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8849B1 - 유니트 체어용 공기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유니트 체어용 공기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8849B1
KR101888849B1 KR1020170090305A KR20170090305A KR101888849B1 KR 101888849 B1 KR101888849 B1 KR 101888849B1 KR 1020170090305 A KR1020170090305 A KR 1020170090305A KR 20170090305 A KR20170090305 A KR 20170090305A KR 101888849 B1 KR101888849 B1 KR 1018888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assage
block
discharge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0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길섭
송주한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90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88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8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88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007Control devices or systems
    • A61C1/0038Pneumatic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061Air and water supply systems;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2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 A61C17/0202Hand-pie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5/00Operating chairs; Dental chair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ork stands
    • A61G15/14Dental work stands;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니트 체어용 공기 조절 장치는 블록 모듈, 전환부, 솔레노이드 밸브 모듈, 공기 소스, 공압 통로, 및 잔류 공기 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록 모듈에는 시술 공구에 공급되는 공기가 흐를 수 있는 공기 유로가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환부는 상기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거나 차단 해제하도록 상기 공기 유로 상에 배치되는 공기 유로 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 모듈은 상기 전환부를 가동하도록 상기 블록 모듈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소스는 상기 시술 공구에 공급되어야 할 공기를 상기 공기 유로로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압 통로는 상기 전환부의 공기 유로 막이 공압에 의하여 가동될 수 있게 상기 전환부와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 모듈 사이를 연통하도록 상기 블록 모듈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잔류 공기 배출부는 상기 공기 유로 내부에 잔류할 수 있는 잔류 공기를 상기 블록 모듈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상기 블록 모듈 내에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유니트 체어용 공기 조절 장치{Apparatus of Controlling Air for Unit Chair}
본 발명은 유니트 체어용 공기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스켈러, 핸드피스 등과 같은 치과용 시술 공구에 공급되는 공기가 공기 유로 내에 잔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유니트 체어용 공기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치과 등에서 사용하고 있는 유니트 체어에 구비되는 스켈러, 핸드피스 등과 같은 시술 공구는 고압의 공기를 공급받아 운전될 수 있다.
그러나 시술 공구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조절 장치는 호스와 피팅 등이 복잡하게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 때문에 시술 공구가 거치되는 탁터 테이블의 내부 공간에 배치하기가 쉽지 않고, 유지 보수 또한 까다로운 문제가 있으며, 호스와 피팅 등이 매우 많기 때문에 호스의 연결부에서의 누수 가능성이 높은 문제가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언급한 공기 조절 장치와 함께 시술 공구에 물을 공급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유니트 체어용 유체 조절 장치를 간단한 구조를 갖도록 개발하여 이를 대한민국 특허청에 출원하여 특허 등록(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97900)을 받았다.
그러나 언급한 유니트 체어용 유체 조절 장치의 사용시 시술 공구에 공급되는 공기가 공기 유로 내에 잔류하는 상황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시술 공구에 공급되는 공기가 공기 유로 내에 잔류할 경우에는 시술 공구가 시술 전에 동작하거나 또는 시술 후에도 멈추지 않고 계속해서 동작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시술 공구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 유로 내에 잔류할 수 있는 잔류 공기를 블록 모듈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유니트 체어용 공기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일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니트 체어용 공기 조절 장치는 블록 모듈, 전환부, 솔레노이드 밸브 모듈, 공기 소스, 공압 통로, 및 잔류 공기 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록 모듈에는 시술 공구에 공급되는 공기가 흐를 수 있는 공기 유로가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환부는 상기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거나 차단 해제하도록 상기 