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7592B1 - 연결형 잔디 데크 - Google Patents

연결형 잔디 데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7592B1
KR101887592B1 KR1020160064850A KR20160064850A KR101887592B1 KR 101887592 B1 KR101887592 B1 KR 101887592B1 KR 1020160064850 A KR1020160064850 A KR 1020160064850A KR 20160064850 A KR20160064850 A KR 20160064850A KR 101887592 B1 KR101887592 B1 KR 1018875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cover
connection
floor unit
unit
law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4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3713A (ko
Inventor
고덕윤
Original Assignee
(주)에이티투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티투어 filed Critical (주)에이티투어
Priority to KR1020160064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7592B1/ko
Publication of KR20170133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37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7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75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33Flat containers for turf, lawn or the like, e.g. for covering roof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8Surfaces simulating grass ; Grass-grown sports ground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Soi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연결형 잔디 데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결형 잔디 데크는 잔디가 재배되는 재배공간의 바닥면을 제공하는 플로어 유닛; 플로어 유닛의 외측 둘레를 따라 감싸면서 설치되고, 재배공간의 외곽면을 제공하는 아웃터 커버; 아웃터 커버의 내측면을 따라 설치되어 재배공간에 구비되는 흙과 접촉되는 인너 커버; 및 아웃터 커버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삽입되어 플로어 유닛의 내부를 관통하면서 플로어 유닛 및 아웃터 커버를 연결시키는 하나 이상의 연결 프레임; 을 포함하되, 플로어 유닛은 격자구조로 이루어지고, 격자구조를 이루는 각 공간에 메쉬형태로 이루어지는 제1 배수홀이 형성되는 상부 플레이트; 제1 배수홀과 연결되는 제2 배수홀이 복수로 형성되어 상부 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 플레이트; 및 상부 플레이트 및 하부 플레이트를 이격되게 연결시키는 복수의 연결리브; 를 포함하고, 연결 프레임은 아웃터 커버의 각 면에 복수로 형성되는 연결홈을 통해 각각 삽입되고, 양 단부가 아웃터 커버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이동 시, 파지되는 파지부; 로 이루어지며, 연결 프레임은 잔디밭이 조성되는 시공장소의 설치공간에 설치 시, 파지부를 통해 플로어 유닛 및 아웃터 커버로부터 분리되면서 서로 연결된 플로어 유닛 및 아웃터 커버의 연결을 해제시킨다.

Description

연결형 잔디 데크{CONNECTING TYPE LAWN DECK}
본 발명은 잔디 데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공장소 이외의 지역에서 잔디를 재배 후, 시공장소로 운반시켜 연결 및 조립을 통해 잔디밭을 조성시키는 연결형 잔디 데크에 관한 것이다.
환경이 인류의 복지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부상하면서 오염예방과 정화, 청정기술, 환경복원 등과 관련된 환경산업의 규모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 세계 환경시장 규모는 99년에만 4,950억 달러에 이르고 있는데, 이는 세계 자동차 시장규모 1조 370억 달러의 약 절반에 해당하는 것으로 정보통신(8,820억 달러)이나 메모리반도체(1,750억 달러)와 비교해 볼 때 결코 적지 않은 시장이다.
환경 시장 중에서도 최근 전 세계적으로 훼손지의 환경복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환경복원사업 관련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대표적인 환경복원사업으로는, 각종 도로 또는 철도, 하천제방, 터널 입구 등을 시공하는 지역에 존재하는 절토사면(切土斜面)이나 성토사면(盛土斜面)에 대하여 친환경적인 녹화사업이 실시되고 있다.
이러한 친환경적인 녹화사업은 우수에 의한 침식방지, 지표면 온도변화의 완화, 식물의 뿌리로 표토를 묶어 동상붕락의 억제 및 완화, 미적 효과, 토양오염 방지 등을 목적으로 조경수 또는 잔디 등을 식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 중에서도 잔디는 지표면을 피복하는 지피식물 중에서 잦은 깍기와 답압에도 잘 견디며 재생력이 강한 특성을 지닌 다년생의 초본성 식물이기 때문에 사면 녹화용 식물로 사용상 이점이 있다.
