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2939B1 - 기능성 침대 - Google Patents

기능성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2939B1
KR100752939B1 KR1020060094615A KR20060094615A KR100752939B1 KR 100752939 B1 KR100752939 B1 KR 100752939B1 KR 1020060094615 A KR1020060094615 A KR 1020060094615A KR 20060094615 A KR20060094615 A KR 20060094615A KR 100752939 B1 KR100752939 B1 KR 1007529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ow
length
upper body
thigh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4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순
Original Assignee
정성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성순 filed Critical 정성순
Priority to KR1020060094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29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2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29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0/00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 A47C20/08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with means for adjusting two or more rests simultaneousl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0/00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 A47C20/02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of detachable or loos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0/00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 A47C20/02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of detachable or loose type
    • A47C20/021Foot or leg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0/00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 A47C20/04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with adjustable inclination
    • A47C20/042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with adjustable inclination by means of screw-and-nut mechanis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0/00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 A47C20/04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with adjustable inclination
    • A47C20/048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with adjustable inclination by fluid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바닥면이 인체 구조를 고려한 부드러운 굴곡으로 형성되도록 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체바닥부와 허벅지바닥부와 종아리바닥부가 일정한 각도와 기울기로 형성되고, 무릎과 둔부와 목을 받치는 부분이 부드러운 곡선으로 되며, 인간체형에 따라 상체바닥부와 허벅지바닥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고, 베개의 높이 및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 기능성 침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능성 침대는 사용하는 사람이 편안한 다리자세를 유지하고, 등과 허리와 목 부분이 인간체형에 맞게 형성되어 안락한 수면을 취할 수 있고, 척추교정은 물론 혈액순환을 돕고 허리가 편안하여 숙면자세가 바르게 되며, 특이 허리가 불편한 노약자에게 충분한 휴식을 취하게 하고, 하루 일과에서 가장 피로가 쌓이는 다리의 피로를 해소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숙면자의 체형에 맞게 침대 바닥면의 굴곡을 조절할 수 있어 상기의 효과들을 증대시키며, 목과 뒷머리를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 충분히 젖힐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기호에 맞출 수 있다.
침대, 기능성, 굴곡, 목 기울기, 길이조절

Description

기능성 침대{Functional Bed}
도 1은 일반적인 숙면자세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침대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베개의 높이 조절수단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베개의 기울기 조절수단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침대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침대틀 200 : 상체부
210 : 하체부지지틀 300 : 하체부
400 : 베개부 410 : 베개높이조절수단
420 : 베개기울기조절수단 500 : 상체길이조절수단
600 : 하체길이조절수단
