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0088B1 - 템플릿을 이용한 개인화 폰트 생성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템플릿을 이용한 개인화 폰트 생성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0088B1
KR102040088B1 KR1020170166176A KR20170166176A KR102040088B1 KR 102040088 B1 KR102040088 B1 KR 102040088B1 KR 1020170166176 A KR1020170166176 A KR 1020170166176A KR 20170166176 A KR20170166176 A KR 20170166176A KR 102040088 B1 KR102040088 B1 KR 1020400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late
vowel
neutral
consonant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6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6450A (ko
Inventor
이문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젠
Priority to KR1020170166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0088B1/ko
Publication of KR20190066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64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0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00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F17/214

Landscapes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개인의 필체 특성이 반영된 폰트를 최소한의 사용자 입력 내용(입력 받을 글자 정보 템플릿을 최소화)을 기초로 효율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템플릿을 사용한 개인화 폰트 생성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템플릿을 이용한 개인화 폰트 생성 방법은, 글자의 초성, 중성 및 종성 존재 유무 및 상기 중성의 위치에 따라 글자를 6가지 유형으로 분류하는 분류 단계; 상기 초성을 이루는 자음의 획 방향의 동일성 여부에 따라 복수 개의 그룹으로 나누는 자음 그룹화 단계; 상기 중성을 이루는 모음을 획 방향의 동일성 여부 및 모음의 위치에 따라 복수 개의 그룹으로 나누는 모음 그룹화 단계; 상기 자음 그룹, 모음 그룹 및 상기 자음의 상기 모음과의 연결 가능성을 기초로 상기 6가지 유형 각각을 이루는 글자의 모양을 결정하기 위한 템플릿을 결정하는 템플릿 결정 단계; 상기 6가지 유형 각각에 필요한 템플릿을 화상 장치에 제공하고 사용자 입력 장치를 통해 상기 템플릿에 상응하는 글자의 입력을 받는 사용자 입력 단계; 상기 사용자 입력 단계를 통해 입력 받은 각 글자의 초성과 중성을 상기 자음 그룹과 모음 그룹에 기초하여 분리하는 분리 단계; 및 상기 분리 단계를 통해 분리된 자음과 모음을 조합하여 폰트를 생성하는 폰트 생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사용되는 글자체가 획일화된 인터넷 환경에서 각 개인의 필체가 효과적으로 적용된 폰트가 사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템플릿을 이용한 개인화 폰트 생성 방법 및 시스템{PERSONAL FONT GENERATION METHOD USING TEMPLATE AND SYSTEM}
본 발명은 사용자 개인의 필체 특성이 반영된 폰트를 최소한의 사용자 입력 내용을 기초로 효율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템플릿을 사용한 개인화 폰트 생성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개인의 특성이 반영된 개인화 폰트 생성 방식은 완성형 코드의 2,350자를 생성하는 방식으로 개인 또는 기업이 해당 업체에 제작을 의뢰하는 형태로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프로세스로 개발되는 개인화 폰트는 복잡한 과정으로 인하여 많은 시간과 비용이 요구되기 때문에, 대다수의 일반 사용자들이 자신의 필체를 바탕으로 한 개인화 폰트를 사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존재한다.
여기서, 폰트(font)란 미리 디자인된 여러 가지 스타일 및 크기의 글자를 보관해 놓은 일종의 문자 라이브러리(library)로, 활자 조판에 필요한 모든 글자, 숫자 및 특수 기호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폰트가 컴퓨터를 통해 디스플레이되거나 인쇄되도록 하려면, 문자의 형태를 0 과 1 의 데이터로 표현해야 한다. 폰트를 0 과 1 로 된 디지털 데이터로 표현할 수 있다면, 컴퓨터는 이를 보존, 가공 또는 외부의 출력 장치에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폰트는 디지털 형태로 표현된 문자형상 데이터의 집합이라 할 수 있다.
종래에는 폰트가 주로 DTP(Desktop Publishing) 또는 CTS(Computerized Typesetting System) 등의 출판 및 문서 작성의 전문 사용 분야에서 사용되어 왔으나, 정보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개인 환경에서의 폰트 사용 또한 증가하고 있으며, 웹 환경 또는 모바일 환경에서도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폰트는 현재까지도 전문 폰트 디자이너의 장기간의 수작업을 통하여 제작되고 공급되기 때문에 실제 사용 가능한 컴퓨터용 폰트의 수는 제한이 있는 상황이지만, 사용자가 요구하는 폰트의 형태는 다양해지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자신만의 폰트를 디자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PC나 TV 등의 전자 기기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입력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입력 장치를 통해 사용자가 정보를 입력하는 다양한 방법 중, 펜과 디지타이저(Digitizer) 등을 이용한 펜 입력 방식은 인간의 가장 고전적이고 보편적인 문자 표현 도구인 종이와 펜을 이용한 정보 전달 방식과 유사하여 사용자에게 친숙한 입력 방식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펜 입력 방식으로는 크게 화면상에 소프트웨어적으로 가상의 키보드(일명, 소프트 키보드)를 표시하고 이를 사용자가 펜을 이용하여 포인팅함으로써 문자 정보를 입력하는 방식과 펜과 같은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디지타이저와 같은 특정 장치 상에 필기하고 이를 인식하여 문자 정보를 입력하는 방식이 있다.
