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9175B1 - 자필 폰트 생성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자필 폰트 생성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9175B1
KR101229175B1 KR1020120036212A KR20120036212A KR101229175B1 KR 101229175 B1 KR101229175 B1 KR 101229175B1 KR 1020120036212 A KR1020120036212 A KR 1020120036212A KR 20120036212 A KR20120036212 A KR 20120036212A KR 101229175 B1 KR101229175 B1 KR 1012291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nt
handwritten
generating
unit
v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6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인복
김종현
김도윤
이재혁
Original Assignee
(주)정글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정글시스템 filed Critical (주)정글시스템
Priority to KR1020120036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91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9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91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80Creating or modifying a manually drawn or painted image using a manual input device, e.g. mouse, light pen, direction keys on keyboar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자필 폰트 생성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자필 폰트 생성 방법은 입력 받은 자필 글자를 샘플링하는 단계, 상기 샘플링된 자필 글자를 글자 벡터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글자 벡터를 폰트를 생성하기 위한 최소 단위인 최소 필소로 분리하는 단계, 상기 최소 필소의 경계선을 추출한 후 기 설정된 자형틀에 맞게 상기 추출한 경계선을 변환하여 스트로크 벡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스트로크 벡터의 외곽선을 추출하여 자필 폰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필 폰트 생성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DAPTIVE FOR CREATING HANDWRITING FON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가 입력한 일부분의 자필 글자를 이용하여 자필 폰트를 생성하는 자필 폰트 생성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폰트(font)란 활자조판에 필요한 모든 글자, 숫자 및 특수기호들을 포함한 동일한 크기와 모양의 한 벌 전체를 말하는 것으로, 'foundary(활자 주조소)'의 'found(녹이다. 주조하다)'에서 유래하였다.
이러한 폰트를 컴퓨터를 사용해서 화면에 표시하거나 인쇄하려면, 문자의 형태를 0 과 1 의 데이터로 표현해야 한다. 폰트를 0 과 1 로 된 디지털 데이터로 표현될 수 있다면, 컴퓨터는 그것을 기억해서 보존, 가공 또는 외부의 출력장치에 출력을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폰트는 디지털 형식으로 표현된 문자형상 데이터의 집합이라 할 수 있다.
종래에는 폰트가 DTP(Desktop Publishing) 또는 CTS(Computerized Typesetting System) 등의 출판 및 문서 작성의 전문 사용 분야에서 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개인 환경에서의 폰트 사용 또한 증가하고 있으며, 웹 환경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모바일 환경에서도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그러나 폰트의 생성은 종래 전문 폰트 디자이너의 장기간의 수작업을 통하여 제작되고 공급되기 때문에 실제 사용 가능한 컴퓨터용 폰트의 수는 제한이 있는 상황이다. 또한, 사용자가 요구하는 폰트의 형태 또한 다양해지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보다 간편한 방법으로 사용자 개개인에 특화된 폰트를 생성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사용자가 자필로 일부분의 글자를 입력하는 경우에도 전체 글자를 포함하는 자필 폰트를 생성할 수 있는 자필 폰트 생성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최소한의 자필 글자를 입력 받음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폰트 디자인의 부족을 충족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자신만의 폰트를 보다 간편하게 생성할 수 있는 자필 폰트 생성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자필 폰트 생성 방법은 입력 받은 자필 글자를 샘플링하는 단계, 상기 샘플링된 자필 글자를 글자 벡터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글자 벡터를 폰트를 생성하기 위한 최소 단위인 최소 필소로 분리하는 단계, 상기 최소 필소의 경계선을 추출한 후 기 설정된 자형틀에 맞게 상기 추출한 경계선을 변환하여 스트로크 벡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스트로크 벡터의 외곽선을 추출하여 자필 폰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자필 글자는 상기 최소 필소를 포함하는 최소 필소 글자일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자필 