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0856B1 - 중간엽 줄기세포 또는 AgRP를 포함하는 유비퀴틴 프로테아좀 활성 증가를 통한 퇴행성 뇌질환 치료제 - Google Patents

중간엽 줄기세포 또는 AgRP를 포함하는 유비퀴틴 프로테아좀 활성 증가를 통한 퇴행성 뇌질환 치료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0856B1
KR101890856B1 KR1020170085410A KR20170085410A KR101890856B1 KR 101890856 B1 KR101890856 B1 KR 101890856B1 KR 1020170085410 A KR1020170085410 A KR 1020170085410A KR 20170085410 A KR20170085410 A KR 20170085410A KR 101890856 B1 KR101890856 B1 KR 1018908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rp
disease
mesenchymal stem
stem cells
acti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5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9841A (ko
Inventor
장종욱
나덕렬
이나경
Original Assignee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filed Critical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Priority to PCT/KR2017/007174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8052182A1/ko
Publication of KR20180029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98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0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08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28Bone marrow; Haematopoietic stem cells; Mesenchymal stem cells of any origin, e.g. adipose-derived stem cel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Nucle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8Peptides; Protein hydro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35Fat tissue; Adipocytes; Stromal cells; Connective tissu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48Reproductive organs
    • A61K35/50Placenta; Placental stem cells; Amniotic fluid; Amnion; Amniotic stem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48Reproductive organs
    • A61K35/51Umbilical cord; Umbilical cord blood; Umbilical stem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genetic material which is inserted into cells of the living body to treat genetic diseases; Gene therap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 G01N33/6872Intracellular protein regulatory factors and their receptors, e.g. including ion channe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ll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Immun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Vir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Pregnancy & Childbirth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일 양상에 따른 중간엽줄기세포, AgRP 또는 그의 활성 단편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유비퀴틴 프로테아좀의 활성을 증가시켜 유비퀴틴 프로테아좀 활성 감소와 관련된 질환, 예를 들면,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중간엽 줄기세포 또는 AgRP를 포함하는 유비퀴틴 프로테아좀 활성 증가를 통한 퇴행성 뇌질환 치료제{Enhancement of Proteasome Activity via Mesenchymal Stem Cells and or AgRP for the Treatment of Neurodegenerative Diseases}
중간엽 줄기세포 또는 AgRP를 포함하는 유비퀴틴 프로테아좀 활성 증가를 통한 퇴행성 뇌질환 치료제에 관한 것이다.
퇴행성 뇌질환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발생하는 퇴행성 질환 중에서도 뇌에서 발생하는 질환을 의미하며, 주요 증상과 침범되는 뇌부위를 고려해 구분할 수 있는데, 알츠하이머 질환이나 파킨슨 질환 등이 포함된다. 퇴행성 뇌질환은 노화에 따른 신경퇴화와 유전적 및 환경적 요인들로 인해 단백질이 응집돼 신경세포가 사멸해 야기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아직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아 원인 규명을 위한 기초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다.
한편, 미국의 어윈 로즈와 이스라엘의 아론 치카노베르, 아브람 헤르슈코 박사는 유비퀴틴(ubiquitin)이라는 분자가 붙어있는 단백질을 유비퀴틴 프로테아좀 시스템 (Ubiquitin-proteasome system; UPS)이 선택적으로 분해하는 과정을 밝혀내 2004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 하였다. 유비퀴틴 프로테아좀 시스템은 진핵 세포에서 불량 단백질 제거, 세포 분열, 손상된 DNA 수리와 같은 생체 과정에 관여한다. 퇴행성 뇌질환과 같은 질병에서 유비퀴틴 프로테아좀 시스템이 이상이 생기게 되면 독성 단백질이 생체 내 축적이 되는 현상을 일으키게 된다. 특히, 퇴행성 뇌질환인 알츠하이머병에서, 아밀로이드 단백질이 유비퀴틴 프로테아좀 시스템에 활성을 억제하고, 알츠하이머병 동물 모델에서 뇌의 프로테아좀 활성이 감소된다는 것이 보고된바 있다(비특허 문헌 1 내지 6 참조).
이에 본 발명자들은, 뇌의 유비퀴틴 프로테아좀 활성을 조절하는 물질을 찾기 위해 노력한 결과, 중간엽줄기세포가 신경 세포의 프로테아좀 활성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프로테아좀 활성 조절 단백질인 AgRP(Agouti related peptide)을 분비한다는 것을 동정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1. Ciechanover, A, and Brundin, P (2003). The ubiquitin proteasome system in neurodegenerative diseases: sometimes the chicken, sometimes the egg. Neuron 40: 427-446. 2. Hong, L, Huang, HC, and Jiang, ZF (2014). Relationship between amyloid-beta and the ubiquitin-proteasome system in Alzheimer's disease. Neurol Res 36: 276-282. 3. Jellinger, KA (2010). Basic mechanisms of neurodegeneration: a critical update. J Cell Mol Med 14: 457-487. 4. Keller, JN, Hanni, KB, and Markesbery, WR (2000). Impaired proteasome function in Alzheimer's disease. J Neurochem 75: 436-439. 5. Oddo, S (2008). The ubiquitin-proteasome system in Alzheimer's disease. J Cell Mol Med 12: 363-373. 6. Ross, CA, and Poirier, MA (2004). Protein aggregation and neurodegenerative disease. Nat Med 10 Suppl: S10-17.
