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6435B1 - 팽창 그라파이트에 팽창 고분자 비드가 충전된 하이브리드 필러를 함유한 고방열 복합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팽창 그라파이트에 팽창 고분자 비드가 충전된 하이브리드 필러를 함유한 고방열 복합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6435B1
KR101886435B1 KR1020120024049A KR20120024049A KR101886435B1 KR 101886435 B1 KR101886435 B1 KR 101886435B1 KR 1020120024049 A KR1020120024049 A KR 1020120024049A KR 20120024049 A KR20120024049 A KR 20120024049A KR 101886435 B1 KR101886435 B1 KR 1018864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anded
composite material
graphite
filler
hybrid fi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4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2879A (ko
Inventor
송경화
이한샘
곽진우
최병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24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6435B1/ko
Priority to US13/540,842 priority patent/US8829063B2/en
Publication of KR20130102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2879A/ko
Priority to US14/449,585 priority patent/US9296871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6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64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22After-treatment of expandable particles; Forming foamed products
    • C08J9/228Forming foamed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5/00Heat-transfer, heat-exchange or heat-storage materials, e.g. refrigerants; Materials for the production of heat or cold by chemical reactions other than by combus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13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using fillers dispersed in the moulding material, e.g. metal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7/00Shaping techniques not covered by groups B29C39/00 - B29C65/00, B29C70/00 or B29C73/00
    • B29C67/20Shaping techniques not covered by groups B29C39/00 - B29C65/00, B29C70/00 or B29C73/00 for porous or cellular articles, e.g. of foam plastics, coarse-pored
    • B29C67/202Shaping techniques not covered by groups B29C39/00 - B29C65/00, B29C70/00 or B29C73/00 for porous or cellular articles, e.g. of foam plastics, coarse-pored comprising elimination of a solid or a liquid ingredi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58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fillers only, e.g. particles, powder, beads, flakes, spheres
    • B29C70/66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fillers only, e.g. particles, powder, beads, flakes, spheres the filler comprising hollow constituents, e.g. syntactic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61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characterized by the use of several polymeric compon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66Use of inorganic compounding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32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from compositions containing microballoons, e.g. syntactic foa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12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e.g. anisotropy, viscosity or electrical conductiv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6Poly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7/02Polyamides derived from omega-amino carboxylic acids or from lactam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5/00Heat-transfer, heat-exchange or heat-storage materials, e.g. refrigerants; Materials for the production of heat or cold by chemical reactions other than by combustion
    • C09K5/08Materials not undergoing a change of physical state when used
    • C09K5/14Solid materials, e.g. powdery or granul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3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electrically insulating or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4Rods or plates
    • H01M10/6555Rods or plates arranged between the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13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using fillers dispersed in the moulding material, e.g. metal particles
    • B29C2045/0015Non-uniform dispersion of fi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36Feeding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C44/38Feeding the material to be shaped into a closed space, i.e. to make articles of definite length
