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8484B1 - 하향식 인발기 - Google Patents

하향식 인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8484B1
KR101888484B1 KR1020180001335A KR20180001335A KR101888484B1 KR 101888484 B1 KR101888484 B1 KR 101888484B1 KR 1020180001335 A KR1020180001335 A KR 1020180001335A KR 20180001335 A KR20180001335 A KR 20180001335A KR 101888484 B1 KR101888484 B1 KR 1018884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winding
drum
plat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1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종균
Original Assignee
(주)에스엘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엘테크 filed Critical (주)에스엘테크
Priority to KR1020180001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84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8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84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02Winding-up or coiling
    • B21C47/04Winding-up or coiling on or in reels or drums, without using a moving guide
    • B21C47/045Winding-up or coiling on or in reels or drums, without using a moving guide in rotating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1/00Manufacture of metal sheets, metal wire, metal rods, metal tubes by dra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26Special arrangements with regard to simultaneous or subsequent treatment of th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34Feeding or guiding devic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articular type of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oring, Repeated Paying-Out, And Re-Storing Of Elongat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이프를 인발가공하여 권취하는 인발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와, 인발수단 및 인발된 파이프를 회전시켜 감아서 회수하는 권취수단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권취수단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을 상기 권취수단 상부에 구비하여 인발된 파이프의 하중으로 인하여 부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며, 외팔보로 이루어진 이송수단을 더 구비하여 인발된 파이프를 보다 손쉽게 인발기로부터 빼 낼 수 있는 하향식 인발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하향식 인발기{PIPE DRAWING APPARATUS}
본 발명은 파이프를 인발가공하여 권취하는 인발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와, 인발수단 및 인발된 파이프를 회전시켜 감아서 회수하는 권취수단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권취수단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을 상기 권취수단 상부에 구비하여 인발된 파이프의 하중으로 인하여 부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며, 외팔보로 이루어진 이송수단을 더 구비하여 인발된 파이프를 보다 손쉽게 인발기로부터 빼 낼 수 있는 하향식 인발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발가공(引拔加工)은 금속의 막대 또는 선 혹은 관을 금형장치를 통해서 인장하고 금형장치 구멍의 모양과 같은 단면의 막대나 선 또는 관재(管材)를 만드는 방법을 일컫는 것으로서 보통 냉간 압연(冷間壓延)하는데 텅스텐이나 몰리브덴 등은 고온으로 인발가공을 한다.
이러한 인발장치에 관한 종래기술로 등록특허 제10-0275280호 『파이프 인발장치』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관재(pipe)와 같은 가공할 원소재(A)를 하나씩 거치하고, 거치된 원소재(A)를 등간격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체인 컨베이어의 공급수단(10); 상기 공급수단(10)으로부터의 원소재(A)를 하나 또는 다수개로 클램핑하여 일정 수평거리까지 이송시키는 이송수단(20); 상기 이송수단(20)의 구동에 의해 수직으로 이동하므로써 클램핑하여 이송된 원소재(A)를 인발단계로 이어지도록 준비시킴과 동시에 일측 방향으로 가압하는 준비ㅇ가압수단(30); 가압하는 방향의 상기 준비ㅇ가압수단(30)의 근접측에 설치되고, 그 인발력에 의해 원소재(A)가 구멍을 통해 압출되도록 하는 금형수단(40); 상기 금형수단(40)으로부터 일정 수평거리까지 로딩되도록 설치되고, 금형수단(40)을 통해 압출되는 원소재(A)의 일단을 잡고 완제품의 파이프(A')가 형성되도록 인발하는 인발수단(50); 및 상기 인발수단(50)의 일측에 설치되고 완전히 인발된 완성품의 파이프(A')를 받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수단(60)을 포함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관재를 일일이 하나씩 거치하고 이를 등간격으로 공급하여 인발 후 수거함에 따라 관재의 길이에 따라 설비장치의 