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6563B1 - 텍스트 범위에 대한 폰트 갱신 방법 및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텍스트 범위에 대한 폰트 갱신 방법 및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6563B1
KR102556563B1 KR1020210058881A KR20210058881A KR102556563B1 KR 102556563 B1 KR102556563 B1 KR 102556563B1 KR 1020210058881 A KR1020210058881 A KR 1020210058881A KR 20210058881 A KR20210058881 A KR 20210058881A KR 102556563 B1 KR102556563 B1 KR 1025565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nge
text
font
inpu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8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1724A (ko
Inventor
한도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윤디자인그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윤디자인그룹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윤디자인그룹
Priority to KR1020210058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6563B1/ko
Publication of KR20220151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17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6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65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03Formatting, i.e. changing of presentation of documents
    • G06F40/109Font handling; Temporal or kinetic typograph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03Formatting, i.e. changing of presentation of documents
    • G06F40/106Display of layout of documents; Preview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텍스트 범위에 대한 폰트 갱신 방법에 있어서, 종래 폰트로 제공되는 문서에서 신규 폰트로 갱신되는 상기 텍스트 범위를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단계; 상기 텍스트 범위에 대해서 상기 신규 폰트로 갱신된 프리뷰 이미지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프리뷰 이미지에 대한 승인 응답에 기초하여 상기 텍스트 범위가 상기 신규 폰트로 갱신된 갱신 문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텍스트 범위에 대한 폰트 갱신 방법 및 디바이스{Font update method and device for text range}
본 개시는 텍스트 범위에 대한 폰트 갱신 방법 및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 폰트로 제공되는 문서에서 신규 폰트로 갱신되는 텍스트 범위를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결정하고, 텍스트 범위에 대한 신규 폰트로 갱신된 프리뷰 이미지를 제공, 이에 대한 승인 응답에 기초하여 텍스트 범위가 신규 폰트로 갱신된 갱신 문서를 제공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작성된 문서의 정서, 분위기, 의도, 특징 등 표현하고자 하는 바를 더욱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사용자는 종래의 문서 작성 또는 편집 프로그램에서 제공되는 폰트 갱신 기능을 이용하여 작성된 텍스트에 적용된 종래 폰트를 신규 폰트로 갱신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 문서 작성 또는 편집 프로그램에서 제공되는 폰트 갱신 기능은, 작성된 텍스트 중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선택된 갱신 대상이 되는 텍스트의 범위에 대해 신규 폰트로 갱신하는 기능 및 사용자 입력에 따른 갱신 대상 텍스트를 검색하여 사용자 입력에 따른 신규 폰트로 갱신할 수 있는 “바꾸기” 기능의 형태로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폰트 갱신 기능은 갱신하고자 하는 텍스트가 문장인 경우 갱신하고자 하는 텍스트 전체를 사용자가 모두 입력한 후 종래 폰트에 따른 텍스트를 갱신해야 하기 때문에 동일한 의미지만 조사 등이 상이한 문장의 경우 폰트 갱신이 매우 번거로워진다는 문제점이 존재하고, 또한 국문의 경우 갱신 대상의 최소 단위가 “글자”이기 때문에 초성, 중성, 종성, 자음 및 모음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갱신 대상이 되는 텍스트 및 갱신 대상이 되는 텍스트의 범위를 결정하여 종래 폰트를 신규 폰트로 갱신하는 기능은 제공되지 않고 있어 텍스트에 대한 폰트 갱신이 매우 비효율적으로 수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갱신하고자 하는 텍스트에 포함된 초성, 중성, 종성, 자음 및 모음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갱신 대상 텍스트 및 갱신 대상 텍스트의 범위를 결정하여 동일한 의미지만 조사 등이 상이한 문장 및 단어, 글자 단위의 갱신 대상 텍스트 및 갱신 대상 텍스트의 범위에 적용된 종래 폰트를 신규 폰트로 보다 효율적이고 용이하게 갱신할 수 있는 기술의 제공이 시급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60159호 (2015.10.07)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적은, 문서 내 작성된 텍스트 중 숫자, 문장 부호, 알파벳, 특수문자 뿐만 아니라, 글자의 세부 구성인 초성, 중성 및 종성(예: ㄱ~ㅎ, ㅏ~ㅣ)을 포함하여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결정된 텍스트 및 텍스트 범위에 대해 적용된 종래 폰트를 각각 상이한 신규 폰트로 갱신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신규 폰트로 갱신되는 결과를 미리 확인할 수 있는 프리뷰 이미지를 먼저 제공하고 그에 대한 승인 응답에 따라 신규 폰트로 갱신된 갱신 문서를 제공함으로써 프리뷰 이미지에 따른 갱신 결과가 적절하지 않을 경우 신규 폰트로 갱신하기 전에 보완이 필요한 부분에 대한 보완을 수행함으로써 종래 갱신 결과인 갱신 문서를 확인한 후 보완이 필요한 부분이 존재하는 경우 갱신을 되돌리는 기능 등을 통해 문서 및 텍스트를 다시 갱신 전으로 되돌린 후 보완하여 다시 갱신 결과를 획득, 갱신 결과를 확인하는 종래 폰트 갱신 기능의 번거로웠던 문제를 효과적으로 개선하는 데에 있다.