특히 후자의 경우에 개인적으로 사용하는 이메일, 블로그 등에 자신 만의 폰트를 적용하여 텍스트를 표현함으로써 자신의 개성을 강조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종래 기술인 한국등록특허 제10-1204615호(개인폰트 생성 방법) 발명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폰트 디자인을 벡터화하고 이를 최소 필소로 분리한 후 생성한 스트로크 벡터의 외곽선을 기초로 개인폰트를 생성하는 것인데, 구체적으로 한글을 이루는 자소(자음 또는 모음 중 하나)를 개별적으로 입력 받고 기존에 있던 폰트(굴림체, 궁서체 등)를 참조하여 개인폰트를 생성한다.
다만 상기 종래 기술은, 한글을 이루는 자소의 각각을 입력 받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며, 입력 받는 자소를 한글의 초성, 중성, 종성에 모두 이용하는 방식이라 같은 자음이라 하더라도 개인적 성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이어 쓰기의 필체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 한다는 한계점을 가진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 개인의 필체 특성이 반영된 폰트를 최소한의 사용자 입력 내용(입력 받을 글자 정보 템플릿을 최소화)을 기초로 효율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템플릿을 사용한 개인화 폰트 생성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템플릿을 이용한 개인화 폰트 생성 방법은, 글자의 초성, 중성 및 종성 존재 유무 및 상기 중성의 위치에 따라 글자를 6가지 유형으로 분류하는 분류 단계; 상기 초성을 이루는 자음의 획 방향의 동일성 여부에 따라 복수 개의 그룹으로 나누는 자음 그룹화 단계; 상기 중성을 이루는 모음을 획 방향의 동일성 여부 및 모음의 위치에 따라 복수 개의 그룹으로 나누는 모음 그룹화 단계; 상기 자음 그룹, 모음 그룹 및 상기 자음의 상기 모음과의 연결 가능성을 기초로 상기 6가지 유형 각각을 이루는 글자의 모양을 결정하기 위한 템플릿을 결정하는 템플릿 결정 단계; 상기 6가지 유형 각각에 필요한 템플릿을 화상 장치에 제공하고 사용자 입력 장치를 통해 상기 템플릿에 상응하는 글자의 입력을 받는 사용자 입력 단계; 상기 사용자 입력 단계를 통해 입력 받은 각 글자의 초성과 중성을 상기 자음 그룹과 모음 그룹에 기초하여 분리하는 분리 단계; 및 상기 분리 단계를 통해 분리된 자음과 모음을 조합하여 폰트를 생성하는 폰트 생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류 단계는, 상기 초성과 상기 초성의 오른쪽에 위치하는 중성으로 이루어지는 제1 유형, 초성과 상기 초성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중성으로 이루어지는 제2 유형, 상기 초성과 상기 초성의 오른쪽과 아래쪽에 위치하는 중성으로 이루어지는 제3 유형, 상기 초성과 상기 초성의 오른쪽에 위치하는 중성 및 종성으로 이루어지는 제4 유형, 상기 초성과 상기 초성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중성 및 종성으로 이루어지는 제5 유형, 상기 초성과 상기 초성의 오른쪽과 아래쪽에 위치하는 중성 및 종성으로 이루어지는 제6 유형으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음 그룹화 단계는, 상기 자음 획의 끝 방향이 같은 자음을 하나의 그룹으로 하여 복수 개의 자음 그룹으로 나누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음 그룹화 단계는, 상기 모음 획의 처음 방향이 같은 모음을 하나의 그룹으로 하되 상기 모음의 위치가 같은 모음을 하나의 그룹으로 하여 복수 개의 모음 그룹으로 나누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템플릿 결정 단계는, 상기 자음의 상기 모음과의 연결 가능성에 기초하여 상기 자음 그룹에 속하는 각 자음의 두 가지 모양을 상기 템플릿에 포함시켜 상기 템플릿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템플릿 결정 단계는, 상기 제1 유형의 글자를 결정하기 위해 46 개의 템플릿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템플릿을 이용한 개인화 폰트 생성 시스템은, 글자의 초성, 중성 및 종성 존재 유무 및 상기 중성의 위치에 따라 글자를 6가지 유형으로 분류하는 분류 모듈; 상기 초성을 이루는 자음을 획 방향의 동일성 여부에 따라 복수 개의 그룹으로 나누는 자음 그룹화 모듈; 상기 중성을 이루는 모음을 획 방향의 동일성 여부 및 모음의 위치에 따라 복수 개의 그룹으로 나누는 모음 그룹화 모듈; 상기 자음 그룹, 모음 그룹 및 상기 자음의 상기 모음과의 연결 가능성을 기초로 상기 6가지 유형 각각을 이루는 글자의 모양을 결정하기 위한 템플릿을 결정하는 템플릿 결정 모듈; 상기 템플릿 결정 모듈에서 결정된 템플릿을 표시하는 화상 장치;
