(20,30)의 이동에 따라 이완되면서 상기 고정판(61)을 가압하여 상기 플레이트(20,30)의 원활한 이동과 함께 상기 트리거 플레이트(13)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분전상태 제어를 위한 스위치.
KR1020180064176A 2018-06-04 2018-06-04 공동주택의 분전상태 제어를 위한 스위치 KR1018912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4176A KR101891273B1 (ko) 2018-06-04 2018-06-04 공동주택의 분전상태 제어를 위한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4176A KR101891273B1 (ko) 2018-06-04 2018-06-04 공동주택의 분전상태 제어를 위한 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1273B1 true KR101891273B1 (ko) 2018-08-27

Family

ID=63455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4176A KR101891273B1 (ko) 2018-06-04 2018-06-04 공동주택의 분전상태 제어를 위한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127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8518B1 (ko) * 2018-10-24 2019-04-12 박흥순 공동주택 가정용 정보통신 단말장치
KR101993741B1 (ko) * 2019-01-15 2019-07-01 (주)디케이이엔지 가공 배전선로의 슬리브 절연커버장치
KR102007805B1 (ko) * 2019-05-17 2019-08-06 이상규 활선작업이 용이한 가공 배전선의 애자장치
KR20200108551A (ko) * 2019-03-11 2020-09-21 김동빈 이동 방지형 무정전 전원공급장치
KR102261963B1 (ko) * 2020-11-02 2021-06-09 (주)진전기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전기 배전반 고정장치
KR102311037B1 (ko) * 2021-02-19 2021-10-12 (주)에너담 스위치 모듈 통합 제어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5179B1 (ko) 2012-06-12 2012-09-24 주식회사 다산전기기술사사무소 공동 주택의 분전 상태 제어를 위한 스위칭 장치
KR101228605B1 (ko) * 2012-10-29 2013-01-31 (주)동도엠이씨인스파이어 공동주택의 분전상태 제어를 위한 스위치
KR101306970B1 (ko) * 2013-05-13 2013-09-17 주식회사 성진티이씨 공동주택의 분전상태 제어를 위한 스위칭 장치
KR101626961B1 (ko) * 2016-03-03 2016-06-13 주식회사 이린 공동주택의 분전상태 제어를 위한 스위치
KR101743615B1 (ko) * 2016-10-24 2017-06-07 주식회사 나로이엔씨 공동주택의 분전상태 제어를 위한 스위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5179B1 (ko) 2012-06-12 2012-09-24 주식회사 다산전기기술사사무소 공동 주택의 분전 상태 제어를 위한 스위칭 장치
KR101228605B1 (ko) * 2012-10-29 2013-01-31 (주)동도엠이씨인스파이어 공동주택의 분전상태 제어를 위한 스위치
KR101306970B1 (ko) * 2013-05-13 2013-09-17 주식회사 성진티이씨 공동주택의 분전상태 제어를 위한 스위칭 장치
KR101626961B1 (ko) * 2016-03-03 2016-06-13 주식회사 이린 공동주택의 분전상태 제어를 위한 스위치
KR101743615B1 (ko) * 2016-10-24 2017-06-07 주식회사 나로이엔씨 공동주택의 분전상태 제어를 위한 스위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8518B1 (ko) * 2018-10-24 2019-04-12 박흥순 공동주택 가정용 정보통신 단말장치
KR101993741B1 (ko) * 2019-01-15 2019-07-01 (주)디케이이엔지 가공 배전선로의 슬리브 절연커버장치
KR20200108551A (ko) * 2019-03-11 2020-09-21 김동빈 이동 방지형 무정전 전원공급장치
KR102200574B1 (ko) * 2019-03-11 2021-01-07 김동빈 이동 방지형 무정전 전원공급장치
KR102007805B1 (ko) * 2019-05-17 2019-08-06 이상규 활선작업이 용이한 가공 배전선의 애자장치
KR102261963B1 (ko) * 2020-11-02 2021-06-09 (주)진전기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전기 배전반 고정장치
KR102311037B1 (ko) * 2021-02-19 2021-10-12 (주)에너담 스위치 모듈 통합 제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1273B1 (ko) 공동주택의 분전상태 제어를 위한 스위치
KR101185179B1 (ko) 공동 주택의 분전 상태 제어를 위한 스위칭 장치
KR101626961B1 (ko) 공동주택의 분전상태 제어를 위한 스위치
KR101935345B1 (ko) 화재진압기능을 갖춘 지중송전선 연결 커넥터
US20160192101A1 (en) Method and device for analyzing and processing abnormal load on premises broadcasting device
KR101663810B1 (ko) 공동주택의 분전상태 제어를 위한 스위치
US610060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rting a manual transfer switch into an automatic transfer switch
KR101626141B1 (ko) 가공배전선로의 고장 감시 장치
KR101924585B1 (ko) 누전 경고 기능을 갖춘 안전성 향상 지중송전 연결기구
KR101399045B1 (ko) 지중전선의 배전선로 보호패널
KR101572486B1 (ko) 원격 전원 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cctv 시스템
KR101306970B1 (ko) 공동주택의 분전상태 제어를 위한 스위칭 장치
KR101280292B1 (ko) 수변전설비의 멀티센서를 이용한 이상감지장치
CA2297379A1 (en) Alarms for monitoring operation of sensors in a fire-suppression system
KR102102348B1 (ko) 인입전선의 합선방지와 정밀접속을 위한 전기 발광장치 시설물
KR102035529B1 (ko) 배전선로의 고장감시장치
KR102073931B1 (ko) 스피커 선로의 장애 처리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방송 시스템
KR101743615B1 (ko) 공동주택의 분전상태 제어를 위한 스위치
KR101418768B1 (ko) 지중배전선 접속전용 커넥터
JP2009132513A (ja) 乗客コンベアの踏段鎖異常検出装置
KR101277282B1 (ko) 진동감지차단기능이 구비된 수배전설비
KR20070119223A (ko) 변전소 운영상태 감시를 위한 디지탈 축소형 모자익배전반의 마스터씨피유 이중화구조
KR101706708B1 (ko) 지진 감지 기능을 갖는 배전반
KR101415269B1 (ko) 실시간 제어가 가능한 전원 분배반
KR102406409B1 (ko) 애자 버스바 연결용 내진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애자, 수배전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