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7631B1 - 삼백초 성분인 사우치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노화지연, 수명연장, 또는 리포푸신 축적으로 인한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삼백초 성분인 사우치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노화지연, 수명연장, 또는 리포푸신 축적으로 인한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7631B1
KR101887631B1 KR1020170068293A KR20170068293A KR101887631B1 KR 101887631 B1 KR101887631 B1 KR 101887631B1 KR 1020170068293 A KR1020170068293 A KR 1020170068293A KR 20170068293 A KR20170068293 A KR 20170068293A KR 101887631 B1 KR101887631 B1 KR 1018876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lipofuscin
sauchinone
accumulation
active ingred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8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근
이재광
Original Assignee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농업회사법인 (유) 산에들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농업회사법인 (유) 산에들에 filed Critical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68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76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7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76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two or more oxygen atoms in the same ring, e.g. crown ethers, guanadrel
    • A61K31/36Compounds containing methylenedioxyphenyl groups, e.g. sesam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8Saururaceae (Lizard's-tail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Zoology (AREA)
  • Phys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삼백초 성분인 사우치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노화지연, 수명연장, 또는 리포푸신 축적으로 인한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삼백초의 성분 중 하나인 사우치논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노화를 지연하거나 수명을 연장하기 위한 용도 또는 리포푸신 축적으로 인한 질환을 예방, 치료 또는 개선하기 위한 용도의 약학 조성물, 기능성 식품 조성물, 기능성 사료 조성물 및 배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건조 스트레스, 열충격 스트레스 및 산화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력을 증가시키고, 항산화 효소인 수퍼옥시드디스뮤타아제(superoxide dismutase, SOD) 및 카탈라아제(catalase)의 활성을 증가시키며,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의 축적을 억제하고, 산화적 스트레스에 저항하는 단백질의 생성을 촉진하며, 리포푸신(lipofuscin)의 축적을 억제함으로써 궁극적으로 동물의 노화를 지연하거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한 신체의 성장 효과가 있을 뿐 이 밖에 생식능, 음식의 섭취량 및 운동량과 같은 다른 생리작용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생리적인 부작용 없다는 장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체내 리포푸신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어 리포푸신 축적으로 인한 질환을 효과적으로 예방, 치료 또는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삼백초 성분인 사우치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노화지연, 수명연장, 또는 리포푸신 축적으로 인한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for delaying senescence, lifespan extension, or preventing, treating or improving of diseases caused by lipofuscin accumulation comprising sauchinone as an active ingredient of Saururus chinensis}
본 발명은 삼백초 성분인 사우치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노화지연, 수명연장, 또는 리포푸신 축적으로 인한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삼백초의 성분 중 하나인 사우치논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노화를 지연하거나 수명을 연장하기 위한 용도 또는 리포푸신 축적으로 인한 질환을 예방, 치료 또는 개선하기 위한 용도의 약학 조성물, 기능성 식품 조성물, 기능성 사료 조성물 및 배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호흡을 통하여 들어오는 산소에 의해 발생하는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은 산소를 가지고 있는 화학물질로 강한 활성을 가지는 것이 특징이다. 이들은 주로 세포 내 미토콘드리아의 호흡과정에서 부산물로 발생하는 것으로 자유기(free radical)로는 수퍼옥시드기(superoxide radical, ·O2 -)와 히드록실기(hydroxyl radical, ·OH) 등이 있으며, 기의 형태가 아닌 것(non-radical)으로는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 H2O2) 등이 존재한다. 그 외의 활성산소종에 포함되는 것으로 일중항 산소(singlet oxygen, 1O2), 오존(ozone, O3), 과산화지질(lipidperoxide, ROOH) 및 하이포아염소산(hyochlorous acid, HOCl) 등이 생체 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항산화제는 산화적 손상을 늦추거나 방해하며 혹은 제거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물질로서 인체 내에 존재하는 수퍼옥시드디스뮤타아제(superoxide dismutase, SOD), 글루타치온 과산화효소(glutathione peroxidase) 및 카탈라아제(catalase) 등과 같은 항산화 효소들만으로는 불완전하여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비타민 C, E, 카로테노이드 및 폴리페놀 물질 등의 항산화제의 공급이 필요하다.