상기 템플릿에 상응하는 글자를 입력 받는 사용자 입력 장치; 상기 사용자 입력 장치를 통해 입력 받은 각 글자의 초성과 중성을 상기 자음 그룹과 모음 그룹에 기초하여 분리하는 분리 모듈; 및 상기 분리 모듈을 통해 분리된 자음과 모음을 조합하여 폰트를 생성하는 폰트 생성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되는 글자체가 획일화된 인터넷 환경에서 각 개인의 필체가 효과적으로 적용된 폰트가 사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개인 필체 특성이 반영된 폰트 생성에 필요한 최소한의 템플릿을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어서 개인 필체 특성 생성에 필요한 복잡한 과정에 따른 사용자 피로도를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획일화된 폰트 환경에서 탈피하여 개인의 개성을 나타내는 문화적 환경 조성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템플릿을 이용한 개인화 폰트 생성 방법의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a 내지 도 2f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템플릿을 이용한 개인화 폰트 생성 방법에서 적용되는 글자 6가지 유형 분류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템플릿을 이용한 개인화 폰트 생성 방법에서 초성의 자음을 분류하는 기준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템플릿을 이용한 개인화 폰트 생성 방법에서 중성의 모음을 분류하는 기준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템플릿을 이용한 개인화 폰트 생성 방법에서 템플릿을 결정할 때 초성의 자음과 중성의 모음의 연결 가능성에 따라 입력 받을 자음 모양을 결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템플릿을 이용한 개인화 폰트 생성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템플릿을 이용한 개인화 폰트 생성 시스템이 실제로 소정의 툴을 이용하여 구현된 상태의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템플릿을 이용한 개인화 폰트 생성 시스템이 실제로 소정의 툴을 이용하여 구현된 상태의 시스템 아키텍처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만일 정의되지 않더라도,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기술 혹은 과학 용어들을 포함)은 이 발명이 속한 종래 기술에서 보편적 기술에 의해 일반적으로 수용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인 사전들에 의해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된 기술 그리고/혹은 본 출원의 본문에 의미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고, 그리고 여기서 명확하게 정의된 표현이 아니더라도 개념화되거나 혹은 과도하게 형식적으로 해석되지 않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및/또는 이 동사의 다양한 활용형들은 언급된 구성요소, 동작 및/또는 소자 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공지된 구성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구성에 대하여는 가급적 동일한 도면부호가 사용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개략적으로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면, 폰트를 사용할 사용자의 필체가 적용되려면 모든 형상의 글자에 대해 사용자 입력이 필요하나 이러한 과정은 매우 번거롭기 때문에 글자(한글)의 6가지 유형과 기본 획과 방향에 따른 대표 글자를 선정하여 템플릿에 포함될 대표 글자를 선택한다. 대표 글자 외의 글자는 작성된 글자에서 분할 및 조합 과정을 거쳐 만들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은 완성된 글씨를 바탕으로 폰트를 제작하기 때문에, 자모의 연결에 따른 특징을 잘 나타낼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또한, 한글은 구조적으로 중성의 형태와 종성의 존재 유무에 따라 아래에서 후술할 6가지 유형으로 분리할 수 있고, 각 유형별로 생성되는 문자는 171자, 95자, 133자, 4617자, 2565자 3591자로, 개인화 폰트를 생성하기 위해 총 11,172자의 문자가 필요하다. 그러나 한글의 구조적 특성에 따라 유형별로 대표 문자를 선정하여 11,172자가 아닌 289자의 문자만으로 개인의 특성이 반영된 개인화 폰트를 생성할 수 있다. 각 과정에 대해서는 첨부된 도 1 내지 8을 기초로 이하에서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템플릿을 이용한 개인화 폰트 생성 방법의 전체적인 과정에 대해 도 1을 기초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템플릿을 이용한 개인화 폰트 생성 방법의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템플릿을 이용한 개인화 폰트 생성 방법은, 글자 형태에 따라 6가지 유형으로 분류하는 단계(S10), 초성 자음의 획 방향에 따라 그룹화하는 단계(S11), 중송 모음의 획 방향 및 모음 위치에 따라 그룹화하는 단계(S12), 각 유형에 맞는 템플릿을 선정하는 단계(S13), 템플릿에 대한 사용자의 글자를 입력 받는 단계(S14), 입력된 글자의 자음과 모음을 분리하는 단계(S15) 및 분리된 자음과 모음을 조합하여 폰트를 생성하는 단계(S16)를 포함한다.
