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3810B1 - 공동주택의 분전상태 제어를 위한 스위치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의 분전상태 제어를 위한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3810B1
KR101663810B1 KR1020160023430A KR20160023430A KR101663810B1 KR 101663810 B1 KR101663810 B1 KR 101663810B1 KR 1020160023430 A KR1020160023430 A KR 1020160023430A KR 20160023430 A KR20160023430 A KR 20160023430A KR 101663810 B1 KR101663810 B1 KR 1016638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unit
breaker
trigger plate
breakers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3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치호
Original Assignee
보원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원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보원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23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38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3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38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25Safety arrangements, e.g. in case of excessive pressure or fire due to electrical defec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27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 G01R31/3271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of high voltage or medium voltage devices
    • G01R31/3272Apparatus, systems or circuits therefor
    • G01R31/3274Details related to measuring, e.g. sensing, displaying or computing; Measuring of variables related to the contact pieces, e.g. wear, position or resistan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5Electrical failure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5/00Supervisory desks or panels for centralised control or displa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분전상태 제어를 위한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분전함 내에 배치되는 다수의 차단기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차단기 핸들의 이동에 따른 플레이트의 가압에 따라 트리거 플레이트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차단기의 이상 여부를 신속히 검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공동 주택의 분전 상태 제어를 위한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동주택의 분전상태 제어를 위한 스위치{SWITCH APPARATUS FOR CONTROLLING ELECTRIC DISTRIBUTION IN APARTMENT HOUSE}
본 발명은 공동주택에 전기를 공급하는 기술 분야 중 공동주택의 분전상태 제어를 위한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분전함 내에 배치되는 다수의 차단기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차단기 핸들의 이동에 따른 플레이트의 가압에 따라 트리거 플레이트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차단기의 이상 여부를 신속히 검사하기 위한 공동 주택의 분전 상태 제어를 위한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 주택은 외부에서 인입되는 고압의 전력을 전압강하시켜 각 세대에 알맞은 전력으로 변경시켜 제공하기 위한 분전반이 설치된다.
이러한 분전반은 공급되는 전력을 각종 부하로 분배, 공급시키는 전원 분배
기와, 부하에 공급되는 전압 상태를 감지하여 과부하 누전 등과 같은 이상 상태 발생시 이를 신속히 차단시켜 전기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누전차단기 또는 이상이 있는 부하측만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배선용 차단기, 일정기간 동안 사용한 전력의 총량을 측정하는 전력량계 등의 각종 기기들을 한 곳에 모아 건물 시공시에 벽면에 매설되는 구성을 갖는다.
특히, 배선용 차단기의 경우에 하나의 분전함에 다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단위 차단기들이 하나의 패널에 다수개가 설치되어 각 패널들을 추가하는 것으로 상술한 배선용 차단기들의 개수를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배선용 차단기들은 댁내의 해당 부분, 예를 들어 구획 별로 해당 전력을 공급하고 있으며, 공급되는 전력의 이상 유무에 따라 자동으로 해당 부하에 대한 전력 공급만을 차단시키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차단기들은 각각 개별적으로 차단되기는 하지만 하나의 차단기가 차단될 경우 주변 전력이 이상 유무에 따라 이웃하는 차단기의 이상 유무를 확인할 수 없고, 이상이 있는 해당 차단기에 대하여 사용자 또는 작업자에게 알려줄 수 있는 상황이 전무하여 분전함 관리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185179호(2012.09.24.) "공동 주택의 분전 상태 제어를 위한 스위칭 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분전함 내에 배치되는 다수의 차단기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차단기 핸들의 이동에 따른 플레이트의 가압에 따라 트리거 플레이트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차단기의 