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1511B1 - 유량조절유닛을 구비하는 휴대용 비상호흡장치 - Google Patents

유량조절유닛을 구비하는 휴대용 비상호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1511B1
KR101651511B1 KR1020140126574A KR20140126574A KR101651511B1 KR 101651511 B1 KR101651511 B1 KR 101651511B1 KR 1020140126574 A KR1020140126574 A KR 1020140126574A KR 20140126574 A KR20140126574 A KR 20140126574A KR 101651511 B1 KR101651511 B1 KR 1016515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orifice
oxygen
guide
pun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6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5241A (ko
Inventor
윤소남
함영복
박중호
이성수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126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1511B1/ko
Publication of KR201600352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52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1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15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62B7/02Respiratory apparatus with compressed oxygen or ai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2Val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소용기에 결합되며 산소 유입 및 토출을 위한 유입홀 및 토출홀을 구비하는 몸체와, 상기 유입홀과 연통하도록 형성된 삽입홀에 삽입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산소용기의 밀봉부를 관통하는 펀칭기구와, 상기 토출홀을 통해 토출되는 산소의 유량을 일정하게 조절하는 유량조절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유량조절유닛은, 상기 몸체의 내부에 형성되며 연결 오리피스 및 호흡 오리피스를 통해 상기 삽입홀과 토출홀에 각각 연통되는 실린더부와, 상기 실린더부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연결 오리피스를 통해 상기 실린더부로 유입되는 산소를 통과시키는 피스톤 오리피스, 및 상기 피스톤의 외주에 형성되며 상기 피스톤에 가해지는 산소 압력 변화에 의해 상기 피스톤이 이동함에 따라 상기 호흡 오리피스와의 중첩 길이가 가변되는 피스톤 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비상호흡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유량조절유닛을 구비하는 휴대용 비상호흡장치 {PORTABLE EMERGENCY BREATHING DEVICE HAVING FLOW REGULATING UNIT}
본 발명은 화재 발생, 가스 누출 등과 같은 비상시에 사용자에게 산소를 급급하여 비상 호흡이 가능토록 하는 휴대용 비상호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산소가 일정한 유량으로 공급되도록 산소 공급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 조절 유닛이 구비된 비상 호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고층빌딩과 복잡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빌딩이 늘어나는 추세에 따라 지하공간을 활용하여 주거 및 생활공간으로 사용하는 경향이 늘어나고 있다. 이 때문에 빌딩의 화재발생 및 유독가스 누출에 대한 대비책 보유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빌딩에 화재가 발생하여 산소가 부족한 경우, 재난으로 유독가스가 발생한 경우 등에, 인간에게 미치는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신고 후 사고 처리반이 도착하는데까지(5분 정도) 버티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사고 발생 5분 동안 안전한 호흡과 안전한 장소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나, 현재 대형건물 및 지하철과 같은 공동생활 지역에는 간단한 마스크 정도가 비치되어 실정이다.
이러한 마스크는 순간적인 보호 기능을 할 뿐 산소를 보충하고나 유독가스를 00% 제거하지 못하므로 사고 대비에 미흡하다. 한편 소방관들이 사용하는 대형 산소탱크를 비치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으나, 이동이 불편하기 때문에 큰 도움이 되지 못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휴대가 간편한 휴대용 비상호흡장치가 소개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제안된 비상호흡장치는 호흡기간이 매우 짧거나 호흡기간을 늘리기 위해 무게가 증가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휴대용 비상호흡장치의 작동 초기에 산소 용기 내의 압력이 매우 커 사용자에게 공급되는 산소의 유량이 매우 많으나, 작동 후 산소 용기로부터 산소 배출량이 증가할수록 산소 용기의 압력이 감소하여 산소 유량이 작아지게 되며, 이러한 유량 불균형은 호흡 기간의 단축을 야기하는 큰 요인이 된다.