우리나라의 잔디 식재 방법으로는, 평떼를 이용하는 평떼 식재법과 줄떼를 이용하는 줄떼 식재법 등의 잔디 뗏장 식재공법이 주로 행해지고 있다. 이는 잔디밭의 조성이 필요한 곳에 즉시 옮겨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는 과정에서 잔디뿌리지대의 생장점이 손상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잔디 뗏장은 뿌리에 토양이 붙어있으므로 필요한 장소로 운반시 적재공간을 많이 점유하고, 무게가 나가는 단점이 있고, 정식하게 되면 뿌리와 토양의 양에 따라 형성된 잔디밭 표면이 고르지 않은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친환경적인 녹화사업을 위하여 실시되고 있는 잔디를 이용한 식생공법 중 시드 스프레이(seed spray)공법이나 네트 또는 매트를 이용한 공법이 개발 및 적용되어 왔다.
우선, 시드스프레이공법은 잔디의 종자 및 배합토를 혼합한 후 직파기를 통해 사면에 살포하여 녹화하는 방법으로 시공이 간편하고, 공사비가 저렴하다.
그러나, 관수작업 및 강우시에 지표면의 세굴 현상으로 인하여 종자 및 배합토가 쉽게 유실되거나 일부 영역에 집중되기 때문에 건조한 기후에서는 발아율이 저조한 문제가 있다.
또한, 시드스프레이 공법에 의해 파종된 종자 및 사면의 토양의 보온, 보습 및 보비를 위하여 거적이 덮여지기도 하나, 재질의 강도가 약하기 때문에 지표면의 세굴과 슬라이딩 발생을 방지하기가 어려워 녹화효율이 극히 저조한 실정이다.
그리고, 각종 네트 또는 매트를 이용한 식생공법의 경우, 종자 및 식생기반재로 이루어진 식생층 및 황마(jute), 코이어(coir) 등의 천연섬유재를 사용하여 그물망(mesh net) 형태로 제작하여 인장강도를 부여한 네트(net)를 포함하여 사면에 피복함으로써, 사면의 표피 세굴 또는 슬라이딩을 방지하고 토사를 억류시킴으로써 사면의 안정화에 우수한 장점을 가진다.
또한, 네트 또는 매트 내에 종자와 이를 발아시킬 수 있는 양분을 포함하는 식생기반재를 함유하고 있는 네트 또는 매트를 제공함으로써, 절개지 또는 절ㅇ성토 사면뿐만 아니라 암반지역의 녹지조성에도 유용하여 식생공법으로서 널리 적용되고 있다.
한편, 국내에서 상업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잔디는 대부분 외국 도입종인데, 국내의 기후 특성에 적응된 종류가 아니기 때문에 잔디 조성후의 세심한 관리가 뒤따르지 못할 경우, 생육이 급속히 쇠퇴하고, 주위 환경과의 부조화를 초래하고 있는 등 여러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반하여, 한국 잔디류는 한국에서 자생하여 자라기 때문에 주위 환경과 조화로운 환경을 조성할 수 있고, 난지형 잔디이나 생태적 적응지가 온대에서 열대에 걸쳐 분포되어 다른 한지형 양잔디 및 다른 난지형 잔디보다도 환경 적응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국내의 기후에 가장 적합한 잔디이다.
지금까지의 연구에 의하면 한국 잔디류에는 한국 들잔디(Zoysia japonica Steud), 금잔디(Zoysia matrella), 비로드잔디(Zoysia tenufolia), 갯잔디(Zoysia sinica), 왕잔디(Zoysia macrostachya) 등 5∼6 종의 잔디가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특히, 국내에서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잔디인 한국 들잔디(Zoysia japonica Steud)는 중국 동부, 한국 및 일본이 그 원산지로서, 한지형 잔디에 접근하는 내한성과 타 난지형 잔디가 가지고 있는 내서성을 동시에 가진 유일한 잔디이다.