규모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로 등록특허 제10-0850391호 『파이프 인발장치』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프레임(100)에 설치되어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적어도 2개의 인발용 드럼과, 각각의 드럼 측부에 파이프 인발용 다이스를 구비한 파이프 인발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2개의 상부 및 하부 드럼(101,102), 상기 드럼들을 각각 독립되게 구동하는 2개의 모터(103,104)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드럼(101)은 원통형 구조의 지지축(105)에 연결되어 모터(103)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하부 드럼(102)은 상기 상부 드럼의 지지축(105)의 중공 내부를 관통하여 배치되어 모터(104)에 의해 회전되는 지지축(110)에 연결되어 인발 파이프의 단면적 감소율을 조정하기 위하여 상부 드럼과 독립되게 회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되는 인발장치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인발된 파이프를 회전시켜 수거하는 과정에서 상부드럼과 하부드럼이 각각 회전하도록 구성하는 것으로, 특히 인발된 파이프의 중량에 의한 부하가 발생함에 따라 하부드럼이 쉽게 고장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나아가 종래기술로 등록특허 제10-0592042호 『파이프 인발장치』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본 발명은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드럼과 인발 파이프의 마찰력에 의한 견인력으로 파이프를 인발 다이스를 통과시켜 인발된 파이프를 드럼에 권취하도록 된 파이프 인발장치에 관한 것으로, 2단계의 파이프 인발공정을 연속적으로 수행하도록 드럼(41)은 파이프를 인발하기 위한 견인력을 제공하고 인발되는 파이프를 각각 감기위한 제 1 드럼부(42)와 제 2 드럼부(43)로 일체로 이루어져 프레임에 장착되고, 제 1 다이스(44)는 제 1 드럼부(42) 앞쪽에서 접선방향에 배치되고 제 2 다이스(45)는 제 2 드럼부(43)의 접선방향 앞쪽에 배치되어 구성됨으로써, 인발기를 연속적으로 배치하거나 또는 이중 구조의 드럼을 사용하여 종래 두 공정에서 수행하는 파이프 인발 공정을 한 공정에서 2단계로 파이프를 인발할 수 있게 되고, 인발장치의 하측에서 레일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대차를 설치하여 각 단계별 인발 파이프의 이송 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파이프 인발장치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드럼을 회전시키는 모터가 상기 드럼 하부에 위치함에 따라 파이프가 드럼에 권취되어 회전함에 따라 부하가 발생하여 모터의 내구성이 저하되고, 쉽게 고장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인발된 파이프가 배출되는 권취부가 형성된 본체에, 파이프를 인발하는 인발수단, 인발된 파이프를 권취하는 권취수단 및 상기 권취수단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구동수단이 상기 권취수단 상부에 위치함에 따라 파이프의 중량에 의해 부하가 발생하여 구동수단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하향식 인발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권취수단에는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이 구비되며, 상기 인발된 파이프가 상기 드럼에 권취됨에 따라 드럼을 이송시키는 작업으로 인발된 파이프를 쉽게 회수할 수 있는 하향식 인발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드럼을 이송함에 있어, 상기 본체에 외팔보로 이루어진 이송수단을 구비하여, 작업자가 손쉽게 파이프가 감겨진 드럼을 권취부로부터 이탈시켜 이송할 수 있는 하향식 인발기를 제공함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하향식 인발기는
인발된 파이프가 배출되는 권취부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 일측에 구비되어, 일정한 직경의 파이프가 인발되어 배출되는 인발수단;
상기 권취부에 구비되어, 상기 인발수단으로부터 배출된 파이프가 감기는 감개부재와 상기 감개부재 하단에 이격되어 구비되는 회전판 및 상기 회전판에 결합되어, 감겨진 파이프가 내장되는 드럼을 포함하는 권취수단;
상기 권취수단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감개부재 및 회전판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로 이루어지는 구동수단;
상기 권취부 일측에 구비되는 승하강부재와, 상기 승하강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 내측으로 인입가능하게 회전하는 외팔보로 이루어져, 상기 외팔보가 상기 드럼을 들어 권취부에 인출시키는 이송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향식 인발기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인발수단 및 인발된 파이프를 회전시켜 권취하는 권취수단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권취수단의 상부에 구동수단을 구비하여 권취수단에서 발생하는 부하가 구동수단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구동수단이 원활하게 동작하고 내구성이 보장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본체의 일측에는 이송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권취부에 구비되어 인발된 파이프를 권취시키는 드럼을 보다 손쉽게 이동시킴에 따라 작업의 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상기 권취수단의 드럼과 회전판에는 연동결합부재가 구비되어, 드럼이 회전판에 결합되면 회전판과 연동되어 회전하여 파이프를 감을 수 있으며, 권취가 완료되면 상기 이송수단에 의해 들려지면 자연스럽게 회전판으로부터 이탈되어 권취 및 