공기 유로 상에 배치되는 공기 유로 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 모듈은 상기 전환부를 가동하도록 상기 블록 모듈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소스는 상기 시술 공구에 공급되어야 할 공기를 상기 공기 유로로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압 통로는 상기 전환부의 공기 유로 막이 공압에 의하여 가동될 수 있게 상기 전환부와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 모듈 사이를 연통하도록 상기 블록 모듈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잔류 공기 배출부는 상기 공기 유로 내부에 잔류할 수 있는 잔류 공기를 상기 블록 모듈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상기 블록 모듈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상기 잔류 공기 배출부는 상기 전환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 배출 통로와, 상기 시술 공구 쪽과 연결되는 공기 유로로부터 연장되는 제2 배출 통로와, 상기 제1 배출 통로 및 상기 제2 배출 통로가 연결되면서 상기 블록 모듈 외부까지 연장되는 연결 통로, 및 상기 시술 공구로 공기가 공급될 때에는 상기 연결 통로를 차단하면서 상기 잔류 공기를 배출시킬 때에는 상기 연결 통로를 차단 해제하도록 상기 연결 통로에 배치되는 차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상기 잔류 공기 배출부는 상기 차단부와 상기 공기 유로 막이 연동할 수 있도록 상기 차단부와 상기 공기 유로 막을 연결시키는 연동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연동 연결부는 상기 제1 배출 통로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상기 잔류 공기 배출부는 상기 차단부와 상기 공기 유로 막이 연동할 수 있게 상기 공기 유로 막의 가동 여부에 따라 압축 및 복원되는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차단부의 저면에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상기 잔류 공기 배출부는 상기 연결 통로 중에서 상기 블록 모듈 외부 쪽으로 연장되는 연결 통로와 연결되는 배출 펌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상기 블록 모듈은 제1 블록과 제2 블록을 구비할 수 있고, 상기 공압 통로가 상기 제1 블록에 형성될 경우에는 상기 공기 유로 및 상기 잔류 공기 배출부는 상기 제2 블록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공압 통로가 상기 제2 블록에 형성될 경우에는 상기 공기 유로 및 상기 잔류 공기 배출부는 상기 제1 블록에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상기 전환부는 상기 제1 블록과 상기 제2 블록의 경계부에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니트 체어용 공기 조절 장치는 잔류 공기 배출부를 구비하여 공기 유로 내부에 잔류할 수 있는 잔류 공기를 블록 모듈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에, 공기 유로 내에 잔류하는 잔류 공기로 인하여 시술 공구가 시술 전에 동작하거나 또는 시술 후에도 멈추지 않고 계속해서 동작하는 상황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니트 체어용 공기 조절 장치는 잔류 공기로 인한 시술 공구의 오동작을 방지함으로써 시술 공구를 보다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나아가 유니트 체어의 사용에 따른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언급한 효과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니트 체어용 공기 조절 장치와 함께 시술 공구에 물을 공급하는 유니트 체어용 물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유니트 체어용 유체 조절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로서, 시술 공구에 공기와 물이 공급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니트 체어용 공기 조절 장치와 함께 시술 공구에 물을 공급하는 유니트 체어용 물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유니트 체어용 유체 조절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로서, 시술 공구에 공기와 물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3의 B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유니트 체어용 공기 조절 장치의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니트 체어용 공기 조절 장치와 함께 시술 공구에 물을 공급하는 유니트 체어용 물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유니트 체어용 유체 조절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로서, 시술 공구에 공기와 물이 공급되는 상태를 나타내고,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3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니트 체어용 공기 조절 장치와 함께 시술 공구에 물을 공급하는 유니트 체어용 물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유니트 체어용 유체 조절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로서, 시술 공구에 공기와 물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를 나타내고, 도 4는 도 3의 B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니트 체어용 공기 조절 장치(이하, '공기 조절 장치'라 한다)는 유니트 체어에 구비되는 스켈러, 핸드피스 등과 같은 시술 공구(6)의 동작을 위하여 시술 공구(6)로 고압의 공기(이하, '공기'라 한다)를 공급하는 부재이다.
여기서, 스켈러는 공기 조절 장치로부터 공기를 공급받아 진동 운동을 하면서 치아 또는 플라그를 연마하는 시술 공구(6)이고, 핸드피스는 공기 조절 장치로부터 공기를 공급받아 회전 운동을 하면서 치아 또는 플라그를 연마하는 시술 공구(6)이다.
그리고 공기 조절 장치로부터 공기를 공급받아 동작하는 시술 공구(6)의 사용시 시술 공구(6)에 의하여 연마된 가루가 대기 중에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치아가 마찰열에 의하여 고온으로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시술 공구(6)에는 공기와 함께 물이 공급될 수 있다.