그리고, 척박한 토양에서도 잘 자라며 병충해에도 잘 견딜 뿐만 아니라 장기적인 기후 안전성, 자생력 및 내마모성이 적기 때문에 한국의 기후에 가장 적절한 잔디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한국 들잔디는 국내에서 그 이용 범위가 매우 넓어 주로 절토사면 또는 성토사면, 하천제방, 도로주변, 묘지 등의 피복용으로 사용되고 또한 주택과 공원의 조경용 식물로도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최근 축구장, 골프장, 야구장 등의 운동장에도 점차 사용범위가 확대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한국 들잔디는 느린 발아속도 및 녹화효율이 낮아서 빠른 식생이 요구되는 지역에는 사용이 제한된다는 단점이 있는 것으로, 시공장소 이외의 지역에서 재배가 이루어지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474918호(2014.10.16)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시공장소 이외의 지역에서 잔디를 재배 후, 시공장소로 운반시켜 연결 및 조립시키는 것을 통해 잔디밭을 조성시키도록 된 연결형 잔디 데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결형 잔디 데크는 잔디가 재배되는 재배공간의 바닥면을 제공하는 플로어 유닛; 상기 플로어 유닛의 외측 둘레를 따라 감싸면서 설치되고, 상기 재배공간의 외곽면을 제공하는 아웃터 커버; 상기 아웃터 커버의 내측면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재배공간에 구비되는 흙과 접촉되는 인너 커버; 및 상기 아웃터 커버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플로어 유닛의 내부를 관통하면서 상기 플로어 유닛 및 아웃터 커버를 연결시키는 하나 이상의 연결 프레임; 을 포함하되, 상기 플로어 유닛은 격자구조로 이루어지고, 격자구조를 이루는 각 공간에 메쉬형태로 이루어지는 제1 배수홀이 형성되는 상부 플레이트; 상기 제1 배수홀과 연결되는 제2 배수홀이 복수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 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 및 하부 플레이트를 이격되게 연결시키는 복수의 연결리브; 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프레임은 상기 아웃터 커버의 각 면에 복수로 형성되는 연결홈을 통해 각각 삽입되고, 양 단부가 상기 아웃터 커버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이동 시, 파지되는 파지부; 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 프레임은 잔디밭이 조성되는 시공장소의 설치공간에 설치 시, 상기 파지부를 통해 상기 플로어 유닛 및 아웃터 커버로부터 분리되면서 서로 연결된 상기 플로어 유닛 및 아웃터 커버의 연결을 해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결형 잔디 데크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 커버는 상기 플로어 유닛의 외측 둘레를 감싸는 면에 각각 상기 재배공간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디스플레이창을 포함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결형 잔디 데크에 있어서, 상기 인너 커버는 상기 아웃터 커버의 제거 시, 상기 아웃터 커버에 의해 다져진 흙의 원형을 유지시킬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결형 잔디 데크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 커버의 각 모서리에 설치되어 상기 아웃터 커버를 상/하로 연결시켜 적층시키는 적층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적층유닛은 상기 아웃터 커버 각 모서리의 수직한 길이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형성되고,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홀이 형성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삽입홀에 일측이 삽입되고, 타측이 외부로 돌출되는 제1 연결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결형 잔디 데크에 있어서, 복수가 서로 연결되어 격자형으로 이루어지고, 격자형으로 이루어지는 각 설치공간에 잔디가 재배된 상기 플로어 유닛을 교체가능하게 시공시키는 시공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결형 잔디 데크에 있어서, 상기 시공유닛은 내부에 관수관 및 잔디 재배에 필요한 전기장비들의 배선이 설치되고, 상기 시공유닛은 십자형태의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최외곽을 연결하는 서브 프레임; 을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각 선단부가 단차로 형성되어 복수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결형 잔디 데크에 있어서, 상기 시공유닛의 최외곽을 따라 설치되는 마감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결형 잔디 데크에 있어서, 상기 마감 프레임은 일측이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밑면이 지면에 설치되는 앵커와 연결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의 상단으로부터 타측으로 연장되고, 연장된 밑면이 상기 시공유닛의 윗면에 안착되는 안착부; 를 포함하며, 상기 안착부는 상기 시공유닛 상에 복수로 수직하게 설치되는 제2 연결핀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시공장소 이외의 지역에서 잔디를 재배 후, 시공장소로 운반시켜 아웃터 커버와 인너 커버를 순차적으로 분리시킨 후, 상호 연결시키는 것을 통해 잔디밭을 간편하게 조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적층유닛을 