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7610B1 - 변기시트 - Google Patents

변기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7610B1
KR101887610B1 KR1020170113739A KR20170113739A KR101887610B1 KR 101887610 B1 KR101887610 B1 KR 101887610B1 KR 1020170113739 A KR1020170113739 A KR 1020170113739A KR 20170113739 A KR20170113739 A KR 20170113739A KR 101887610 B1 KR101887610 B1 KR 101887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rest
backrest
user
sea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3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산해영
Original Assignee
조현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현언 filed Critical 조현언
Priority to KR1020170113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76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7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76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7/00Other equipment, e.g. separate apparatus for deodorising, disinfecting or cleaning devices without flushing for toilet bowls, seats or covers; Holders for toilet brushes
    • A47K17/02Body supports, other than seats, for closets, e.g. handles, back-rests, foot-rests; Accessories for closets, e.g. reading tab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시트는, 사용자의 엉덩이를 받치는 변기; 상기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 상기 사용자의 발을 받치며, 위치가 조절되는 발판; 및 상기 변기 및 등받이와 연결되어 수직 및 수평방향의 하중을 지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발판은, 상기 프레임과 연결되어 상기 변기 및 상기 등받이와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변기시트{Toilet seat}
본 발명은 변기시트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쾌변이 가능한 변기시트에 관한 것이다.
많은 현대인들이 겪고 있는 변비는 흔히 변을 보는 간격이 긴 경우를 말하지만, 대변이 너무 굳어서 변을 보기가 어렵거나 대변 양이 너무 적은 경우, 변을 보고 나서도 시원치 않은 경우, 관장이나 변비 약을 복용해야만 변을 볼 수 있는 경우 등을 포함한다. 의학적으로는 1주일에 3회 이하의 배변, 대변 양이 30g 이하인 경우, 변을 보고 나서도 시원하지 않거나 자꾸 변을 보고 싶은 느낌이 드는 경우를 변비라고 한다.
짧은 기간의 변비는 별 문제가 되지 않지만 만성이 되면 복부 팽만감, 복통, 식용감퇴, 두통 피부발진, 어깨 결림 등 전신증상이 생기며 치핵이나 치열과 같은 다른 항문 질활이 생기기도 하고, 장내 세균의 이상 증식으로 인해 대장암으로 진행될 수도 있다.
변비 증상이 3개월 이상 지속되는 경우 만성변비증이라고 하는데, 만성 변비의 원인으로는 첫째, 대장이 아닌 다른 질환이나 약물에 의한 변비, 둘째, 대장이나 직장항문의 구조적 이상이 발생하여 오는 기질적 변비, 셋째, 대장, 직장 및 항문의 기능 이상으로 오는 기능적 변비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이 중에서 대부분은 직장 항문의 기능 이상으로 생기는 기능성 변비이다.
기능성 변비는 대장의 움직임이 전반적으로 떨어져 생기는 이완형 변비, 대장의 일부분의 움직임이 떨어져서 새기는 이상운동형 변비, 골반 출구 폐쇄로 인한 직장형 변비로 다시 크게 나눌 수 있다.
직장형 변비는 배변 자세와 관련이 된다. 현대인들이 사용하는 좌변기는 서양인들이 사용하던 높이와 구조를 그대로 들여와 사용하기 때문에 서양인들 보다 키가 작고 체구도 작은 동양인들은 좌변기에 착석했을 때 변이 아주 나오기 힘든 꾸부정한 자세가 된다. 이러한 꾸부정한 자세로 인해 변이 시원하게 나오지 않게 되고 변이 가늘게 나오고, 이것을 시원히 볼려고 배에 힘을 많이 주거나 배를 주무르거나 하는 편법 등이 생긴다.
배에 힘을 주게 되면 배 근육과 골반 근육이 같은 신경계에 의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항문을 오히려 오무린 상태에서 변이 나오는 모순적인 결과를 나타내게 되고, 그렇게 되면 변을 시원히 보기 위해 더 많은 힘을 항문에 주게 되고 자꾸 많은 힘이 배에 들어가서 직장이 늘어나고 변비가 악화되는 악순환을 겪게 된다.
