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0127B1 - 고발수성을 갖는 수중유(o/w)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발수성을 갖는 수중유(o/w)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0127B1
KR101890127B1 KR1020180013711A KR20180013711A KR101890127B1 KR 101890127 B1 KR101890127 B1 KR 101890127B1 KR 1020180013711 A KR1020180013711 A KR 1020180013711A KR 20180013711 A KR20180013711 A KR 20180013711A KR 101890127 B1 KR101890127 B1 KR 1018901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g
diisocyanate
pcl
triblock copolymer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3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윤
김선영
이진용
이준배
김성용
신병모
김진웅
박명삼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 주식회사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 주식회사,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13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01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01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01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06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 C08G63/08Lactones or lac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2Oil-in-water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90Block co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66Polyesters containing oxygen in the form of ether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8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interreacting polymers in the absence of monomers, e.g. block polym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화력이 낮아 재유화를 억제해 땀이나 수분에 의해 쉽게 씻겨나가지 않는 A-B-A 형 삼중 블록 공중합체를 이용하여, 좋은 사용감과 고발수성을 갖는 수중유(O/W)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발수성을 갖는 수중유(O/W)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Oil in Water UV-block Cosmetic Composition Having High Water Repellency And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본 발명은 고발수성을 갖는 수중유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유화력이 낮아 재유화가 억제되어 잘 씻겨 나가지 않는 A-B-A 타입 삼중 블록 공중합체 유화제를 이용한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지구 온난화와 더불어 오존층 파괴 등의 환경오염 문제로 인해 지면에 도달하는 자외선 양이 급증하면서 그에 대한 피부 노출이 심화되어 피부에 홍반, 기미, 주근깨, 피부암 등을 유발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효율적으로 보호하는 제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최근 삶의 질이 향상됨에 따라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고자 하는 욕구가 크게 증가하고, 레저, 여행, 골프 등 야외활동이 증가하면서 수분 또는 땀에 강한 기능적 효과를 갖는 고발수성 자외선 차단제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어, 이와 관련된 연구가 계속 증가하고 있다.
자외선은 대개 파장에 따라 자외선 A(320 ~ 400 nm), 자외선 B(290 ~ 320 nm), 자외선 C(200 ~ 290 nm)로 나뉜다. 그 중 자외선 C는 오존층에 의해 지표에 도달하지 못하고 소실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피부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자외선 A는 피부 진피까지 침투하여 피부암, 주름 등을 유발하며, 자외선 B는 피부 표피까지 침투하여 홍반, 주근깨, 기미 등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피부로부터 이러한 자외선을 차단하기 위해 자외선 A의 경우 PA 지수로, 자외선 B의 경우 SPF 지수로 표기되어 제품을 개발하고 소비자들에게 제공하고 있다.
자외선 차단제는 크게 제형에 따라 수중유(O/W) 자외선 차단제와 유중수(W/O)형 자외선 차단제로 나뉜다. 수중유 자외선 차단제는 일반 크림과 유사하게 수분감 있게 도포되어 가벼운 사용감을 가지나 땀이나 수분에 의해 쉽게 지워질 수 있어 발수성이 떨어지는 반면, 유중수 자외선 차단제는 파우더 함량이 높아 무겁게 도포되어 답답한 느낌을 주며 유상(oil phase)을 외상으로 가지기 때문에 세정효과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감이 좋아 소비자들의 선호도가 높은 수중유형 자외선 차단제에, 야외활동이 잦은 소비자들이 중시하는 발수성, 지속성을 부여할 수 있는 제형 개발을 목적으로 하며, 또한 기존의 삼중 블록 공중합체 제조 시 필요한 고에너지 조건 등을 개선한 제조 환경을 제공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891260호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문제점들을 극복할 수 있는 방안으로, 유화력이 낮아 재유화를 억제해 땀이나 수분에 의해 쉽게 씻겨나가지 않는 A-B-A 타입 삼중 블록 공중합체를 이용하여, 고발수성을 갖는 수중유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글리콜(PEG)-폴리카프로락톤(PCL)-폴리에틸렌글리콜(PEG)의 삼중 블록 공중합체로서, 평균 분자량비가 PEG:PCL:PEG = 1:10:1 내지 1:1,000: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중 블록 공중합체 화합물을 제공한다. 