본 개시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개시의 제 1측면에 따르면, 텍스트 범위에 대한 폰트 갱신 방법에 있어서, 종래 폰트로 제공되는 문서에서 신규 폰트로 갱신되는 상기 텍스트 범위를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단계; 상기 텍스트 범위에 대해서 상기 신규 폰트로 갱신된 프리뷰 이미지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프리뷰 이미지에 대한 승인 응답에 기초하여 상기 텍스트 범위가 상기 신규 폰트로 갱신된 갱신 문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텍스트 범위는 하나 이상의 글자를 포함하는 글자 범위, 하나 이상의 단어를 포함하는 단어 범위 및 하나 이상의 알파벳을 포함하는 알파벳 범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어 범위는 상기 문서 상에 인가되는 사용자의 단어에 대한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글자 범위는 상기 문서 상에 인가되는 사용자의 글자에 대한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텍스트 범위는 하나 이상의 자음을 포함하는 자음 범위, 하나 이상의 모음을 포함하는 모음 범위, 하나 이상의 부호를 포함하는 부호 범위, 하나 이상의 초성을 포함하는 초성 범위, 하나 이상의 중성을 포함하는
중성 범위 및 하나 이상의 종성을 포함하는 종성 범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텍스트 범위를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텍스트 범위의 시작에 대응되는 텍스트를 나타내는 제 1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텍스트 범위의 끝에 대응되는 텍스트를 나타내는 제 2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입력 및 상기 제 2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텍스트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 2 측면에 따르면, 텍스트 범위에 대한 폰트 갱신 방법에 있어서, 종래 폰트로 제공되는 문서를 획득하는 단계; 알파벳 범위, 자음 범위, 모음 범위, 부호 범위, 초성 범위, 중성 범위 및 종성 범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텍스트 범위를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단계; 상기 문서에서 상기 텍스트 범위에 적용되는 폰트를 종래 폰트에서 신규 폰트로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텍스트 범위에 대해 폰트가 갱신된 갱신 문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텍스트 범위를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텍스트 범위의 시작에 대응되는 텍스트를 나타내는 제 1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텍스트 범위의 끝에 대응되는 텍스트를 나타내는 제 2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입력 및 상기 제 2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텍스트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텍스트 범위는 상기 문서 상에 인가되는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텍스트 범위에 상기 신규 폰트가 적용되고 상기 텍스트 범위 외에 상기 종래 폰트가 적용되는 다중 폰트를 복수의 폰트 중 하나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 3 측면에 따르면, 텍스트 범위에 대한 폰트 갱신 디바이스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는 수신부; 및 종래 폰트로 제공되는 문서에서 신규 폰트로 갱신되는 상기 텍스트 범위를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결정하고, 상기 텍스트 범위에 대해서 상기 신규 폰트로 갱신된 프리뷰 이미지를 제공하고, 상기 프리뷰 이미지에 대한 승인 응답에 기초하여 상기 텍스트 범위가 상기 신규 폰트로 갱신된 갱신 문서를 제공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텍스트 범위는 하나 이상의 글자를 포함하는 글자 범위, 하나 이상의 단어를 포함하는 단어 범위 및 하나 이상의 알파벳을 포함하는 알파벳 범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텍스트 범위는 하나 이상의 자음을 포함하는 자음 범위, 하나 이상의 모음을 포함하는 모음 범위, 하나 이상의 부호를 포함하는 부호 범위, 하나 이상의 초성을 포함하는 초성 범위, 하나 이상의 중성을 포함하는 중성 범위 및 하나 이상의 종성을 포함하는 종성 범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텍스트 범위의 시작에 대응되는 텍스트를 나타내는 제 1 입력을 획득하고, 상기 텍스트 범위의 끝에 대응되는 텍스트를 나타내는 제 2 입력을 획득하고, 상기 제 1 입력 및 상기 제 2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텍스트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 4 측면에 따르면, 텍스트 범위에 대한 폰트 갱신 디바이스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수신부; 및 종래 폰트로 제공되는 문서를 획득하고, 알파벳 범위, 자음 범위, 모음 범위, 부호 범위, 초성 범위, 중성 범위 및 종성 범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텍스트 범위를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결정하고, 상기 문서에서 상기 텍스트 범위에 적용되는 폰트를 종래 폰트에서 신규 폰트로 갱신하고, 상기 텍스트 범위에 대해 폰트가 갱신된 갱신 문서를 제공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텍스트 범위의 시작에 대응되는 텍스트를 나타내는 제 1 입력을 획득하고, 상기 텍스트 범위의 끝에 대응되는 텍스트를 나타내는 제 2 입력을 획득하고, 상기 제 1 입력 및 상기 제 2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텍스트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텍스트 범위에 상기 신규 폰트가 적용되고 상기 텍스트 범위 외에 상기 종래 폰트가 적용되는 다중 폰트를 복수의 폰트 중 하나로 저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 5 측면에 따르면, 제 1 측면 내지 제 2 측면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문서 내 작성된 텍스트 중 숫자, 문장 부호, 알파벳, 특수문자 뿐만 아니라, 글자의 세부 구성인 초성, 중성 및 종성(예: ㄱ~ㅎ, ㅏ~ㅣ)을 포함하여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결정된 텍스트 및 텍스트 범위에 대해 적용된 종래 폰트를 각각 상이한 신규 폰트로 갱신할 수 있어 전체적으로 입체적이고 독특한 느낌의 문서를 작성할 수 있다.
또한, 신규 폰트로 갱신되는 결과를 미리 확인할 수 있는 프리뷰 이미지를 먼저 제공하고 그에 대한 승인 응답에 따라 신규 폰트로 갱신된 갱신 문서를 제공함으로써 프리뷰 이미지에 따른 갱신 결과가 적절하지 않을 경우 신규 폰트로 갱신하기 전에 보완이 필요한 부분에 대한 보완을 수행함으로써 종래 갱신 결과인 갱신 문서를 확인한 후 보완이 필요한 부분이 존재하는 경우 갱신을 되돌리는 기능 등을 통해 문서 및 텍스트를 다시 갱신 전으로 되돌린 후 보완하여 다시 갱신 결과를 획득, 갱신 결과를 확인하는 종래 폰트 갱신 기능의 번거로웠던 문제를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으며, 갱신 결과를 미리 확인하여 추가적인 갱신이 필요한 텍스트를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갱신하고자 하는 텍스트에 포함된 초성, 중성, 종성, 자음 및 모음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갱신 대상 텍스트 및 갱신 대상 텍스트의 범위를 결정하여 동일한 의미지만 조사 등이 상이한 문장 및 단어, 글자 단위의 갱신 대상 텍스트 및 갱신 대상 텍스트의 범위에 적용된 종래 폰트를 신규 폰트로 보다 효율적이고 용이하게 갱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효과는 상기의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폰트 갱신 디바이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폰트 갱신 디바이스를 통해 갱신된 갱신 문서를 제공하는 각 단계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폰트 갱신 디바이스를 통해 갱신된 갱신 문서를 제공하는 각 단계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라 텍스트 범위에 대해서 신규 폰트로 갱신된 프리뷰 이미지가 제공되는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단어에 대한 텍스트 범위에 대해서 신규 폰트로 갱신된 프리뷰 이미지를 제공하는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문장에 대한 텍스트 범위에 대해서 신규 폰트로 갱신된 프리뷰 이미지를 제공하는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텍스트 범위의 시작에 대응되는 텍스트 및 적용 단위에 따라 결정된 글자를 텍스트 범위로 결정하는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텍스트 범위의 시작에 대응되는 텍스트 및 적용 단위에 따라 결정된 단어를 텍스트 범위로 결정하는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에 따른 텍스트 범위의 시작에 대응되는 텍스트 및 적용 단위에 따라 결정된 단어를 텍스트 범위로 결정하는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폰트 갱신 디바이스(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폰트 갱신 디바이스(100)는 수신부(110) 및 프로세서(12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의 제 1 측면에 따른 폰트 갱신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는 수신부(110) 및 종래 폰트로 제공되는 문서에서 신규 폰트로 갱신되는 텍스트 범위(410)를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결정하고, 텍스트 범위(410)에 대해서 신규 폰트로 갱신된 프리뷰 이미지(420)를 제공하고, 프리뷰 이미지(420)에 대한 승인 응답에 기초하여 텍스트 범위(410)가 신규 폰트로 갱신된 갱신 문서를 제공하는 프로세서(1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텍스트 범위의 시작에 대응되는 텍스트를 나타내는 제 1 입력(510)을 획득하고, 텍스트 범위의 끝에 대응되는 텍스트를 나타내는 제 2 입력(520)을 획득하고, 제 1 입력(510) 및 상기 제 2 입력(520)에 기초하여 텍스트 범위(410)를 결정할 수 있다.