우리가 재래식 화장실에서 변을 볼때는 허리가 곧게 펴지고, 골반이 뒤로 빠져서 항문이 잘 벌어지고, 골반 근육이 펴지는 자세가 되어서 의학적으로 아주 변을 보기 수월한 자세가 된다는 것이 알려졌다.
이에 좌변기에 착석시에 재래식 화장실에서와 같은 배변 자세가 취해지도록 좌대(변기시트)의 전방을 허벅지가 들려지도록 후방보다 높게 돌출되도록 하는 연구 및 개발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체형의 사람들 각각에게 편안한 배변 자세를 이룰 수 있도록 제어하는 변기시트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시트는, 사용자의 엉덩이를 받치는 변기; 상기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 상기 사용자의 발을 받치며, 위치가 조절되는 발판; 및 상기 변기 및 등받이와 연결되어 수직 및 수평방향의 하중을 지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발판은, 상기 프레임과 연결되어 상기 변기 및 상기 등받이와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발판과 상기 프레임을 연결하는 발판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발판은, 상기 발판 연결부를 통해서 프레임과 연결됨으로써, 상기 좌대 및 상기 등받이와 일체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레임 상의 상기 좌대와 상기 등받이가 연결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발판 연결부와 연결되어 상기 발판의 위치를 조절하는 발판 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발판 조절부는, 상기 발판 연결부를 회전시켜 상기 발판의 위치를 상하 또는 전후로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레임은, 상기 발판 조절부와 연결되며, 상기 좌대 및 상기 등받이의 양측면에 형성되고 외부의 바닥에 수직하게 형성되어, 상기 좌대, 상기 등받이 및 상기 발판 조절부의 수직 하중을 지지하는 수직 부재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수직 부재들을 통해서 상기 좌대, 상기 등받이 및 상기 발판의 수직 하중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좌대, 상기 등받이 및 상기 발판이 일체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수직 부재들이 서로 연결되도록 상기 수직 부재들에 수직하게 형성되며, 상기 수직 부재들의 상측에 상기 등받이를 후방에서 받치도록 배치되어, 상기 등받이의 후방 힘을 상기 수직 부재들과 함께 지지하는 지지 부재; 및 상기 수직 부재들의 상측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수직 부재들 및 상기 지지 부재를 상기 외부의 벽에 고정하는 고정 부재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고정 부재들이 상기 지지 부재와 직접 연결되어, 상기 외부의 벽에 수직하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지지 부재의 상기 등받이의 후방 힘이 추가로 지지되어 변기에 상기 등받이를 받치는 부재가 없더라도 상기 고정 부재들 및 상기 지지 부재를 통해서 상기 등받이를 고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좌대는, 상기 엉덩이를 받치는 후방부와, 상기 후방부에서 상부로 돌출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의 허벅지가 들려지도록 받치는 전방부를 가지고, 상기 등받이는, 상기 사용자의 허리가 전방으로 들어가고 꼬리뼈 쪽이 후방으로 나와 상기 사용자의 골반 근육이 펴지도록 하며, 상기 발판은, 상기 사용자가 쪼그려앉도록 위치 조절되고, 상기 좌대, 상기 등받이 및 상기 발판을 통해서 상기 사용자의 직장 각도가 30도 내지 40도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변기시트는, 발판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체형의 사용자들에게 쾌변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변기시트는, 발판의 높이를 조절하는 조절부를 등받이를 보강하는 프레임에 결합하여 발판이 변기시트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분실의 위험성이 줄어들고 높이 조절의 폭이 커져 더욱 폭넓은 사용자들을 만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변기시트는, 등받이를 보강하는 프레임을 구비하여 내구성을 강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기시트를 좌변기에 장착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기시트를 좌변기에 장착한 사용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기시트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기시트의 돌출조절수단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기시트의 전기자극부재의 구동을 위한 구동부의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기시트를 좌변기에 장착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기시트를 좌변기에 장착한 사용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기시트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기시트의 돌출조절수단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기시트의 전기자극부재의 구동을 위한 구동부의 블럭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기시트는, 좌대(10), 커버(20), 돌출조절수단(30), 발판(41), 발판 연결부(42), 발판 조절부(43), 프레임(50), 전기자극부재(60) 및 구동부(70)를 포함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기시트를 설명하도록 한다.