따라서 휴대용 비상호흡장치의 산소 토출 유량을 일정하게 조절하여 호흡 기간을 증가시킬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393686호 (2014.05.0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이 간편하고 산소의 토출 유량이 일정하게 지속되도록 한 유량 조절 기능을 간단한 구조로서 구현한 휴대용 비상호흡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산소용기에 결합되며 산소 유입 및 토출을 위한 유입홀 및 토출홀을 구비하는 몸체와, 상기 유입홀과 연통하도록 형성된 삽입홀에 삽입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산소용기의 밀봉부를 관통하는 펀칭기구와, 상기 토출홀을 통해 토출되는 산소의 유량을 일정하게 조절하는 유량조절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유량조절유닛은, 상기 몸체의 내부에 형성되며 연결 오리피스 및 호흡 오리피스를 통해 상기 삽입홀과 토출홀에 각각 연통되는 실린더부와, 상기 실린더부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연결 오리피스를 통해 상기 실린더부로 유입되는 산소를 통과시키는 피스톤 오리피스, 및 상기 피스톤의 외주에 형성되며 상기 피스톤에 가해지는 산소 압력 변화에 의해 상기 피스톤이 이동함에 따라 상기 호흡 오리피스와의 중첩 길이가 가변되는 피스톤 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비상호흡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산소용기에 결합되며 산소 유입 및 토출을 위한 유입홀 및 토출홀을 구비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상기 유입홀과 연통하도록 형성되며 호흡 오리피스를 통해 상기 토출홀과 연통되는 삽입홀과,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산소용기의 밀봉부를 관통하는 펀칭기구, 및 상기 펀칭기구에 구비되며 상기 토출홀을 통해 토출되는 산소의 유량을 일정하게 조절하는 유량조절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유량조절유닛은, 상기 펀칭기구의 내부에 형성되며 펀칭부 유로 및 가이드 오리피스를 통해 상기 산소용기와 삽입홀에 각각 연통되는 실린더부와, 상기 실린더부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펀칭부 유로를 통해 상기 실린더부로 유입되는 산소를 통과시키는 피스톤 오리피스, 및 상기 피스톤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피스톤에 가해지는 산소 압력 변화에 의해 상기 피스톤이 이동함에 따라 상기 가이드 오리피스와의 중첩 길이가 가변되는 피스톤 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비상호흡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휴대용 비상호흡장치에 따르면, 상기 피스톤 오리피스는 상기 피스톤의 중앙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휴대용 비상호흡장치에 따르면, 상기 피스톤 유로는 상기 피스톤 외주의 적어도 하나의 개소에 상기 피스톤의 이동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휴대용 비상호흡장치에 따르면, 상기 펀칭기구는 상기 삽입홀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의 하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펀칭부와, 상기 가이드의 상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내부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 결합부, 및 상기 나사 결합부의 상단에 형성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단순한 조작 구조로 인해 누구나 쉽게 조작이 가능하며, 비교적 단순한 형태로 구현된 유량조절유닛을 통해 일정 유량의 산소를 장시간동안 공급할 수 있는 휴대용 비상호흡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용 비상호흡장치의 유량조절유닛을 카트리지 형태로 구현하여 부품 조립 및 교체가 용이하도록 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비상호흡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Ⅱ-Ⅱ 라인을 따라 취한 휴대용 비상호흡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펀칭기구의 정면도 및 저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피스톤의 정면도 및 측면도.
도 5 내지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비상호흡장치의 작동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비상호흡장치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유량조절유닛을 구비하는 비상호흡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비상호흡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 라인을 따라 취한 휴대용 비상호흡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비상호흡장치는 몸체(110), 펀칭기구(120), 유량조절유닛(200)을 포함한다.
몸체(110)는 산소용기(130)에 결합되며, 산소용기(130) 내의 산소를 공급받아 이를 외부로 토출하는 기능을 한다. 몸체(110)에는 산소 유입을 위한 유입홀(160)과, 산소 토출을 위한 토출홀(150)이 구비되며, 유입홀(160)과 토출홀(150)은 몸체(110) 내부의 유로를 통해 서로 연통된다. 유입홀(160)은 산소용기(130)의 입구부를 감싸도록 결합되며, 토출홀(150)에는 마스크나 분사노즐에 연결된 호스 등이 연결될 수 있다.
펀칭기구(120)는 몸체(110)에 형성된 삽입홀(115)에 삽입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산소용기(135)의 밀봉부(135)를 관통하도록 구성된다. 삽입홀(115)은 유입홀(160)과 연통하도록 유입홀(160)의 상부에 형성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펀칭기구(120)가 삽입홀(115) 내를 이동하여 밀봉부(135)를 관통하게 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펀칭기구의 정면도(a) 및 저면도(b)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펀칭기구(120)는 삽입홀(115)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121)와, 가이드(121)의 하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펀칭부(122)를 포함한다. 펀칭부(122)는 가이드(121)보다 작은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펀칭부(122)의 하단에는 산소용기(130)의 밀봉부(135)를 찌르기 위한 팁이 형성된다.