이상 여부를 신속히 검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공동 주택의 분전 상태 제어를 위한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정 크기의 내부공간을 갖는 분전함; 상기 분전함의 내부에서 적어도 두 개의 종렬로 일정 간격을 가지며 배치되며, 온(ON),오프(OFF)가 가능한 돌출된 핸들을 각각 가지되, 하나의 열에 적어도 두 개가 배치되는 다수의 차단기들; 상기 다수의 차단기들의 각 핸들에 공통으로 적용되어 어느 하나의 차단기의 핸들이 오프되더라도 상기 핸들의 유동에 따라 수평 이동되는 구동유닛; 및 상기 구동유닛의 수평 이동을 감지하여 상기 오프된 차단기의 이상 정보를 검출하고 사용자 또는 작업자에게 알리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각 열에 종방향으로 배치된 모든 차단기의 핸들을 동시에 수용할 수 있는 대응 걸림 구멍이 형성되며, 각각의 열에 각각 하나씩 배치되는 플레이트; 상기 각 플레이트의 상방에 설치되어 상기 각 플레이트가 동시에 고정되며,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트리거 플레이트; 상기 분전함의 내부에 고정되어 상기 트리거 플레이트의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리브; 상기 가이드리브와 상기 트리거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트리거 플레이트의 이동을 유연하도록 보조하는 베어링 수단; 및 상기 트리거 플레이트의 일측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트리거 플레이트의 이동에 따른 이동 동작을 상기 제어유닛에 제공하는 트리거를 포함하여, 상기 차단기들의 핸들이 상기 플레이트의 각 걸림 구멍에 각각 돌출되어 걸리도록 하되, 걸림 구멍은 차단기의 온,오프에 따른 핸들이 이동 거리보다 길도록 형성되고, 차단기의 핸들이 오프에 의해 이동되었을 때 나머지 차단기의 핸들을 오프시키지 않으면서 상기 플레이트들 및 트리거 플레이트를 핸들 이동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하며,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트리거의 이동에 따라 눌려지면서 작동하는 스위치; 상기 스위치의 동작을 감지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각 차단기의 전압을 체크하여 이상 유무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어부에 제공하는 전압 체크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각 차단기를 개별적으로 오프시킬 수 있는 차단기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차단기의 이상 정보를 원격지의 사용자 또는 작업자에게 전송할 수 있는 무선 송수신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이상이 있는 차단기에 대하여 주변 사용자 또는 작업자에게 알람음 및 알람등으로 이상이 있음을 인지시킬 수 있는 알람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치의 작동을 감지하면 상기 전압 체크부를 제어하여 이상이 있는 차단기와, 작동되더라도 기준 전압과 다른 전압을 갖는 차단기를 식별하도록 하여 이의 정보를 무선 송수신부 및 알람부를 통하여 원격지 및 근거리에 있는 사용자에게 알리도록 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단기 제어부를 제어하여, 작동되더라도 기준 전압과 다른 전압을 갖는 차단기를 오프시켜 발생할 수 있는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공동주택의 분전상태 제어를 위한 스위치로써,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스위치를 보호하는 제어박스를 포함하고, 양단부를 가지며, 일단부는 상기 트리거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지지줄; 상기 제어박스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지지줄의 양단부 사이가 거치되면서 그 지지줄의 타단부가 하방향을 향하도록 하는 롤러; 상기 지지줄의 타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트리거 플레이트가 상기 제어유닛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하강되면서 그 트리거 플레이트를 상기 제어유닛 방향으로 잡아당기는 무게추; 상,하단부를 가지며, 그 하단부가 상기 제어박스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연결되고, 내측으로 상기 지지줄의 타단부가 통과하는 세로가이드관; 및 양측단부를 가지며, 타측단부가 제어박스의 일측과 연통되도록 연결되고, 내측으로 지지줄이 통과하는 가로가이드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분전상태 제어를 위한 스위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분전함내의 다수의 차단기 중 특정 차단기의 이상 유무를 신속히 발견하여 사용자 또는 작업자에게 알릴 수 있으며, 나머지 차단기들의 이상 유무를 미연에 검출하여 신속히 조치함으로써 분전반의 효율적인 제어 및 관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분전상태 제어를 위한 스위치를 포함하는 분전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스위칭 장치 중 구동 유닛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스위칭 장치 중 제어 유닛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의 분전반 중 특정 차단기에 이상이 발생했을 경우 구동 유닛의 동작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분전상태 제어를 위한 스위치를 포함하는 분전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가로,세로가이드관이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가이드레일 및 가이드롤러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후술되는 선등록특허 제1185179호를 그대로 이용하므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상의 특징들은 모두 등록특허 제1185179호에 기재된 사항들로 이해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상기 등록특허 제1185179호에 개시된 구성들 중 차단기 핸들의 이동에 따른 플레이트의 가압에 따라 트리거 플레이트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향상시킨 구조 및 그 작용설명이 더 포함되며, 이 부분이 가장 핵심적인 구성상 특징을 이룬다.