근래 산화 스트레스와 노화와의 관계가 대두되면서 항산화제를 노화지연 또는 수명연장을 위해 사용하고자 하는 연구들이 많이 이루지고 있다. 하지만 대표적인 항산화제인 비타민 A, C, E 등이 실제로는 노화지연 또는 수명연장의 효과가 없거나 오히려 악영향을 미치는 연구결과가 발표되는 등 항산화와 노화, 수명의 관계는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이는 노화와 수명에는 다양한 요소들이 관여하고 있고 따라서 단순히 항산화의 효과에 의해 좌우되지 않기 때문이라고 받아들여진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동물모델을 이용한 보다 실질적인 연구를 통해 노화지연과 수명연장에 효과적인 물질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예쁜꼬마선충(Caenorhabditis elegans)은 대장균(E. coli)을 먹이로 하며 약 1mm정도의 크기이고, 몸이 투명하지만 실체 현미경으로 쉽게 관찰이 가능하다. 비교적 단순한 형태를 지닌 다세포생물로 동물이며 배양하기 쉽고 발생 단계가 단순하여 세포의 분화 과정 등을 연구하기 위한 동물모델로 사용되었다. 20℃에서 20일 정도의 짧은 수명을 가지고 있어 최근에는 항노화 실험에 동물모델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한편, 삼백초(三白草)는 삼백초(Saururus chinensis, Saururaceae)의 지상부를 건조한 것으로 한국, 중국, 일본 등에서 배뇨통, 백대하, 습진, 황달 및 복수 등을 치료하는 전통약물로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다(International collation of traditional and folk medicine, 22-23. World Scientific). 이 식물에 대한 식물화학적 성분연구로는 사우치논(sauchinone), 마칠린(machilin) D, 사우루리그난(saurulignan) A ~ E 등과 같은 리그난 화합물들이 주로 보고되어 있으며, 그 외에 몇 종의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이 보고된 바 있다(Phytochemistry 64: 765-771). 삼백초에 대한 약리활성연구로는 항염증, 아포토시스(apoptosis), 조골활성, 항암활성 및 멜라닌 생성 억제효능 등 다양한 활성이 보고되어 있다(Food Chem. Toxicol. 83: 183-192; Phytother. Res. 29: 1073-1080; Phytomedicine 22: 256-261; Biol. Pharm. Bull. 36: 772-779).
본 발명자들은 예쁜꼬마선충 동물모델을 이용하여 천연물로부터 노화지연 및 수명연장에 효과적인 물질을 개발하고자 하였으며, 다양한 천연물을 이용하여 연구한 결과, 상기와 같은 삼백초의 성분인 사우치논이 실제 동물모델에서 노화지연 및 수명연장에 우수한 효과가 있으며, 항산화 뿐만 아니라 노화 또는 수명에 관련된 다양한 요소들에 영향을 미쳐 상기와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사우치논이 리포푸신의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Bjelakovic G, Nikolova D, Gluud LL, Simonetti RG, Gluud C. Mortality in randomized trials of antioxidant supplements for primary and secondary prevention: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AMA. 2007 Feb 28;297(8):842-57. Hwang BY, Lee JH, Nam JB, Hong YS, Lee JJ. Lignans from Saururus chinensis inhibiting the transcription factor NF-kappaB. Phytochemistry. 2003 Oct;64(3):765-71. Lee AY, Han YA, Kim JE, Hong SH, Park EJ, Cho MH. Saururus chinensis Baill induces apoptosis through endoplasmic reticulum stress in HepG2 hepatocellular carcinoma cells. Food Chem Toxicol. 2015 Sep;83:183-92. Moon SH, Choi SW, Park SJ, Ryu SY, Hwang KS, Kim CH, Kim SH. In vitro and in vivo Bone-Forming Activity of Saururus chinensis Extract. Phytother Res. 2015 Jul;29(7):1073-80. Jeong HJ, Koo BS, Kang TH, Shin HM, Jung S, Jeon S. Inhibitory effects of Saururus chinensis and its components on stomach cancer cells. Phytomedicine. 2015 Feb 15;22(2):256-61. Lee DH, Kim DH, Oh IY, Kim SY, Lim YY, Kim HM, Kim YH, Choi YM, Kim SE, Kim BJ, Kim MN. Inhibitory effects of Saururi chinensis extracts on melanin biosynthesis in B16F10 melanoma cells. Biol Pharm Bull. 2013;36(5):772-9.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천연물로부터 유래된 성분을 함유하여 부작용을 일으킬 가능성이 적으며 실제 동물에서 노화지연 또는 수명연장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성분을 함유하여 리포푸신의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리포푸신 축적으로 인한 질환을 효과적으로 예방 또는 개선할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연구에 동물모델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예쁜꼬마선충을 배양하기 위한 조성물로, 예쁜꼬마선충의 노화를 지연시키거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배지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사우치논(sauchinone)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노화지연 또는 수명연장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사우치논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노화지연 또는 수명연장용 기능성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사우치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리포푸신(lipofuscin) 축적으로 인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리포푸신 축적으로 인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리포푸신 축적으로 인한 질환은 리포푸신증(lipofuscinosis), 황반변성, 눈의 퇴행성 질환 및 스타카르트 질환(stargardt disease)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질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사우치논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리포푸신 