이 때, 상기 삼중 블록 공중합체는 분자량이 100 내지 20,000 g/mol인 PEG와, 분자량이 1,000 내지 100,000 g/mol인 PCL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바람직하게는 분자량이 500 내지 2,000 g/mol인 PEG와, 분자량이 10,000 내지 30,000 g/mol인 PCL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삼중 블록 공중합체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중유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며, 상기 수중유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은 총 중량 대비 삼중 블록 공중합체가 0.1 내지 10 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 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수중유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은 삼중 블록 공중합체 화합물에 유기 자외선 차단제, 무기 자외선 차단제, 유·무기 자외선 차단제 혼합물 중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디부틸틴 디라우레이트(dibutyltin dilaurate) 촉매 하에 30 내지 50 ℃에서 폴리카프로락톤(PCL)의 양 말단과 알킬 디이소시아네이트(alkyl diisocyanate)를 반응시킨 후, 상기 알킬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이소시아네이트기와 폴리에틸렌글리콜(PEG)의 수산기를 반응시켜, PEG-PCL-PEG 삼중 블록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삼중 블록 공중합체 화합물 및 그 삼중 블록 공중합체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중유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알킬 디이소시아네이트는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isophorone diisocyanate), 테트라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tetramethylxylene diisocyanate),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hexamethylene diisocyanate), 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phenylene diisocyanate), 자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xylene diisocyanate),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tolylene diisocyanate),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toluene diisocyanate) 및 시클로헥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cyclohexylene diisocyanate)로 구성되는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PEG-PCL-PEG 삼중 블록 공중합체를 이용하여, 유중수(W/O)형 자외선 차단제에 비해 사용감이 우수하고 얇게 발리면서, 발수성이 뛰어난 수중유(O/W)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기존의 삼중 블록 공중합체 제조 시 필요한 고에너지 조건 등을 개선한 제조 환경을 제공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자외선 차단제(좌측)와 본 발명의 삼중 블록 공중합체 화합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제(우측)를 도포한 2개의 UV사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자외선 차단제(좌측)와 본 발명의 삼중 블록 공중합체 화합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제(우측)를 도포한 후, 50 mL의 증류수를 골고루 흘려주고 20분 간 자연 건조한 2개의 UV사진이다.
일반적으로 수중유(O/W, Oil in Water)형 자외선 차단제는 물을 주성분으로 하므로 발림성이 좋아 선호되나, 땀이나 수분에 의해 쉽게 지워질 수 있어 발수성이 떨어지고 지속성이 낮아 문제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를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삼중 블록 공중합체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공중합체는 친수성인 A-블록과 소수성인 B-블록으로 구성되는 A-B-A(hydrophilic-hydrophobic-hydrophilic) 타입 삼중 블록 공중합체(triblock copolymer)로서, 이를 포함하는 고발수성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약한 유화력을 가져 재유화를 막아 땀이나 수분에 의해 쉽게 씻겨나가지 않는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삼중 블록 공중합체의 A-블록은 친수성 부분의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 PEG)로 (CH2CH2O)n-의 화학식을 가지는 고분자로 수용성이며 비이온성이다. PEG는 무독성이고 우수한 생체적합성으로 인해 의료용 고분자로 폭넓게 사용되고 있으며, 피부친화력이 뛰어나다. 본 발명의 삼중 블록 공중합체 내에서 PEG는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PCL)의 분자량에 의존해 사용범위가 정해지며, 일반적으로 분자량은 100 내지 20,000 g/mol이고, 바람직하게는 500 내지 2,000 g/mol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삼중 블록 공중합체의 B-블록은 소수성 부분의 폴리카프로락톤으로 (CH2CH2CH2CH2CH2COO)n-의 화학식을 가지는 선형구조의 고분자로, 생분해성 및 생체적합성을 가지며, 물에 녹지 않는 소수성 고분자이다. 본 발명의 삼중 블록 공중합체 내에서 적합한 분자량은 폴리카프로락톤(PCL)에 결합하는 친수성 폴리에틸렌글리콜(PEG) 고분자의 구조와 분자량에 의존하며, 일반적으로 분자량은 1,000 내지 100,000 g/mol이고, 바람직하게는 10,000 내지 30,000 g/mol으로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공중합체는 친수성인 폴리에틸렌글리콜(PEG)의 A-블록과 소수성인 폴리카프로락톤(PCL)의 B-블록으로 구성되는 A-B-A (hydrophilic-hydrophobic-hydrophilic) 타입 삼중 블록 공중합체로서, 친수성 블록인 PEG가 삼중 블록의 외부에 위치하여 물에 용해가 쉬우므로, 대부분의 화장료가 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O/W(oil in water) 에멀젼 형태라는 점을 고려하면 적용 및 응용에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삼중 블록 공중합체 화합물은 그 분자량비가 1:10:1 내지 1:1,000:1인 범위를 갖는 것이 발수성 및 제형 안정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분자량비 1:10:1에서 PCL 함량이 더 적어지면 재유화의 가능성이 증가하여 씻겨나가는 문제점이 생길 우려가 있고, 분자량비 1:1,000:1에서 PCL 함량이 커지면 입자의 결정화 특성이 증가하여 석출되는 문제점이 생길 우려가 있다.