폰트의 생성에 이용할 필소 글자의 수를 사용자의 필체와의 유사도에 따라 단계 별로 설정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할 자필 글자의 수 및 상기 자필 폰트와 상기 사용자의 필체 간의 유사도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 받아 이를 기초로 상기 자필 폰트 생성에 이용할 자필 글자의 수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샘플링하는 단계는 상기 자필 글자의 지주점 사이의 점들을 기 설정된 간격으로 선택한 후 각 지주점 사이의 점들을 연결함으로써 샘플링하는 단계일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글자 벡터로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샘플링된 자필 글자를 보간법을 이용하여 상기 글자 벡터로 변환하는 단계일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자필 글자에 대한 디자인을 선택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글꼴 디자인을 포함하는 폰트 템플릿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필 글자 입력 장치는 자필 글자를 입력 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 받은 자필 글자를 샘플링하는 샘플링부, 상기 샘플링된 자필 글자를 글자 벡터로 변환하는 변환부, 상기 글자 벡터를 글자를 생성하기 위한 최소 단위인 최소 필소로 분리하고 상기 최소 필소의 경계선을 추출한 후 기 설정된 자형틀에 맞게 상기 추출한 경계선을 변환하여 스트로크 벡터를 생성하는 스트로크 벡터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스트로크 벡터의 외곽선을 추출하여 자필 폰트를 생성하는 폰트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받은 자필 글자를 샘플링하고 샘플링된 자필 글자를 글자 벡터로 변환한 후 경계선 추출 및 변환을 통하여 생성된 스트로크 벡터의 외곽선을 추출함으로써 사용자가 자필로 일부분의 글자를 입력하는 경우에도 전체 글자를 포함하는 자필 폰트를 생성할 수 있다.
자필 글자에 대한 디자인을 선택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글꼴 디자인을 포함하는 템플릿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만의 폰트를 생성하는데 완성도를 올릴 수 있도록 하고 최소한의 자필 글자를 입력 받음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폰트 디자인의 부족을 충족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자필 폰트 생성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자필 폰트 생성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형틀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기 스트로크, 필기 데이터 및 지주점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자필 글자로부터 글자 백터를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글자 벡터로부터 추출되는 경계선과 자형틀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경계선 변환을 이용하여 스트로크 벡터를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계선 변환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스트로크 백터로부터 외곽선을 추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자음을 만드는 규칙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모음을 만드는 규칙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자필 폰트 생성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자필 폰트 생성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필 폰트 생성 방법은 필기입력이 가능한 디지타이저 등을 통하여 일부분의 글자만을 입력 받고도 입력한 글자의 자형에 가까운 전체 글자를 포함하는 폰트 파일을 생성하기 위하여 입력 받은 자필 글자를 최소 필소로 분해하고 이 최소 필소를 이용하여 전체 글자를 포함하는 자필 폰트를 생성한다. 또한, 이 최소 필소를 간편하게 입력 받기 위하여 최소 필소를 모두 포함하는 글자인 최소 필소 글자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여기서, 필소란 폰트를 생성하기 위한 부품으로서 한글의 'ㅎ'은 'ㅇ' 및 'ㅗ'가 이에 해당한다. 그리고, 최소 필소란 폰트를 생성하기 위한 최소 단위로서 'ㅇ', 'ㅡ', 'ㄴ', ㅅ', 'ㅣ', 'ㄱ' 및 '
Figure 112012027804211-pat00001
'('ㅎ'위의 'ㅗ')가 이에 해당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자필 폰트 생성 방법은 자필 폰트를 생성하기 위하여 일 예로 상기 7개의 최소 필소를 모두 포함하는 최소 필소 글자를 '흔' 및 '식'으로 정의하고(S110), 사용자로부터 상기 최소 필소 글자를 필기로 입력 받는다(S120).
그리고, 입력 받은 자필 글자의 데이터를 일련된 점들의 연속인 필기 스트로크의 집합인 필기 데이터 형태로 저장하고, 이 필기 데이터에서 시작점, 끝점, 변곡점 등의 지주점 사이의 점들을 기 설정된 간격으로 선택한 후 각 지주점 사이의 점들을 연결함으로써 샘플링한 후 보간법 등을 이용하여 글자 벡터로 변환한다(S130).
이후, 글자 벡터를 필소로 분리하고 분리된 필소에서 경계선을 추출한 뒤 필소로부터 특정한 자형의 글자로 변환하기 위한 값들이 기 저장된 자형틀을 이용하여 상기 추출된 경계선을 변환함으로써 스트로크 벡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이 스트로크 벡터의 외곽선을 추출하여 PC, 스마트폰 등의 기기에서 사용 가능한 표준 폰트 포맷인 TTF(True Type Font), OTF(Open Type Font), EOT(Embedding Open Type) 등의 자필 폰트를 생성한다(S140).