축적으로 인한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리포푸신 축적으로 인한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리포푸신 축적으로 인한 질환은 리포푸신증, 황반변성, 눈의 퇴행성 질환 및 스타카르트 질환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질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사우치논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리포푸신 축적으로 인한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기능성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리포푸신 축적으로 인한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기능성 사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리포푸신 축적으로 인한 질환은 리포푸신증, 황반변성, 눈의 퇴행성 질환 및 스타카르트 질환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질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사우치논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예쁜꼬마선충(Caenorhabditis elegans)의 노화지연 또는 수명연장용 배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건조 스트레스, 열충격 스트레스 및 산화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력을 증가시키고, 항산화 효소인 수퍼옥시드디스뮤타아제(superoxide dismutase, SOD) 및 카탈라아제(catalase)의 활성을 증가시키며,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의 축적을 억제하고, 산화적 스트레스에 저항하는 단백질의 생성을 촉진하며, 리포푸신(lipofuscin)의 축적을 억제함으로써 궁극적으로 동물의 노화를 지연하거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한 신체의 성장 효과가 있을 뿐 이 밖에 생식능, 음식의 섭취량 및 운동량과 같은 다른 생리작용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생리적인 부작용 없다는 장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체내 리포푸신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어 리포푸신 축적으로 인한 질환을 효과적으로 예방, 치료 또는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사우치논이 예쁜꼬마선충의 항노화에 따른 수명연장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한 결과이다.
도 2는 사우치논이 예쁜꼬마선충의 내건성(osmotic stress 저항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한 결과이다.
도 3은 사우치논이 예쁜꼬마선충의 열충격(heat shock) 저항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한 결과이다.
도 4는 사우치논이 예쁜꼬마선충의 산화적 스트레스 저항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한 결과이다.
도 5는 사우치논이 예쁜꼬마선충 내의 항산화 효소인 SOD의 활성 증가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한 결과이다.
도 6은 사우치논이 예쁜꼬마선충 내의 항산화효소인 catalase의 활성 증가를 확인한 실험 결과이다.
도 7은 사우치논이 예쁜꼬마선충 세포 내 ROS의 축적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한 결과이다.
도 8은 사우치논이 형질전환 예쁜꼬마선충의 산화적 스트레스 저항성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한 결과이다.
도 9는 사우치논이 예쁜꼬마선충 내 리포푸신 축적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한 결과이다.
도 10은 사우치논이 예쁜꼬마선충의 산란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한 결과이다.
도 11은 사우치논이 예쁜꼬마선충의 먹이섭취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한 결과이다.
도 12는 사우치논이 예쁜꼬마선충의 몸길이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한 결과이다.
도 13은 사우치논이 예쁜꼬마선충의 활동량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한 결과이다.
본 발명은 삼백초에 함유된 성분 중 하나인 사우치논(sauchinone)의 새롭게 밝혀진 생리활성을 바탕으로 안출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유효성분으로 이용하는 사우치논의 구조는 다음 화학식 1과 같으며, 삼백초로부터 에탄올 추출, 메틸렌클로라이드 분획, n-헥산 : 클로로포름 : 메탄올의 혼합용매를 이용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라피 및 HPLC를 수행하는 방법을 통해 수득하거나, 또는 Santa Cruz Biotechnology 및 Sigma-Aldrich 등의 화합물 판매업체를 통해 구입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7052419665-pat00001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우치논은 예쁜꼬마선충(Caenorhabditis elegans) 동물 모델을 이용한 실험에서 실제로 수명을 연장시키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건조 스트레스, 열충격 스트레스 및 산화 스트레스가 가해진 조건에서 생존율을 높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체내 항산화 효소인 수퍼옥시드디스뮤타아제(superoxide dismutase, SOD) 및 카탈라아제(catalase)의 활성을 증가시키며, 체내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의 축적을 억제하며, 체내 항산화 효소(SOD)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노화색소인 리포푸신(lipofuscin)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예쁜꼬마선충은 동물의 노화와 수명을 연구하는데 많이 이용되고 있는 유명한 동물 모델로 이 동물 모델을 이용하여 조사된 상기와 같은 사우치논의 생리활성은 보다 고등동물 또는 사람에게서도 발휘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사우치논의 새롭게 밝혀진 생리활성을 바탕으로 본 발명에서는 사우치논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노화지연 또는 수명연장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기능성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새롭게 밝혀진 사우치논의 리포푸신 생성 억제 활성을 바탕으로 사우치논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리포푸신 축적으로 인한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약학 조성물,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기능성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리포푸신은 노화색소로 잘 알려져 있어 노화의 지표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이 리포푸신의 축적은 황반변성, 눈의 퇴행성 질환 및 스타카르트 질환의 주요 위험 요소로도 잘 알려져 있다. 