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8825B1 - 전동차 영상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전동차 영상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8825B1
KR101888825B1 KR1020160133537A KR20160133537A KR101888825B1 KR 101888825 B1 KR101888825 B1 KR 101888825B1 KR 1020160133537 A KR1020160133537 A KR 1020160133537A KR 20160133537 A KR20160133537 A KR 20160133537A KR 101888825 B1 KR101888825 B1 KR 1018888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display device
image
video signal
distribu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3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1412A (ko
Inventor
정원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브릿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브릿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브릿지
Priority to KR1020160133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8825B1/ko
Publication of KR20180041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14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8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88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22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located in transportation means, e.g. personal vehi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61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local area broadcast, e.g. instore broadcast
    • H04H20/62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local area broadcast, e.g. instore broadcast for transportation systems, e.g. in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vertisement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차의 영상 제어에 있어서, 특히 광고와 객실안내를 영상으로 표시하는 영상표시기의 고장 발생 시에도 객실안내 영상이 중단없이 표시되도록 해주는 전동차 영상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광고영상을 출력하는 제1디스플레이기기와 운행관련 안내영상을 출력하는 제2디스플레이기기로 각각 구성되는 다수의 영상출력부; 제1영상서버 또는 제2영상서버로부터 수신되는 광고영상신호와 운행관련 안내영상신호를 상기 다수의 영상출력부에 각각 구비되는 제1디스플레이기기와 제2디스플레이기기로 분배하는 영상분배기; 및 상기 영상분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를 포함하되, 상기 영상분배기는 상기 다수의 영상출력부에 각각 구비되는 제1디스플레이기기와 제2디스플레이기기의 동작 상태를 체크하고, 상기 동작 상태의 체크 결과로부터 제1디스플레이기기와 제2디스플레이기기로의 영상신호 분배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특징인 발명이다.

Description

전동차 영상 제어 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video in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전동차의 영상 제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광고와 객실안내를 영상으로 표시하는 영상표시기의 고장 발생 시에도 객실안내 영상이 중단없이 표시되도록 해주는 전동차 영상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동차 객실에는 LCD나 LED와 같은 디스플레이기기를 포함하는 영상출력기가 구비되어 있다.
영상출력기는 일반적으로 2개의 디스플레이기기가 1조를 이루어 구비되는데, 하나의 디스플레이기기는 일반적인 광고영상을 표시하고, 다른 디스플레이기기는 행선지나 정차역이나 개폐도어 등 전동차 운행관련 객실안내영상을 표시한다.
전측 차량(TC1) 또는 후측 차량(TC2)에 구비되는 영상서버는 광고영상신호와 운행관련 객실안내영상신호를 영상분배기로 전송하며, 영상분배기는 수신된 영상신호를 영상출력기의 각 디스플레이기기로 분배한다.
승객의 편의를 위해 전동차 운행관련 객실안내영상은 중단없이 표시되어야 하는데, 종래 기술에서는 운행관련 객실안내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기기기가 오작동하거나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 대비하는 기술이 없었다.
즉, 1조를 이루는 2개의 디스플레이기기 중 운행관련 객실안내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기기가 고장나거나 오작동하는 경우에는 해당 디스플레이기기를 통해 안내하는 영역에 위치한 승객들은 객실안내영상을 전혀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에 따라, 승객에게 많은 불편을 초래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특히 운행관련 객실안내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기기가 고장나거나 오작동하는 경우에도 승객들에게 객실안내영상을 중단없이 제공해주는 전동차 영상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차 영상 제어 장치의 특징은, 광고영상을 출력하는 제1디스플레이기기와 운행관련 안내영상을 출력하는 제2디스플레이기기로 각각 구성되는 다수의 영상출력부; 제1영상서버 또는 제2영상서버로부터 수신되는 광고영상신호와 운행관련 안내영상신호를 상기 다수의 영상출력부에 각각 구비되는 제1디스플레이기기와 제2디스플레이기기로 분배하는 영상분배기; 및 상기 영상분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를 포함하되, 상기 영상분배기는 상기 다수의 영상출력부에 각각 구비되는 제1디스플레이기기와 제2디스플레이기기의 동작 상태를 체크하고, 상기 동작 상태의 체크 결과로부터 제1디스플레이기기와 제2디스플레이기기로의 영상신호 