통해 복수가 적층되는 형태로 보관될 수 있어 보관 시, 공간활용이 용이하며, 이동 시, 많은 수가 동시에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시공 후, 잔디의 훼손이 발생되면 시공유닛을 통해 분리시키는 형태로 간편하게 교체가 이루어지면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시공 후, 마감 프레임을 통해 시공유닛의 설치공간에 삽입된 플로어 유닛의 내측으로 쥐나 뱀 등과 같은 유해 동물들이 출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마감 프레임을 통해 시공된 잔디밭으로 차량 또는 각종 장비들과 같은 중량물이 출입할 때, 시공유닛의 경사면을 통해 용이하게 잔디밭으로의 출입을 안내시킬 수 있고, 중량물의 이동에 따라 최외곽에서 발생될 수 있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그 외에 본 발명의 실시 예로 인해 얻을 수 있거나 예측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예측되는 다양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될 상세한 설명 내에서 개시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결형 잔디 데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결형 잔디 데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Ⅲ-Ⅲ선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결형 잔디 데크가 상/하로 적층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결형 잔디 데크에 적용되는 시공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6는 도 5의 설치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결형 잔디 데크에 적용되는 관수관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결형 잔디 데크에 적용되는 마감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설치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하기의 설명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 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의 명칭이 동일하여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유닛”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하는 포괄적인 구성의 단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결형 잔디 데크는 시공장소 이외의 지역에서 잔디를 재배 후, 시공장소로 운반시켜 연결 및 조립시키는 것을 통해 잔디밭을 조성시키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결형 잔디 데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결형 잔디 데크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Ⅲ-Ⅲ선 확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결형 잔디 데크(1)는 플로어 유닛(10), 아웃터 커버(20), 인너 커버(30), 및 연결 프레임(40)을 포함한다.
상기 플로어 유닛(10)은 잔디(G)가 재배되는 재배공간(S)의 바닥면을 제공한다. 이러한 플로어 유닛(10)은 상부 플레이트(11), 하부 플레이트(12), 및 연결 리브(13)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11)는 전체가 격자구조로 이루어지고, 격자구조를 이루는 각 격자공간에 메쉬형태로 형성되는 제1 배수홀(11a)이 형성되며, 잔디재배에 사용되는 흙이 구비된다.
상기 하부 플레이트(12)는 제1 배수홀(11a)과 연결되는 제2 배수홀(12a)이 복수로 형성되어 상부 플레이트(11)의 하부에 배치된다. 이때, 하부 플레이트(12)는 상부 플레이트(11)처럼 격자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격자구조를 이루는 격자공간이 제2 배수홀(12a)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배수홀(11a) 및 제2 배수홀(12a)은 잔디(G)의 재배 시, 사용되는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의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연결 리브(13)는 복수로 이루어지고, 상부 플레이트(11) 및 하부 플레이트(12) 사이에 구비되어 이들을 상/하로 이격되게 연결시킨다. 이때, 상기 연결 리브(13)는 상부 플레이트(11) 및 하부 플레이트(12)와 사출성형을 통해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연결 리브(13)는 각각 구비되는 상부 플레이트(11) 및 하부 플레이트(12)의 사이에서 상/하 단부가 접착 또는 볼트 등으로 체결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다.
즉, 상기 플로어 유닛(10)은 상부 플레이트(11), 하부 플레이트(12), 및 연결 리브(13)가 일체로 이루어지거나, 각각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연결 리브(13)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 리브(13)는 상부 플레이트(11) 및 하부 플레이트(12)가 격자형태로 이루어짐에 따라 이들의 하중 및 지지가 용이하도록 십자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연결 리브(13)는 제1 리브(13a) 및 제2 리브(13b)로 이루어지고, 제1 리브(13a) 및 제2 리브(13b)는 서로 교차되면서 십자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아웃터 커버(20)는 플로어 유닛(10)의 외측 둘레를 따라 감싸면서 설치되고, 잔디(G)가 재배되는 재배공간(S)의 외곽면을 제공한다.
