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4615B1 - 개인폰트 생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모바일 단말 - Google Patents

개인폰트 생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모바일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4615B1
KR101204615B1 KR1020120061533A KR20120061533A KR101204615B1 KR 101204615 B1 KR101204615 B1 KR 101204615B1 KR 1020120061533 A KR1020120061533 A KR 1020120061533A KR 20120061533 A KR20120061533 A KR 20120061533A KR 101204615 B1 KR101204615 B1 KR 1012046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nt
personal
generating
user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1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인복
김종현
김도윤
이재혁
Original Assignee
(주)정글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정글시스템 filed Critical (주)정글시스템
Priority to KR1020120061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46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4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46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06F9/454Multi-language systems; Localisation; International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개인폰트 생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모바일 단말이 개시된다. 개인폰트 생성 방법은 모바일 단말이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를 통해 글꼴 외형을 포함하는 폰트 디자인 템플릿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폰트 디자인 템플릿의 글꼴 외형에 기초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폰트 다자인을 벡터화하는 단계, 상기 벡터화된 폰트 디자인을 개인폰트의 생성을 위한 최소 필소로 분리하는 단계, 상기 최소 필소의 경계선을 추출한 후 상기 추출된 경계선을 기 설정된 자형틀을 기초로 변환함으로써 스트로크 벡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스트로크 벡터의 외곽선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외곽선을 기초로 상기 개인폰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개인폰트 생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모바일 단말{METHOD FOR CREATING INDIVIDUAL FONT AND MOBILE DEVICE USING THEREOF}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로부터 폰트 디자인을 입력 받아 개인폰트를 생성하는 개인폰트 생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모바일 단말에 관한 것이다.
폰트(font)란 미리 디자인된 여러 가지 스타일 및 크기의 글자를 보관해 놓은 일종의 문자 라이브러리(library)로, 활자 조판에 필요한 모든 글자, 숫자 및 특수 기호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폰트가 컴퓨터를 통해 디스플레이되거나 인쇄되도록 하려면, 문자의 형태를 0 과 1 의 데이터로 표현해야 한다. 폰트를 0 과 1 로 된 디지털 데이터로 표현할 수 있다면, 컴퓨터는 이를 보존, 가공 또는 외부의 출력 장치에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폰트는 디지털 형태로 표현된 문자형상 데이터의 집합이라 할 수 있다.
종래에는 폰트가 주로 DTP(Desktop Publishing) 또는 CTS(Computerized Typesetting System) 등의 출판 및 문서 작성의 전문 사용 분야에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정보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개인 환경에서의 폰트 사용 또한 증가하고 있으며, 웹 환경 또는 모바일 환경에서도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폰트는 현재까지도 전문 폰트 디자이너의 장기간의 수작업을 통하여 제작되고 공급되기 때문에 실제 사용 가능한 컴퓨터용 폰트의 수는 제한이 있는 상황이지만, 사용자가 요구하는 폰트의 형태는 다양해지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자신만의 폰트를 디자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나 자신만의 개인폰트를 간편하게 디자인할 수 있는 개인폰트 생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모바일 단말이 제공된다.
다양한 형태의 개인폰트를 보다 편리하게 생성할 수 있는 개인폰트 생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모바일 단말이 제공된다.
사용자가 디자인한 폰트에 일관성이 없는 경우에도 일관성이 유지되는 개인폰트를 생성할 수 있는 개인폰트 생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모바일 단말이 제공된다.