또한 리포푸신증은 이러한 리포푸신의 비정상적인 축적으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으로 신경퇴행성 장애와도 깊은 관련성이 있다. 본 발명에서 조사된 바와 같이, 사우치논이 이러한 리포푸신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리포푸신의 축적으로 인한 질환을 효과적으로 예방, 치료 또는 개선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사우치논 또는 이의 염을 0.01 내지 90중량%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임상 투여 시에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가 가능하며 비경구 투여시 복강내주사, 직장내주사, 피하주사, 정맥주사, 근육내주사, 자궁내 경막주사, 뇌혈관내 주사 또는 흉부내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고, 일반적인 의약품 제제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단독으로, 또는 수술, 방사선 치료, 호르몬 치료, 화학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 약학 조성물의 일일 투여량은 조성물에 함유된 사우치논 또는 이의 염을 기준으로 체중 1㎏ 당 약 0.0001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일 수 있으며, 하루 1회 내지 수회 나누어 투여될 수 있으나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및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다. 실제 임상 투여 시에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될 수 있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사우치논 또는 이의 염에 추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을 1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서 상기 식품은 육가공품, 어육제품, 두부, 묵, 죽, 라면이나 국수 등의 면류, 간장, 된장, 고추장, 혼합장 등의 조미식품, 소스, 과자, 발효유나 치즈 등의 유가공품, 김치나 장아찌 등의 절임식품, 과실, 채소, 두유, 발효음료 등의 음료수일 수 있으며, 이들 식품을 제조하는 과정 중에 상기 사우치논 또는 이의 염을 첨가하는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사우치논 또는 이의 염의 첨가량은 식품의 종류, 형태, 목적, 제조방법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최종 식품 중량을 기준으로 0.0001 ~ 10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 ~ 5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 1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에서 상기 사료는 배합사료, 펠렛형태 및 사일레지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배합사료는 여러 종류의 일반사료와 상기 사우치논 또는 이의 염을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펠렛 형태의 사료는 상기 배합사료를 펠렛기로 제형화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사일레지는 청예사료를 발효한 다음 상기 사우치논 또는 이의 염을 첨가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사우치논 또는 이의 염의 첨가량은 사료의 종류, 형태, 목적, 제조방법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으며, 상기 식품에서와 같은 첨가량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와 같은 효과를 바탕으로 사우치논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예쁜꼬마선충의 노화지연 또는 수명연장용 배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우치논의 처리로 인해 예쁜꼬마선충의 노화를 지연시키고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20℃에서 20일 정도의 짧은 수명을 갖고 있는 예쁜꼬마선충을 이용한 실험에서 좀 더 긴 시간의 생존이 필요한 경우, 사우치논 또는 이의 염이 함유된 본 발명의 배지 조성물을 이용하면 매우 효과적이다. 이때 배지는 예쁜꼬마선충의 배양을 위해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배지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NGM(nematode growth medium)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사우치논 또는 이의 염의 첨가량은 배지의 종류, 형태, 목적, 제조방법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으나, 노화지연 및 수명연장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최종 배지 중량을 기준으로 0.0001 ~ 1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 ~ 0.1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1 ~ 0.01중량%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삼백초로부터 사우치논의 분리 정제
건조된 삼백초 1kg을 50℃에서 에탄올(3L)로 3시간씩 3회 중탕으로 추출하고 감압농축하여 총 에탄올 엑스 96g을 얻었다. 이 엑스를 증류수로 현탁한 후 메틸렌클로라이드(CH2Cl2)로 분획하고 농축하여 메틸렌클로라이드 분획물을 확보하고, 이 분획물을 n-헥산 : 클로로포름 : 메탄올의 혼합용매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라피를 실시하고, HPLC로 정제하여 사우치논(57mg)을 얻었다.
정제된 사우치논을 1H-NMR 및 13C-NMR 분석하고 기존 문헌의 데이터와 비교하여 사우치논이 맞다는 것을 확인 동정하였다.
실험예 1. 수명연장 효과 평가
1-1. 예쁜꼬마선충의 배양
예쁜꼬마선충(Caenorhabditis elegans)(N2: wild type)은 Caenorhabditis Genetic Center(CGC; University of Minnesota, Minneapis, MN)로부터 제공받은 것을 사용하였으며, E. coli OP50을 도말한 네마토드 성장 배지(Nematode Growth Medium, NGM) 한천 플레이트(agar plate)에서 배양하였다(20℃).