제 1 측면에 따른 폰트 갱신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결정된 텍스트 범위(410)에 대해서 신규 폰트로 갱신된 프리뷰 이미지(420)를 제공하여 텍스트 범위(410)에 대한 종래 폰트가 신규 폰트로 갱신된 결과를 사용자가 미리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갱신 결과를 미리 확인하여 추가적인 갱신이 필요한 텍스트를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결정된 텍스트 범위(410)는 도 4를 참조하여 확인할 수 있고, 프리뷰 이미지(420)는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 2 측면에 따른 폰트 갱신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수신부(110) 및 종래 폰트로 제공되는 문서를 획득하고, 알파벳 범위, 자음 범위, 모음 범위, 부호 범위, 초성 범위, 중성 범위 및 종성 범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텍스트 범위(410)를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결정하고, 문서에서 텍스트 범위(410)에 적용되는 폰트를 종래 폰트에서 신규 폰트로 갱신하고, 텍스트 범위(410)에 대해 폰트가 갱신된 갱신 문서를 제공하는 프로세서(1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텍스트 범위의 시작에 대응되는 텍스트를 나타내는 제 1 입력(510)을 획득하고, 텍스트 범위의 끝에 대응되는 텍스트를 나타내는 제 2 입력(520)을 획득하고, 제 1 입력(510) 및 제 2 입력(520)에 기초하여 텍스트 범위(410)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텍스트 범위(410)에 신규 폰트가 적용되고 신규 폰트가 적용된 텍스트 범위(410) 외에 종래 폰트가 적용되는 다중 폰트(910)를 복수의 폰트 중 하나로 저장할 수 있다.
제 2 측면에 따른 폰트 갱신 디바이스(100)는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파벳 범위, 자음 범위, 모음 범위, 부호 범위, 초성 범위, 중성 범위 및 종성 범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텍스트 범위(410)를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결정하고, 문서에서 텍스트 범위(410)에 적용되는 폰트를 종래 폰트에서 신규 폰트로 갱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자음 범위 및 모음 범위는 초성, 중성 또는 종성 범위에 대한 사용자 선택 입력과 관계없이 독립적으로 선택되어 텍스트 범위(410)가 결정될 수 있다. 그러나, 예를 들면 사용자는 “무더운 여름날”이라는 문장에 대한 텍스트 범위(410)를 결정하고자 할 때, 사용자 입력에 따라 자음의 범위의 시작에 대응되는 텍스트(자음)가 “ㅁ”, 자음의 범위의 끝에 대응되는 텍스트(자음)가 “ㄴ”으로 결정될 경우, “운”이라는 글자에 자음 “ㄴ”이 포함되어 있어 이 경우 “무더운” 이라는 단어에 대해서만 텍스트 범위(410)가 결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5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결정된 초성 범위, 중성 범위 또는 종성 범위의 시작 및 끝에 대응되는 텍스트에 대해 자음 범위 및 모음 범위를 결정하는 것이 보다 정확한 텍스트 범위(410)를 결정하기 위해 바람직할 수 있다.
더하여,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폰트 갱신 디바이스(100)에 더 포함될 수 있음을 관련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폰트 갱신 디바이스(100)는 신규 폰트를 저장하는 메모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를 경우,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일부 구성요소는 생략될 수 있음을 관련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폰트 갱신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또는 작업자에 의해 이용될 수 있고, 휴대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등과 같이 터치 스크린 패널이 구비된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데스크탑 PC, 태블릿 PC, 랩탑 PC, 셋탑 박스를 포함하는 IPTV와 같이,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실행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된 장치도 포함할 수 있다.
폰트 갱신 디바이스(100)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해 동작하는 컴퓨터 등의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폰트 제공 시스템은 폰트 갱신 디바이스(100) 및 서버(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는 갱신 문서 제공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및 관련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폰트 갱신 디바이스(100)가 독립적으로 갱신 문서를 제공하는 수행하는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서술하도록 하지만, 전술한 것처럼, 서버와의 연동을 통해 갱신 문서 제공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일 실시 예에 따른 폰트 갱신 디바이스(100)와 서버는 그 기능의 측면에서 통합 구현될 수 있고, 서버는 생략될 수도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각 구성을 참조하여 전술한 내용은 아래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도록 한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폰트 갱신 디바이스(100)를 통해 갱신된 갱신 문서를 제공하는 각 단계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단계 S210에서 일 실시 예에 따른 폰트 갱신 디바이스(100)는 종래 폰트로 제공되는 문서에서 신규 폰트로 갱신되는 텍스트 범위(410)를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다.