개인폰트 생성 방법은 모바일 단말이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를 통해 글꼴 외형을 포함하는 폰트 디자인 템플릿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폰트 디자인 템플릿의 글꼴 외형에 기초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폰트 다자인을 벡터화하는 단계, 상기 벡터화된 폰트 디자인을 개인폰트의 생성을 위한 최소 필소로 분리하는 단계, 상기 최소 필소의 경계선을 추출한 후 상기 추출된 경계선을 기 설정된 자형틀을 기초로 변환함으로써 스트로크 벡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스트로크 벡터의 외곽선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외곽선을 기초로 상기 개인폰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글꼴 외형의 형태에 따른 복수개의 폰트 디자인 템플릿 중 상기 폰트 디자인을 입력할 폰트 디자인 템플릿을 선택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폰트 디자인 템플릿에는 상기 폰트 디자인의 입력을 가이드하는 글꼴 예제가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스트로크 벡터를 생성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글꼴 외형의 형태를 기초로 상기 생성된 스트로크 벡터를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폰트 디자인의 입력 위치에 따른 압력 및 입력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여 압력 비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한 압력 비례 정보를 기초로 상기 스트로크 벡터의 외곽선의 굵기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스트로크 벡터의 외곽선의 굵기를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한 압력 비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스트로크 백터의 시작점, 끝점 및 변곡점 중 적어도 하나를 중심으로 원형의 필압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각 필압 정보의 외곽선을 연결함으로써 상기 스트로크 벡터의 외곽선의 굵기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폰트 디자인은 상기 최소 필소를 포함하는 최소 필소 글자의 폰트 디자인일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개인폰트의 생성에 이용할 필소 글자의 수를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폰트 디자인과 상기 개인폰트 간의 유사도에 따라 단계 별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할 글자의 수 및 상기 개인폰트와 상기 폰트 디자인 간의 유사도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 받아 이를 기초로 상기 개인폰트 생성에 이용할 글자의 수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폰트 디자인을 벡터화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된 폰트 디자인의 시작점, 끝점 및 변곡점 사이의 점들을 기 설정된 간격으로 선택한 후 각각의 점들을 연결함으로써 샘플링한 후 보간법을 이용하여 벡터화하는 단계일 수 있다.
모바일 단말은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메모리,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를 통해 글꼴 외형을 포함하는 폰트 디자인 템플릿을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폰트 디자인 템플릿의 글꼴 외형에 기초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폰트 다자인을 벡터화하고, 상기 벡터화된 폰트 디자인을 개인폰트의 생성을 위한 최소 필소로 분리하고, 상기 최소 필소의 경계선을 추출한 후 상기 추출된 경계선을 기 설정된 자형틀을 기초로 변환함으로써 스트로크 벡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스트로크 벡터의 외곽선을 추출한 후 상기 추출된 외곽선을 기초로 상기 개인폰트를 생성하는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의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는 폰트 디자인 템플릿에 기초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폰트 다자인을 벡터화하고 이를 최소 필소로 분리한 후 생성한 스트로크 벡터의 외곽선을 기초로 개인폰트를 생성할 수 있기 때문에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자신만의 개인폰트를 디자인할 수 있다.
사용자가 글꼴 외형의 형태에 따른 복수개의 폰트 디자인 템플릿 중 자신이 원하는 폰트 디자인 템플릿을 선택할 수 있고 상기 폰트 디자인 템플릿에 포함되는 글꼴 예제를 이용하여 폰트를 디자인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의 개인폰트를 보다 편리하게 디자인할 수 있다.
폰트 디자인 템플릿에 포함되는 글꼴 외형의 형태를 기초로 스트로크 벡터를 보정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디자인한 폰트에 일관성이 없는 경우에도 일관성이 유지되는 개인폰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개인폰트 생성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폰트 디자인 템플릿에 포함되는 글꼴 외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다양한 형태의 글꼴 외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필기 스트로크, 필기 데이터 및 지주점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폰트 디자인을 벡터화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글자 벡터로부터 추출되는 경계선과 자형틀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자형틀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경계선 변환을 이용하여 스트로크 벡터를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경계선 변환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스트로크 백터로부터 외곽선을 추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압력 비례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압력 비례 정보를 기초로 개인폰트를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압력 비례 정보를 적용하지 않은 상태로 개인폰트를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자음을 만드는 규칙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모음을 만드는 규칙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모바일 단말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개인폰트 생성 방법은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개인폰트를 생성할 수 있도록 터치 입력이 가능한 디지타이저, 스마트 폰, 태블릿 PC, PDA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모바일 단말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모바일 단말에는 사용자의 터치를 인식하기 위하여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가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는 압력을 감지하는 감압식 디스플레이, 전기를 감지하는 정전압식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폰트는 사용자에 따라 선호하는 글꼴의 디자인 성향(Type)이 다르므로 사용자들이 디자인하고자 하는 폰트의 형태 또한 다양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개인폰트 생성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폰트 디자인을 입력 받기 이전에 사용자에게 다양한 형태의 글꼴 외형을 포함하는 폰트 디자인 템플릿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개인폰트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자신이 원하는 글꼴 디자인 성향의 개인폰트를 생성하는데 완성도를 올릴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개인폰트 생성 방법은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폰트 파일을 생성할 수 있도록 폰트 파일에 포함되는 전체 글자 중에서 일부 글자만을 입력 받아 사용자가 디자인한 글자의 자형에 가까운 폰트 파일을 생성하기 위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폰트 디자인을 벡터화한 후 최소 필소로 분리하여 개인폰트를 생성한다.
