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6234B1 - 연속 가변 밸브리프트 장치의 모터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연속 가변 밸브리프트 장치의 모터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6234B1
KR101886234B1 KR1020120057071A KR20120057071A KR101886234B1 KR 101886234 B1 KR101886234 B1 KR 101886234B1 KR 1020120057071 A KR1020120057071 A KR 1020120057071A KR 20120057071 A KR20120057071 A KR 20120057071A KR 101886234 B1 KR101886234 B1 KR 1018862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target value
rotational force
variable valve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7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3941A (ko
Inventor
김병진
Original Assignee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57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6234B1/ko
Publication of KR20130133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39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6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62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3/00Controlling the engine output power by varying inlet or exhaust valve operating characteristics, e.g. timing
    • F02D13/02Controlling the engine output power by varying inlet or exhaust valve operating characteristics, e.g. timing during engine operation
    • F02D13/0203Variable control of intake and exhaust valves
    • F02D13/0207Variable control of intake and exhaust valves changing valve lift or valve lift and tim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3/00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 F01L13/0015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for optimising engine performances by modifying valve lift according to various working parameters, e.g. rotational speed, load, torqu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2820/00Details on specific features characterising valve gear arrangements
    • F01L2820/03Auxiliary actuators
    • F01L2820/032Electric mo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utput Control And Ontrol Of Special Type Engine (AREA)

Abstract

연속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의 모터 제어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속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의 모터 제어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모터 회전력에 대한 목표치와 연속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의 콘트롤 샤프트로부터 공급되는 가변 밸브의 위치값을 토대로 도출된 모터 회전력에 대한 실측치의 차를 연산한 후 연산된 모터 회전력에 대한 목표치 및 실측치의 차를 기반으로 도출된 보정치로 상기 목표 회전력에 대한 목표치를 보정한 후 상기 보정된 목표치를 모터에 제공함에 따라, 연속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에 대한 응답성 저하로 인해 발생되는 운전자의 요구에 대한 반응 속도 저하 및 연비 저하를 근복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잇점을 가진다.

Description

연속 가변 밸브리프트 장치의 모터 제어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MOTOE OF CVVL}
본 발명은 연속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의 모터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속 가변 밸브리프트 가변 장치의 모터 회전력에 대한 목표치와 실측치의 차에 따라 모터 회전력에 대한 목표치를 보정할 수 있도록 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엔진의 흡/배기 밸브가 갖는 기능은 실린더 내 흡기와 배기의 흐름을 제어하고, 실린더 내의 기밀을 유지하는 것이다.
즉, 압축 행정과 폭발 행정 시에는 흡/배기 밸브가 모두 닫혀 실린더 내의 기밀을 유지하고, 흡입 행정과 배기 행정 시에는 각각 흡기 밸브 또는 배기 밸브만이 열려 연료가스의 흡입과 연소가스의 배출이 이루어진다.
상기 밸브의 개폐는 캠 샤프트에 형성된 캠이 밸브의 단부를 로커아암(스윙아암)을 통해 누름으로써 이루어지며, 상기 캠 샤프트는 크랭크 샤프트의 회전력을 타이밍 체인 또는 타이밍 벨트를 매개로 전달받아 회전된다.
한편, 상기 밸브의 기밀성, 흡/배기 가스의 양 등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는 밸브 리프트(Valve lift)로서, 이는 밸브 페이스가 밸브 시트로부터 떨어지는 거리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흡기 밸브의 경우 밸브 리프트가 클수록 흡입 시 실린더 내로 유입되는 외기 또는 연료 가스의 양이 많아지고, 배기 밸브의 경우 밸브 리프트가 클수록 배기시 배출되는 연소가스의 양이 늘어나 흡/배기 효율이 높아진다.
한편, 상기 밸브 리프트를 모터와 소정 구성의 기구를 통해 연속적으로 가변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 연속 가변밸브 리프트 장치이다.