가이드(122)의 상단에는 몸체(110)의 내부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 결합부(125)가 연장 형성된다. 나사 결합부(125)의 수나사산은 몸체(110) 내벽의 암나사산에 결합된다. 나사 결합부(125)의 상단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조작할 수 있도록 손잡이(126)가 형성된다. 사용자가 손잡이(126)를 회전시키면 나사 결합부(125)의 수나사산이 몸체(110)의 암나사산에 대해 상대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펀칭기구(120)가 삽입홀(115) 내에서 직선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사용자가 손잡이(126)를 일정 회전수만큼 회전시키면 펀칭부(122)가 산소용기(130)에 밀봉부(130)까지 도달하여 이를 관통하게 되는 것이다.
펀칭부(122)와 가이드(121)의 외주에는 산소의 이동 공간을 제공하는 펀칭부 유로와(123)와 가이드 유로(124)가 각각 형성된다.
펀칭부 유로(123)는 펀칭부(122의 외주에 적어도 하나의 개소에 일정 깊이만큼 리세스되게 형성되며, 상하 방향(즉, 펀칭기구의 이동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갖도록 형성된다. 도 3은 펀칭부 유로(123)가 펀칭부(122)의 두 개소에 180도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가이드 유로(124)는 가이드(121)의 외주를 따라 형성되며, 삽입홀(115)의 내벽과 가이드(124) 사이에 일정 간격을 형성하여 산소가 삽입홀(115) 내로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한편 가이드(121)의 외주에는 삽입홀(115)의 산소가 손잡이(126) 쪽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오-링(127)이 설치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유량조절유닛(200)은 토출홀(150)을 통해 토출되는 산소의 유량을 일정하게 조절하여 토출 유량이 장시간 동안 일정하게 지속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실린더부(210), 피스톤(220), 피스톤 오리피스(230), 및 피스톤 유로(240)을 포함한다.
실린더부(210)는 몸체(110)의 내부에 일정 공간을 갖도록 형성되며, 연결 오리피스(152) 및 호흡 오리피스(151)를 통해 삽입홀(115)과 토출홀(150)에 각각 연통된다. 실린더부(210)는 몸체(110)를 가공하여 일정 공간의 홀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실린더부(210)가 삽입홀(115)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고, 토출홀(150)이 실린더부(210)의 상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구조가 예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경우 연결 오리피스(152) 및 호흡 오리피스(151)는 각각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피스톤(220)은 실린더부(210)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스프링(250)에 의해 지지된다. 스프링(220)은 압축 스프링의 형태로서, 산소 용기(130)에서 나온 산소가 피스톤(220)에 작용하는 압력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피스톤(220)에 탄성 복원력을 인가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피스톤(220)이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조이며, 이러한 경우 스피링(220)은 연결 오리피스(152)의 반대쪽에서 피스톤(220)을 지지한다. 본 실시예와 같이 실린더부(210)의 단부가 몸체(110) 외부까지 연장된 경우 이를 덮는 커버(14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스피링(220)은 커버(14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피스톤의 정면도(a) 및 측면도(b)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피스톤 오리피스(230)는 피스톤(220)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연결 오리피스(152)를 통해 실린더부(210)로 유입되는 산소를 통과시킨다. 피스톤 오리피스(250)는 피스톤(220)의 중앙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피스톤 유로(240)는 피스톤(220)의 외주에 형성되며, 피스톤(220)에 가해지는 산소 압력 변화에 의해 피스톤(220)이 이동함에 따라 호흡 오리피스(151)와의 중첩 길이가 가변되도록 구성된다. 피스톤 유로(240)는 피스톤(220) 외주의 적어도 하나의 개소에 피스톤(220)의 이동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갖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피스톤 유로(240)가 피스톤(220) 외주의 두 개소에 180도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된 구조가 예시되어 있다.
한편 실린더부(210)의 호흡 오리피스(151)의 위치에 대응된 위치에 리세스부(155)를 추가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리세스부(155)는 실린더부(210)의 내주를 따라 리세스되게 형성된다. 이는 피스톤(220)이 피스톤 유로(240)와 호흡 오리피스(151)가 중첩된 위치에 있는 경우, 피스톤 유로(240)의 위치, 개수에 관계없이 피스톤 유로(240)의 산소를 호흡 오리피스(151)까지 유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실시예는 리세스부(155)의 폭을 호흡 오리피스(151)의 폭보다 넓게 형성한 구조를 예시하고 있으나, 리세스부(155)의 폭은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호흡 오리피스(151)의 폭과 동일한 구조도 가능하다.
