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6866B1 - 조립이 용이하고 유동이 발생되지 않는 장축의 유리 도어용 손잡이 - Google Patents

조립이 용이하고 유동이 발생되지 않는 장축의 유리 도어용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6866B1
KR101886866B1 KR1020160146941A KR20160146941A KR101886866B1 KR 101886866 B1 KR101886866 B1 KR 101886866B1 KR 1020160146941 A KR1020160146941 A KR 1020160146941A KR 20160146941 A KR20160146941 A KR 20160146941A KR 101886866 B1 KR101886866 B1 KR 1018868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handle
glass door
handle bar
fast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6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0135A (ko
Inventor
김여종
Original Assignee
(주)은성메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은성메탈 filed Critical (주)은성메탈
Priority to KR1020160146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6866B1/ko
Publication of KR20180050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0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6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68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07Knob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15Knobs or handles which do not operate the bolt or lock, e.g. non-movable; Mounting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00Fastening knobs or handles to lock or latch parts
    • E05B3/02Fastening knobs or handles to the spindle by pinning or rive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출입구에 설치되는 강화유리도어의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작업자가 혼자서 설치를 위한 조립이 용이하고 손잡이가 조립된 상태에서 풀림이 전혀 발생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설치토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유리도어의 일면에 연결부재를 제1조임부재로 결합한 제1손잡이봉을 위치시키고, 유리도어의 타면에서 제1손잡이봉과 연결부재를 결합한 제1조임부재에 체결부재를 결합나사로 결합하여 제1손잡이봉을 유리도어에 고정하고, 상기 체결부재에는 결합부재가 형성된 제2손잡이봉을 상단에서 하단방향으로 끼임 조립하되, 상기 체결부재에는 상협하광의 체결돌부를 형성하고 결합부재에는 상협하광의 체결홈을 형성하여 끼임한 후 결합부재의 양측에서 조임부속으로 조임고정토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립이 용이하고 유동이 발생되지 않는 장축의 유리 도어용 손잡이{A handle for Glass door}
본 발명은 건물의 출입구에 설치되는 유리 도어의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장축의 손잡이로 이루어질 경우에 작업자 혼자서도 손잡이를 유리도어 양쪽으로 설치를 위한 조립이 용이하고 유리도어의 개폐시를 위한 당김이나 밀 경우에 손잡이가 유동되어지는 것을 방지토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에는 사람이 출입할 수 있는 출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출입구에는 실내의 온도유지나 실외에서 발생되는 소음 등을 차단하도록 도어가 설치되어 있고 특히 다층 건물등에는 대부분 실내가 보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유리문으로 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도어는 목재나 금속과는 다르게 강한 조임결합이 불가능하여 장착의 손잡이를 상하로 길게 설치하여 고정할 경우에 손잡이가 유리문과 이격되어지는 만큼 연결볼트가 길어지게 되면서 조립된 상태에서 유격이 발생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종래 유리도어에 장축의 손잡이를 체결하기 위한 구조는, 유리도어의 양측면에 손잡이 봉에 조임부재를 조임으로 결합하여 위치토록 한 상태에서 양단으로 일정한 길이의 연결축이 형성된 연결부재를 회전부재를 통해 회전시켜 유리도어의 양측면에 위치된 조임부재에 연결부재(볼트)가 동시에 조임되어 결합토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것은, 유리도어의 내,외부에 위치되는 손잡이봉을 고정하기 위하여 두 명의 작업자가 손잡이봉을 각각 잡은 상태에서 어느 한 작업자가 회전부재를 회전시켜 연결부재가 동시에 체결토록 하는 것으로, 조립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반드시 두 명이 필요하기 때문에 작업성의 저하는 물론 인건비의 과중으로 설치비용이 많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또한 유리도어는 당김으로 개폐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가로축으로 조임되는 연결부재의 일정길이의 연결축으로 인하여 또는 조임 부분에 힘이 많이 가중되면서 조임이 조금씩 풀리게 되고, 이로 인하여 손잡이 봉이 견고하게 설치되지 못하고 시간이 경과되면서 유동이 발생되는 문제가 종종 발생되는 것이고, 이러한 보수작업이 유리라는 특성에 의하여 강한 조임이 불가능하여 수시로 유지보수의 필요성이 요구된다는 불편함이 있는 것이었다