일 양상은 중간엽줄기세포 또는 AgRP(Agouti-related peptide)를 포함하는 유비퀴틴 프로테아좀 활성 증가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양상은 중간엽줄기세포 또는 AgRP(Agouti-related peptide)를 개체에 투여하거나 세포에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비퀴틴 프로테아좀 활성 증가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른 양상은 중간엽줄기세포 또는 AgRP(Agouti-related peptide)를 포함하는 유비퀴틴 프로테아좀 활성 증가용 시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다른 양상은 중간엽줄기세포 또는 AgRP(Agouti-related peptide)를 포함하는유비퀴틴 프로테아좀 활성 감소와 관련된 질환, 예를 들면, 퇴행성 뇌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양상은 AgRP(Agouti-related peptide)를 포함하는 프로테아좀 활성 감소와 관련된 질환, 예를 들면, 퇴행성 뇌질환의 개선 또는 예방을 위한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양상은 중간엽줄기세포 또는 AgRP(Agouti-related peptide) 또는 그의 활성 단편을 포함하는 유비퀴틴 프로테아좀 활성 증가제, 유비퀴틴 프로테아좀 활성 감소와 관련된 질환, 예를 들면, 퇴행성 뇌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양상을 중간엽줄기세포 또는 AgRP(Agouti-related peptide) 또는 그의 활성 단편의 약제학적 유효량을 그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투여하거나, 인 비트로(in vitro) 상에서 세포에 접촉시키거나, 인 비보(in vivo) 상에서 실험동물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비퀴틴 프로테아좀 활성 증가 방법, 유비퀴틴 프로테아좀 활성 감소와 관련된 질환, 예를 들면, 퇴행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양상은 중간엽줄기세포, AgRP 또는 그의 활성 단편을 포함하는 유비퀴틴 프로테아좀 활성 증가용 시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유비퀴틴 프로테아좀 조절제(ubiquitin proteasome regulating agents)"는 유비퀴틴 프로테아좀 시스템을 조절하는 물질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조절은 유비퀴틴 프로테아좀의 활성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비퀴틴 프로테아좀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유비퀴틴 프로테아좀 활성 증가제는 퇴행성 뇌질환 치료제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퇴행성 뇌질환(neurodegenerative disease)"은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뇌조직 또는 뇌세포의 구조 또는 기능이 퇴화되어 발생하는 질병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퇴행성 뇌질환의 예로는 알츠하이머병(노인성 치매), 치매, 파킨슨병, 루게릭병, 픽병, 헌팅턴병 또는 타우병증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알츠하이머병"이란 노인성 치매와 호환적으로 사용되고, 노인성 플라크, 신경염증 엉킴(tangles), 및진행성 신경 손실로 특징되는 특정 퇴행성 뇌질환과 관련된 정신적인 퇴화를 수반하는 질병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파킨슨병"이란 종종 운동 기능 및 언어능력을 손상시키는 중추 신경계의 만성 및 진행성 퇴행성 질환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헌팅턴병"이란 헌팅턴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유전자 내 3 염기 반복 팽창에 의해 야기되어, 무도증, 정신이상, 치매 등이 수반되는 신경퇴행성 질환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루게릭병"이란 운동신경세포만 선택적으로 사멸되는 질환으로 대뇌 피질의 상위운동신경세포와 뇌간 및 척수의 아래운동신경세포 모두가 점차적으로 파괴되는 질환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에서에서 용어 "픽병(pick's disease)"는 뇌의 신경세포의 진행성 파괴를 나타내는 질환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타우병증"이란 타우 단백질(세포 내 마이크로튜불-관련 단백질과 밀접하게 관련된 패밀리)이 뇌조직에 비정상적으로 축적됨에 의하여 뇌신경이 손상되는 신경퇴행성 질환을 의미할 수 있다.
용어 "치료"는 질환, 장애 또는 병태, 또는 그의 하나 이상의 증상의 경감, 진행 억제 또는 예방을 지칭하거나, 그를 포함하며, "유효성분" 또는 "약제학적 유효량"은 질환, 장애 또는 병태, 또는 그의 하나 이상의 증상의 경감, 진행 억제 또는 예방에 충분한 본원에서 제공되는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이용되는 조성물의 임의의 양을 의미할 수 있다.
용어, "투여하는," "도입하는" 및 "이식하는"은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되고 일 구체예에 따른 조성물의 원하는 부위로의 적어도 부분적 국소화를 초래하는 방법 또는 경로에 의한 개체내로의 일 구체예에 따른 조성물의 배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른 조성물의 세포 또는 세포 성분의 적어도 일부를 생존하는 개체내에서 원하는 위치로 전달하는 임의의 적절한 경로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개체 투여 후 세포의 생존 기간은 짧으면 수 시간, 예를 들면 24시간 내지 수일 내지 길면 수년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중간엽줄기세포(Mesenchymal Stem Cells:MSCs)는 자기재생능력(self-renewal)과 줄기세포능(stemness maintenance)을 유지하고 다양한 간엽 조직으로 분화할 수 있는 세포를 의미할 수 있고, 포유류, 예를 들면 인간을 포함한 동물의 중간엽줄기세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엽줄기세포는 탯줄 유래, 골수 유래, 태반 유래, 또는 지방 유래 중간엽줄기세포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탯줄은 포유류의 태아가 태반에서 성장할 수 있도록 모체와 배를 연결해주는 줄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와튼 젤리(Wharton's Jelly)로 둘러싸인 3개의 혈관, 즉, 2개의 배꼽 동맥과 1개의 배꼽 정맥으로 구성된 조직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상기 중간엽줄기세포는 제대 또는 제대혈 유래 중간엽줄기세포일 수 있다. 중간엽줄기세포의 분리는 통상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Pittenger 등(Science 284: 143, 1997)와 van 등(J. Clin. Invest., 58: 699, 1976)의 문헌들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중간엽줄기세포는 AgRP(Agouti-related peptide) 또는 그의 활성 단편을 분비하거나, AgRP 또는 그의 활성 단편을 분비하도록 유전적으로 조작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AgRP(Agouti-related peptide)"는 AgRP/NPY 뉴런에 의해 뇌에서 생산되는 신경 펩티드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AgRP는 인간을 포함한 척추동물, 예를 들면, 포유류, 어류, 양서류, 조류, 또는 파충류 유래의 AgRP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AgRP는 AgRP의 전구체도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예를 들면, 인간의 경우, 132개의 아미노산 서열의 AgRP 유전자 산물(AgRP의 전구체)에서 N-말단으로부터 20개 아미노산 잔기인 신호 펩티드 도메인이 제거되어 112개의 아미노산 잔기로 구성된 AgRP가 생산된다). 또한 상기 AgRP 또는 그의 활성 단편은 상기 AgRP 또는 그의 활성 단편을 코딩하는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하는 유전적으로 조작된 숙주 세포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상기 AgRP 또는 그의 활성 단편은 전달 시스템에 탑재되어 있는 것일 수 잇으며, 예를 들면, AgRP 또는 그의 활성 단편을 코딩하는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하는 숙주 세포 중 포함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전달 시스템의 예로는 (ⅰ) 내이키드(naked) 재조합 DNA 분자, (ⅱ) 플라스미드, (ⅲ) 바이러스 벡터, 그리고, (ⅳ) 상기 내이키드 재조합 DNA 분자 또는 플라스미드를 내포하는 리포좀 또는 니오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용어 "유전적 조작 (genetic engineering)" 또는 "유전적으로 조작된 (genetically engineered)"은 세포에 대하여 하나 이상의 유전적 변형 (genetic modification)을 도입하는 행위 또는 그에 의하여 만들어진 세포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상기 중간엽줄기세포 또는 숙주 세포는 AgRP 또는 그의 활성 단편의 발현 또는 활성이 증가되도록 유전적으로 조작된 것, 예를 들면, AgRP 또는 그의 활성 단편을 코딩하는 외인성 유전자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활성 증가는 주어진 유전적으로 조작되지 않은 모세포(예, 야생형)가 갖지 않는 또는 갖는 내재적 단백질 또는 효소의 활성에 비해, 동일한 타입의 단백질 또는 효소의 활성이 보다 더 높은 활성을 갖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외인성 유전자는, 상기 중간엽줄기세포 또는 숙주 세포에서 그 모세포에 비하여 언급된 단백질의 활성이 증가되기에 충분한 양으로 발현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외인성 유전자는 발현 벡터를 통하여 모세포 내로 도입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인성 유전자는 선형 폴리뉴클레오티드 형태로 모세포 내로 도입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인성 유전자는 세포 내에서 발현 벡터 (예, 플라스미드)로부터 발현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인성 유전자는 안정적인 발현을 위하여 세포 내의 유전물질 (예, 염색체)에 삽입되어 발현되는 것일 수 있다.