    • B29C44/42Feeding the material to be shaped into a closed space, i.e. to make articles of definite length using pressure difference, e.g. by injection or by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36Feeding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C44/46Feeding the material to be shaped into an open space or onto moving surfaces, i.e. to make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 B29C44/50Feeding the material to be shaped into an open space or onto moving surfaces, i.e. to make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using pressure difference, e.g. by extrusion or by spra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6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ontain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inserts
    • B29K2105/16Fi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6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ontain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inserts
    • B29K2105/16Fillers
    • B29K2105/165Hollow fillers, e.g. microballoons or expanded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12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12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29K2995/0013Conduc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4Electrical apparatus, e.g. sparking plugs or parts thereof
    • B29L2031/3468Batteries, accumulators or fuel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 B29L2031/7146Battery-c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77/02Polyamides derived from omega-amino carboxylic acids or from lactam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14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polymeric additives characterised by shape
    • C08L2205/18Spheres
    • C08L2205/20Hollow sphe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Semiconductors Or Solid Stat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팽창 그라파이트에 팽창 고분자 비드가 충전된 하이브리드 필러를 함유한 고방열 복합재에 관한 것으로, 팽창 그라파이트의 적층 판상구조 사이에 형성된 포어(pore)에 열에 의해 팽창하는 특성을 지닌 열가소성 고분자 비드를 충전하여 하이브리드 필러를 형성하고 이를 매트릭스 고분자에 분산시켜 열처리함으로써 기존 방열 복합재에 비해 방열특성이 우수하고 열적 이방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전기자동차 배터리시스템의 셀 모듈내 파우치 셀 사이에 삽입되는 플레이트 소재, 배터리 케이스 및 하우징 소재 등으로 활용될 수 있는 팽창 그라파이트에 팽창 고분자 비드가 충전된 하이브리드 필러를 함유한 고방열 복합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팽창 그라파이트에 팽창 고분자 비드가 충전된 하이브리드 필러를 함유한 고방열 복합재 및 그 제조방법 {High radiant heat composites containing hybrid filler containing expended graphite filled with expandable polymeric beads and a fabrication process thereof}
본 발명은 팽창 그라파이트에 팽창 고분자 비드가 충전된 하이브리드 필러를 함유한 고방열 복합재에 관한 것으로, 팽창 그라파이트의 적층 판상구조 사이에 형성된 포어(pore)에 열에 의해 팽창하는 특성을 지닌 열가소성 고분자 비드를 충전하여 하이브리드 필러를 형성하고 이를 매트릭스 고분자에 분산시켜 열처리함으로써 기존 방열 복합재에 비해 방열특성이 우수하고 열적 이방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전기자동차 배터리시스템의 셀 모듈내 파우치 셀 사이에 삽입되는 플레이트 소재, 배터리 케이스 및 하우징 소재 등으로 활용될 수 있는 팽창 그라파이트에 팽창 고분자 비드가 충전된 하이브리드 필러를 함유한 고방열 복합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자동차용 배터리는 고속 충전, 고출력, 반복 충전 횟수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열로 국부적인 온도 차이나 고열 발생으로 배터리의 효율 및 안정성을 저해하는 thermal runaway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는 배터리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보다 외부로의 열확산 능력이 부족하여 초래된다.
종래에는 배터리 케이스 및 하우징 소재로써 PC+ABS, PA, PP등의 플라스틱 기질에 난연 필러인 미네랄 필러가 20~30 wt% 충전된 소재를 사용하는데 이는 난연성, 내화학성, 절연성, 내구성 등의 기능을 보유하고 있지만 방열의 특성은 전혀 없다. 또한 개발되고 있는 방열 복합재의 경우 사출 공정상 필러의 배향에 의해 열적 이방성이 발생하고 있으며, 필러와 수지 각 컴포넌트간 계면에서 발생하는 열전달 저항현상 때문에 고열전도를 얻기에는 한계가 있다.
일반적으로 고분자 기반의 방열 복합소재로써 고방열성 필러를 사용하는데 고방열성 필러는 일반적으로 판상 형상인 경우가 유리하다. 이는 섬유상이나 구상 필러의 경우 필러간 접촉이 plane 컨택이 아닌 point 컨택으로 이루어지므로 격자 진동자(포논)의 전달 효율성을 급격히 저하시킬 수 있다. 판상의 고방열성 필러로는 보론나이트라이드, 그라파이트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판상입자로 고충전된 복합재 수지를 사출성형에 의해 시편으로 제작할 경우 사출 방향으로 가해지는 전단력에 의해 충전된 판상입자가 한 방향으로 배향되어 열전도성의 이방성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기존의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되는 고충전 방열복합소재는 낮은 수지의 흐름성으로 인한 작업성 저하 및 충전되는 필러의 높은 가격, 그리고 중량 증가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 연구중인 판상과 구형 두 타입의 필러를 혼합한 하이브리드 필러는 전체 필러의 고충전에 의한 중량 증가 및 구형 입자의 상대적으로 낮은 열전도성에 의해 열전달 효율이 극대화 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으며, 구형입자와 판상입자 사이를 채우고 있는 고분자 수지 및 충전되는 입자들의 공극에서 포논의 스캐터링 현상으로 열에너지 전달능력이 감소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한편 고분자 기반 방열 복합소재의 열전달 저항인자로는 매트릭스 수지와 필러간 계면 저항, 필러내 디펙트에 의한 저항, 필러간 컨택부에 있어 발생하는 저항이 대표적이며 이러한 저항 인자들로 인해 열전도 효율이 급격히 저하된다.