사용자가 이와 같이 생성된 자필 폰트를 확인한 후 자필 폰트와 자신의 필체의 유사도를 높이기 위하여 필소를 추가하고자 하는 경우(S150), 사용자의 필체와의 유사도에 따라 단계 별로 설정된 필소 글자 수 또는 상기 자필 폰트와 상기 사용자의 필체 간의 유사도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필소 글자를 추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S170) 자필 폰트가 사용자의 필체에 더욱더 가깝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필 폰트 생성 방법은 사용자가 자필 글자를 입력하는 횟수를 줄이기 위해 입력 필소의 최소자를 여러 단계로 나눌 수 있다.
이 경우, 자필 폰트의 생성에 이용할 필소 글자의 수는 사용자의 필체와의 유사도에 따라 단계 별로 설정될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입력할 자필 글자의 수 및 상기 자필 폰트와 상기 사용자의 필체 간의 유사도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 받아 이를 기초로 자필 폰트 생성에 이용할 자필 글자의 수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입력 받는 자필 글자 수가 20 자인 경우에는 사용자의 필체 느낌에 근사치한 폰트 디자인을 생성할 수 있다. 그러나, 자필 글자 수가 50 자인 경우에는 사용자의 필체에 유사한 폰트 디자인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입력 받는 자필 글자 수가 80 자인 경우에는 사용자의 필체에 근접한 폰트 디자인을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생성된 자필 폰트는 PC, 스마트폰 등의 기기에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S180).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자필 폰트 생성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폰트는 사용자에 따라 입력하는 글꼴의 디자인 성향(Type)이 다르고 자신이 원하는 디자인 성향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러한 사용자의 요구를 반영하여 자필 글자에 대한 디자인을 선택할 수 있도록 자필 글자를 입력 받기 전에 입력 필소 템플릿, 영문, 숫자, 심볼 템플릿 등과 같이 복수개의 글꼴 디자인을 포함하는 폰트 템플릿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글꼴 디자인 성향의 자필 폰트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사용자가 자신의 필체에 대한 디자인 특성을 선택할 수 있는 템플릿을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자필 폰트 생성 방법은 입력 받는 최소 필소만으로도 사용자가 자신만의 폰트를 생성하는데 그 완성도를 올릴 수 있고, 이러한 템플릿을 통해서 적은 글자만을 입력 받음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폰트 디자인의 부족을 충족시킬 수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에 따른 자필 폰트 생성 방법은 한글 필소를 입력 받은 후 영문, 숫자, 심볼에 대해서 추가적인 입력값을 사용자의 필체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으며, 사용자는 기 저장된 영문, 숫자, 심볼의 템플릿을 선택하여 완벽한 하나의 폰트 구성 요소를 채워 자필 폰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도 1을 통해 설명한 것과 같이 최소 필소 글자는 '흔' 및 '식'으로 정의될 수 있다(S210).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자필 폰트 생성 방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최소 필소 즉, 'ㅇ', 'ㅡ', 'ㄴ', ㅅ', 'ㅣ', 'ㄱ' 및 '
Figure 112012027804211-pat00002
'('ㅎ'위의 'ㅗ')를 포함하는 글자 예를 들어, '힉' 및 '슨', '힌' 및 '슥' 등이 최소 필소 글자로 정의될 수도 있다. 또한, 최소 필소 글자는 필요에 따라 '흔', '혼', '횬', '훈', '휸', '힌', '한', '핸', '헌', '현', '헨', '혠', '흑', '혹' 및 '슨', '손' 등과 같이 변형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자필 폰트에 적용할 폰트 타입을 선택한 후(S220), 자필 글자를 입력하면(S230), 입력 받은 자필 글자는 샘플링된 후 글자 벡터로 변환된다(S240).
상기 글자 벡터는 최소 필소로 분리되고, 경계선 추출 및 경계선 변환을 통해 스트로크 벡터가 생성된다. 그리고 스트로크 벡터의 외곽선을 추출함으로써 자필 폰트가 생성된다(S250).