이에, 유니트 체어에는 공기 조절 장치와 함께 시술 공구에 물을 공급하는 유니트 체어용 물 조절 장치(이하, '물 조절 장치'라 한다)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유니트 체어에는 공기 조절 장치 및 물 조절 장치로 이루어지는 유니트 체어용 유체 조절 장치(100)(이하, 유체 조절 장치'라 한다)가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언급한 유체 조절 장치는 시술 공구(6)에 공급되는 물과 공기가 각각 흐를 수 있는 유로(13, 14)가 내부에 형성된 블록 모듈(10)과, 블록 모듈(10)에 설치되는 솔레노이드 밸브 모듈(20)과, 블록 모듈(10)에 설치되는 물 유량 조절 모듈(30)과, 시술 공구(6)에 공급되어야 할 공기를 블록 모듈(10) 내로 공급하는 공기 소스(2)와, 시술 공구(6)에 공급되어야 할 물을 블록 모듈(10) 내로 공급하는 물 소스(4)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 소스(2)로부터의 공기는 공기 유로(14)를 통하여 시술 공구(6)에 공급되고, 물 소스(4)로부터의 물은 물 유로(13)를 통하여 시술 공구(6)에 공급된다.
블록 모듈(10)의 내부에는 물 유로(13), 공기 유로(14) 및 공압 통로(19)가 형성되고, 시술 공구(6)로 공급되어야 할 물과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거나 차단 해제하는 전환부가 물 유로(13), 및 공기 유로(14) 각각에 배치된다.
전환부는 광의적으로는 유체 조절 장치(100)에 포함되는 것으로써, 물 유로(13) 상에 배치된 물 유로 막(15)과 공기 유로(14) 상에 배치된 공기 유로 막(16)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협의적으로는 공기 조절 장치의 전환부는 공기 유로(14) 상에 배치되는 공기 유로 막(16)을 포함할 수 있고, 물 조절 장치의 전환부는 물 유로(13) 상에 배치되는 물 유로 막(15)을 포함할 수 있다.
물 유로 막(15)은 물 유로(13)를 차단하거나 차단 해제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공기 유로 막(16)은 공기 유로(14)를 차단하거나 차단 해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물 유로 막(15)과 공기 유로 막(16)은 납작한 원형의 막상 구조체로 형성될 수 있고, 블록 모듈(10)의 내부에는 공압 통로(19)와 연통된 납작한 원기둥 형 홈인 제1 실린더(17)와 제2 실린더(18)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물 유로 막(15)의 외주는 제1 실린더(17)의 내주면에 고정될 수 있고, 공기 유로 막(16)의 외주는 제2 실린더(18)의 내주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물 유로 막(15)과 공기 유로 막(16)을 탄성체 재질로 형성할 경우 물 유로 막(15)의 중앙부와 공기 유로 막(16)의 중앙부는 공압 통로(19)에 인가된 공압에 따라 상하로 움직일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물 유로 막(15), 공기 유로 막(16), 제1 실린더(17), 제2 실린더(18)는 모두 단면이 원형인 것을 예로 들었으나, 원형이 필연적인 형상인 것은 아니고 다각형의 형상을 갖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아울러, 물 유로 막(15) 및 공기 유로 막(16)은 각각 물 유로(13) 및 공기 유로(14)를 차단 또는 차단 해제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경우 그 모양에 한 정되지 않는다.
물 유로 막(15) 및 공기 유로 막(16)의 외주가 제1 실린더(17) 및 제2 실린더(18)의 내주면에 반드시 고정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물 유로 막(15) 및 공기 유로 막(16)은 탄성이 없거나 탄성이 적은 재질로 형성되고 공압 통로(19)에 인가되는 공압에 따라 물 유로 막(15) 및 공기 유로 막(16)이 제1 실린더(17) 및 제2 실린더(18)의 내주면을 따라 슬라이딩하며 승강하는 구조를 갖도록 구비할 수도 있다.