분배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영상분배기는 송수신기와, 제어기와, 영상신호 라우터를 구비하되, 상기 송수신기는 상기 다수의 영상출력부와 통신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송수신기를 이용한 통신으로써 상기 다수의 영상출력부에 각각 구비되는 제1디스플레이기기와 제2디스플레이기기의 동작 상태를 체크하고, 상기 영상신호 라우터는 상기 제어기를 이용한 동작 상태의 체크 결과가 정상인 경우에, 상기 제1영상서버 또는 상기 제2영상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광고영상신호를 상기 다수의 영상출력부에 각각 구비되는 제1디스플레이기기로 분배하고, 상기 제1영상서버 또는 상기 제2영상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운행관련 안내영상신호를 상기 다수의 영상출력부에 각각 구비되는 제2디스플레이기기로 분배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영상신호 라우터는 상기 제어기를 이용한 동작 상태의 체크 결과가 비정상인 경우에, 상기 제1영상서버 또는 상기 제2영상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광고영상신호와 상기 운행관련 안내영상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정상 동작하는 디스플레이기기로 분배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영상신호 라우터는 상기 제어기를 이용한 동작 상태의 체크 결과에서 상기 다수의 영상출력부 중 제1영상출력부에 구비되는 제2디스플레이기기가 비정상인 경우에, 상기 제1영상서버 또는 상기 제2영상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운행관련 안내영상신호를 상기 제1영상출력부에 구비되는 제1디스플레이기기로 분배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영상신호 라우터는 상기 제어기를 이용한 동작 상태의 체크 결과에서 상기 다수의 영상출력부 중 제1영상출력부에 구비되는 제2디스플레이기기가 비정상인 경우에, 상기 제1영상서버 또는 상기 제2영상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광고영상신호와 상기 운행관련 안내영상신호를 상기 제1영상출력부에 구비되는 제1디스플레이기기에 분배하되, 상기 제1영상출력부에 구비되는 제1디스플레이기기는 상기 광고영상신호와 상기 운행관련 안내영상신호를 동시에 출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원공급부는 교류전원을 공급하는 교류전원회로와,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직류전원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교류전원회로의 절체 시에 상기 직류전원회로를 통해 상기 영상분배기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UART를 통한 통신을 통해 영상출력부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기기들의 동작 상태를 체크할 수 있고, 또한 동작 상태의 체크 결과에 따라 영상신호의 분배를 제어하여 운행관련 안내영상신호가 중단 없이 출력되도록 해준다.
따라서, 1조를 이루는 2개의 디스플레이기기 중 운행관련 객실안내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기기가 고장나거나 오작동하는 경우에도 승객들은 광고영상을 표시하던 디스플레이기기를 통해 운행관련 객실안내영상을 제공 받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기기의 고장 또는 오작동으로 인한 승객들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전원의 이중화 처리가 가능하여 시스템의 무중단 운영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동차 영상 제어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블록다이어그램;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동차 영상 제어 장치에서 영상분배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다이어그램;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동차 영상 제어 장치에서 입력 전원의 이중화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다이어그램;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동차 영상 제어 장치가 디스플레이기기의 동작 상태에 따라 영상신호의 분배를 제어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과 그 작용을 설명하며,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상기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동차 영상 제어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동차 영상 제어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블록다이어그램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동차 영상 제어 장치에서 영상분배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본 발명의 전동차 영상 제어 장치는 전동차를 구성하는 하나의 차량에 장착되는 것일 수 있으나 도 1은 광커넥터(800)와 같은 연결 수단을 통해 연결되는 다른 차량 및 영상신호를 각 차량에 전송하는 영상서버(600,610)까지 도시한 것이다.
즉, 전동차의 한 차량에 장착되는 본 발명의 전동차 영상 제어 장치는 광고영상을 표시하는 제1디스플레이기기들(110,210,310,410)과 운행관련 안내영상을 표시하는 제2디스플레이기기들(120,220,320,420)을 포함하는 제1 내지 4 영상출력부(100,200,300,400), 제1 내지 4 영상출력부(100,200,300,400)에 영상신호를 분배하는 영상분배기(500), 그리고 영상분배기(5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700)로 구성된다. 전동차를 구성하는 다른 차량도 영상출력부(미도시)와 영상분배기(510)와 전원공급부(710)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영상서버(600,610)는 전측 차량(TC1) 또는 후측 차량(TC2)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영상서버(600,610)는 영상분배기(500,510)로 광고영상신호와 운행관련 안내영상신호를 전송한다. 따라서, 도 1은 본 발명의 장치가 전측 차량(TC1)과 후측 차량(TC2)에 각각 구비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영상서버(600,610)와 영상분배기(500,510) 간의 연결과 광 커넥터(800)를 통한 영상분배기(500,510) 간의 연결은 광 케이블을 사용한다.
