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7389B1 - 대체폰트 적용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대체폰트 적용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7389B1
KR101887389B1 KR1020160136345A KR20160136345A KR101887389B1 KR 101887389 B1 KR101887389 B1 KR 101887389B1 KR 1020160136345 A KR1020160136345 A KR 1020160136345A KR 20160136345 A KR20160136345 A KR 20160136345A KR 101887389 B1 KR101887389 B1 KR 1018873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nt
text
terminal device
character
coordinate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6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3540A (ko
Inventor
이민재
조찬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Priority to KR10201601363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7389B1/ko
Publication of KR20180043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35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7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73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F17/214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03Formatting, i.e. changing of presentation of documents
    • G06F40/109Font handling; Temporal or kinetic typography
    • G06F17/21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03Formatting, i.e. changing of presentation of documents
    • G06F40/106Display of layout of documents; Previe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체폰트 사용시 폰트 스케일링의 정확도를 향상하면서도 대체폰트 사용시에도 문서의 레이아웃이 그대로 유지될 수 있도록 정확하고 미려한 대체폰트의 적용이 가능한 좌표계에 의한 대체폰트 적용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대체폰트 적용 방법은 제1단말장치에서 제1폰트를 이용하여 문자를 가지는 텍스트가 작성되는 텍스트 작성단계; 상기 텍스트가 상기 제1단말장치로부터 제2단말장치에 전달되는 단계; 상기 제2단말장치가 상기 제1폰트의 구비여부를 확인하는 확인단계; 상기 제2단말장치가 상기 제1폰트와는 다른 제2폰트를 이용하여 상기 텍스트를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제2단말장치가 변환된 상기 텍스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대체폰트 적용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APPLYING METHOD FOR SUBSTITUTE FONT AND SYSTEM THEREFOR}
본 발명은 대체폰트의 적용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대체폰트 사용시 폰트 스케일링의 정확도를 향상하면서도 대체폰트 사용시에도 문서의 레이아웃이 그대로 유지될 수 있도록 정확하고 미려한 대체폰트의 적용이 가능한 좌표계에 의한 대체폰트 적용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단말에서 글자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각 글자의 형태를 정의한 글꼴 또는 폰트(font)가 이용된다. 글꼴은 서로 다른 해상도와 픽셀 피치를 가지는 단말장치들의 출력화면 또는 이를 출력한 인쇄물에서 사용자가 선명하게 글자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적인 측면과 미려한 서체를 제공함으로써 글의 내용이 좀 더 쉽게 인지되도록 하는 심미적인 기능을 함께 갖는다. 기존에는 기능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다양한 컴퓨터 단말에서 글자를 좀 더 정확하고 섬세하게 표현하기 위해 다양한 폰트가 개발되었으나, 최근에는 심미적인 기능이 부각된 다양한 폰트들이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폰트들은 각각의 컴퓨터 단말에 미리 저장되고, 특정 출력프로그램에 적용되어 이용된다. 최근에는 컴퓨터 단말의 종류가 기존 컴퓨터, 노트북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네비게이션과 같은 다양한 장치로 확대되었고, 이들에서 사용되는 프로그램들도 다양해졌다. 이로인해 이들에게 적용하기 위한 폰트들이 새로 개발되어 기존의 폰트들과 함께 이용되며, 그 종류가 크게 증가되었다.