먼저, 매트릭스 수지와 필러간 계면저항은 계면 안정성과 연관이 되는데 이를 위해서는 수지가 필러의 표면에 잘 함침이 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서 기계적 물성의 증대도 동시에 이룰 수 있다. 필러내 디펙트에 의한 저항은 필러의 선정단계와 전처리 과정 중에서 물리적인 요소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필러간 컨택부에서의 계면저항은 필러간 면접촉을 극대화함으로써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판상입자간 면접촉을 위한 Densification 공정이 필요하다. 판상입자의 Densification 공정은 포논 전달의 효율을 위해 필수적이나 벌키한 네트워크의 collapse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위해서는 입자들의 네트워크를 유지하면서 판상입자간 Densification 공정을 유도해야 한다.
종래 이러한 팽창 그라파이트 또는 팽창 고분자를 함유한 복합재에 관해 한국공개특허 제 10-2010-0031981 호에는 그라펜, 팽창된 흑연 혹은 변성되지 않은 흑연과 같은 흑연계 도전성 물질들을 고분자 매트릭스에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제조한 도전성이 좋은 고분자/그라펜 나노복합재료에 관해 개시되어 있으나 상기 흑연은 표면에 극성기의 양이 적어 고분자에 효과적으로 분산하는 것이 어렵고 판상 입자간 사이가 치밀하지 않아 열전도도가 낮은 단점이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 10-0542660 호에는 우수한 열적 및 기계적 특성을 갖는 팽창흑연/에폭시 나노복합재 조성물 및 나노복합재에 관한 것으로 산처리 및 열처리된 팽창흑연을 에폭시 수지와 용융 혼합하여 제조한 나노복합재에 관해 개시되어 있으나 팽창 흑연의 입자 형상에 따라 이방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파우치 타입의 리튬 이온 배터리 사이에 계면플레이트 소재로 삽입되거나 고정된 배터리 셀과 계면 플레이트 모듈을 효과적으로 체결하고 내구성을 확보하기 위한 상판, 하판 커버 (이하 ‘하우징’이라 함)로 사용 가능한 전기자동차용 열 제어 부품 소재로써 고용량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패키지의 수명 및 안정성 확보를 위하여 배터리에서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할 수 있는 소재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팽창 그라파이트의 판상 입자로 형성된 포어 공간에 팽창 고분자 비드를 충전시켜 열처리한 하이브리드 필러를 매트릭스 고분자에 분산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방열 복합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열전달 특성 및 열적 이방성 문제를 동시에 만족하는 고방열 복합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팽창 그라파이트에 팽창 고분자 비드를 충전시켜 열처리한 하이브리드 필러를 매트릭스 고분자에 분산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필러를 함유한 고방열 복합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방열 복합재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써,
팽창 고분자 비드를 에탄올에 분산시켜 분산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팽창 고분자 비드가 분산된 분산용액에 팽창 그라파이트를 침지시키는 단계;
상기 팽창 그라파이트가 침지된 분산용액을 열처리하여 에탄올을 제거하고 하이브리드 필러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단계에서 제조된 하이브리드 필러를 매트릭스 고분자에 분산시켜 시편을 제조하는 압/사출 공정을 통해 하이브리드 필러를 함유한 고방열 복합재를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고방열 복합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팽창 그라파이트와 열에 의해 팽창이 가능한 마이크로 비드를 열처리하여 하이브리드 필러를 형성하고 이를 매트릭스 고분자에 분산시켜 압/사출공정을 통해 복합재를 제조함으로써 기존 방열 복합재에 비해 방열특성이 우수하며 열적 이방성 문제가 해결된 고방열 복합재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시스템의 신뢰성, 안전성 및 수명이 향상된 전기자동차 배터리시스템의 셀 모듈내 파우치 셀 사이에 삽입되는 플레이트 소재, 배터리 케이스 및 하우징 소재 등으로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팽창 고분자 비드의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실시예에 의해 제조되는 하이브리드 필러의 모식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고방열 복합재의 미세구조를 단계별로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하나의 구현 예로써 더욱 자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팽창 그라파이트에 팽창 고분자 비드를 충전시켜 열처리한 하이브리드 필러를 매트릭스 고분자에 분산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필러를 함유한 고방열 복합재를 제공한다.