이러한 아웃터 커버(20)는 플로어 유닛(10)의 상부 플레이트(11) 및 하부 플레이트(12)의 외측 둘레를 감싸면서 구비되고, 감싸는 각 면에는 재배공간(S)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창(21)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창(21)은 상측부가 아웃터 커버(20)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이유는 하기에서 설명되는 인너 커버(30)의 설명 시,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아웃터 커버(20)는 상부 플레이트(11) 및 하부 플레이트(12)의 외측 둘레를 감싸는 면을 따라 상기 연결 프레임(40)이 삽입되는 복수의 연결홈(22)들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연결홈(22)은 상부 플레이트(11) 및 하부 플레이트(12)가 연결 리브(13)에 의해 이격된 사이의 공간과 연결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인너 커버(30)는 아웃터 커버(20)의 내측면을 따라 설치되어 재배공간에 구비되는 흙과 접촉된다.
이러한 인너 커버(30)는 상부가 아웃터 커버(20)의 상측으로 돌출되고, 하단이 상부 플레이트(11)의 바닥면과 접하며, 아웃터 커버(20)의 상측으로 돌출된 면들은 디스플레이창(21)에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창(21)은 상측부가 아웃터 커버(20)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인너 커버(30)는 디스플레이창(21)을 가리는 것이 방지되도록 투명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인너 커버(30)는 아웃터 커버(20)의 제거 시, 재배공간(S)에 구비된 흙이 외부로 유실되는 것을 방지시키고, 아웃터 커버(20)에 의해 응집된 흙의 모양을 유지시킨다.
상기 연결 프레임(40)은 아웃터 커버(20)의 플로어 유닛(10) 및 아웃터 커버(20)를 연결시킨다.
이러한 연결 플레임(40)은 아웃터 커버(20)에 형성되는 각 연결홈(22)을 통해 각각 삽입되어 플로어 유닛(10) 및 아웃터 커버(20)를 연결시키고, 양 단부가 아웃터 커버(2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이때, 연결 플레임(40)의 돌출된 양 단부는 이동 시, 파지되는 파지부(41)로 사용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결형 잔디 데크(1)는 작업자가 연결 프레임(40)의 파지부(41)를 파지하여 이동되거나, 지게차의 포크를 통해 파지부(41)가 들려져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연결형 잔디 데크(1)를 통해 잔디(G)를 재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잔디(G)의 재배를 위해 재배공간(S)에 입자가 굵은 토사를 20mm 높이로 깔고, 그 위에 지중관수관(미도시)을 올린다. 이후, 100mm 높이로 잔디씨앗과 배양토가 혼합된 혼합물을 구비시킨다.
이때, 잔디(G) 종류의 결정은 지역의 기후와, 장소, 목적 등을 고려하여 결정하며, 한지형과 하지형 잔디가 혼합되어 재배될 수도 있다. 이후, 대략 4주 이상 생육과정을 거치면서 잔디(G)의 뿌리가 충분히 자랄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잔디(G)의 재배가 이루어지면 시공장소로 잔디(G)의 재배가 이루어진 연결형 잔디 데크(1)들을 이동시키고, 아웃터 커버(20)와 인너 커버(30)를 순차적으로 분리시킨 후, 플로어 유닛(10)들을 상호 연결시켜 잔디밭의 조성이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결형 잔디 데크(1)는 상/하로 복수가 적층될 수 있도록 해주는 적층유닛(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결형 잔디 데크가 상/하로 적층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상기한 도면과 함께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적층유닛(50)은 아웃터 커버(20)의 각 모서리에 설치되어 상/하로 아웃터 커버(20)를 연결시키면서 복수의 연결형 잔디 데크(1)를 상호 적층시킨다.
이러한 적층유닛(50)은 연결부(51) 및 제1 연결핀(52)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51)는 아웃터 커버(20) 각 모서리의 수직한 길이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형성되고,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홀(53)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연결핀(52)은 연결부(51)의 삽입홀(53)에 일측이 삽입되고, 타측은 외부로 수직하게 돌출된다.