그러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러한 폰트들은 미리 사용자가 이용하는 컴퓨터 단말에 저장되어 설치 가능한 상태로 유지되어야 하는 제약이 따른다. 최근에는 폰트의 종류가 크게 증가함과 아울러 이를 사용하는 컴퓨터 장치들, 프로그램들이 많아지면서 모든 폰트를 단말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이 매우 곤란해졌다. 때문에 어느 한 컴퓨터 단말에서 특정 폰트를 이용하여 작성된 문서가 다른 컴퓨터 단말에서 출력되는 경우 동일한 폰트가 없어 출력할 수 없는 상태가 되거나, 다른 폰트를 대신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로 인해, 기존에는 필요한 폰트를 데이터 통신을 통해 필요할 때마다 다운받아 사용하도록 하거나, 대체폰트를 이용하여 기존폰트 대신 사용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대안은 데이터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 폰트를 다운받을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대체 폰트를 사용하는 경우 문서의 서식이 틀어지거나, 글자의 크기가 작아져서 가독성이 떨어지거나, 글자의 겹침 또는 벌어짐과 같이 폰트의 기능적인 측면과 심미적인 측면을 저해하는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10-1334589(등록일 2013.11.25.)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대체폰트 사용시 폰트 스케일링의 정확도를 향상하면서도 대체폰트 사용시에도 문서의 레이아웃이 그대로 유지될 수 있도록 정확하고 미려한 대체폰트의 적용이 가능한 대체폰트 적용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대체폰트 적용 방법은 제1단말장치에서 제1폰트를 이용하여 문자를 가지는 텍스트가 작성되는 텍스트 작성단계; 상기 텍스트가 상기 제1단말장치로부터 제2단말장치에 전달되는 단계; 상기 제2단말장치가 상기 제1폰트의 구비여부를 확인하는 확인단계; 상기 제2단말장치가 상기 제1폰트와는 다른 제2폰트를 이용하여 상기 텍스트를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제2단말장치가 변환된 상기 텍스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텍스트는 상기 텍스트의 작성시 사용된 상기 문자의 크기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크기값은 상기 문자의 가로 폭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단말장치가 상기 제2폰트를 이용하여 상기 텍스트를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제2폰트에 의한 상기 텍스트의 제2좌표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폰트를 이용하여 상기 텍스트를 출력시 상기 문자의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값과 상기 제2좌표값을 매칭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폰트를 이용하여 상기 텍스트를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제2단말장치가 상기 제2단말장치에 구비된 복수의 폰트 중 상기 제1폰트와 높이가 같거나 상기 폰트 중 가장 높이가 유사한 폰트를 상기 제2폰트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폰트를 이용하여 상기 텍스트를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제2단말장치가 상기 제2좌표값에 의해 할당되는 문자별 영역의 크기 또는 상기 크기값에 따라 상기 제2폰트의 가로폭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대체폰트 적용 시스템은 제1폰트를 이용하여 문자를 가지는 텍스트를 작성하는 제1단말장치; 상기 제1단말장치로부터 상기 텍스트를 전달받고, 상기 제1폰트의 구비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제1폰트와는 다른 제2폰트를 이용하여 상기 텍스트를 변환하고, 변환된 상기 텍스트를 출력하는 제2단말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텍스트는 상기 텍스트의 작성시 사용된 상기 문자의 크기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크기값은 상기 문자의 가로 폭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단말장치는 상기 제2폰트에 의한 상기 텍스트의 제2좌표값을 산출하고, 상기 제2좌표값과 상기 제1폰트를 이용하여 상기 텍스트를 출력시 상기 문자의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값을 일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단말장치는 상기 제2단말장치에 