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6018B1 - 객체 특성 자동변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객체 특성 자동변환 방법 - Google Patents

객체 특성 자동변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객체 특성 자동변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6018B1
KR101786018B1 KR1020160037783A KR20160037783A KR101786018B1 KR 101786018 B1 KR101786018 B1 KR 101786018B1 KR 1020160037783 A KR1020160037783 A KR 1020160037783A KR 20160037783 A KR20160037783 A KR 20160037783A KR 101786018 B1 KR101786018 B1 KR 1017860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boundary
area
unit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7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1754A (ko
Inventor
주민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Priority to KR1020160037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6018B1/ko
Publication of KR20170111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17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6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60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F17/21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03Formatting, i.e. changing of presentation of docu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저작물에 대한 사용자의 스크롤에 따라 전자 저작물 내의 객체의 특성을 자동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전자저작물의 중요 내용을 빠르게 확인 및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이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객체 특성 자동 변환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객체 특성 자동변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객체 특성 자동 변환 시스템은 객체별 특성이 적용된 하나 이상의 객체를 포함하는 전자 저작물이 저장되는 저장부; 상기 전자 저작물을 출력하기 위한 화면을 포함하는 출력부; 및 상기 전자 저작물의 출력시 상기 화면을 미리 지정된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저작물 내에서의 이동이 발생했는지 판단하는 영역인지부, 상기 영역별로 위치하는 객체를 확인하는 객체 확인부와, 상기 영역별로 확인된 상기 객체에 대해 상기 영역별로 미리 설정되는 설정값에 따라 상기 객체 각각의 특성을 변환하고, 특성이 변환된 상기 객체를 포함하는 상기 전자 저작물이 출력되도록 하는 특성조절부를 구비하는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객체 특성 자동변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객체 특성 자동변환 방법{The System for automatically converts the object properties and the method for automatically converts the object propertie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객체 특성 자동변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객체 특성 자동 변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자저작물의 표시 레벨 확대/축소에 따라 전자저작물 내의 객체의 크기를 자동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전자저작물의 중요 내용을 빠르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이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객체특성 자동변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객체특성 자동변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블로그 포스트, 신문기사, 뉴스 기사, 각종 서적, 자료와 같은 를 프린트 물이 아닌 단말장치를 이용하여 확인하는 경우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과거에는 집, 직장 또는 학교와 같은 장소에 설치되어 있던 컴퓨터를 주로 이용하여 이러한 전자 저작물을 접했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스마트 폰, 스마트 패드와 같이 인터넷과 같은 웹 또는 네트워크와 실시간으로 연결되어 전자 저작물을 실시간으로 접할 수 있는 장치들이 보급 및 확산되어 과거에 비해 전자저작물의 이용이 크게 증가하는 실정이며, 기존의 인쇄물을 빠르게 대체하는 실정이다.
때문에, 이로 인한 사용상의 불편함도 전자 저작물의 이용증가에 맞추어 크게 증가하는 실정이다.