여기서, 필소란 폰트를 생성하기 위한 필수 요소로서 한글의 'ㅎ'의 경우 'ㅇ' 및 'ㅗ'가 이에 해당한다. 그리고, 최소 필소란 폰트를 생성하기 위한 최소 단위로서 'ㅇ', 'ㅡ', 'ㄴ', ㅅ', 'ㅣ', 'ㄱ' 및 '
Figure 112012045767781-pat00001
'('ㅎ'위의 'ㅗ')가 이에 해당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개인폰트 생성 방법은 사용자가 상술한 최소 필소를 보다 간편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최소 필소를 모두 포함하는 글자인 최소 필소 글자를 폰트 디자인으로서 입력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7 글자의 최소 필소를 모두 포함하는 최소 필소 글자는 '흔' 및 '식'으로 정의될 수 있고, 이 경우 사용자는 '흔' 및 '식'을 폰트 디자인으로서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최소 필소 글자는 '흔' 및 '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최소 필소 즉, 'ㅇ', 'ㅡ', 'ㄴ', ㅅ', 'ㅣ', 'ㄱ' 및 '
Figure 112012045767781-pat00002
'('ㅎ'위의 'ㅗ')를 모두 포함하는 글자, 예를 들어 '힉' 및 '슨', '힌' 및 '슥' 등이 최소 필소 글자로 정의될 수도 있다. 또한, 최소 필소 글자는 필요에 따라 '흔', '혼', '횬', '훈', '휸', '힌', '한', '핸', '헌', '현', '헨', '흑', '혹 및 '슨', '손' 등과 같이 변형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개인폰트 생성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한글 필소를 입력 받은 후 영문, 숫자, 심볼에 대해서 추가적인 입력값을 사용자의 필체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는 기 저장된 영문, 숫자, 심볼의 폰트 디자인 템플릿을 선택하여 폰트 구성 요소를 채움으로써 완벽한 하나의 개인폰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개인폰트 생성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개인폰트 생성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모바일 단말의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에는 소정의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통해 글꼴 외형의 형태에 따른 복수개의 폰트 디자인 템플릿이 표시될 수 있고, 사용자는 상기 GUI를 통해 복수개의 폰트 디자인 템플릿 중에서 자신이 원하는 폰트 디자인 템플릿을 선택할 수 있다(S110). 여기서, 상기 폰트 디자인 템플릿에는 사용자가 폰트 디자인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폰트 디자인의 입력을 가이드하는 글꼴 예제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GUI에는 필기압력의 적용 유무를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이 포함되어, 사용자는 상기 GUI를 통해 필기압력 적용 유무를 선택할 수 있다(S120). 필기압력 적용이 선택되는 경우, 모바일 단말은 사용자가 폰트 디자인 입력 시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에 발생되는 폰트 디자인의 입력 위치에 따른 압력,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에 폰트 디자인을 입력하는 시간 등을 측정하여 압력 비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개인폰트 생성 시 상기 압력 비례 정보를 이용하여 캘리그래피(calligraphy)와 같이 사용자의 입력 의도를 반영한 자연스러운 획의 굵기를 가지는 개인폰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개인폰트 생성 방법은 사용자가 폰트 디자인을 입력하는 횟수를 줄이기 위해 개인폰트의 생성에 이용할 필소 글자의 수를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폰트 디자인과 상기 개인폰트 간의 유사도에 따라 단계 별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모바일 단말은 사용자로부터 입력할 글자의 수, 입력하는 폰트 디자인과 개인폰트 간의 유사도 등에 대해 선택 받아 이를 기초로 개인폰트 생성에 이용할 글자의 수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에 따른 개인폰트 생성 방법은 입력 받는 자필 글자 수가 20 자인 경우 사용자의 폰트 디자인에 최소 근사치를 가지는 개인폰트를 생성할 수 있고, 입력 받는 자필 글자 수가 50 자인 경우에는 사용자의 폰트 디자인과 유사한 개인폰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입력 받는 자필 글자 수가 80 자인 경우에는 사용자의 폰트 디자인에 근접한 개인폰트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폰트 디자인 템플릿의 글꼴 외형에 기초하여 폰트 다자인이 입력되면(S130), 모바일 단말은 입력되는 폰트 디자인을 벡터화하고 상기 벡터화된 폰트 디자인을 개인폰트의 생성을 위한 최소 필소로 분리함으로써 자소 벡터를 생성한다(S140).