[특허문헌 1] 등록실용신안 제20-0391722 (2005.07.27)
따라서 본 발명은 손잡이 설치를 위하여 작업자가 혼자서도 설치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장축의 일측의 핸들이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타측의 핸들이 간단한 조립구조를 취하게 됨으로 도어의 개폐작동을 위한 힘의 전달이 손잡이를 조립하기 위한 조임부에 전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설치된 손잡이가 유동이 전혀 발생되지 않고 견고한 설치상태를 유지토록 한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발명은, 먼저 유리도어의 일면에 연결부재가 형성된 제1손잡이봉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유리도어의 타면에서 연결부재를 체결부재로 결합하여 제1손잡이봉을 고정하고, 상기 체결부재에 결합부재가 형성된 제2손잡이봉을 상단에서 하단방향으로 끼임 조립한 후에 결합부재의 양측에서 조임부속으로 조임고정토록 하여 작업자가 혼자서도 설치작업이 가능하고, 도어의 개폐시에는 힘이 체결부분에 전달되지 않게 되어 손잡이의 유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1손잡이봉에 형성된 연결부재와 제2손잡이봉에 형성된 결합부재는 조임부재에 의해 조립되어 제조를 용이토록 하고, 연결부재를 결합하는 조임부재에 체결부재를 결합나사로 결합토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체결부재는 유리도어에 밀착되는 밀착면과 타측에 체결돌부로 형성되고 결합부재에는 체결돌부가 끼워지는 체결홈이 형성되어 제2손잡이봉을 간단하게 조립토록 한 상태에서 분리가 방지되도록 조임부속으로 고정하여 간단하게 설치토록 한 것이다.
또한 체결돌부와 체결홈은 상협하광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단에서 하단방향으로 체결돌부에 결합부재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여닫이 방식으로 개폐되는 도어의 개폐구조에서 가중되는 힘이 조임부에 전달되지 않고 지지력을 갖으면서 도어가 안정적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유리도어에 손잡이 설치를 작업자가 혼자서도 쉽게 설치할 수 있어 조립의 용이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설치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으며, 도어의 개폐작동에도 힘이 손잡이가 조임된 부분으로 전달되지 않아 조임이 풀리지 않고 견고한 조립상태를 유지하여 제품의 고품질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유리도어 손잡이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조립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유리도어에 제1손잡이봉이 결합된 상태에서 제2손잡이봉이 결합되는 사시도.
도3은 도2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결합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손잡이가 결합된 평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체결부재와 결합부재를 나타낸 정면도.
도6은 본 발명의 체결부재와 결합부재가 결합되는 상태도.
도7은 종래의 유리도어에 손잡이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리도어용 손잡이는 유리도어(100)의 양측면 대응되게 손잡이를 설치하기 위하여 유리도어(100)의 일면에 일정길이로 되어 상,하단에 연결부재(20)가 형성된 제1손잡이봉(10)을 위치시킨 후 유리도어(100)의 타면에서 상기 연결부재(20)를 체결부재(30)로 결합하여 제1손잡이봉(10)을 고정토록 하고 상기 체결부재(30)에 일정길이로 되어 상,하단에 결합부재(50)가 형성된 제2손잡이봉(40)을 상단에서 하단방향으로 결합부재(50)를 체결부재(30)에 끼워 조립토록 한 후에 결합부재(50)의 양측에서 조임부속(60)으로 조임으로 고정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유리도어용 손잡이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가능하면 녹이슬지 않는 스테인레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손잡이봉(10)과 제2손잡이봉(40)에 형성된 연결부재(20)와 결합부재(50)는 용접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거나 제1손잡이봉(10)과 제2손잡이봉(40)의 상,하단에 결합공(11,41)을 형성하여 연결부재(20)와 결합부재(50)를 조임부재(70,80)로 조립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손잡이봉(10)과 제2손잡이봉(40)은 그립감을 위하여 표면이 매끄러운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손잡이봉(10)에 형성된 연결부재(20)와 제2손잡이봉(40)에 형성되는 결합부재(50)는 조립을 위하여 일측이 손잡이봉(10,50)의 매끄러운 표면에 긴밀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만곡절개면(21,51)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20)와 결합부재(50)를 조립토록 할 경우에는 연결부재(20)와 결합부재(50)는 