구체적으로, 과거에는 거의 일정한 해상도의 컴퓨터만을 이용하여 전자저작물을 이용하였기 때문에, 그러한 해상도에 맞추어 전자 저작물이 작성되어, 폰트 또는 이미지의 크기가 결정되었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해상도, 화면크기, 출력 성능이 상이한 다양한 장치들이 개발되어 이용되면서, 과거와 같이 특정 장치의 해상도에 맞추어 전자 저작물을 작성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로 인해, 특정 장치에서는 폰트 또는 이미지의 크기가 너무 크거나, 너무 작게 표시되어 내용의 확인에 불편함이 따르는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10-2010-0047465(공개일 2010.05.10)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저작물에 대한 사용자의 스크롤에 따라 전자 저작물 내의 객체의 특성을 자동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전자저작물의 중요 내용을 빠르게 확인 및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이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객체 특성 자동 변환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객체 특성 자동변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객체 특성 자동 변환 시스템은 객체별 특성이 적용된 하나 이상의 객체를 포함하는 전자 저작물이 저장되는 저장부; 상기 전자 저작물을 출력하기 위한 화면을 포함하는 출력부; 및 상기 전자 저작물의 출력시 상기 화면을 미리 지정된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저작물 내에서의 이동이 발생했는지 판단하는 영역인지부, 상기 영역별로 위치하는 객체를 확인하는 객체 확인부와, 상기 영역별로 확인된 상기 객체에 대해 상기 영역별로 미리 설정되는 설정값에 따라 상기 객체 각각의 특성을 변환하고, 특성이 변환된 상기 객체를 포함하는 상기 전자 저작물이 출력되도록 하는 특성조절부를 구비하는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처리부는 상기 화면을 제1영역과, 상기 객체가 표현되는 필드 또는 화면의 경계에 해당되는 경계영역 및 상기 제1영역과 상기 경계영역 이외의 나머지 영역인 제2영역으로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1영역은 상기 제2영역 또는 상기 경계영역과 상기 객체의 크기, 명도, 채도, 색상, 형태, 글꼴 또는 객체에 적용되는 효과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다르게 설정되도록 특성을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1영역의 객체 크기, 채도 또는 명도의 증가, 밝은 색으로의 색상 조절 및 상기 객체를 진하게 표시, 밑줄 적용, 기울임 적용과 같은 효과 부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적용하여 노출도를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2영역 또는 상기 경계영역의 객체가 상기 제1영역의 객체에 비해 노출도가 낮아지도록, 크기, 채도 또는 명도의 축소, 어두운 색상으로 색상 조절 또는 객체에 부여된 효과의 제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적용하여 노출도를 낮추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처리부는 상기 경계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화면의 경계 또는 상기 필드의 경계에 의해 객체의 일부가 표시되지 않는 경우, 상기 객체를 축소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처리부는 미리 설정된 축소마진과 상기 객체의 축소율을 비교하여 상기 객체가 상기 축소마진에서 설정된 축소율로 축소된 경우에도 상기 객체가 상기 경계에 의해 일부가 표시되지 않는 경우, 상기 객체를 출력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객체 특성 자동 변환 방법은 저장부에 객체별 특성이 적용된 하나 이상의 객체를 포함하는 전자 저작물이 저장되는 저작물 저장 단계; 처리부가 출력부의 화면을 미리 지정된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영역별로 위치하는 객체를 확인하는 객체 확인 단계; 상기 처리부가 상기 영역별로 위치하는 상기 객체의 이동이 발생했는지 판단하는 객체 이동 확인 단계; 상기 처리부가 상기 영역별로 미리 설정되는 설정값에 따라 상기 영역별로 상기 객체 각각의 특성을 변환하는 특성 변환단계; 및 상기 출력부를 통해 상기 영역별 특성이 적용된 객체를 포함하는 상기 전자 저작물일 출력되는 출력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성 변환 단계는 상기 처리부가 상기 화면을 제1영역과, 상기 객체가 표현되는 필드 또는 화면의 경계에 해당되는 경계영역 및 상기 제1영역과 상기 경계영역 이외의 나머지 영역인 제2영역으로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성 변환 단계는 상기 처리부가 상기 제1영역은 상기 제2영역 또는 상기 경계영역과 상기 객체의 크기, 명도, 채도, 색상, 형태, 글꼴 또는 객체에 적용되는 효과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다르게 설정되도록 특성을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성 변환 단계는 상기 처리부가 상기 제1영역에 위치하는 객체의 크기, 채도 또는 명도의 증가, 밝은 색으로 색상 조절 및 상기 객체를 진하게 표시, 밑줄 적용, 기울임 적용과 같은 효과 부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적용하여 노출도를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성 변환 단계는 상기 처리부가 상기 제2영역 또는 상기 경계영역의 객체가 상기 제1영역의 객체에 