상기 삼중 블록 공중합체의 A-B 블록은 폴리카프로락톤(PCL)의 양 말단에 알킬 디이소시아네이트(alkyl diisocyanate, RDI)와 반응시키고, 폴리에틸렌글리콜(PEG)의 수산기와 동일한 반응을 진행하여 제조하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삼중 블록 공중합체 제조 시 양 말단에 반응시키는 알킬 디이소시아네이트는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isophorone diisocyanate), 테트라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tetramethylxylene diisocyanate),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hexamethylene diisocyanate), 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phenylene diisocyanate), 자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xylene diisocyanate),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tolylene diisocyanate),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toluene diisocyanate), 시클로헥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cyclohexylene diisocyanate) 등이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삼중 블록 공중합체는 하기 반응식 1에 표시된 대로 폴리카프로락톤(PCL)의 양말단에 위치한 수산기를 디부틸틴 디라우레이트(dibutyltin dilaurate, DBTDL) 촉매 하에 30 내지 50 ℃에서 알킬 디이소시아네이트(RDI)와 반응시키고, 폴리에틸렌글리콜(PEG)의 수산기를 디부틸틴 디라우레이트(DBTDL) 촉매 하 30 내지 50 ℃에서 알킬 디이소시아네이트(RDI)와 반응하는 총 2단계의 반응을 거쳐 합성될 수 있으나, 이러한 합성법에 국한되지 않는다. 30℃ 미만인 경우 반응속도가 낮아져 반응시간이 길어지며, 에너지 소비량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고, 50℃ 초과 시에는 불필요한 부반응이 발생하여 원료 정제에 필요한 에너지 소비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하기 반응식 1에 의하면, 45 ℃ 정도의 비교적 저온에서 삼중 블록 공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제조 시 필요한 에너지를 낮추고 부반응을 최소화할 수 있다.
<반응식 1>
Figure 112018012263489-pat00001
상기 삼중 블록 공중합체 화합물은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0.1 중량% 이내로 사용 시 유화력이 떨어져 상 분리 현상이 나타나게 되고, 10 중량% 초과 사용 시 유화력 상승에 의한 발수성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삼중 블록 공중합체 화합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자외선 차단제로 유기 자외선 차단제, 무기 자외선 차단제, 또는 유·무기 자외선 차단제 혼합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예시로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 실시예 ]
1. 삼중 블록 공중합체 제조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PEG-PCL-PEG 삼중 블록 공중합체는 하기 반응식 1에 따라 제조되었다.
<반응식 1>
Figure 112018012263489-pat00002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삼중 블록 공중합체의 A 블록은 친수성 부분의 폴리에틸렌글리콜로 (CH2CH2O)n-의 화학식을 가지는 고분자이며, B 블록은 소수성 부분의 폴리카프로락톤으로 (CH2CH2CH2CH2CH2COO)n-의 화학식을 가지는 선형구조의 고분자이다. 본 발명에서는 PEG-PCL-PEG 분자량비를 1:100:1로 하여 제조된 삼중 블록 공중합체를 이용하였으며, 사용하는 폴리카프로락톤의 분자량에 따라 다양한 분자량비로 제조할 수 있다.
2. 수중유형 자외선 차단제 제조
상기 삼중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한 수중유형 자외선 차단제(실시예 1)의 조성은 다음의 표 1과 같다. 본 실시예와의 비교를 위하여 삼중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지 않는 수중유형 자외선 차단제 조성(비교예 1)을 표 1에 함께 나타내었다.