이하, 도 5 내지 7을 참조하여 휴대용 비상호흡장치의 작동 상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5 내지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비상호흡장치의 작동 상태도이며, 여기에 점선으로 도시된 화살표는 산소의 이동 경로를 나타내고 있다.
사용자가 펀칭기구(120)의 손잡이(126)을 회전시키면 펀칭기구(120)가 삽입홀(115) 내에서 직선 이동하여 펀칭부(122)가 산소용기(130)의 밀봉부(135)를 관통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산소용기(130) 내의 산소는 펀칭기구(120)의 펀칭부 유로(123)와 가이드 유로(124)를 통해 연결 오리피스(152)로 공급되며, 연결 오리피스(152)를 통과한 산소는 피스톤(220)에 압력을 가하여 피스톤(220)을 이동시키게 된다. 이 과정에서 산소는 피스톤(220)의 피스톤 오리피스(230)와 피스톤 유로(240)를 통해 피스톤(220)을 통과한다.
도 5와 같이, 비상호흡장치의 작동 초기(즉, 산소의 압력이 가장 강한 시기)에 피스톤(220)은 호흡 오리피스(151) 전체와 중첩되도록 구성된다. {참고로, 본 실시예와 같이 리세스부(155)를 호흡 오리피스(151)의 폭보다 크게 형성한 경우 피스톤(220)은 리세스부(155)의 전체와 중첩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경우 피스톤 유로(240)가 호흡 오리피스(151)과 중첩되는 길이는 호흡 오리피스(151)의 전체 폭이 되며, 산소가 호흡 오리피스(151)로 공급되는 경로는 오직 피스톤 유로(240)의 전후방 개구를 통해서만이 가능하다.
비상호흡장치의 작동 이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피스톤(220)에 가해지는 산소의 압력이 약화되며, 그에 따라 피스톤(220)은 스프링(25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도 6과 같이 이동한다. 도 6은 호흡 오리피스(151)의 일부가 피스톤 유로(240)와 중첩된 것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 때에는 산소가 피스톤 유로(240)의 전후방 개구를 거치지 않고도 호흡 오리피스(151)로 공급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피스톤 유로(240)와 호흡 오리피스(151) 사이의 중첩 길이가 점차적으로 짧아짐에 따라 산소가 통과하는 유로 단면적이 점차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도 7은 피스톤(220)에 가해지는 산소 압력이 매우 약화되어 피스톤(220)이 호흡 오리피스(151)와의 중첩 상태를 벗어난 위치로 이동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경우 피스톤 유로(240)는 호흡 오리피스(151)와 중첩되지 않아 호흡 오리피스(151)의 개방 면적이 최대가 된다. 이로써 산소가 통과하는 유로 단면적을 최대화시키는 효과를 일으키게 된다.
이상의 도 5 내지 7에 이르는 과정과 같이 피스톤(220)에 가해지는 산소 압력이 점차적으로 약화됨에 따라 유로 단면적이 그와 반대로 점차적으로 증가할 수 있게 함으로써, 호흡 오리피스(151)를 통해 토출되는 산소 유량을 일정하게 지속시킬 있게 되며, 그에 따라 동일 용량 산소 용기 사용시 산소 공급 시간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비상호흡장치의 단면도이다. 참고로 본 도면에서는 산소용기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본 실시예의 휴대용 비상호흡장치는 그 작동 원리에 있어 앞선 실시예와 동일하나, 본 실시예는 유량조절유닛(200')을 펀칭기구(120)에 내장한 카트리지 형태로 구성한 점에 있어 앞선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의 휴대용 비상호흡장치는 앞선 실시예와 달리 실린더부(210)가 몸체(110)에 형성되지 않고 펀칭기구(120) 내에 형성되며, 피스톤(220) 및 스프링(250)이 펀칭기구(120)에 내장된 구성을 갖는다.
삽입홀(115)이 유입홀(160)의 상부에 연결된 구조는 앞선 실시예와 동일하나, 토출홀(150)은 앞선 실시예와 달리 호흡 오리피스(151)를 통해 삽입홀(115)과 직접적으로 연통된다.