비해 노출도가 낮아지도록, 크기, 채도 또는 명도의 축소, 어두운 색상으로의 색상 조절 또는 객체에 부여된 효과의 제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적용하여 노출도를 낮추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성 변환 단계는 상기 처리부가 상기 경계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화면의 경계 또는 상기 필드의 경계에 의해 객체의 일부가 표시되지 않는 경우, 상기 객체를 축소하여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성 변환 단계는 상기 처리부가 미리 설정된 축소마진과 상기 객체의 축소율을 비교하여 상기 객체가 상기 축소마진에서 설정된 축소율로 축소된 경우에도 상기 객체가 상기 경계에 의해 일부가 표시되지 않는 경우, 상기 객체를 출력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객체 특성 자동 변환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객체 특성 자동변환 방법은 전자저작물에 대한 사용자의 스크롤에 다라 전자저작물 내의 객체의 특성을 자동으로 변환시켜, 사용자의 주의 집중되는 위치의 객체를 부각시킴으로써 전자저작물의 중요 내용을 빠르게 확인 및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이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객체특성 자동변환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객체 특성 자동 변환 전의 원본 전자 저작물을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객체 특성 자동 변환이 이루어진 전자 저작물을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도 3의 전자 저작물에 대해 스크롤이 이루어진 경우를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객체 특성 자동변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도면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객체특성 자동변환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객체특성 자동변환 시스템은 처리부(10), 저장부(20), 출력부(30), 입력부(40) 및 통신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처리부(10)는 영역 인지부(11), 객체 확인부(12) 및 특성 조절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처리부(10)는 사용자의 명령 입력시 출력부(30)를 통해 전자 저작물을 출력하고, 출력되는 전자저작물에 대한 스크롤 발생 즉, 화면 이동 여부와 출력 위치의 객체를 확인하고, 미리 정해진 설정에 따라 객체의 특성을 변환하여 출력되게 한다. 구체적으로 처리부(10)는 사용자가 입력부(40)를 통해 전자 저작물을 선택하며, 이를 통신부(50)를 통해 다운로드 받아 저장부(20)에 저장하고, 저장부(20)에 저장된 전자 저작물을 출력부(30)를 통해 출력한다. 여기서, 저장부(20)는 전자 저작물이 전부 저장될 수도 있고, 출력에 필요한 최소량만 저장될 수도 있으며, 제시된 바에 의해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미리 저장된 전자 저작물의 경우 통신부(50)를 통한 다운로드는 생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처리부(10)는 전자저작물이 출력부(30)를 통해 출력되는 경우 전자 저작물에 포함된 객체가 출력되는 위치 즉, 출력부(30)에 포함되는 화면상의 위치와 저작물 내에서 발생되는 스크롤 또는 페이지 넘김과 같은 저작물 내 이동을 발생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처리부(10)는 전자 저작물의 객체들 중 화면의 지정된 영역에 위치하는 객체는 부각되어 표현되도록 특성을 변경하고, 해당 위치 이외의 영역에 위치하는 객체는 상대적으로 부각되지 않다록 노출도를 낮추도록 특성을 변경하게 된다. 여기서, 객체는 전자 저작물 내에 포함되는 텍스트, 이미지, 테이블, 수식, 틀과 같은 요소들로 전자 저작물 당시, 크기, 색상, 채도, 명도, 폰트, 형태와 같은 다양한 특성들이 각각 정의된 요소들을 의미한다.
처리부(10)는 이러한 객체들 중 미리 정해진 제1영역에 객체들이 위치하는 경우 객체를 확대하거나, 색상, 채도 또는 명도를 조절하여 선명하고 진하게 표시하는 것과 같은 특성변화를 수행한다. 반대로, 제1영역 이외의 영역에 위치하는 객체들은 제1영역의 객체와 반대의 특성변화를 수행하여 상대적으로 노출도가 낮아 지도록 하게 된다.
특히, 처리부(10)는 이미지, 테이블, 틀과 같이 복수의 텍스트 라인에 해당하는 객체의 경우 제1영역을 벗어나거나(이하에서 화면에서 부각을 위해 지정된 영역을 제1영역, 이외의 영역을 제2영역이라 지칭하기로 한다), 스크롤, 페이지 넘김과 같이 저작물 내 이동에 의해 화면의 경계를 넘어가는 경우 표시되는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이미지 축소를 실행하게 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처리부(10)는 제1영역에 표시되던 이미지가 제1영역으로부터 벗어나는 경우 이미지의 크기를 축소하게 된다. 또한, 이와같이 축소된 이미지가 페이지의 경계 또는 화면의 경계를 넘어가게 되는 경우 다시 한번 축소하게 된다. 이를 통해, 처리부(10)는 저작물의 화면 출력시 제1영역에서는 이미지를 확대하여 노출도를 높이며, 제1영역을 벗어나는 순간부터는 이미지의 크기를 충분히 축소함으로써 다른 객체가 화면 영역에서 노출될 수 있도록 하거나, 객체 확대를 위한 여유공간을 확보하게 된다. 여기서는 이미지에 대해서만 설명했지만, 이미지와 같이 복수의 라인을 차지하는 요소들 또는 텍스트에 대해서도 이와 같이 제1 영역과 제2영역에 따른 특성 변화를 통해 동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러한 처리부(10)는 미리 설정되어 저장되는 설정특성값을 영역별 또는 경계 별로 적용하여 객체의 특성을 조절한다.