AgRP 또는 그의 활성 단편의 합성은 펩타이드 화학(peptide chemistry)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일반적인 합성 방법은 "Peptide Synthesis", Interscience, New York, 1966; "The Proteins", Vol. 2, Academic Press Inc., New York, 1976; "Peptide Synthesis(Peptide Gosei)", Maruzen, 1975; "Fundamentals and Experiments of Peptide Synthesis(Peptide Gosei no Kiso to Jikken)", Maruzen, 1985; 및 "The sequel of Development of Pharmaceuticals(Zoku Iyakuhin no Kaihatsu)", Vol. 14, Peptide Synthesis(Peptide Gosei), Hirokawa Shoten, 1991과 같은 문헌, 및 국제공개 번호 WO 99/67288와 같은 국제공개특허에 기재되었다. 또한 단백질 또는 펩티드는 알려진 유전 공학 방법에 의해 합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AgRP 또는 그의 활성 단편을 암호화하고 있는 DNA가 삽입된 벡터는 형질전환된 세포(transformed cells)를 생산하기 위해 적합한 숙주 세포에 도입(introduced into)하고, 이렇게 형질전환된 세포들에서 생산되는 펩타이드들을 수집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처음에 펩타이드를 얻기 위해 그 다음에 적절한 프로테아제(protease)를 이용해 잘리는 융합 단백질(fusion protein)로서 만들어질 수 있다. 이들은 그 자체로서 약학적 조성물에 사용될 수도 있다.
융합 단백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서, AgRP 또는 그의 활성 단편을 암호화하고 있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다른 단백질 또는 펩티드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와 프레임(frame)에 연결(ligate)될 수 있으며, 이것은 숙주(host)에서의 발현(expression)을 위해 발현 벡터에 삽입될 수 있다. 당업계에 알려진 기술들은 이런 목적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AgRP와 융합된 펩타이드들을 위해, FLAG(Hopp, T. P. et al., BioTechnology (1988) 6, 1204-1210), 6개의 히스티딘(His)으로 이루어진 6x His 잔기들(residues), 10x His, influenza hemagglutinin(HA), 인간 c-myc 단편, VSV-GP 단편, p18HIV 단편(fragments), T7-태그(tag), HSV-태그, E-태그, SV40T 항원 단편, lck 태크, 알파-튜블린(alpha-tubulin) 단편, B-태그, 및 Protein C 단편과 같이 알려진 펩타이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융합 단백질을 만들기 위해 AgRP 또는 그의 활성 단편을 글루타치온-S-트랜스퍼라아제(glutathione-S-transferase, GST), influenza hemagglutinin(HA), immunoglobulin constant regions, 베타-갈락토시다아제(beta-galactosidase), 말토즈-결합 단백질(maltose-binding protein, MBP), 또는 등등을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다른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AgRP 또는 그의 활성 단편을 암호화 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 상기 폴리뉴클레오타이드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 및 상기 재조합 벡터를 포함하는 재조합 세포가 제공될 수 있다.
용어 "벡터(vector)"는 숙주 세포에서 목적 유전자를 발현시키기 위한 수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플라스미드 벡터, 코즈미드 벡터 및 박테리오파아지 벡터, 아데노바이러스 벡터, 레트로바이러스 벡터 및 아데노-연관 바이러스 벡터와 같은 바이러스 벡터를 포함한다. 상기 재조합 벡터로 사용될 수 있는 벡터는 당업계에서 종종 사용되는 플라스미드 (예를 들면, pSC101, pGV1106, pACYC177, ColE1, pKT230, pME290, pBR322, pUC8/9, pUC6, pBD9, pHC79, pIJ61, pLAFR1, pHV14, pGEX 시리즈, pET 시리즈 및 pUC19 등), 파지 (예를 들면, λgt4λB, λ-Charon, λΔz1 및 M13 등) 또는 바이러스 (예를 들면, SV40 등)를 조작하여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재조합 벡터에서 상기 단백질 복합체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는 프로모터에 작동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용어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operatively linked)"은 뉴클레오타이드 발현 조절 서열(예를 들어, 프로모터 서열)과 다른 뉴클레오타이드 서열 사이의 기능적인 결합을 의미한다. 상기 조절 서열은 "작동 가능하게 연결(operatively linked)"됨으로써 다른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의 전사 및/또는 해독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재조합 벡터는, 전형적으로 클로닝을 위한 벡터 또는 발현을 위한 벡터로서 구축될 수 있다. 상기 발현용 벡터는 당업계에서 식물, 동물 또는 미생물에서 외래의 단백질을 발현하는 데 사용되는 통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재조합 벡터는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통해 구축될 수 있다.
상기 재조합 벡터는 원핵 세포 또는 진핵 세포를 숙주로 하여 구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되는 벡터가 발현 벡터이고, 원핵 세포를 숙주로 하는 경우에는, 전사를 진행시킬 수 있는 강력한 프로모터 (예를 들어, pLλ 프로모터, CMV 프로모터, trp 프로모터, lac 프로모터, tac 프로모터, T7 프로모터 등), 해독의 개시를 위한 라이보좀 결합 자리 및 전사/해독 종결 서열을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진핵 세포를 숙주로 하는 경우에는, 벡터에 포함되는 진핵 세포에서 작동하는 복제원점은 f1 복제원점, SV40 복제원점, pMB1 복제원점, 아데노 복제원점, AAV 복제원점 및 BBV 복제원점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포유동물 세포의 게놈으로부터 유래된 프로모터 (예를 들어, 메탈로티오닌 프로모터) 또는 포유동물 바이러스로부터 유래된 프로모터 (예를 들어, 아데노바이러스 후기 프로모터, 백시니아 바이러스 7.5K 프로모터, SV40 프로모터, 사이토메갈로바이러스 프로모터 및 HSV의 tk프로모터)가 이용될 수 있으며, 전사 종결 서열로서 폴리아데닐화 서열을 일반적으로 갖는다.