따라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과 특징 및 작동관계는 상기 등록특허 제1185179호의 내용을 그대로 인용하기로 하며, 후단부에서 본 발명의 주된 특징과 관련된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분전반(100)은 박스 형태의 분전함(101)과 분전함(101)의 내부공간(102)에 종렬로 배치되는 다수의 배선용 차단기(이하 '차단기')(110,120,130,140,150,160)와, 이상이 있는 특정 차단기의 핸들 동작에 따라 일괄적으로 유동되는 구동유닛(1)과, 구동유닛(1)의 이동에 따라 이를 검출하고 특정 차단기의 이상을 작업자 또는 사용자에게 알려줌과 동시에 나머지 차단기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는 제어유닛(40)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각 차단기(110,120,130,140,150,160)는 종방향으로 2열이 배치되며, 하나의 열에 3개의 차단기가 배치된다.
각 열에는 3개의 차단기를 모두 커버할 수 있는 플레이트(20,30)가 종방향으로 설치된다.
플레이트(20,30)에는 3개의 차단기의 핸들(스위치버튼)을 각각 수용할 수 있는 하나 이상 다수의 걸림 구멍(231,232,233,331,332,333)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즉, 제1플레이트(20)에는 종방향으로 배치된 제1,2,3차단기(110,120,130)의 각 핸들(111,121,131)을 수용하기 위한 걸림 구멍(231,232,233)이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제2플레이트(30)에는 종방향으로 배치된 제4,5,6차단기(140,150,160)의 각 핸들(141,151,161)을 수용하기 위한 걸림 구멍(331,332,333)이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제1,2플레이트(20,30)의 상부에는 각 플레이트(20,30)를 동시에 이송하기 위한 트리거 플레이트(13)가 설치된다.
제1,2플레이트(20,30)는 소정의 결합부(22,32)에 의해 트리거 플레이트(13)의 하측에 고정될 수 있다.
트리거 플레이트(13), 결합부(22,32) 및 제1,2플레이트(20,30)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트리거 플레이트(13)는 분전함(101)의 내부공간(102)에 고정되는 가이드리브(10)에 의해 수평이동이 가능하도록 고정된다.
가이드리브(10)와 트리거 플레이트(13) 사이에는 소정의 베어링 수단(11)이 구비되면서 트리거 플레이트(13)의 수평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트리거 플레이트(13)의 일단은 돌출 연장된 트리거(14)를 포함하여 트리거 플레이트(13)의 이동에 따라 상술한 제어유닛(40)의 스위치(42)를 구동시킬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2,3차단기(110,120,130)에 동시에 설치되는 제1플레이트(20)만을 도시하였으나, 제4,5,6차단기(140,150,160) 역시 동일한 형식으로 설치되며, 분전함(101)의 내부공간(102)이 허여되고, 더 많은 개수의 차단기들이 요구된다면 3열, 4열....등 더 많은 플레이트가 설치되어 상술한 트리거 플레이트(20)와 함께 수평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최초의 설치시에 각 플레이트(20,30)의 걸림 구멍(231,232,233,331,332,333)에 각 차단기(110,120,130,140,150,160)의 핸들(111,121,131,141,151,161)이 각각 걸리도록 설치되되, 각 차단기(110,120,130,140,150,160)의 해당 핸들(111,121,131,141,151,161)은 해당 걸림 구멍(231,232,233,331,332,333)에서 온(ON) 된 상태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차단기들 중 어느 특정 차단기의 이상이 발견되어 자동으로 핸들이 오프(OFF)되는 상태로 이동되면 다른 이상이 없는 차단기의 핸들은 이동되지 않은 상태에서 특정 차단기의 핸들의 이동에 따라 플레이트들만이 이동된다.
상술한 걸림 구멍은 차단기들의 각 핸들(231,232,233,331,332,333)의 온(ON), 오프(OFF)를 위한 이동 거리보다 긴 거리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스위칭 장치 중 제어유닛(4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칭 장치의 제어유닛(40)은 분전함(101)의 내부공간(102)에 설치되며, 상술한 트리거 플레이트(13)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는 스위치(42)를 포함한다.
즉, 다수의 차단기 중 하나의 특정 차단기에 이상이 발생하여 해당 차단기의 핸들이 이동하였을 경우 이로 인해 플레이트(20,30)가 이동하고, 플레이트(20,30)의 이동에 따라 트리거 플레이트(13)가 가이드리브(10)의 지지를 받으며 수평으로 이동한다.
트리거 플레이트(13)의 이동에 따라 트리거(14)는 상술한 제어유닛(40)의 스위치(42)를 스위칭시킨다.