상기 각 단계를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단계 S10은, 글자인 한글의 초성, 중성 및 종성의 존재 유무 그리고 중성의 위치에 따라 글자를 6가지 유형을 분류하는 단계이다. 즉, 글자의 구조적 특성에 따라 크게 6가지 유형으로 구분하고 향후 이러한 구조를 이용하여 개인의 필체 생성을 위해 입력 받을 글자의 수와 모양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6가지 유형에 대해서는 후술할 도 2a 내지 도 2f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으로 단계 S11은, 초성을 이루는 각 자음의 획 방향이 동일한지 여부를 기준으로 복수 개의 그룹으로 나누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초성을 이루는 자음 획의 끝 방향이 같은 자음을 하나의 그룹으로 하여 복수 개의 자음 그룹으로 나눈다. 이러한 과정에 대해서는 후술할 도 3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으로 단계 S12는, 중성을 이루는 각 모음의 획 방향이 동일한지 여부와 해당 모음의 위치(자음의 아래쪽 또는 오른쪽에 있는지 여부)에 따라 복수 개의 그룹으로 나누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모음 획의 처음 방향이 같은 모음을 하나의 그룹으로 하되 모음의 위치가 같은 모음을 하나의 그룹으로 하여 복수 개의 모음 그룹으로 나눈다. 이러한 과정에 대해서는 후술할 도 4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으로 단계 S13은, 폰트를 사용할 사용자에게 입력에 필요한 글자를 요청하기 위해 템플릿을 결정하는 단계로, 상기에서 그룹화한 자음 그룹과 모음 그룹을 기준으로 하되 자음과 모음과의 연결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를 추가적 기준으로 하여, 6가지 유형 각각을 이루는 글자의 모양을 결정하기 위한 템플릿을 결정한다.
여기서 자음과 모음과의 연결 가능성이란, 개인 성향에 따라 다를 수는 있으나,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글씨를 쓸 때 종성에 해당하는 모음의 모양에 따라 초성에 해당하는 자음의 모양이 달라진다. 즉, 중성을 이루는 모음이 초성의 자음 방향을 향할 때는 자음과 모음을 이어 쓰는 경향이 높고, 반대로 모음이 자음 방향으로 향하지 않을 때는 이어 쓰기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이러한 경향을 기초로 각 개인 필체의 성향을 효과적으로 반영하기 위해 자음의 모음과의 연결 가능성에 기초하여 자음의 두 가지 모양을 템플릿에 포함시켜 최종 템플릿을 결정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 대해서는 후술할 도 5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으로 단계 S14는, 결정된 템플릿을 상기 6가지 유형별로 분류하여 화상 장치에 제공하고 사용자 입력 장치를 통해 템플릿에 상응하는 글자의 입력을 받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본 단계는, 최종적으로 결정된 6가지 유형별 템플릿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 입력 장치를 통해 그 사용자만이 가지는 필체로 글자를 입력 받는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폰트 형성을 위한 각 개인의 필체가 적용된 글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15는, 사용자 입력 단계를 통해 입력 받은 각 글자의 초성과 중성을 자음 그룹과 모음 그룹을 기준으로 하여 다시 분리하는 단계이다. 즉, 이 단계는 제공된 템플릿을 기초로 사용자가 글자를 입력하면, 입력된 글자를 이루는 초성과 중성을 분리하는 단계이다. 이 때 종성에 해당하는 자음은 따로 고려하지 않는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사용자 개인의 필체가 적용된 폰트 생성을 위한 구성 요소인 초성(자음) 및 중성(모음)을 수집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단계 S16은, 분리 단계를 통해 분리된 자음과 모음을 다시 조합하여 폰트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자음과 모음을 다시 조합할 때, 같은 자음 그룹은 같은 모음 그룹을 사용하되, 모음 그룹의 획 시작 방향이 자음 그룹 방향을 향할 때는 이어 쓰기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므로 이에 대해 따로 템플릿을 통해 입력 받은 두 가지 모양의 자음을 활용하여 글자를 조합할 수 있다. 즉, 폰트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자음과 모음을 조합할 때 자음과 모음 사이의 이어 쓰기 여부에 따라 해당 자음의 종류 2가지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조합하여 최종 폰트를 생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에서 설명한 단계 S10 내지 S16의 각 단계를 2a 내지 5를 기초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단계 S10에 대해 도 2a 내지 2f를 기초로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 내지 도 2f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템플릿을 이용한 개인화 폰트 생성 방법에서 적용되는 글자 6가지 유형 분류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에 도시된 것은 글자의 6가지 유형 중 제1 유형으로, 초성과 중성으로 이루어진 글자인데 중성이 초성의 오른쪽에 위치하는 유형이다. 원칙적으로 초성을 이루는 자음의 개수와 중성을 이루는 모음의 개수의 곱의 결과에 해당하는 개수만큼의 템플릿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이에 상응하는 글자를 입력 받아야 최종적으로 이 유형에 해당하는 글자(개인 필체가 적용된 글자)를 생성하여 폰트를 완성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초성과 중성을 이루는 자음과 모음을 적절히 그룹화하고 자음과 모음의 이어 쓰기 가능성을 기준으로 최소한의 템플릿을 생성한 후 이에 상응하는 글자를 입력 받음으로써 사용자 입력을 최소화하여 최종적인 개인 필체 적용 폰트를 완성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5의 설명에서 후술한다.
