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7038B1 - 슬롯이 구비된 면도기 카트리지 - Google Patents

슬롯이 구비된 면도기 카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7038B1
KR101887038B1 KR1020170062121A KR20170062121A KR101887038B1 KR 101887038 B1 KR101887038 B1 KR 101887038B1 KR 1020170062121 A KR1020170062121 A KR 1020170062121A KR 20170062121 A KR20170062121 A KR 20170062121A KR 101887038 B1 KR101887038 B1 KR 1018870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kin contact
blade
contact member
sl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2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우경
김보라
손성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도루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도루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도루코
Priority to KR1020170062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7038B1/ko
Priority to PCT/KR2018/005784 priority patent/WO2018212635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7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70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40Details or accessories
    • B26B21/4012Housing details, e.g. for cartridg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y Shavers And Cli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가 수용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면도기 카트리지에 관한 것으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최전방에 위치하는 제1 피부 접촉부재; 상기 제1 피부 접촉부재의 후방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의 전방에 위치한 제2 피부 접촉부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의 후방에 위치한 제3 피부 접촉부재; 상기 제1 피부 접촉부재와 상기 제2 피부 접촉부재 사이의 영역으로 정의되는 제1 슬롯;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 중 가장 전방에 위치한 최전방 블레이드와 상기 제2 피부 접촉부재 사이의 영역으로 정의되는 제2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슬롯 및 상기 제2 슬롯은, 상기 하우징의 상하방으로 관통되어 형성되고, 면도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장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면도 방향과 나란한 상기 제1 슬롯의 단방향 길이는, 상기 제2 슬롯의 단방향 길이보다 길어 과하게 도포된 면도 보조 물질과 면도 잔여물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슬롯이 구비된 면도기 카트리지 {Razor cartridge with elongated slot}
본 발명은 면도기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면도기 카트리지는 블레이드 및 하우징으로 구성되고, 블레이드 하우징은 일반적으로 블레이드가 안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한다. 안착부에 블레이드가 안착되고, 블레이드가 고정될 수 있도록 블레이드 하우징의 측면에서 블레이드와 블레이드 하우징을 감싸주는 클립이 조립되어 블레이드와 블레이드 하우징을 보다 단단하게 결합시킴으로써 하나의 면도기 카트리지가 완성된다.
면도시에는 면도기 카트리지가 부드럽게 피부를 스쳐 지나가도록 쉐이빙 폼 (foam) 또는 젤(gel)과 같은 면도 보조 물질이 사용된다. 사용자는 쉐이빙 폼을 면도하고자 하는 피부에 도포하고, 쉐이빙 폼이 도포된 피부를 면도기 카트리지가 지나가면서 블레이드가 체모를 절삭하도록 한다.
다만 윤활 목적의 쉐이빙 폼 또는 젤이 지나치게 많이 피부에 도포된 경우, 블레이드와 피부 간의 밀착력이 감소하여 오히려 절삭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적정량의 쉐이빙 폼 또는 젤이 사용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한편, 최근 면도기의 절삭 성능만큼 면도 후 세척 성능의 중요성이 대두되어, 면도 성능을 유지하면서 면도기 카트리지로의 세척수의 유입 및 면도 잔여물 배출이 용이하도록 개방된 통공이 함께 설계된 면도기 카트리지가 다수 등장하였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블레이드와 피부간의 밀착력을 증진시키는 면도기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는,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가 수용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면도기 카트리지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최전방에 위치하는 제1 피부 접촉부재; 상기 제1 피부 접촉부재의 후방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의 전방에 위치한 제2 피부 접촉부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의 후방에 위치한 제3 피부 접촉부재; 상기 제1 피부 접촉부재와 상기 제2 피부 접촉부재 사이의 영역으로 정의되는 제1 슬롯;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 중 가장 전방에 위치한 최전방 블레이드와 상기 제2 피부 접촉부재 사이의 영역으로 정의되는 제2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슬롯 및 상기 제2 슬롯은, 상기 하우징의 상하방으로 관통되어 형성되고, 면도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장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면도 방향과 나란한 상기 제1 슬롯의 단방향 길이는, 상기 제2 슬롯의 단방향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상기 제2 피부 접촉부재는 단단한 재질(rigid material)일 수 있다.