솔레노이드 밸브 모듈(20)은 전환부를 가동하도록 블록 모듈(10)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솔레노이드 밸브 모듈(20)은 물 유로 막(15) 및 공기 유로 막(16)을 가동하도록 블록 모듈(10)에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전환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공압에 의하여 가동될 수 있는 것으로써, 이를 위하여 전환부와 솔레노이드 밸브 모듈(20) 사이는 블록 모듈(10) 내에 형성된 공압 통로(19)에 의하여 연통된다.
그리고 유체 조절 장치(100)에 있어서, 물 유로 막(15) 및 공기 유로 막(16) 각각을 가동할 수 있도록 솔레노이드 밸브 모듈(20)이 각각 구비되는 것 보다 물 유로 막(15)과 공기 유로 막(16)을 동시에 가동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에, 솔레노이드 밸브 모듈(20)과 연결되는 공압 통로(19)는 물 유로 막(15)과 공기 유로 막(16)을 향하여 분기되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공압 통로(19)는 솔레노이드 밸브 모듈(20) 쪽에서는 하나의 통로 이루어지고 물 유로 막(15)과 공기 유로 막(16) 쪽에서는 두 개로 분기되도록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물 유량 조절 모듈(30)은 블록 모듈(10)에 설치되고 시술 공구(6)에 공급되어야 할 물을 입력받아 물의 유량을 조절하여 배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블록 모듈(10)은 제1 블록(11)과 제2 블록(12)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공압 통로(19)는 제1 블록(11)에 형성될 수 있고, 물 유로(13)와 공기 유로(14)는 제2 블록(12)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블록 모듈(10)이 제1 블록(11)과 제2 블록(12)을 포함하는 구조를 갖도록 구비하는 것은 물 유로(13)와 공기 유로(14)를 차단 또는 차단 해제하기 위한 전환부를 블록 모듈(10)의 내부에 형성하기 위한 복잡한 절삭 가공을 생략하기 위함이다. 즉, 전환부를 제1 블록(11)과 제2 블록(12)의 경계부에 형성하고, 제1 블록(11)과 제2 블록(12)을 결합하면 전환부가 블록 모듈(10)의 내부에 자연스럽게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언급한 것과 반대로 공압 통로(19)가 제2 블록(12)에 형성되고, 물 유로(13)와 공기 유로(14)가 제1 블록(11)에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언급한 유체 조절 장치(100)에서 물 조절 장치 및 공기 조절 장치는 블록 모듈(10), 솔레노이브 밸브 모듈(20) 등을 공통으로 포함할 수 있을 것이고, 물 소스(4), 공기 소스(20) 등을 별도로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언급한 유체 조절 장치(100)에서 물 조절 장치는 시술 공구(6)에 공급되는 물이 흐를 수 있는 물 유로(13)가 내부에 형성되는 블록 모듈(10), 물의 흐름을 차단하거나 차단 해제하도록 물 유로(13) 상에 배치되는 물 유로 막(15)을 포함하는 전환부, 전환부의 물 유로 막(15)을 가동하도록 블록 모듈(10)에 설치되는 솔레노이드 밸브 모듈(20), 시술 공구(6)에 공급되어야 할 물을 물 유로(13)로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물 소스(4), 전환부의 물 유로 막(15)이 공압에 의하여 가동될 수 있게 물 유로 막(15)을 포함하는 전환부와 솔레노이드 밸브 모듈(20) 사이를 연동하도록 블록 모듈(10) 내에 형성되는 공압 통로(19), 및 시술 공구(6)에 공급되어야 할 물을 입력받아 물의 유량을 조절하여 배출하도록 블록 모듈(10)에 설치되는 물 유량 조절 모듈(3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언급한 유체 조절 장치(100)에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공기 조절 장치는 시술 공구(6)에 공급되는 공기가 흐를 수 있는 공기 유로(14)가 내부에 형성되는 블록 모듈(10),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거나 차단 해제하도록 공기 유로(14) 상에 배치되는 공기 유로 막(16)을 포함하는 전환부, 전환부의 공기 유로 막(16)을 가동하도록 블록 모듈(10)에 설치되는 솔레노이드 밸브 모듈(20), 시술 공구(6)에 공급되어야 할 공기를 공기 유로(14)로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공기 소스(2), 전환부의 공기 유로 막(16)이 공압에 의하여 가동될 수 있게 공기 유로 막(16)을 포함하는 전환부와 솔레노이드 밸브 모듈(20) 사이를 연동하도록 블록 모듈(10) 내에 형성되는 공압 통로(19)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언급한 공기 조절 장치를 사용하여 시술 공구(6)로 공기를 공급할 때 공기 유로(14) 내부에 공기가 잔류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시술 공구(6)의 동작을 중단할 경우에는 공기가 시술 공구(6)로 완전하게 공급되지 못하고 공기 유로(14) 내부에 잔류하는 상황이 많이 발생할 것이다.