상기 팽창 그라파이트는 팽창율이 200 ~ 400의 범위인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 범위를 벗어날 경우 팽창에 의해 포어가 형성되지 않는다.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300 ~ 350정도의 팽창율을 지닌 그라파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여기에서 팽창은 500 ~ 800 oC의 열처리 과정을 통해 판상입자 사이에 충전된 intercalant가 기화되면서 판상입자에 압력을 가하여 적층되어 있는 판상입자 사이가 벌어지고 입자의 가장자리 부분이 붙어 3차원적으로 포어를 형성하게 되는 공정을 말한다.
즉, 상기 팽창 그라파이트는 판상이 적층된 형태로써 그라파이트의 판상사이를 산처리 및 열처리하여 팽창시킨 형태의 그라파이트로 기존 그라파이트보다 벌크덴서티가 낮고 표면적이 넓으며 판상입자들 사이에 마이크로 보이드가 형성되어 모세관 현상에 의해 흡습성이 아주 우수한 특성을 지니고 있다. 이때 상기 팽창 그라파이트의 평균 입자크기는 600 ~ 1500 ㎛이고, 형성된 포어 사이즈는 1 ~ 15 ㎛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팽창 그라파이트는 팽창과 함께 판상입자간 효과적으로 네트워크가 형성되어 열전달 특성 발현에 아주 유리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사출 공정 중 전단력에 의한 이방성 문제 혹은 네트워크 붕괴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팽창 그라파이트 단독으로는 열적 특성 향상에 한계가 있다.
상기 팽창 고분자 비드(expandable microbead, E 비드)는 핵(core)이 액화 탄화수소이고 껍질(shell)이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구형 입자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팽창 고분자 비드는 가열 시 플라스틱 shell부분이 소프트 해지고 core부에 액상에서 압력이 증가하여 입자자체가 팽창하는 메커니즘을 지닌 마이크로 비드로 상업적으로 다양한 그레이드의 제품(ex, Expancel)이 있다. 이때 상기 팽창 고분자 비드의 평균 입자크기는 1 ~ 10㎛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2 ~ 3㎛인 것이 좋다.
상기 팽창 그라파이트와 팽창 고분자 비드의 혼합비는 (5 ~ 20):(10 ~ 40) 중량비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팽창 그라파이트가 팽창 고분자 비드에 비해 많으면 팽창 그라파이트에 팽창 고분자 비드가 100 % 충전되지 않으므로 비드의 팽창에 의한 열전달 특성 증대효과가 저하될 수 있으며 반대로 팽창 그라파이트가 팽창 고분자 비드에 비해 적으면 열전도도가 낮은 고분자 비드가 그라파이트 포어상이 아닌 매트릭스 자체에 분산되므로 제조되는 복합재의 열전도도가 급격히 저하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열처리를 통해 팽창 고분자 비드를 팽창 그라파이트의 마이크로 공간 사이에 충전시킨 후 열처리에 의해 비드를 팽창시켜 판상입자의 Densification 공정을 유도하여 입자간 면 접촉 증대로 포논 전달의 효율성을 높임과 동시에 팽창 그라파이트에서 형성된 네트워크 구조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매트릭스 고분자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틸렌, 폴리알킬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미드수지, 폴리아세탈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술폰 또는 폴리이미드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방열 복합재의 팽창 그라파이트와 팽창 고분자 비드는 초기 팽창 그라파이트와 팽창 고분자 비드의 평균 입자크기에 비해 각각 900 ~ 2000㎛와 3 ~ 5㎛의 평균 입자크기로 증가한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초기 팽창 그라파이트와 팽창 고분자 비드의 입자크기에서 각각 약 1.5배 증가한 것이다. 이때 기존 PA6 베이스의 일반 그라파이트 복합재에 비해 상기 고방열 복합재의 열전도도는 40 ~ 50 wt%의 충전율에서 사출방향과 두께방향 모두에서 10 ~ 20 W/mK 의 열전도 특성을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팽창 고분자 비드를 에탄올에 분산시켜 분산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팽창 고분자 비드가 분산된 분산용액에 팽창 그라파이트를 침지시키는 단계;
상기 팽창 그라파이트가 침지된 분산용액을 열처리하여 에탄올을 제거하고 하이브리드 필러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단계에서 제조된 하이브리드 필러를 매트릭스 고분자에 분산시켜 시편을 제조하는 압/사출 공정을 통해 하이브리드 필러를 함유한 고방열 복합재를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하이브리드 필러를 함유한 고방열 복합재를 제조한다.