여기서, 모바일 단말은 일 예로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폰트 디자인의 시작점, 끝점 및 변곡점 사이의 점들을 기 설정된 간격으로 선택한 후 각각의 점들을 연결함으로써 샘플링한 후 보간법을 이용하여 벡터화할 수 있다.
그리고, 모바일 단말은 최소 필소의 경계선을 추출한 후 추출된 경계선을 기 설정된 자형틀을 기초로 변환함으로써 스트로크 벡터를 생성한다. 여기서, 사용자가 필기압력을 적용하도록 선택한 경우 모바일 단말은 폰트 디자인의 입력 위치에 따른 압력 및 입력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여 압력 비례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압력 비례 정보를 기초로 상기 스트로크 벡터의 외곽선의 굵기를 조절한다(S150).
이때, 모바일 단말은 폰트 디자인 템플릿의 글꼴 외형의 형태를 기초로 상기 생성된 스트로크 벡터를 보정함으로써 사용자가 폰트 디자인을 입력할 때 지나치게 흔들리거나 의도하지 않은 형태로 획이 입력되는 경우에도 디자인의 일관성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모바일 단말은 스트로크 벡터의 외곽선을 추출하고 이를 기초로 PC, 스마트폰 등의 기기에서 사용 가능한 표준 폰트 포맷인 TTF(True Type Font), OTF(Open Type Font), EOT(Embedding Open Type) 등의 개인폰트를 생성한다(S160).
이때, 사용자가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생성된 개인폰트를 확인한 후 개인폰트와 자신의 폰트 디자인 간의 유사도를 높이기 위하여 필소를 추가하고자 하는 경우(S170), 사용자는 폰트 디자인 템플릿을 통해 추가적으로 필소 글자를 입력 함으로써(S180) 상기 개인폰트가 사용자의 필체와 더욱 유사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완성된 개인폰트는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모바일 단말에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S190).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폰트 디자인 템플릿에 포함되는 글꼴 외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한글 폰트 디자인 템플릿에 포함되는 글꼴 외형에 대해 예를 들어 설명한다.
사용자가 폰트 디자인을 자유 공간에 입력할 경우 자소의 크기가 쉽게 달라지기 때문에 폰트를 디자인하는데 있어서 일관성이 없어지기 쉽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개인폰트 생성 방법은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폰트 디자인 템플릿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쉽게 폰트를 디자인할 수 있도록 한다.
한글 폰트 디자인 템플릿에 포함되는 글꼴 외형은 초성(210), 중성(220) 및 종성(230)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a)는 종성(230)이 없는 폰트를 디자인하는 경우 표시될 수 있으며, 도 2(b) 및 2(c)는 초성(210), 중성(220) 및 종성(230)으로 구성되는 폰트를 디자인하는 경우 표시될 수 있다.