제어유닛(40)은 분전반(100)에 설치된 다수의 배선용 차단기(110,120,130,140,150,160)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차단기의 해당 전압(전력)을 측정하기 위한 전압 체크부(43), 전압 체크부(43)의 체크에 따라 이상이 발견되면 해당 차단기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기 제어부(44), 특정 차단기의 이상이 발견되면 이를 육안으로 식별이 가능하도록 주변 사용자에게 시각 또는 청각으로 알려주기 위한 알람부(46), 특정 차단기의 이상이 발견되었을 때 원거리 사용자 또는 작업자에게 무선으로 알려주기 위한 무선 송수신부(45) 및 상술한 스위치(42)의 감지에 따라서 상술한 전압 체크부(43), 차단기 제어부(44), 알람부(46) 및 무선 송수신부(45)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41)를 포함한다.
차단기 제어부(44)는 각 차단기의 배선용 전력을 차단할 수 있는 미도시된 별도의 차단용 스위칭 수단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차단기 제어부(44)에 의해 개별적으로 해당 차단기를 온, 오프시킬 수 있는 여타 공지의 다양한 스위칭 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제어유닛(40)의 제어부(41)는 상술한 트리거 플레이트(13)의 이동에 따라 스위치(42)의 감지 신호를 인가받으면 전압 체크부(43)를 구동시켜 각 차단기(110,120,130,140,150,160)의 이상 유무를 확인한다.
전압 체크부(43)는 각 차단기의 전압을 체크하여 해당 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즉 핸들이 오프된 차단기 정보를 제어부(41)에 제공한다.
또한, 전압 체크부(43)는 기준 각 차단기에서 기준 전압 이외의 전압이 체크되는지 검사하여 제어부에 이상 정보를 제공한다.
제어부는 전압 체크부(43)의 특정 차단기의 이상 정보를 무선 송수신부(45)를 통해 원격지에 위치한 사용자 또는 작업자에게 송신하며, 이와 동시에 알람부(46)를 구동시켜 주변 사용자에게 특정 차단기의 이상이 있음을 알린다.
이러한 알람부(46)는 미도시되었으나, 해당 차단기마다 배치된 알람등 중 이상이 있는 특정 알람등을 점등시키는 것으로 수행될 수 있다.
알람부는 스피커 장치를 포함하여 주변 작업자에게 청각으로 인지시킬 수도 있다.
만일, 제어부(41)는 특정 차단기가 OFF 되지는 않았더라도 전압이 기준전압과 다르다는 정보를 전압 체크부(43)로부터 인가받으면, 차단기 제어부(44)를 제어하여 해당 차단기를 강제로 OFF 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 역시 상술한 무선 송수신부(45) 및 알람부(46)에 의해 외부로 알릴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분전반 중 특정 차단기에 이상이 발생했을 경우 구동유닛의 동작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우선 분전함(101)의 내부공간(102)에 배치된 다수의 배선용 차단기(110,120,130,140,150,160) 중 특정 차단기(120)의 이상이 검출되어 해당 차단기(120)의 핸들(121)이 이동된다.
도 4에서는 다수의 차단기들(110,120,130,140,150,160) 중 제2차단기(120)의 핸들(121)이 오프(OFF)되었다.
이러한 경우, 차단기(120)의 핸들(121)의 이동에 따라 제1플레이트(20)와 제2플레이트(30) 역시 이동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121)의 이동에 따라 제1,2플레이트(20,30) 역시 트리거 플레이트(13)와 함께 분전함(101)의 내부공간(102)에 설치된 가이드리브(10)의 지지를 받아 왼쪽으로 이동한다.
제1플레이트(20)의 두 번째 걸림 구멍(232)에 걸려있던 핸들(121)이 이동하면서 제1플레이트(20)를 왼쪽으로 이동시키며, 이로 인하여 트리거 플레이트(13) 및 제2플레이트(30) 역시 동시에 왼쪽으로 이동한다.
제1,2플레이트(20,30)가 제2차단기(120)의 핸들(121)에 의해 이동되더라도 제2차단기(120)의 핸들(121) 이외에 나머지 차단기(110,130,140,150,160)의 핸들들(111,131,141,151,161)은 오프되지 않는다.
이는, 제1,2플레이트(20,30)의 각 걸림 구멍(231,232,233,331,332,333)이 일정 길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으로 이해될 수 있다.
트리거 플레이트(13)가 왼쪽으로 이동하면, 트리거 플레이트(13)와 일체로 형성되며, 제어유닛(40)의 내부로 일부 인입된 트리거(14) 역시 함께 이동하여 제어유닛(40)의 내부에 배치되는 스위치(42)를 작동시킨다.