이를 위해, 처리부(10)는 영역 인지부(11), 객체 확인부(12) 및 특성 조절부(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영역 인지부(11)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객체가 부각되는 영역 즉, 노출도가 높아 지도록 특성이 조절되는 제1영역과, 노출도가 제1영역에 비해 낮게 조절되는 제영역 및 전자저작물에 대한 스크롤, 페이지 넘김과 같은 사항의 발생을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영역 인지부(11)는 현재 제1영역에 위치하는 객체가 제2영역으로 이동하거나, 제2영역에 위치하는 객체가 화면경계 또는 페이지 경계로 이동하는지를 판단하여, 판단결과를 특성 조절부(13)에 전달한다.
객체 확인부(12)는 전자 저작물의 스크롤 또는 페이지 넘김과 같은 이동의 발생시 객체 특성이 필요하거나, 변경이 가능한 객체가 있는지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객체확인부(12)는 각각 제1영역에 진입하는 객체, 제1영역으로부터 제2영역으로 이동되는 객체, 제2 영역에서 화면경계 또는 페이지 경계로 진입하는 객체를 각각 판단하고, 이를 특성 조절부(13)에 전달한다. 특히, 이 객체 확인부(12)는 전자 저작물에 포함되는 다수의 객체들 중 현재 화면상에 표현되는 객체를 위주로 객체의 존재 및 특성 조절 가능여부를 판단하여 특성조절부(13)에 전달하게 된다.
특성 조절부(13)는 영역 인지부(11)와 객체 확인부(12)로부터 전달되는 영역별 객체의 위치와, 객체의 수, 종류를 확인하고, 미리 설정된 설정값을 각 영역의 객체에 적용하여 특성을 변환한다. 이를 위해 특성 조절부(13)는 제1영역에 위치하는 객체에 대해서는 크기, 폰트, 색상, 명도, 채도와 같은 사항을 변환하여 노출도를 향상시키고, 제2영역에 위치하는 객체에 대해서는 특성을 변환하여 노출도를 하향시킨다. 그리고, 특성 조절부(13)는 경계 영역에 위치하는 객체에 대해서는 노출도가 하향된 상태에서 크기를 감소시키는 특성변화를 수행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특성 조절부(13)는 크기를 증가시키고, 폰트를 조절하여 진하게 표시하며, 색상, 명도, 채도를 높여 객체의 신인성을 높이게 된다.
한편, 특성 조절부(13)에 의해 객체가 확대 되는 경우 즉, 제1영역의 객체가 확대되는 경우, 객체의 크기는 화면의 크기 또는 객체가 입력된 전자 저작물의 필드의 경계 이내로 제한된다. 즉, 객체의 가로 또는 세로 폭 중 화면 또는 필드의 가로 또는 세로측 경계에 먼저 접하는 크기로 확대의 크기가 제한되게 된다.
저장부(20)는 출력부(3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는 전자 저작물이 임시 또는 영구 저장되며, 이외에도 객체 조절을 위한 특성 설정을 위한 설정값이 저장된다. 이 저장부(20)는 단말장치 내부에 설치되는 내부메모리, 외부에 확장 가능하게 설치되는 외부 저장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클라우드 컴퓨팅 장치의 저장장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나, 제시된 바에 의해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출력부(30)는 처리부(10)의 제어에 의해 저장부(20)에 저장되는 전자 저작물을 출력한다. 특히, 이 출력부(30)는 입력부(40)와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제시된 바에 의해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 출력부(30)를 통해 처리부(10)에 의해 객체 특성이 변경된 전자 저작물이 출력된다.