도 2b에 도시된 것은 글자의 6가지 유형 중 제2 유형으로, 초성과 중성으로 이루어진 글자 중 중성이 초성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유형이다. 도 2a에서 설명한 내용과 마찬가지로 초성을 이루는 자음과 중성을 이루는 모음을 그룹화하여 최적 개수의 개인 필체가 적용된 글자를 생성한 후 폰트를 완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c에 도시된 것은 글자의 6가지 유형 중 제3 유형으로, 초성과 중성으로 이루어진 글자 중 중성이 초성 아래쪽 및 오른쪽에 동시에 위치하는 유형이다.
다음으로 도 2d에 도시된 것은 제4 유형으로, 초성과 중성 및 종성으로 이루어진 글자로 중성이 초성 오른쪽에 위치하는 유형이다.
다음으로 도 2e에 도시된 것은 제5 유형으로, 초성과 중성 및 종성으로 이루어진 글자로 중성이 초성 아래쪽에 위치하는 유형이다.
마지막으로 도 2f에 도시된 것은 제6 유형으로, 초성과 중성 및 종성으로 이루어진 글자로 중성이 초성 오른쪽 및 아래쪽에 위치하는 유형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글자의 6가지 유형으로 분류하는 것은 최대한 개인 필체가 적용되도록 하면서 최소한의 사용자 글자 입력을 받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S11 및 S12에 해당하는 그룹화 단계에 대해 도 3 내지 4를 기초로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템플릿을 이용한 개인화 폰트 생성 방법에서 초성의 자음을 분류하는 기준을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템플릿을 이용한 개인화 폰트 생성 방법에서 중성의 모음을 분류하는 기준을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3에 대해 설명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성을 이루는 자음을 (a) 내지 (c) 3개의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분류 기준은 자음 작성시 획의 마지막 부분이 향하는 방향이다. 즉, (a) 그룹(ㄱ, ㅋ, ㄲ)의 경우에는 자음 획의 마지막 부분이 향하는 방향이 왼쪽이고, (b) 그룹(ㅇ, ㅎ)의 경우에는 자음 획의 마지막 부분이 향하는 방향이 위쪽이고, (c) 그룹(ㄴ, ㄷ, ㄹ, ㅁ, ㅂ, ㅅ, ㅈ, ㅊ, ㅌ, ㅍ, ㄸ, ㅃ, ㅆ, ㅉ)의 경우에는 자음 획의 마지막 부분이 향하는 방향이 오른쪽이다.
또한, 도 4에 대해 설명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성을 이루는 모음을 크게 (a) 내지 (c)의 3개의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그리고 각 그룹에서 다시 두 개의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여기서 분류 기준은 중성의 위치 및 모음 작성시 획의 시작 부분이 향하는 방향이다.
즉, (a) 그룹은 제1 유형 및 제4 유형에 적용되는 모음 그룹인데, 세부적으로 제1-1 그룹(ㅏ, ㅑ, ㅐ, ㅒ, ㅣ) 및 제1-2 그룹(ㅓ, ㅔ, ㅕ, ㅖ)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1-1 그룹은 모음 획의 시작 방향이 아래쪽이고, 제1-2 그룹은 모음 획의 시작 방향이 오른쪽이다.
또한, (b) 그룹은 제2 유형 및 제5 유형에 적용되는 모음 그룹인데, 세부적으로 제2-1 그룹(ㅗ, ㅛ) 및 제2-2 그룹(ㅜ, ㅠ, ㅡ)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2-1 그룹은 모음 획의 시작 방향이 아래쪽이고, 제2-2 그룹은 모음 획의 시작 방향이 오른쪽이다.
또한, (c) 그룹은 제3 유형 및 제6 유형에 적용되는 모음 그룹인데, 세부적으로 제3-1 그룹(ㅘ, ㅚ, ㅙ) 및 제3-2 그룹(ㅝ, ㅞ, ㅟ, ㅢ)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3-1 그룹은 모음 획의 시작 방향이 아래쪽이고, 제3-2 그룹은 모음 획의 시작 방향이 오른쪽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자음 및 모음들을 그룹화함으로써 향후 사용자에게 글씨 입력을 받기 위해 필요한 템플릿의 내용과 개수의 결정 과정에서 최대의 효율을 발휘할 수 있다.
다음으로 템플릿 생성을 위해 필요한 사용자 입력의 초성 자음 형태에 대해 도 5를 기초로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템플릿을 이용한 개인화 폰트 생성 방법에서 템플릿을 결정할 때 초성의 자음과 중성의 모음의 연결 가능성에 따라 입력 받을 자음 모양을 결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이다.