본 발명은 바닥면이 인체 구조를 고려한 부드러운 굴곡으로 형성되기 위한 수단으로 상체바닥부, 허벅지바닥부 및 종아리바닥부가 수평면에 대하여 일정한 기울기를 갖으며, 상기 상체바닥부와 상기 허벅지바닥부가 접하는 면 및 상기 허벅지바닥부와 상기 종아리바닥부가 접하는 면은 일정한 각과 부드러운 곡선으로 형성되고, 인간체형에 따라 상체바닥부와 허벅지바닥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베개의 높이 및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는 기능성 침대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척추는 측면에서 보면 S자의 형태를 이루므로, 누워 있을 때에는 평평한 바닥면과 접촉하는 부분이 신체의 일부분에 한정되며, 결과적으로 인간의 몸무게에 따른 중력이 바닥면과 접하는 신체부위에 집중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침대에서 인간의 숙면자세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간이 누워 있는 자세에서는 신체부위 중에서 허벅지(13), 요추(15), 목(17)부분과 평평한 바닥면(10)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고, 이곳에 작용하는 중력은 평평한 바닥면(10)과 접하는 발뒤꿈치(11), 종아리(12), 둔부(14), 어깨(16), 후두부(18) 등으로 치우치게 된다. 이러한 자세에서는 특히 요추(15)부분과 목(17)부분에서 척추마디와 마디 사이의 변형을 유발할 수 있고, 중력의 편중으로 인하여 불편한 숙면자세를 갖게 한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는 실용신안 등록 제0319918호의 "세표형 침대", 실용신안 등록 제0306147호의 "다목적 건강침대", 특허출원 공개공보 제2003-0097672의 "침대등에 있어서의 등,무릎바닥부 연동동작 기구" 가 있다. 하지만, 상기의 출원발명 등은 구성이 복잡하거나, 신체부위의 길이에 따른 조절장 치가 없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휴식의 공간 또는 의료 공간으로서 병원, 요양시설, 목욕탕, 찜질방, 휴게실 등에서는 등받이가 경사면을 이루고, 다리부분도 굴곡을 형성하며, 다양한 인간체형에 맞게 어깨에서 둔부까지의 길이와 허벅지 부분의 길이가 조절되야 함은 물론, 베개의 높이 및 기울기도 조절되는 침대가 요구된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의 조건들을 겸비한 침대의 구성을 제공하지 못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체바닥부, 허벅지바닥부 및 종아리바닥부가 수평면에 대하여 일정한 기울기로 형성되고, 상기의 상체바닥부, 허벅지바닥부 및 종아리바닥부가 일정한 각도를 이루려 부드러운 굴곡을 형성하며 접합되는 기능성 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기능성 침대를 각기 다른 인간 체형에 따라서 상체부분과 다리부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고, 침대 사용자가 베개의 높이 및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는 기능성 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체부(200) 바닥면이 수평면을 기준으로 일정한 기울기로 형성됨과; 하체부(300)의 허벅지부(250)가 상체부(200)를 기준으로 일정한 기울기로 형성됨과; 상기 하체부(300)중 무릎관절부(340)를 기준으 로 부드러운 굴곡이 형성됨과; 인간의 상체 길이에 따라 조절할 수 있는 상체길이조절수단(500)과; 인간의 하체 길이에 따라 조절할 수 있는 하체길이조절수단(600)과; 베개부(400) 높이와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는 베개조절수단(410,42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함에 주의해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침대의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체부(200)와 하체부지지틀(210)이 수평면을 기준으로 일정한 기울기를 갖도록 침대틀(100)이 형성된다. 상기 침대틀(100) 위에 형성되는 침대 바닥면은 상체부(200), 하체부(300), 베개부(400) 및 하체부지지틀(210)로 구성되며, 상기 하체부지지틀(210)은 상체부(200)와 상기 하체부(300)가 접속되어 둔부(240)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하체부(300)를 지지한다.
본 발명은 구동수단으로 상기 상체부(200)와 상기 하체부지지틀(210)의 거리를 조절하는 상체길이조절수단(500)과, 상기 하체부(300)과 상기 하체부지지틀(210)의 길이를 조절하는 하체길이조절수단(600)과, 베개의 높이와 기울기를 조 절하는 베개높이조절수단(410)과 베개기울기조절수단(420)이 포함된다.
상기의 구성은 누워 있을 때에 요추부분이 직선에 가깝게 펴지도록 상기 상체부(200)가 경사지게 형성되고, 둔부(240)를 기준으로 상기 상체부(200)와 상기 하체부(300)의 허벅지부(310)가 일정한 각을 형성한다. 따라서, 누워 있는 사람은 등부분의 전체가 상체부(200)의 바닥면에 닿게 되어 편안하고 안락한 자세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하체부(300)은 무릎관절부(340)을 기점으로 허벅지부(310)와 종아리부(320)가 일정한 각을 이루며 형성되므로 누워 있는 사람의 다리를 편안하게 한다. 상기와 같이 각을 이루는 부분인 상기 무릎관절부(340)와 상기 둔부(240)는 신체구조에 맞게 부드러운 곡선을 형성하여 더욱 편안한 자세가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수평면에 대한 상기 상체부(200)의 기울기는 10도 내지 20도에서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허벅지부(250)는 수평면에 대하여 10도의 기울기 즉 상기 상체부(200)와 150도 내지 160도의 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아리부(320)는 상기 허벅지부(250)와의 접합부에서 수평면과 10도 이내의 기울기로 비스듬히 떨어지는 형태가 바람직하다. 또한, 베개부(400)는 목이 뒤로 뒤쳐지게 하되 원하는 기울기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굴곡을 형성하는 침대 바닥면은 침대 사용자의 혈액순환이 잘 되게하고, 허리가 편안하여 숙면자세가 바르게 하여 충분한 휴식을 취하게 하고, 하루 일과에서 가장 피로가 쌓이는 다리의 피로를 해소할 수 있게 한다.
다음은 상기의 구동수단(500,600,410,420)을 이용하여 상체부의 길이와 하체 부의 길이를 조절하는 구동 방식과, 베개의 높이 및 기울기를 조절하는 구동 방식을 설명한다.