이후, 사용자가 자필 폰트 생성에 사용할 폰트 템플릿을 선택하면(S260) 선택된 폰트 템플릿이 적용된 자필 폰트가 생성되고, 생성된 자필 폰트에 대한 필소 추가 여부를 선택 받아(S270) 자필 폰트를 PC, 스마트폰 등의 기기에 설치하여 사용하거나(S280), 추가 필소 글자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필소 글자를 추가할 수 있도록 한다(S290).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형틀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일 예로 한글 글자를 생성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자형틀이란 특정한 폰트를 만들기 위한 모든 글자에 대한 경계선들의 집합으로서, 도 3(a)에 도시된 것과 같이 '기'라는 글자(310)의 경우 상기 글자의 경계선을 연결하여 '기'라는 글자에 대한 자형틀(320)을 생성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3(b)에는 '극'이라는 글자(330)의 경계선을 이용하여 '극'이란 글자에 대한 자형틀(340)을 생성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자형틀은 사용자가 입력해야 할 글자의 수를 줄이고 적은 수의 글자로도 사용자가 원하는 자필 폰트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자필 폰트 생성 방법은 글자의 경계선을 단순하게 확대 또는 축소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식'이라는 글자를 입력하는 경우 '식'의 필소인 'ㄱ'의 경계선을 추출하고 이를 기 설정된 자형틀(예를 들어, 'ㄱ'을 포함하는 자형틀)에 맞게 변환함으로써 상기 'ㄱ'이라는 필소가 'ㄱ'을 포함하는 글자에 해당하는 폰트(예를 들어, '가', '악', '카' 등)의 생성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기 스트로크, 필기 데이터 및 지주점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자필 글자로부터 글자 백터를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필기 스트로크란 도 4(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입력 장치로부터 입력된 시작과 끝 그리고 순서를 가지고 있는 점들의 집합을 말하고, 필기 데이터란 도 4(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필소 또는 글자를 구성하는 필기 스트로크의 집합을 말한다. 또한, 지주점이란 도 4(c)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필소 'ㅅ'의 시작점(410), 끝점(420) 및 필소 'ㄱ'의 변곡점(430) 등의 점들을 말한다.
일 예로, 도 5(a)에 도시된 같이 '식'이라는 글자가 입력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자필 폰트 생성 방법은 도 5(b)에 도시된 것과 같이 글자 '식'의 지주점 사이의 점들을 기 설정된 간격으로 선택한다. 그리고, 도 5(c)와 같이 각 지주점 사이의 점들을 연결함으로써 샘플링한 후 보간법 등을 이용하여 도 5(d)와 같은 글자 벡터를 생성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글자 벡터로부터 추출되는 경계선과 자형틀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상술한 과정을 통해 글자 벡터가 생성되면 생성된 글자 벡터는 도 6(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최소 필소로 분리되고, 분리된 각각의 최소 필소에서는 도 6(b)에 도시된 것과 같이 경계선(610)이 추출된다. 이와 같이 추출된 경계선은 도 6(c)에 도시된 것과 같은 자형틀(620)에 맞게 변환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경계선 변환을 이용하여 스트로크 벡터를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상술한 과정을 통해 추출된 경계선은 도 7(a)도시된 것과 같이 자형틀에 맞게 변환될 수 있다. 도 7(a)에는 일 예로, 자소 벡터 'ㄱ'이 자형틀 '기'의 'ㄱ'으로 경계선 변환되는 것을 나타내며, 도 7(b)에는 자소 벡터 'ㄱ'이 자형틀 '극'의 초성 'ㄱ'과 종성 'ㄱ'으로 변환되는 것을 나타낸다.
일 예로, 도 7(c)에는 이와 같은 경계선 변환을 통해 생성된 스트로크 벡터 '기' 및 '극'이 도시되어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계선 변환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먼저 도 8(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임의의 두 점 p1 과 p2 를 연결하는 곡선을 표현하는 함수를 연결 함수 J(p1, p2)라 할 때, 도 8(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임의의 네 점 p1, p2, p3 및 p4 를 연결하는 연결 함수 J1(p1, p2), J2(p2, p3), J3(p3, p4) 및 J4(p4, p1)로 이루어진 폐곡선을 경계선이라 하고 B(p1, p2, p3, p4)로 표기할 수 있다.