관체로 되어 만곡절개면(21,51)이 형성된 부분이 막혀지게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20)와 결합부재(50)를 각각 제1손잡이봉(10)과 제2손잡이봉(50)의 상,하단에 만곡절개면(21,51)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재(20)는 제1조임부재(70)로 결합하게 되고 상기 결합부재(50)는 제2조임부재(80)로 결합토록 하여 손잡이 설치를 위한 손잡이봉(10,40)의 조립을 완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손잡이봉(10)에 연결부재(20)를 결합하는 제1조임부재(70)는 일측이 나사산으로 된 조임부(71)로 형성되고 타측은 조임작업을 용이토록 하기 위하여 다면체(72)로 이루어진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1조임부재(70)로 제1손잡이봉(10)과 연결부재(20)를 조립하기 위하여 상기 제1조임부재(70)의 조임부(71)가 연결부재(20)를 관통하여 제1손잡이봉(10)의 결합공(11)으로 끼워지고, 제1손잡이봉(10)의 내측에는 너트(74)가 위치되어 상기 조임부(71)가 너트(74)에 조임으로 결합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제2손잡이봉(40)도 제1손잡이봉(10)과 동일한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조임부재(70)를 통하여 유리도어(100)의 타면에서 체결부재(30)를 결합하여 제1손잡이봉(10)을 유리도어(10)에 먼저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제1조임부재(70)의 다면체(72)에는 나사산으로 이루어진 조임홀(73)이 형성되어 유리도어(100)의 타면에서 체결부재(70)가 위치된 상태에서 결합나사(90)로 체결부재(30)를 관통하여 조임홀(73)에 조여지게 되면서 유리도어(100)에 제1손잡이봉(10)의 설치를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체결부재(30)는 유리도어(100)의 밀착을 위한 일측이 밀착면(31)으로 이루어지고, 타측은 제2손잡이봉(40)의 결합을 위한 체결돌부(32)로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유리도어(100)에 밀착되는 연결부재(20)의 단면과 체결부재(30)의 밀착면(31)에는 패킹체(P)가 구비되어 유리도어(100)의 손상을 방지함은 물론, 상기 패킹체(P)가 와샤 역활을 하게 되면서 강한 조임력으로 견고하게 조립되어 풀림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제2손잡이봉(40)에 형성된 결합부재(50)를 체결부재(30)에 체결하여 손잡이 설치를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체결부재(30)의 체결돌부(32)에 제2손잡이봉(40)에 형성된 결합부재(50)가 끼임될 수 있도록 결합부재(50)에는 체결홈(52)이 형성되는 것이고, 제2손잡이봉(40)을 이미 설치된 체결부재(30)의 상단에서 하단방향으로 끼임결합한 후 결합부재(50)의 양측에서 조임부속(60)으로 조여 체결부재(30)를 가압함으로써 손잡이의 설치를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체결부재(30)의 체결돌부(32)는 상협하광으로 형성되고, 결합부재(50)에 형성된 체결홈(52)은 하단이 개구된 상협하광으로 형성되어 결합부재(50)의 결합홈(52)이 체결부재(30)의 체결돌부(32)가 끼임결합되어 여닫이 방식의 도어의 개폐를 위하여 가중되는 힘이 조임부재(70,80)의 조임부분에 전달되지 않고 지지력을 갖으면서 유리도어(100)가 안정적으로 개폐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체결돌부(32)의 상면에는 고정홀(32a)을 형성하고 체결홈(52)에는 상기 고정홀(32a)이 끼임되는 고정돌기(52a)를 형성하여 체결돌부(32)와 체결홈(52)의 체결구조를 더욱 견고하게 결합토록 한 것이다.
10: 제1손잡이봉 11: 결합홀
20: 연결부재 21: 만곡절개면
30: 체결부재 31: 밀착면
32: 체결돌부
40: 제2손잡이봉 41: 결합홀
50: 결합부재 51: 만곡절개면
52: 체결홈
60: 조임부속
70: 제1조임부재 71: 조임부
72: 다면체 73: 조임홀
74: 너트
80: 제2조임부재
90: 결합나사
100: 유리도어
P: 패킹체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유리도어(100)의 일면에 일정길이로 되어 상,하단에 연결부재(20)가 형성된 제1손잡이봉(10)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유리도어(100)의 타면에서 상기 연결부재(20)를 체결부재(30)로 결합하여 고정토록 하고 상기 체결부재(30)에는 일정길이로 되어 상,하단에 결합부재(50)가 형성된 제2손잡이봉(40)을 상단에서 하단방향으로 결합부재(50)를 체결부재(30)에 끼워 조립토록 한 후 결합부재(50)의 양측에서 조임부속(60)으로 조임고정되는 유리도어의 양면으로 손잡이가 설치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30)는 일측에 유리도어(100)에 밀착되는 밀착면(31)과 타측에 상협하광으로 형성된 체결돌부(32)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재(50)에는 체결돌부(32)가 끼워질 수 있게 하단이 개구된 상협하광으로 형성된 체결홈(52)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이 용이하고 유동이 발생되지 않는 장축의 유리 도어용 손잡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돌부(32)의 상면에는 고정홀(32a)이 형성되고, 체결홈(52)에는 상기 고정홀(32a)이 끼임되는 고정돌기(52a)가 형성되어 체결돌부(32)과 체결홈(52)의 체결구조를 더욱 견고하게 보강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이 용이하고 유동이 발생되지 않는 장축의 유리 도어용 손잡이.