이와 같이, 시술 공구(6)로 완전하게 공급되지 못하고 공기 유로(14) 내에 공기가 잔류할 경우에는 잔류 공기로 인하여 시술 공구(6)가 시술 전에 동작하거나 또는 시술 후에도 멈추지 않고 계속해서 동작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공기 조절 장치는 공기 유로(14) 내부에 잔류할 수 있는 잔류 공기를 블록 모듈(10)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블록 모듈(10) 내에 형성되는 잔류 공기 배출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공기 조절 장치는 시술 공구(6)로 공급되어야 할 공기가 공기 유로(14)에 잔류할 경우 잔류 공기를 블록 모듈(10)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잔류 공기 배출부(40)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잔류 공기 배출부(40)는 배출 통로(41) 및 차단부(43)를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서, 배출 통로는 공기 유로 막(16)을 포함하는 전환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 배출 통로와, 시술 공구(6) 쪽과 연결되는 공기 유로(14)로부터 연장되는 제2 배출 통로와, 제1 배출 통로 및 제2 배출 통로가 연결되면서 블록 모듈(10) 외부까지 연장되는 연결 통로를 포함할 수 있고, 차단부(43)는 연결 통로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차단부(34)는 시술 공구(6)로 공기가 공급될 때에는 연결 통로를 차단하도록 구비되고, 잔류 공기를 배출시킬 때에는 연결 통로를 차단 해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공기 조절 장치는 시술 공구(6)의 사용시에는 공기 유로(14)를 통하여 시술 공구(6)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고, 시술 공구(6)의 사용을 중단시에는 잔류 공기 배출부(40)를 통하여 공기 유로(14) 내부에 잔류할 수 있는 잔류 공기를 블록 모듈(10)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그리고 잔류 공기 배출부(40)의 차단부(43)는 시술 공구(6)로 공기를 공급할 때에는 연결 통로를 차단하고 시술 공구(6)로 공기의 공급을 중단할 때에는 연결 통로를 차단 해제하여야 하기 때문에 전환부의 공기 유로 막(16)과 연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시술 공구(6)로 공기가 공급되는 상태인 전환부의 공기 유로 막(16)이 시술 공구(6)로 공급되는 공기의 흐름을 차단 해제하고 있을 경우에는 차단부(43)가 연결 통로를 차단하는 상태를 유지하고, 시술 공구(6)로 공기의 공급을 중단시킨 상태인 전환부의 공기 유로 막(16)이 시술 공구(6)로 공급되는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고 있을 경우에는 차단부(43)가 연결 통로를 차단 해제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따라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공기 조절 장치에서의 잔류 공기 배출부(40)는 차단부(43)와 공기 유로 막(16)이 연동할 수 있도록 차단부(43)와 공기 유로 막(16)을 연결시키는 연동 연결부(4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연동 연결부(47)는 배출 통로(41) 중에서 제1 배출 통로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이에, 공기 유로 막(16)이 시술 공구(6)로 공급되는 공기의 흐름을 차단 해제하고 있도록 상부 쪽에 위치할 경우 연동 연결부(47)와 연결되는 차단부(43)는 연결 통로를 차단하도록 위치하고 있다가 공기 유로 막(16)이 시술 공구(6)로 공급되는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도록 하부 쪽에 위치할 경우 연동 연결부(47)와 연결되는 차단부(43) 또한 연결 통로의 하부 쪽으로 이동함으로써 연결 통로가 차단 해제될 수 있는 것이다.