상기 재조합 세포는 상기 재조합 벡터를 적절한 숙주 세포에 도입시킴으로써 얻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숙주세포는 상기 재조합 벡터를 안정되면서 연속적으로 클로닝 또는 발현시킬 수 있는 세포로서 당업계에 공지된 어떠한 숙주 세포도 이용할 수 있으며, 원핵 세포로는, 예를 들어, E. coliJM109, E. coliBL21, E. coli RR1, E. coli LE392, E. coli B, E. coli X 1776, E. coli W3110,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바실러스 츄린겐시스와 같은 바실러스 속 균주, 그리고 살모넬라 티피무리움, 세라티아 마르세슨스 및 다양한 슈도모나스 종과 같은 장내균과 균주 등이 있으며, 진핵 세포에 형질 전환시키는 경우에는 숙주 세포로서, 효모(Saccharomyce cerevisiae), 곤충 세포, 식물 세포 및 동물 세포, 예를 들어, Sp2/0, CHO(Chinese hamster ovary) K1, CHO DG44, PER.C6, W138, BHK, COS-7, 293, HepG2, Huh7, 3T3, RIN, MDCK 세포주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AgRP는 중간엽줄기세포로부터 분비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중간엽줄기세포를 개체에 투여함으로써, 이로부터 분비된 AgRP가 개체에 작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엽줄기세포, AgRP 또는 그의 활성 단편은 신경 세포의 유비퀴틴 프로테아좀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일 수 있다. 유비퀴틴 프로테아좀 활성의 증가에 대해서는 상기한 바와 같다.
상기 유비퀴틴 프로테아좀 활성 증가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접촉은 중간엽줄기세포, AgRP 또는 그의 활성 단편을 신경 세포에 처리, 또는 접촉시키는 단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처리 또는 접촉은 중간엽줄기세포를 신경 세포와 공배양하거나, 또는 중간엽줄기세포, AgRP 또는 그의 활성 단편을 실험 동물, 예를 들면 동물의 뇌, 예를 들면, 해마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처리 또는 접촉은 AgRP 또는 그의 활성 단편을 코딩하는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하는 숙주 세포와 신경 세포와 접촉시키거나, 예를 들면, 공배양하거나, 또는 상기 숙주 세포를 실험 동물, 예를 들면, 동물의 뇌, 예를 들면, 해마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배양 및 투여는 통상의 당업자가 목적하는 효과, 예를 들면, 중간엽줄기세포 또는 AgRP 또는 그의 활성 단편이 신경 세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기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AgRP 또는 그의 활성 단편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중간엽줄기세포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AgRP와 중간엽줄기세포가 병용 투여 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중간엽줄기세포는 구조적 또는 치료적 목적으로의 유도를 위해 상기한 바와 같이, 세포 기능을 변화, 강화 또는 보충하는 방법을 통한, 세포 배양에서의 DNA의 삽입 또는 주입에 의해 변형될 수 있다.
일 구체예 따른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중량% 내지 80 중량%의 AgRP 또는 그의 활성 단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AgRP 또는 그의 활성 단편의 투여 용량은 0.01mg 내지 10,000mg, 0.1mg 내지 1000mg, 1mg 내지 100mg, 0.01mg 내지 1000mg, 0.01mg 내지 100mg, 0.01mg 내지 10mg, 또는 0.01mg 내지 1mg일 수 있다. 또한, 중간엽줄기세포의 투여 용량은 1.0× 105 내지 1.0× 108 세포/kg(체중)일 수 있다. 다만,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별,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고, 당업자라면 이러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투여량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투여 횟수는 1회 또는 임상적으로 용인가능한 부작용의 범위 내에서 2회 이상이 가능하고, 투여 부위에 대해서도 1개소 또는 2개소 이상에 투여할 수 있다. 인간 이외의 동물에 대해서도, kg당 인간과 동일한 투여량으로 하거나, 또는 예를 들면 목적의 동물과 인간과의 기관(심장 등)의 용적비(예를 들면, 평균값) 등으로 상기의 투여량을 환산한 양을 투여할 수 있다. 가능한 투여 경로에는 경구, 설하, 비경구 (예를 들어, 피하, 근육내, 동맥내, 복강내, 경막내, 또는 정맥내), 직장, 국소 (경피 포함), 흡입, 및 주사, 또는 이식성 장치 또는 물질의 삽입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른 치료의 대상동물로서는, 인간 및 그 밖의 목적으로 하는 포유동물을 예로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인간, 원숭이, 마우스, 래트, 토끼, 양, 소, 개, 말, 돼지 등이 포함된다.
일 구체예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및/또는 첨가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멸균수, 생리식염수, 관용의 완충제(인산, 구연산, 그 밖의 유기산 등), 안정제, 염, 산화방지제(아스코르브산 등), 계면활성제, 현탁제, 등장화제, 또는 보존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국소 투여를 위해, 생체고분자(biopolymer) 등의 유기물,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등의 무기물, 구체적으로는 콜라겐 매트릭스, 폴리락트산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폴리에틸렌글리콜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및 그의 화학적 유도체 등과 조합시키는 것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이 주사에 적당한 제형으로 조제되는 경우에는, 중간엽줄기세포 또는 AgRP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중에 용해되어 있거나 또는 용해되어 있는 용액상태로 동결된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그 투여방법이나 제형에 따라 필요한 경우, 현탁제, 용해보조제, 안정화제, 등장화제, 보존제, 흡착방지제, 계면활성화제, 희석제, 부형제, pH 조정제, 무통화제, 완충제, 환원제, 산화방지제 등을 적절히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 예시된 것들을 비롯하여 본 발명에 적합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 중의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분말, 과립, 정제 또는 캡슐 형태일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은 AgRP(Agouti-related peptide) 또는 그의 활성 단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유비퀴틴 프로테아좀 활성 감소와 관련된 질환, 예를 들면, 퇴행성 뇌질환의 개선 또는 예방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건강식품 조성물은 AgRP 또는 그의 활성 단편 이외에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 (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건강기능식품의 제조시에 본 명세서의 조성물은 원료에 대하여 15 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상기 건강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일 양상에 따른 방법에 의하면, 중간엽줄기세포를 이용하여 유비퀴틴 프로테아좀 시스템을 조절할 수 있는 단백질, 또는 물질을 스크리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 양상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에 의하면, 유비퀴틴 프로테아좀의 활성을 증가시켜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인간 제대 중간엽줄기세포가 신경 세포의 프로테아좀을 활성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확인한 도면이다; 도 1a: 키모트립신 유사 형광기질 활성화 측정, 도 1b: 유비퀴틴 컨쥬게이트 단백질의 양 측정.