구비되는 복수의 폰트 중 상기 제1폰트와 높이가 같거나 복수의 상기 폰트 중 높이가 가장 유사한 폰트를 상기 제2폰트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단말장치는 상기 제2좌표값에 의해 할당되는 문자별 영역의 크기 또는 상기 제2좌표값에 의해 산출되는 제2크기값에 따라 상기 제2폰트의 가로폭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대체폰트 적용 및 이를 위한 시스템은 대체 폰트 사용시 폰트 스케일링의 정확도를 향상하면서도 대체폰트 사용시에도 문서의 레이아웃이 그대로 유지될 수 있도록 정확하면서도 미려한 대체폰트의 적용 및 이용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좌표계에 의한 대체폰트 적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2는 좌표값과 텍스트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은 폰트의 크기가 다른 폰트를 이용하여 텍스트를 출력하는 경우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좌표계에 의한 대체폰트 적용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도면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좌표계에 의한 대체폰트 적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대체폰트 적용방법은 텍스트 작성단계(S10),
텍스트 작성단계(S10)는 하나 이상의 문자(character)를 포함하는 텍스트가 작성되는 단계이다. 여기서 문자는 자소, 낱 글자, 기호, 부호와 같은 출력형태로 표현 가능한 글자 또는 기호를 의미한다. 그리고 텍스트는 이러한 문자를 하나 이상 이용하여 단어(word), 구문(phrase), 문장(sentence), 절(paragraph)를 하나 이상 구성한 것을 의미한다. 이 텍스트 작성 단계(S10)는 제1단말장치에서 제1폰트를 이용하여 작성된다. 이러한 텍스트는 제1단말장치에 구비되는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직접 작성이 될 수도 있고, 다른 단말장치에서 작성된 텍스트를 제1단말장치로 옮겨와서 제1단말장치에 구비된 제1폰트로 변환 또는 재작성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이 텍스트 작성은 제1단말장치에서 실행되는 전자문서 작성기 또는 각종 브라우저와 같은 프로그램에 의해 작성되며, 이하에서는 이러한 프로그램을 별칭하지 않고 제1단말장치에서 작성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을 진행하기로 한다. 이를 위해 제1텍스트 작성 단계(S10)는 제1폰트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제1폰트는 제1단말장치에 구비되어, 제1단말장치의 프로그램 실행시 텍스트의 글꼴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 제1텍스트 작성 단계(S10)에서 작성된 텍스트에는 텍스트를 입력하거나 출력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필드에 텍스트의 각 문자를 배열 도는 표시할 때 폰트의 크기를 지정하는 크기값이 포함된다. 여기서 필드는 제1단말장치 또는 제2단말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것으로, 각 단말장치의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는 영역에서 필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전자문서 작성기나 브라우저와 같은 프로그램에 의해 텍스트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영역을 의미한다. 이 크기값은 텍스트에 지정되는 글꼴에 따라 달라지며, 글꼴을 필드에 표현할 때 지정되는 크기에 따라서도 달라진다. 특히, 이 크기값은 제1단말장치에서 생성되지 않고, 제1폰트의 생성시 제1폰트에 부여되어 데이터화된 값이거나, 제1폰트를 확인하는 제2단말장치에 의해 산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단말장치에 의해 크기값이 산출되고 텍스트에 크기값이 포함되어 전달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을 진행하기로 한다.
제1폰트확인 단계(S30)는 제1단말장치에서 작성된 텍스트가 제1단말장치와는 다른 제2단말장치에 전달되어, 제2단말장치에서 출력을 준비하는 단계이다. 이 제1폰트 확인 단계(S30)에서 제1단말장치는 제1폰트에 의해 작성된 텍스트를 크기값과 함께 제2단말장치로 전달한다. 이에 따라 제2단말장치는 텍스트를 출력하기 위해 제1폰트가 제2단말장치에 구비되어 있는지 확인하게 되며, 제1폰트가 제2단말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경우 제1단말장치에서와 마찬가지로 제1폰트와 크기값에 의해 텍스트를 출력하게 된다. 반면, 제1폰트가 제2단말장치에 구비되지 않은 경우 제2단말장치는 텍스트를 출력하기 위해 하기의 과정을 진행하게 된다.