제어유닛(40)의 제어부(41)는 스위치(42)가 작동된 것을 감지하고, 전압 체크부(43)를 구동시켜 이상이 있는 제2차단기(120) 및 이상이 없는 나머지 차단기(110,130,140,150,160) 역시 이상 유무를 검사한다.
제2차단기(120) 이외의 나머지 차단기들(110,130,140,150,160)이 이상이 없음이 감지되면, 제어부(41)는 무선 송수신부(45)를 구동시켜 해당 차단기(120)의 이상 정보를 원격지의 사용자 또는 작업자에게 전송하고, 이와 동시에 알람부(46)를 구동시켜 근거리 사용자 또는 작업자에게 분전반(100)에 이상이 있음을 알리게 된다.
제2차단기(120)뿐만 아니라 나머지 차단기들(110,130,140,150,160) 중 특정 차단기의 이상이 있음이 감지되면, 오프된 해당 차단기(120)의 이상 정보뿐만 아니라 이상이 있되, 동작하고 있는 특정 차단기의 이상 정보까지 무선 송수신부(45)를 구동시켜 원격지의 사용자 또는 작업자에게 전송하고, 이와 동시에 알람부(46)를 구동시켜 근거리 사용자 또는 작업자에게 분전반(100)에 이상이 있음을 알리게 된다.
이와 동시에 제어부(41)는 차단기 제어부(44)를 제어하여 상술한 동작을 하되, 이상이 감지된 차단기 역시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오프시킨다.
따라서, 분전반(100) 주변 또는 원격지에 있는 사용자 또는 작업자는 분전반의 다수의 배선용 차단기 중 특정 차단기의 이상 유무를 즉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동작은 하되, 이상이 있는 차단기를 자동으로 오프시켜 발생할 수 있은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구성을 그대로 포함하면서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기 핸들의 이동에 따른 플레이트의 가압에 따라 트리거 플레이트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 추가로 구현된다.
이는, 각 열을 이루는 복수의 차단기 중 최하층에 위치되는 차단기(130,160)의 핸들(131,161) 또는 최상층에 위치되는 차단기(110,140)의 핸들(111,141)이 이상이 검출되어 이동되는 경우, 제1,2플레이트(20,30)가 수직으로부터 일측으로 편심되면서 트리거 플레이트(13)의 원활한 진행을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단수의 핸들의 이동에 따른 가압에 따라 제1,2플레이트(20,30)와 함께 트리거 플레이트(13)의 이동을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양단부를 가지며, 일단부는 트리거 플레이트(13)에 연결되는 지지줄(50), 제어유닛(40)에 연결되고 지지줄(50)의 양단부 사이가 거치되면서 그 지지줄(50)의 타단부가 하방향을 향하도록 하는 롤러(60) 및 지지줄(50))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무게추(70)를 포함한다.
여기서 무게추(70)는 100 내지 200 그람(gram) 범위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값에 의한 무게를 갖도록 구성하되 160 그람의 무게가 바람직하고, 지지줄(50)은 낚시용 줄을 사용하되 1호줄 내지 3 호줄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되 2 호줄을 사용하는 것이 분전반의 크기, 생산을 위한 공정, 규격화, 원재료 조달 및 유지보수 등에서 매우 바람직하다.
무게추(70)는 각 열을 이루는 복수의 차단기 중 최하층에 위치되는 차단기(130,160)의 핸들(131,161) 또는 최상층에 위치되는 차단기(110,140)의 핸들(111,141)이 이상이 검출되어 이동되는 경우에도 제1,2플레이트(20,30)가 수직으로부터 일측으로 편심됨이 없이 수직인 자세를 유지하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무게추(70)는 하나의 핸들의 이동에 따른 가압에도 제1,2플레이트(20,30)와 함께 트리거 플레이트(13)를 제어유닛(40) 방향으로 잡아당겨 원활한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제어유닛(40)은 스위치(42)를 보호하는 제어박스(47)를 포함하며, 롤러(60)는 제어박스(47)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지지줄(50)은 타단부가 제어박스(47)의 일측 및 하부를 통과하면서 무게추에 연결되는 한편, 양단부 사이가 롤러(60)에 거치된다.