각각의 폰트 디자인 템플릿에는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폰트를 디자인 할 수 있도록 각 글꼴 외형의 영역에 따라 폰트 디자인의 입력을 가이드하는 글꼴 예제(240)가 포함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다양한 형태의 글꼴 외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글꼴 외형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초성(310), 중성(320) 및 종성(330)의 각 영역 간의 균형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글꼴 예제는 각 영역의 균형에 따라 명조체, 궁서체, 고딕체 등의 글씨체로 폰트 디자인 템플릿에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글꼴 외형을 포함하는 폰트 디자인 템플릿은 사용자가 폰트 디자인을 입력하기 이전에 원하는 폰트 디자인 템플릿을 선택할 수 있도록 복수개가 표시됨으로써 이를 통해 사용자가 글꼴 외형을 디자인할 때 일관성을 유지하면서 자신만의 개인폰트를 손쉽게 디자인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사용자가 디자인하고자 하는 폰트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도 4에는 일 예로 영문자, 숫자, 특수기호 등을 입력 받는 폰트 디자인 템플릿이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글꼴 외형은 로마체, 이탤릭체 등의 글씨체에 따라 정사각형, 마름모형, 평행사변형, 직사각형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기 스트로크, 필기 데이터 및 지주점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폰트 디자인을 벡터화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필기 스트로크란 도 5(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폰트 디자인 템플릿을 통해 입력된 시작과 끝 그리고 순서를 가지고 있는 점들의 집합을 의미하고, 필기 데이터란 도 5(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필소 또는 글자를 구성하는 필기 스트로크의 집합을 의미한다. 또한, 지주점이란 도 5(c)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필소 'ㅅ'의 시작점(510), 끝점(520) 및 필소 'ㄱ'의 변곡점(530) 등의 점들을 의미한다.
일 예로, 도 6(a)에 도시된 같이 '식'이라는 글자가 폰트 디자인으로서 입력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개인폰트 생성 방법은 도 6(b)에 도시된 것과 같이 글자 '식'의 지주점 사이의 점들을 기 설정된 간격으로 선택한다. 그리고, 도 6(c)와 같이 각 지주점 사이의 점들을 연결함으로써 샘플링한 후 보간법 등을 이용하여 도 6(d)와 같은 글자 벡터를 생성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글자 벡터로부터 추출되는 경계선과 자형틀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상술한 과정을 통해 글자 벡터가 생성되면 생성된 글자 벡터는 도 7(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최소 필소로 분리되고, 분리된 각각의 최소 필소에서 도 7(b)에 도시된 것과 같은 경계선(710)을 추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추출된 경계선은 도 7(c)에 도시된 것과 같은 자형틀(720)에 맞게 변환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자형틀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자형틀이란 특정한 폰트를 만들기 위한 모든 글자에 대한 경계선들의 집합으로서, 도 8(a)에 도시된 것과 같이 '기'라는 글자(810)의 경우 상기 글자의 경계선을 연결하여 '기'라는 글자에 대한 자형틀(220)을 생성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8(b)에는 '극'이라는 글자(830)의 경계선을 이용하여 '극'이란 글자에 대한 자형틀(840)을 생성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자형틀은 사용자가 입력해야 할 글자의 수를 줄이고 적은 수의 글자로도 사용자가 원하는 개인폰트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개인폰트 생성 방법은 글자의 경계선을 단순하게 확대 또는 축소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식'이라는 글자를 입력하는 경우 '식'의 필소인 'ㄱ'의 경계선을 추출하고 이를 기 설정된 자형틀(예를 들어, 'ㄱ'을 포함하는 자형틀)에 맞게 변환함으로써 상기 'ㄱ'이라는 필소가 'ㄱ'을 포함하는 글자에 해당하는 폰트(예를 들어, '가', '악', '카' 등)의 생성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경계선 변환을 이용하여 스트로크 벡터를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상술한 과정을 통해 추출된 경계선은 도 9(a)도시된 것과 같이 자형틀에 맞게 변환될 수 있다. 도 9(a)에는 일 예로, 자소 벡터 'ㄱ'이 자형틀 '기'의 'ㄱ'으로 경계선 변환되는 것을 나타내며, 도9(b)에는 자소 벡터 'ㄱ'이 자형틀 '극'의 초성 'ㄱ'과 종성 'ㄱ'으로 변환되는 것을 나타낸다.