언급한 연동 연결부(47) 이외에도 전환부의 공기 유로 막(16)과 차단부(43)가 연동하도록 구조를 다양하게 구비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유니트 체어용 공기 조절 장치의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언급한 연동 연결부(47)가 아닌 공기 유로 막(16)의 가동 여부에 따라 압축 및 복원되는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49)를 구비하여 전환부의 공기 유로 막(16)과 차단부(43)를 연동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탄성부(49)는 차단부(43)의 저면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공기 유로 막(16)이 시술 공구(6)로 공급되는 공기의 흐름을 차단 해제하고 있도록 상부 쪽에 위치할 경우 차단부(43)는 탄성부(49)의 복원력에 의해 연결 통로를 차단하도록 위치하고 있다가 공기 유로 막(16)이 시술 공구(6)로 공급되는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도록 하부 쪽에 위치할 경우 공기 유로 막(16)에 의해 차단부(43) 쪽으로 공압이 제공되어 탄성부(49)가 압축됨에 의해 차단부(43)가 연결 통로의 하부 쪽으로 이동함으로써 연결 통로가 차단 해제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공기 유로(14) 내부에 잔류할 수 있는 잔류 공기의 원활한 배출을 위하여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공기 조절 장치에서의 잔류 공기 배출부(40)는 배출 펌프(4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특히, 배출 펌프(45)는 연결 통로 중에서 블록 모듈(10) 외부 쪽으로 연장되는 연결 통로와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공기 조절 장치는 잔류 공기 배출부(40)를 구비함으로써 공기 유로(14) 내부에 잔류할 수 있는 잔류 공기를 블록 모듈(10)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고, 그 결과 잔류 공기로 인하여 시술 공구(16)가 시술 전에 동작하거나 또는 시술 후에도 멈추지 않고 계속해서 동작하는 상황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유체 조절 장치(100) 및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공기 조절 장치를 사용하여 시술 공구에 공기 및 물을 공급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도 2 및 도 5는 시술 공구(6)에 물과 공기가 공급되는 상태로써, 공기 소스(2)는 공기 유로(14)에 연통되어 있고, 물 소스(4)는 물 유로(13)에 연통되어 있다. 그리고 솔레노이드 밸브 모듈(20)은 오프(OFF) 상태로서 공압 통로(19)에 공압이 인가되어 있지 않는 상태이다.
이에, 물 유로 막(15)과 공기 유로 막(16)은 공압에 의하여 변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물 유로 막(15)은 물 유로(13)를 차단 해제하고 공기 유로 막(16)은 공기 유로(14)를 차단 해제하고 있다.
따라서 공기는 공기 유로(14)를 따라 시술 공구(6)까지 공급되고, 물은 물 유로(13)를 따라 흐르다가 물 유로 막(15)을 통과하여 물 유량 조절 모듈(30)에 유입되고 그리고 유량 조절 모듈(30)에 의해 시술 공구(6)에서 사용될 적절한 유량의 물만을 통과시켜 시술 공구(6)에 공급된다.
아울러,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공기 조절 장치는 잔류 공기 배출부(40)의 차단부(43)에 의해 연결 통로가 차단된 상태를 유지한다.
도 3, 도 4 및 도 6은 시술 공구(6)에 물과 공기가 공급되지 않는 상태로써, 솔레노이드 밸브 모듈(20)이 온(ON)되어 공압 통로(19)에 공압이 인가된다. 이에, 공압 통로(19) 내부의 공기는 공압이 가해진 상태에서 밀폐 상태에 놓이게 된다.
따라서 물 유로 막(15)과 공기 유로 막(16)의 중앙부는 변형되어 물 유로(13)와 공기 유로(14) 각각이 차단되고, 그 결과 시술 공구(6)로의 물 및 공기의 공급이 중단된다.
이때, 공기 유로(14)에는 시술 공구(6)에 공급되지 못한 공기가 잔류할 수 있다. 이에,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공기 조절 장치는 잔류 공기 배출부(40)의 연결 통로를 차단 해제함에 의해 공기 유로(14) 내부에 잔류하는 잔류 공기를 블록 모듈(10) 외부로 배출시킨다.