제2폰트 선택 단계(S40)는 제2단말장치가 제1폰트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경우 이를 대체하기 위한 폰트를 선택하는 단계이다. 이 제2폰트 선택단계(S40)는 미리 정해진 방법에 의해 제2폰트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선택의 조건은 제2단말장치의 환경설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제2단말장치는 미리 지정된 대표 폰트를 제2폰트로 설정할 수도 있고, 미리 정해진 방법에 의해 형태 비교, 크기비교와 같은 비교를 수행하여 가장 유사한 폰트를 제2폰트로 설정하도록 할 수도 있으나, 제시된 바에 의해서만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 제2폰트 선택 단계(S40)에서 제2단말장치는 크기값의 이용을 위해 높이가 위해 제1폰트와 같은 높이의 글꼴 또는 글꼴의 높이가 제1폰트와 가장 적은 폰트를 제2폰트로 설정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높이에 의한 선택시 전술한 비교를 수행하여, 높이차가 최소이거나 없는 폰트 중 형태적으로 가장 유사한 폰트를 선택할 수 있다.
제2좌표값 확정 단계(S50)는 제2폰트가 선택되면 제2단말장치가 선택된 제2폰트를 텍스트에 적용하여 출력하는 단계이다. 이때, 제2단말장치는 제2폰트에 의해 표현되는 텍스트가 제1폰트에 의해 표현되는 것과 유사한 형태, 유사한 문서구조를 유지할 수 있도록 크기값에 의해 제2폰트의 출력을 위한 좌표를 확정하여 출력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좌표값은 텍스트를 필드에 출력할 때, 텍스트를 구성하는 각 문자의 위치를 지정하는 것으로 선택된 폰트, 출력되는 폰트의 크기, 서식과 같은 요소에 의해 가변되는 값이다. 즉, 이 좌표값이 달라지는 경우 같은 폰트를 사용하더라도 문자의 위치가 달라지게 되어, 문단의 줄 수, 페이지 내에서의 문단 배치와 같은 사항들이 달라질 수 있다. 때문에 제2좌표값 확정 단계(S50)에서 제2단말장치는 제2폰트가 선택되고, 이 제2폰트로 텍스트를 출력하는 경우, 제1폰트로 출력할 때와 같은 위치에 같은 글자가 배치되도록 출력시 각 문자에 대한 좌표값을 부여하여 출력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대응되는 폰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대체폰트를 사용하도록 하되, 대체폰트의 사용으로 인한 서식의 변경, 텍스트의 특성변경이 발생하지 않도록 좌표값을 조절하여 출력하게 된다. 즉, 제2단말장치는 텍스트를 제1폰트를 이용하여 출력할 때 문자가 배치되는 위치와 같은 위치에 문자가 배치되도록 제2좌표값을 설정하고, 이 제2좌표값에 의해 텍스트를 출력하게 된다.
특히, 이러한 제2폰트를 이용한 텍스트 출력시 제2좌표값에 의해 텍스트를 출력하게 되더라도, 제2폰트와 제1폰트의 차이로 인해 텍스트의 표현이 부정확해질 수 있다. 이때, 제2단말장치는 제2폰트의 출력시 텍스트가 정확하게 표현될 수 있도록, 크기값을 이용하여 제2폰트가 제2좌표값에 의해 지정된 영역 내에서 정확하게 표현될 수 있도록 조절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텍스트에 제2폰트를 적용하고 제2폰트가 적용된 문자를 제2좌표값에 따라 제2단말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필드에 출력하는 단계이다. 이때 제2단말장치는 텍스트의 각 문자를 제2좌표값에 의해 문자별로 설정되는 좌표 위치에 출력하게 된다. 이 텍스트 출력 단계(S60)에서는 문자의 정확한 출력을 위해 제2좌표값에 제2폰트에 의한 문자를 입력하는 단계와 문자 기재시 문자의 폭을 제2좌표값에 따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텍스트 출력 단계(S60)에서 텍스트의 크기값이 제1폰트와 제2폰트가 다른 경우, 문자의 겹침 또는 벌어짐이 발생할 수 있다. 때문에 텍스트 출력 단계(S60)에서 크기값이 다른 경우 제2폰트의 폭을 크기값에 따라 조절하여 출력하게 된다.