Figure 112018012263489-pat00003
비교예 1과 실시예 1의 수중유형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은 수용성 성분, 제 1 유용성 성분, 제 2 유용성 성분, 점증제, 보존제 및 D.I. water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수용성 성분은 점도조절제(예를 들어, Xanthan gum), 폴리올(예를 들어, 1,3-Butylene glycol, Glycerin), 금속봉쇄제(예를 들어, EDTA-2Na), 계면활성제(예를 들어, Potassium cetyl phosphate, PEG-PCL-PEG triblock copolymer), Tromethamine, Silica 및 D.I. water를 포함하며, 상기 계면활성제 중 PEG-PCL-PEG triblock copolymer는 실시예 1의 제조에만 사용되고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5 중량% 포함된다.
본 발명의 제 1 유용성 성분은 고급 알코올(예를 들어, Cetearyl alcohol), 유기 자외선 차단 성분(예를 들어, 4-Methylbenzylidene camphor, Ethylhexyl methoxycinnamate, Octocrylene, Ethylhexyl salicylate, Butyl methoxydibenzoylmethane), Triceteareth-4 phosphate, Glycol stearate, PEG-2 stearate, Glyceryl stearate, PEG-100 stearate, Caprylyl glycol, Cyclopentasiloxane 및 Butylene glycol dicapylate/dicaprate를 포함한다. 비교예 1의 Glyceryl stearate 및 PEG-100 stearate은 삼중 블록 공중합체와 유사한 역할을 하는 계면활성제로서 이와 동일한 양인 1.5중량% 첨가되었다.
본 발명의 제 2 유용성 성분은 무기 자외선 차단 성분(예를 들어, Titanium dioxide, Silica), 계면활성제(예를 들어, Sorbitan sesquioleate), 합성 에스터 오일(예를 들어, Ethylhexyl palmitate, Neopentyl glycol diheptanoate), Dimethicone 및 Cyclohexasiloxane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점증제는 Acrylates/C10-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일 수 있으며, 보존제는 Phenoxyethanol 및/또는 Glyceryl caprylate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수용성 성분을 혼합하고 70 ~ 80도까지 가온 용해하여 수상용액을 제조하였다.
2) 별도의 용기에 상기 표 1의 제 1유용성 성분을 혼합하고, 70 ~ 80도까지 가온 용해하여 제1 유상용액을 제조하였다.
3) 상기 2)의 유상용액을 상기 1)의 수상용액에 천천히 첨가하고, 호모 믹서로 10분 간 교반하였다.
4) 별도의 용기에 상기 표 1의 제 2 유용성 성분을 혼합하고, 70 ~ 80도까지 가온 용해하여 제2 유상용액을 제조하였다.
5) 상기 3)의 혼합용액에 상기 4)의 유상용액을 천천히 첨가하고, 호모 믹서로 10분 간 교반하였다.
6) 상기 표 1의 점증제를 D.I. water에 습윤시켜 상기 5)의 혼합용액에 천천히 첨가하고, 호모 믹서로 5분 간 교반하였다.
7) 상기 6)의 혼합용액을 45도까지 냉각한 후 상기 표 1의 보존제를 천천히 첨가하고 호모 믹서로 5분 간 교반한 뒤 30도로 냉각하였다.
3. in vitro 발수성 평가
상기 조성물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PMMA 플레이트(Polymethylmetacrylate Plate)에 2 mg/cm2로 시료를 도포하고, 자외선 A, B 영역(290 ~ 400 nm)의 자외선 노출량을 측정할 수 있는 휴대용 자외선 측정기 및 16 mV/cm2 내외의 자외선 램프를 이용하여, '건조상태에서 자외선 차단력'과 '침수에 의해 자외선 차단제를 손실시킨 후의 자외선 차단력'을 측정하였다. 상기 침수는 물이 가득 찬 비커에 15분 간 침수, 30분 간 자연건조 순으로 진행하고 침수 전 후 자외선 투과량을 비교하여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발수성을 평가하였다. 각각 5개의 샘플로 반복 실험하여 하기 표 2 및 표 3에 결과를 나타내었다.