영상서버(600,610)는 영상신호를 SDI 규격으로 컨버팅하여 광 케이블을 통해 영상분배기(500)로 전송한다.
하나의 차량에서 영상분배기(500)와 제1 내지 4 영상출력부(100,200,300,400) 간에는 STP 케이블과 같은 차폐 케이블이나 랜 케이블로 연결된다.
제1 내지 4 영상출력부(100,200,300,400)는 각각 2개의 디스플레이기기가 1조를 이루어 구비된다. 예를 들면, 제1영상출력부(100)는 광고영상을 출력하는 제1디스플레이기기(110)와 운행관련 안내영상을 출력하는 제2디스플레이기기(120)로 구성된다.
영상분배기(500)는 영상서버(600 또는 610)로부터 수신되는 광고영상신호와 운행관련 안내영상신호를 제1 내지 4 영상출력부(100,200,300,400)에 각각 구비되는 제1디스플레이기기들(110,210,310,410)과 제2디스플레이기기들(120,220,320,420)로 분배한다. 일 예로, 영상분배기(500)로 수신되는 영상신호는 SDI 규격으로 컨버팅된 신호로써, 영상분배기(500)는 SDI 규격의 영상신호를 HDMI 신호로 변환하여 제1 내지 4 영상출력부(100,200,300,400)로 분배한다. HDMI 신호는 무압축된 상태로 전술된 케이블을 통해 분배된다.
한편, 영상서버(600)를 구비하는 전측 차량(TC1)에서 영상분배기(500)는 영상서버(600)로부터 전송된 영상신호를 우선하여 제1 내지 4 영상출력부(100,200,300,400)로 분배한다. 그런데 전측 차량(TC1)의 영상서버(600)로부터 전송된 영상신호가 손실되어 영상분배기(500)가 영상신호를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에, 영상분배기(500)는 자동으로 후측 차량(TC2)의 영상서버(610)로부터 전송된 영상신호를 제1 내지 4 영상출력부(100,200,300,400)로 분배한다.
영상분배기(500)는 제1 내지 4 영상출력부(100,200,300,400)에 구비되는 제1디스플레이기기들(110,210,310,410)과 제2디스플레이기기들(120,220,320,420)의 동작 상태를 체크하고, 동작 상태의 체크 결과로부터 제1디스플레이기기들(110,210,310,410)과 제2디스플레이기기들(120,220,320,420)로의 영상신호 분배 여부를 결정한다.
이를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분배기(500)는 영상신호 라우터(501)와 송수신기(502)와 제어기(503)를 구비한다.
송수신기(502)는 제1 내지 4 영상출력부(100,200,300,400)와 통신하는데, 송수신기(502)의 통신을 통해 제1 내지 4 영상출력부(100,200,300,400)에 구비되는 제1디스플레이기기들(110,210,310,410)과 제2디스플레이기기들(120,220,320,420)의 동작 상태 및 영상 출력 유무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송수신기(502)는 UART일 수 있으며, 제어기(503)와 연동하여 디스플레이기기 동작 상태 및 영상 출력 유무 상태의 체크를 지원한다.
즉, 제어기(503)는 송수신기(502)를 이용한 통신으로써 제1 내지 4 영상출력부(100,200,300,400)에 구비되는 제1디스플레이기기들(110,210,310,410)과 제2디스플레이기기들(120,220,320,420)의 동작 상태를 체크한다.
영상신호 라우터(501)는 제어기(503)를 이용한 동작 상태의 체크 결과에 따라 영상서버(600 또는 61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분배한다. 영상신호 라우터(501)는 제1 내지 8채널을 구성하여 영상신호를 분배하며, I2C를 설정하여 출력 채널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여, 하나의 영상신호에 대해 8개 채널로의 분배 및 출력 방향 제어가 가능하다.
상세하게, 영상신호 라우터(501)는 제어기(503)를 이용한 동작 상태의 체크 결과가 정상인 경우에, 영상서버(600 또는 610)로부터 수신되는 광고영상신호를 제1 내지 4 영상출력부(100,200,300,400)에 구비되는 제1디스플레이기기들(110,210,310,410)에 분배하고, 또한 영상서버(600 또는 610)로부터 수신되는 운행관련 안내영상신호를 제1 내지 4 영상출력부(100,200,300,400)에 구비되는 제2디스플레이기기들(120,220,320,420)에 분배한다.