좌대(10)는, 변기(80; 좌변기) 위에 올려져 사용자(도시하지 않음)의 엉덩이(도시하지 않음)와 허벅지(도시하지 않음)를 받치고, 후방이 후술할 커버(20)와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좌대(10)는, 엉덩이를 받치는 후방부(13)와 허벅지를 받치는 전방부(11)로 구성되는데, 전방부(11)는, 후방부(13)보다 더 높게 상부로 돌출되어 허벅지를 들어 올리게 된다.
그리하여 좌대(10)에 착석한 사용자는 엉덩이가 내려가고 무릎(도시하지 않음)은 올라가 재래식 화장실의 배변 자세가 자연스럽게 취해지게 되고, 착석한 사용자의 무게 중심이 살짝 뒤쪽으로 형성되면서 허리(도시하지 않음)가 펴지고, 펴진 허리는 후술할 커버(20)의 받침부(21)에 받쳐져 편안한 자세를 유지하게 된다.
즉, 좌대(10)는, 후술할 등받이(21) 및 발판(41)을 통해서 사용자의 직장 각도가 30도 내지 40도가 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재래식 화장실의 배변 자세 즉, 매우 바람직한 배변활동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배변 자세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변비 등의 질병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커버(20)는, 좌대(10)의 후방에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사용 시에는 후술할 등받이(21)를 통해 사용자의 허리를 받치고, 미 사용 시에는 좌대(10)를 덮을 수 있다.
커버(20)는, 사용자의 사용 시 사용자와 대면하는 일측에 사용자의 허리를 받쳐주는 등받이(21)가 형성될 수 있다.
등받이(21)는,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며 사용자의 허리가 전방으로 들어가고 꼬리뼈(도시하지 않음) 쪽이 후방으로 나와 사용자의 골반 근육이 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등받이(21)는, 좌대(10) 및 발판(41)을 통해서 사용자의 직장 각도가 30도 내지 40도가 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변비 등의 질병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돌출조절수단(30)은, 좌대(10)의 전방부(11)의 돌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돌출조절수단(30)은, 좌대(10)의 저면에서 전방측 양측으로 형성되는 레일홈(31)과 양측의 레일홈(31)에 각각 안치되며 레일홈(31)을 따라 이동하는 두 이동블럭(33)과 두 이동블럭(33)을 연결하는 연결바(35)와, 연결바(35)에 연결되어 있으며, 좌대(10)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파지하는 조절레버(37)를 포함하고, 레일홈(31)의 바닥면과 이동 블럭(33)의 상부면에서는 서로 대응하는 각도로 경사진 경사부(311,331)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돌출조절수단(30)은, 좌대(10)의 전면에 조절레버(37)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고, 조절레버(37)가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장홀(39)이 형성되고, 장홀(39)은 조절레버(37)가 수용되는 수용홈(38)에 다수 형성되어 있고, 레일홈(31)의 하부에는 안치된 이동블럭(33)이 레일홈(31)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돌출부(313)가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고, 이동블럭(33)에는 레일홈(31)에서 이탈되지 않으면서 하부가 레일홈(31)의 외부로 노출되어 돌출되도록 단차진 단차부(33)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돌출조절수단(30)은 조절레버(37)가 일측으로 완전히 젖혀져 있는 상태에서는 이동블럭(33)이 레일홈(31)에 깊숙이 안치되어 있지만, 사용자가 조절레버(37)를 타측으로 밀면, 이동블럭(33)이 타측으로 이동하면서 이동블럭(33)의 경사부(331)가 레일홈(31)의 경사부(311)를 타고 들어가 이동블럭(33)의 하부가 좌대(10)의 저면 외부로 노출되어 돌출되고, 그에 따라 좌대(10)의 전방부(11)가 들어 올려져 돌출 높이를 올린다.