입력부(40)는 전자 저작물의 출력을 위한 선택 명령, 전자 저작물의 내용 확인을 위한 스크롤 또는 페이지 넘김 명령과 같은 명령들이 입력된다. 또한, 입력부(4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설정값의 조절을 위한 명령이 입력될 수 있다. 여기서, 설정값은 전자 저작물의 출력을 위한 프로그램을 제조하는 회사에서 미리 설정하여 공급하고, 저장부(20)에 저장된 뒤, 사용자에 의해서는 세부설정, 적용여부만 설정하도록 할 수 있으며, 세부설정, 적용여부의 명령이 입력부(40)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통신부(50)는 전자 저작물의 다운로드, 전자 저작물의 출력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와 같이 단말장치가 전자 저작물을 이용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통신부(50)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특히 이동통신 시스템에 접속 가능한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객체 특성 자동 변환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로, 도 2는 객체 특성 자동 변환 전의 원본 전자 저작물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3은 객체 특성 자동 변환이 이루어진 전자 저작물을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전자 저작물에 대해 스크롤이 이루어진 경우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전자 저작물은 도시된 바와 같이 텍스트와 이미지와 같은 객체들이 혼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전자 저작물은 종이와 같이 객체가 표현될 영역을 한정하는 필드 내에 저작자의 의도대로 배치가 되며, 각 객체에는 저작자가 의도한 특성이 부여된다.
이러한 전자 저작물은 화면의 크기가 큰 컴퓨터 단말뿐만 아니라, 스마트 폰, 스마트 패드와 같이 화면 크기가 작은 단말장치에 의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이 경우, 기존의 전자 저작물에 부여된 필드 크기를 그대로 출력하는 경우 화면 크기에 따라 스케일이 조절되어 객체의 크기가 매우 작아지게 되고, 이로 인해 전자 저작물의 내용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국부적인 확대와 스크롤의 반복이 이루어져야 하는 불편함이 따른다. 또한, 화면 크기가 충분한 경우에도 전자 저작물의 내용이 많은 경우 전체적인 저작물의 내용을 확인하기 어려워지는 문제점도 발생된다.
구체적으로 도 2에서와 같이 폰트와 이미지가 혼합된 전자 저작물의 경우, 상단의 화면 경계영역에 걸쳐진 이미지(72) 객체의 경우나, 하단의 경계영역에 걸쳐진 이미지(71)의 경우 일부만 표시되고, 일부는 표시되지 않게(점선) 된다.
이러한 이미지와 같은 객체의 경우 전체적인 형태를 확인하는 경우 전자 저작물의 내용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요소가 되는데, 이와 같이 잘린 형태의 경우 특히, 이러한 객체에 대한 설명이 이미지 객체(71, 72)의 전후에 동반되는 경우 설명에 대한 텍스트와 객체(71, 72)의 확인을 번갈아 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이와 같은 과정에서 사용자는 본인이 확인하던 텍스트의 위치를 놓치는 수가 빈번해지며, 자신이 읽고 있던 부분이 어느 부분인지 찾는데 시간과 노력을 소요하게 된다.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화면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각 영역별로 위치하는 객체를 영역별로 부여되는 특성으로 자동 변환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3에서와 같이 상하 단의 경계영역, 사용자의 시선이 주로 집중되는 제1영역, 경계영역과 제1영역을 제외한 전 부분의 제2영역으로 구분된다.
구체적으로 제1영역에서는 처리부(10)가 제1영역에 위치하는 객체의 노출도를 높이는 형태로 특성 변환이 이루어진다. 특히, 이 제1영역에 위치하는 객체에 대해 처리부(10)는 크기를 다른 영역에 존해하는 객체에 비해 커지도록 특성을 변환하고, 이외에도 색상, 명도, 채도와 같은 항목들을 조절하거나, 굵기, 진하기, 밑줄과 같은 특성을 추가하여 노출도를 높이게 된다.