상기 제1 슬롯의 단방향 길이는, 1.5mm 내지 5.0mm 의 범위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슬롯의 장방향 길이와 상기 제2 슬롯의 장방향 길이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의 장방향 길이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는,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피벗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피벗 가능한 상기 연결부의 피벗 축은, 상기 장방향과 나란하며, 상기 최전방 블레이드의 컷팅 에지 및 상기 제1 피부 접촉부재 사이 영역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피벗 축은 상기 최전방 블레이드의 컷팅 에지 및 상기 제2 피부 접촉부재 사이 영역의 하부에 위치할 수도 있으며, 상기 제1 피부 접촉부재 및 상기 제2 피부 접촉부재 사이 영역의 하부에 위치할 수도 있고, 상기 제2 피부 접촉부재와 인접한 영역의 하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피벗 축은, 상기 하우징의 단방향을 따라 상기 하우징의 전방벽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단방향 길이의 40% 내지 50%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는, 상기 제2 피부 접촉부재와 결합된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제2 피부 접촉부재에 고정되는 고정단과, 상기 제1 슬롯 내에서 플로팅되는 자유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의 상면 프로파일은, 상기 탄성 부재와 인접한 하우징 상면 프로파일과 상이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 상면 프로파일의 곡률은, 상기 탄성 부재와 인접한 하우징 상면 프로파일의 곡률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자유단이 상기 탄성 부재와 인접한 하우징 상면 프로파일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면도 평면은, 상기 제2 피부 접촉부재의 상면과 상기 제3 피부 접촉부재의 상면을 연결하는 면일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후방벽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 중 가장 후방에 배치된 최후방 블레이드의 컷팅 에지 사이의 간격이, 0.4mm 내지 3.6mm의 범위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피부 접촉부재는, 윤활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 및 상기 면도기 카트리지와 결합되는 핸들을 포함하는 면도기가 제공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과도한 쉐이빙 폼 및 면도 잔여물을 효과적으로 배출하여 피부와 블레이드의 밀착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
복수의 접촉부재에 의해 안정적인 면도 평면이 제공된다.
제2 슬롯 영역에 의해 블레이드 전방에서 체모를 곧게 서게 하며, 제1 슬롯 영역에 의해 피부를 돌출시킴으로써 절삭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의 배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의 후면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의 배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의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1)의 제1 슬롯(41)의 작용에 대해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1)를 도시한 사시도이다.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1)의 배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1)는 크게 블레이드(51)를 수용하는 하우징(10)과, 하우징(10)에 연결되는 커넥터(60)로 구성됨을 알 수 있다.
하우징(10)은 면도기 카트리지(1)의 뼈대가 되는 구성요소로,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51)를 수용할 수 있도록 일 방향(장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블레이드(51)는 하우징(10)에 수용된 후에 클립(53) 등의 수단으로 고정될 수 있다.
하우징(10)은 블레이드(51)의 에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측 개방면을 형성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하우징(10)의 상측 개방면으로 노출된 블레이드(51)의 컷팅 에지가 피부에 접촉한 상태에서, 면도 방향(D)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체모를 절삭할 수 있다.
하우징(10)의 하방에는 커넥터(60)가 연결된다. 커넥터(60)는 면도기 카트리지(1)와 면도기 핸들(미도시)을 연결하여 하나의 면도기를 완성하는 구성요소이다. 커넥터(60)는 하우징(10)에 대하여 피벗(pivot) 가능하게 연결되어, 하우징(10)과의 관계에서 상대적인 움직임을 가진다. 커넥터(60)가 하우징(10)에 연결되는 방식 및 위치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4에 대한 설명과 도 8에 대한 설명에서 자세히 후술한다.
커넥터(60)는 핸들과 커넥터(60)의 연결부위가 되는 홀더(61)를 포함한다. 홀더(61)는 일 실시예에서 개구와 돌기를 포함하도록 도시하였으나, 그 형태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핸들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핸들을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라면 도입이 가능하다.
핸들이 커넥터(60)의 홀더(61)에 연결되고 고정되면, 사용자는 핸들을 조작함으로써 면도기 카트리지(1)가 이동하도록 해 면도를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커넥터(60)와 하우징(10)은 서로 상대적인 움직임을 가질 수 있으므로, 하우징(10)이 피부의 굴곡에 따라 커넥터(60)와의 연결부(62)를 중심으로 피벗하여 부드러운 면도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상하방향이라 함은, 각 도면에 도시한 z축 방향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 중 상방향은 하우징(10)의 개방면이 위치하고 바라보고 있어 각 블레이드(51)가 노출된 방향을 의미하며, 하방향은 그 반대방향을 의미한다.
면도 방향(D)은 사용자가 면도기 카트리지(1)를 이용해 면도를 수행하는 방향을 일컫는 말로, 블레이드(51)의 에지에 의한 체모의 절삭이 일어날 수 있도록 y축과 나란함과 동시에 하우징 후방벽(13)에서 하우징 전방벽(14)으로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여기서 전방이라 함은 하우징(10)을 기준으로 y축을 따라 하우징 전방벽(14) 및 제1 피부 접촉부재(21)가 위치한 방향을 의미하며, 후방이라 함은 하우징(10)을 기준으로 y축을 따라 하우징 후방벽(13) 및 제3 피부 접촉부재(23)가 위치한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장방향이라 함은 하우징(10), 블레이드(51), 슬롯 등이 연장된 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각 도면에 도시한 x축 방향을 의미하는 것이고, 단방향이라 함은 장방향에 직교하며 상대적으로 각 구성요소가 각 도면의 y축을 따라 짧게 형성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즉, 단방향과 장방향은 직교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1)의 후면 분해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하우징(10), 하우징(10)에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51), 블레이드(51)를 하우징(10)에 고정시키는 클립(53), 탄성 부재(30), 윤활 밴드(52), 트리머(70) 및 커넥터(60)를 포함함을 알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대한 설명에 덧붙여, 하우징(10)은 하방을 향해 개방된 관통공(19), 양 하우징 측벽(15), 하우징(10)의 전후방에 위치하는 하우징 전방벽(14)과 하우징 후방벽(13), 안착부(18), 캠 면(17) 및 피벗 홀(16)을 포함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우징 전방벽(14)과 하우징 후방벽(13)은 각각 하우징(10)의 전방 및 후방에 위치하는 외벽으로, 하우징(10)의 전후방 경계가 된다. 또한 하우징 측벽(15)은 하우징(10)의 장방향 양 단에 위치하는 외벽으로, 하우징(10)의 장방향 경계가 된다. 즉, 하우징(10)은 개략적으로 상하방을 향해 개방되어 있고, 장방향과 전후방에서 각 외벽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형태가 된다. 이러한 외벽들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에 블레이드(51)가 수용된다.