도 2는 인간 제대 중간엽줄기세포가 AgRP 단백질을 분비하는 것을 확인한 도면이다; 도 2a: 레이바이오 사이토킨 어세이 결과, 도 2b: 정량적 실시간 PCR 결과.
도 3은 인간 제대 중간엽줄기세포가 분비하는 AgRP가 신경 세포의 프로테아좀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한 도면이다; 도 3a: 키모트립신 유사 형광기질 활성화 측정, 도 3b: 유비퀴틴 컨쥬게이트 단백질의 양 측정.
도 4는 인간 제대 중간엽줄기세포가 분비하는 AgRP 단백질이 동물 모델의 해마 유래 세포의 프로테아좀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한 도면이다; 왼쪽 패널: Ub 컨쥬게이트의 웨스턴 블랏팅 측정, 오른쪽 패널: Ub conjugate의 상대적 발현 값.
도 5는 인간 제대 중간엽줄기세포가 분비하는 AgRP 단백질이 동물 모델에서 프로테아좀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한 도면이다; 도 5a: 키모트립신 유사 형광기질 활성화 측정, 도 5b: 실험 프로토콜, 도 5c: 키모트립신 유사 형광기질 활성화 측정, 도 5d: 유비퀴틴 컨쥬게이트 단백질의 양 측정.
도 6은 인간 제대 중간엽줄기세포 또는 AgRP 단백질이 Tau 마우스에서 수동적 회피 행동 테스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그래프이다.
도 7은 인간 제대 중간엽줄기세포 또는 AgRP 단백질이 Tau 마우스에서 타우 단백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도면이다; 왼쪽 패널: 타우 단백질의 웨스턴 블랏팅 측정, 오른쪽 패널: 타우 단백질의 상대적 발현 값.
이하 하기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인간 중간엽줄기세포를 이용한 퇴행성 뇌질환 치료 효능을 갖는 단백질의 스크리닝 및 그에 의해 동정된 단백질의 활성 분석
1. 인간 중간엽줄기세포를 이용한 퇴행성 뇌질환 치료 효능을 갖는 단백질 스크리닝
1.1. 인간 제대 중간엽줄기세포의 신경 세포에 대한 활성 확인
인간 제대 중간엽줄기세포(Wharton's Jelly-MSC: WJ-MSCs)가 신경 세포의 유비퀴틴 프로테아좀의 활성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 하기와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
인간 제대 중간엽줄기세포는 본원에서 승인한 IRB (IRB# 2015-09-023-003)의 기준에 따라 삼성서울병원 산부인과와의 협업 연구를 통하여 탯줄을 확보한 후 기존에 보고된 프로토콜에 따라 중간엽줄기세포 분리 진행을 하였다(Choi, M, Lee, HS, Naidansaren, P, Kim, HK, O, E, Cha, JH, et al. (2013). Proangiogenic features of Wharton's jelly-derived mesenchymal stromal/stem cells and their ability to form functional vessels. Int J Biochem Cell Biol 45: 560-570). 구체적으로, 탯줄을 3-4 cm 길이 자른 다음, 조직을 잘게 자르고 콜라게나아제 용액(Gibco, USA)을 이용하여 세포외기질을 분해하기 위해 60-90 분 동안 처리 해준 다음, 0.25% 트립신 (Gibco, USA)을 추가하여 30분 동안, 37°C에서 분해를 더 유도하였다. 이후에, 소태아혈청(FBS; Biowest, USA)을 첨가하여, 1000g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를 이용하여 세포를 얻고, 둘베코 변형 이글 배지(Dulbecco Modified Eagle Medium) (DMEM; Biowest, USA) 에 20% FBS와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Gibco,USA)이 첨가된 배지를 이용하여 37 ℃, 5% CO2 환경에서 세포를 배양하였고, passage 5 에서 6 이된 WJ-MSC를 실험에 사용하였다.
신경 세포는 SH-SY5Y(ATCC, USA)를 사용하였다. 먼저, 6 웰 플레이트(BD Falcon, USA)에서 SH-SY5Y (ATCC, USA)세포가 90% confluency가 되었을 때, transwell insert (BD Falcon, USA)를 각 웰에 삽입하여, insert chamber에 인간 제대 중간엽줄기세포(1X105/1mL)를 분주하여 혈청이 첨가 되지 않은 Minimal Essential Medium alpha 1X (MEMα1x; Gibco-Invitrogen, USA)에서 24시간 동안, 37 ℃, 5% CO2 환경에서, 공동 배양을 하였다.
이후에, 인간 제대 중간엽줄기세포가 신경 세포의 유비퀴틴 프로테아좀의 활성을 증가시키는지 확인하기 위해, 세포에서의 프로테아좀의 주요 분해 활성인 키모트립신 유사 활성, 유비퀴틴 컨쥬게이트 단백질의 양, 및 형광 기질이 도입된 신경세포에서의 형광 세기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중간엽줄기세포와 공동배양하지 않은 신경세포를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수집된 세포를 레틱 버퍼(retic buffer) (30 mM Tris (pH 7.8), 5mM MgCl2, 5mM KCl, 0.5mM DTT, 2 mM ATP)를 이용하여 초음파 처리(ultra-sonication)를 한 이후에, 5 μg의 단백질과 키모트립신 유사 형광기질인 Suc-Leu-Leu-Val-Tyr-AMC (Enzo, Republic of Korea)을 200 μM (최종 농도: 100 μM)으로 96 웰 블랙/클리어 플레이트(black/clear plate) (BD Falcon, USA)에 넣고, 37 ℃에서 4시간까지 배양하였다. 반응은 에탄올을 첨가하여 정시시켰다. 키모트립신 유사 형광기질 활성화는 플루오로미터(fluorometer) (Glomax, Promega, USA)를 사용하여 측정을 수행하였고, 그 결과를 도 1a에 나타내었다.
프로테아좀 시스템으로 분해되는 유비퀴틴 컨쥬게이트 단백질의 양의 측정은 웨스턴 블랏팅을 통해 확인하였다. 웨스턴 블랏팅은 먼저, 레틱 버퍼(retic buffer)로 초음파 처리한 단백질을 우레아 버퍼(urea buffer) 와 1:1로 혼합하였다. 이후에, 원심분리를 하여, 상층액을 모아서 Bradford assay (Bio-rad, USA)를 이용하여 단백질 정량을 하였다. 각 샘플에서 10 μg에 단백질을 겔에 로딩한 후, SDS를 이용하여 전기영동을 수행하였다. 단백질을 니트로셀룰로오스 막으로 트랜스퍼시킨 이후에, 5% 탈지유(BD Difco, USA)에 1% TBST (Tris-buffered saline with 0.1% Tween 20) 이 첨가된 용액에 상온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에, 유비퀴틴 컨쥬게이트 (Ub, 1:1000; Santa Cruz, USA) 와 베타 액틴(1:5000; Santa Cruz, USA) 항체를 처리하였고, 4 ℃°C에서 하룻밤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이차 항체(goat anti-mouse IgG-HRP; Ab frontier, USA)를 한 시간 동안 상온에서 처리하고, 블랏들은 ECL (Advansta, USA) 를 이용하여 발달시켰고, 그 결과를 도 1b에 나타내었다.