이러한 적층유닛(50)에 의하면, 외측으로 돌출된 제1 연결핀(52)이 적층되는 연결형 잔디 데크(1,1a,1b)에 설치된 적층유닛(50)의 삽입홀(53)에 삽입되는 형태로 복수의 연결형 잔디 데크(1)를 상/하로 적층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연결형 잔디 데크(1)의 보관 시, 공간활용이 용이하며, 이동 시, 많은 수를 동시에 이동시킬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결형 잔디 데크(1)는 잔디(G)가 시공되는 시공장소에 잔디밭이 조성되도록 설치시키는 시공유닛(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결형 잔디 데크에 적용되는 시공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6는 도 5의 설치도이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시공유닛(60)은 복수가 서로 연결되어 격자형으로 이루어지고, 격자형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형성되는 설치공간(60a)에 각각 잔디(G)가 재배된 플로어 유닛(10)을 교체가능하게 설치시킨다.
이러한 시공유닛(60)은 베이스 프레임(61) 및 서브 프레임(62)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61)은 도 5의 (a)와 같이 십자형태로 이루어지고, 복수로 구비되어 상호 연결된다. 이때, 베이스 프레임(61)은 각 선단부가 단차(61a)로 형성되어 상호 선단부가 연결된다.
상기 서브 프레임(62)은 도 5의 (b)와 같이 "T"형태와, 도 5의 (c)와 같이 "ㄱ"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복수로 연결된 베이스 프레임(61)의 최외곽을 연결한다. 이때, 상기 서브 프레임(62)은 각 선단부가 단차(62a)로 형성되어 베이스 프레임(61)과 연결 시 베이스 프레임(62)의 단차와 교차되는 형태로 연결된다.
이러한 베이스 프레임(61) 및 서브 프레임(62)은 내부에 관수관(63) 및 잔디(G)의 재배에 필요한 전기장비들의 배선이 설치될 수 있으며, 외부와 소통될 수 있도록 전체가 격자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결형 잔디 데크에 적용되는 관수관의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관수관(63)은 외측에 메쉬형태의 외피(63a)가 감싸도록 설치되어 베이스 프레임(61) 및 서브 프레임(62)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외피(63a)에 의하면, 토사에 의해 관수관(63)이 막히는 것을 방지시키고, 잔디(G)의 뿌리에 의해 관수관(63)의 기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시키며, 외부 충격으로부터 관수관(63)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시킨다.
한편, 상기에서는 베이스 프레임(61) 및 서브 프레임(62)이 격자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을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베이스 프레임(61) 및 서브 프레임(62)의 외측에 다수의 홀들이 형성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 것이다.
이러한 시공유닛(60)에 의하면, 시공장소에 연결형 잔디 데크(1)를 시공하여 잔디밭을 조성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시공장소의 설치면에 베이스 프레임(61) 및 서브 프레임(62)들을 연결하여 설치시킨다.
이후, 잔디(G)가 재배된 연결형 잔디 데크(1)를 각 설치공간(60a)에 각각의 블록형태로 설치시켜 잔디밭을 조성시킨다.
이때, 상기 연결형 잔디 데크(1)는 설치공간(60a)에 설치 시, 연결 프레임(40), 아웃터 커버(20) 및 인너 커버(30)를 순차적으로 제거하여 설치공간(60a)에 플로어 유닛(10)이 삽입되는 형태로 설치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시공된 잔디(G)가 부분적으로 훼손될 경우, 훼손이 발생된 부분 즉, 연결형 잔디 데크(1)를 설치공간(60a)으로부터 분리시킨 후, 새로운 연결형 잔디 데크(1)로 교체시킨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결형 잔디 데크(1)는 시공 후, 훼손이 발생된 연결형 잔디 데크(1)를 시공유닛(60)으로부터 분리시키는 형태로 간편하게 교체가 이루어지면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결형 잔디 데크(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시공장소의 지면에 설치된 시공유닛(60)의 최외곽을 따라 설치되는 마감 프레임(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결형 잔디 데크에 적용되는 마감 프레임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설치도이다.
도 8과 도 9를 참조하면, 이러한 마감 프레임(70)은 바디(71) 및 안착부(72)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71)는 일측이 경사면(73)으로 이루어지고, 밑면에 지면에 설치되는 앵커(74:anchor)와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앵커 삽입홈(75)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바디(71)가 앵커(74)에 삽입됨에 따라 마감 프레임(70)은 견고하게 바닥면에 지지될 수 있고, 전체적으로 시공유닛(60)을 견고하게 지지시킬 수 있다.