관통공(19)은 하우징(10)의 하방을 향해 개방된 개구로, 세척수가 유입되거나 면도 잔여물이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관통공(19)은 중심에 위치한 안착부(18)에 의해 2개로 구분되나 관통공(19)의 구성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안착부(18)는 블레이드(51)의 기저부가 안착되어 고정되는 구성요소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하우징(10) 장방향을 따라 중간 지점에 형성되도록 하였고, 하우징(10)의 장방향 양 단에도 안착부(18)가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안착부(18)의 개수 및 배치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하우징(10)의 장방향을 따라 균등한 간격으로 4개소에 배치되거나, 하우징(10) 장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변형으로, 안착부(18)는 하우징(10)의 장방향을 따라 중간 지점에 위치하지 않고, 하우징(10)의 장방향 양 단에 위치하여 1개의 관통공(19)을 형성할 수도 있다.안착부(18)는 블레이드(51)가 하우징(10)으로부터 이탈 없이 고정됨으로써 절삭 시 가해지는 힘을 견뎌서 면도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정도로만 블레이드(51)를 고정시킬 수 있다면 충분하다. 따라서 장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되고, 안착시키고자 하는 블레이드(51)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된 슬릿이 안착부(18)로 사용될 수 있으며, 블레이드(51)의 전후방에서 블레이드(51)와 접촉하여 블레이드(51)를 고정하는 페그(peg) 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대한 설명에 덧붙여, 커넥터(60)는 연결부(62)를 포함한다. 연결부(62)는 후술할 하우징(10)의 피벗 홀(16)에 피벗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요소로, 돌기 또는 원기둥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연결부(62)가 커넥터(60)의 장방향 양 단에 형성되어 피벗 홀(16)에 결합되도록 하였으나, 그 개수 및 배치 방법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커넥터(60)의 연결부(62)와 하우징(10)의 피벗 홀(16)이 피벗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하우징(10)과 커넥터(60)의 상대적인 움직임이 가능하다.
커넥터(60)는 분리 돌기(63)를 포함한다. 커넥터(60)와 연결된 핸들의 분리 과정에서 핸들이 하우징(10)과 멀어지도록 핸들의 푸셔가 밀 대상이 필요한데, 분리 돌기(63)를 푸셔가 밀어 면도기 카트리지(1)로부터 핸들이 이탈할 수 있다.
블레이드(51)는 날카로운 컷팅 에지를 이용해 체모를 절삭하는 구성요소로, 본 발명에서는 적어도 하나로 구성된다. 블레이드(51)로는 컷팅 에지가 형성된 평면 재료를 절곡시켜 형성되는 절곡날이 사용될 수 있고, 절곡되지 않은 평편한 형태의 평날 또는 절곡된 지지체의 상면에 블레이드(51) 부재가 용접되어 부착된 강대날이 사용될 수도 있다. 블레이드(51)는 일반적으로 금속 재질, 그 중에서도 스테인리스 스틸이 주로 사용된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세라믹, 플라스틱 등의 일정 강도 이상을 버틸 수 있는 재료라면 블레이드(51)의 재료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면도기 카트리지(1)가, 컷팅 에지가 형성된 절곡날을 총 7개 구비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그 종류 및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캠 면(17, cam surface)는 하우징(10)의 하방에 형성되는 구성요소로, 돌출된 돌기의 형태이다. 핸들의 플런저를 지지하는 구성요소이다.
피벗 홀(16)은 커넥터(60)의 연결부(62)가 연결되는 공동으로, 커넥터(60)의 연결부(62)가 피벗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연결부(62)의 외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하우징(10)의 장방향 양 단에서 하우징 측벽(15)에 하나씩 총 2개가 형성되되, 제2 피부 접촉부재(22)보다 전방에 위치하나, 피벗 홀(16)의 배치 위치 및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연결부(62)와의 관계에서 서로 피벗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면 다른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연결부(62)가 안으로 오목하게 파여 형성된 공동의 형태가 될 수 있고, 피벗 홀(16)이 연결부(62)의 형상에 대응되는 돌기로 형성될 수도 있다.
