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0696B1 - 3단 조절 프레임 - Google Patents

3단 조절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0696B1
KR101890696B1 KR1020160096408A KR20160096408A KR101890696B1 KR 101890696 B1 KR101890696 B1 KR 101890696B1 KR 1020160096408 A KR1020160096408 A KR 1020160096408A KR 20160096408 A KR20160096408 A KR 20160096408A KR 101890696 B1 KR101890696 B1 KR 1018906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length
frames
present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6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4301A (ko
Inventor
김사엽
형준호
노종련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096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0696B1/ko
Publication of KR20180014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43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0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06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04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vertical spind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081Movable, extending, sliding table 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7/00Writing-tables
    • A47B17/02Writing-tables with vertically-adjust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2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with vertical adjust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02Adjustable fee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47B2200/005Leg adjustment
    • A47B2200/0051Telescopic
    • A47B2200/0054Telescopic with three telescopic parts

Landscapes

  • Bearings For Parts Moving Linear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단 조절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복수개의 프레임을 다단으로 길이 조절시 프레임 중 내부의 프레임이 롤러 케이지 역할을 하도록, 복수개의 프레임이 다단으로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되, 상기 프레임들의 연결부위 내부 및 외부 일부에 설치한 이동수단을 통해 프레임의 길이를 연장시 프레임의 이동을 안내하여, 스트로크가 연장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3단 조절 프레임{3-step adjustable frame}
본 발명은 3단 조절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프레임을 다단으로 길이 조절시 프레임 중 내부의 프레임이 롤러 케이지 역할을 하고 프레임의 연결부위 내부 및 외부 일부를 지지하도록 한 3단 조절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에 앉아서 생활하는 좌식문화의 확대는 일상 생활에서도 학생과 직장인은 하루의 절반 이상을 의자에 앉아서 생활하게 되었으며 식사시간조차 식탁을 이용하고 여가 시간은 소파를 이용하는 사람들이 점차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장시간 앉아 있는 것은 혈관과 척추와 무릎을 망가뜨리는 원인이 되는 것으로 장시간 앉아서 생활하는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하지정맥류, 심혈관질환, 대사 증후군 등 각종 질병에 노출될 확률이 높다는 결과가 나왔다.
특히 우리나라 사망원인질환 1위는 암이지만 장기간 앉아있음으로 인해 유발될 수 있는 심혈관질환, 뇌혈관질환, 당뇨병이 각각 2위, 3위, 5위를 차지하고 있는데 이는 급격히 좌식 생활로 바뀌는 과정에서 발생한 것이라고 유추해 볼 수 있는 것이다.
건강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는 북유럽 국가의 경우 점차 서서 일하는 문화가 확산되고 있으며, 국내 기업에서도 서서 일하는 문화가 서서히 보급되기 시작하고 있다.
이렇게 서서 일하는 경우 몸의 움직임이 훨씬 활발해지고 혈액순환이 개선돼 각종 대사증후군을 예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일의 효율성도 증가하며, 앉아있을 때는 자주 짓눌렸던 척추에 부담이 덜 가게 되고 어깨나 목 등에 도 긴장이 줄어들고, 혈관내피세포 기능이 활성화되면서 심혈관 질환 예방에도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실제 서서 일하기에 나선 많은 이들 역시 하루 종일 서서 일하는 게 아니라 몸 상태를 감안해 앉았다 일어나는 것을 반복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하여 책상의 높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책상의 필요성이 있는 것이다.