<수학식 1>
Figure 112018012263489-pat00004
Figure 112018012263489-pat00005
Figure 112018012263489-pat00006
그 결과,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일반 수중유형 자외선 차단제의 경우 자외선 차단 원료가 다량 씻기는 결과로 인해 발수성이 50% 미만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반해 표 3에 나타난 A-B-A 삼중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한 수중유형 자외선 차단제의 경우 자외선 차단 원료가 드물게 씻겨 발수성이 70% 이상인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일반 수중유형 자외선 차단제에 비해 A-B-A 삼중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한 자외선 차단제의 발수성이 뛰어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4. in vivo 발수성 평가
본 발명 자외선 차단제의 발수성을 확인하기 위해, 2회차에 걸쳐, 하박에 상기 비교예 1 및 실시예 1의 자외선 차단제를 도포한 후 건조하여 UV 카메라로 촬영한 것을 도 1에 나타내었고, 이에 50 mL의 증류수를 골고루 흘려준 후 20분 간 자연 건조한 후 UV 카메라로 촬영한 것을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1은 비교예 1 및 실험예 1의 자외선 차단제를 도포한 후 UV 카메라로 측정한 것이고, 도 2는 50mL의 수분에 10분 노출 및 자연건조 15분 후 UV 카메라로 측정한 사진이다. UV 측정 사진에서, 짙게 나타날수록 자외선 차단 원료가 물에 덜 씻겨 내려가 더 뛰어난 발수성을 갖는 것이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1차 및 2차 모두 각각 우측의 삼중 블록 공중합체가 포함된 자외선 차단제의 경우가 짙게 나타나고, 이는 수분에 덜 씻겨 내려가 발수성이 더 뛰어난 것을 나타낸다.
5. 제형 안정성 평가
다음으로 비교예 1과 실험예 1의 제형 안정성 확인을 위해 14일 간 각 온도에서의 안정성을 평가하여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8012263489-pat00007
상기 표 4에서 "◎"는 매우 뛰어난 제형 안정성을 나타내며, ""는 뛰어난 제형 안정성을 의미한다.
삼중 블록 공중합체 사용 시 제형 안정성이 매우 떨어지는 것이 예상되는 문제점이었으나, 일반 수중유형 자외선 차단제는 매우 뛰어난 제형 안정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삼중 블록 공중합체가 포함된 수중유형 자외선 차단제도 뛰어난 제형 안정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점증제 등의 영향으로 제형 안정성이 어느 정도 확보된 것으로 보이며, 본 발명과 같이 Glyceryl stearate, PEG-100 stearate 등의 흔히 사용하는 유화제 없이 삼중 블록 공중합체를 첨가한 경우에도 유화력 문제는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Claims (11)

  1. 폴리에틸렌글리콜(PEG)-폴리카프로락톤(PCL)-폴리에틸렌글리콜(PEG)의 삼중 블록 공중합체로서, 중량평균분자량이 100 내지 20,000 g/mol인 PEG와, 분자량이 1,000 내지 100,000 g/mol인 PCL을 이용하여 제조되며, 중량평균 분자량비가 PEG:PCL:PEG = 1:10:1 내지 1:1,000: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중 블록 공중합체 화합물.
  2. 삭제
  3.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삼중 블록 공중합체 화합물은 중량평균분자량이 500 내지 2,000 g/mol인 PEG와,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 내지 30,000 g/mol인 PCL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중 블록 공중합체 화합물.
  4. 청구항 제1항의 삼중 블록 공중합체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중유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5. 청구항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중유형 자외선 차단 조성물 총 중량과 대비하여
    상기 삼중 블록 공중합체 화합물이 0.1 내지 10 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6. 청구항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중유형 자외선 차단 조성물 총 중량과 대비하여
    상기 삼중 블록 공중합체 화합물이 0.5 내지 5 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7. 청구항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중유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은 유기 자외선 차단제, 무기 자외선 차단제, 유·무기 자외선 차단제 혼합물 중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8. 디부틸틴 디라우레이트(dibutyltin dilaurate) 촉매 하에 30 내지 50 ℃에서 폴리카프로락톤(PCL)의 양 말단과 알킬 디이소시아네이트(alkyl diisocyanate)를 반응시킨 후, 상기 알킬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이소시아네이트기와 폴리에틸렌글리콜(PEG)의 수산기를 반응시켜, PEG-PCL-PEG 삼중 블록 공중합체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9. 청구항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알킬 디이소시아네이트는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isophorone diisocyanate), 테트라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tetramethylxylene diisocyanate),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hexamethylene diisocyanate), 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phenylene diisocyanate), 자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xylene diisocyanate),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tolylene diisocyanate),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toluene diisocyanate) 및 시클로헥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cyclohexylene diisocyanate)로 구성되는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EG-PCL-PEG 삼중 블록 공중합체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10. 청구항 제8항 및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PEG-PCL-PEG 삼중 블록 공중합체 화합물.