지지줄(50)은 실, 와이어 등 공지된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외주면에 절연부재가 피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분전함(101)의 내부공간(102)에 배치된 다수의 배선용 차단기(110,120,130,140,150,160) 중 특정 차단기(120)의 이상이 검출되어 해당 차단기(120)의 핸들(121)이 이동되면, 핸들(121)의 이동에 따라 제1,2플레이트(20,30)가 함께 제어유닛(40)의 방향으로 이동된다.
제1,2플레이트(20,30)의 이동에 따라 트리거 플레이트(13)가 함께 분전함(101)의 내부공간(102)에 설치된 가이드리브(10)의 지지를 받아 제어유닛(40) 방향으로 이동되며, 트리거 플레이트(13)의 이동에 따라 무게추(70)가 하중에 의해 하강되면서 그 트리커 플레이트(13)를 제어유닛(40) 방향으로 잡아당긴다.
이에 따라, 트리거 플레이트(13)는 핸들(121)의 이동에 따른 적은 가압에도 제어유닛(40) 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되면서 스위치(42)를 스위칭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하단부를 가지며, 그 하단부가 제어박스(47)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연결되고 내측으로 지지줄(50)의 타단부가 통과하는 세로가이드관(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양측단부를 가지며 타측단부가 제어박스(47)의 일측과 연통되도록 연결되고, 내측으로 지지줄(50)이 통과하는 가로가이드관(8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로,세로가이드관(81,80)은 트리거 플레이트(13)의 이동에 따라 지지줄(50)이 흔들림없이 승,하강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롤러(6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은 내부공간(102)의 바닥면에 양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레일(90) 및 제1,2플레이트(20,3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가이드레일(90)을 따라 직선이동되는 가이드롤러(9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분전함(101)의 내부공간(102)에 배치된 다수의 배선용 차단기(110,120,130,140,150,160) 중 특정 차단기(120)의 이상이 검출되어 해당 차단기(120)의 핸들(121)이 이동되면, 그 이동에 따라 제1,2플레이트(20,30) 및 트리거 플레이트(13)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1: 구동 유닛 10: 가이드리브
13: 트리거 플레이트 14: 트리거
20: 제1플레이트 30: 제2플레이트
40: 제어유닛 41: 제어부
42: 스위치 43: 전압 체크부
44: 차단기 제어부 45: 무선 송수신부
46: 알람부 47 : 제어박스
50 : 지지줄 51 : 절연부재
60 :롤러 70 : 무게추
80 : 세로가이드관 81 : 가로가이드관
90 : 가이드레일 91 : 가이드롤러
100: 분전반 101: 분전함
102: 내부공간
110, 120, 130, 140, 150, 160: (배선용) 차단기
111, 121, 131, 141, 151, 161: (차단기) 핸들
231, 232, 233, 331, 332, 333: 걸림 구멍

Claims (1)

  1. 일정 크기의 내부공간(102)을 갖는 분전함(101); 상기 분전함(101)의 내부에서 적어도 두 개의 종렬로 일정 간격을 가지며 배치되며, 온(ON),오프(OFF)가 가능한 돌출된 핸들(111,121,131,141,151,161)을 각각 가지되, 하나의 열에 적어도 두 개가 배치되는 다수의 차단기들(110,120,130,140,150,160); 상기 다수의 차단기들의 각 핸들에 공통으로 적용되어 어느 하나의 차단기의 핸들이 오프되더라도 상기 핸들의 유동에 따라 수평 이동되는 구동유닛(1); 및 상기 구동유닛(1)의 수평 이동을 감지하여 상기 오프된 차단기의 이상 정보를 검출하고 사용자 또는 작업자에게 알리는 제어유닛(40)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유닛(1)은, 상기 각 열에 종방향으로 배치된 모든 차단기(110,120,130,140,150,160)의 핸들(111,121,131,141,151,161)을 동시에 수용할 수 있는 대응 걸림 구멍(231,232,233,331,332,333)이 형성되며, 각각의 열에 각각 하나씩 배치되는 플레이트(20,30); 상기 각 플레이트(20,30)의 상방에 설치되어 상기 각 플레이트(20,30)가 동시에 고정되며,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트리거 플레이트(13); 상기 분전함(101)의 내부에 고정되어 상기 트리거 플레이트(13)의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리브(10); 