클립(53)은 안착부(18)에 안착된 블레이드(51)를 보다 확실하게 하우징(10)에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구성요소로, 하우징 후방벽(13)과 하우징(10) 상하면의 일부 영역을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클립(53)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총 2개가 하우징(10)의 장방향의 양 단에 결합된 것으로 표현하였으나 클립(53)의 배치 및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안착부(18)에 블레이드(51)가 안착된 후, 클립(53)이 블레이드(51)의 컷팅 에지를 하우징(10)의 하방으로 가압하도록 결합된다. 클립(53)의 양 다리를 하우징(10)의 하면에서 상방으로 가압하여 변형시킴으로써 클립(53)을 하우징(10)에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클립(53)이 하우징(10)의 상면에서 장방향 양 단을 덮고, 하우징 후방벽(13)을 감싼 뒤 하면에서 결합되도록 클립(53)의 결합 구조를 표현하였다. 즉 클립(53) 다리 중 하나는 하우징 후방벽(13)을 감싸고, 나머지 다리는 하우징(10)을 클립(53) 통공으로 삽입되고, 이를 관통하여 하우징 하면(12)으로 돌출 및 절곡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하우징 전방벽(14) 및 하우징 후방벽(13)을 장방향 양 단에서 클립(53)이 둘러싸도록 할 수도 있고, 클립(53) 통공이 더 형성되어 클립(53)의 다리가 하우징 전방벽(14) 또는 하우징 후방벽(13)을 둘러싸지 않고 클립(53) 통공에 삽입되어 하우징 하면(12)에서 돌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탄성 부재(30)는 제2 피부 접촉부재(22)에 결합되는 구성요소로, 고정단(31)과 자유단(32)을 가진다. 탄성 부재(30)의 작용 및 프로파일에 대해서는 도 8에 대한 설명에서 자세히 후술한다.
윤활 밴드(52)는 체모 절삭을 돕는 윤활물질을 제공하는 구성요소로, 하우징(10)의 상면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윤활 밴드(52)가 제1 피부 접촉부재(21)와 인접하도록 전방에 위치하되 하우징(10)의 장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되도록 하였으나, 윤활 밴드(52)는 블레이드(51)의 후방에 위치할 수도 있다.
트리머(70)는 구레나룻 또는 일정 길이의 체모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구성요소로, 면도기 카트리지(1)의 하방에 형성된다. 면도기의 블레이드(51)에 의한 절삭과 트리머(70)에 의한 절삭이 동시에 일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트리머(70)가 면도기 카트리지(1)의 하면 후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표현하였다.
트리머(70)는 트리머 블레이드(71)와 트리머 가드(72)로 구성된다. 트리머 블레이드(71)는 하우징(10)과 트리머 가드(72) 사이에서 지지되며, 하방을 향해 컷팅 에지가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블레이드(51)와 같이 절곡날, 강대날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컷팅 에지를 가져 체모를 절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한차례 절곡된 트리머 블레이드(71)가 1개 구비되는 것으로 트리머(70)를 표현하였으나, 복수의 트리머 블레이드(71)를 포함할 수도 있다.
트리머 가드(72)는 트리머 블레이드(71)를 지지하는 구성요소로, 트리머 블레이드(71)의 기저부를 하우징(10)에 대해 가압하고 트리머 블레이드(71)에 비해 더 하방에 위치함으로써 피부와 접촉한다. 트리머 가드(72)와 하우징 후방벽(13) 사이의 영역으로 트리머 블레이드(71)가 돌출되게 된다. 트리머 가드(72)와 하우징 후방벽(13)을 잇는 평면이, 트리밍이 일어나는 트리밍 평면이 된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각 피부 접촉부재와 슬롯에 대해서 알아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1)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1)의 배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1)는 전방부터 후방으로 가면서 제1 피부 접촉부재(21), 제2 피부 접촉부재(22) 및 제3 피부 접촉부재(23)를 포함하며, 제1 피부 접촉부재(21)와 제2 피부 접촉부재(22) 사이에 제1 슬롯(41)을, 제2 피부 접촉부재(22)와 제3 피부 접촉부재(23)의 사이에 제2 슬롯(42)을 포함한다.
제1 피부 접촉부재(21)는 하우징 전방벽(14)의 상면에 위치한다. 즉 하우징(10)의 최전방에 배치되어 면도시 피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2 피부 접촉부재(22)는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51) 중 최전방에 위치한 최전방 블레이드(511)의 전방에 배치되는 구성요소로, 하우징(10)의 상면에 위치한다. 제3 피부 접촉부재(23)는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51) 중 최후방에 위치한 최후방 블레이드(512)의 후방에 배치되는 구성요소로, 하우징 후방벽(13)의 상면에 위치한다.
각 피부 접촉부재는 하우징(10)의 장방향을 따라 개략적으로 연장되며, 엘라스토머(elastomer)나 고무(rubber) 재질로 된 가드일 수 있고, 체모 절삭시 체모 정렬을 돕는 콤(comb) 가드, 체모 절삭시 피부를 보호하는 추가 윤활 밴드(52), 비누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제2 피부 접촉부재(22)는 단단한 재질(rigid material)로 구성될 수 있다. 각 피부 접촉부재에 형성되는 패턴의 형태는 돌기, 개구, 물결무늬 등 다양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1 슬롯(41)은 제1 피부 접촉부재(21)와 제2 피부 접촉부재(22) 사이 공간에 형성되는 개구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윤활 밴드(52)가 제1 피부 접촉부재(21)의 후방에 위치하는 경우라면 윤활 밴드(52)와 제2 피부 접촉부재(22)의 사이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2 슬롯(42)은 제2 피부 접촉부재(22)와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51) 중 최전방 블레이드(511) 사이 공간에 형성되는 개구이다. 즉, 블레이드(51)로부터 면도 방향(D)을 따라 제2 슬롯(42)-제2 피부 접촉부재(22)-제1 슬롯(41)-제1 피부 접촉부재(21)의 순서대로 배치된다.