회수공정을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향식 인발기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향식 인발기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향식 인발기의 정면 사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발수단의 확대사진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권취수단의 확대사진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하향식 인발기의 확대사진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수단의 확대사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하향식 인발기(A)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구비되는 하향식 인발기(A)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구비되는 인발수단(20), 권취수단(30) 및 이송수단(5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상기 본체(10)는 인발된 파이프가 배출되어 권취되는 권취부(11)가 형성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일측에는 유입되는 관재를 인발가공하기 위한 인발수단(20)이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인발수단(20)은 관재가 유입되는 투입공(21)과 투입된 관재가 다이스를 거쳐 원하는 직경으로 배출되는 배출공(2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출공(23)에는 별도의 센싱부재(25)가 구비되어 인발된 파이프의 완성도를 체크하여 불량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이렇게 인발된 파이프는 상기 본체(10)의 권취부(11)에 구비되는 권취수단(30)에 의해 원형으로 말려 권취되게 되는데, 도 1 내지 6을 참고하여 상기 권취수단(30)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권취수단(30)은 상기 권취부(11)에 구비되어, 상기 인발수단(20)으로부터 배출된 파이프가 감기는 감개부재(31)와 상기 감개부재(31) 하단에 이격되어 구비되는 회전판(33) 및 상기 회전판(33)에 결합되어, 감겨진 파이프가 내장되는 드럼(3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감개수단은 후술하는 구동수단(40)과 톱니결합되어 구동수단(40)의 동작에 의해 회전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감개부재(31)가 원형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인발된 파이프는 상기 감개부재(31)의 외면에 밀착되어 함께 회전됨으로서 말릴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상기 감개부재(31)의 일측에는 상기 인발된 파이프의 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체결돌기(311)가 구비되어 있다(도5참고).
즉, 상기 체결돌기(311)에 상기 파이프의 단부가 고정됨에 따라 상기 감개부재(31)가 회전하면, 자연스럽게 상기 파이프가 따라서 회전하여 감개부재(31)의 외면에 감길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이 때 상기 체결돌기(311)와 파이프의 단부는 직접적으로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나, 현실적으로 별도의 체인 등의 연결부재를 구비하여 서로 연결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감개부재(31)의 일측, 즉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감개부재(31)와 일정거리 이격된 정렬롤러(13)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정렬롤러(13)는 상기 감개부재(31)의 양측에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상기 파이프가 감개부재(31)의 외면을 따라 말려 회전하는 경우, 상기 파이프의 외면을 가압하여 정렬하기 위한 것으로서,
결과적으로 상기 파이프는 상기 감개부재(31)와 상기 정렬부재 사이를 지나가면서 자연스럽게 곡선형으로 말릴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감개부재(31)를 따라 말리는 파이프는 상기 감개부재(31) 하단에 위치하는 드럼(35)에 내장되게 된다.
상기 드럼(35)을 설명하기에 앞서, 상기 본체(10)의 권취부(11) 하단에는 회전판(33)이 더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판(33)은 상기 감개부재(31)와 동일한 속도로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회전판(33)에 상기 드럼(35)이 안착되어 상기 감개부재(31)에 의해 말린 파이프가 내장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드럼(35)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드럼(35)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판(33)에 결합되는 받침판(351)과, 상기 받침판(351)에 구비되어 파이프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받침프레임(353), 상기 복수개의 받침프레임(353)을 서로 연결하여 파이프의 이탈을 방지하는 외각프레임(355), 상기 받침판(351)에 수직으로 구비되어 감겨진 파이프 내측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수직프레임(357) 및 상기 복수개의 수직프레임(357)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판(359)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드럼(35)의 받침판(351)은 상기 회전판(33)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판(33)의 회전과 연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연동결합부를 더 구비하고 있다.