1-2. 사우치논의 처리
디메칠설폭시드(dimethylsulfoxide, DMSO)를 용매로 하여 사우치논 저장 용액(stock solution)을 제조하고, 멸균시켜 일정량씩 NGM 플레이트(50℃)에 첨가하는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최종 DMSO농도는 모든 상태에서 0.1%(v/v)를 유지하였다.
1-3. 통계 분석
실험의 모든 통계 자료의 값은 평균값±표준오차(mean±S.E.M.)로 표시하였으며, 그룹 간의 통계적 유의성 검정은 스튜던트 T-검증(Student's t-test)을 통해서 분석하였고, 선충의 연속적인 생존도는 Log-rank test분석 방법을 이용하였다. 그리고 대조군과 처리군 사이의 차이에 대한 통계값은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에 의해 분석하였다.
1-4. 수명연장 효과 평가 실험
수명연장 효과 평가 실험은 20℃에서 독립적으로 3회 실행하였다.
동일한 수명의 선충을 사용하기 위해서 배아 분리 직후 선충의 알만을 이용하였으며, 사우치논이 들어 있지 않은 대조군과 사우치논이 각각 50μM, 100μM의 농도로 함유된 NGM 플레이트로 옮겨 배양하였고 매일 생존을 확인하였다.
생존여부의 확인은 플래티넘 와이어 끝으로 자극했을 때의 반응을 통해 확인하였다.
선충은 이틀마다 신선한 NGM 플레이트로 옮겨주었다.
1-5. 실험 결과
실험 결과 도 1의 A에서와 같이, 수명연장 효과에 대한 사우치논의 농도에 따른 효과를 관측할 수 있었다.
또한, 도 1의 B를 통해서 대조군과 비교해 사우치논 처리군의 평균 수명연장이 사우치논 50μM 처리군에서 16.4%(p<0.01), 사우치논 100μM 처리군에서는 31.7%(p<0.001)가 증가되어 상당한 수명연장 효과가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스트레스 저항성 평가
2-1. 실험 방법
성장 단계가 동일한 N2 선충을 각각의 농도별(0μM, 50μM, 100μM) 사우치논이 함유된 플레이트에서 배양하였다. 이때 선충의 배양 및 사우치논의 처리는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였다.
내건성(osmotic stress 저항성)을 확인하기 위해 성채가 된 후 5일째에 500mM NaCl을 함유하고 있는 NGM 한천 플레이트에 옮겨 20℃에서 배양하면서 12시간 동안 생존율을 확인하였다.
열충격(heat shock)에 의한 내성을 분석하기 위해 선충을 신선한 배지로 옮기고 성체가 된 후 4일째에 36℃에서 배양하여 시간 별로 생존율을 27시간 동안 측정하였다.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내성은 성체가 된 후 7일째에 일시적으로 선충을 1mM 주글론(juglone)이 함유된 M9 완충액이 담긴 96 well 플레이트에 옮기고 시간 별로 37시간 동안 생존율을 확인하였다.
실험의 모든 통계 자료의 값은 상기 실험예 1과 같은 방법으로 통계 분석하였다.
2-2. 실험 결과
내건성 실험 결과, 도 2에서와 같이 대조군에 대해 사우치논 50μM 처리군의 생존율이 14.0%(p<0.01), 사우치논 100μM 처리군의 생존율이 30.0%(p<0.001)가 증가되어 사우치논의 처리에 의해 상당한 내건성 상승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열충격 실험 결과, 도 3에서와 같이 대조군에 대해 사우치논 50μM 처리군의 생존율이 37.2%(p<0.001), 사우치논 100μM 처리군의 생존율이 47.5%(p<0.001)가 증가되어 사우치논의 처리에 의해 상당한 열충격 저항성의 상승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산화적 스트레스 실험 결과, 도 4에서와 같이 대조군에 대해 사우치논 50μM 처리군의 생존율이 34.4%(p<0.01), 사우치논 100μM 처리군의 생존율이 50.6%(p<0.001)가 증가되어 사우치논의 처리에 의해 상당한 산화적 스트레스 저항성의 상승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항산화 효소 활성 평가
3-1. 실험 방법
성장 단계가 동일한 N2 선충을 각각의 농도별(0μM, 50μM, 100μM)로 사우치논이 함유된 플레이트에서 배양하였다. 이때 선충의 배양 및 사우치논의 처리는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였다.