반면에, 영상신호 라우터(501)는 제어기(503)를 이용한 동작 상태의 체크 결과가 비정상인 경우에, 영상서버(600 또는 610)로부터 수신되는 광고영상신호와 운행관련 안내영상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정상 동작하는 디스플레이기기로 분배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동차 영상 제어 장치에서 입력 전원의 이중화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다이어그램으로, 영상분배기(5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700)는 교류전원을 공급하는 교류전원회로(710)와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직류전원회로(720)를 포함하여, 입력 전원의 이중화 처리를 지원한다.
교류전원회로(710)의 절체 시에 직류전원회로(720)를 통해 영상분배기(500)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서, 직류전원회로(720)는 전원 백업용 콘덴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동차 영상 제어 장치는 영상분배기(500)로의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공급부(700) 이외에도 제1 내지 4 영상출력부(100,200,300,4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회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동차 영상 제어 장치가 디스플레이기기의 동작 상태에 따라 영상신호의 분배를 제어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내지 4 영상출력부(100,200,300,400) 중에서 제1영상출력부(100)에 구비되는 제2디스플레이기기(120)가 고장인 경우를 가정하면, 영상신호 라우터(501)는 영상서버(600 또는 610)로부터 수신한 광고영상신호를 제1영상출력부(100)에 구비되는 제1디스플레이기기(110)에 분배하지 않고, 그 제1디스플레이기기(110)에 운행관련 안내영상신호를 분배한다. 그에 따라, 제1디스플레이기기(110)는 광고영상이 아닌 운행관련 안내영상을 표시한다.
제1 내지 4 영상출력부(100,200,300,400)에 구비되는 제1디스플레이기기들(110,210,310,410)과 제2디스플레이기기들(120,220,320,420) 중 어느 하나의 동작이 비정상인 경우에, 정상 동작하는 디스플레이기기에 운행관련 안내영상신호를 분배하여 출력시키는 방식에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
- 제1 방식 -
제1영상출력부(100)에 구비되는 제1디스플레이기기(110)가 고장인 경우에는 영상신호 분배를 전환하지 않고 제2디스플레이기기(120)를 통해 운행관련 안내영상신호만 출력하면 된다. 그러나, 제1영상출력부(100)에 구비되는 제2디스플레이기기(120)가 고장인 경우에는 운행관련 안내영상신호가 광고영상신호에 우선하여 출력되어야 하기 때문에, 운행관련 안내영상신호의 분배를 제1디스플레이기기(110)로 전환하여 제1디스플레이기기(110)를 통해 운행관련 안내영상신호를 출력시킬 수 있다.
- 제2 방식 -
제1영상출력부(100)에 구비되는 제1디스플레이기기(110) 또는 제2디스플레이기기(120)가 고장인 경우에, 제1영상출력부(100)에 구비되는 제1디스플레이기기(110)나 제2디스플레이기기(120)에 상관없이 정상 동작하는 디스플레이기기로 광고영상신호와 운행관련 안내영상신호를 동시에 출력시킬 수 있다.
정상 동작하는 디스플레이기기를 통해 광고영상신호와 운행관련 안내영상신호의 동시 출력 방식은, 운행관련 안내영상신호에서 안내 텍스트를 추출하여 광고영상신호에 오버랩핑시키는 방식과, 제1디스플레이기기(110) 또는 제2디스플레이기기(120) 중 정상 동작하는 디스플레이기기의 화면을 분할하여 광고영상신호와 운행관련 안내영상신호를 분할된 화면을 통해 각각 동시 출력시키는 방식일 수 있다.