상기 연동결합부는 하기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하고,
상기 받침판(351)은 원형의 형상을 이루며, 상기 받침판(351)에는 상기 받침판(351)과 동일면상으로 결합된 복수개의 받침프레임(353)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 받침프레임(353)의 각각의 단부 쪽은 절곡부가 형성되어 상향 절곡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렇게 절곡된 받침프레임(353)의 단부에는 이들을 서로 연결하는 원형의 외각프레임(355)이 구비되어 있다.
즉, 상기 인발된 파이프가 말리면, 상기 드럼(35)에 수용되게 되는데, 이 때 상기 받침판(351) 및 받침프레임(353)이 상기 파이프의 하면을 지지하고, 상기 받침프레임(353)이 절곡되어 외각프레임(355)과 연결됨에 따라 상기 파이프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받침판(351)에는 복수개의 수직프레임(357)이 더 구비되게 되고, 상기 수직프레임(357)의 단부에는 상부판(359)이 구비되게 된다.
결과적으로 원형으로 말린 파이프에 있어서, 그 내측부분에(말린 파이프가 형성하는 가상의 원의 내측부분) 상기 수직프레임(357)이 관통하여 수용되는 구조를 갖는다.(한편으로는 상기 수직프레임(357)을 파이프가 말려 권취하는 형상으로도 표현할 수 있다.)
다시 상기 회전판(33)과 드럼(35)의 연동 동작을 위하여 연동결합부재(37)가 더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연동결합부재(37)는 상기 받침판(351)에 구비되는 중앙공(371)과, 상기 중앙공(371) 주변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고정공(373), 상기 회전판(33)에 구비되어 상기 중앙공(371)에 결합되는 중앙돌기(375), 상기 중앙돌기(375) 주변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공(373)에 각각 결합하는 고정돌기(377) 및 상기 회전판(33)에 구비되어, 상기 받침판(351)의 테두리를 지지하는 지지돌기(379)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드럼(35)의 받침판(351)에는 중앙에 중앙공(371)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판(33)에는 상기 중앙공(371)에 끼워지는 중앙돌기(375)가 형성되어 회전판(33)에 받침판(351)이 정위치 결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중앙공(371) 및 중앙돌기(375)가 원형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이들이 서로 연동되지 않게 되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받침판(351)의 중앙공(371) 주변에는 복수개의 고정공(373)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판(33)에는 상기 중앙돌기(375) 주변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공(373)에 끼워질 수 있는 복수개의 고정돌기(377)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판(33)이 회전하는 경우, 상기 고정공(373) 및 고정돌기(377)의 결합에 의해 상기 받침판(351)이 함께 회전하여, 결과적으로 상기 드럼(35)이 함께 회전하는 구조를 갖는다.
나아가 상기 회전판(33)에는 상기 받침판(351)의 테두리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돌기(379)가 더 구비되어 있어, 보다 안정적으로 흔들림 없이 회전판(33)에 받침판(351)을 고정할 수 있는 구조를 갖고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권취수단(30)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40)이 구비되는 바, 본 발명은 상기 구동수단(40)이 상기 권취수단(30) 상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권취수단(30)에 파이프가 회전하여 권취되면서 발생하는 부하를 상기 구동수단(40)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구동수단(40)이 권취수단(30) 하부에 위치하는 경우, 파이프가 인발됨에 따라 그 하중이 증가하고, 이렇게 증가한 하중에 의해 구동수단(40)에 구비될 수 밖에 없는 베어링에 부하가 발생하고, 이에 따라 베어링이 망가져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본 발명의 핵심이다.