텍스트 범위(410)는 구체적으로, 도 4를 참조하면, 하나 이상의 글자를 포함하는 글자 범위, 하나 이상의 단어를 포함하는 단어 범위 및 하나 이상의 알파벳을 포함하는 알파벳 범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글자 범위, 단어 범위 및 알파벳 범위는 종래 폰트로 제공되는 문서 상에 존재하는 텍스트에 대한 드래그 입력 또는 터치 입력 등 문서 상에 인가되는 텍스트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범위일 수 있다. 이러한 텍스트 범위(410)는 종래 폰트에서 신규 폰트로 갱신하기 위해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텍스트 범위(410)는 하나 이상의 자음을 포함하는 자음 범위, 하나 이상의 모음을 포함하는 모음 범위, 하나 이상의 부호를 포함하는 부호 범위, 하나 이상의 초성을 포함하는 초성 범위, 하나 이상의 중성을 포함하는 중성 범위 및 하나 이상의 종성을 포함하는 종성 범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부호는 문장 부호 및 특수 문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범위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결정된 텍스트 범위(410) 내에 포함되는 자음, 모음, 부호, 초성, 중성, 종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폰트 갱신 디바이스(100)는 종래 폰트로 제공되는 문서 상에 존재하는 자음, 모음, 부호, 초성, 중성 및 종성 중 신규 폰트로 갱신되기 위해 어느 하나의 텍스트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될 경우, 선택 입력에 따른 텍스트를 포함하여 텍스트 범위(410)를 결정할 수 있다. 도4를 참조하면,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텍스트가 초성의 자음 “ㅅ”부터 초성의 자음 “ㅂ”까지 인 경우 “ㅅ”을 포함하는 텍스트인 “수”와 “ㅂ”을 포함하는 텍스트인 “박”이 텍스트 범위(410)에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텍스트가 중성의 모음 “ㅜ”부터 중성의 모음 “ㅏ”까지 인 경우 “ㅜ”를 포함하는 텍스트인 “수”와 “ㅏ”를 포함하는 텍스트인 “박”이 텍스트 범위(410)에 포함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선택 입력에 따라 결정된 텍스트가 모음 “ㅜ”부터 자음 “ㄱ”인 경우, “ㅜ”, “ㅂ”, “ㅏ” 및 “ㄱ”에 대한 텍스트 범위(410)가 결정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텍스트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따라서 신규 폰트로 갱신을 위한 종래 폰트를 포함하는 텍스트 범위(410)를 결정할 수 있게 됨으로써 더욱 다양하고 입체적인 폰트 갱신 및 그에 따른 문서 제작이 가능해진다.
일 실시 예에서, 폰트 갱신 디바이스(100)는 텍스트 범위의 시작에 대응되는 텍스트를 나타내는 제 1 입력(510), 텍스트 범위의 끝에 대응되는 텍스트를 나타내는 제 2 입력(520)을 획득할 수 있고, 제 1 입력(510) 및 제 2 입력(520)에 기초하여 텍스트 범위(410)를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6을 참조하면, 폰트 갱신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텍스트 종류(예: 국문, 영문, 숫자, 부호 등)가 사용자 선택 입력에 따라 국문으로 결정된 경우, 제 1 입력(510)에 따른 초성, 중성, 종성 및 제 2 입력(520)에 따른 초성, 중성, 종성을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폰트 갱신 디바이스(100)는 전체 문서 중 제 1 입력(510) 및 제 2 입력(520)에 기초하여 결정된 초성, 중성, 종성을 포함하는 제 1 입력(510)에 따른 텍스트(도면에서는 초성의 자음 “ㅅ”, 중성의 모음 “ㅜ”), 제 2 입력(520)에 따른 텍스트(도면에서는 초성의 자음 “ㄷ”, 중성의 모음 “ㅏ”) 및 제 1 입력(510)에 따른 텍스트와 제 2 입력(520)에 따른 텍스트 사이에 위치하는 텍스트를 포함하여 텍스트 범위(410)로 결정할 수 있어 도면에 도시된 “수박이 맛나다”와 같은 문장에 대한 텍스트 범위(410)가 결정될 수 있다. 문장을 포함하는 텍스트 범위(410)의 경우 사용자가 종래 폰트를 신규 폰트로 갱신하고자 하는 문장의 시작에 대응되는 텍스트 및 끝에 대응되는 텍스트의 입력만으로도 문장에 대한 텍스트 범위(410)가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조사 또는 보조사 등이 상이하지만 동일하거나 유사한 의미를 갖는 문장 또는 형용사가 포함된 문장(예: “수박이 정말 맛나다”) 대해서도 텍스트 범위(410)가 결정될 수 있기 때문에 조사 또는 보조사 등이 상이하지만 동일한 의미인 문장의 텍스트를 모두 입력하여 텍스트 범위(410)를 결정해야 하는 종래의 불편함이 크게 개선되는 효과가 도출될 수 있다.
또한 텍스트 범위(41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결정된 제 1 입력(510) 및 제 2 입력(520)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어를 포함하는 텍스트 범위(410)로 결정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폰트 갱신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결정된 텍스트 범위의 시작에 대응되는 텍스트 범위가 초성 “ㅅ”, 적용 단위(720)(예: 초성, 중성, 종성, 자음, 모음, 글자, 단어 등)가 “글자” 범위인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텍스트 범위(410)를 초성 “ㅅ”을 포함하는 텍스트 “수”를 텍스트 범위(410)로 결정할 수 있고, 적용 단위(720)가 “단어”인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텍스트 범위(410)를 초성 “ㅅ”을 포함하는 텍스트가 이루는 단어인 “수박”을 텍스트 범위(410)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폰트 갱신 디바이스(100)는 단어에 대한 텍스트 범위(410)가 결정될 경우, 단어에 포함되는 조사, 보조사 또는 어미 등을 구분하여 판단할 수 있는 기저장된 알고리즘에 의해 조사, 보조사 또는 어미를 제외한 단어 자체에 대한 텍스트만을 텍스트 범위(410)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결정된 텍스트 종류가 영문일 경우 폰트 갱신 디바이스(100)는 알파벳 소문자 및 대문자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할 수 있고,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수신된 제 1 입력(510) 및 제 2 입력(520)에 따른 텍스트 범위(410)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220에서 일 실시 예에 따른 폰트 갱신 디바이스(100)는 텍스트 범위(410)에 대해서 신규 폰트로 갱신된 프리뷰 이미지(420)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폰트 갱신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결정된 텍스트 범위(410)에 대해 종래 폰트에서 신규 폰트로 갱신할 경우 갱신된 결과를 미리 보여주는 프리뷰 이미지(420)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폰트 갱신 디바이스(100)는 신규 폰트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을 함께 제공함으로써 선택된 텍스트 범위(410)에 대해 사용자가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신규 폰트를 더욱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게 된다.