이때 상기 팽창 고분자 비드의 함량은 에탄올 및 팽창 그라파이트 총량대비 10 wt%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이브리드 필러의 제조단계 시 열처리 온도는 80 ~ 120 ℃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팽창 고분자 비드가 1차 팽창하여 팽창 그라파이트 판상입자들 간의 고밀도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사출공정 단계 시 하이브리드 필러의 함량은 매트릭스 고분자 대비 40 ~ 50 wt%인 것이 좋다. 이는 하이브리드 필러의 양이 50 wt% 보다 많으면 시편의 기계적 물성 저하를 유발할 수 있으며 반대로 40 wt% 보다 적으면 필러간 열전달 경로를 형성하지 못하여 원하는 열전도도를 얻지 못하게 된다.
상기 압/사출공정 단계 시 사출온도는 180 ~ 280 ℃ 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팽창 고분자 비드가 2차 팽창되는데 이는 팽창 그라파이트의 플레이트 사이 간격이 조금 더 넓어지게 되어 필러 표면으로의 고분자 수지 함침을 좋게 한다. 따라서 수지와 필러간 계면 안정성이 증대하여 복합재의 기계적 물성 증대와 수지-필러간 열전달 계면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는 바, 본 발명이 다음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 하이브리드 필러를 함유한 복합재의 제조
10-40g의 2~3 mm크기의 팽창 고분자 비드(expandable microbead, E 비드)를 상온의 마일드한 조건(100 rpm)에서 교반을 통해 에탄올(100 ml)에 분산시킨다.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E 비드 에탄올 분산용액에 팽창 그라파이트(Expandable Graphite, EG) 5-20g을 침지한 후 상온에서 30분간 방치한 후 80 oC 이상으로 승온하여 에탄올을 제거하고 E 비드를 팽창시켜 네트워크를 유지하면서 판상입자간 Densification을 유도한다. 제조된 하이브리드 필러는 폴리아마이드 (PA6) 매트릭스 수지에 분산되는 압출 혹은 사출공정을 통해 E 비드의 2차 팽창이 일어나고 포어가 확대되면서 모세관 현상에 의한 수지 함침 차단 현상이 없어지면서 멜트상의 PA6 수지가 EG의 벌어진 포어(pore)사이로의 함침이 우수해진 고방열 복합재가 제조된다.