일 예로, 도 9(c)에는 이와 같은 경계선 변환을 통해 생성된 스트로크 벡터 '기' 및 '극'이 도시되어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경계선 변환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먼저 도 10(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임의의 두 점 p1 과 p2 를 연결하는 곡선을 표현하는 함수를 연결 함수 J(p1, p2)라 할 때, 도 10(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임의의 네 점 p1, p2, p3 및 p4 를 연결하는 연결 함수 J1(p1, p2), J2(p2, p3), J3(p3, p4) 및 J4(p4, p1)로 이루어진 폐곡선을 경계선이라 하고 B(p1, p2, p3, p4)로 표기할 수 있다.
또한, 도 11(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임의의 두 경계선 B1 및 B2에 대하여 B1 내부에 있는 모든 점을 B2 내부에 있는 모든 점으로 변환하는 함수를 경계선 변환 함수라 정의하고 T(B1, B2)로 표시할 수 있다. 도 11(b)에는 일 예로, 경계선 변환에 의해 '극'이라는 벡터가 스트로크 벡터로 변환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 12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스트로크 백터로부터 외곽선을 추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개인폰트 생성 방법은 TTF, OTF, EOT 등의 개인폰트를 생성하기 위하여 스트로크 벡터로부터 스트로크 외곽선을 생성하고, 필소 스트로크로부터 필소 외곽선을 생성한다. 그리고, 자소 스트로크로부터 자소 외곽선을 생성하고, 글자 스트로크로부터 글자 외곽선을 생성한다.
일 예로, 도 12(a)에는 '기'라는 글자 스트로크로부터 생성된 글자 외곽선이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생성된 글자 외곽선은 도 1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추출되고, 개인폰트는 추출된 외곽선을 기초로 생성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압력 비례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압력 비례 정보는 사용자가 폰트 디자인 입력 시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에 발생되는 폰트 디자인의 입력 위치에 따른 압력,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에 폰트 디자인을 입력하는 시간 등의 측정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압력 비례 정보는 도 13(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스트로크 벡터의 시작점, 끝점 및 변곡점에 대한 압력의 변화를 함수로 변환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생성된 압력 비례 정보는 도 13(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보간법을 통해 보정 처리됨으로써 개인폰트의 굵기가 부드럽게 변화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압력 비례 정보를 기초로 개인폰트를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압력 비례 정보를 적용하지 않은 상태로 개인폰트를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스트로크 벡터의 외곽선의 굵기는 압력 비례 정보에 기초한 원형의 필압 정보를 통해 조절될 수 있다.
필기압력 적용이 선택되는 경우, 모바일 단말은 도 1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스트로크 벡터의 시작점(1410), 변곡점(1420~1460) 및 끝점(1470)을 중심으로 압력에 비례하는 원형의 필압 정보를 생성하여 배치하고, 상기 생성된 각 필압 정보의 외곽선을 연결함으로써 상기 스트로크 벡터의 외곽선의 굵기를 조절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은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조절된 외곽선을 추출하여 글자 이미지를 생성함으로써 캘리그래피와 같이 사용자의 입력 의도를 반영한 자연스러운 획의 굵기를 가지는 개인폰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러나, 필기압력 적용이 선택되지 않는 경우, 모바일 단말은 도 1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스트로크 벡터의 시작점, 변곡점 및 끝점을 중심으로 균일한 크기의 원형의 필압 정보를 생성하여 배치하고, 상기 생성된 각 필압 정보의 외곽선을 연결함으로써 상기 스트로크 벡터의 외곽선의 굵기가 균일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필기압력 적용이 선택되지 않는 경우 개인폰트는 균일한 굵기로 생성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자음을 만드는 규칙을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모음을 만드는 규칙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개인폰트 생성 방법은 최소 필소 즉, 'ㅇ', 'ㅡ', 'ㄴ', ㅅ', 'ㅣ', 'ㄱ' 및 '
Figure 112012045767781-pat00003
'('ㅎ'위의 'ㅗ')를 포함하는 글자를 이용하여 30개의 자음과 21개의 모음에 해당하는 개인폰트를 생성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로부터 최소 필소 글자(예를 들어, '흔' 및 '식')만 입력 받아도 해당 사용자의 필체와 유사한 개인폰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모바일 단말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개인폰트 생성 방법을 이용하는 모바일 단말(1800)은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1810),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820), 메모리(1830),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18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1840)은 상기 메모리(1830)에 저장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820)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1810)를 통해 글꼴 외형을 포함하는 폰트 디자인 템플릿을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폰트 디자인 템플릿의 글꼴 외형에 기초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폰트 다자인을 벡터화하고, 상기 벡터화된 폰트 디자인을 개인폰트의 생성을 위한 최소 필소로 분리하고, 