제1 슬롯(41)은 면도시 면도 방향(D)에서 제2 슬롯(42)에 비해 앞서있으므로, 제2 슬롯(42)보다 먼저 피부를 만나게 된다. 따라서 제1 슬롯(41)의 경계가 되는 제2 피부 접촉부재(22)는 과도하게 피부에 도포된 면도 보조 물질 또는 잔여물을 막아 제1 슬롯(41)을 통해 하방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이 때, 과도하게 제1 슬롯(41)을 통해 면도 보조 물질이 제거되는 것을 막고 적정량의 면도 보조 물질이 피부에 도포되어 있는 상황을 유지하기 위하여, 제1 슬롯(41)의 장방향 길이는 블레이드(51)의 장방향 길이보다 작거나 같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슬롯(41)이 피부와 접할 때, 피부는 제1 슬롯(41)을 통해 하방으로 돌출(convex)된다. 피부의 일부가 하방으로 돌출됨에 따라, 피부가 당겨져 면도기 카트리지(1)에 피부가 보다 잘 밀착될 수 있다.
제2 슬롯(4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10)의 장방향 중심 영역에 면도 방향(D)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안착부(18)에 의해 구분되어, 장방향 일측과 타측에 하나씩 총 2개가 형성되는 것으로 표현하였다. 안착부(18)의 개수 및 배치 방법을 변경함으로써, 제2 슬롯(42)의 개수를 변경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안착부(18)가 하우징(10)의 장방향 중간 영역에 위치하지 않고, 장방향 양 단에 위치하여 관통홀(19)을 1개 형성할 수 있으므로, 제2 슬롯(42) 역시 1개로 형성될 수 있다. 같은 원리로 안착부(18)가 중심에 2개 배치되는 경우에는 제2 슬롯(42)이 3개로 형성될 수 있는 등 안착부(18)의 개수 및 배치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제1 슬롯(41)의 단방향 길이는 제2 슬롯(42)의 단방향 길이보다 길다. 바람직하게 제1 슬롯(41)의 단방향 길이는 1.5mm 내지 5.0mm의 범위 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슬롯(42)의 단방향 길이는 이보다 작은 수치범위 내에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슬롯(41)은 다량의 면도 보조 물질을 배출함과 동시에 피부를 돌출시키는데 적합하고, 제2 슬롯(42)은 제1 슬롯(41)을 통해 돌출된 피부에 나 있는 체모를 직립시켜 블레이드(51)에 의해 원활히 절삭되도록 하기에 적합하다.
제2 슬롯(42)의 장방향 길이는, 블레이드(51)의 장방향 길이보다 작거나 같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슬롯(41)과 제2 슬롯(42)은 하우징(10)의 장방향을 따라 개략적으로 연장되고, 상하방으로 관통 및 개방되어 세척수 또는 면도 잔여물이 상하방으로 출입하기 용이하다.
제2 피부 접촉부재(22)와 제3 피부 접촉부재(23)는 면도시 피부와 접촉하여, 하우징 상면(11)에서 블레이드(51)의 에지와 피부가 만나는 면도 평면(P1)을 형성한다. 면도 평면(P1)에 대해서는 도 8에 대한 설명에서 후술한다.
도 6을 참조하면, 피벗 축(A)의 방향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1)의 피벗 축(A)은 하우징(10)의 장방향과 나란하고, 제1 피부 접촉부재(21)와 제2 피부 접촉부재(22) 사이 영역인 제1 슬롯(41)에 위치한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피벗 축(A)은 최전방 블레이드(511)의 에지와 제2 피부 접촉부재(22)의 사이인 제2 슬롯(42)에 위치할 수도 있고, 제2 피부 접촉부재(22)의 하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즉, 최전방 블레이드(511)와 제1 피부 접촉부재(21) 사이 영역에 피벗 축(A)이 위치할 수 있다. 피벗 축(A)의 상하방향 위치에 대해서는 도 8에 대한 설명에서 후술한다.
동시에 피벗 축(A)은 커넥터(60)의 연결부(62)와 피벗 홀(16)을 지나가고, 연결부(62)가 피벗 홀(16)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회동하는 회전축이 된다.
탄성 부재(30)는 제2 피부 접촉부재(22)에 연결되는 구성요소로,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구성된다. 탄성 부재(30)는 고정단(31)과 자유단(32)을 포함하는데, 고정단(31)이 제2 피부 접촉부재(22)와 연결되며 자유단(32)은 고정단(31)의 전방에 연결되어 제1 슬롯(41) 내에서 플로팅(floating) 한다.
탄성 부재(30)의 자유단(32)은 고정단(31)으로부터 돌출된 외팔보(cantilever)와 같은 구성요소로, 외력이 가해지면 상하방으로 이동하였다가 외력이 사라지면 탄성력에 의해 본래 위치로 돌아올 수 있다.
탄성 부재(30)는 곡률이 있어 제1 슬롯(41)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그렇지 않을 경우와 비교하여 면도시 피부가 제1 슬롯(41)의 하방으로 돌출될 때 돌출된 피부에 보다 넓은 면적이 접촉할 수 있다. 피부와의 마찰계수가 비교적 큰 탄성 부재(30)가 제1 슬롯(41)에서 피부와 접촉됨에 따라, 피부를 당겨줄 수(stretching) 있다.