실린더부(210)는 펀칭부 유로(123) 및 가이드 오리피스(128)를 통해 산소용기(130, 펀칭부 관통시)와 삽입홀(115)에 각각 연통된다. 실린더부(210)는 가이드(121)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펀칭부 유로(123)는 펀칭부(122)의 팁 부위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가이드 오리피스(128)는 가이드(121)의 측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유량조절유닛(200')을 펀칭기구(120) 내에 내장할 수 있도록 가이드(121)와 나사 결합부(125)가 나사 체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피스톤(220)는 앞선 실시예와 달리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치된 차이가 있으나, 피스톤 오리피스(230) 및 피스톤 유로(240)의 구성은 앞선 실시예와 동일하다. 피스톤 오리피스(230)는 펀칭부 유로(123)를 통해 실린더부(210)로 유입되는 산소를 통과시키며, 피스톤 유로(240)는 피스톤(220)에 가해지는 산소 압력 변화에 의해 피스톤(220)이 이동함에 따라 가이드 오리피스와(128)의 중첩 길이가 가변되도록 구성된다. 이 때 리세스부(151)는 가이드 오리피스(128)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실린더부(210)의 내주를 따라 리세스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비상호흡장치의 작동 상태는 앞선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앞선 설명에 갈음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의 휴대용 비상호흡장치는 유량조절유닛(200')을 펀칭기구(120)에 내장한 카트리지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조립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장치 전체를 분해할 필요없이 펀칭기구(120)만 분리하여 수리 또는 부품 교체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유량조절유닛을 구비하는 휴대용 비상호흡장치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10)

  1. 산소용기에 결합되며, 산소 유입 및 토출을 위한 유입홀 및 토출홀을 구비하는 몸체;
    상기 유입홀과 연통하도록 형성된 삽입홀에 삽입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산소용기의 밀봉부를 관통하는 펀칭기구; 및
    상기 토출홀을 통해 토출되는 산소의 유량을 일정하게 조절하는 유량조절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유량조절유닛은,
    상기 몸체의 내부에 형성되며, 연결 오리피스 및 호흡 오리피스를 통해 상기 삽입홀과 토출홀에 각각 연통되는 실린더부;
    상기 실린더부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연결 오리피스를 통해 상기 실린더부로 유입되는 산소를 통과시키는 피스톤 오리피스; 및
    상기 피스톤의 외주에 형성되며, 상기 피스톤에 가해지는 산소 압력 변화에 의해 상기 피스톤이 이동함에 따라 상기 호흡 오리피스와의 중첩 길이가 가변되는 피스톤 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유량조절유닛은 상기 펀칭기구의 작동 이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상기 피스톤 유로와 호흡 오리피스 사이의 중첩 길이가 점차 짧아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비상호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펀칭기구는,
    상기 삽입홀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 및
    상기 가이드의 하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펀칭부를 포함하고,
    상기 펀칭부와 가이드의 외주에는 산소의 이동 공간을 제공하는 펀칭부 유로와 가이드 유로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비상호흡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펀칭기구는,
    상기 가이드의 상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내부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 결합부; 및
    상기 나사 결합부의 상단에 형성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비상호흡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흡 오리피스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상기 실린더부의 내주를 따라 리세스되게 형성되는 리세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비상호흡장치.
  5. 산소용기에 결합되며, 산소 유입 및 토출을 위한 유입홀 및 토출홀을 구비하는 몸체;
    상기 몸체에 상기 유입홀과 연통하도록 형성되며, 호흡 오리피스를 통해 상기 토출홀과 연통되는 삽입홀;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산소용기의 밀봉부를 관통하는 펀칭기구; 및
    상기 펀칭기구에 구비되며, 상기 토출홀을 통해 토출되는 산소의 유량을 일정하게 조절하는 유량조절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유량조절유닛은,
    상기 펀칭기구의 내부에 형성되며, 펀칭부 유로 및 가이드 오리피스를 통해 상기 산소용기와 삽입홀에 각각 연통되는 실린더부;
    상기 실린더부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펀칭부 유로를 통해 상기 실린더부로 유입되는 산소를 통과시키는 피스톤 오리피스; 및
    상기 피스톤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피스톤에 가해지는 산소 압력 변화에 의해 상기 피스톤이 이동함에 따라 상기 가이드 오리피스와의 중첩 길이가 가변되는 피스톤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유량조절유닛은 상기 펀칭기구의 작동 이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상기 피스톤 유로와 가이드 오리피스 사이의 중첩 길이가 점차 짧아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비상호흡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펀칭기구는,
    상기 삽입홀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의 하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펀칭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부는 상기 가이드의 내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비상호흡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펀칭부 유로는 상기 펀칭부의 팁 부위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오리피스는 상기 가이드의 측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비상호흡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오리피스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상기 실린더부의 내주를 따라 리세스되게 형성되는 리세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비상호흡장치.