연속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이하, CVVL)는 각 자동차 제조사마다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 있으며, 그 명칭을 달리하기도 하나, 모두 하이밸브리프트(high valve lift) 작동상태와 로우밸브리프트(low valve lift) 작동상태의 원활한 전환과 하이/로우 밸브리프트 및 로스트모션각(lost motion angle)의 제어를 통해 연속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의 효과(엔진 출력을 향상시키고 연비를 개선함)를 향상시키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즉, 연속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에 있어 운전 조건 및 엔진 회전수를 기반으로 설정된 흡기량을 보정할 수 있는 로직이 필요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운전 조건 및 엔진 회전수를 기반으로 상기 모터 회전력에 대한 목표치를 설정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모터 회전력에 대한 목표치에 대응되는 전압을 PWM 신호를 변환하는 모터 제어부와, 상기 모터 제어부의 PWM 신호를 제공받아 회전하여 연속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를 구동하는 모터 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터 회전력에 대한 목표치와 상기 연속 가변 밸브 리프트의 위치값을 기반으로 도출된 모터 회전력의 실측치의 차를 연산하고, 연산된 목표치와 실측치와의 차를 기반으로 모터 회전력에 대한 목표치에 대응되는 상기 전압을 보정하고 보정된 전압을 상기 모터 제어부로 제공하도록 구비되는 연속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의 모터 제어 장치를 제공하여, 연속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에 대한 응답 성 저하를 근복적으로 향상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제어부에서 운전 조건 및 회전수를 기반으로 설정된 모터의 회전력에 대한 목표치에 따라 모터가 회전하고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연속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의 흡기 배기 밸브 리프트를 제어하는 연속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의 모터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터 회전력에 대한 목표치와 연속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의 위치값을 토대로 도출된 모터 회전력에 대한 실측치의 차를 연산하는 연산 단계와, 상기 모터 회전력에 대한 목표치 및 실측치의 차를 기반으로 도출된 보정치로 상기 목표치를 보정한 후 상기 보정된 목표치를 모터에 제공하는 보정 단계를 포함하는 연속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의 모터 제어 방법을 제공하여, 연속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에 대한 응답 성 저하를 근복적으로 향상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연속 가변 밸브 리프트 제어 장치의 모터 제어 방법은,
제어부에서 운전 조건 및 회전수를 기반으로 설정된 모터의 회전력에 대한 목표치에 따라 모터가 회전하고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연속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의 흡기 배기 밸브 리프트를 제어하는 연속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의 모터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터 회전력에 대한 목표치와 연속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의 콘트롤 샤프트로부터 공급되는 가변 밸브의 위치값을 토대로 도출된 모터 회전력에 대한 실측치의 차를 연산하는 연산 단계와,
상기 모터 회전력에 대한 목표치 및 실측치의 차를 기반으로 도출된 보정치로 상기 목표치를 보정한 후 상기 보정된 목표치를 모터에 제공하는 보정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모터 회전력에 대한 목표치는
상기 목표치에 대응되는 전압을 PWM 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모터로 제공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른 연속 가변 밸브 리프트 제어 장치의 모터 제어 방법은,
제어부에서 운전 조건 및 회전수를 기반으로 설정된 모터의 회전력에 대한 목표치에 따라 모터가 회전하고,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연속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의 흡기 배기 밸브 리프트를 제어하는 연속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의 모터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터 회전력에 대한 실측치와 목표치의 차를 토대로 연속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에 대한 응답성을 저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판정 결과를 토대로 연속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에 대한 부하량을 판정하고 상기 부하량에 따라 도출된 보정치로 상기 목표치를 보정한 후 보정된 목표치를 상기 모터에 제공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3 관점에 따른 연속 가변 밸브 리프트 제어 장치의 모터 제어 장치는,