한편, 영상분배기(500)의 영상신호 라우터(501)는 비정상 동작하는 디스플레이기기를 포함하는 제1영상출력부(100)에 대해서만 영상신호의 분배를 전환하고, 나머지 제2 내지 4 영상출력부(200,300,400)에 대해서는 정상적으로 광고영상신호를 제1디스플레이기기들(210,310,410)로 분배하고 운행관련 안내영상신호를 제2디스플레이기기들(220,320,420)로 분배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전동차 영상 제어 장치는 제1영상출력부(100)에 구비되는 제2디스플레이기기(120)가 비정상 동작하여 운행관련 안내영상신호를 출력할 수 없기 때문에, 영상신호 라우터(501)를 통해 운행관련 안내영상신호를 제1디스플레이기기(110)로 분배하며, 제1디스플레이기기(110)로의 광고영상신호의 분배는 차단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여기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200,300,400: 영상출력부
110,210,310,410: 제1디스플레이기기
120,220,320,420: 제2디스플레이기기
500,510: 영상분배기
600,610: 영상서버
700,710: 전원공급부

Claims (6)

  1. 광고영상을 출력하는 제1디스플레이기기와 운행관련 안내영상을 출력하는 제2디스플레이기기로 각각 구성되는 제1영상출력부들과, 제1영상서버 또는 제2영상서버에서 SDI 규격으로 컨버팅된 후 수신되는 광고영상신호와 운행관련 안내영상신호를 상기 제1영상출력부들에 각각 구비되는 제1디스플레이기기와 제2디스플레이기기로 분배하는 제1영상분배기와, 교류전원을 공급하는 제1교류전원회로와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제1직류전원회로를 구비하여 상기 제1영상분배기에 전원을 공급하되 상기 제1교류전원회로의 절체 시에 상기 제1직류전원회로만을 통해 상기 제1영상분배기로 전원을 공급하는 제1전원공급부를 포함하며, 전동차를 구성하는 제1차량에 구비되는 제1장치;
    광고영상을 출력하는 제3디스플레이기기와 운행관련 안내영상을 출력하는 제4디스플레이기기로 각각 구성되는 제2영상출력부들과, 상기 제1영상서버 또는 상기 제2영상서버에서 에서 SDI 규격으로 컨버팅된 후 수신되는 광고영상신호와 운행관련 안내영상신호를 상기 제2영상출력부들에 각각 구비되는 제3디스플레이기기와 제4디스플레이기기로 분배하는 제2영상분배기와, 교류전원을 공급하는 제2교류전원회로와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제2직류전원회로를 구비하여 상기 제2영상분배기에 전원을 공급하되 상기 제2교류전원회로의 절체 시에 상기 제2직류전원회로만을 통해 상기 제2영상분배기로 전원을 공급하는 제2전원공급부를 포함하며, 전동차를 구성하는 제2차량에 구비되는 제2장치; 그리고
    상기 제1장치의 제1영상분배기와 상기 제2장치의 제2영상분배기 간을 연결하는 광커넥터로 구성되되,
    상기 제1영상분배기는 상기 제1영상출력부들과 통신하는 제1송수신기와, 상기 제1송수신기를 이용한 통신으로써 상기 제1영상출력부들에 각각 구비되는 제1디스플레이기기와 제2디스플레이기기의 동작 상태를 체크하는 제1제어기와, 상기 제1제어기를 이용한 동작 상태의 체크 결과가 정상인 경우에 상기 제1영상서버 또는 상기 제2영상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광고영상신호를 상기 제1영상출력부들에 각각 구비되는 제1디스플레이기기로 분배하고, 상기 제1영상서버 또는 상기 제2영상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운행관련 안내영상신호를 상기 제1영상출력부들에 각각 구비되는 제2디스플레이기기로 분배하는 제1 영상신호 라우터를 구비하되, 상기 제1 영상신호 라우터는 상기 제1제어기를 이용한 동작 상태의 체크 결과에서 상기 제1영상출력부들 중 하나인 제a영상출력부에 구비되는 제2디스플레이기기가 비정상인 경우에, 상기 제1영상서버 또는 상기 제2영상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운행관련 안내영상신호만을 상기 제a영상출력부에 구비되는 제1디스플레이기기로 분배하거나, 상기 제a영상출력부에 구비되는 제1디스플레이기기가 화면을 분할하여 상기 광고영상신호와 상기 운행관련 안내영상신호를 분할된 화면을 통해 각각 동시에 출력하도록 상기 제1영상서버 또는 상기 제2영상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광고영상신호와 상기 운행관련 안내영상신호를 상기 제a영상출력부에 구비되는 제1디스플레이기기에 분배하고,
    상기 제2영상분배기는 상기 제2영상출력부들과 통신하는 제2송수신기와, 상기 제2송수신기를 이용한 통신으로써 상기 제2영상출력부들에 각각 구비되는 제3디스플레이기기와 제4디스플레이기기의 동작 상태를 체크하는 제2제어기와, 상기 제2제어기를 이용한 동작 상태의 체크 결과가 정상인 경우에 상기 제1영상서버 또는 상기 제2영상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광고영상신호를 상기 제2영상출력부들에 각각 구비되는 제3디스플레이기기로 분배하고, 상기 제1영상서버 또는 상기 제2영상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운행관련 안내영상신호를 상기 제2영상출력부들에 각각 구비되는 제4디스플레이기기로 분배하는 제2 영상신호 라우터를 구비하되, 상기 제2 영상신호 라우터는 상기 제2제어기를 이용한 동작 상태의 체크 결과에서 상기 제2영상출력부들 중 하나인 제b영상출력부에 구비되는 제4디스플레이기기가 비정상인 경우에, 상기 제1영상서버 또는 상기 제2영상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운행관련 안내영상신호만을 상기 제b영상출력부에 구비되는 제3디스플레이기기로 분배하거나, 상기 제b영상출력부에 구비되는 제3디스플레이기기가 화면을 분할하여 상기 광고영상신호와 상기 운행관련 안내영상신호를 분할된 화면을 