사용자 입력 장치를 통해 입력 받을 글자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에게 제공할 템플릿이 결정되어야 하고, 이러한 템플릿 결정을 위해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자음 그룹과 모음 그룹 형성 과정 및 자음과 모음 사이의 이어 쓰기 가능성이 고려되어야 한다.
그런데 이 중에서 이어 쓰기 가능성 부분에 대한 것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성의 자음이 오른쪽에 위치하는 중성의 모음의 모양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모음의 시작 방향이 아래쪽을 향하는 그룹(제1-1 그룹)인지, 모음의 시작 방향이 자음 방향에서 시작되어 오른쪽을 향하는 그룹(제1-2 그룹)인지에 따라 이에 결합하는 자음의 필체가 달라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5에서 왼쪽에 있는 글자는 자음과 모음 사이에 이어 쓰기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이고, 오른쪽에 있는 글자는 자음과 모음 사이에 이어 쓰기가 발생한 경우이다.
상기와 같은 현상을 기초로 판단해 볼 때, 개인 필체가 최대한 적용된 폰트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각 초성을 이루는 자음 모양(모음이 제1-1 그룹일 때의 모양 및 제1-2 그룹일 때의 모양)을 모두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아야 한다.
도 5에서는 제1 유형에 해당하는 글자의 일부만을 도시하였으나 제2 유형 내지 제6 유형에서도 상기에서 설명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내용을 토대로 최종적으로 필요한 템플릿의 개수는, 제1 유형의 경우 총 34개의 템플릿이 필요하다. 즉, 제1 유형의 글자를 개인 필체가 적용된 글자로 변환하여 폰트화하려면 단순히 산술적으로 계산하면 총 171개(19*9=171)의 템플릿이 필요하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총 34개의 템플릿만 사용자에게 제공하면 개인 필체가 적절히 적용된 글자를 생성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총 34개의 템플릿만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이에 상응한 사용자 입력이 있으면(S14 단계) 필요한 자음 및 모음을 획득할 수 있는데, 제1 유형에 적용되는 모음 그룹(제1-1 그룹 및 제1-2 그룹)은 한 번의 입력만 있으면 모든 글자에 활용이 가능하고, (a) 내지 (c) 그룹에 해당하는 자음은 이어 쓰기를 고려하여 각각 2개씩을 입력을 받아야 한다.
이렇게 획득한 자음 및 모음을 다시 S15 단계에 따라 분리한 후, S16 단계에 따라 분리된 자음과 모음을 조합하여 최종적으로 폰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2 유형의 경우에는 총 39개의 템플릿이, 제3 유형의 경우에는 총 42개의 템플릿이, 제4 유형의 경우에는 총 54개의 템플릿이, 제5 유형의 경우에는 총 54개의 템플릿이, 제6 유형의 경우에는 총 54개의 템플릿이 필요하다.
결과적으로 한글의 경우에는 289개, 영어는 53개 숫자는 10개, 특수 기호는 31개를 모두 합하여 총 383개로 구성된 템플릿이 필요하며 이를 바탕으로 개인의 특성이 반영된 개인화 폰트가 생성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템플릿을 이용한 개인화 폰트 생성 시스템에 대해 도 6을 기초로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템플릿을 이용한 개인화 폰트 생성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템플릿을 이용한 개인화 폰트 생성 시스템은, 분류 모듈(101), 자음 그룹화 모듈(102), 모음 그룹화 모듈(103), 템플릿 결정 모듈(104), 화상 장치(105), 사용자 입력 장치(106), 분리 모듈(107) 및 폰트 생성 모듈(108)을 포함한다.
여기서 분류 모듈(101)은 글자의 초성, 중성 및 종성 존재 유무 및 상기 중성의 위치에 따라 글자를 6가지 유형으로 분류한다.
또한, 자음 그룹화 모듈(102)은 초성을 이루는 자음을 획 방향의 동일성 여부에 따라 복수 개의 그룹으로 나눈다.
또한, 모음 그룹화 모듈(103)은 중성을 이루는 모음을 획 방향의 동일성 여부 및 모음의 위치에 따라 복수 개의 그룹으로 나눈다.
또한, 템플릿 결정 모듈(104)은 자음 그룹, 모음 그룹 및 자음의 모음과의 연결 가능성을 기초로 6가지 유형 각각을 이루는 글자의 모양을 결정하기 위한 템플릿을 결정한다.
또한, 화상 장치(105)는 템플릿 결정 모듈(104)에서 결정된 템플릿을 표시하며, 이렇게 표시된 내용을 사용자가 인지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 입력 장치(106)는 템플릿에 상응하는 글자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는 장치이다.
또한, 분리 모듈(107)은 사용자 입력 장치(106)를 통해 입력 받은 각 글자의 초성과 중성을 자음 그룹과 모음 그룹에 기초하여 분리한다.