SOD 활성은 성체가 된 후 4일째에 선충을 모아 M9 완충액으로 3회 세척 후 분쇄하여 효소활성 측정에 사용하였다(균질 현탁액 완충액, homogenization buffer: 10mM Tris-HCl, 150mM NaCl, 0.1mM EDTA, pH7.5). 먼저 10mM 인산완충액(phosphate buffer, pH8.0)을 용매로 반응혼합물[1.6mM 크산틴(xanthine)과 0.48mM 니트로블루테트라졸륨(NBT) 0.49mL]을 만든 뒤 시료 10μL와 37℃에서 5분간 사전 배양시켰다. 그 후 크산틴옥시다아제(xanthine oxidase) 1mL(0.05U/mL)를 첨가하고 37℃에서 다시 20분 동안 배양시킨 다음 69mM SDS로 반응을 멈추고 57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Catalase 활성은 Aebi 방법(Method Enzymol. 105: 121-126)을 응용하여 25mM H2O2에 시료 50μL를 3분 동안 반응시키고 2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3-2. 실험 결과
SOD 활성 실험 결과, 도 5에서와 같이 대조군에 대해 사우치논 50μM 처리군의 SOD 활성이 11.4%(p<0.01), 사우치논 100μM 처리군의 SOD 활성이 22.1%(p<0.001)가 증가되어 사우치논의 처리에 의해 선충 체내의 항산화 효소인 SOD의 활성이 상당히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Catalase 활성 실험 결과, 도 6에서와 같이 대조군에 대해 사우치논 50μM 처리군의 Catalase 활성이 16.4%(p<0.01), 사우치논 100μM 처리군의 Catalase 활성이 34.8%(p<0.001)가 증가되어 사우치논의 처리에 의해 선충 체내의 항산화 효소인 Catalase의 활성이 상당히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4. ROS 축적 억제 활성 평가
4-1. 실험 방법
성장 단계가 동일한 N2 선충을 각각의 농도별(0μM, 50μM, 100μM)로 사우치논이 함유된 플레이트에서 배양하였다. 이때 선충의 배양 및 사우치논의 처리는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였다.
선충 세포 내 활성산소종(ROS)은 2',7'-디클로로디하이드로플로로신 디아세테이트(2',7'-dichlorodihydro fluorescein diacetate, H2DCF-D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성체가 된 후 4일째 50μM 주글론을 함유한 M9 완충액에 넣고 2시간 노출시킨 뒤 96-well 플레이트에 담긴 50μL M9 완충액에 5마리씩 옮겼다. 마지막으로 25μM H2DCF-DA 50μL를 첨가한 뒤 여기 485nm, 방출 535nm에서 흡광도를 각각 측정하였다.
4-2. 실험 결과
실험 결과, 도 7에서와 같이 대조군에 대해 사우치논 50μM 처리군의 ROS 축적이 19.1%(p<0.01), 사우치논 100μM 처리군의 ROS 축적이 31.7%(p<0.001)가 감소되어 사우치논의 처리에 의해 선충 세포 내의 ROS의 축적이 상당히 억제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5. 형질전환 선충 내 항산화 단백질 발현 증가 활성 평가
5-1. 실험 방법
성장 단계가 동일한 SOD-3::GFP 유전자를 함유한 선충 CF1553을 각각의 농도별(0μM, 50μM, 100μM)로 사우치논이 함유된 플레이트에서 배양하였다. 이때 선충의 배양 및 사우치논의 처리는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였다.
성체가 된 후 4일째에 사용하였으며, 선충은 소디움아자이드(sodium azide, 2%)로 마취시켰고, GFP 발현은 형광 실체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형광발현강도를 정량, 분석하기 위해 현미경을 이용한 사진 촬영과 ImageJ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5-2. 실험 결과
실험 결과, 도 8에서와 같이 항산화 단백질의 발현을 나타내는 형광의 강도가 대조군에 대해 사우치논 50μM 처리군에서 9.7%(p<0.5), 사우치논 100μM 처리군에서 50.6%(p<0.001)가 증가되어 사우치논의 처리에 의해 항산화 단백질의 발현이 상당하게 상승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6. 리포푸신 생성 억제 활성 평가
6-1. 실험 방법
성장 단계가 동일한 N2 선충을 각각의 농도별(0μM, 50μM, 100μM)로 사우치논이 함유된 플레이트에서 배양하였다. 이때 선충의 배양 및 사우치논의 처리는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였다.
성체가 된 후 8일째에 사용하였으며, 선충은 소디움아자이드(sodium azide, 2%)로 마취시켰고, 리포푸신은 형광 실체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6-2. 실험 결과
실험 결과, 도 9에서와 같이 리포푸신에 의한 형광이 대조군에 대해 사우치논 50μM 처리군에서 22.8%(p<0.01), 사우치논 100μM 처리군에서 29.3%(p<0.001)가 감소되어 사우치논의 처리에 의해 선충 세포 내의 리포푸신의 생성이 상당히 억제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7. 다른 생리작용에 대한 영향 평가
7-1. 실험 방법
성장 단계가 동일한 N2 선충을 각각의 농도별(0μM, 50μM, 100μM)로 사우치논이 함유된 플레이트에서 배양하였다. 이때 선충의 배양 및 사우치논의 처리는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였다.