그러므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공기 조절 장치는 잔류 공기로 인하여 시술 공구(6)가 시술 전에 동작하거나 또는 시술 후에도 멈추지 않고 계속해서 동작하는 상황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공기 조절 장치는 유니트 체어용 유체 조절 장치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특히 치과용 유니트 체어용 유체 조절 장치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2 : 공기 소스 4 : 물 소스
6 : 시술공구 10 : 블록 모듈
11 : 제1 블록 12 : 제2 블록
13 : 물 유로 14 : 공기 유로
15 : 물 유로 막 16 : 공기 유로 막
17 : 제1 실린더 18 : 제2 실린더
19 : 공압 통로 20 : 솔레노이드 밸브 모듈
30 : 물 유량 조절 모듈 40 : 잔류 공기 배출부
41 : 배출 통로 43 : 차단부
45 : 배출 펌프 47 : 연동 연결부
49 : 탄성부 100 : 유체 조절 장치

Claims (7)

  1. 시술 공구에 공급되는 공기가 흐를 수 있는 공기 유로가 내부에 형성되는 블록 모듈;
    상기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거나 차단 해제하도록 상기 공기 유로 상에 배치되는 공기 유로 막을 포함하는 전환부;
    상기 전환부를 가동하도록 상기 블록 모듈에 설치되는 솔레노이드 밸브 모듈;
    상기 시술 공구에 공급되어야 할 공기를 상기 공기 유로로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공기 소스;
    상기 전환부의 공기 유로 막이 공압에 의하여 가동될 수 있게 상기 전환부와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 모듈 사이를 연통하도록 상기 블록 모듈 내에 형성되는 공압 통로; 및
    상기 공기 유로 내부에 잔류할 수 있는 잔류 공기를 상기 블록 모듈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상기 블록 모듈 내에 형성되는 잔류 공기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잔류 공기 배출부는 상기 전환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 배출 통로와, 상기 시술 공구 쪽과 연결되는 공기 유로로부터 연장되는 제2 배출 통로와, 상기 제1 배출 통로 및 상기 제2 배출 통로가 연결되면서 상기 블록 모듈 외부까지 연장되는 연결 통로, 및 상기 시술 공구로 공기가 공급될 때에는 상기 연결 통로를 차단하면서 상기 잔류 공기를 배출시킬 때에는 상기 연결 통로를 차단 해제하도록 상기 연결 통로에 배치되는 차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 체어용 공기 조절 장치.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잔류 공기 배출부는
    상기 차단부와 상기 공기 유로 막이 연동할 수 있도록 상기 차단부와 상기 공기 유로 막을 연결시키는 연동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동 연결부는 상기 제1 배출 통로를 통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 체어용 공기 조절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잔류 공기 배출부는
    상기 차단부와 상기 공기 유로 막이 연동할 수 있게 상기 공기 유로 막의 가동 여부에 따라 압축 및 복원되는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차단부의 저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 체어용 공기 조절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잔류 공기 배출부는
    상기 연결 통로 중에서 상기 블록 모듈 외부 쪽으로 연장되는 연결 통로와 연결되는 배출 펌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 체어용 공기 조절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모듈은 제1 블록과 제2 블록을 구비하고,
    상기 공압 통로가 상기 제1 블록에 형성될 경우에는 상기 공기 유로 및 상기 잔류 공기 배출부는 상기 제2 블록에 형성되고,
    상기 공압 통로가 상기 제2 블록에 형성될 경우에는 상기 공기 유로 및 상기 잔류 공기 배출부는 상기 제1 블록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 체어용 공기 조절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부는 상기 제1 블록과 상기 제2 블록의 경계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 체어용 공기 조절 장치.