형광기질이 도입된 신경세포에서의 형광 세기의 측정은 GFP가 붙어 있는 프로테아좀의 기질은 GFP-degron을 신경 세포에 리포펙타민 2000 (Life Technologies, USA) 형질전환 방법으로 과발현하고, 공초좀 현미경 (LSM 700; Carl Zeiss AG, Jena, Germany)으로 관찰한 후 형광 세기를 Image-J (NIH, USA)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도 1c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동 배양을 한 신경 세포에서 프로테아좀의 주요 분해 활성인 키모트립신 유사 활성이 공동 배양을 하지 않은 신경 세포 보다 높고, 유비퀴틴 컨쥬게이트 단백질의 양이 공동 배양을 한 신경 세포에서 감소하였으며, 공동 배양을 한 신경 세포에서 공동 배양을 하지 않은 신경 세포 대비 형광 세기가 줄어드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의 결과로, 인간 제대 중간엽줄기세포를 신경 세포와 공동 배양시, 신경 세포의 프로테아좀 활성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1.2. 인간 제대 중간엽줄기세포로부터 분비되는 단백질의 동정
인간 제대 중간엽줄기세포를 신경 세포와 공동 배양하였을 시, 분비되는 단백질을 동정하기 위해 하기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인간 제대 중간엽줄기세포로부터 분비되는 단백질을 확인하기 위해 레이바이오 사이토킨 어세이(Raybio cytokine assay) 및 정량적 실시간 PCR(real time quantitative reverse transcription PCR)을 수행하였다.
레이바이오 사이토킨 어세이를 하기 위해 공동배양을 한 후 배지를 제거하고, 센트리콘(centricon) (Millipore, USA)을 사용하여 농축하였다. 농축한 배지 샘플들은 509 분비단백질 분석이 가능한 RayBio® Human Cytokine Antibody Arrays - Biotin-Label Based G Series (Raybiotech, USA)를 이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WJ-MSC 공동배양을 통해 10배 분비가 증가된 단백질들을 하기 수학식 1로 분석을 하였고, 그 결과를 도 2a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1]
Figure 112017064418881-pat00001
정량적 실시간 PCR은 먼저 배양한 세포에서 TRIzol (Life Technologies, USA) 를 이용하여 RNA 추출을 하였고, SuperScriptTM II Reverse Transcriptase (Invitrogen, USA)를 사용하여 cDNA 합성을 하였다. PCR를 진행 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프라이머들을 제작 및 사용을 하였다;
AGRP Forward (FOR): AGT CAC GTG TGG CCC TTC AT(서열번호 1)
AGRP Reverse (REV): TCC GGG ATT CTT GCC TAG AG(서열번호 2)
GAPDH FOR: CGA GAT CCC TCC AAA ATC AA(서열번호 3)
GAPDH REV: CCT TCT CCA TGG TGG TGA A(서열번호 4).
Step ONE Plus system (AB, USA) 과 2X Power SYBR Green Master Mix (AB, USA)를 사용하여 PCR을 수행하였고, 그 조건은 다음과 같았다: 95 ℃ 10 분, 95 ℃ 15초, 59℃ 30초(40 cycles). AGRP 발현 분석은 Livak 과 Schmittgen의 2-△△CT 방법(Leitch, AE, Lucas, CD, Marwick, JA, Duffin, R, Haslett, C, and Rossi, AG (2012). Cyclin-dependent kinases 7 and 9 specifically regulate neutrophil transcription and their inhibition drives apoptosis to promote resolution of inflammation. Cell Death Differ 19: 1950-1961.)으로 수행하였고, 그 결과를 도 2b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간 제대 중간엽줄기세포를 신경 세포와 공동 배양을 하였을 때, AgRP라는 단백질을 분비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2. 동정된 단백질의 활성 분석
2.1. 동정된 단백질이 신경 세포에서 유비퀴틴 프로테아좀 활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상기 실시예 1.2.에서 동정된 단백질인 AgRP가 신경 세포에서 유비퀴틴 프로테아좀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하기와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신경 세포 SH-SY5Y (ATCC, USA)세포가 90% confluency가 되었을 때, 혈청이 첨가되지 않은 Minimal Essential Medium alpha 1X (MEMα1x; Gibco-Invitrogen, USA)에 1, 10, 20, 50ng/mL AgRP (R&D, USA) 를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37 ℃, 5% CO2 환경에서 배양을 하였다. 대조군으로는 1, 10, 20, 50ng/mL의 PBS 중 0.1% BSA를 사용하였다.
프로테아좀의 활성은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키모트립신 유사 활성을 확인하였고, 그 결과를 도 3a에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유비퀴틴 컨쥬게이트 단백질의 양을 확인하였고, 그 결과를 도 3b 및 3c에 나타내었다.
신경 세포 SH-SY5Y (ATCC, USA)세포가 90% confluency가 되었을 때, serum이 첨가 되지 않은 Minimal Essential Medium alpha 1X (MEMα1x; Gibco-Invitrogen, USA)에 농도별 (0-50 ng/mL)로 AgRP를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37 ℃, 5% CO2 환경에서 배양을 하였다. 대조군으로는 PBS 중 0.1% 소태아 혈청(BSA)을 동일한 농도로 SH-SY5Y에 처리 하였다.
추가적으로, 무혈청 DMEM (Biowest, USA)배지에서 생쥐 해마 유래 세포(HT22; 백남인 교수님, 경희대학교)에 프로테아좀 활성 저해제인 MG-132(Calbiochem, USA)를 1 μM의 농도로 처리하였고, AgRP를 농도 별로 (1,10,20,50 ng/mL) 같이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37 ℃, 5% CO2 환경에서 배양을 하였다. 이후에,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유비퀴틴 컨쥬게이트 단백질의 양을 확인하였고,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AgRP를 처리한 신경세포가 대조군인 정상 세포에 비해 키모트립신 유사 활성(Suc-Leu-Leu-Val-Tyr-AMC:SUC)이 증가하였고, 유비퀴틴 컨쥬게이트 단백질의 발현 양이 AgRP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로테아좀 저해제인 MG-132를 AgRP와 같이 처리하여 주었을 때, AgRP가 농도 의존적으로 유비퀴킨 컨쥬게이트 단백질의 발현 양이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의 결과로, AgRP가 신경 세포에서 유비퀴틴 프로테아좀의 활성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2. 동정된 단백질이 동물 모델에서 프로테아좀 활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AgRP가 동물 모델에서 프로테아좀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하기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동물 모델로서는 정상 마우스(C57BL6/J; 10-13개월; Jackson Laboratories, USA) 및 10-13 개월령의 알츠하이머병 동물 모델 5XFAD (Jackson Laboratories, USA)를 사용하였다.