단계 S230에서 폰트 갱신 디바이스(100)는 프리뷰 이미지(420)에 대한 승인 응답에 기초하여 텍스트 범위(410)가 신규 폰트로 갱신된 갱신 문서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리뷰 이미지(420)를 먼저 제공하고 그에 대한 승인 응답에 따라 신규 폰트로 갱신된 갱신 문서를 제공함으로써 프리뷰 이미지(420)에 따른 갱신 결과가 적절하지 않을 경우 신규 폰트로 갱신하기 전에 보완이 필요한 부분에 대한 보완을 수행함으로써 종래 갱신 결과인 갱신 문서를 확인한 후 보완이 필요한 부분이 존재하는 경우 갱신을 되돌리는 기능 등을 통해 문서 및 텍스트를 다시 갱신 전으로 되돌린 후 보완하여 다시 갱신 결과를 획득, 갱신 결과를 확인하는 종래의 번거로웠던 문제를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으며, 갱신 결과를 미리 확인하여 추가적인 갱신이 필요한 텍스트를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폰트 갱신 디바이스(100)를 통해 갱신된 갱신 문서를 제공하는 각 단계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단계 S310에서 일 실시 예에 따른 폰트 갱신 디바이스(100)는 종래 폰트로 제공되는 문서를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종래 폰트로 제공되는 문서는 신규 폰트로의 갱신 대상이 되는 문서일 수 있다.
단계 S320에서 일 실시 예에 따른 폰트 갱신 디바이스(100)는 알파벳 범위, 자음 범위, 모음 범위, 부호 범위, 초성 범위, 중성 범위 및 종성 범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텍스트 범위(410)를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다.
폰트 갱신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텍스트 범위의 시작에 대응되는 텍스트를 나타내는 제 1 입력(510), 텍스트 범위의 끝에 대응되는 텍스트를 나타내는 제 2 입력(520)을 획득할 수 있고, 획득된 제 1 입력(510) 및 제 2 입력(520)에 기초하여 텍스트 범위(410)를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5 를 참조하면, 폰트 갱신 디바이스(100)는 선택 입력에 따라 텍스트 종류가 국문으로 결정될 경우, 제 1 입력(510)에 기초하여 초성 “ㅅ”, 중성 “ㅜ”가 텍스트 범위의 시작에 대응되는 텍스트로 결정될 수 있고, 제 2 입력(520)에 기초하여 초성 “ㅂ”, 중성 “ㅏ” 및 종성 ”ㄱ”이 텍스트 범위의 끝에 대응되는 텍스트로 결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폰트 갱신 디바이스(100)는 제 1 입력(510) 및 제 2 입력(520)에 기초하여 “수박”이라는 단어 단위의 텍스트를 텍스트 범위(410)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폰트 갱신 디바이스(100)는 제 1 입력(510)에 기초하여 “ㅅ”, 중성 “ㅜ”가 텍스트 범위의 시작에 대응되는 텍스트로 결정될 수 있고, 제 2 입력(520)에 기초하여 초성 “ㄷ”, 중성 “ㅏ” 가 텍스트 범위의 끝에 대응되는 텍스트로 결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폰트 갱신 디바이스(100)는 제 1 입력(510) 및 제 2 입력(520)에 기초하여 “수박이 맛나다”라는 문장 단위의 텍스트를 텍스트 범위(410)로 결정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폰트 갱신 디바이스(100)는 전술한 방법 외에도, 단어, 글자, 자음, 모음, 초성, 중성 및 종성에 대해 문서 상에 인가되는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텍스트 범위(410)를 결정할 수도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문서 상에 인가되는 사용자의 선택 입력이 초성의 자음 “ㅅ”인 경우 “ㅅ” 또는 “ㅅ”이 포함된 “수” 텍스트가 텍스트 범위(410)로 결정될 수 있거나, 문서 상에 인가되는 사용자의 선택 입력이 중성의 모음 “ㅜ” 인 경우 중성 “ㅜ” 또는 “ㅅ”이 포함된 “수” 텍스트가 텍스트 범위(410)로 결정될 수 있다.