KR1020170090305A 2017-07-17 2017-07-17 유니트 체어용 공기 조절 장치 KR1018888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0305A KR101888849B1 (ko) 2017-07-17 2017-07-17 유니트 체어용 공기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0305A KR101888849B1 (ko) 2017-07-17 2017-07-17 유니트 체어용 공기 조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8849B1 true KR101888849B1 (ko) 2018-08-16

Family

ID=63443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0305A KR101888849B1 (ko) 2017-07-17 2017-07-17 유니트 체어용 공기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884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6092B1 (ko) * 2018-08-14 2019-11-18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유체 조절 장치 및 방법
CN111288188A (zh) * 2020-02-12 2020-06-16 汉沙莱斯医疗科技江苏有限公司 一种牙科综合治疗台组合阀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740Y2 (ja) * 1988-09-20 1994-04-06 株式会社モリタ製作所 医療用ハンドピースの内部汚染防止装置
JPH0716498B2 (ja) * 1988-09-20 1995-03-01 株式会社モリタ製作所 医療用ハンドピースの内部汚染防止装置
JP3263581B2 (ja) * 1995-11-22 2002-03-04 株式会社モリタ製作所 医療用ハンドピースの内部汚染防止装置
KR101397900B1 (ko) * 2012-12-14 2014-05-20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 유니트 체어용 유체 조절 장치
JP7016498B2 (ja) * 2019-10-29 2022-02-07 珠海市司邁科技有限公司 腹腔鏡下手術用一体型腹腔内ガス循環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740Y2 (ja) * 1988-09-20 1994-04-06 株式会社モリタ製作所 医療用ハンドピースの内部汚染防止装置
JPH0716498B2 (ja) * 1988-09-20 1995-03-01 株式会社モリタ製作所 医療用ハンドピースの内部汚染防止装置
JP3263581B2 (ja) * 1995-11-22 2002-03-04 株式会社モリタ製作所 医療用ハンドピースの内部汚染防止装置
KR101397900B1 (ko) * 2012-12-14 2014-05-20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 유니트 체어용 유체 조절 장치
JP7016498B2 (ja) * 2019-10-29 2022-02-07 珠海市司邁科技有限公司 腹腔鏡下手術用一体型腹腔内ガス循環処理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6092B1 (ko) * 2018-08-14 2019-11-18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유체 조절 장치 및 방법
CN111288188A (zh) * 2020-02-12 2020-06-16 汉沙莱斯医疗科技江苏有限公司 一种牙科综合治疗台组合阀
CN111288188B (zh) * 2020-02-12 2022-05-24 汉沙莱斯医疗科技江苏有限公司 一种牙科综合治疗台组合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8849B1 (ko) 유니트 체어용 공기 조절 장치
WO2007044346A3 (en) Rupture control system
KR102569615B1 (ko) 코팅제 밸브
JP2013094779A (ja) 空気圧作動式液体分配弁及び方法
JPH02266172A (ja) 流体切り換え装置及び給水栓組立体
JP2018510692A (ja) 粉末ブラスト処理装置
JP2018520865A (ja) ニードルバルブ
JP2007139010A (ja) ボールバルブ
JP2018500505A5 (ko)
MX2021010138A (es) Dispositivo de distribucion para materiales en polvo.
CA2447989A1 (en) Lavatory service shut-off valve
MX2022005657A (es) Valvulas de control de caudal accionadas por presion.
EP4275727A3 (en) Devices for delivering powdered agents
JP6486797B2 (ja) 連結装置
KR101397900B1 (ko) 치과 유니트 체어용 유체 조절 장치
WO2022142769A1 (zh) 流体通断体及部件、壳体和装置、通气治疗设备和氧气供给控制方法
WO2010122119A1 (en) Water supply device with improved water distribution element, and improved water distribution element for said device
JP6557246B2 (ja) 間歇エア発生装置
CN215386666U (zh) 流体通断体及部件、壳体和装置、通气治疗设备
WO2006108770A3 (en) Pressure regulating device for natural gas
KR101651511B1 (ko) 유량조절유닛을 구비하는 휴대용 비상호흡장치
KR102046155B1 (ko) 이중 안전 밸브 및 이를 구비한 가스 배관 시스템
JPH0854076A (ja) 逆流防止装置付き混合栓
CN104968397A (zh) 具有警报解除功能和自动重置的用于呼吸设备的自动切换装置
JP3245553B2 (ja) 減圧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