즉, 본 발명은 구동수단(40) 하부에 권취수단(30)이 구비되는 하향식 인발기(A)에 관한 것으로서, 권취되는 파이프의 중량 및 이에 따라 발생되는 부하가 구동수단(40)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구동수단(40)에는 구동모터가 구비되는 것은 자명하며, 상기 구동모터와 감개부재(31)는 톱니부재(411)를 통하여 톱니결합되어 감개부재(31)를 연동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도 1 내지 도 3,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향식 인발기(A)에는 이송수단(50)을 더 구비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이송수단(50)은 파이프의 권취가 완료된 드럼(35)을 권취부(11)로부터 이탈시키거나, 파이프를 권취하기 위하여 드럼(35)을 상기 권취부(11)에 인입시키기 위하여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이송수단(50)은 상기 본체(10) 일측에 구비되는 승하강부재(51)와, 상기 승하강부재(51)에 구비되어 상기 권취부(11)에 인출될 수 있도록 회전하는 외팔보(53)로 이루어져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승하강부재(51)는 상기 본체(10)의 일측,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권취부(11)의 일측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승하강 실린더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승하강부재(51)에는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외팔보(53)가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외팔보(53)가 회전하면, 상기 권취부(11)에 외팔보(53)의 일부가 인출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파이프의 권취가 완료되면, 외팔보(53)를 권취부(11) 내측으로 회전시키고, 이렇게 회전하면, 상기 외팔보(53)의 단부가 상기 드럼(35)의 상부판(359) 하부에 위치하며, 이 때 작업자가 승하강부재(51)를 동작하여 외팔보(53)를 상승시키게 되면, 자연스럽게 외팔보(53)가 드럼(35)의 상부판(359)을 들어 드럼(35)을 회전판(33)으로부터 이격시키고,
다시 외팔보(53)를 바깥쪽으로 회전시키면, 드럼(35)이 함께 권취부(11)로부터 빠져나오면서 별도의 저장소로 이송할 수 있도로 이루어진다.
또한 이 경우, 파이프가 권취된 드럼(35)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승하강부재(51)의 상부에는 승하강부재(51), 즉 승하강실린더의 상부를 고정할 수 있는 상부고정부재(511)가 구비되고, 승하강부재(51) 하부에도 하부고정부재(513)를 더 구비하여, 하중에 의해 승하강부재(51)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부고정부재(511)가 구비되지 않으면, 외팔보(53) 단부에 하중이 몰리게 됨에 따라 상기 승하강부재(51)가 휘어지거나 외팔보(53) 단부방향으로 무너질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상부고정부재(511)를 통해 승하강부재(51)의 강도를 보다 향상시킴으로서 하중을 견딜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하향식 인발기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 : 인발기 10 : 본체
11 : 권취부 13 : 정렬롤러
20 : 인발수단 21 : 투입공
23 : 배출공 25 : 센싱부재
30 : 권취수단 31 : 감개부재
311 : 체결돌기 33 : 회전판
35 : 드럼 351 : 받침판
353 : 받침프레임 355 : 외각프레임
357 : 수직프레임 359 : 상부판
37 : 연동결합부재 371 : 중앙공
373 : 고정공 375 : 중앙돌기
377 : 고정돌기 379 : 지지돌기
40 : 구동수단 411 : 톱니부재
50 : 이송수단 51 : 승하강부재
511 : 상부고정부재 513 : 하부고정부재
53 : 외팔보

Claims (4)

  1. 인발된 파이프를 권취시키는 권취부(11)가 형성된 본체(10);
    상기 본체(10) 일측에 구비되어, 유입되는 관재를 인발가공하여 파이프를 배출하는 인발수단(20);
    상기 권취부(11)에 구비되어, 상기 인발수단(20)으로부터 배출된 파이프가 감기는 감개부재(31)와 상기 감개부재(31) 하단에 이격되어 구비되는 회전판(33) 및 상기 회전판(33)에 결합되어, 감겨진 파이프가 내장되는 드럼(35)을 포함하는 권취수단(30);
    상기 권취수단(30)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감개부재(31) 및 회전판(33)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로 이루어지는 구동수단(40);
    상기 권취부(11) 일측에 구비되는 승하강부재(51)와, 상기 승하강부재(51)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35) 내측으로 인입가능하게 회전하는 외팔보(53)로 이루어져, 상기 외팔보(53)가 상기 드럼(35)을 들어 권취부(11)에 인출시키는 이송수단(5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드럼(35)은
    상기 회전판(33)에 결합되는 받침판(351)과, 상기 받침판(351)에 구비되어 파이프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받침프레임(353), 상기 복수개의 받침프레임(353)을 서로 연결하여 파이프의 이탈을 방지하는 외각프레임(355), 상기 받침판(351)에 수직으로 구비되어 감겨진 파이프 내측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수직프레임(357) 및 상기 복수개의 수직프레임(357)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판(359)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외팔보(53)가 상기 상부판(359)을 들어 드럼(35)을 이송시키고,

    상기 받침판(351)에 구비되는 중앙공(371)과, 상기 중앙공(371) 주변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고정공(373), 상기 회전판(33)에 구비되어 상기 중앙공(371)에 결합되는 중앙돌기(375), 상기 중앙돌기(375) 주변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공(373)에 각각 결합하는 고정돌기(377) 및 상기 회전판(33)에 구비되어, 상기 받침판(351)의 테두리를 지지하는 지지돌기(379)를 포함하는 연동결합부재(37)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식 인발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부(11)에는
    상기 감개부재(31)를 따라 감기는 파이프의 외면을 가압하는 정렬롤러(13)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식 인발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개부재(31)의 일측에는 인발된 파이프의 단부를 고정하는 체결돌기(311)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식 인발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40)의 구동모터와 감개부재(31)는 톱니부재(411)를 통하여 톱니결합되어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식 인발기.