이처럼 폰트 갱신 디바이스(100)는 초성, 중성, 종성, 자음 및 모음과 같은 더욱 세부적인 텍스트의 구성에 대해서도 텍스트 범위(410)로 결정할 수 있어, 더욱 다채로운 텍스트 갱신 기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단계 S330에서 폰트 갱신 디바이스(100)는 문서에서 텍스트 범위(410)에 적용되는 폰트를 종래 폰트에서 신규 폰트로 갱신할 수 있고, 단계 S340에서 폰트 갱신 디바이스(100)는 텍스트 범위(410)에 대한 종래 폰트가 갱신된 갱신 문서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폰트 갱신 디바이스(100)를 통해 텍스트의 세부적인 구성인 초성, 중성 및 종성과 자음 및 모음에 대한 사용자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문서 전체 중 사용자 입력에 해당하는 텍스트가 포함되는 텍스트 범위(410)를 결정할 수 있고, 이에 적용된 종래 폰트를 신규 폰트로 갱신할 수 있어 보다 효율적인 폰트 갱신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폰트 갱신 디바이스(100)는 신규 폰트가 적용된 텍스트 범위(410) 외에 종래 폰트가 적용되는 다중 폰트(910)를 복수의 폰트 중 하나로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다중 폰트(910)는 전술한 각 단계들에 따라 신규 폰트가 적용된 텍스트 범위(410)와 신규 폰트가 적용된 텍스트 범위(410) 외 종래 폰트가 적용된 텍스트가 하나의 서식으로써 저장되는 폰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를 참조하면, 폰트 갱신 디바이스(100)는 신규 폰트인 '컬러 폰트 #1'이 적용된 텍스트 범위(410)(도면에서는 “수박”)와 종래 폰트인 '고딕체'가 적용된 텍스트(도면에서는 “이 맛나다”)를 하나의 다중 폰트(910)로 결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즉, 신규 폰트가 적용된 “수박” 및 종래 폰트가 적용된 “이 맛나다”가 하나의 다중 폰트(910)로써 결정,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폰트는 복수의 다중 폰트(910)를 의미할 수 있으나, 복수의 다중 폰트(910), 신규 폰트 및 종래 폰트를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종래 폰트로 제공되는 문서가 획득되고, 복수개의 다중 폰트(910)가 존재하는 경우, 폰트 갱신 디바이스(100)는 결정된 텍스트 범위(410)에 포함되는 텍스트의 개수, 결정된 텍스트 범위(410)가 문서 내에서 차지하는 면적, 결정된 텍스트 범위(410)에 포함되는 텍스트를 구성하는 초성, 중성 및 종성에 따른 자음 및 모음을 나타내는 컴포넌트(구성 요소를 의미하며, 알파벳의 경우 알파벳 자체)의 개수의 순서로 높게 부여되는 가중치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다중 폰트(910)에 대한 노출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중 폰트(910)는 복수개가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는 복수개의 다중 폰트(910) 중 종래 폰트에 따라 작성된 텍스트에 대해 어떤 다중 폰트(910)가 적합한지 확인하기 위해서 다중 폰트(910)를 하나하나 종래 폰트에 따른 텍스트에 적용시켜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 번거로움이 뒤따르게 된다. 이에 따라, 폰트 갱신 디바이스(100)는 종래 폰트에 따른 텍스트 범위(410)에 포함되는 텍스트의 개수에 따라 다중 폰트(910)를 제공함으로써 텍스트의 개수가 동일하거나 가장 유사할 수 있기 때문에 텍스트의 개수에 가장 높은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고, 결정된 텍스트 범위(410)가 문서 내에서 차지하는 면적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면적을 갖는 다중 폰트(910)를 제공하는 것이 다중 폰트(910) 적용에 적합할 수 있기 때문에 면적에 2순위로 높은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고, 결정된 텍스트 범위(410)에 포함되는 텍스트의 컴포넌트의 개수에 대응되는 다중 폰트(910)를 제공할 경우 컴포넌트의 개수가 동일하거나 유사한 다중 폰트(910)를 우선 제공할 수 있으나, 이러한 경우 우선 제공되는 다중 폰트(910)의 종류 및 개수가 다소 한정된다는 점에서 텍스트의 컴포넌트에 3순위로 높은 가중치가 부여될 수 있다.
폰트 갱신 디바이스(100)는 이와 같이 상이하게 부여되는 가중치에 기초하여 다중 폰트(910)의 노출 순위를 결정하고, 결정된 노출 순위에 기초하여 다중 폰트(910)를 제공함으로써 문서 내 작성된 텍스트 및 결정된 텍스트 범위(410)에 가장 적합한 다중 폰트(910)를 우선적으로 제공하여 사용자가 텍스트 갱신을 보다 편리하고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라 텍스트 범위(410)에 대해서 신규 폰트로 갱신된 프리뷰 이미지(420)가 제공되는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폰트 갱신 디바이스(100)는 폰트 갱신의 대상이 되는 텍스트 범위(410)가 사용자 입력(예: 드래그 입력, 터치 입력 등)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결정된 텍스트 범위(410)에 적용되는 종래 폰트에 따른 텍스트가 신규 폰트로 갱신된 결과를 미리 보여주는 프리뷰 이미지(420)를 제공함으로써 폰트를 갱신하기 전 결과를 미리 확인하여 보완 사항 등이 존재할 경우 더욱 용이하게 보완할 수 있게 된다. 이후 폰트 갱신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승인 응답에 기초하여 텍스트 범위(410)에 적용되는 종래 폰트를 신규 폰트로 갱신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폰트 갱신 디바이스(100)는 신규 폰트를 변경할 수 있는 기능을 함께 제공하여 신규 폰트의 종류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간단히 다른 종류의 신규 폰트로 변경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텍스트 범위(41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글자, 단어, 문장, 문단 등 제한 없이 선택될 수 있고, 선택된 텍스트 범위(410) 중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획득된 제 1 입력(510) 및 제 2 입력(520)에 따라 결정된 텍스트만 선택적으로 신규 폰트로 갱신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단어에 대한 텍스트 범위(410)에 대해서 신규 폰트로 갱신된 프리뷰 이미지(420)를 제공하는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문장에 대한 텍스트 범위(410)에 대해서 신규 폰트로 갱신된 프리뷰 이미지(420)를 제공하는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폰트 갱신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텍스트의 종류, 제 1 입력(510) 및 제 2 입력(520)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제 1 입력(510) 및 제 2 입력(520)에 기초하여 결정된 텍스트 종류 및 텍스트 범위(410)의 시작에 대응되는 텍스트를 나타내는 초성, 중성, 종성 및 그에 따른 자음, 모음이 결정된 경우 종래 폰트로 작성된 문서 내 텍스트 중 상기 입력들에 대응되는 텍스트를 포함하는 텍스트 범위(410)가 결정될 수 있다. 텍스트 범위(410)에 포함되는 텍스트는 상기 사용자 입력들에 기초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어 또는 문장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폰트 갱신 디바이스(100)는 결정된 텍스트 범위(410)에 적용되는 종래 폰트에 따른 텍스트가 신규 폰트로 갱신된 결과를 미리 보여주는 프리뷰 이미지(420)를 제공함으로써 폰트를 갱신하기 전 결과를 미리 확인하여 보완 사항 등을 더욱 용이하게 보완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텍스트 범위의 시작에 대응되는 텍스트 및 적용 단위(720)에 따라 결정된 글자를 텍스트 범위(410)로 결정하는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텍스트 범위의 시작에 대응되는 텍스트 및 적용 단위(720)에 따라 결정된 단어를 텍스트 범위(410)로 결정하는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폰트 갱신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텍스트 종류, 텍스트 형식(710) 및 적용 단위(720)를 결정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텍스트 형식은 종래 폰트로 작성된 문서 내 텍스트 중 텍스트 범위(410)를 결정하기 위한 텍스트 형식(710)이며, 일종의 텍스트 범위 검색 조건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폰트 갱신 디바이스(100)는 텍스트 범위의 끝에 대응되는 텍스트에 대한 입력 없이 텍스트 형식(710) 및 텍스트 범위의 시작에 대응되는 텍스트에 대한 사용자 입력만으로(도7, 8에서는 초성, “ㅅ”) 텍스트 범위의 시작에 대응되는 텍스트를 텍스트 범위(410)로 결정할 수 있다. 