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8363A - 전자문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문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8363A
KR20230138363A KR1020220036346A KR20220036346A KR20230138363A KR 20230138363 A KR20230138363 A KR 20230138363A KR 1020220036346 A KR1020220036346 A KR 1020220036346A KR 20220036346 A KR20220036346 A KR 20220036346A KR 20230138363 A KR20230138363 A KR 202301383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ocument
user
layout
user terminal
electro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6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엔파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엔파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엔파인
Priority to KR1020220036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8363A/ko
Publication of KR20230138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836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03Formatting, i.e. changing of presentation of documents
    • G06F40/106Display of layout of documents; Preview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4Browsing; Visualisation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3Document managemen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5Search customisation based on user profiles and personali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03Formatting, i.e. changing of presentation of documents
    • G06F40/109Font handling; Temporal or kinetic typograph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03Formatting, i.e. changing of presentation of documents
    • G06F40/117Tagging; Marking up; Designating a block; Setting of attribu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문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자문서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레이아웃 구현을 위
한 마크정보를 전자문서 내에 삽입하여 전송하는 전자문서 제공서버와, 상기 전자문서 제공서버가 전송한 상기
전자문서를 수신하고 상기 전자문서 내 포함된 마크정보에 근거하여 사용자 환경정보에 따른 전자문서의 레이아
웃 구성을 설정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문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ERVICING ELECTRONIC DOCUMENTS}
본 발명은 전자문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0001] 전자문서에 포함되는 마크(mark)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환경에 따라 전자문서의 레이아웃(layout)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문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0002] 전자문서는 다양한 형태의 레이아웃(Layout)으로 편집하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문서의 레이아웃 기술은
대부분 정형화되어 있으며, 각 상황에 맞은 레이아웃을 구현할 때마다 새로운 형식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축
하고 개발해야 한다.
[0003] 또한, 각 상황에 따라 사용하는 형식의 레이아웃은 각기 다를 수밖에 없기 때문에 그 레이아웃을 시스템에 적용
할 때마다 사용자가 요구하는 형식은 달라지는 문제점이 있다.
[0004] 또한, 현재 다양한 조건에 따른 레이아웃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각기 다른 형식의 레이아웃과 새로운 레이아웃의
편집 기술이 필요하고, 이러한 전자문서의 레이아웃 수정에 따른 시스템 수정이 불가피하게 된다.
[0005] 그러나, 전자문서 레이아웃 수정과 새로운 레이아웃의 발생은 요구사항에 맞게 수정 및 생성될 수 있으나, 지속적인 요청에 즉각적인 대응을 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종래기술에 의한 한국 공개특허 2011-0094874는 전자책 제작 시스템 및 그 [0006]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자책 컨텐츠
에 대한 편집환경을 제공하여 사용자요청에 따른 편집을 수행하는 구성을 개시한다.
[0007] 하지만 종래기술은 웹 플러그(Plug-in)인 기술을 통해 RIA(Rich Internet Application) 기반의 위젯(Widget)
형태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지원하여 웹 페이지 상에 등재된 다양한 컨텐츠에 대한 편집환경을 제공하므로, 다
양한 상황에 따른 레이아웃 구성을 용이하게 수행하기 어렵고 복잡한 과정이 필요하다.
[0009]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전자문서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레이아
웃 구성을 설정할 수 있도록 전자문서 내에 마크 정보를 삽입하는 전자문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
자 한다.