도 2는 좌표값과 텍스트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좌표값은 텍스트를 단말장치의 출력부를 통해 출력함에 있어서, 폰트에 따라 문자가 정확한 위치에 표현되도록 하기 위해 텍스트의 출력시 문자의 위치를 지정하는 역할을 한다. 단말장치는 이러한 좌표값에 따라 텍스트에 포함된 각 문자를 지정된 위치에 표시하여 텍스트가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좌표값은 폰트 크기가 달라지는 경우, 글자간 간격이 달라지는 경우 또는 폰트가 변경되는 경우에는 새로 산출되지만, 자평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이 좌표값은 문자가 입력될 위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실제 문자를 출력하기 위해서는 크기값에 의해 문자크기를 지정하게 된다. 또는 반대로 폰트의 크기(point)가 정해지면 폰트의 크기에 따른 문자의 가로폭을 크기값으로 하여 좌표값이 정해지기도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표값이 출력 필드의 가로(x)와 세로(y) 위치의 조합(x, y)으로 표현된다고 가정하면, 각 문자의 자리는 좌표값에 의해 결정된다. 이때 좌표값의 가로 값의 차이가 즉, 1, 4, 7 ...이 문자의 가로폭인 크기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출력 필드에 출력되는 폰트의 크기는 폰트의 높이(H)와 가로 폭(W)에 의해 결정된다. 이 높이(H)와 폭(W)은 출력되는 폰트의 크기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즉, 사용자가 출력필드에 표시될 폰트의 크기를 결정하면, 설정된 폰트의 크기에 해당하는 가로폭(W)이 결정되고, 이 가로폭(W)을 크기값으로 하여 각 문자가 표시될 좌표가 결정되게 된다. 그리고, 단말장치는 좌표값에 따라 텍스트에 포함된 각 문자의 위치에 따라 출력필드에 문자를 표시하게 된다.
이러한 표시방식에서 대체폰트를 이용하는 경우 대체폰트의 높이(H)와 가로폭(W)의 차이로 인해 좌표값에 의한 출력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폰트의 크기가 다른 폰트를 이용하여 텍스트를 출력하는 경우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말장치들은 전술한 바와 같이 단말장치에 구비된 폰트들 중 어느 하나를 자동으로 선택하거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폰트에 의해 텍스트를 출력하여 제공한다. 이를 위해 일반적으로 단말장치들은 공용으로 사용되는 폰트들을 구비하도록 되어 있으며, 단말장치에서 운영되는 복수의 프로그램이 각각 폰트를 이용하는 방식이 상이한 경우 각 프로그램별로 폰트를 저장 및 호출하여 텍스트를 출력하게 된다.
그러나, 폰트의 종류가 많아지면서 이러한 폰트들을 모두 구비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다. 때문에 대부분의 단말장치들은 외부에서 전달되는 텍스트 포함 데이터의 출력시, 전용 폰트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 이를 대체하기 위한 대체폰트를 이용하여 텍스트를 출력한다.
이러한 경우 폰트별로 높이와 가로폭의 차이로 인해 텍스트의 출력이 부정확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비율 축소/확대, 자평, 자간 조절과 같은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 텍스트에 적용된 서식이 원래의 텍스트와 달라지거나, 텍스트의 위치, 페이지의 수가 달라지는 경우까지 발생된다.
구체적으로 도 3의 (a)에서와 같이 두 개의 폰트가 높이(H)는 같더라도 폭(W1, W2)가 다른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 때 폭이 W1인 폰트로 작성된 텍스트를 폭이 W2인 폰트로 대체하는 경우 W2인 폰트의 크기를 유지한채로 교체를 하게 되면, 텍스트 한 줄에 기재되는 문자의 수가 W1인 폰트와 W2인 폰트에 따라 달라지게 되며, 이 경우 서식과 페이지 수가 달라지게 된다.