상체길이조절수단(500)를 가동하면 하체부지지틀(210)이 연동하여 침대틀(100)의 경사면을 따라 상하 운동을 하고, 상기 하체부지지틀(210)에 고정된 상체접속부(220) 또한 상체부(200)로 삽입 운동을 하므로, 인체의 체형에 맞게 등이 접하는 면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하체길이조절수단(600)을 가동하면 하체부(300)가 하체부지지틀(210)의 경사면(230)을 따라서 이동하고, 동시에 하체접속부(320)가 하체부지지틀(210)의 허벅지부(250)로 삽입 운동을 하므로, 인체의 체형에 맞게 허벅지가 접하는 면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체길이조절수단(500)과 하체길이조절수단(600)으로 사람의 상체길이와 하체길이에 따라 침대를 조절하여 체형에 맞는 침대를 구현할 수 있다.
도 3은 베개부(400)의 높이를 조절하는 수단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에 따르면 상기 베개부(40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베개높이조절수단(410)에 의해 작동되는 높이조절피스톤(412)과 베개기울기조절수단(420)에 의해 작동되는 기울기조절피스톤(423)이 동시에 상하 운동을 한다.
도 4는 베개부(400)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수단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에 따르면 베개부(400)의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베개기울기조절수단(420)에 의해 작동되는 피스톤(423)이 상하 운동을 한다. 상기의 동작과정에서 베개부(400)의 기울기가 변함에 따라서 상기 베개기울기조절수단(420)도 좌우로 선 회가 가능하게 하는 브라켓(410)이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베개의 높이와 기울기를 조절함으로서 사람에 따라 원하는 숙면 또는 휴식 자세를 갖게 한다.
상기의 조절수단인 상체길이조절수단(500), 하체길이조절수단(600), 베개높이조절수단(410) 및 베개기울기조절수단(420)의 구동방식은 공지의 기술인 유압식 또는 수나사와 암나사의 조합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침대의 단면도이다.
도 5에 따르면 상체부(200), 허벅지부(250), 종아리부(320)가 일정한 기울기 및 각을 이루는 구성은 상기의 도 2에서 설명한 상기 구성과 동일하지만, 하체부부지지틀(210)이 침대틀(100)에 고정되며, 상체길이조절수단(500)이 베개부(400)와 일체로 구성된 상체부(200)을 구동시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즉, 상기 베개부(400) 및 상기 베개 조절 수단(410,420)과 상기 상체부(200)가 일체형으로 되어 하체부지지틀(210)의 상부에 설치된 상체길이조절수단(500)에 의해 구동된다. 이하 상기의 구성 및 작용의 특징은 도 2에서 설명한 구성 및 작용과 동일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기술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에 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기능성 침대는 상체바닥부, 허벅지바닥부 및 종아리바닥부가 수평면에 대하여 일정한 기울기를 갖으며, 상기 상체바닥부와 상기 허벅지바닥부가 접하는 면 및 상기 허벅지바닥부와 상기 종아리바닥부가 접하는 면이 일정한 각과 부드러운 곡선으로 형성되고 사용자가 원하는 베개의 높이 및 기울기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침대 사용자의 혈액순환을 돕고, 허리가 편안하여 숙면자세가 바르게 되며, 특이 허리가 불편한 노약자에게 충분한 휴식을 취하게 하고, 하루 일과에서 가장 피로가 쌓이는 다리의 피로를 해소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숙면자의 체형에 맞게 침대 바닥면의 굴곡을 조절할 수 있어 상기의 효과들을 증대시키며, 목과 뒷머리를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 충분히 젖힐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기호에 맞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능성 침대는 각기 다른 인간 체형에 따라서 상체부분과 다리부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병원, 찜질방, 목욕탕, 휴게실 등 휴식 및 치료공간에서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Claims (5)

  1. 수평면과 경사를 이루며 형성되는 상체부(200)와;
    상기 상체부(200)와 일정한 각을 이루며 형성되는 허벅지부(250)와 상기 허벅지부(250)와 굴곡을 이루며 형성되는 종아리부(320)로 구성된 하체부(300)와;
    인간의 상체 길이에 따라 등받이 길이를 조절하는 상체부길이조절수단(500)과;
    인간의 하체 길이에 따라 허벅지부(250)의 길이를 조절하는 하체부길이조절수단(600)과;
    베개부(400)의 높이와 기울기를 조절하는 베개높이조절수단(410)과 베개기울기조절수단(42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베개부(400)의 높이와 기울기를 조절하는 베개높이조절수단(410)과 베개기울기조절수단(420)에서
    베개의 높이를 조절할 때에는 상기 베개높이조절수단(410)과 베개기울기조절수단(420)이 동시에 작동함과;
    베개의 기울기를 조절할 때에는 상기 베개기울기조절수단(420)이 작동함과;
    베개의 기울기를 조절할 때에 상기 베개기울기조절수단(420)도 좌우로 선회 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침대.