[0010] 또한, 본 발명은 전자문서에 포함되는 마크 정보에 근거하여 사용자 환경에 따른 전자문서의 레이아웃(layout)
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문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0011]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문서 서비스 시스템은 전자문서를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레이아웃 구현을 위한 마크정보를 전자문서 내에 삽입하여 전송하는 전자문서 제공서버와, 상기 전자
문서 제공서버가 전송한 상기 전자문서를 수신하고 상기 전자문서 내 포함된 마크정보에 근거하여 사용자 환경
정보에 따른 전자문서의 레이아웃 구성을 설정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2] 또한, 상기 전자문서 제공서버는, 기설정된 전자문서 표준규격에 따라 전자문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3] 또한, 상기 전자문서 제공서버는,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 요소에 대한 속성, HTML5 시맨틱 태그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문서 내 마크정보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4] 또한, 상기 마크정보는, 마크 목적 및 전자문서의 레이아웃 구성설정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 및 레이아웃 구성요
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5] 또한, 상기 레이아웃 구성요소는, 레이아웃 속성, 미디어 종류, 화질과 같은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
[0016] 또한, 상기 사용자 환경정보는, 사용자 정보 및 디바이스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7] 또한, 상기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나이, 성별, 장애유형과 같은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8] 또한, 상기 디바이스 정보는, 해상도, 운영체제, 네트워크, 성능과 같은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9]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문서 서비스 방법은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전자문서 다운로드를 전자문서 제공서버에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전자문서 제공서버가 상기 선택된 전자문서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전자문서 제공서버가 전송하는 전자문서를 수신
하여 상기 전자문서 내 마크정보의 존재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전자문서 내 마크정
보가 존재하면 그 마크정보에 근거하여 사용자 환경정보에 따른 전자문서의 레이아웃 구성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설정된 레이아웃 구성에 따라 전자문서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20] 위한 명령 및 레이아웃 구성요
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21] 또한, 상기 레이아웃 구성요소는, 레이아웃 속성, 미디어 종류, 화질과 같은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
[0022] 또한, 상기 사용자 환경정보는, 사용자 정보 및 디바이스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23] 본 발명은 전자문서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레이아웃 구성을 설정할 수 있도록 전자문서 내에 마크 정보를 삽입하
고, 전자문서에 포함되는 마크 정보에 근거하여 사용자 환경에 따른 전자문서의 레이아웃(layout)을 구성할 수
있다.
[0024] 따라서, 본 발명은 전자문서의 레이아웃을 설정(편집)하기 위한 별도의 편집환경을 제공하지 않아도 사용자 요
청에 따른 전자문서의 레이아웃 편집이 가능하다.
[0025]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문서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의 블록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문서 서비스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0026] 본 명세서에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0027]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
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
일", "하나" 및 "그" 등의 관사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
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0028]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0029]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문서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를 도시한다.
[0030]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문서 서비스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사용자 단말(100)과 전자문서
제공서버(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이동 통신 및 유/무선 인터넷, 근거리 통신, 방송통신 등의 통
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0031]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가 전자문서를 읽을 수 있게 하는 애플리케이션 예컨대, 뷰어(viewer) 등이 설치 및
구동될 수 있는 전자문서 재생장치(e-book reader)이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100)은 태블릿 컴퓨터(tablet
computer),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스마트폰(smart phone),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 및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전자책 단말기(e-book reader), 내비게이션(navigation) 등과 같은 단말기
로 구현될 수 있다.
[0032] 사용자 단말(100)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자문서 제공서버(200)에 접속하여 사용자의 제어명령에 따라 특정
전자문서를 검색하여 다운로드한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은 다운로드한 전자문서를 저장하고 화면에 표시
한다.
[0033] 전자문서 제공서버(200)는 전자책 및 디지털 잡지 등과 같은 전자문서(전자출판물)를 제공한다. 이때, 전자문서
제공서버는 기설정된 전자문서 표준규격에 따라 전자문서를 생성한다.
[0034] 전자문서 제공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이 특정 전자문서의 다운로드를 요청하면 해당 전자문서를 사용자단말(100)로 전송한다. 이때, 전자문서 제공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거친 후 사용
자에 의해 선택된 전자문서를 전자문서 데이터베이스(미도시)로부터 검색 및 독출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
할 수도 있다.
전자문서 제공서버(200)는 전자문서의 레이아웃 설정(구현)을 위한 마크 정보를 [0035] 입력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한다. 여기서, 전자문서 제공서버(200)는 하이퍼텍스트 마크업 언어(Hyper Text Markup Language, HTML)
요소(elements)에 대한 속성(attributes), HTML5 시맨틱 태그(sematic tag) nav 및 section 등을 이용하여 마
크 정보를 입력한다.
[0036] 마크 정보는 마크 목적 및 레이아웃 구현을 위한 명령(command) 및 레이아웃 구성요소을 포함한다. 레이아웃 구
성요소는 레이아웃 속성(글자크기, 글꼴, 글자색 등), 미디어 종류(이미지, 오디오, 동영상 등),
화질(고해상도, 저해상도 등) 등을 포함한다.
[0037] 예를 들어, 전자문서 제공서버(200)는 하기와 같이 전자문서에 data-command(명령) 및 data-param(레이아웃 속
성)을 포함하는 마크정보를 삽입하여 사용자 단말(100)에 명령과 레이아웃 구성요소를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
자 단말(100)의 뷰어는 전자문서 로딩 시 마크 정보에 근거하여 전자문서의 레이아웃을 구현할 수 있게 한다.