그리고, 폰트 생성 모듈(108)은 분리 모듈(107)을 통해 분리된 자음과 모음을 조합하여 최종적으로 사용자 필체가 적용된 폰트를 생성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템플릿을 이용한 개인화 폰트 생성 시스템이 실제로 구현된 예를 도 7 내지 도 8을 기초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템플릿을 이용한 개인화 폰트 생성 시스템이 실제로 소정의 툴을 이용하여 구현된 상태의 블록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템플릿을 이용한 개인화 폰트 생성 시스템이 실제로 소정의 툴을 이용하여 구현된 상태의 시스템 아키텍처이다.
도 7에 도시된 블록도를 설명하면, 먼저 상기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따라 템플릿을 작성(템플릿 결정 모듈(102))하고 이를 토대로 전처리 과정을 수행한다. 전처리 과정은 기울기 보정 등으로 종래 기술이므로 생략한다. 그런 후 벡터 데이터를 폰트에 적용할 수 있게 변환해주는 EPS 변환을 수행한다. 그리고 분할기(분리 모듈(107))를 통해 해당 템플릿의 글자를 분리하고, 폰트 포맷 중의 하나인 SFD 포맷으로 변환하는 SFD 변환을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최종적으로 폰트로 변환을 수행한다.
또한, 도 8의 시스템의 핵심 모듈로는 비트맵 이미지를 벡터화 시키는 Autotrace 오픈 소스 프로그램과 사용자의 템플릿의 이미지 전처리 과정을 수행하는 Image Processor, 벡터 데이터를 폰트에 적용할 수 있게 변환해주는 EPS 변환기, 폰트의 생성 및 수정, 변환에 사용되는 Font forge 오픈소스 프로그램, Fontforge에서 사용되는 포맷인 SFD 파일을 생성하고, 유니코드에 따라서 자소를 조합하는 문자 조합기가 구비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으며,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가능한 실시예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문언적 기재 그 자체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실질적으로는 기술적 가치가 균등한 범주의 발명에 대하여까지 미치는 것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101: 분류 모듈 102: 자음 그룹화 모듈
103: 모음 그룹화 모듈 104: 템플릿 결정 모듈
105: 화상 장치 106: 사용자 입력 장치
107: 분리 모듈 108: 폰트 생성 모듈

Claims (7)

  1. 글자의 초성, 중성 및 종성 존재 유무 및 상기 중성의 위치에 따라 글자를 6가지 유형으로 분류하는 분류 단계;
    상기 초성을 이루는 자음을 획 방향의 동일성 여부에 따라 복수 개의 그룹으로 나누는 자음 그룹화 단계;
    상기 중성을 이루는 모음을 획 방향의 동일성 여부 및 모음의 위치에 따라 복수 개의 그룹으로 나누는 모음 그룹화 단계;
    상기 자음 그룹, 모음 그룹 및 상기 자음의 상기 모음과의 연결 가능성을 기초로 상기 6가지 유형 각각을 이루는 글자의 모양을 결정하기 위한 템플릿을 결정하는 템플릿 결정 단계;
    상기 6가지 유형 각각에 필요한 템플릿을 화상 장치에 제공하고 사용자 입력 장치를 통해 상기 템플릿에 상응하는 글자의 입력을 받는 사용자 입력 단계;
    상기 사용자 입력 단계를 통해 입력 받은 각 글자의 초성과 중성을 상기 자음 그룹과 모음 그룹에 기초하여 분리하는 분리 단계; 및
    상기 분리 단계를 통해 분리된 자음과 모음을 조합하여 폰트를 생성하는 폰트 생성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자음 그룹화 단계는, 상기 자음 획의 끝 방향이 같은 자음을 하나의 그룹으로 하여 3개의 자음 그룹으로 나누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모음 그룹화 단계는, 중성의 위치에 따라 3개의 모음 그룹으로 나누 후, 모음 작성 시 획의 시작 부분이 향하는 방향에 따라 각 그룹에서 다시 2개의 그룹으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템플릿을 이용한 개인화 폰트 생성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 단계는, 상기 초성과 상기 초성의 오른쪽에 위치하는 중성으로 이루어지는 제1 유형, 초성과 상기 초성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중성으로 이루어지는 제2 유형, 상기 초성과 상기 초성의 오른쪽과 아래쪽에 위치하는 중성으로 이루어지는 제3 유형, 상기 초성과 상기 초성의 오른쪽에 위치하는 중성 및 종성으로 이루어지는 제4 유형, 상기 초성과 상기 초성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중성 및 종성으로 이루어지는 제5 유형, 상기 초성과 상기 초성의 오른쪽과 아래쪽에 위치하는 중성 및 종성으로 이루어지는 제6 유형으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템플릿을 이용한 개인화 폰트 생성 방법.
  3. 삭제
  4. 삭제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템플릿 결정 단계는, 상기 자음의 상기 모음과의 연결 가능성에 기초하여 상기 자음 그룹에 속하는 각 자음의 두 가지 모양을 상기 템플릿에 포함시켜 상기 템플릿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템플릿을 이용한 개인화 폰트 생성 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템플릿 결정 단계는, 상기 제1 유형의 글자를 결정하기 위해 46개의 템플릿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템플릿을 이용한 개인화 폰트 생성 방법.