  11. 청구항 제10항의 PEG-PCL-PEG 삼중 블록 공중합체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중유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1020180013711A 2018-02-05 2018-02-05 고발수성을 갖는 수중유(o/w)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901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3711A KR101890127B1 (ko) 2018-02-05 2018-02-05 고발수성을 갖는 수중유(o/w)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3711A KR101890127B1 (ko) 2018-02-05 2018-02-05 고발수성을 갖는 수중유(o/w)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0127B1 true KR101890127B1 (ko) 2018-08-21

Family

ID=63453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3711A KR101890127B1 (ko) 2018-02-05 2018-02-05 고발수성을 갖는 수중유(o/w)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01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2238B1 (ko) * 2018-10-31 2019-09-18 코스맥스 주식회사 고내수성을 갖는 수중유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8790B1 (ko) 2006-01-31 2007-02-02 (주)아모레퍼시픽 자외선 차단용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8790B1 (ko) 2006-01-31 2007-02-02 (주)아모레퍼시픽 자외선 차단용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iomacromolecules 2005, 6, 885-890
Macromolecules 2005, 38, 5260-5265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2238B1 (ko) * 2018-10-31 2019-09-18 코스맥스 주식회사 고내수성을 갖는 수중유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1116924A (zh) * 2018-10-31 2020-05-08 科丝美诗株式会社 有高耐水性的水包油型防紫外线化妆材料组合物及其制法
CN111116924B (zh) * 2018-10-31 2022-04-26 科丝美诗株式会社 有高耐水性的水包油型防紫外线化妆材料组合物及其制法
US11331260B2 (en) 2018-10-31 2022-05-17 Cosmax, Inc. Oil-in-water UV-blocking cosmetic composition having high water resistanc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70806C2 (ru) Солнцезащитные композиции, содержащие поглощающий ультрафиолетовое излучение полимер
KR101209810B1 (ko) 특성이 강화된 실리콘 레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퍼스널케어 조성물, 그 제조 방법 및 사용 방법
JP2922189B2 (ja) Uv遮蔽システム及び非被膜形成ポリマー粒子の分散物並びに脂肪相を含有する光保護性化粧品組成物
EP3223775B1 (fr) Gel aqueux ou hydroalcoolique de phyllosilicates synthetiques a titre d&#39;agent viscosant, matifiant et/ou homogeneisant d&#39;application
JP6843620B2 (ja) 皮膚上への汚染粒子の付着低減のための皮膚への塗布用組成物及びその調製方法
KR20150100201A (ko) 화장 지속성 및 유연감이 우수한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EP2821058B1 (en) Cosmetic
JP3515873B2 (ja) 日焼け止め化粧料
KR20180045007A (ko) 실리콘 지방상을 포함하는 무수 스크리닝 조성물
KR102211894B1 (ko) 수용분산성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BR102014031665A2 (pt) composições de filtro solar contendo um polímero capaz de absorver radiação ultravioleta
TW201717901A (zh) 防曬化妝料
CN109952091A (zh) 外用组合物及其制备方法
EP2777690B1 (en) Oil-in-water type emulsified sunscreen cosmetic
US10874603B2 (en) Sunscreen compositions containing a UV-absorbing polyglycerol and a non-UV-absorbing polyglycerol
US9592190B2 (en) Sunscreen compositions containing an ultraviolet radiation-absorbing polyester
KR101890127B1 (ko) 고발수성을 갖는 수중유(o/w)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50957A (ko) 티타늄디옥사이드가 이중 분산된 수중유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74587B1 (ko) 유해광선 차단용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CN113015517A (zh) 包含具有碳硅氧烷的多级聚合物的个人护理配制物
KR20200050334A (ko) 윤기 지속형 화장료 조성물
EA030286B1 (ru) Солнцезащитная композиция
KR102022238B1 (ko) 고내수성을 갖는 수중유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03254A (ko) 자외선 흡수 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US20230034183A1 (en) Aqueous suncare formul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