즉, 사용자 단말(100)의 뷰어는 data-param이 사용자 환경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에 설정된 레이아웃을
구성한다.
[0038] <HTML 코드>
[0039] <section data-command="adaptive-layout"> // 이 영역에 선택적으로 레이아웃 구성요소가 포함될 것임을 표현
[0040] <section data-command="match-case" data-param="image">
[0041] <img src= />
[0042] </section>
[0043] <section data-command="match-case" data-param="audio">
[0044] <audio src=" />
[0045] </section>
[0046] </section>
[0047]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100)이 전자문서 제공서버(200)로부터 마크 정보가 포함된 전자문서를 구입
한 후, 그 구입한 전자문서를 로드할 때 뷰어와 전자문서에 포함된 콘텐츠 사이의 프로토콜 구현에 있어서 마킹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문서(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레이아웃 구성을 제어(편집)하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동일한 효과를 구현할 때 콘텐츠 제작의 복잡도를 낮출 수 있다.
[0048]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의 블록구성도를 도시한다.
[0049]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0)은 통신부(110), 사용자 입력부(120), 메모리(130), 출력부(140), 제어부
(150)를 포함한다.
[0050] 통신부(110)는 사용자 단말(100)이 다른 사용자 단말(100) 또는 전자문서 제공서버(2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
하여 전자문서 및 각종 콘텐츠를 송수신한다. 통신부(100)는 이동 통신 모듈, 유/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
신모듈, 방송통신모듈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0051] 사용자 입력부(120)는 사용자가 단말(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20)
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touch pad),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0052] 메모리(130)는 사용자 단말(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의 임
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컨대, 메모리(130)는 전자문서 및 전자문서 뷰어, 사용자 환경정보 등을 저장한다.
메모리(13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0053]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웹 스토리지(web storage)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0054] 출력부(140)는 오디오 신호, 영상 신호, 알람 신호, 경고 신호 등의 신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 표시부(141) 및 음향 출력부(14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0055] 표시부(141)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은 GUI(Graphic
User Interface), 전자문서, 콘텐츠 등을 표시한다. 이러한 표시장치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
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투명 디스플레이, 터치스크린, 전자종이 디스플레이(Electronic Paper Display, EPD)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부(141)가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경우, 표시부(141)는 입력장치로
도 사용될 수 있다.
[0056] 음향 출력부(143)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 사용자 단말(100)에서 수행되는 기능과 관련된 오디오 신
호(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43)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0057] 제어부(150)는 상기한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50)는
전자문서 뷰어로 동작하는 경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전자문서를 메모리(130)로부터 로딩(loading)하여 표시
부(141)의 화면에 표시한다.
[0058] 제어부(150)는 메모리(130)로부터 전자문서를 로드(load)할 때 전자문서 HTML 페이지를 정리한다. 그리고, 제어
부(150)는 전자문서 HTML 페이지 정리를 통해 전자문서 내 마크 정보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한다. 제어부(150)는
전자문서 상에 마크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마크 정보에 근거하여 메모리(130)에 저장된 사용자 환경정보에 따른
전자문서 레이아웃을 구현한다.
[0059] 여기서, 사용자 환경정보는 사용자 정보(profile) 및 디바이스(뷰어) 정보를 포함한다.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나이, 성별, 장애유형(청각장애, 시각장애 등) 등을 포함하고, 디바이스 정보는 해상도, 운영체제, 네트워크,
성능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0060] 다시 말해서, 제어부(150)는 사용자 정보 및 디바이스 정보에 따라 전자문서가 디스플레이되는 레이아웃 구성을
위한 레이아웃 속성, 미디어 종류, 화질 등을 자동으로 변경한다. 예컨대, 제어부(150)는 사용자의 나이에 따라
글자크기를 조절한다. 또는, 제어부(150)는 사용자가 시각장애인이면 전자문서 내 포함된 오디오 및/또는 동영
상만을 재생 및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레이아웃을 구성하고, 사용자가 청각장애인이면 이미지 및/또는 텍스트를
우선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레이아웃을 구성한다.