위와 같이 좌대(10)의 전방부(11)가 후방부(13)보다 더 높은 변기시트를 통상의 좌변기(80)에 올려놓고 사용하게 되면 대부분의 사용자는 발(도시하지 않음)이 바닥에 닿지 않게 되어 불편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사용자가 발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발판(41)을 구비하되, 발판(41)은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편안한 자세로 발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높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발판(41)은, 사용자의 발을 받치며, 사용자가 쪼그려 앉을 수 있도록 위치가 조절된다.
또한, 발판(41)은 후술할 프레임(50)과 연결되어 좌대(10) 및 등받이(21)와 실질적으로 일체화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발판(41)은 발판 연결부(42)를 통해서 프레임(50)과 연결될 수 있다.
발판 연결부(42)는, 발판(41)과 프레임(50)을 연결할 수 있으며, 발판(41)이 좌대(10) 및 등받이(21)와 일체화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발판 연결부(42)는 재질이 연질로 형성되어 형상이 변경가능하도록 형성되어 발판 조절부(43)의 조절에 더해 사용자가 더욱 편한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조절할 수 있다.
발판 조절부(43)는, 프레임(50) 상의 좌대(10)와 등받이(21)가 연결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발판 연결부(42)와 연결되어 발판(41)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발판 조절부(43)는, 발판 연결부(42)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발판 연결부(42)를 회전시킴으로써 발판(41)의 위치를 상하 또는 전후로 조절할 수 있다.
즉, 발판(41)은, 좌대(10) 및 등받이(21)를 통해서 사용자의 직장 각도가 30도 내지 40도가 되도록 할 수 있다.
프레임(50)은, 좌대(10) 및 등받이(21)와 연결되어 수직 및 수평 방향의 하중을 지지하며, 수직부재(51), 지지부재(52) 및 고정부재(53)로 구성될 수 있다.
수직부재들(51)은, 발판 조절부(43)와 연결되며, 좌대(10) 및 등받이(21)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고, 외부의 바닥(도시하지 않음)에 수직하게 형성되어 좌대(10), 등받이(21) 및 발판 조절부(43)의 수직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프레임(50)은 수직부재들(51)을 통해서 좌대(10), 등받이(21) 및 발판(41)의 수직 하중을 지지함과 동시에 좌대(10), 등받이(21) 및 발판(41)이 일체화하도록 할 수 있다.
지지부재(52)는 수직 부재들(51)이 서로 연결되도록 수직 부재들(51)에 수직하게 형성되며, 수직 부재들(51)의 상측에 등받이(21)를 후방에서 받치도록 배치되어 등받이(21)의 후방 힘을 수직 부재들(51)과 함께 지지할 수 있다.
고정부재들(53)은 수직 부재들(51)의 상측에 각각 형성되며, 수직 부재들(51) 및 지지 부재(52)를 외부의 벽(도시하지 않음)에 고정할 수 있다.
프레임(50)은, 고정 부재들(53)이 지지 부재(52)와 직접 연결되어 외부의 벽에 수직하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지지 부재(52)의 등받이(21)의 후방 힘이 추가로 지지되어 변기(80)에 등받이(21)를 받치는 부재가 없더라도 고정 부재들(53) 및 지지 부재(52)를 통해서 등받이(21)를 고정할 수 있다.
전기자극부재(60)는 좌대(10)에 착석한 사용자의 골반 부위에 접촉되어 꼬리뼈나 척추 부위에 전기 자극을 가할 수 있다. 여기서 전기 자극은 일반적으로 미세한 전류 펄스를 의미하지만, 공급되는 전기에 의해 진동하여 자극하는 진동 자극을 포함할 수 있다.