또한, 도 9(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임의의 두 경계선 B1 및 B2에 대하여 B1 내부에 있는 모든 점을 B2 내부에 있는 모든 점으로 변환하는 함수를 경계선 변환 함수라 정의하고 T(B1, B2)로 표시할 수 있다. 도 9(b)에는 일 예로, 경계선 변환에 의해 '극'이라는 벡터가 스트로크 벡터로 변환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스트로크 백터로부터 외곽선을 추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필 폰트 생성 방법은 TTF, OTF, EOT 등의 자필 폰트를 생성하기 위하여 스트로크 벡터로부터 스트로크 외곽선을 생성하고, 필소 스트로크로부터 필소 외곽선을 생성한다. 그리고, 자소 스트로크로부터 자소 외곽선을 생성하고, 글자 스트로크로부터 글자 외곽선을 생성한다.
일 예로, 도 10(a)에는 '기'라는 글자 스트로크로부터 생성된 글자 외곽선이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생성된 글자 외곽선은 도 10(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추출되고, 추출된 외곽선을 이용하여 자필 폰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자음을 만드는 규칙을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모음을 만드는 규칙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필 폰트 생성 방법은 최소 필소 즉, 'ㅇ', 'ㅡ', 'ㄴ', ㅅ', 'ㅣ', 'ㄱ' 및 '
Figure 112012027804211-pat00003
'('ㅎ'위의 'ㅗ')를 포함하는 글자를 이용하여 30개의 자음과 21개의 모음에 해당하는 자필 폰트를 생성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로부터 최소 필소 글자(예를 들어, '흔' 및 '식')를 입력 받는 경우에도 해당 사용자의 필체와 유사한 자필 폰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자필 폰트 생성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자필 폰트 생성 장치(1300)는 입력부(1310), 샘플링부(1320), 변환부(1330), 스트로크 벡터 생성부(1340) 및 폰트 생성부(1350)를 포함한다.
입력부(1310)는 사용자로부터 필체를 입력 받는 것으로서, 일 예로 GUI(Graphic User Interface)을 통하여 자필 글자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입력 받는 자필 글자의 수는 사용자의 필체와의 유사도에 따라 단계 별로 설정될 수 있는데, 일 예로 이는 20 개의 최소 필소를 포함하는 최소 필소 글자를 입력 받는 단계, 최소 필소 글자를 포함하는 50 자의 자필 글자를 입력 받는 단계, 사용자의 필체에 근접한 폰트 디자인을 생성하기 위하여 80 자의 자필 글자를 입력 받는 단계 등으로 나뉠 수 있다.
이 경우, 입력부(131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할 자필 글자의 수 또는 자필 폰트와 상기 사용자의 필체 간의 유사도를 선택 받을 수 있다.
샘플링부(1320)는 입력부(1310)를 통해 입력 받은 자필 글자의 지주점 사이의 점들을 기 설정된 간격으로 선택한 후 각 지주점 사이의 점들을 연결함으로써 입력 받은 자필 글자를 샘플링한다.
변환부(1330)는 샘플링부(1320)에서 샘플링된 자필 글자를 보간법 등을 이용하여 글자 벡터로 변환한다.
변환부(1330)를 통해 샘플링된 자필 글자가 글자 벡터로 변환되면 스트로크 벡터 생성부(1340)는 글자 벡터를 글자를 최소 필소로 분리하고, 최소 필소의 경계선을 추출한 후 기 설정된 자형틀에 맞게 추출한 경계선을 변환하여 스트로크 벡터를 생성한다.