  3. 제2항에 있어서,
    인간의 상체 길이에 따른 등받이 길이의 조절은
    하체부지지틀(210)과 상체부(200)의 사이에 있는 상체접속재(220)가 삽입되는 깊이에 따라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침대.
  4. 제2항에 있어서,
    인간의 하체 길이에 따른 허벅지가 접하는 면의 길이의 조절은
    하체부(300)와 허벅지부(250)의 사이에 있는 하체접속재(330)가 삽입되는 깊이에 따라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침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개부(400)의 베개높이조절수단(410) 및 베개기울기조절수단(420)과 상기 상체부(200)가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침대.
KR1020060094615A 2006-09-28 2006-09-28 기능성 침대 KR1007529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4615A KR100752939B1 (ko) 2006-09-28 2006-09-28 기능성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4615A KR100752939B1 (ko) 2006-09-28 2006-09-28 기능성 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2939B1 true KR100752939B1 (ko) 2007-08-30

Family

ID=38615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4615A KR100752939B1 (ko) 2006-09-28 2006-09-28 기능성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293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7943A (ko) 2015-09-03 2017-03-13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기상 보조 기능이 구비된 기능성 침대
KR20220122420A (ko) 2021-02-26 2022-09-02 정병준 기능성 침대 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22212A (ja) * 1990-09-13 1992-04-22 Taisei Corp 角度調整形ベッド
KR200319932Y1 (ko) 2003-04-09 2003-07-16 신혜섭 각도조절이 가능한 침대
KR200400925Y1 (ko) 2005-08-19 2005-11-09 정경채 인체관절 형 침대
KR20060096964A (ko) * 2006-08-17 2006-09-13 이상용 전동침대의 등판과 둔부판 각도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22212A (ja) * 1990-09-13 1992-04-22 Taisei Corp 角度調整形ベッド
KR200319932Y1 (ko) 2003-04-09 2003-07-16 신혜섭 각도조절이 가능한 침대
KR200400925Y1 (ko) 2005-08-19 2005-11-09 정경채 인체관절 형 침대
KR20060096964A (ko) * 2006-08-17 2006-09-13 이상용 전동침대의 등판과 둔부판 각도조절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7943A (ko) 2015-09-03 2017-03-13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기상 보조 기능이 구비된 기능성 침대
KR20220122420A (ko) 2021-02-26 2022-09-02 정병준 기능성 침대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98929B2 (ja) 気道拡張用具及びこれを備えた気道拡張ユニット
US20190160253A1 (en) Method for operating a sleep mode in a massage chair using progressive muscular relaxation and the massage chair capable of using the same
US8713729B2 (en) Devices and systems for supporting a user
JP5894277B2 (ja) 脊椎・脊髄疾患を予防及び治療するための矯正椅子
US20150208812A1 (en) Body support and alignment pillow
JP2012245312A (ja) 整形用枕
KR100961620B1 (ko) 가슴받침대를 구비한 안면베개
JP2016135249A (ja) 首枕及び首枕と楔部材との組み合わせ並びに首枕の使用方法
KR101285459B1 (ko) 안락좌석
KR100795271B1 (ko) 베어 등목 베개
KR100752939B1 (ko) 기능성 침대
KR200477364Y1 (ko) 등쿠션
KR200405706Y1 (ko) 기능성 메모리폼 베개
KR101502128B1 (ko) 요가 의자
KR101093555B1 (ko) 앉은 자세 교정기구
KR100591744B1 (ko) 자세교정용 매트
CN209864547U (zh) 一种按摩保健靠背垫及按摩保健轮椅
KR20180029328A (ko) 매트리스
CN209966944U (zh) 一种臀部悬空的康复椅
KR200474245Y1 (ko) 척추 교정과 허리 통증 완화용 받침대
KR20190064067A (ko) 척추 교정용 방석
KR102347157B1 (ko) 경추 재활 운동 전용 자동 목 베개 및 그 이용 방법
JP2016163692A (ja) 前傾端座位補助機能付サイドレール
JP2008099941A (ja) うつ伏せ、仰向け、横向き枕。
CN111166547B (zh) 一种臀部悬空且臀垫高度可调的康复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