먼저, 정상 마우스의 해마에 2 X 105 세포수(2 X 105/3μl)의 인간 제대 중간엽줄기세포를, 그리고 AgRP (1000ng/kg)을 stereotaxic기계 (Harvard apparatus, USA) 를 이용하여, bregma 좌표를 잡은 후 0.5 μl/min 속도로 해마에 투여 하였다 (A/P -2.3mm, M/L -1.3mm, and D/V -2.0 mm). 대조군으로는 PBS만 투여한 마우스를 사용하였다. 투여 1주일 후에, 정상 마우스를 관동맥 관류로 안락사 시킨 후, 해마를 제거하였다. 제거된 해마를 약사발로 갈은 다음,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단백질을 추출하였다. 프로테아좀 활성은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도 5a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인간 제대 중간엽줄기세포 와 AgRP를 투여한 군들이 PBS만 투여를 한 군에 비해 프로테아좀 활성이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정상 마우스에서의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알츠하이머병 동물 모델인 5XFAD에서의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은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은 좌표를 이용하여 대조군으로 인산완충식염수를 3μl의 용량을 투여하였고, 실험군으로서는 인간 제대 중간엽줄기세포 및/또는 AgRP를 각각 2X105/3μl, 1000ng/kg의 용량으로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동물 모델의 해마에 투여하였다. 투여 1주일 후에, 상기 정상 마우스에서의 실험과 동일한 방법으로 단백질을 추출하였다. 프로테아좀 활성은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키모트립신 유사 활성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도 5c에 나타내었다.
기존에 보고된 실험들과 동일하게 같은 개월 수 정상 쥐에 비해, 알츠하이머병 동물 마우스 모델 (5XFAD)에서 프로테아좀 활성이 줄어든 것을 확인하고자 예비 실험을 진행 하였다. 6개월 된 정상과 5XFAD 쥐를 안락사 시킨후, 해마를 적출하여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단백질을 추출하여 프로테아좀 활성은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유비퀴틴 컨쥬게이트 단백질의 양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도 5d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인간 제대 중간엽줄기세포 와 AgRP를 투여한 군들은 대조군에 비하여 SUC 활성이 증가하였고, 인간 제대 중간엽줄기세포 및 AgRP를 모두 투여해준 군들의 유비퀴틴 컨쥬게이트 단백질의 양이 대조군에 비해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6개월 정상쥐 해마의 비해, 6개월 5XFAD 해마에서 SUC 활성이 낮고 유비퀴틴 컨쥬게이트 단백질의 양이 높다는 것을 관찰하였다.
또한, 5XFAD 마우스 모델 외에 다른 알츠하이머병 동물 마우스 모델인 P301S (이하 “Tau” 마우스 라고 함) 마우스에서 인간 제대 중간엽 줄기세포 그리고 동정된 단백질이 유비퀴틴 프로테아좀 활성을 조절하는 효능을 확인하고자 추가 실험을 진행 하였다. 10개월된 Tau 마우스, 총 4 그룹에,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인간 제대 중간엽줄기세포와 AgRP를 해마에 투여하였다. 4가지 그룹은 다음과 같았다:
(1) 인간 제대 중간엽줄기세포 (2 X 105/3μl)
(2) AgRP (Low): 20 ng / 3μl
(3) AgRP (High) : 50 ng / 3μl
(4) Vehicle : PBS
투여 1주일 후에, 단기 그리고 장기 기억 변화를 확인하고자 수동적 회피 행동 테스트(passive avoidance behavior test)를 시행하였고,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비어클 대조군 마우스군에 비해 AgRP/MSC 투여 군에서 트레이닝 및 테스트 시도(training and test trial) 에서 모두 인지기능이 향상된 것을 확인하였다.
행동 실험을 진행 한 다음, Tau 마우스를 관동맥 관류로 안락사 시킨 후, 해마를 제거하였다. 제거된 해마를 약사발로 갈은 다음, 상기 실시예 1.1 과 동일한 방법으로 단백질을 추출하였다. 유비퀴틴 컨쥬게이트 단백질의 양의 측정은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추가로 인산화된 tau 단백질들의 양을 웨스턴 블랏팅을 통해 측정하고자 다음과 같은 항체들을 사용하였고: Tau 5, AT8, T231, 및 3p-tau,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알츠하이머병의 병인으로 예상되는 고인산화(hyperphosphorylated) tau (Tau 5, AT8, T231로 측정) 그리고 유비퀴틴 컨쥬게이트 단백질의 양이 정상 마우스 와 비교하였을 때 Tau 마우스에서 더 높게 발현되는 반면, AgRP/MSC 투여 군에서는 비정상적인 단백질 응집(abnormal protein aggregate)이 줄어드는 것을 웨스턴 블랏팅을 통해 관찰하였다. 이에 AgRP/MSC가 Ub 컨쥬게이트와 비정상적인 타우를 제거하는 효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상기의 결과로, 일 구체예에 따른 방법을 사용하여 뇌의 유비퀴틴 프로테아좀의 활성을 조절하는 물질을 스크리닝 할 수 있으며, 또한 이에 의해 스크리닝된 물질은 뇌의 유비퀴틴 프로테아좀의 활성을 증가시켜 퇴행성 뇌질환의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음을 할 수 있다.
SEQUENCE LISTING <110> Samsung Life Public Welfare Foundation <120> Ubiquitin proteasome activity stimulating agents including MSCs and AgRP <130> PN118540 <150> KR 2016-0118204 <151> 2016-09-13 <160> 4 <170> PatentIn version 3.5 <210> 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GRP Forward primer <400> 1 agtcacgtgt ggcccttcat 20 <210> 2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GRP Reverse primer <400> 2 tccgggattc ttgcctagag 20 <210> 3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APDH Forward primer <400> 3 cgagatccct ccaaaatcaa 20 <210> 4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APDH Reverse primer <400> 4 ccttctccat ggtggtgaa 19

Claims (18)

  1. AgRP(Agouti-related peptide)를 분비하거나 모세포에 비하여 AgRP를 과발현하도록 유전적으로 조작된 탯줄 또는 제대혈 유래 중간엽줄기세포, 또는 AgRP(Agouti-related peptide)를 포함하는 유비퀴틴 프로테아좀 활성 증가제.