통해 각각 동시에 출력하도록 상기 제1영상서버 또는 상기 제2영상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광고영상신호와 상기 운행관련 안내영상신호를 상기 제b영상출력부에 구비되는 제3디스플레이기기에 분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 영상 제어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60133537A 2016-10-14 2016-10-14 전동차 영상 제어 장치 KR1018888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3537A KR101888825B1 (ko) 2016-10-14 2016-10-14 전동차 영상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3537A KR101888825B1 (ko) 2016-10-14 2016-10-14 전동차 영상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1412A KR20180041412A (ko) 2018-04-24
KR101888825B1 true KR101888825B1 (ko) 2018-08-16

Family

ID=62085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3537A KR101888825B1 (ko) 2016-10-14 2016-10-14 전동차 영상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882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84569B1 (ja) * 2010-12-13 2012-02-29 三菱電機株式会社 車両内情報表示システムおよび案内情報処理方法
JP2013003420A (ja) * 2011-06-20 2013-01-07 Mitsubishi Electric Corp マルチ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0977B1 (ko) * 2006-12-14 2008-06-24 주식회사 한터기술 전동차량의 동영상 통합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84569B1 (ja) * 2010-12-13 2012-02-29 三菱電機株式会社 車両内情報表示システムおよび案内情報処理方法
JP2013003420A (ja) * 2011-06-20 2013-01-07 Mitsubishi Electric Corp マルチ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1412A (ko) 2018-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7035739A2 (en) Fiber-to-the-seat in-flight entertainment system
KR101644757B1 (ko) 다중화 영상신호와 모듈 구동신호의 양방향 전송 이중화 전광판
US20100289963A1 (en) Display Device for Aircraft Cockpit and Method for Managing a Video Data Network
US8976079B2 (en) Smart dual display system
US20190308744A1 (en) Monitoring System For The Cabin Of An Aircraft, Data Distribution Apparatus And Aircraft
US20010023499A1 (en) Airborne passenger service system
WO2013128585A1 (ja) 車両内情報表示システムおよび電力供給方法
EP3131232B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power over data lines
US10669027B2 (en) Cabin management system, aircraft or spacecraft having a cabi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KR100840977B1 (ko) 전동차량의 동영상 통합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88825B1 (ko) 전동차 영상 제어 장치
WO2012081075A1 (ja) 車両内情報表示システムおよび案内情報処理方法
KR102569633B1 (ko) 장애 발생 시 자동 절체 기능이 내장된 엘이디 전광판
KR102468126B1 (ko) 고성능 제어 기능 분리형 승강장 안전문 개별제어반
CN108238065B (zh) 基于轨道交通的计算机平台
KR101932480B1 (ko) 차량용 can 통신 장치
KR101611858B1 (ko) 궤도차량 시스템 모니터링 장치
US20170001583A1 (en) System for electrically connecting cabin equipment of an aircraft to a control system and to at least one electrical power supply source of the aircraft
EP4026721A1 (en) Vehicle information control system
KR20100124919A (ko) 전동차량 객실 lcd패널의 개문방향표시 제어시스템
EP3118052B1 (en) Train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KR101618425B1 (ko) 철도차량 광통신 시스템
US10320909B2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appliances aboard a vehicle
KR20190073224A (ko) 잠수함 축전지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1016861B1 (ko) 멀티 비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