상기 가이드리브(10)와 상기 트리거 플레이트(13)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트리거 플레이트(13)의 이동을 유연하도록 보조하는 베어링 수단(11); 및 상기 트리거 플레이트(13)의 일측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트리거 플레이트(13)의 이동에 따른 이동 동작을 상기 제어유닛(40)에 제공하는 트리거(14)를 포함하여, 상기 차단기들(110,120,130,140,150,160)의 핸들(111,121,131,141,151,161)이 상기 플레이트(20,30)의 각 걸림 구멍(231,232,233,331,332,333)에 각각 돌출되어 걸리도록 하되, 걸림 구멍은 차단기의 온,오프에 따른 핸들의 이동 거리보다 길도록 형성되고, 차단기의 핸들이 오프에 의해 이동되었을 때 나머지 차단기의 핸들을 오프시키지 않으면서 상기 플레이트들 및 트리거 플레이트를 핸들 이동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하며, 상기 제어유닛(40)은, 상기 트리거(14)의 이동에 따라 눌려지면서 작동하는 스위치(42); 상기 스위치(42)의 동작을 감지하는 제어부(41); 상기 제어부(41)의 제어에 따라 상기 각 차단기(110,120,130,140,150,160)의 전압을 체크하여 이상 유무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어부(41)에 제공하는 전압 체크부(43); 상기 제어부(41)의 제어에 따라 상기 각 차단기를 개별적으로 오프시킬 수 있는 차단기 제어부(44); 상기 제어부(41)의 제어에 따라 차단기의 이상 정보를 원격지의 사용자 또는 작업자에게 전송할 수 있는 무선 송수신부(45); 및 상기 제어부(41)의 제어에 따라 이상이 있는 차단기에 대하여 주변 사용자 또는 작업자에게 알람음 및 알람등으로 이상이 있음을 인지시킬 수 있는 알람부(46)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41)는 상기 스위치(42)의 작동을 감지하면 상기 전압 체크부(43)를 제어하여 이상이 있는 차단기와, 작동되더라도 기준 전압과 다른 전압을 갖는 차단기를 식별하도록 하여 이의 정보를 무선 송수신부(45) 및 알람부(46)를 통하여 원격지 및 근거리에 있는 사용자에게 알리도록 하며, 상기 제어부(41)는 상기 차단기 제어부(44)를 제어하여, 작동되더라도 기준 전압과 다른 전압을 갖는 차단기를 오프시켜 발생할 수 있는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공동주택의 분전상태 제어를 위한 스위치로써,
    상기 제어유닛(40)은,
    상기 스위치(42)를 보호하는 제어박스(47)를 포함하고,
    양단부를 가지며, 일단부는 상기 트리거 플레이트(13)에 연결되고, 외주면에 절연부재가 피복되는 지지줄(50);
    상기 제어박스(47)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지지줄(50)의 양단부 사이가 거치되면서 그 지지줄(50)의 타단부가 하방향을 향하도록 하는 롤러(60);
    상기 지지줄(50)의 타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트리거 플레이트(13)가 상기 제어유닛(40)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하강되면서 그 트리거 플레이트(13)를 상기 제어유닛(40) 방향으로 잡아당겨 원활한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무게추(70);
    상,하단부를 가지며, 그 하단부가 상기 제어박스(47)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연결되고, 내측으로 상기 지지줄(50)의 타단부가 통과하는 세로가이드관(80);
    양측단부를 가지며, 타측단부가 제어박스(47)의 일측과 연통되도록 연결되고, 내측으로 지지줄(50)이 통과하는 가로가이드관(81);
    상기 내부공간(102)의 바닥면에 양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레일(90); 및
    상기 제1,2플레이트(20,3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가이드레일(90)을 따라 직선이동되는 가이드롤러(91)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가로,세로가이드관(81,80)은 상기 트리거 플레이트(13)의 이동에 따라 상기 지지줄(50)이 흔들림없이 승,하강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상기 롤러(6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가이드롤러(91)는,
    차단기의 이상이 검출되어 해당 차단기의 핸들이 이동되면, 그 이동에 따라 상기 제1,2플레이트(20,30) 및 상기 트리거 플레이트(13)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분전상태 제어를 위한 스위치.