  2. AgRP(Agouti-related peptide)를 분비하거나 모세포에 비하여 AgRP를 과발현하도록 유전적으로 조작된 탯줄 또는 제대혈 유래 중간엽줄기세포를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약학적 조성물.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퇴행성 뇌질환은 알츠하이머병, 치매, 파킨슨병, 루게릭병, 픽병, 헌팅턴병 및 타우병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중간엽줄기세포는 유비퀴틴 프로테아좀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8. AgRP(Agouti-related peptide)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9. 청구항 8에 있어서, 중간엽줄기세포를 더 포함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AgRP는 중간엽줄기세포로부터 분비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11. 청구항 9 또는 10에 있어서, 상기 중간엽줄기세포는 제대 유래, 제대혈 유래, 골수 유래, 태반 유래, 또는 지방 유래 중간엽줄기세포인 것인 약학적 조성물.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AgRP는 유비퀴틴 프로테아좀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13.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AgRP는 그를 코딩하는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하는 숙주 세포 중 포함되어 있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14. 삭제
  15.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퇴행성 뇌질환은 알츠하이머병, 치매, 파킨슨병, 루게릭병, 픽병, 헌팅턴병 및 타우병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16. AgRP(Agouti-related peptide)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개선 또는 예방을 위한 건강기능식품.
  17. AgRP(Agouti-related peptide)를 분비하거나 모세포에 비하여 AgRP를 과발현하도록 유전적으로 조작된 탯줄 또는 제대혈 유래 중간엽줄기세포, 또는 AgRP(Agouti-related peptide)를 인 비보(in vivo) 상에서 실험동물에 투여하거나, 또는 인 비트로(in vitro) 상에서 세포에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비퀴틴 프로테아좀 활성을 증가시키는 방법.
  18. AgRP(Agouti-related peptide)를 포함하는 유비퀴틴 프로테아좀 활성 증가용 시약 조성물.
KR1020170085410A 2016-09-13 2017-07-05 중간엽 줄기세포 또는 AgRP를 포함하는 유비퀴틴 프로테아좀 활성 증가를 통한 퇴행성 뇌질환 치료제 KR1018908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7/007174 WO2018052182A1 (ko) 2016-09-13 2017-07-05 중간엽 줄기세포 또는 AgRP를 포함하는 유비퀴틴 프로테아좀 활성 증가를 통한 퇴행성 뇌질환 치료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8204 2016-09-13
KR20160118204 2016-09-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9841A KR20180029841A (ko) 2018-03-21
KR101890856B1 true KR101890856B1 (ko) 2018-08-23

Family

ID=61900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5410A KR101890856B1 (ko) 2016-09-13 2017-07-05 중간엽 줄기세포 또는 AgRP를 포함하는 유비퀴틴 프로테아좀 활성 증가를 통한 퇴행성 뇌질환 치료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08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339198A1 (en) * 2019-08-22 2022-10-27 Seoul National University R&Db Foundatio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alzheimer's treatment containing as active ingredient late passage human mesenchymal stem cells induced to differentiate into glia-like cells
WO2021162426A1 (ko) * 2020-02-13 2021-08-19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그렐린 처리를 포함하는 뇌 신경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중간엽 줄기세포의 제조 방법 및 그의 이용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20936A1 (en) 2000-12-06 2012-01-26 Hariri Robert J Treatment of neurodegenerative disease using placental stem cells
WO2012136587A1 (en) 2011-04-04 2012-10-11 HumaCell Inc. Repair of neurodegenerative diseas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20936A1 (en) 2000-12-06 2012-01-26 Hariri Robert J Treatment of neurodegenerative disease using placental stem cells
WO2012136587A1 (en) 2011-04-04 2012-10-11 HumaCell Inc. Repair of neurodegenerative disease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nnals of Neurology, 2009년, 66권, 5호, 페이지 671-681
Journal of Clinical Neurology, 2009년, 5권, 1호, 페이지 1-1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9841A (ko) 2018-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oriti et al. The persistence of hippocampal-based memory requires protein synthesis mediated by the prion-like protein CPEB3
Satyanarayana et al. Mammalian cell-cycle regulation: several Cdks, numerous cyclins and diverse compensatory mechanisms
Parisiadou et al. Phosphorylation of ezrin/radixin/moesin proteins by LRRK2 promotes the rearrangement of actin cytoskeleton in neuronal morphogenesis
Dagda et al. Beyond the mitochondrion: cytosolic PINK 1 remodels dendrites through Protein Kinase A
Odajima et al. Cyclin E constrains Cdk5 activity to regulate synaptic plasticity and memory formation
KR101533989B1 (ko) 간엽 줄기세포 또는 이의 배양액을 포함하는 신경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Oruganty-Das et al. Translational control of mitochondrial energy production mediates neuron morphogenesis
Takahashi The 14-3-3 proteins: gene, gene expression, and function
Choi et al. GDE2-dependent activation of canonical wnt signaling in neurons regulates oligodendrocyte maturation
Donai et al. Interaction of Arc with CaM kinase II and stimulation of neurite extension by Arc in neuroblastoma cells expressing CaM kinase II
Ma et al. Fine-tuning of Shh/Gli signaling gradient by non-proteolytic ubiquitination during neural patterning
Deracinois et al. Tissue non-specific alkaline phosphatase (TNAP) in vessels of the brain
Zhang et al. The zinc transporter ZIP7 (Slc39a7) controls myocardial reperfusion injury by regulating mitophagy
Schaefer et al. Progressive motor neuronopathy: a critical role of the tubulin chaperone TBCE in axonal tubulin routing from the Golgi apparatus
Schmidt‐Strassburger et al. Expression of constitutively active FoxO3 in murine forebrain leads to a loss of neural progenitors
Govoni et al. Senescence of the brain: focus on cognitive kinases
de Pins et al. The non-receptor tyrosine kinase Pyk2 in brain function and neurological and psychiatric diseases
WO2020205989A1 (en) Small molecule promoting osteoblast differentiation
KR101890856B1 (ko) 중간엽 줄기세포 또는 AgRP를 포함하는 유비퀴틴 프로테아좀 활성 증가를 통한 퇴행성 뇌질환 치료제
Jia et al. A requirement of Polo-like kinase 1 in murine embryonic myogenesis and adult muscle regeneration
JP6546087B2 (ja) Nmeバリアント種の発現および抑制
KR102107826B1 (ko) 중간엽 줄기세포 또는 액티빈 a를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WO2008071960A2 (en) Methods of increasing neurogenesis
JP2017509322A (ja) 分化細胞の分化転換
KR101906313B1 (ko) 중간엽줄기세포 또는 그로부터 분비되는 단백질을 이용한 유비퀴틴 프로테아좀 조절제를 스크리닝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