실험예 : 하이브리드 필러를 함유한 복합재의 열전도 특성 결과
기존 PA6 베이스의 일반 그라파이트 복합재의 열전도도는 40~50 wt% 충전으로 5.0 ~ 8.0 W/mK (사출방향, In-plane), 2.0 ~ 3.0 W/mK (두께방향, through-plane)정도의 값을 보이며 이방성 특징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반면 본 발명을 통해 제조되는 EG-E비드 하이브리드 컴파짓 시편의 경우 동일 충전율에서 사출방향과 두께방향 모두에서 10 W/mK급 이상의 열전도 특성을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도 3의 II단계에서 보는 바와 같이 E비드를 이용한 Desification공정으로 팽창 그라파이트 플레이트들간의 접촉면이 증대되면서 네트워크 구조는 그대로 유지되고 네트워크를 통해 열전달 경로가 효과적으로 형성되어 필러 계면간 컨택 면적을 극대화하여 열전달 특성을 높임과 동시에 구형의 비드입자로 인한 열적 이방성 문제를 해결하고 필러와 수지간 계면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1 : 팽창 열가소성 비드
2 : EG포어에 삽입된 팽창 열가소성 비드 형상
3 : 팽창 그라파이트 플레이트
4 : 용액(에탄올)
5 : 팽창전의 팽창 열가소성 비드
6 : 팽창 그라파이트 플레이트
7 : 에탄올이 제거되고 E 비드가 충전/팽창된 EG포어
8 : 팽창 그라파이트 플레이트의 Densificaton
9 : 팽창되고 치밀화된 그라파이트 플레이트의 네트워크
10 : 팽창 후의 팽창 열가소성 비드
11 : 열전달 경로
12 : 열가소성 매트릭스

Claims (16)

  1. 팽창 그라파이트에 팽창 고분자 비드를 충전시켜 열처리한 하이브리드 필러를 매트릭스 고분자에 분산시킨 것으로,
    상기 팽창 그라파이트와 팽창 고분자 비드는 초기 팽창 그라파이트와 팽창 고분자 비드의 평균 입자크기에 비해 각각 900 ~ 2000 ㎛와 3 ~ 5 ㎛의 평균 입자크기로 증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필러를 함유한 고방열 복합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 그라파이트는 판상 사이를 산처리 및 열처리하여 팽창시킨 그라파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필러를 함유한 고방열 복합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 그라파이트는 팽창율이 200 ~ 400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필러를 함유한 고방열 복합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 그라파이트의 평균 입자크기는 600 ~ 15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필러를 함유한 고방열 복합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 고분자 비드의 평균 입자크기는 2 ~ 3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필러를 함유한 고방열 복합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 그라파이트와 팽창 고분자 비드의 혼합비는 (5 ~ 20) : (10 ~ 40) 중량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필러를 함유한 고방열 복합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릭스 고분자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틸렌, 폴리알킬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미드수지, 폴리아세탈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술폰 또는 폴리이미드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필러를 함유한 고방열 복합재.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방열 복합재의 열전도도는 10 ~ 20 W/mK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필러를 함유한 고방열 복합재.
  10. 팽창 고분자 비드를 에탄올에 분산시켜 분산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팽창 고분자 비드가 분산된 분산용액에 팽창 그라파이트를 침지시키는 단계;
    상기 팽창 그라파이트가 침지된 분산용액을 열처리하여 에탄올을 제거하고 하이브리드 필러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단계에서 제조된 하이브리드 필러를 매트릭스 고분자에 분산시켜 시편을 제조하는 압/사출 공정을 통해 하이브리드 필러를 함유한 고방열 복합재를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필러를 함유한 고방열 복합재의 제조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 고분자 비드의 함량은 에탄올 및 팽창 그라파이트 총량대비 10 w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필러를 함유한 고방열 복합재의 제조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브리드 필러의 제조단계 시 열처리 온도는 80 ~ 12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필러를 함유한 고방열 복합재의 제조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브리드 필러의 제조단계에서 팽창 고분자 비드의 1차 팽창이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필러를 함유한 고방열 복합재의 제조방법.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압/사출공정 단계 시 하이브리드 필러의 함량은 매트릭스 고분자 대비 40~50 w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필러를 함유한 고방열 복합재의 제조방법.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압/사출공정 단계 시 사출온도는 180 ~ 28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필러를 함유한 고방열 복합재의 제조방법.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압/사출공정 단계 시 팽창 고분자 비드가 2차 팽창되고 팽창 그라파이트의 포어가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필러를 함유한 고방열 복합재의 제조방법.