  7. 글자의 초성, 중성 및 종성 존재 유무 및 상기 중성의 위치에 따라 글자를 6가지 유형으로 분류하는 분류 모듈;
    상기 초성을 이루는 자음을 획 방향의 동일성 여부에 따라 3개의 그룹으로 나누는 자음 그룹화 모듈;
    상기 중성을 이루는 모음을 중성의 위치에 따라 3개의 모음 그룹으로 나누 후, 모음 작성 시 획의 시작 부분이 향하는 방향에 따라 각 그룹에서 다시 2개의 그룹으로 분류하는 모음 그룹화 모듈;
    상기 자음 그룹, 모음 그룹 및 상기 자음의 상기 모음과의 연결 가능성을 기초로 상기 6가지 유형 각각을 이루는 글자의 모양을 결정하기 위한 템플릿을 결정하는 템플릿 결정 모듈;
    상기 템플릿 결정 모듈에서 결정된 템플릿을 표시하는 화상 장치;
    상기 템플릿에 상응하는 글자를 입력 받는 사용자 입력 장치;
    상기 사용자 입력 장치를 통해 입력 받은 각 글자의 초성과 중성을 상기 자음 그룹과 모음 그룹에 기초하여 분리하는 분리 모듈; 및
    상기 분리 모듈을 통해 분리된 자음과 모음을 조합하여 폰트를 생성하는 폰트 생성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템플릿을 이용한 개인화 폰트 생성 시스템.
KR1020170166176A 2017-12-05 2017-12-05 템플릿을 이용한 개인화 폰트 생성 방법 및 시스템 KR1020400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6176A KR102040088B1 (ko) 2017-12-05 2017-12-05 템플릿을 이용한 개인화 폰트 생성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6176A KR102040088B1 (ko) 2017-12-05 2017-12-05 템플릿을 이용한 개인화 폰트 생성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6450A KR20190066450A (ko) 2019-06-13
KR102040088B1 true KR102040088B1 (ko) 2019-11-05

Family

ID=66847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6176A KR102040088B1 (ko) 2017-12-05 2017-12-05 템플릿을 이용한 개인화 폰트 생성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00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6231B1 (ko) * 2020-04-17 2022-03-21 네이버 주식회사 폰트 생성 방법 및 시스템
KR102592913B1 (ko) * 2023-03-22 2023-10-23 류용주 사용자 맞춤형의 글자체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1224B1 (ko) * 2006-08-16 2008-02-05 장경호 사용자 필적 구현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8345B1 (ko) * 2010-12-31 2013-01-03 (주)한양정보통신 한글 자소 조합 기반의 힌팅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1224B1 (ko) * 2006-08-16 2008-02-05 장경호 사용자 필적 구현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6450A (ko) 2019-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06356B1 (en) System, plug-in, and method for improving text composition by modifying character prominence according to assigned character information measures
US5295238A (en) System, method, and font for printing cursive character strings
CN110770735B (zh) 具有嵌入式数学表达式的文档的编码转换
TWI464678B (zh) 用於手寫輸入亞洲語言的方法及系統
JP2007505400A (ja) トリガシーケンスに基づくテキスト入力のための効率的な方法および装置
CN111914825B (zh) 文字识别方法、装置及电子设备
US20200364452A1 (en) A heuristic method for analyzing content of an electronic document
KR102040088B1 (ko) 템플릿을 이용한 개인화 폰트 생성 방법 및 시스템
Indrawan et al. A new method of Latin-to-Balinese script transliteration based on Bali Simbar font
CN111832258A (zh) 文档的分割方法、装置及电子设备
Dasgupta et al. A speech enabled Indian language text to Braille transliteration system
Azmi et al. Arabic typography: a survey
US9984053B2 (en) Replicating the appearance of typographical attributes by adjusting letter spacing of glyphs in digital publications
Dasgupta et al. Forward Transliteration of Dzongkha Text to Braille
KR101159323B1 (ko) 아시아 언어들을 위한 수기 입력
JP2003233825A (ja) 文書処理装置
EP4386615A1 (en) Method and system for improving immersive reading of electronic documents
WO2024127249A1 (en) Method and system for improving immersive reading of electronic documents
CA3022045C (en) Braille editting method using error output function,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for executing same, and computer program stored in recording medium for executing same
Dias et al. Development of standards for Sinhala computing
Fahad et al. Influence of Contextual Information on Bengali-English Forward and Backward Transliteration Using Binary Coding
KR20000053095A (ko) 비음성문자를 컴퓨터에 입력하기 위한 대용 워드로 전환하는 방법
Malik et al. Analysis of NOORI Nasta’leeq for MAJOR Pakistani Languages
Engström Internationalisation and Localisation Problems in the Chinese and Arabic Scripts
Ojha Computing in Indian Languages for Knowledge Management: Technology Perspectives and Linguistic Issu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