[0061] 또한, 제어부(150)는 사용자 단말(100)의 해상도에 따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레이아웃을 구현하고, 사용
자 단말(100)이 3G 통신 환경이면 동영상을 제한하며 화질을 저해상도로 설정하고, 와이파이(wi-fi) 환경이면
화질을 고해상도로 설정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사용자 단말(100)이 저해상도 단말이면 저해상도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화질을 저해상도로 설정한다.
[0062]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문서 서비스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0063] 먼저, 전자문서 제공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하나 이상의 전자문서 다운로드를 요청받는다(S101)
사용자 단말(100)는 통신부(110)를 통해 전자문서 제공서버(200)에 접속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전자문서의
다운로드를 요청한다.
[0064] 전자문서 제공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의 요청에 따라 해당 전자문서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독출한
후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한다(S102) 이때, 전자문서 제공서버(200)는 전자문서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레이아
웃 구현을 위한 마크 정보를 전자문서에 삽입하여 전송한다. 마크 정보는 마크 목적 및 레이아웃 구성설정을 수
행하기 위한 명령(command) 및 레이아웃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100)은 전자문서 제공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전자문서를 수신하고 [0065] 그 수신한 전자문서 내 마크
정보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한다(S103) 여기서, 사용자 단말(100)은 전자문서의 패키지 파일을 분석하여 전자문
서 HTML 파일 경로를 조회한다. 패키지 파일은 전자문서를 구성하는 이미지, 기타파일,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등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의 유기적 관계 및 메타데이터에 대해 규정하는 OPF(Open Packaging Format)
파일이다. 사용자 단말(100)은 조회한 전자문서 HTML 파일 경로에 근거하여 전자문서 HTML 파일을 로딩하여 전
자문서 HTML 페이지를 정리한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은 전자문서 HTML 페이지 정리를 통해 전자문서 내
마크 정보 존재 여부를 확인한다.
[0066] 사용자 단말(100)은 전자문서 내 마크정보가 존재하면 해당 마크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환경에 따른 전자문서
의 레이아웃 구성을 설정한다(S104) 즉, 사용자 단말(100)은 마크 정보에 포함된 명령 및 레이아웃 요소에 근
거하여 사용자 환경정보를 확인하여 전자문서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레이아웃 구성을 설정한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환경정보에 따라 전자문서의 레이아웃 구성을 변경할 수 있다.
[0067] 상기 사용자 환경정보는 사용자 정보 및 디바이스(뷰어)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나
이, 성별, 장애유형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하고, 디바이스 정보는 해상도, 운영체제, 네트워크, 성능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한다.
[0068] 이후, 사용자 단말(100)은 설정된 레이아웃 구성에 따라 전자문서를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어, 전자문서가 디
스플레이되는 레이아웃 구성을 위한 레이아웃 속성, 미디어 종류, 화질 등을 자동으로 변경할 수 있다.
[0069]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나이에 따라 글자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데, 사용자의 나이가 특정 연령 이상이라면 글자
크기를 크게 확대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시각장애인이면 전자문서 내 포함된 오디오 및/또는 동영상만을
재생 및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레이아웃을 구성하고, 사용자가 청각장애인이면 이미지 및/또는 텍스트를 우선으
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레이아웃을 구성한다.
[0070] 또한, 사용자 단말(100)의 해상도에 따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레이아웃을 구현할 수 있는데, 예컨대 사
용자 단말의 해상도가 낮다면 이미지를 제한하거나 고화질의 이미지를 저화질의 이미지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0071] 또한, 사용자 단말(100)이 3G 통신 환경이면 동영상을 제한하며 화질을 저해상도로 설정하고, 와이파이(wi-fi)
환경이면 화질을 고해상도로 설정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이 저해상도 단말이면 저해상도 이미지를 디스플
레이할 수 있도록 화질을 저해상도로 설정한다.
[0072] 즉, 상기와 같이 마킹을 이용하여 사용자 환경정보에 따라 전자문서의 레이아웃 구성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
다. 한편, 사용자 단말(100)은 전자문서 내 마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전자문서 내 설정된 디폴트(default)
레이아웃에 근거하여 전자문서를 재생하여 디스플레이 한다.
[0073]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이 소정 형태로 결합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
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
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시킬 수 있음은 자명하다.