KR1020120024049A 2012-03-08 2012-03-08 팽창 그라파이트에 팽창 고분자 비드가 충전된 하이브리드 필러를 함유한 고방열 복합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8864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4049A KR101886435B1 (ko) 2012-03-08 2012-03-08 팽창 그라파이트에 팽창 고분자 비드가 충전된 하이브리드 필러를 함유한 고방열 복합재 및 그 제조방법
US13/540,842 US8829063B2 (en) 2012-03-08 2012-07-03 High heat radiation composite and a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14/449,585 US9296871B2 (en) 2012-03-08 2014-08-01 High heat radiation composite and a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4049A KR101886435B1 (ko) 2012-03-08 2012-03-08 팽창 그라파이트에 팽창 고분자 비드가 충전된 하이브리드 필러를 함유한 고방열 복합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2879A KR20130102879A (ko) 2013-09-23
KR101886435B1 true KR101886435B1 (ko) 2018-08-07

Family

ID=49114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4049A KR101886435B1 (ko) 2012-03-08 2012-03-08 팽창 그라파이트에 팽창 고분자 비드가 충전된 하이브리드 필러를 함유한 고방열 복합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8829063B2 (ko)
KR (1) KR10188643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2775A (ko) 2019-06-13 2020-12-23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공기입타이어
KR102481189B1 (ko) * 2022-01-11 2022-12-26 대진첨단소재 주식회사 난연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배터리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2307B1 (ko) * 2015-04-15 2018-06-29 주식회사 엘지화학 핫 멜팅 고정 구조를 이용한 전지팩의 제조방법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전지팩
CN106589553B (zh) * 2016-12-20 2018-10-19 天津中财型材有限责任公司 一种地源热泵管材
US10741471B2 (en) * 2018-01-19 2020-08-11 Laird Technologies, Inc. Highly compliant non-silicone putties and thermal interface materials including the same
JP7234560B2 (ja) * 2018-09-28 2023-03-08 日本ゼオン株式会社 熱伝導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7184953B2 (ja) * 2020-03-31 2022-12-06 日東電工株式会社 複合材料
EP3937296A1 (en) * 2020-07-07 2022-01-12 Illinois Tool Works, Inc. Thermal blocking sheet
WO2022197639A1 (en) * 2021-03-13 2022-09-22 Cleanfiber, Llc Biomass-derived polymer and cellulose material composition for insulation
CN113839122B (zh) * 2021-09-24 2022-07-19 傲普(上海)新能源有限公司 一种增加相变散热的方法及电池包结构
KR20240034997A (ko) * 2022-09-08 2024-03-15 임석대 화재 안전 전기 이중층 소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37860A (ja) * 2004-11-12 2006-06-01 Hitachi Chem Co Ltd 熱伝導シート
JP2010528167A (ja) * 2007-05-30 2010-08-19 イネオス ノヴァ アンテルナシオナル ソシエテ アノニム 難燃性ポリスチレン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176006T3 (es) 1998-07-27 2002-11-16 Basf Ag Procedimiento para la obtencion de polimeros de estireno explandibles,que contienen particulas de grafito expansivo.