생식능 측정은 모체와 자손을 구별하기 위해 L4 유충을 개별적으로 매일 깨끗한 플레이트에 옮겼으며, 자손은 L2 또는 L3 단계에서 계산하였다.
선충의 식이량 측정은 4, 8일이 된 성충을 깨끗한 NGM 플레이트로 옮겨 1분 동안 인두의 움직임을 측정하였다.
선충의 몸길이에 미치는 영향은 성충이 된 4일째에 측정하였다.
운동량에 미치는 영향은 성충이 된 4일과 8일째에 측정하였다.
몸길이와 운동량은 올림푸스 소프트웨어(Olympus software)를 이용해 분석하였고 모든 실험은 동일하게 수회 반복하였다.
7-2. 실험 결과
실험 결과, 도 10에서와 같이 사우치논 처리군 선충의 생식에 대한 영향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성 있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 11에서와 같이 사우치논 처리군 선충의 먹이 섭취에 대한 영향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성 있는 변화를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 12에서와 같이 사우치논 처리군 선충의 몸길이 변화는 대조군에 대해 사우치논 50μM 처리군에서 4.4%(p<0.5), 사우치논 100μM 처리군에서는 7.8%(p<0.01)가 길게 자란 것으로 관찰되어 선충의 성장에 영향을 미치기는 하지만 10% 이내로 그 효과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 13에서와 같이 사우치논 처리군 선충의 운동량 변화는 대조군에 대해 사우치논 처리군에서 성충 4일째는 거의 영향이 없으며, 성충 8일째에도 대조군에 대해 사우치논 처리군이 다소 운동량 증가가 있으나 농도 의존적이지 않고, 뚜렷한 증가가 나타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사우치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리포푸신(lipofuscin) 축적으로 인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리포푸신 축적으로 인한 질환은 리포푸신증(lipofuscinosis), 황반변성, 눈의 퇴행성 질환 및 스타카르트 질환(stargardt disease)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질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5. 사우치논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리포푸신 축적으로 인한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리포푸신 축적으로 인한 질환은 리포푸신증, 황반변성, 눈의 퇴행성 질환 및 스타카르트 질환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질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7. 사우치논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리포푸신 축적으로 인한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기능성 사료 조성물.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리포푸신 축적으로 인한 질환은 리포푸신증, 황반변성, 눈의 퇴행성 질환 및 스타카르트 질환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질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사료 조성물.
  9. 사우치논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예쁜꼬마선충(Caenorhabditis elegans)의 노화지연 또는 수명연장용 배지 조성물.
KR1020170068293A 2017-06-01 2017-06-01 삼백초 성분인 사우치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노화지연, 수명연장, 또는 리포푸신 축적으로 인한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8876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8293A KR101887631B1 (ko) 2017-06-01 2017-06-01 삼백초 성분인 사우치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노화지연, 수명연장, 또는 리포푸신 축적으로 인한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8293A KR101887631B1 (ko) 2017-06-01 2017-06-01 삼백초 성분인 사우치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노화지연, 수명연장, 또는 리포푸신 축적으로 인한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7631B1 true KR101887631B1 (ko) 2018-08-13

Family

ID=63250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8293A KR101887631B1 (ko) 2017-06-01 2017-06-01 삼백초 성분인 사우치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노화지연, 수명연장, 또는 리포푸신 축적으로 인한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763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1662A (ko) * 2019-01-23 2020-07-31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다마우론 d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수명 연장, 노화 지연, 또는 리포푸신 축적으로 인한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220147278A (ko) 2021-04-27 2022-11-03 (주)아모레퍼시픽 리포푸신 축적 억제 또는 리포푸신 제거용 조성물
CN116509870A (zh) * 2023-03-29 2023-08-01 大连理工大学 油菜花粉碱a在神经保护和脑疾病防治方面的新用途
CN117159524A (zh) * 2023-09-06 2023-12-05 中国人民解放军军事科学院军事医学研究院 亚油酰胺在抗衰老和/或延长寿命中的应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5625A (ko) * 1999-02-09 2000-09-15 김영중 사우치논을 함유하는 간세포 보호제
KR20130005118A (ko) * 2011-07-05 2013-01-15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사우치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위축 억제 및 예방용 조성물
JP6013670B1 (ja) * 2014-12-09 2016-10-25 株式会社日本自然発酵 老化抑制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5625A (ko) * 1999-02-09 2000-09-15 김영중 사우치논을 함유하는 간세포 보호제
KR20130005118A (ko) * 2011-07-05 2013-01-15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사우치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위축 억제 및 예방용 조성물
JP6013670B1 (ja) * 2014-12-09 2016-10-25 株式会社日本自然発酵 老化抑制剤

Non-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jelakovic G, Nikolova D, Gluud LL, Simonetti RG, Gluud C. Mortality in randomized trials of antioxidant supplements for primary and secondary prevention: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AMA. 2007 Feb 28;297(8):842-57.