상기 안착부(72)는 바디(71)의 상단으로부터 타측으로 일부가 연장되고, 연장된 밑면이 시공유닛(60)의 서브 프레임(62) 윗면에 안착된다.
이때, 상기 안착부(72)는 밑면에 서브 프레임(62)의 윗면을 따라 복수로 수직하게 설치되는 제2 연결핀(76)이 삽입되는 핀 삽입홈(77)이 형성되어 상호 연결된다.
이러한 마감 프레임(70)에 의하면, 시공유닛(60)의 설치공간(60a)에 삽입된 플로어 유닛(10)의 내측으로 쥐나 뱀 등과 같은 유해 동물들이 출입하는 것을 방지시킬 수 있다.
아울러, 시공된 잔디밭으로 차량 또는 각종 장비들과 같은 중량물이 출입할 때, 경사면(73)을 통해 용이하게 잔디밭으로의 출입을 안내시킬 수 있고, 중량물의 이동에 따라 최외곽에 위치한 연결형 잔디 데크(1)의 플로어 유닛(1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시킬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1: 연결형 잔디 데크 10: 플로어 유닛
G: 잔디 S: 재배공간
11: 상부 플레이트 11a: 제1 배수홀
12: 하부 플레이트 12a: 제2 배수홀
13: 연결 리브 13a: 제1 리브
13b: 제2 리브 20: 아웃터 커버
21: 디스플레이창 22: 연결홈
30: 인너 커버 40: 연결 프레임
41: 파지부 50: 적층유닛
51: 연결부 52: 제1 연결핀
53: 삽입홀 60: 시공유닛
60a: 설치공간 61: 베이스 프레임
61a: 단차 62: 서브 프레임
63: 관수관 63a: 외피
70: 마감 프레임 71: 바디
72: 안착부 73: 경사면
74: 앵커 75: 앵커 삽입홈
76: 제2 연결핀 77: 핀 삽입홈

Claims (10)

  1. 잔디가 재배되는 재배공간의 바닥면을 제공하는 플로어 유닛;
    상기 플로어 유닛의 외측 둘레를 따라 감싸면서 설치되고, 상기 재배공간의 외곽면을 제공하는 아웃터 커버;
    상기 아웃터 커버의 내측면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재배공간에 구비되는 흙과 접촉되는 인너 커버; 및
    상기 아웃터 커버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플로어 유닛의 내부를 관통하면서 상기 플로어 유닛 및 아웃터 커버를 연결시키는 하나 이상의 연결 프레임; 을 포함하되,
    상기 플로어 유닛은 격자구조로 이루어지고, 격자구조를 이루는 각 공간에 메쉬형태로 이루어지는 제1 배수홀이 형성되는 상부 플레이트; 상기 제1 배수홀과 연결되는 제2 배수홀이 복수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 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 및 하부 플레이트를 이격되게 연결시키는 복수의 연결리브; 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프레임은 상기 아웃터 커버의 각 면에 복수로 형성되는 연결홈을 통해 각각 삽입되고, 양 단부가 상기 아웃터 커버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이동 시, 파지되는 파지부; 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 프레임은 잔디밭이 조성되는 시공장소의 설치공간에 설치 시, 상기 파지부를 통해 상기 플로어 유닛 및 아웃터 커버로부터 분리되면서 서로 연결된 상기 플로어 유닛 및 아웃터 커버의 연결을 해제시키는 연결형 잔디 데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 커버는
    상기 플로어 유닛의 외측 둘레를 감싸는 면에 각각 상기 재배공간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디스플레이창; 을 포함하는 연결형 잔디 데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너 커버는
    상기 아웃터 커버의 제거 시, 상기 아웃터 커버에 의해 다져진 흙의 원형을 유지시키는 연결형 잔디 데크.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 커버의 각 모서리에 설치되어 상기 아웃터 커버를 상/하로 연결시켜 적층시키는 적층유닛;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적층유닛은
    상기 아웃터 커버 각 모서리의 수직한 길이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형성되고,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홀이 형성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삽입홀에 일측이 삽입되고, 타측이 외부로 돌출되는 제1 연결핀; 을 포함하는 연결형 잔디 데크.