적용 단위(720)는 텍스트 범위의 시작에 대응되는 텍스트에 따른 텍스트 범위(410)가 적용되는 범위(도7에서는 “글자” 단위의 범위, 도 8에서는 “단어” 단위의 범위)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파벳 소문자 및 대문자, 숫자, 부호 및 국문의 경우 초성, 중성, 종성, 자음 또는 모음에 대한 선택 입력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알파벳, 숫자, 부호의 경우 적용 단위(720)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지 않을 수도 있다). 폰트 갱신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종래 폰트로 작성된 문서 내 텍스트 중 텍스트 종류, 텍스트 범위(410) 및 적용 단위(720)에 대한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텍스트 범위(410)를 결정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에 따른 텍스트 범위의 시작에 대응되는 텍스트 및 적용 단위(720)에 따라 결정된 단어를 텍스트 범위(410)로 결정하는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폰트 갱신 디바이스(100)는 텍스트 범위의 시작에 대응되는 텍스트 형식(710)(도면에서는 “단어” 형식이며, 이외에도 초성, 중성, 종성, 자음, 모음, 알파벳, 숫자, 부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가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선택되고, 텍스트 형식(710)에 따른 텍스트 범위의 시작에 대응되는 텍스트를 사용자 입력(텍스트 입력)에 기초하여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적용 단위(72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수신된 텍스트 형식(710), 텍스트 범위의 시작에 대응되는 텍스트 및 적용 단위(720)에 기초하여 종래 폰트로 작성된 문서에 포함된 텍스트에 대한 텍스트 범위(410)를 결정할 수 있다. 즉, 텍스트 범위의 시작에 대응되는 텍스트를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결정된 텍스트 범위(410)에 대해 신규 폰트가 적용됨으로써 신규 폰트 및 종래 폰트를 다중 폰트(910)로써 제공할 수도 있어 보다 다채롭고 사용자의 의도가 명확히 전달될 수 있는 갱신 문서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방법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램, USB,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폰트 갱신 디바이스
110: 수신부 120: 프로세서
410: 텍스트 범위 420: 프리뷰 이미지
510: 제 1 입력 520: 제 2 입력
710: 텍스트 형식 720: 적용 단위
910: 다중 폰트

Claims (18)

  1. 텍스트 범위에 대한 폰트 갱신 방법에 있어서,
    종래 폰트로 제공되는 문서에서 신규 폰트로 갱신되는 상기 텍스트 범위 및 초성 단위, 중성 단위, 종성 단위, 자음 단위, 모음 단위, 글자 단위 및 단어 단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적용 단위를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단계;
    상기 텍스트 범위 및 상기 적용 단위에 대해서 상기 신규 폰트로 갱신된 프리뷰 이미지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프리뷰 이미지에 대한 승인 응답에 기초하여 상기 텍스트 범위가 상기 신규 폰트로 갱신된 갱신 문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뷰 이미지를 제공하는 단계는
    복수개의 다중 폰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텍스트 범위에 포함되는 텍스트 개수, 상기 문서에서 상기 텍스트 범위가 차지하는 면적, 상기 텍스트 범위에 포함되는 컴포넌트 개수의 순서로 높게 부여되는 가중치에 기초하여 상기 다중 폰트에 대한 노출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노출 순위에 따라 상기 다중 폰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텍스트 범위는
    하나 이상의 글자를 포함하는 글자 범위, 하나 이상의 단어를 포함하는 단어 범위 및 하나 이상의 알파벳을 포함하는 알파벳 범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다중 폰트는
    상기 텍스트 범위에 상기 신규 폰트가 적용되고 상기 텍스트 범위 외에 상기 종래 폰트가 적용되는 폰트인,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어 범위는 상기 문서 상에 인가되는 사용자의 단어에 대한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글자 범위는 상기 문서 상에 인가되는 사용자의 글자에 대한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 범위는
    하나 이상의 자음을 포함하는 자음 범위, 하나 이상의 모음을 포함하는 모음 범위, 하나 이상의 부호를 포함하는 부호 범위, 하나 이상의 초성을 포함하는 초성 범위, 하나 이상의 중성을 포함하는 중성 범위 및 하나 이상의 종성을 포함하는 종성 범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 범위를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텍스트 범위의 시작에 대응되는 텍스트를 나타내는 제 1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텍스트 범위의 끝에 대응되는 텍스트를 나타내는 제 2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입력 및 상기 제 2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텍스트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 텍스트 범위에 대한 폰트 갱신 방법에 있어서,
    종래 폰트로 제공되는 문서를 획득하는 단계;
    알파벳 범위, 자음 범위, 모음 범위, 부호 범위, 초성 범위, 중성 범위 및 종성 범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텍스트 범위 및 초성 단위, 중성 단위, 종성 단위, 자음 단위, 모음 단위, 글자 단위 및 단어 단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적용 단위를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단계;
    상기 문서에서 상기 텍스트 범위 및 상기 적용 단위에 적용되는 폰트를 종래 폰트에서 신규 폰트로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텍스트 범위에 대해 폰트가 갱신된 갱신 문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 범위를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텍스트 범위의 시작에 대응되는 텍스트를 나타내는 제 1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텍스트 범위의 끝에 대응되는 텍스트를 나타내는 제 2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입력 및 상기 제 2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텍스트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 범위는 상기 문서 상에 인가되는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종래 폰트에서 신규 폰트로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텍스트 범위에 상기 신규 폰트가 적용되고 상기 텍스트 범위 외에 상기 종래 폰트가 적용되는 다중 폰트를 복수의 폰트 서식 중 하나의 기설정 폰트 서식으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1. 텍스트 범위에 대한 폰트 갱신 디바이스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는 수신부; 및