탄성 부재(30)의 자유단(3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통공이 형성된 고리 형태로 복수개 형성되어 이물질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표현하였으나, 형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고정단(31)에서 자유단(32)의 선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져 테이퍼(taper)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 밖에, 하우징(10)의 후방벽(13)과 최후방 블레이드(512)의 에지 간의 사이 간격은 0.4mm 내지 3.6mm의 범위 내에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 후방벽(13)과 최후방 블레이드(512) 에지 간의 간격이 좁게 형성됨으로써, 메인 쉐이빙 블레이드(51)로도 정밀한 면도가 가능하다.
이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피벗 축(A)의 상하 방향 위치와 탄성 부재(30)의 프로파일(E)에 대해 알아본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1)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1)의 측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1)에 상면 및 하면이 존재하고, 트리머(70)와 커넥터(60)가 하면에 배치되며, 상면에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51)의 컷팅 에지와 각 피부 접촉부재(21, 22, 23), 탄성 부재(30), 윤활 밴드(52)가 형성됨을 알 수 있다.
면도 평면(P1)은 제2 피부 접촉부재(22)의 상면과 제3 피부 접촉부재(23)의 상면을 연결하는 면으로 형성된다. 두 접촉부재(22, 23)의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51)가 위치함에 따라 해당 영역을 지나가는 피부에 나 있는 체모가 절삭될 수 있다. 블레이드(51)의 컷팅 에지는 상기 면도 평면(P1)보다 상방으로 더 돌출될 수 있으나, 보다 하부에 위치할 수도 있고, 면도 평면(P1)에 접하도록 그 높이가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피부 접촉부재(22)의 상면과 제1 피부 접촉부재(21) 또는 윤활 밴드(52)의 상면은 탄성 부재(30)와 인접한 하우징 상면 프로파일(P2)을 형성한다. 이러한 하우징 상면(11)의 프로파일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윤활 밴드(52)가 제1 피부 접촉부재(21)에 비해서 상방으로 더 돌출되어 형성되므로, 윤활밴드 상면과 제2 피부 접촉부재(22)의 상면을 잇는 평면으로 형성되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 피부 접촉부재(21)가 윤활 밴드(52)에 비해 돌출되어 제1 피부 접촉부재(21)의 상면과 제2 피부 접촉부재(22)의 상면을 잇는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 부재(30)의 상면은 탄성 부재 상면 프로파일(E)을 형성한다. 탄성 부재 상면 프로파일(E)은 하우징 상면 프로파일(P2)과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하였다시피 탄성 부재(30)는 제1 슬롯(41)에서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으므로, 제1 슬롯(41)을 통해 하방으로 돌출되는 피부와 접촉하기 위해 탄성 부재 상면 프로파일(E)은 탄성 부재(30)와 인접한 하우징 상면 프로파일(P2)에 비해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비교적 직선에 가까운 하우징 상면 프로파일(P2)의 곡률에 비해, 탄성 부재 상면 프로파일(E)의 곡률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피부에 접촉하는 자유단(32)을 포함하는 탄성 부재(30)는, 면도 방향(D)으로 면도기 카트리지(1)가 이동함에 따라 자칫 접촉과 이격을 반복하여 덜컹거리며 긁히는 듯한 느낌(chattering)을 사용자에게 줄 수 있다. 그러나 하우징 상면 프로파일(P2)의 곡률에 비해 탄성 부재 상면 프로파일(E)의 곡률을 크게 함으로써, 면도 과정에 있어 비교적 빠르게 피부와 자유단(32)의 접촉이 종료되게 해 긁히는 듯한 느낌을 방지할 수 있다.
피벗 축(A)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피부 접촉부재(21)와 최전방 블레이드(511)의 컷팅 에지 사이 영역의 하부에 위치하고, 그 중에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피부 접촉부재(21)와 제2 피부 접촉부재(22)의 사이 영역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피벗 축(A)은 제1 피부 접촉 부재(21)의 상부면과 최전방 블레이드(511)의 컷팅 에지를 잇는 평면의 하부에 위치하고, 그 중에서도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피부 접촉 부재(21)의 상면과 제2 피부 접촉 부재(22)의 상면을 잇는 평면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피벗 축(A)은 하우징 전방벽(14)으로부터 후방으로 하우징(10) 단방향 길이의 40% 내지 50%에 이르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62)가 탄성 부재(30)의 장방향 양 측에 위치할 수 있으므로, 피벗 축(A)이 탄성부재를 관통할 수 있다.