전기자극부재(60)는 사용자의 골반 부위의 천추 신경에 전기 자극을 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사용자는 반사작용으로 대장의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이것이 직장 내부의 압력을 증가시켜 변을 항문쪽으로 밀어내는 작용을 하여 쾌변을 유도하도록 할 수 있다.
전기자극부재(60)는 골반 부위의 꼬리뼈나 천추에 전기 자극을 가하는데, 5개의 천추 중에 1번과 2번에 전기 자극을 가하여 장의 운동을 보다 활발하게 유도할 수 있다.
전기자극부재(60)는, 진공흡착부(61)와, 피부를 통해 골반부위의 꼬리뼈나 천추의 척추신경계로 전기 펄스를 인가하는 전기자극부(63)와, 좌대(10) 또는 커버(20)에 결합시키는 결합부(65)를 포함할 수 있다.
진공흡착부(61)는 반구형상을 하며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져, 형상의 변형이 가능하고, 착석한 사용자의 골반부위 피부에 밀착되어 진공흡착될 수 있다.
진공흡착부(61)는, 피부에 밀착되어 진공흡착됨으로써, 착석한 사용자가 일정범위 내에서 움직이더라도 초기 흡착된 부위를 벗어나지 않고 지속적으로 같은 부위에 흡착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전기자극부(63)는, 진공흡착부(61)의 내측 중앙에 배치되어, 진공흡착부(61)가 착석한 사용자의 피부에 진공흡착 시 피부에 밀착되고 밀착된 피부를 통해 피부 내측의 척추신경계(즉, 꼬리뼈와 천추)에 전기 펄스를 인가함으로써, 장운동을 촉진하여 배변을 유도할 수 있다.
결합부(65)는, 좌대(10) 또는 커버(20)에 결합되어, 진공흡착부(61)와 전기자극부(63)가 자연스럽게 착석한 사용자의 골반부위를 향하도록 할 수 있다.
결합부(65)는 착석한 사용자가 누르는 가압력에 의해 손상되지 않고,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일정범위 내에서 휘어질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전기자극부(63)가 지속적으로 같은 부위에 전기 펄스를 인가하도록 할 수 있다.
구동부(70)는, 전원부(71)와 전압 증폭부(73)와, 주파수 가변을 위한 제어부(74)와 스위칭 부(77)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75)는, 전압증폭부(73)와 스위칭 부(77)의 스위치를 온/오프 제어하기 위한 PWM(Pulse Width Modulation) 신호를 발생시키는 마이크로 컨트롤러이며, 전압조절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가 외부의 제어 버튼(도시하지 않음)을 눌러서 원하는 출력 전압값을 결정하면 전압 증폭부(73)의 스위치에 들어가는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스위칭 듀티(Duty)를 제어하여 전압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는 제어 버튼을 통해 전원 펄스의 듀티를 조절할 뿐만 아니라, 전원 펄스의 세기(즉, 진폭)와, 전원 펄스의 인가 시간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압증폭과 아울러 신호의 주파수를 가변하기 위해 제어부(75)에서 스위칭 부(77) 스위치의 PWM 신호를 제어하며 제어 버튼에 의해서 10~100Hz 까지 펄스 주기를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75)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신호는 도 5의 (b)와 같이 제1턴-온구간에서 50us, 제1턴-오프구간에서100us, 제2턴-온구간에서 50us의 신호를 발생시키고, 제2턴-오프구간을 가변하여 스위칭 주파수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통상적인 사각형 형태의 (+)(-) 파형이 아니라 파형이 둥그스름하게 곡선을 그리며 상승후 최고점에 도달 후 지속시간을 유지한 뒤 직선으로 떨어지게 함으로써 초기 자극 시 갑작스런 자극으로 인한 부담감을 줄이고 친밀감을 높이면서 서서히 자극을 가한 뒤 최고점에서 충분한 자극으로 효과를 올릴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통상적인 (+)(-) 파형과 달리 (+)파형을 유지하면서 일정한 자극과 휴식기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종합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변기시트는, 발판(41)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체형의 사용자들에게 쾌변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변기시트는, 발판(41)의 높이를 조절하는 발판 조절부(43)를 등받이(20)를 보강하는 프레임(50)에 결합하여 발판(41)이 변기시트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분실의 위험성이 줄어들고 높이 조절의 폭이 커져 더욱 폭넓은 사용자들을 만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변기시트는, 등받이(20)를 보강하는 프레임(50)을 구비하여 내구성을 강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좌대 20: 커버