이처럼, 책상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승하강시키기 위해서는 다리를 다단으로 형성시켜야 한다. 이러한, 다단의 다리길이를 조절시 소음과 건들거림 즉 유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위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종래기술은 미국공개 제2002/0050112호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단의 로드 모서리에 형성된 홈과 상기 홈에 각각 길이를 갖는 볼 리테이너가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가이드 역할을 하는 구성입니다.
그런데 종래의 기술구성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다단의 로드의 길이를 연장시 볼 리테이너 부분이 중첩되는 구간이 발생하게 된다. 이처럼, 볼 리테이너의 길이만큼 로드의 길이가 연장되지 못하여 스트로크가 줄어드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다단의 로드의 길이를 연장시 볼 리테이너가 지지대 역할을 하여 볼 리테이너가 중첩되는 부분에 집중적으로 하중이 발생되어 안전성 및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미국공개 제2002/0050112호.(2002년05월02일)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복수개의 프레임을 다단으로 길이 조절시 프레임 중 내부의 프레임이 롤러 케이지 역할을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복수개의 프레임을 다단으로 길이 조절시 프레임 중 내부 프레임의 양끝단이 프레임을 지지하도록 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개의 프레임이 다단으로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되, 상기 프레임들의 연결부위 내부 및 외부 일부에 설치한 이동수단과 안내수단을 통해 프레임의 길이를 연장시 프레임의 이동을 안내하고 프레임의 내벽과 외벽에 안내수단이 밀착되어 휨지지력이 발생하도록 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은, 중공의 다각기둥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은, 중공의 원기둥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이동수단과 안내수단은 프레임의 면 또는 모서리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단 조절 프레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은, 제1프레임, 제2프레임, 제3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프레임이 슬라이드 이동하되, 상기 제2프레임의 중앙에 이동수단이 설치되어 제1프레임과 제3프레임에서 구름회전하여 프레임의 길이를 연장시 프레임의 이동을 안내하고 제2프레임의 양끝단에는 제1프레임과 제3프레임에 밀착되어 슬라이드 이동하는 안내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프레임은, 바닥에 접촉되는 지지판의 상부에 수직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제2프레임의 중앙에 설치되어 제1프레임의 외측면과 제3프레임의 내측면을 구름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안내수단은, 상기 제2프레임의 상부 외측면에 설치되어 제3프레임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제1안내수단과, 상기 제2프레임의 하부 내측면에 설치되어 제1프레임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제2안내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프레임의 상부 끝단과 제3프레임의 하부 끝단에 각각 설치하여 이동수단에 걸림되는 스톱퍼를 통해 프레임의 연장길이를 제한하도록 한 것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3단 조절 프레임은 복수개의 프레임을 다단으로 길이 조절시 프레임 중 내부의 프레임이 롤러 케이지 역할을 하도록, 복수개의 프레임이 다단으로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되, 상기 프레임들의 연결부위 내부 및 외부 일부에 설치한 이동수단을 통해 프레임의 길이를 연장시 프레임의 이동을 안내하여, 스트로크가 연장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3단 조절 프레임은 복수개의 프레임을 다단으로 길이 조절시 프레임 중 내부 프레임의 양끝단이 프레임을 지지하도록, 복수개의 프레임이 다단으로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되, 상기 프레임들의 연결부위 내부 및 외부 일부에 설치한 안내수단을 통해 프레임의 길이를 연장시 프레임의 내벽과 외벽에 안내수단이 밀착되어 휨지지력이 발생하도록 하여, 안전성 및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3단 조절 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인 3단 조절 프레임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3단 조절 프레임의 다양한 형상을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3단 조절 프레임의 이동수단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인 3단 조절 프레임의 안내수단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인 3단 조절 프레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3단 조절 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인 3단 조절 프레임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인 