이러한 피벗 축(A)의 위치는 종래의 기술들의 피벗 축(A) 위치에 비해 하우징(10)의 상면에 매우 근접한 것이다. 보통 커넥터(60)가 하우징(10)과 연결되는 부위가 하우징(10)의 후면에 형성되는 것에 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하우징 상면(11)에 매우 인접한 하우징(10) 내의 영역에 피벗 축(A)이 형성되고 커넥터(60)의 연결부(62)가 연결된다. 따라서 공간이 절약되고, 외력이 가해지는 면도 평면(P1)과 피벗 축(A)이 가까워져 하우징(10)이 피벗되기 위해 필요한 외력이 증가한다. 하우징(10)이 피벗되기 위해 필요한 외력이 감소하면, 사용자가 핸들을 조작함으로써 피부의 굴곡에 따른 면도를 섬세하게 수행하기 어려워지고, 쉽게 피부로부터 하우징(10)이 이탈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1)는 피벗되기 위한 외력이 증가하므로 보다 섬세한 면도가 가능하고, 피부에 대한 하우징 상면(11)의 밀착도가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피벗 축이 카트리지의 전방부에 가깝게 배치되어, 면도기 카트리지가 피부의 굴곡진 부분을 지날 때, 카트리지의 후방부가 피부에 제대로 밀착되지 않고 굴곡진 부분을 따라 위로 들리는 현상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피벗 축(A)이 하우징(10)의 단방향을 기준으로 중앙에 가깝게 위치한다. 따라서 면도시, 면도기 카트리지(1)의 전후방 영역 전체에 힘이 분배되어 제공되므로, 피벗 축(A)의 전방 및 후방에 위치하는 면도기 카트리지(1)의 상면이 고르게 피부를 지지함으로써 피부 밀착도가 증가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1)의 제1 슬롯(41)의 작용에 대해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면도시 피부(S)는 제1 피부 접촉부재(21) 또는 윤활 밴드(52)에 밀착하고, 동시에 제2 피부 접촉부재(22)에 밀착하여 제1 슬롯(41)으로 돌출(convex)될 수 있다. 동시에, 면도 잔여물(R)이 제1 슬롯(41)을 통해 면도기 카트리지(1)의 하방으로 배출될 수 있다. 제1 슬롯(41)을 가짐으로써, 면도에 보다 원활한 상태로 피부(S)를 정리하고, 면도 잔여물(R)을 원활히 배출해 위생적으로 면도기 카트리지(1)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 : 면도기 카트리지 10 : 하우징
11 : 하우징 상면 12 : 하우징 하면
13 : 하우징 후방벽 14 : 하우징 전방벽
15 : 하우징 측벽 16 : 피벗 홀
17 : 캠 면 18 : 안착부
19 : 관통공 21 : 제1 피부 접촉부재
22 : 제2 피부 접촉부재 23 : 제3 피부 접촉부재
30 : 탄성 부재 31 : 고정단
32 : 자유단 41 : 제1 슬롯
42 : 제2 슬롯 51 : 블레이드
52 : 윤활 밴드 53 : 클립
60 : 커넥터 61 : 홀더
62 : 연결부 63 : 분리 돌기
70 : 트리머 71 : 트리머 블레이드
72 : 트리머 가드 511 : 최전방 블레이드
512 : 최후방 블레이드 A : 피벗 축
D : 면도 방향 E : 탄성 부재 상면 프로파일
P1 : 면도 평면 P2 : 하우징 상면 프로파일
R : 면도 잔여물 S : 피부

Claims (18)

  1.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가 수용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면도기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최전방에 위치하는 제1 피부 접촉부재;
    상기 제1 피부 접촉부재의 후방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의 전방에 위치한 제2 피부 접촉부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의 후방에 위치한 제3 피부 접촉부재;
    상기 제1 피부 접촉부재와 상기 제2 피부 접촉부재 사이의 영역으로 정의되는 제1 슬롯;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 중 가장 전방에 위치한 최전방 블레이드와 상기 제2 피부 접촉부재 사이의 영역으로 정의되는 제2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슬롯 및 상기 제2 슬롯은, 상기 하우징의 상하방으로 관통되어 형성되고, 면도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장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면도 방향과 나란한 상기 제1 슬롯의 단방향 길이는, 상기 제2 슬롯의 단방향 길이보다 긴, 면도기 카트리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피부 접촉부재는 단단한 재질(rigid material)인, 면도기 카트리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롯의 단방향 길이는, 1.5mm 내지 5.0mm 의 범위 내에 형성되는 면도기 카트리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롯의 장방향 길이와 상기 제2 슬롯의 장방향 길이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의 장방향 길이보다 작거나 같은 면도기 카트리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피벗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피벗 가능한 상기 연결부의 피벗 축은, 상기 장방향과 나란하며, 상기 최전방 블레이드의 컷팅 에지 및 상기 제1 피부 접촉부재 사이 영역의 하부에 위치하는 면도기 카트리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피벗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피벗 가능한 상기 연결부의 피벗축은, 상기 장방향과 나란하며, 상기 최전방 블레이드의 컷팅 에지 및 상기 제2 피부 접촉부재 사이 영역의 하부에 위치하는 면도기 카트리지.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피벗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피벗 가능한 상기 연결부의 피벗축은, 상기 장방향과 나란하며, 상기 제1 피부 접촉부재 및 상기 제2 피부 접촉부재 사이 영역의 하부에 위치하는 면도기 카트리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피벗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피벗 가능한 상기 연결부의 피벗축은, 상기 장방향과 평행하며, 상기 제2 피부 접촉부재와 인접한 영역의 하부에 위치하는 면도기 카트리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피벗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피벗 가능한 상기 연결부의 피벗축은, 상기 하우징의 단방향을 따라 상기 하우징의 전방벽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단방향 길이의 40% 내지 50%인 위치에 배치되는 면도기 카트리지.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피부 접촉부재와 결합된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면도기 카트리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제2 피부 접촉부재에 고정되는 고정단과, 상기 제1 슬롯 내에서 플로팅되는 자유단을 포함하는 면도기 카트리지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의 상면 프로파일은, 상기 탄성 부재와 인접한 하우징 상면 프로파일과 상이한 면도기 카트리지.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 상면 프로파일의 곡률은, 상기 탄성 부재와 인접한 하우징 상면 프로파일의 곡률보다 큰 면도기 카트리지.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자유단은, 상기 탄성 부재와 인접한 하우징 상면 프로파일보다 하부에 배치되는 면도기 카트리지.