Hwang BY, Lee JH, Nam JB, Hong YS, Lee JJ. Lignans from Saururus chinensis inhibiting the transcription factor NF-kappaB. Phytochemistry. 2003 Oct;64(3):765-71.
Jeong HJ, Koo BS, Kang TH, Shin HM, Jung S, Jeon S. Inhibitory effects of Saururus chinensis and its components on stomach cancer cells. Phytomedicine. 2015 Feb 15;22(2):256-61.
Lee AY, Han YA, Kim JE, Hong SH, Park EJ, Cho MH. Saururus chinensis Baill induces apoptosis through endoplasmic reticulum stress in HepG2 hepatocellular carcinoma cells. Food Chem Toxicol. 2015 Sep;83:183-92.
Lee DH, Kim DH, Oh IY, Kim SY, Lim YY, Kim HM, Kim YH, Choi YM, Kim SE, Kim BJ, Kim MN. Inhibitory effects of Saururi chinensis extracts on melanin biosynthesis in B16F10 melanoma cells. Biol Pharm Bull. 2013;36(5):772-9.
Moon SH, Choi SW, Park SJ, Ryu SY, Hwang KS, Kim CH, Kim SH. In vitro and in vivo Bone-Forming Activity of Saururus chinensis Extract. Phytother Res. 2015 Jul;29(7):1073-80.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1662A (ko) * 2019-01-23 2020-07-31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다마우론 d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수명 연장, 노화 지연, 또는 리포푸신 축적으로 인한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169416B1 (ko) 2019-01-23 2020-10-23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다마우론 d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수명 연장, 노화 지연, 또는 리포푸신 축적으로 인한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220147278A (ko) 2021-04-27 2022-11-03 (주)아모레퍼시픽 리포푸신 축적 억제 또는 리포푸신 제거용 조성물
US11744865B2 (en) 2021-04-27 2023-09-05 Amorepacific Corporation Composition for inhibiting lipofuscin accumulation or removing lipofuscin
CN116509870A (zh) * 2023-03-29 2023-08-01 大连理工大学 油菜花粉碱a在神经保护和脑疾病防治方面的新用途
CN117159524A (zh) * 2023-09-06 2023-12-05 中国人民解放军军事科学院军事医学研究院 亚油酰胺在抗衰老和/或延长寿命中的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eft Buckwheat phenolic metabolites in health and disease
EP3231437B1 (en) Aging inhibitor
KR101887631B1 (ko) 삼백초 성분인 사우치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노화지연, 수명연장, 또는 리포푸신 축적으로 인한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JP6417630B2 (ja) サーチュイン活性化剤
KR101682489B1 (ko) 대사성 증후군의 조절을 위한 스파란터스 인디커스 및 가르시니아 망고스타나 유래의 조성물
ES2587652T3 (es) Astaxantina para mejorar la atrofia muscular
KR20100129481A (ko) 2,5-비스-아릴-3,4-디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 리그난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에이엠피케이의 활성화에 의해 매개되는 비만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40045688A (ko) 클로렐라 유래 항산화 활성을 갖는 펩티드
KR100817600B1 (ko) 갈근추출물을 함유하는 약학조성물
KR101497109B1 (ko) Ppar 작용 조절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59483B1 (ko) 해조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경보호용 조성물
US20120004297A1 (en) Agent for alleviating vascular failure
Mir et al. Therapeutic potential of plant-derived flavonoids against inflammation
KR20200063772A (ko) 진세노사이드 Re를 포함하는 거저리 유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1188581B1 (ko) 향부자 메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패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30005118A (ko) 사우치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위축 억제 및 예방용 조성물
KR20160081189A (ko) 대황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츠하이머성 치매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837477B1 (ko) 뽕나무 잎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037774A (ko) 항산화 효능이 증가된 정향의 제조방법
KR20190129244A (ko) 넓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우울증 또는 스트레스 개선용 조성물 및 넓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조성물
KR102169416B1 (ko) 다마우론 d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수명 연장, 노화 지연, 또는 리포푸신 축적으로 인한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618160B1 (ko) 람부탄 씨 추출물,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플라보노이드를 세노모르픽 제제의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포의 노화 관련 증상 억제 및 노화 관련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조성물
KR20170068221A (ko) 흑메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염증성 신경퇴행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30020622A (ko) 유홍초 추출물 또는 유홍초 유래 화합물을 함유하는 항암 또는 항산화 조성물
CN115645431B (zh) 一种组合物及其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