운전 조건 및 엔진 회전수를 기반으로 상기 모터 회전력에 대한 목표치를 설정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목표치에 대응되는 전압을 PWM 신호를 변환하는 모터 제어부와, 상기 모터 제어부의 PWM 신호를 제공받아 회전하여 연속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를 구동하는 모터 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전 조건 및 엔진 회전수를 기반으로 설정된 모터 회전력에 대한 목표치와 상기 연속 가변 밸브 리프트의 콘트롤 샤프트의 위치값을 기반으로 도출된 모터 회전력에 대한 실측치의 차를 연산하고,
연산된 모터 회전력에 대한 목표치와 실측치와의 차를 기반으로 모터 회전력에 대한 목표치를 보정한 후 보정된 모터 회전력에 대한 목표치에 대응되는 전압을 상기 모터 제어부로 제공하는 보정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정부는,
상기 모터 회전력에 대한 실측치와 목표치의 차를 토대로 연속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에 대한 응답성을 저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판정 결과를 토대로 연속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에 대한 부하량을 판정하며 상기 판정된 부하량으로부터 도출된 보정치로 상기 모터 회전력에 대한 목표치를 보정한 후 보정된 모터 회전력에 대한 목표치에 대응되는 전압을 상기 모터 제어부로 제공하도록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연속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의 모터 제어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모터 회전력에 대한 목표치와 연속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의 콘트롤 샤프트로부터 공급되는 가변 밸브의 위치값을 토대로 도출된 모터 회전력에 대한 실측치의 차를 연산한 후 연산된 모터 회전력에 대한 목표치 및 실측치의 차를 기반으로 도출된 보정치로 상기 목표 회전력에 대한 목표치를 보정한 후 상기 보정된 목표치를 모터에 제공함에 따라, 연속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에 대한 응답성 저하로 인해 발생되는 운전자의 요구에 대한 반응 속도 저하 및 연비 저하를 근복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잇점을 가진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속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어부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속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의 모터 제어 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속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의 모터 제어 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연속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의 모터 제어 장치는, 운전 조건 및 엔진 회전수를 기반으로 상기 모터 회전력에 대한 목표치를 설정하는 제어부(10)와, 상기 제어부의 목표치에 대응되는 전압을 제공받아 상기 전압을 PWM 신호를 변환하는 모터 제어부(30)와, 상기 모터 제어부의 PWM 신호를 제공받아 회전하여 연속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를 구동하는 모터 구동부(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 조건 및 엔진 회전수를 기반으로 모터 회전력에 대한 목표치를 설정하는 목표치 설정부(11)와, 상기 설정된 모터 회전력에 대한 목표치와 상기 연속 가변 밸브 리프트의 위치값을 기반으로 도출된 모터 회전력의 실측치의 차를 연산하는 연산부(13)와, 연산된 목표치와 실측치와의 차를 기반으로 모터 회전력에 대한 목표치에 대응되는 상기 전압을 보정하고 보정된 전압을 상기 모터 제어부(30)로 제공하는 보정부(15)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보정부(15)는, 상기 모터 회전력에 대한 실측치와 목표치의 차를 토대로 연속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에 대한 응답성을 저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판정 결과를 토대로 연속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에 대한 부하량을 판정하고, 상기 판정된 부하량으로부터 도출된 보정치로 상기 모터 회전력에 대한 목표치에 대응되는 전압을 보정한 후 보정된 전압을 상기 모터 제어부(30)로 제공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목표치 설정부(11)는, 운전 조건을 기반으로 흡입 공기량에 대한 목표치를 연산하고 연산된 흡입 공기량의 목표치를 엔진 회전수의 거동을 토대로 도출된 보정치로 보정한 후 보정된 흡입 공기량을 기반으로 도출된다.
그리고, 상기 연산부(13)는, 운전 조건 및 엔진 회전수를 기반으로 설정된 모터 회전력에 대한 목표치와 상기 연속 가변 밸브 리프트의 위치값을 기반으로 도출된 모터 회전력의 실측치의 차를 연산한다.
상기 연속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의 콘트롤 샤프트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는 센서로부터 공급되는 캠 위치값을 기반으로 모터 회전력의 실측치가 도출된다.
그리고, 상기 보정부(13)는 상기 연산부(11)의 모터 회전력에 대한 목표치와 실측치에 대한 차를 기반으로 도출된 보정치로 상기 모터 회전력에 대한 목표치를 보정하고 보정된 모터 회전력에 대한 목표치에 대응되는 전압을 출력한다.