  15. 제1항에 있어서,
    면도 평면은, 상기 제2 피부 접촉부재의 상면과 상기 제3 피부 접촉부재의 상면을 연결하는 면인 면도기 카트리지.
  1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후방벽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 중 가장 후방에 배치된 최후방 블레이드의 컷팅 에지 사이의 간격이, 0.4mm 내지 3.6mm의 범위 내에 형성되는 면도기 카트리지.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부 접촉부재는, 윤활 밴드를 더 포함하는 면도기 카트리지.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의 면도기 카트리지; 및
    상기 면도기 카트리지와 결합되는 핸들을 포함하는 면도기.
KR1020170062121A 2017-05-19 2017-05-19 슬롯이 구비된 면도기 카트리지 KR1018870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2121A KR101887038B1 (ko) 2017-05-19 2017-05-19 슬롯이 구비된 면도기 카트리지
PCT/KR2018/005784 WO2018212635A1 (ko) 2017-05-19 2018-05-21 슬롯이 구비된 면도기 카트리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2121A KR101887038B1 (ko) 2017-05-19 2017-05-19 슬롯이 구비된 면도기 카트리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7038B1 true KR101887038B1 (ko) 2018-08-09

Family

ID=63251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2121A KR101887038B1 (ko) 2017-05-19 2017-05-19 슬롯이 구비된 면도기 카트리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87038B1 (ko)
WO (1) WO201821263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45732A1 (ko) * 2020-08-27 2022-03-03 주식회사 도루코 면도기 카트리지
KR20220027512A (ko) * 2020-08-27 2022-03-08 주식회사 도루코 면도기 카트리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806188A (zh) * 2022-01-24 2023-09-26 温州美葆科技技术有限公司 带缓冲和变向切断式剃须系统及剃须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51381A1 (en) 2010-10-15 2012-04-19 The Gillette Company A skin engaging member forming a ring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38814A1 (en) * 2003-12-30 2005-06-30 Eveready Battery Company, Inc. Shaving apparatus with shaving aid material dispenser
US20060080837A1 (en) * 2004-10-20 2006-04-20 Robert Johnson Shaving razors and cartridges
US9604374B2 (en) * 2009-10-21 2017-03-28 Edgewell Personal Care Brands, Llc Method of making a lubrication box for a wet shaving implement
KR20160020320A (ko) * 2014-08-13 2016-02-23 (주)인피노 면도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51381A1 (en) 2010-10-15 2012-04-19 The Gillette Company A skin engaging member forming a ring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45732A1 (ko) * 2020-08-27 2022-03-03 주식회사 도루코 면도기 카트리지
KR20220027512A (ko) * 2020-08-27 2022-03-08 주식회사 도루코 면도기 카트리지
KR102625334B1 (ko) * 2020-08-27 2024-01-15 주식회사 도루코 면도기 카트리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212635A1 (ko) 2018-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74396B1 (en) Razor cartridge
JP4913146B2 (ja) レザー・カートリッジ用のブレード取付け部材
RU2479415C2 (ru) Картриджи для бритвенного прибора с перфорированными лезвийными сборками
KR101887038B1 (ko) 슬롯이 구비된 면도기 카트리지
US5461781A (en) Dynamic shaving system with integral push clean bar and spring member
US9757870B2 (en) Shaver
JP5405503B2 (ja) 付加的なトリムブレードを有する剃毛カミソリ
EP2078593A1 (en) Razor
JP2011500256A (ja) 後方に固定されたシェービングブレード部材を備えたかみそり
KR102467818B1 (ko) 면도기 부품, 면도 카트리지 및 제조 방법
CN107995887A (zh) 剃刀刀片架
CN101479083A (zh) 剃须刀
US20110232101A1 (en) Unitary cartridge
JP2018507734A (ja) 剃毛かみそりカートリッジ
KR20150095935A (ko) 교체 가능한 카트리지를 가지는 면도기와 이러한 면도기를 위한 카트리지와 헤드 및 핸들 조립체
KR20110055607A (ko) 습식 면도기 카트리지
EP3481607B1 (en) Razor system
CN107520862B (zh) 电动剃刀以及该电动剃刀所使用的外刀
CN108290303B (zh) 剃须刀刀片架
JP2011500195A (ja) 形状適合的湿式剃毛用かみそり
KR20230081034A (ko) 면도기 카트리지
JP5053439B2 (ja) 浮揚性をもたせて固定したシェービングブレード部材を備えたかみそり
US20230166418A1 (en) Razor cartridge
EP3960402A1 (en) Razor cartridge
CN110722609A (zh) 一种刮刀的固定附件和剃须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