그리고, 제2영역의 객체에 대해서는 원본과 같은 특성이 유지되도록 하거나, 원본 전자저작물에서 부여된 특성에 비해 노출도가 낮아지도록 하는 객체 특성 변환이 이루어진다. 즉, 크기를 축소하거나, 채도, 색상, 명도, 굴기, 진하기와 같은 특성은 흐려보이거나 작아보이는 형태로 변환하여 노출도를 낮추게 된다.
아울러, 경계 영역의 객체에 대해서는 제2영역의 특성이 그대로 유지되게 하는 한편, 이미지, 틀, 수식과 같이 일부분의 잘림이 발생하는 객체에 대해서는 경계 영역 이내에서 객체의 전 사항이 표출되도록 크기를 감소시키게 된다.
특히, 경계 영역의 객체는 축소 마진이 설정되며, 객체의 축소비율이 축소마진과 같은 경우에도 객체의 잘림 현상이 발생되면, 표시 영역에서 객체를 감추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특성이 변환된 전자 저작물에 스크롤링이 발생되어 도 4와 같이 저작물 내의 이동이 발생되는 경우 객체의 영역 변경에 따라 도 3에서와 같은 특성 변환이 이루어진다.
즉, 제1영역에 위치하던 객체가 제2영역 또는 경계 영역으로 이동되면, 노출도를 낮추고 경계 영역 내에서 객체 전체가 표현되도록 노출도가 낮춰지며, 제2영역에 있던 객체가 제1영역으로 진입하면 객체의 노출도가 높아지도록 객체 특성이 변경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객체 특성 자동변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객체 특성 자동변환 방법은 저작물 저장 단계(S10), 객체 확인 단계(S20), 객체 이동 확인 단계(S30), 특성 변환 단계(S40) 및 저작물 출력단계(S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저작물 저장 단계(S10)는 단말장치가 인터넷 또는 네트워크를 접속하여 인터넷 또는 인터넷을 통해 특정 서비스에 연결하여 획득하거나, 사용자에 의해 작성되는 전자 저작물이 단말장치의 저장부(20)에 저장되는 단계이다. 이 전자 저작물은 복수의 객체 예를 들어, 텍스트, 이미지, 틀, 수식, 동영상, 표와 같은 복수의 객체가 미리 정해진 영역에 기재된 것으로, 각 객체별로 고유의 특성이 부여된다. 특성은 전술한 바와 같이, 형태, 색상, 명도, 채도, 크기와 같이 변경 가능하며, 전자 저작물의 작성을 위해 객체에 부여되는 효과를 의미한다. 이 전자 저작물은 이와 같이 각 객체에 대해 개별적인 특성이 부여된 복수의 객체를 포함하도록 작성되며, 이러한 전자 저작물이 다운로드 또는 직접 작성에 의해 단말장치의 저장부(20)에 저장된다.
객체 확인 단계(S20)는 처리부가 출력부(30)의 화면을 통해 출력되는 객체를 확인하는 단계이다. 이 객체 확인 단계(S20)는 특히, 화면을 제1영역, 제2영역 및 경계영역과 같이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이들 각 영역에 위치하는 객체의 존재 여부, 수량, 특성 조절 가능 여부와 같은 사항을 확인 하는 단계이다.
객체 이동 확인 단계(S30)는 처리부(10)가 출력부(30)의 각 영역에 위치 했던 객체들이 다른 영역으로 이동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즉, 처리부(10)가 입력부(40)를 통해 입력되는 스크롤, 페이지 넘김과 같은 이동명령에 의해 이동하여 출력위치가 변경됨으로써, 각 객체들이 다른 영역으로 이동했는지 판단하는 단계이다.
특성 변환 단계(S40)는 처리부(10)가 각 영역에 대해 미리 정해진 설정값을 적용하여 각 영역별 개체에 각각의 특성 변환을 수행하는 단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처리부(10)는 사용자에 의한 주목도가 높은 제1영역에 위치하는 객체들은 노출도를 높이는 형태로 특성 변환이 이루어지게 하고, 제2영역에 위치하는 객체들은 노출도를 낮추는 형태로 특성 변환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경계 영역의 경우, 경계영역에 의한 객체 잘림 여부를 판단하고, 객체 잘림이 발생하는 경우 객체를 축소하여 표현하거나 출력을 생략하도록 변환 및 처리하게 된다. 또한, 처리부(10)는 객체 이동이 확인 되는 경우 각 객체가 진입한 영역의 설정값을 각 객체에 적용하여 특성을 재변환하게 된다.