좌표값에 따라 출력하는 경우에도 W1인 폰트 즉 제1폰트로 작성된 텍스트의 좌표값에 W2인 폰트 즉, 제2폰트로 텍스트를 표현하는 경우 (b)와 같이 문자 간의 겹침이 발생하여 가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폰트의 크기를 가로폭에 맞추는 경우 높이가 달라지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폰트에 의해 표현되는 문자의 크기값을 이용하여, 제2폰트에 의한 텍스트 출력시 제2폰트의 가로폭을 조절하여 제2폰트에 의해 출력되는 텍스트가 제1폰트를 이용할 때와 동일한 좌표에 문자를 표출할 수 있게 한다. 일례로 제1폰트에 의한 크기값이 4이고, 제2폰트를 제1폰트와 동일한 좌표에 표현할 때 제2폰트의 크기값이 5인 경우, 즉, 제2폰트의 폭이 5인 경우 제2폰트에 의해 표시되는 문자의 폭은 4/5이하로 감소시켜 출력하게 된다. 특히, 이를 위해 대체폰트인 제2폰트가 결정되는 경우 제2폰트의 크기는 제1폰트의 높이와 같은 높이 또는 가장 비슷한 높이의 폰트를 선택하고 폭만 크기값에 따라 조절하여 출력함으로써 변환이 필요한 부분을 최소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서는 좌표값에 의해 원본 텍스트의 서식은 유지하면서, 대체폰트 사용에 따른 가독성 저하와 같은 부작용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좌표계에 의한 대체폰트 적용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대체폰트 적용 시스템은 제1단말장치(10)와 제2단말장치(2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제1단말장치(10)와 제2단말장치(20) 각각은 입력부(11, 21), 저장부(13, 23), 제어부(15, 25) 및 출력부(17, 2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단말장치(10)는 제1폰트를 이용하여 텍스트를 작성하고, 작성된 텍스트를 제2단말장치(20)에 전달한다. 이때, 제1단말장치(10)는 텍스트에 포함되는 문자의 표시에 따른 크기값을 포함하거나, 텍스트와 별도로 생성하여 제2단말장치(20)에 전달할 수 있으며, 이 크기값은 문자의 가로폭(w)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단말장치(10)는 제1입력부(11), 제1저장부(13), 제1제어부(15) 및 제1출력부(1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입력부(11)는 제1폰트의 지정, 텍스트의 전달과 같은 사용자 명령 및 텍스트의 작성을 위한 자소의 입력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텍스트는 제1 및 제2단말장치(10, 20)가 아닌 제3의 단말장치를 이용해 작성되고, 제1단말장치에 전달되어 제1단말장치에 의해 제1폰트가 적용되고, 제1좌표값 및 크기값이 작성된 것일 수도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단말장치(10)에 의해 작성된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1저장부(13)는 제1폰트가 저장되어 제1제어부(15)의 요청시 제1폰트를 제공한다. 또한, 제1저장부(13)는 제1폰트에 의해 작성된 텍스트를 제1제어부(15)로부터 저장하고, 이때 텍스트와 함께 텍스트에 의해 생성된 크기값 및 폰트정보가 함께 저장될 수 있다.
제1제어부(15)는 제1폰트에 의해 텍스트 작성이 가능하도록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제공하며, 사용자가 제1입력부(11)를 통해 입력하는 자소에 제1폰트를 적용하여 텍스트의 생성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이때 제1제어부(15)는 텍스트에 의해 크기값을 생성하고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제2단말장치(20)에 텍스트와 크기값을 전달한다. 이를 위해 제1단말장치(10)는 제2단말장치(20)와의 통신채널 형성을 위한 통신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출력부(17)는 제1제어부(15)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실행과정과 프로그램에 의해 문자의 입력이 가능한 필드를 출력하여 제공한다. 또한, 제1출력부(17)는 제1입력부(11)를 통해 입력되는 자소, 입력된 자소에 의해 생성되고 제1폰트가 적용된 문자와 복수의 문자에 의해 구성되는 텍스트를 출력한다. 이를 위해 제1출력부(17)는 텍스트의 영상출력이 가능한 영상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단말장치(20)는 제1단말장치(10)로부터 텍스트를 전달받고, 이를 제2출력부(27)를 통해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 제2단말장치(20)는 제2폰트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폰트를 구비하고, 제1단말장치(10)로부터 텍스트와 크기값이 전달되는 경우, 텍스트에 적용된 제1폰트와 동일한 폰트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그리고, 제1폰트와 동일한 폰트가 없는 경우 제2단말장치(20)는 대체폰트인 제2폰트를 선택하여 텍스트에 적용 및 출력하게 된다.