KR1020160023430A 2016-02-26 2016-02-26 공동주택의 분전상태 제어를 위한 스위치 KR1016638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3430A KR101663810B1 (ko) 2016-02-26 2016-02-26 공동주택의 분전상태 제어를 위한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3430A KR101663810B1 (ko) 2016-02-26 2016-02-26 공동주택의 분전상태 제어를 위한 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3810B1 true KR101663810B1 (ko) 2016-10-10

Family

ID=57146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3430A KR101663810B1 (ko) 2016-02-26 2016-02-26 공동주택의 분전상태 제어를 위한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381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14927A (zh) * 2018-03-08 2018-08-17 韩峰 开关自动检测设备及其检测方法
WO2019190049A1 (ko) * 2018-03-28 2019-10-03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전반 내 차단기 관리 시스템
KR102253334B1 (ko) * 2021-02-22 2021-05-18 (주)티에스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전기의 전기단자함
CN116470424A (zh) * 2023-04-28 2023-07-21 浙江埃尼森科技有限公司 一种工业用漏电保护开关用电箱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0004U (ko) * 2011-02-23 2012-01-03 주식회사 창덕창호 자동으로 닫혀지는 현수식 교실출입문
KR101185179B1 (ko) 2012-06-12 2012-09-24 주식회사 다산전기기술사사무소 공동 주택의 분전 상태 제어를 위한 스위칭 장치
KR101228605B1 (ko) * 2012-10-29 2013-01-31 (주)동도엠이씨인스파이어 공동주택의 분전상태 제어를 위한 스위치
KR101306970B1 (ko) * 2013-05-13 2013-09-17 주식회사 성진티이씨 공동주택의 분전상태 제어를 위한 스위칭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0004U (ko) * 2011-02-23 2012-01-03 주식회사 창덕창호 자동으로 닫혀지는 현수식 교실출입문
KR101185179B1 (ko) 2012-06-12 2012-09-24 주식회사 다산전기기술사사무소 공동 주택의 분전 상태 제어를 위한 스위칭 장치
KR101228605B1 (ko) * 2012-10-29 2013-01-31 (주)동도엠이씨인스파이어 공동주택의 분전상태 제어를 위한 스위치
KR101306970B1 (ko) * 2013-05-13 2013-09-17 주식회사 성진티이씨 공동주택의 분전상태 제어를 위한 스위칭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14927A (zh) * 2018-03-08 2018-08-17 韩峰 开关自动检测设备及其检测方法
WO2019190049A1 (ko) * 2018-03-28 2019-10-03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전반 내 차단기 관리 시스템
KR20190113405A (ko) * 2018-03-28 2019-10-0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전반 내 차단기 관리 시스템
KR102034894B1 (ko) * 2018-03-28 2019-10-2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전반 내 차단기 관리 시스템
KR102253334B1 (ko) * 2021-02-22 2021-05-18 (주)티에스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전기의 전기단자함
CN116470424A (zh) * 2023-04-28 2023-07-21 浙江埃尼森科技有限公司 一种工业用漏电保护开关用电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5179B1 (ko) 공동 주택의 분전 상태 제어를 위한 스위칭 장치
KR101891273B1 (ko) 공동주택의 분전상태 제어를 위한 스위치
KR101663810B1 (ko) 공동주택의 분전상태 제어를 위한 스위치
US10015610B2 (en) Method and device for analyzing and processing abnormal load on premises broadcasting device
US8576082B2 (en) Busway joint parameter detection system
KR101626961B1 (ko) 공동주택의 분전상태 제어를 위한 스위치
US8866469B2 (en) Electric field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US20110248858A1 (en) Electrical Low Voltage Building Installation
KR101399045B1 (ko) 지중전선의 배전선로 보호패널
KR101306970B1 (ko) 공동주택의 분전상태 제어를 위한 스위칭 장치
JP5844871B2 (ja) 防災端末装置
KR101280292B1 (ko) 수변전설비의 멀티센서를 이용한 이상감지장치
MXPA06007227A (es) Unidad movil de almacenamiento con sistema de monitoreo ambiental.
KR20160143958A (ko) 무선 전환 기능을 가지는 장력 감지 시스템 및 방법
KR102076183B1 (ko) 누전확인이 가능한 지중배전라인 이탈방지용 지지장치
KR100906790B1 (ko) 배전선 격리형 절연패널
US11367336B2 (en) Short-circuit isolator
KR101743615B1 (ko) 공동주택의 분전상태 제어를 위한 스위치
KR101264591B1 (ko) 화재 감지 장치 및 시스템
KR20150103466A (ko) 케이블 포설 작업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101652491B1 (ko) Ac 및 dc전원 통합 접지 검출 장치
KR101812767B1 (ko) 접지선의 누설전류감지부 교체가 용이한 배전반
KR101706708B1 (ko) 지진 감지 기능을 갖는 배전반
KR101203532B1 (ko) 지중 전선의 배전 선로 보호 패널
JP6714457B2 (ja) 検知装置、検知システム、及び、検知システムの構築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