저작물 출력단계(S50)는 특성 변환 단계(S40)에서 특성이 변환된 객체를 가지는 저작물이 출력부의 화면을 통해 출력되는 단계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 : 처리부
11 : 영역 인지부
12 : 객체 확인부
13 : 특성 조절부
20 : 저장부
30 : 출력부
40 : 입력부
50 : 통신부

Claims (14)

  1. 객체별 특성이 적용된 하나 이상의 객체를 포함하는 전자 저작물이 저장되는 저장부;
    상기 전자 저작물을 출력하기 위한 화면을 포함하는 출력부; 및
    상기 전자 저작물의 출력시 상기 화면을 미리 지정된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저작물 내에서의 이동이 발생했는지 판단하는 영역인지부, 상기 영역별로 위치하는 객체를 확인하는 객체 확인부와, 상기 영역별로 확인된 상기 객체에 대해 상기 영역별로 미리 설정되는 설정값에 따라 상기 객체 각각의 특성을 변환하고, 특성이 변환된 상기 객체를 포함하는 상기 전자 저작물이 출력되도록 하는 특성조절부와 상기 영역별 객체의 특성변화가 가능한지 판단하여 판단결과를 상기 특성 조절부에 전달하는 객체확인부를 구비하는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화면을 제1영역과, 상기 객체가 표현되는 필드 또는 화면의 경계에 해당되는 경계영역 및 상기 제1영역과 상기 경계영역 이외의 나머지 영역인 제2영역으로 구분하며,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1영역은 상기 제2영역 또는 상기 경계영역과 상기 객체의 크기, 명도, 채도, 색상, 형태, 글꼴 또는 객체에 적용되는 효과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다르게 설정되도록 특성을 변환하되,
    상기 제1영역의 객체 크기, 채도 또는 명 도의 증가, 밝은 색으로의 색상 조절 및 상기 객체를 진하게 표시, 밑줄 적용, 기울임 적용과 같은 효과 부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적용하여 노출도를 높이며,
    상기 처리부는 상기 경계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화면의 경계 또는 상기 필드의 경계에 의해 객체의 일부가 표시되지 않는 경우, 상기 객체를 축소하여 표시하되,
    미리 설정된 축소마진과 상기 객체의 축소율을 비교하여 상기 객체가 상기 축소마진에서 설정된 축소율로 축소된 경우에도 상기 객체가 상기 경계에 의해 일부가 표시되지 않는 경우, 상기 객체를 출력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특성 자동 변환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2영역 또는 상기 경계영역의 객체가 상기 제1영역의 객체에 비해 노출도가 낮아지도록, 크기, 채도 또는 명도의 축소, 어두운 색상으로 색상 조절 또는 객체에 부여된 효과의 제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적용하여 노출도를 낮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특성 자동 변환 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저장부에 객체별 특성이 적용된 하나 이상의 객체를 포함하는 전자 저작물이 저장되는 저작물 저장 단계;
    처리부가 출력부의 화면을 미리 지정된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영역별로 위치하는 객체를 확인하는 객체 확인 단계;
    상기 처리부가 상기 영역별로 위치하는 상기 객체의 이동이 발생했는지 판단하는 객체 이동 확인 단계;
    상기 처리부가 상기 영역별 객체의 특성변화가 가능한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처리부가 상기 영역별로 미리 설정되는 설정값에 따라 상기 영역별로 상기 객체 각각의 특성을 변환하는 특성 변환단계; 및
    상기 출력부를 통해 상기 영역별 특성이 적용된 객체를 포함하는 상기 전자 저작물이 출력되는 출력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특성 변환 단계는 상기 처리부가 상기 화면을 제1영역과, 상기 객체가 표현되는 필드 또는 화면의 경계에 해당되는 경계영역 및 상기 제1영역과 상기 경계영역 이외의 나머지 영역인 제2영역으로 구분하며,
    상기 특성 변환 단계는 상기 처리부가 상기 제1영역은 상기 제2영역 또는 상기 경계영역과 상기 객체의 크기, 명도, 채도, 색상, 형태, 글꼴 또는 객체에 적용되는 효과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다르게 설정되도록 특성을 변환하되,
    상기 특성 변환 단계는 상기 처리부가 상기 제1영역에 위치하는 객체의 크기, 채도 또는 명도의 증가, 밝은 색으로 색상 조절 및 상기 객체를 진하게 표시, 밑줄 적용, 기울임 적용과 같은 효과 부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적용하여 노출도를 높이며,
    상기 특성 변환 단계는
    상기 처리부가 상기 경계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화면의 경계 또는 상기 필드의 경계에 의해 객체의 일부가 표시되지 않는 경우, 상기 객체를 축소하여 표시되도록 하되,
    미리 설정된 축소마진과 상기 객체의 축소율을 비교하여 상기 객체가 상기 축소마진에서 설정된 축소율로 축소된 경우에도 상기 객체가 상기 경계에 의해 일부가 표시되지 않는 경우, 상기 객체를 출력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특성 자동 변환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특성 변환 단계는
    상기 처리부가
    상기 제2영역 또는 상기 경계영역의 객체가 상기 제1영역의 객체에 비해 노출도가 낮아지도록, 크기, 채도 또는 명도의 축소, 어두운 색상으로의 색상 조절 또는 객체에 부여된 효과의 제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적용하여 노출도를 낮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특성 자동 변환 방법.