폰트 생성부(1340)는 스트로크 벡터 생성부(1330)에서 생성된 스트로크 벡터의 외곽선을 추출하여 자필 폰트를 생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자필 폰트 생성 방법 및 자필 폰트 생성 장치는 입력 받은 자필 글자를 샘플링하고 샘플링된 자필 글자를 글자 벡터로 변환한 후 경계선 추출 및 변환을 통하여 생성된 스트로크 벡터의 외곽선을 추출함으로써 사용자가 자필로 일부분의 글자를 입력하는 경우에도 사용자의 필체와 유사한 전체 글자를 포함하는 자필 폰트를 생성할 수 있고, 입력 필소 글자의 수를 단계별로 정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희망에 따라 입력할 글자 수 또는 자신에 필체와의 유사도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템플릿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만의 폰트를 보다 간편하게 생성할 수 있도록 하고 최소한의 자필 글자를 입력 받음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폰트 디자인의 부족을 충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완성 자필 폰트 생성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0)

  1. 입력부, 샘플링부, 변환부, 스트로크 벡터 생성부 및 폰트 생성부를 포함하는 자필 폰트 생성 장치가 수행하는 자필 폰트 생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가 자필 글자에 대한 디자인을 선택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글꼴 디자인을 포함하는 폰트 템플릿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샘플링부가 상기 폰트 탬플릿을 통해 입력 받은 자필 글자를 샘플링하는 단계;
    상기 변환부가 상기 샘플링된 자필 글자를 글자 벡터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스트로크 벡터 생성부가 상기 글자 벡터를 폰트를 생성하기 위한 최소 단위인 최소 필소로 분리하는 단계;
    상기 스트로크 벡터 생성부가 상기 최소 필소의 경계선을 추출한 후 기 설정된 자형틀에 맞게 상기 추출한 경계선을 변환하여 스트로크 벡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폰트 생성부가 상기 생성된 스트로크 벡터의 외곽선을 추출하여 자필 폰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필 폰트 생성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필 글자는,
    상기 최소 필소를 포함하는 최소 필소 글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필 폰트 생성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가 상기 자필 폰트의 생성에 이용할 필소 글자의 수를 사용자의 필체와의 유사도에 따라 단계 별로 설정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할 자필 글자의 수 및 상기 자필 폰트와 상기 사용자의 필체 간의 유사도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 받아 이를 기초로 상기 자필 폰트 생성에 이용할 자필 글자의 수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필 폰트 생성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샘플링하는 단계는,
    상기 샘플링부가 상기 자필 글자의 지주점 사이의 점들을 기 설정된 간격으로 선택한 후 각 지주점 사이의 점들을 연결함으로써 샘플링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필 폰트 생성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글자 벡터로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변환부가 상기 샘플링된 자필 글자를 보간법을 이용하여 상기 글자 벡터로 변환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필 폰트 생성 방법.
  6. 삭제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자필 폰트 생성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8. 자필 글자에 대한 디자인을 선택할 수 있도록 제공된 복수개의 글꼴 디자인을 포함하는 폰트 템플릿을 통해 상기 자필 글자를 입력 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 받은 자필 글자를 샘플링하는 샘플링부;
    상기 샘플링된 자필 글자를 글자 벡터로 변환하는 변환부;
    상기 글자 벡터를 글자를 생성하기 위한 최소 단위인 최소 필소로 분리하고 상기 최소 필소의 경계선을 추출한 후 기 설정된 자형틀에 맞게 상기 추출한 경계선을 변환하여 스트로크 벡터를 생성하는 스트로크 벡터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스트로크 벡터의 외곽선을 추출하여 자필 폰트를 생성하는 폰트 생성부
    를 포함하는 자필 폰트 생성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자필 글자는,
    상기 최소 필소를 포함하는 최소 필소 글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필 폰트 생성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샘플링부는,
    상기 자필 글자의 지주점 사이의 점들을 기 설정된 간격으로 선택한 후 각 지주점 사이의 점들을 연결함으로써 샘플링하고,
    상기 변환부는,
    상기 샘플링된 자필 글자를 보간법을 이용하여 상기 글자 벡터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필 폰트 생성 장치.