  7. 제1항에 있어서,
    복수가 서로 연결되어 격자형으로 이루어지고, 격자형으로 이루어지는 각 설치공간에 잔디가 재배된 상기 플로어 유닛을 교체가능하게 시공시키는 시공유닛; 을 더 포함하는 연결형 잔디 데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시공유닛은
    내부에 관수관 및 잔디 재배에 필요한 전기장비들의 배선이 설치되고,
    상기 시공유닛은
    십자형태의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최외곽을 연결하는 서브 프레임; 을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각 선단부가 단차로 형성되어 복수로 연결되는 연결형 잔디 데크.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시공유닛의 최외곽을 따라 설치되는 마감 프레임; 을 더 포함하는 연결형 잔디 데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 프레임은
    일측이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밑면이 지면에 설치되는 앵커와 연결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의 상단으로부터 타측으로 연장되고, 연장된 밑면이 상기 시공유닛의 윗면에 안착되는 안착부; 를 포함하며,
    상기 안착부는
    상기 시공유닛 상에 복수로 수직하게 설치되는 제2 연결핀에 삽입되는 연결형 잔디 데크.

KR1020160064850A 2016-05-26 2016-05-26 연결형 잔디 데크 KR1018875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4850A KR101887592B1 (ko) 2016-05-26 2016-05-26 연결형 잔디 데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4850A KR101887592B1 (ko) 2016-05-26 2016-05-26 연결형 잔디 데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3713A KR20170133713A (ko) 2017-12-06
KR101887592B1 true KR101887592B1 (ko) 2018-08-13

Family

ID=60922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4850A KR101887592B1 (ko) 2016-05-26 2016-05-26 연결형 잔디 데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75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4789B1 (ko) * 2018-08-07 2020-11-05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천연잔디패널의 조립 구조
KR102190617B1 (ko) * 2019-09-19 2020-12-21 지앤지텍(주) 하이브리드 잔디 시공방법 및 그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87477B1 (ko) * 1996-10-07 1999-03-20 이성호 다목적 초본류 식물 배수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87477B1 (ko) * 1996-10-07 1999-03-20 이성호 다목적 초본류 식물 배수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3713A (ko) 2017-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oxhall Feeling the earth move: cultivation techniques on steep slopes in classical antiquity
Reddy et al. FARM PONDS: A Climate Resilient Technology for Rainfed Agriculture Planning, Design and Construction
KR101887592B1 (ko) 연결형 잔디 데크
KR100717545B1 (ko) 무토잔디용 생육포
JP4096121B2 (ja) 緑化用苗芝ピース
KR101025260B1 (ko) 조립식 호안블록 및 코이어매트를 이용한 사면안정공법
CN211531989U (zh) 一种用于生态护坡的植生袋修复坡面系统
KR101029317B1 (ko) 옹벽용 식생블록
KR200439588Y1 (ko) 하천 녹화용 조립식 블록
JPS61137922A (ja) 法面土留工法
KR102227676B1 (ko) 식생용 개비온 및 그 시공방법
Samuel et al. Improving water use efficiency by integrating fish culture and irrigation in coconut based farming system: A case study in Kasaragod District of Kerala (India)
CN103975877B (zh) 一种用于有机稻鳖共生种养的围栏装置
VinZant Restoration in type converted and heavily disturbed chaparral: lessons learned
KR101908315B1 (ko) 어류서식처가 구비된 복합형 식생 개비온 어셈블리
CN206380417U (zh) 一种具有水土保持及树木支撑作用的生物篱围堰
KR101187407B1 (ko) 벽면 녹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벽면 녹화방법
KR200450076Y1 (ko) 논두렁 보호 조립체
KR100938140B1 (ko) 절개사면 녹화처리용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00113771A (ko) 조립식 잔디
CN220284869U (zh) 一种矿山迹地植被修复生态挡墙
CN211713880U (zh) 一种边坡生态防护盒
JP6978055B2 (ja) 定植方法、緑化方法及び緑化システム
CN206791120U (zh) 一种地瓜藤快速绿化模块
Rose The Regenerative Garden: 80 Practical Projects for Creating a Self-sustaining Garden Eco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