상기 최소 필소의 경계선을 추출한 후 상기 추출된 경계선을 기 설정된 자형틀을 기초로 변환함으로써 스트로크 벡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스트로크 벡터의 외곽선을 추출한 후 상기 추출된 외곽선을 기초로 상기 개인폰트를 생성하는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개인폰트 생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모바일 단말은 모바일 단말(1800)의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1810)를 통해 표시되는 폰트 디자인 템플릿에 기초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폰트 다자인을 벡터화하고 이를 최소 필소로 분리한 후 생성한 스트로크 벡터의 외곽선을 기초로 개인폰트를 생성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자신만의 개인폰트를 디자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글꼴 외형의 형태에 따른 복수개의 폰트 디자인 템플릿 중 자신이 원하는 폰트 디자인 템플릿을 선택할 수 있고 상기 폰트 디자인 템플릿에 포함되는 글꼴 예제를 이용하여 폰트를 디자인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의 개인폰트를 보다 편리하게 디자인할 수 있다.
그리고, 폰트 디자인 템플릿에 포함되는 글꼴 외형의 형태를 기초로 스트로크 벡터를 보정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디자인한 폰트에 일관성이 없는 경우에도 일관성이 유지되는 개인폰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모바일 단말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로 하여금 상술한 개인폰트 생성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PC 기반의 프로그램 또는 휴대 단말 전용 애플리케이션(예를 들어,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피쳐폰 VM(virtual machine) 등의 형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 단말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사용자 단말에서 구동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개인폰트 생성 방법은 컴퓨터 판독이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0)

  1. 모바일 단말이 개인폰트의 생성에 이용할 글자의 수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글자와 상기 개인폰트 간의 유사도에 따라 단계 별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할 글자의 수 및 상기 개인폰트와 상기 글자 간의 유사도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 받아 이를 기초로 상기 개인폰트 생성에 이용할 글자의 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글자의 수에 따라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를 통해 글꼴 외형을 포함하는 폰트 디자인 템플릿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폰트 디자인 템플릿의 글꼴 외형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글자를 벡터화하는 단계;
    상기 벡터화된 글자를 개인폰트의 생성을 위한 최소 필소로 분리하는 단계;
    상기 최소 필소의 경계선을 추출한 후 상기 추출된 경계선을 기 설정된 자형틀을 기초로 변환함으로써 스트로크 벡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스트로크 벡터의 외곽선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외곽선을 기초로 상기 개인폰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개인폰트 생성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폰트 디자인 템플릿을 표시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글꼴 외형의 형태에 따른 복수개의 폰트 디자인 템플릿 중 상기 글자를 입력할 폰트 디자인 템플릿을 선택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폰트 디자인 템플릿에는,
    상기 글자의 입력을 가이드하는 글꼴 예제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폰트 생성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로크 벡터를 생성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글꼴 외형의 형태를 기초로 상기 생성된 스트로크 벡터를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개인폰트 생성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로크 벡터를 생성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글자의 입력 위치에 따른 압력 및 입력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여 압력 비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한 압력 비례 정보를 기초로 상기 스트로크 벡터의 외곽선의 굵기를 조절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폰트 생성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로크 벡터의 외곽선의 굵기를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한 압력 비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스트로크 백터의 시작점, 끝점 및 변곡점 중 적어도 하나를 중심으로 원형의 필압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각 필압 정보의 외곽선을 연결함으로써 상기 스트로크 벡터의 외곽선의 굵기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폰트 생성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글자는,
    상기 최소 필소를 포함하는 최소 필소 글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폰트 생성 방법.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글자를 벡터화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된 글자의 시작점, 끝점 및 변곡점 사이의 점들을 기 설정된 간격으로 선택한 후 각각의 점들을 연결함으로써 샘플링한 후 보간법을 이용하여 벡터화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폰트 생성 방법.