30: 돌출조절수단 41: 발판
42: 발판 연결부 43: 발판 조절부
50: 프레임 51: 수직 부재
52: 고정 부재 53: 지지 부재
531: 등받이 지지부 60: 전기자극부재
70: 구동부 80: 변기

Claims (6)

  1. 사용자의 엉덩이를 받치는 좌대;
    상기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
    상기 사용자의 발을 받치며, 위치가 조절되는 발판;
    상기 좌대 및 상기 등받이와 연결되어 수직 및 수평방향의 하중을 지지하는 프레임;
    상기 등받이가 형성되며 상기 좌대의 상부를 덮거나 열도록 형성되는 커버;
    상기 커버를 추가적으로 지지하며, 지지부재 상에 형성되는 등받이 지지부;
    상기 발판과 상기 프레임을 연결하는 발판 연결부; 및
    상기 프레임 상의 상기 좌대와 상기 등받이가 연결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발판 연결부와 연결되어 상기 발판의 위치를 조절하는 발판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판은,
    상기 프레임과 연결되어 상기 좌대 및 상기 등받이와 일체화되고,
    상기 프레임은,
    외부의 바닥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수직 부재;
    상기 등받이를 후방에서 받치도록 배치되는 지지 부재; 및
    상기 수직 부재들의 상측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수직 부재들 및 상기 지지 부재를 상기 외부의 벽에 고정하는 고정 부재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재들은,
    상기 지지 부재와 직접 연결되어, 상기 외부의 벽에 수직하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지지 부재의 상기 등받이의 후방 힘이 추가로 지지되어 변기에 상기 등받이를 받치는 부재가 없더라도 상기 고정 부재들 및 상기 지지 부재를 통해서 상기 등받이를 고정하며,
    상기 고정 부재들은,
    상기 수직 부재들 및 상기 지지 부재가 상기 외부의 벽에 기설정간격 이격되도록 한 후 상기 지지 부재의 상기 등받이의 후방 힘이 추가로 지지되도록 하여, 상기 지지 부재와 상기 외부의 벽 사이에 물체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발판은,
    상기 발판 연결부를 통해서 상기 프레임과 연결됨으로써, 상기 좌대 및 상기 등받이와 일체화되며,
    상기 발판 조절부는,
    상기 발판 연결부를 회전시켜 상기 발판의 위치를 상하 또는 전후로 조절하고,
    상기 발판 연결부는,
    재질이 연질로 형성되어 형상이 변경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발판 조절부의 조절에 더해 사용자가 더욱 편한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시트.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부재들은,
    상기 발판 조절부와 연결되며, 상기 좌대 및 상기 등받이의 양측면에 형성되고 외부의 바닥에 수직하게 형성되어, 상기 좌대, 상기 등받이 및 상기 발판 조절부의 수직 하중을 지지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수직 부재들을 통해서 상기 좌대, 상기 등받이 및 상기 발판의 수직 하중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좌대, 상기 등받이 및 상기 발판이 일체화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시트.
  5. 삭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좌대는, 상기 엉덩이를 받치는 후방부와, 상기 후방부에서 상부로 돌출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의 허벅지가 들려지도록 받치는 전방부를 가지고,
    상기 등받이는, 상기 사용자의 허리가 전방으로 들어가고 꼬리뼈 쪽이 후방으로 나와 상기 사용자의 골반 근육이 펴지도록 하며,
    상기 발판은, 상기 사용자가 쪼그려앉도록 위치 조절되고,
    상기 좌대, 상기 등받이 및 상기 발판을 통해서 상기 사용자의 직장 각도가 30도 내지 40도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시트.