DE19845891A1 (de) * 1998-10-06 2000-04-20 Schwenk Daemmtechnik Gmbh & Co Schaumstoffe auf Basis von Styropolymerisaten
DE59907232D1 (de) * 1998-12-09 2003-11-06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expandierbaren polystyrolteilchen
DE10105618A1 (de) * 2001-02-08 2002-08-22 Basf Ag Expandierbare Polyolefinpartikel
KR20040108392A (ko) * 2003-06-17 2004-12-24 박대병 저주파 마사지기
KR100610392B1 (ko) 2004-11-01 2006-08-09 대림산업 주식회사 열가소성 수지계 난연성 발포체 및 그 제조방법
KR100780926B1 (ko) 2006-06-17 2007-11-30 주식회사 경동세라텍 난연성이 우수한 발포플라스틱 성형체의 제조방법
KR101096797B1 (ko) 2007-11-19 2011-12-22 현대이피 주식회사 발포성 폴리스티렌 비드 및 그 제조방법
US7790285B2 (en) * 2007-12-17 2010-09-07 Nanotek Instruments, Inc. Nano-scaled graphene platelets with a high length-to-width aspect ratio
US8974862B2 (en) * 2009-11-03 2015-03-10 Jong-Sam Yu Method of manufacturing composite carbon sheet using expanded graphite sheet and mixed dispersion solution
US9187612B2 (en) * 2010-08-11 2015-11-17 Imerys Graphite & Carbon Switzerland Sa Ground expanded graphite agglomerates, methods of making, and applications of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37860A (ja) * 2004-11-12 2006-06-01 Hitachi Chem Co Ltd 熱伝導シート
JP2010528167A (ja) * 2007-05-30 2010-08-19 イネオス ノヴァ アンテルナシオナル ソシエテ アノニム 難燃性ポリスチレン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2775A (ko) 2019-06-13 2020-12-23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공기입타이어
KR102481189B1 (ko) * 2022-01-11 2022-12-26 대진첨단소재 주식회사 난연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배터리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339461A1 (en) 2014-11-20
KR20130102879A (ko) 2013-09-23
US9296871B2 (en) 2016-03-29
US8829063B2 (en) 2014-09-09
US20130237621A1 (en) 2013-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6435B1 (ko) 팽창 그라파이트에 팽창 고분자 비드가 충전된 하이브리드 필러를 함유한 고방열 복합재 및 그 제조방법
Hamidinejad et al. Enhanced thermal conductivity of graphene nanoplatelet–polymer nanocomposites fabricated via supercritical fluid-assisted in situ exfoliation
Yao et al. Construction of 3D skeleton for polymer composites achieving a high thermal conductivity
Si et al. Enhancing thermal conductivity via conductive network conversion from high to low thermal dissipation in polydimethylsiloxane composites
Wang et al. A roadmap review of thermally conductive polymer composites: critical factors, progress, and prospects
Zhao et al. A critical review of the preparation strategies of thermally conductive and electrically insulating polymeric materials and their applications in heat dissipation of electronic devices
Yuan et al. Thermal conductivity of polymer-based composites with magnetic aligned hexagonal boron nitride platelets
Yuan et al. Fabrication of thermally conductive and electrically insulating polymer composites with isotropic thermal conductivity by constructing a three-dimensional interconnected network
Zhao et al. Graphene oxide aerogel beads filled with phase change material for latent heat storage and release
Kim et al. Therm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epoxy composites with a binary particle filler system consisting of aggregated and whisker type boron nitride particles
Wu et al. A review of three-dimensional graphene networks for use in thermally conductive polymer composites: construction and applications
JP2017008321A (ja) フィラー高充填高熱伝導性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組成物、塗料液、および成形品
Ding et al. Development of thermally conductive polymer matrix composites by foaming‐assisted networking of micron‐and submicron‐scale hexagonal boron nitride
Yang et al. Highly thermally conductive and superior electrical insulation polymer composites via in situ thermal expansion of expanded graphite and in situ oxidation of aluminum nanoflakes
Lin et al. Construction of a 3D interconnected boron nitride nanosheets in a PDMS matrix for high thermal conductivity and high deformability
CN109762204B (zh) 三维结构氮化硼-氧化石墨烯杂化材料、其制备方法及作为填料在导热复合材料的用途
Yoon et al. Review on three-dimensional ceramic filler networking composites for thermal conductive applications
Xu et al. The synergistic effects on enhancing thermal conductivity and mechanical strength of hBN/CF/PE composite
CN110734644A (zh) 一种导热绝缘氮化硼高分子复合材料及制备方法
Xu et al. Enhanced thermal conductivity and electrically insulating of polymer composites
Wei et al. Green recycling of aluminum plastic packaging waste by solid‐state shear milling and 3D printing for thermal conductive composites
Kang et al. A novel phase change composite with ultrahigh through-plane thermal conductivity and adjustable flexibility
Wang et al. Preparation of a 3D BN network structure by a salt‐template‐assisted method filled with epoxy resin to obtain high thermal conductivity nanocomposites
Wang et al. Highly thermally conductive polymer composite enhanced by constructing a dual thermal conductivity network
Danial et al. Recent advances on the enhanced thermal conductivity of graphene nanoplatelets composites: a short revie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