이를 위해 제2단말장치(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2폰트의 텍스트 적용을 위해 텍스트의 출력시 지정된 크기의 제1폰트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가장 유사한 높이를 가지는 폰트를 제2폰트로 선택한다. 그리고, 제2폰트에 의해 생성되는 제2좌표값을 제1폰트에 의해 출력할 때 문자가 표시되는 제1좌표값과 동일해지도록 조절하게 된다. 이를 위해, 제2단말장치(20)는 제2폰트에 의해 생성되는 문자에 크기값을 적용하여 텍스트를 변환하고 변환된 텍스트를 제2좌표값 및 크기값에 의해 출력하여 제공한다.
이러한 제2단말장치(20)는 제2입력부(21), 제2저장부(23), 제2제어부(25) 및 제2출력부(27)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제1단말장치(10)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입력부(21)는 텍스트의 출력을 위한 명령이 입력된다.
제2저장부(23)는 제1단말장치(10)로부터 전달되는 텍스트가 저장되고, 제2폰트에 의해 변환된 텍스트가 저장된다. 그리고, 제2저장부(23)에는 제2폰트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폰트가 저장될 수 있다.
제2제어부(25)는 텍스트의 출력을 위한 프로그램의 실행 및 이를 통합 입출력 필드를 제공함과 아울러, 전술한 과정에 의해 제1단말장치(10)로부터 전달된 텍스트에 제2폰트를 적용하여 제2폰트가 적용된 텍스트가 제2출력부(27)를 통헤 출력될 수 있게 변환한다.
제2출력부(27)는 제2제어부(25)에 의해 전달되는 텍스트를 출력하여 제공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 : 제1단말장치
11, 21 : 입력부
13, 23 : 저장부
15, 25 : 제어부
17, 27 : 출력부
20 : 제2단말장치

Claims (12)

  1. 제1단말장치에 의해 제1폰트를 이용하여 문자를 가지는 텍스트가 작성되는 텍스트 작성단계;
    상기 텍스트가 상기 제1단말장치로부터 제2단말장치에 전달되는 단계;
    상기 제2단말장치가 상기 제1폰트의 구비여부를 확인하는 확인단계;
    상기 제2단말장치가 상기 제1폰트와는 다른 제2폰트를 이용하여 상기 텍스트를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제2단말장치가 변환된 상기 텍스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텍스트는,
    상기 텍스트의 작성시 사용된 상기 문자의 크기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체폰트 적용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크기값은 상기 문자의 가로 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체폰트 적용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말장치가 상기 제2폰트를 이용하여 상기 텍스트를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제2폰트에 의한 상기 텍스트의 제2좌표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폰트를 이용하여 상기 텍스트를 출력시 상기 문자의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값과 상기 제2좌표값을 매칭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체폰트 적용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폰트를 이용하여 상기 텍스트를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제2단말장치가 상기 제2단말장치에 구비된 복수의 폰트 중 상기 제1폰트와 높이가 같거나 상기 폰트 중 가장 높이가 유사한 폰트를 상기 제2폰트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체폰트 적용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폰트를 이용하여 상기 텍스트를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제2단말장치가 상기 제2좌표값에 의해 할당되는 문자별 영역의 크기 또는 문자의 크기값에 따라 상기 제2폰트의 가로폭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체폰트 적용 방법.