KR1020170113739A 2017-09-06 2017-09-06 변기시트 KR1018876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739A KR101887610B1 (ko) 2017-09-06 2017-09-06 변기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739A KR101887610B1 (ko) 2017-09-06 2017-09-06 변기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7610B1 true KR101887610B1 (ko) 2018-09-10

Family

ID=63594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3739A KR101887610B1 (ko) 2017-09-06 2017-09-06 변기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761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4234B1 (ko) 2021-04-05 2021-09-17 박채성 발받침대가 구비된 변기좌판
KR20240056166A (ko) * 2022-10-21 2024-04-30 주식회사 쿼스 등받이를 갖춘 좌변기용 안전손잡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2073A (ja) * 2000-12-06 2002-06-18 Om Kiki Corp 洋式腰掛便器用背もたれ装置
KR200355554Y1 (ko) * 2004-04-14 2004-07-07 김성우 휠체어 등받이 및 발받침 각도조절장치
JP2005111044A (ja) * 2003-10-09 2005-04-28 Yamatomekku:Kk 便座付き車椅子
KR101196482B1 (ko) * 2012-04-26 2012-11-01 조현언 쾌변을 위한 변기시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2073A (ja) * 2000-12-06 2002-06-18 Om Kiki Corp 洋式腰掛便器用背もたれ装置
JP2005111044A (ja) * 2003-10-09 2005-04-28 Yamatomekku:Kk 便座付き車椅子
KR200355554Y1 (ko) * 2004-04-14 2004-07-07 김성우 휠체어 등받이 및 발받침 각도조절장치
KR101196482B1 (ko) * 2012-04-26 2012-11-01 조현언 쾌변을 위한 변기시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4234B1 (ko) 2021-04-05 2021-09-17 박채성 발받침대가 구비된 변기좌판
KR20240056166A (ko) * 2022-10-21 2024-04-30 주식회사 쿼스 등받이를 갖춘 좌변기용 안전손잡이
KR102665206B1 (ko) * 2022-10-21 2024-05-13 주식회사 쿼스 등받이를 갖춘 좌변기용 안전손잡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155954A1 (en) Device for strengthening pelvic floor muscle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227749B1 (ko) 골반저근 강화연습용 디바이스 및 이의 제어방법
KR200460173Y1 (ko) 쾌변을 위한 좌변기용 발판
KR101887610B1 (ko) 변기시트
KR20150032451A (ko) 휴대용 척추 교정 등받침
JP2017113251A (ja) マッサージ機
US9414979B2 (en) Heel support device for circulation improvement
JP2005137532A (ja) 腰掛け式便器
KR101376989B1 (ko) 복식호흡 및 괄약근 운동이 가능한 걸상형 의료기기
KR101196482B1 (ko) 쾌변을 위한 변기시트
KR20140005656A (ko) 배변촉진 변기시트
KR100972724B1 (ko) 기능성 좌판
KR101843014B1 (ko) 쾌변 유도 좌변장치
JP2007054240A (ja) ツボ刺激機能付便座システム
KR101502128B1 (ko) 요가 의자
KR20170016063A (ko) 의자 설치용 허리보호대
KR101055014B1 (ko) 배받이가 구비된 기능성의자
KR100485651B1 (ko) 좌대형 골반 교정장치
KR102239532B1 (ko) 전자석을 이용한 자세 감응형 틸팅 베개
JP2004526496A (ja) 治療用ベッド、治療器および治療装置
JP2013146369A (ja) 老化遅延装置
KR100752939B1 (ko) 기능성 침대
CN110464242A (zh) 一种坐便器
KR20130004961U (ko) 좌변기용 쾌변 도움 발판
CN209862948U (zh) 一种多功能可调式体位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