    종래 폰트로 제공되는 문서에서 신규 폰트로 갱신되는 상기 텍스트 범위 및 초성 단위, 중성 단위, 종성 단위, 자음 단위, 모음 단위, 글자 단위 및 단어 단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적용 단위를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결정하고, 상기 텍스트 범위 및 상기 적용 단위에 대해서 상기 신규 폰트로 갱신된 프리뷰 이미지를 제공하고, 상기 프리뷰 이미지에 대한 승인 응답에 기초하여 상기 텍스트 범위가 상기 신규 폰트로 갱신된 갱신 문서를 제공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갱신 문서에 포함되는 복수의 다중 폰트를 상기 텍스트 범위에 포함되는 텍스트 개수, 상기 텍스트 범위의 면적, 상기 텍스트 범위에 포함되는 컴포넌트 개수의 순서로 점자 낮아지도록 부여되는 가중치에 기초하여 상기 다중 폰트에 대한 노출 순위를 결정하고,
    상기 노출 순위에 따라 상기 다중 폰트를 제공하고,
    상기 텍스트 범위는
    하나 이상의 글자를 포함하는 글자 범위, 하나 이상의 단어를 포함하는 단어 범위 및 하나 이상의 알파벳을 포함하는 알파벳 범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다중 폰트는
    상기 텍스트 범위에 상기 신규 폰트가 적용되고 상기 텍스트 범위 외에 상기 종래 폰트가 적용되는 폰트인, 디바이스.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 범위는
    하나 이상의 자음을 포함하는 자음 범위, 하나 이상의 모음을 포함하는 모음 범위, 하나 이상의 부호를 포함하는 부호 범위, 하나 이상의 초성을 포함하는 초성 범위, 하나 이상의 중성을 포함하는 중성 범위 및 하나 이상의 종성을 포함하는 종성 범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텍스트 범위의 시작에 대응되는 텍스트를 나타내는 제 1 입력을 획득하고,
    상기 텍스트 범위의 끝에 대응되는 텍스트를 나타내는 제 2 입력을 획득하고,
    상기 제 1 입력 및 상기 제 2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텍스트 범위를 결정하는, 디바이스.
  15. 텍스트 범위에 대한 폰트 갱신 디바이스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수신부; 및
    종래 폰트로 제공되는 문서를 획득하고, 알파벳 범위, 자음 범위, 모음 범위, 부호 범위, 초성 범위, 중성 범위 및 종성 범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텍스트 범위 및 초성 단위, 중성 단위, 종성 단위, 자음 단위, 모음 단위, 글자 단위 및 단어 단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적용 단위를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결정하고, 상기 문서에서 상기 텍스트 범위 및 상기 적용 단위에 적용되는 폰트를 종래 폰트에서 신규 폰트로 갱신하고, 상기 텍스트 범위에 대해 폰트가 갱신된 갱신 문서를 제공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텍스트 범위의 시작에 대응되는 텍스트를 나타내는 제 1 입력을 획득하고,
    상기 텍스트 범위의 끝에 대응되는 텍스트를 나타내는 제 2 입력을 획득하고,
    상기 제 1 입력 및 상기 제 2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텍스트 범위를 결정하는, 디바이스.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텍스트 범위에 상기 신규 폰트가 적용되고 상기 텍스트 범위 외에 상기 종래 폰트가 적용되는 다중 폰트를 복수의 폰트 서식 중 하나의 기설정 폰트 서식으로 저장하는, 디바이스.
  18.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210058881A 2021-05-07 2021-05-07 텍스트 범위에 대한 폰트 갱신 방법 및 디바이스 KR1025565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8881A KR102556563B1 (ko) 2021-05-07 2021-05-07 텍스트 범위에 대한 폰트 갱신 방법 및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8881A KR102556563B1 (ko) 2021-05-07 2021-05-07 텍스트 범위에 대한 폰트 갱신 방법 및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1724A KR20220151724A (ko) 2022-11-15
KR102556563B1 true KR102556563B1 (ko) 2023-07-19

Family

ID=84042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8881A KR102556563B1 (ko) 2021-05-07 2021-05-07 텍스트 범위에 대한 폰트 갱신 방법 및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6563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5107A (ko) * 1998-12-30 2000-07-15 이계철 음소단위의 적합도함수를 이용한 한글 유사단어 검색방법
US20070061714A1 (en) * 2005-09-09 2007-03-15 Microsoft Corporation Quick styles for formatting of documents
KR101560159B1 (ko) 2014-03-14 2015-10-14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대체 전자문서 출력 방법 및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Taegon Kim, [JS] 한글도 지원하는 퍼지 문자열 검색, 블로그, Jan. 202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1724A (ko) 2022-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16814C2 (ru) Способ выбора шрифта
TWI470450B (zh) 多合一中文輸入方法及其電子裝置
US7982737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dependent font substitution of string characters
US20120254197A1 (en) Object access system based upon hierarchical extraction tree and related methods
US20150169537A1 (en) Using statistical language models to improve text input
CN103026318A (zh) 输入法编辑器
US10402474B2 (en) Keyboard input corresponding to multiple languages
US7801722B2 (en) Techniques for customization of phonetic schemes
US20170270092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dictive text entry using n-gram language model
US11733785B2 (en) Stylizing text by providing alternate glyphs
WO2013127060A1 (en) Techniques for transliterating input text from a first character set to a second character set
US10366142B2 (en) Identifier based glyph search
JP2006236315A (ja) 符号化が利用できないときに外国語テキスト表示を実現する方法および装置
van Esch et al. Writing across the world's languages: Deep internationalization for Gboard, the Google keyboard
CN105683891A (zh) 通过手势来输入声调和音符符号
KR102556563B1 (ko) 텍스트 범위에 대한 폰트 갱신 방법 및 디바이스
JP2013205854A (ja) 当て字変換人名入力装置、人名入力方法および人名入力プログラム
JP2002207728A (ja) 表音文字生成装置及びそれを実現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20090000485A (ko) 폰트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2020064428A (ja) コンテンツの表示方法および装置
CN115048030B (zh) 一种文字合并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JP5563706B1 (ja) ドキュメントファイル生成装置、ドキュメントファイル生成方法およびドキュメントファイル生成プログラム
KR101102123B1 (ko) 특수 기호 입력 장치, 특수 기호 입력 방법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102473156B1 (ko) 글자체를 제공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
US20230418464A1 (en) Enhanced Shape-Based Keybo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