  9.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모바일 단말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6항 및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개인폰트 생성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10.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메모리;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되고,
    개인폰트의 생성에 이용할 글자의 수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글자와 상기 개인폰트 간의 유사도에 따라 단계 별로 설정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할 글자의 수 및 상기 개인폰트와 상기 글자 간의 유사도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 받아 이를 기초로 상기 개인폰트 생성에 이용할 글자의 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글자의 수에 따라 상기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를 통해 글꼴 외형을 포함하는 폰트 디자인 템플릿을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폰트 디자인 템플릿의 글꼴 외형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글자를 벡터화하고,
    상기 벡터화된 글자를 개인폰트의 생성을 위한 최소 필소로 분리하고,
    상기 최소 필소의 경계선을 추출한 후 상기 추출된 경계선을 기 설정된 자형틀을 기초로 변환함으로써 스트로크 벡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스트로크 벡터의 외곽선을 추출한 후 상기 추출된 외곽선을 기초로 상기 개인폰트를 생성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
KR1020120061533A 2012-06-08 2012-06-08 개인폰트 생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모바일 단말 KR1012046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1533A KR101204615B1 (ko) 2012-06-08 2012-06-08 개인폰트 생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모바일 단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1533A KR101204615B1 (ko) 2012-06-08 2012-06-08 개인폰트 생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모바일 단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4615B1 true KR101204615B1 (ko) 2012-11-23

Family

ID=47565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1533A KR101204615B1 (ko) 2012-06-08 2012-06-08 개인폰트 생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모바일 단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461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7766B1 (ko) * 2014-05-22 2015-11-20 김명환 개인별 폰트를 기반으로 한 통신 방법 및 장치
CN112597876A (zh) * 2020-12-20 2021-04-02 湖北工业大学 基于特征融合的书法汉字评判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0546A (ja) 1999-05-25 2000-11-30 Hitachi Ltd フォント作成装置、およびフォント作成用記憶媒体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0546A (ja) 1999-05-25 2000-11-30 Hitachi Ltd フォント作成装置、およびフォント作成用記憶媒体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7766B1 (ko) * 2014-05-22 2015-11-20 김명환 개인별 폰트를 기반으로 한 통신 방법 및 장치
CN112597876A (zh) * 2020-12-20 2021-04-02 湖北工业大学 基于特征融合的书法汉字评判方法
CN112597876B (zh) * 2020-12-20 2024-03-26 湖北工业大学 基于特征融合的书法汉字评判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40132B2 (ja) デジタルノートテイキング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2473543B1 (ko) 디지털 잉크 상호작용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8381119B2 (en) Input device for pictographic languages
CN109886180A (zh) 用于交叠手写文本输入的用户界面
US8952897B2 (en) Single page soft input panels for larger character sets
US9824266B2 (en) Handwriting inpu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852938B2 (en) System and method for mixed content digital ink interactivity
CN114365075B (zh) 用于选择图形对象的方法和对应装置
KR102075433B1 (ko) 필기 입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229175B1 (ko) 자필 폰트 생성 방법 및 장치
CN112115678A (zh) 信息展示方法及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US20230266870A1 (en) Glyph-aware text selection
KR20140089915A (ko) 필기 문자 조정 방법 및 장치
US10366142B2 (en) Identifier based glyph search
US8943431B2 (en) Text operations in a bitmap-based document
KR102075424B1 (ko) 필기 입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7729297B (zh) 可变更风格的字体生成方法及装置
TW201426512A (zh) 產生個人化手寫字體之系統及其作業程序
KR101204615B1 (ko) 개인폰트 생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모바일 단말
US20170103046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ized font via processor-based application
KR101229164B1 (ko) 네트워크를 통한 개인폰트 생성 방법 및 폰트 클라우드 서비스 시스템
US11030388B2 (en) Live text glyph modifications
KR20170132643A (ko) 문자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장치
US9965446B1 (en) Formatting a content item having a scalable object
Calonaci Practical Responsive Typograph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