KR1020120036212A 2012-04-06 2012-04-06 자필 폰트 생성 방법 및 장치 KR1012291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6212A KR101229175B1 (ko) 2012-04-06 2012-04-06 자필 폰트 생성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6212A KR101229175B1 (ko) 2012-04-06 2012-04-06 자필 폰트 생성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9175B1 true KR101229175B1 (ko) 2013-02-01

Family

ID=47898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6212A KR101229175B1 (ko) 2012-04-06 2012-04-06 자필 폰트 생성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917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7603A (ko) 2019-04-05 2020-10-14 김성훈 폰트 자동 생성 장치 및 방법
KR20210128603A (ko) * 2020-04-17 2021-10-27 네이버 주식회사 폰트 생성 방법 및 시스템
WO2022039516A1 (en) * 2020-08-19 2022-02-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electronic device for handling personalized font
KR20230103906A (ko) 2021-12-30 2023-07-07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딥러닝을 이용한 폰트 패밀리 생성 방법 및 이의 장치
KR20230103902A (ko) 2021-12-30 2023-07-07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제한된 개수의 기준 문자를 이용한 폰트 생성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폰트 생성 방법
KR20240052185A (ko) 2022-10-14 2024-04-23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문자의 컴포넌트-분리에 기반한 폰트 생성 시스템 및 폰트 생성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0546A (ja) 1999-05-25 2000-11-30 Hitachi Ltd フォント作成装置、およびフォント作成用記憶媒体
KR20010073976A (ko) * 2000-10-06 2001-08-04 이종하 정보기기용 필기체 인식장치 및 그 방법
JP2004004302A (ja) * 2002-05-31 2004-01-08 Nti:Kk 遺伝的アルゴリズムによるフォント生成システム
KR20040085659A (ko) * 2003-04-01 2004-10-08 삼성전자주식회사 벡터 폰트 생성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0546A (ja) 1999-05-25 2000-11-30 Hitachi Ltd フォント作成装置、およびフォント作成用記憶媒体
KR20010073976A (ko) * 2000-10-06 2001-08-04 이종하 정보기기용 필기체 인식장치 및 그 방법
JP2004004302A (ja) * 2002-05-31 2004-01-08 Nti:Kk 遺伝的アルゴリズムによるフォント生成システム
KR20040085659A (ko) * 2003-04-01 2004-10-08 삼성전자주식회사 벡터 폰트 생성방법 및 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7603A (ko) 2019-04-05 2020-10-14 김성훈 폰트 자동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2212994B1 (ko) * 2019-04-05 2021-02-04 김성훈 폰트 자동 생성 장치 및 방법
KR20210128603A (ko) * 2020-04-17 2021-10-27 네이버 주식회사 폰트 생성 방법 및 시스템
KR102376231B1 (ko) * 2020-04-17 2022-03-21 네이버 주식회사 폰트 생성 방법 및 시스템
WO2022039516A1 (en) * 2020-08-19 2022-02-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electronic device for handling personalized font
KR20230103906A (ko) 2021-12-30 2023-07-07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딥러닝을 이용한 폰트 패밀리 생성 방법 및 이의 장치
KR20230103902A (ko) 2021-12-30 2023-07-07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제한된 개수의 기준 문자를 이용한 폰트 생성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폰트 생성 방법
KR20240052185A (ko) 2022-10-14 2024-04-23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문자의 컴포넌트-분리에 기반한 폰트 생성 시스템 및 폰트 생성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9175B1 (ko) 자필 폰트 생성 방법 및 장치
US7982737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dependent font substitution of string characters
KR102473543B1 (ko) 디지털 잉크 상호작용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N110770735B (zh) 具有嵌入式数学表达式的文档的编码转换
CN110956678B (zh) 字形的处理方法和装置
US10366142B2 (en) Identifier based glyph search
KR101229164B1 (ko) 네트워크를 통한 개인폰트 생성 방법 및 폰트 클라우드 서비스 시스템
US11030388B2 (en) Live text glyph modifications
KR101204615B1 (ko) 개인폰트 생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모바일 단말
KR102040088B1 (ko) 템플릿을 이용한 개인화 폰트 생성 방법 및 시스템
JP2012098891A (ja) 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US2021018247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storing program
KR102212994B1 (ko) 폰트 자동 생성 장치 및 방법
JP6249760B2 (ja) テキスト読み上げ装置
JP2019528485A (ja) フォントの生成方法及びその方法を記録した記録媒体並びにフォントの生成装置
KR20090000485A (ko) 폰트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556563B1 (ko) 텍스트 범위에 대한 폰트 갱신 방법 및 디바이스
CN113535017B (zh) 一种绘本文件的处理、同步显示方法、装置及存储介质
JP5563706B1 (ja) ドキュメントファイル生成装置、ドキュメントファイル生成方法およびドキュメントファイル生成プログラム
JP6227133B2 (ja) 記号イメージ検索サービス提供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記号イメージ検索用サーバ
KR20150085282A (ko) 전자 문서의 첨삭을 위한 단말의 동작 방법
Bergerhausen et al. The Missing Scripts Project
JPWO2014030258A1 (ja) 形態素解析装置、テキスト分析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CN117391045B (zh) 可复制蒙文的可携带文件格式文件输出方法
Khaltarkhuu et al. Developing a traditional Mongolian script digital libra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