  13. 삭제
  14. 삭제
KR1020160037783A 2016-03-29 2016-03-29 객체 특성 자동변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객체 특성 자동변환 방법 KR1017860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7783A KR101786018B1 (ko) 2016-03-29 2016-03-29 객체 특성 자동변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객체 특성 자동변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7783A KR101786018B1 (ko) 2016-03-29 2016-03-29 객체 특성 자동변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객체 특성 자동변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1754A KR20170111754A (ko) 2017-10-12
KR101786018B1 true KR101786018B1 (ko) 2017-11-15

Family

ID=60141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7783A KR101786018B1 (ko) 2016-03-29 2016-03-29 객체 특성 자동변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객체 특성 자동변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601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2403A (ja) * 1998-12-09 2000-06-23 Nec Corp 情報表示装置及びその表示方法
JP2015167033A (ja) 2015-04-30 2015-09-24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表示領域制御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2403A (ja) * 1998-12-09 2000-06-23 Nec Corp 情報表示装置及びその表示方法
JP2015167033A (ja) 2015-04-30 2015-09-24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表示領域制御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1754A (ko) 2017-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00595B2 (en) Modification of windows across multiple displays
US9720582B2 (en) Responsive image rendition authoring
US2015008866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responsive user interface and electronic device-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for
US9733876B2 (en) Method of printing web page by using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for performing the method
JP2014146128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60232151A1 (en) Responsive course design system and method
CN110598140A (zh) 页面调整方法、装置及服务器
CN107741816A (zh) 一种图像信息的处理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04517302A (zh) 显示设备和用于提供该显示设备的字体效果的方法
US10120637B2 (en) Mirror display system having low data traffic and method thereof
US20080037051A1 (en) Document display processor, computer readable medium storing document display processing program, computer data signal and document display processing method
JP5303534B2 (ja) 体裁情報処理装置及び方法
JP2011086050A (ja) 情報処理端末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786018B1 (ko) 객체 특성 자동변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객체 특성 자동변환 방법
CN111199136B (zh) 文档内容的展示方法、装置及设备
US9692936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for clipping, from a second image, an area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designated position in a first image
US20210073458A1 (en) Comic data display system, method, and program
KR101786017B1 (ko) 표시 레벨에 따른 객체 특성 자동변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객체 특성 자동변화 방법
CN113934339A (zh) 一种基于rem的页面自适应布局的方法及装置
JP6108105B2 (ja) 記事画像再構成装置
KR101430964B1 (ko)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CN112395033B (zh) 网页自适应方法及相关产品
JP7003457B2 (ja) 文書再構成装置
US20130083077A1 (en) Method of displaying a digital content on a screen
KR20230138363A (ko) 전자문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