KR1020180001335A 2018-01-04 2018-01-04 하향식 인발기 KR1018884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1335A KR101888484B1 (ko) 2018-01-04 2018-01-04 하향식 인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1335A KR101888484B1 (ko) 2018-01-04 2018-01-04 하향식 인발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8484B1 true KR101888484B1 (ko) 2018-08-16

Family

ID=63443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1335A KR101888484B1 (ko) 2018-01-04 2018-01-04 하향식 인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84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9253B1 (ko) 2020-05-14 2021-02-24 엄지은 저온초전도선재의 제조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0537A (ko) * 2001-12-03 2002-01-05 유병섭 이형선재의 수직형 권취장치
KR100364447B1 (ko) * 2002-08-20 2002-12-12 유병섭 선재 권취용 보빈장치
KR100592042B1 (ko) * 2004-08-03 2006-06-22 정해왕 파이프 인발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0537A (ko) * 2001-12-03 2002-01-05 유병섭 이형선재의 수직형 권취장치
KR100364447B1 (ko) * 2002-08-20 2002-12-12 유병섭 선재 권취용 보빈장치
KR100592042B1 (ko) * 2004-08-03 2006-06-22 정해왕 파이프 인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9253B1 (ko) 2020-05-14 2021-02-24 엄지은 저온초전도선재의 제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879096B (zh) 一种塑料薄膜生产用自动更换卷芯设备的工作方法
CN101811629B (zh) 焊丝的收容方法
CN101405131B (zh) 轮胎成形用刚性型芯的分离取出方法及其装置
EP1655225A1 (en)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automatic change of the reel of extensible film in wrapping machines for the packaging of palletized loads
CN109607278B (zh) 一种塑料薄膜生产用自动更换卷芯设备
KR101888484B1 (ko) 하향식 인발기
EP2938483B1 (en) Method of managing the continuous feeding of an elongate element to a tyre building station and unwinding device
CN116281339B (zh) 一种无纺布生产用切边废料收卷设备
EP3919423A2 (en) Roll accommodation unit, processing apparatus, and roll setting method
EP1272416B1 (en) Method and assembly for transferring tissue paper rolls off a reel shaft
CN206046657U (zh) 一种带分卷功能的集卷站
EP0919505B1 (en) Winding unit particularly for winding yarns
US5700126A (en) Spool feeding method and spool feeder
EP3362200B1 (en) A coiling system and a method for forming a hot rolled product into an annular coil
US20160144587A1 (en) System and method for exchanging vertically segmented rotor segments on a rotary tablet press
CA2423310A1 (en) An apparatus for making reinforcing cages for reinforcing concrete
CN210283262U (zh) 缠绕机
CN214251220U (zh) 一种伸缩式卸料称重装置
KR900001349B1 (ko) 스트립의 저장 및 처리장치
CN212664560U (zh) 一种钢筋收卷装置
CN110155813A (zh) 一种自动化清理络筒的装置
JP3419818B2 (ja) 内巻きコイルの巻線方法および巻線装置
CN114436057B (zh) 一种纱线卷收装置
CN112644964B (zh) 一种轮胎配套安装流水生产线
CN210283310U (zh) 缠绕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