[0074]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수단, 예를 들어,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
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콘트롤러, 마이크로 콘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0075]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
는 모듈, 절차,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메모리 유닛은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프로세
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0076]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
하다. 따라서, 상술한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
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
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0077] 100: 사용자 단말 110: 통신부
120: 사용자 입력부 130: 메모리
140: 출력부 141: 표시부
143: 음향 출력부 150: 제어부
200: 전자문서 제공서버

Claims (5)

  1. 전자문서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레이아웃 구현을 위하여, 전자문서의 레이아웃 구성설정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 및 레이아웃 속성, 미디어 종류, 또는 화질 요소를 포함하는 레이아웃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마크정보를
    전자문서 내에 삽입하여 전송하는 전자문서 제공서버; 및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전자문서 다운로드를 상기 전자문서 제공서버에 요청하고, 상기 전자문서 제
    공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전자문서 내 마크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나이, 성별, 또는 장애유형을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전자문서의 레이아웃 속성 또는 미디어 종류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레
    이아웃 속성 또는 미디어 종류에 따라 상기 전자문서를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사용자의 나이에 따라 상기 레이아웃 속성 중 글자 크기 또는 글꼴을 변경하거나, 또
    는 상기 사용자의 장애유형에 따라 디스플레이될 미디어 종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문서 서비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문서 제공서버는,
    기설정된 전자문서 표준규격에 따라 전자문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문서 서비스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문서 제공서버는,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 요소에 대한 속성, HTML5 시맨틱 태그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문서 내 마크정
    보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문서 서비스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해상도, 운영체제, 네트워크 또는 성능 정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전자
    문서의 레이아웃 속성, 미디어 종류, 또는 화질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문서 서비스 시스템.
  5. (a)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전자문서 다운로드를 전자문서 제공서버에 요청하는 단
    계;
    (b) 상기 전자문서 제공서버가, 상기 선택된 전자문서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전자문서 내 마크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나이, 성별, 또는 장애유
    형을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전자문서의 레이아웃 속성 또는 미디어 종류를 설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설정된 레이아웃 속성 또는 미디어 종류에 따라 상기 전자문서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b) 단계는, 상기 전자문서 제공서버가, 전자문서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레이아웃 구현을 위하여, 전자문
    서의 레이아웃 구성설정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 및 레이아웃 속성, 미디어 종류, 또는 화질 요소를 포함하는 레
    이아웃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마크정보를 전자문서 내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사용자의 나이에 따라 상기 레이아웃 속성 중 글자 크기 또는 글꼴
    을 변경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의 장애유형에 따라 디스플레이될 미디어 종류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문서 서비스 방법
KR1020220036346A 2022-03-23 2022-03-23 전자문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2301383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6346A KR20230138363A (ko) 2022-03-23 2022-03-23 전자문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6346A KR20230138363A (ko) 2022-03-23 2022-03-23 전자문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8363A true KR20230138363A (ko) 2023-10-05

Family

ID=88294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6346A KR20230138363A (ko) 2022-03-23 2022-03-23 전자문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836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29094B2 (en) Dynamic simulation of a responsive web page
US10572581B2 (en) System and method for web content presentation management
US8812951B1 (en) Publisher formatting controls
US20100115452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Navigation Bars in a Client Browser for a Client Device
JP2014029701A (ja) モバイル装置のための文書処理
US20090313574A1 (en) Mobile document viewer
US1080323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to generate screen based on acquired editing information
JP6975339B2 (ja) デジタルコンポーネントのバックドロップレンダリング
CN109410932A (zh) 基于html5网页的语音操作方法和装置
CN113655999A (zh) 一种页面控件的渲染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4600112A (zh) 使用自然语言处理的文档标记和导航
CN115495417A (zh) 内容加载方法、装置、设备、介质和程序产品
US20050132285A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webpages
KR20230138363A (ko) 전자문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2006526190A (ja) 文書コンテンツの複数のレンディションを提供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180050825A (ko) 마크업언어를 이용한 이러닝 컨텐츠 저작 장치
KR101556998B1 (ko) 전자문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N104850316A (zh) 电子图书字体调整方法及装置
CN112182449A (zh) 页面加载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2487810B1 (ko) 저시력자를 위한 웹문서 제공방법 및 그 사용자 단말
KR101499978B1 (ko) 썸네일 이미지 및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Anjos et al. How to Overcome the Challenges of Developing Responsive and Accessible Websites–A Case Study
KR20160090173A (ko) 전자문서 재생장치 및 방법
KR100429893B1 (ko) 웹에서의 주석을 이용한 다중페이지 전자 게시판 시스템
KR20190043853A (ko) 엘리먼트 엑스엠엘 저장 메모리와 웹페이지 관리 플랫폼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