3단 조절 프레임의 다양한 형상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인 3단 조절 프레임의 이동수단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인 3단 조절 프레임의 안내수단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인 3단 조절 프레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3단 조절 프레임의 구성상태를 살펴보면, 복수개의 프레임 100이 다단으로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되, 상기 프레임 100들의 연결부위 내부 및 외부 일부에 설치한 이동수단 200과 안내수단 300을 통해 프레임 100의 길이를 연장시 프레임 100의 이동을 안내하고 프레임 100의 내벽과 외벽에 안내수단 300이 밀착되어 휨지지력이 발생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3단 조절 프레임 10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3단 조절 프레임 10은 상판 1의 하부에 복수개의 3단 조절 프레임 10이 설치되어 길이가 조절되어 상판 1의 높이를 조절한다.
이때, 3단 조절 프레임 10은 복수개의 프레임 100이 다단으로 이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프레임 100은 제1프레임 110, 제2프레임 120, 제3프레임 1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 100이 슬라이드 이동되게 결합한다.
여기서, 제1프레임 110은 바닥에 접촉되는 지지판 500의 상부에 수직으로 설치된다. 이때,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판 500의 상부에 제3프레임 130이 설치되어 제1프레임 110이 상승할 수도 있다.
나아가, 제2프레임 120은 상기 제1프레임 110의 외측을 감싸고, 상기 제3프레임 130의 내측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한다.
특히, 프레임 100은 중공의 다각기둥 또는 원기둥 형상이다. 즉,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각 내지 8각형 형상일 수도 있고 원형 형상일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제2프레임 120의 중앙에 이동수단 200이 설치되어 제1프레임 110과 제3프레임 130에서 구름회전하여 프레임 100의 길이를 연장시 프레임 100의 이동을 안내한다.
이러한, 이동수단 200은 상기 제2프레임 120의 중앙에 설치되어 제1프레임 110의 외측면과 제3프레임 130의 내측면을 구름회전한다. 즉, 이동수단 200은 제2프레임 120을 케이지로 사용한다. 그리고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수단 200은 제2프레임 120의 중앙에 볼 또는 롤러가 설치된 베어링 타입이 적합하나 이에 국한된 것은 아니다.
덧붙여, 이동수단 200은 제2프레임 120의 슬라이드 이동뿐만 아니라 상판 1의 높낮이 조절시 제1프레임 110과 제3프레임 130에 닿는 회전방향이 달라서 특별한 장치 없이 제2프레임 120이 연동하여 이동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수단 200은 프레임 100의 면 또는 모서리에 설치된다.
결국,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3단 조절 프레임 10은 복수개의 프레임 100을 다단으로 길이 조절시 프레임 100 중 내부의 프레임 100이 롤러 케이지 역할을 하도록, 복수개의 프레임 100이 다단으로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되, 상기 프레임 100들의 연결부위 내부 및 외부 일부에 설치한 이동수단 200을 통해 프레임 100의 길이를 연장시 프레임 100의 이동을 안내하여, 스트로크가 연장된다.
한편, 제2프레임 120의 양끝단에는 제1프레임 110과 제2프레임 120에 밀착되어 슬라이드 이동하는 안내수단 300이 설치된다.
이때, 안내수단 300은 상기 제2프레임 120의 상부 외측면에 설치되어 제3프레임 130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제1안내수단 310과, 상기 제2프레임 120의 하부 내측면에 설치되어 제1프레임 110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제2안내수단 32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안내수단 300은 면접촉되는 형상일 수도 있고, 점 또는 선접촉하는 볼 또는 롤러 베어링을 적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내수단 300은 프레임 100의 면 또는 모서리에 설치된다.
즉, 제2프레임 120이 이동수단 200과 일체화되어 연장 길이 ℓ2는 이동수단 200의 높이를 제외한 초기 상태 길이 ℓ1 약 2배 길이로 연장된다.
결국, 본 발명의 3단 조절 프레임 10은 복수개의 프레임 100을 다단으로 길이 조절시 프레임 100 중 내부 프레임의 양끝단이 프레임 100을 지지하도록, 복수개의 프레임 100이 다단으로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되, 상기 프레임 100들의 연결부위 내부 및 외부 일부에 설치한 안내수단 300을 통해 프레임 100의 길이를 연장시 프레임 100의 내벽과 외벽에 안내수단 300이 밀착되어 휨지지력이 발생하도록 하여, 안전성 및 내구성이 향상된다.
한편, 상기 제1프레임 110의 상부 끝단과 제3프레임 130의 하부 끝단에 각각 스톱퍼 400를 설치한다. 이러한, 스톱퍼 400는 프레임 100의 연장시 이동수단 200에 걸림된다. 즉, 스톱퍼 400를 통해 프레임 100의 연장길이를 제한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3단 조절 프레임
100 : 프레임 110 : 제1프레임
120 : 제2프레임 130 : 제3프레임
200 : 이동수단 300 : 안내수단
310 : 제1안내수단 320 : 제2안내수단
400 : 스톱퍼 500 : 지지판