KR1020160146941A 2016-11-04 2016-11-04 조립이 용이하고 유동이 발생되지 않는 장축의 유리 도어용 손잡이 KR1018868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6941A KR101886866B1 (ko) 2016-11-04 2016-11-04 조립이 용이하고 유동이 발생되지 않는 장축의 유리 도어용 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6941A KR101886866B1 (ko) 2016-11-04 2016-11-04 조립이 용이하고 유동이 발생되지 않는 장축의 유리 도어용 손잡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0135A KR20180050135A (ko) 2018-05-14
KR101886866B1 true KR101886866B1 (ko) 2018-08-09

Family

ID=62187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6941A KR101886866B1 (ko) 2016-11-04 2016-11-04 조립이 용이하고 유동이 발생되지 않는 장축의 유리 도어용 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686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6544A (ko) 2022-01-28 2023-08-04 최영이 도어 손잡이 고정 시스템
KR20230147255A (ko) 2022-04-14 2023-10-23 최영이 도어 손잡이 고정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79311B (zh) * 2018-07-26 2020-10-30 永康市华南机电有限公司 一种轴向支撑防偏折的玻璃门双向把手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6739Y1 (ko) * 1993-06-22 1995-08-19 박종삼 강화 유리문의 문손잡이 고정장치
KR200391722Y1 (ko) 2005-05-18 2005-08-08 오문선 도어용 손잡이 고정장치
KR200475752Y1 (ko) * 2013-06-14 2014-12-31 조재도 손잡이 연결구
KR101507491B1 (ko) * 2013-06-28 2015-03-30 정수복 강화유리도어의 손잡이 고정장치
KR20160125025A (ko) * 2015-04-21 2016-10-31 김성민 도어용 손잡이 고정 어셈블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6544A (ko) 2022-01-28 2023-08-04 최영이 도어 손잡이 고정 시스템
KR20230147255A (ko) 2022-04-14 2023-10-23 최영이 도어 손잡이 고정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0135A (ko) 2018-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6866B1 (ko) 조립이 용이하고 유동이 발생되지 않는 장축의 유리 도어용 손잡이
US5261203A (en) Movable barrier capable of disassembly
US4671016A (en) Glass fasteners
KR101851983B1 (ko) 커튼월 타입의 창틀 프레임 결합구조
US8141833B1 (en) Connector for connecting grilles to doors
EP3064112A1 (en) Locking device and shower room assembly
JP2007139015A (ja) ジョイント
US6578235B2 (en) Universal inside-outside door handle
KR20060095214A (ko) 경첩
US3410026A (en) Glass door assembly
KR100668440B1 (ko) 경첩
KR20110125574A (ko) 힌지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여닫이문
KR200494562Y1 (ko) 도어용 핸들 결합구
KR200317333Y1 (ko) 방화문용 힌지 결합장치
KR102414296B1 (ko) 여닫이창에 설치되는 방충망 창호
KR200487371Y1 (ko) 현장 시공이 용이한 도어힌지 결합구조를 갖는 도어 프레임
KR102609193B1 (ko) 도어 손잡이 고정 시스템
CN203822055U (zh) 锚固机构及使用该锚固机构的窗户
KR101507491B1 (ko) 강화유리도어의 손잡이 고정장치
KR101986578B1 (ko) 시공 및 조립이 용이한 방충망 도어 모서리 결합구조
KR200325016Y1 (ko) 도어 스톱퍼
JP6888186B2 (ja) 建具
KR200431430Y1 (ko) 도어의 손잡이 어셈블리.
KR20230116544A (ko) 도어 손잡이 고정 시스템
KR200355211Y1 (ko) 강화유리 도어용 브라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