  7. 제1폰트를 이용하여 문자를 가지는 텍스트가 작성되는 제1단말장치;
    상기 제1단말장치로부터 상기 텍스트를 전달받고, 상기 제1폰트의 구비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제1폰트와는 다른 제2폰트를 이용하여 상기 텍스트를 변환하고, 변환된 상기 텍스트를 출력하는 제2단말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텍스트는,
    상기 텍스트의 작성시 사용된 상기 문자의 크기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체폰트 적용 시스템.
  8. 삭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크기값은 상기 문자의 가로 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체폰트 적용 시스템.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말장치는
    상기 제2폰트에 의한 상기 텍스트의 제2좌표값을 산출하고, 상기 제2좌표값과 상기 제1폰트를 이용하여 상기 텍스트를 출력시 상기 문자의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값을 일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체폰트 적용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말장치는
    상기 제2단말장치에 구비되는 복수의 폰트 중 상기 제1폰트와 높이가 같거나 복수의 상기 폰트 중 높이가 가장 유사한 폰트를 상기 제2폰트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체폰트 적용 시스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말장치는
    상기 제2좌표값에 의해 할당되는 문자별 영역의 크기 또는 상기 제2좌표값에 의해 산출되는 문자의 크기값에 따라 상기 제2폰트의 가로폭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체폰트 적용 시스템.
KR1020160136345A 2016-10-20 2016-10-20 대체폰트 적용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1018873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6345A KR101887389B1 (ko) 2016-10-20 2016-10-20 대체폰트 적용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6345A KR101887389B1 (ko) 2016-10-20 2016-10-20 대체폰트 적용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3540A KR20180043540A (ko) 2018-04-30
KR101887389B1 true KR101887389B1 (ko) 2018-08-10

Family

ID=62080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6345A KR101887389B1 (ko) 2016-10-20 2016-10-20 대체폰트 적용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7389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8807A (ko) * 2001-12-31 2003-07-07 이성훈 무선핸드폰의 한글폰트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방법
KR101334589B1 (ko) 2013-06-03 2013-11-29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전자문서 레이아웃 유지를 위한 폰트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3540A (ko) 201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2899B1 (ko) 디지털 노트 필기의 시스템 및 방법
US20050216836A1 (en) Electronic document processing
US2014021086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20200364265A1 (en) Aid For Dyslexic Readers
JP5124001B2 (ja) 翻訳装置、翻訳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CN107480121A (zh) 版式数据流表单的制作方法
KR20140053002A (ko) 전자 문서의 표시 모드를 확정하는 방법 및 장치
US9886426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n efficient SVG file
JP4812077B2 (ja) データ表示方法及びデータ表示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
JP2012212293A (ja) 文書認識装置、文書認識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KR101887389B1 (ko) 대체폰트 적용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US11030388B2 (en) Live text glyph modifications
US20110219294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Continuation Marks In An Electronic Publication
KR101368960B1 (ko) 전자 문서 표시 방법 및 시스템
JP2013182512A (ja) 手書き文字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697533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and medium
JP2010262559A (ja) Gui調整プログラム、gui調整装置、情報処理方法。
US11295061B2 (en) Dynamic layout adjustment for reflowable content
KR20080110485A (ko) 기호 표시 장치, 프린터, 기호 표시 방법, 폰트데이터베이스, 기억 매체
CN113642289A (zh) 文本的排版方法和装置、电子设备、服务器及存储介质
KR101204615B1 (ko) 개인폰트 생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모바일 단말
US20220357841A1 (en) System and method for parallel multi-column text presentation and editing on a computer display
GB2391668A (en) A system for editing page description type documents
JP7003457B2 (ja) 文書再構成装置
KR101786018B1 (ko) 객체 특성 자동변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객체 특성 자동변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