  9.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오리피스는 상기 피스톤의 중앙 영역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비상호흡장치.
  10.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유로는 상기 피스톤 외주의 적어도 하나의 개소에 상기 피스톤의 이동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비상호흡장치.
KR1020140126574A 2014-09-23 2014-09-23 유량조절유닛을 구비하는 휴대용 비상호흡장치 KR1016515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6574A KR101651511B1 (ko) 2014-09-23 2014-09-23 유량조절유닛을 구비하는 휴대용 비상호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6574A KR101651511B1 (ko) 2014-09-23 2014-09-23 유량조절유닛을 구비하는 휴대용 비상호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5241A KR20160035241A (ko) 2016-03-31
KR101651511B1 true KR101651511B1 (ko) 2016-08-29

Family

ID=55651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6574A KR101651511B1 (ko) 2014-09-23 2014-09-23 유량조절유닛을 구비하는 휴대용 비상호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15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7932B1 (ko) * 2019-03-27 2020-05-07 최영필 공기 호흡기용 기체 저장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3885B1 (ko) * 2022-03-03 2024-04-03 (주)에스엘메디케어 미세 유량 조절이 가능한 산소 발생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8192Y1 (ko) * 2003-10-08 2004-01-13 코리아세이프티닷컴(주) 비상용 산소호흡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1369B1 (ko) * 1993-02-12 1996-08-22 김종기 가정용 산소 호흡장치
KR101393686B1 (ko) 2013-07-31 2014-05-13 주식회사 헬스앤드림 스위칭 마스크 및 호흡수단이 구비된 긴급구조용 호흡장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8192Y1 (ko) * 2003-10-08 2004-01-13 코리아세이프티닷컴(주) 비상용 산소호흡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7932B1 (ko) * 2019-03-27 2020-05-07 최영필 공기 호흡기용 기체 저장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5241A (ko) 2016-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4697B1 (ko) 자동 유량 조절형 비상용 산소호흡기
MY168323A (en) Autonomous fluid control assembly having a movable, density-driven diverter for directing fluid flow in a fluid control system
MY164059A (en) Tubular embedded nozzle assembly for controlling the flow rate of fluids downhole
ITUB20150884A1 (it) Dispositivo regolatore di pressione per un liquido
WO2011148244A3 (es) Válvula reguladora automática de flujo
KR101651511B1 (ko) 유량조절유닛을 구비하는 휴대용 비상호흡장치
EP2565505A4 (en) FLUID CONTROL VALVE ASSEMBLY
MX2022005657A (es) Valvulas de control de caudal accionadas por presion.
KR101015188B1 (ko) 휴대용 소화기의 압력공급용 밸브
KR20170001137A (ko) 소방관창
US9266125B2 (en) Nozzle with combination presure-relief and cooling valve
EP3292890A8 (en) Dry alarm valve assembly for controlling a sprinkler firefighting system
US11241596B2 (en) Breathing mask and flushing arrangement for a breathing mask
KR101632688B1 (ko) 고압가스용기의 감압밸브
RU175400U1 (ru) Устройство пожаротушения
JP2006519668A (ja) 呼吸システムおよびその使用方法
KR101234989B1 (ko) 수격 및 서징 제어용 소화펌프 자동기동장치
KR101433643B1 (ko) 소방용 감압 밸브
WO2017178780A3 (en) Pressure regulator for automatic dispenser
EP1007157B1 (en) Valve unit of a totally protective clothing
JP2013075156A (ja) 開閉弁ユニット
KR20130000488A (ko) 산소 공급식 마스크
RU108983U1 (ru) Запорно-пуск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шахтного пожарного крана
KR200458779Y1 (ko) 소방 방수장치
MX2018008904A (es) Regulacion de flujo y presion hibrid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