Claims (9)

  1. 복수개의 프레임이 다단으로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되,
    상기 프레임들의 연결부위 내부 및 외부 일부에 설치한 이동수단과 안내수단을 통해 프레임의 길이를 연장시 프레임의 이동을 안내하고 프레임의 내벽과 외벽에 안내수단이 밀착되어 휨지지력이 발생하도록 하는 3단 조절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제1프레임, 제2프레임, 제3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프레임이 슬라이드 이동하되,
    상기 제2프레임의 중앙에 이동수단이 설치되어 제1프레임과 제3프레임에서 구름회전하여 프레임의 길이를 연장시 프레임의 이동을 안내하고 제2프레임의 양끝단에는 제1프레임과 제3프레임에 밀착되어 슬라이드 이동하는 안내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안내수단은,
    상기 제2프레임의 상부 외측면에 설치되어 제3프레임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제1안내수단과,
    상기 제2프레임의 하부 내측면에 설치되어 제1프레임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제2안내수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프레임의 상부 끝단과 제3프레임의 하부 끝단에 각각 설치하여 이동수단에 걸림되는 스톱퍼를 통해 프레임의 연장길이를 제한하도록 한 것을 포함하는 3단 조절 프레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중공의 다각기둥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단 조절 프레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중공의 원기둥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단 조절 프레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과 안내수단은 프레임의 면 또는 모서리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단 조절 프레임.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은,
    바닥에 접촉되는 지지판의 상부에 수직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단 조절 프레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제2프레임의 중앙에 설치되어 제1프레임의 외측면과 제3프레임의 내측면을 구름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단 조절 프레임.
  8. 삭제
  9. 삭제
KR1020160096408A 2016-07-28 2016-07-28 3단 조절 프레임 KR1018906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6408A KR101890696B1 (ko) 2016-07-28 2016-07-28 3단 조절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6408A KR101890696B1 (ko) 2016-07-28 2016-07-28 3단 조절 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4301A KR20180014301A (ko) 2018-02-08
KR101890696B1 true KR101890696B1 (ko) 2018-08-24

Family

ID=61232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6408A KR101890696B1 (ko) 2016-07-28 2016-07-28 3단 조절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06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41624B (zh) * 2018-07-09 2024-03-01 宁波汇五洲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双电机正装圆管三节升降桌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5831Y1 (ko) * 2005-10-12 2006-01-11 신현구 로스터용 배기장치
JP2008029562A (ja) * 2006-07-28 2008-02-14 Okamura Corp 家具の脚体の上下伸縮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5831Y1 (ko) * 2005-10-12 2006-01-11 신현구 로스터용 배기장치
JP2008029562A (ja) * 2006-07-28 2008-02-14 Okamura Corp 家具の脚体の上下伸縮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4301A (ko) 2018-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174913A1 (en) Device for table elevation
KR101707110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받침대
CA2847373A1 (en) Height adjustable table
WO2006127536A3 (en) Massage table with secure lock legs
US20160037909A1 (en) Height Adjustable Work Surface
KR101890696B1 (ko) 3단 조절 프레임
US6742461B1 (en) Extensible table
US20170209321A1 (en) Electric Bed Frame
US10165858B1 (en) Multi-rail concealed slide rail structure
US10064487B2 (en) Pull-out guide for furniture parts that can be moved in relation to each other
KR200485649Y1 (ko) 평상 겸용 테이블
KR101743983B1 (ko) 입식 및 좌식 공용 책상
US10973716B2 (en) Adjustable support legs for a mattress foundation
WO2023061066A1 (zh) 一种座椅
KR20120137202A (ko) 좌식 겸용 입식 의자
AU2020101713A4 (en) Height-adjustable table
KR102055578B1 (ko) 식당의자용 자동 승강 장치
KR102024751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KR20210000775U (ko) 이동식 평상
KR200493853Y1 (ko) 높이 및 길이 조절이 가능한 가변형 테이블
CN110179250A (zh) 一种便捷伸展型餐桌
EP3066960B1 (de) Federleiste für eine matratzenunterfederung sowie matratzenunterfederung mit zumindest einer solchen federleiste
US1793819A (en) Extension table
US20230232990A1 (en) Chair
CN203885156U (zh) 一种新型花盆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