상기 보정치는 상기 연산부(11)의 모터 회전력에 대한 목표치와 실측치에 대한 차에 대해 기 설정된 관계식을 기반으로 설정되며, 모터 회전력에 대한 목표치와 실측치에 대한 차에 대응되는 테이블 값으로 미리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보정부(13)의 모터 회전력에 대한 목표치에 대응되는 전압은 모터 제어부(30)로 제공되며, 상기 모터 제어부(30)는 수신된 전압을 PWM 신호로 변환한 후 모터 구동부(50)에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보정부(15)는 모터 회전력에 대한 목표치와 실측치에 대한 차를 기반으로 도출된 보정치로 상기 모터 회전력에 대한 목표치를 보정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모터 회전력에 대한 목표치와 실측치에 대한 차를 기반으로 도출된 응답성을 도출한 후 도출된 응답성에 대한 연속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에 대한 부하량으로부터 도출된 보정치로 모터 회전력에 대한 목표치로 보정할 수도 있다.
이에, 응답성은 상기 연산부(11)의 모터 회전력에 대한 목표치와 실측치에 대한 차가 기 설정된 한계 기준치 이상인 경우 저하된 것으로 판정된다.
그리고, 상기 부하량은, 상기 연산부(11)의 모터 회전력에 대한 목표치와 실측치에 대한 차에 대해 기 설정된 관계식을 기반으로 설정되며, 모터 회전력에 대한 목표치와 실측치에 대한 차에 대응되는 테이블 값으로 미리 저장된다.
또한, 상기 보정치는, 상기 부하량에 대해 기 설정된 관계식을 기반으로 설정되며, 부하량에 대응되는 테이블 값으로 미리 저장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연속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의 모터 제어 장치에 따르면, 모터 회전력에 대한 목표치와 연속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의 콘트롤 샤프트로부터 공급되는 가변 밸브의 위치값을 토대로 도출된 모터 회전력에 대한 실측치의 차를 연산한 후 연산된 모터 회전력에 대한 목표치 및 실측치의 차를 기반으로 도출된 보정치로 상기 목표 회전력에 대한 목표치를 보정한 후 상기 보정된 목표치를 모터에 제공함에 따라, 연속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에 대한 응답성 저하로 인해 발생되는 운전자의 요구에 대한 반응 속도 저하 및 연비 저하를 근복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연속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의 모터 제어 과정의 제어 흐름을 도 3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는 도 2에 도시된 모터 제어 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도 1 및 2에 도시된 구성은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연속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의 모터 제어 방법은, 제어부(10)의 목표치 설정부(11)에서, 운전 조건 및 엔진 회전수를 기반으로 모터 회전력에 대한 목표치를 설정하고(단계 101), 이어 모터의 회전력에 대한 목표치에 대응되는 전압을 출력하며, 출력된 모터 회전력에 대한 목표치에 대응되는 전압을 PWM 신호로 변환하여 모터 구동부(50)로 제공되므로 모터가 회전하게 된다.
이어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연속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70)는 구동하고 이때 연속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70)의 콘트롤 샤프트의 위치값은 연산부(13)로 제공된다(단계 103).
상기 연산부(13)에서, 상기 단계(103)에서 제공된 콘트롤 샤프트 위치값을 토대로 모터 회전수에 대한 실측치를 도출하고(단계 105), 도출된 실측치와 상기 단계(101)의 모터 회전수에 대한 목표치의 차를 연산한다(단계 107).
상기 보정부(15)에서, 상기 단계(107)에서 연산된 모터 회전수에 대한 목표치와 실측치를 기반으로 보정치를 도출하고(단계 109) 도출된 보정치는 목표치 설정부(11)로 제공하여 모터 회전수에 대한 목표치를 보정한다(단계 111).
이어 상기 제어부(10)에서 엔진 시동이 오프되었는 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엔진 시동이 오프되지 아니한 경우 상기 단계(103)으로 진행한다(단계 113).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연속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의 모터 제어 장치에 따르면, 모터 회전력에 대한 목표치와 연속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의 콘트롤 샤프트로부터 공급되는 가변 밸브의 위치값을 토대로 도출된 모터 회전력에 대한 실측치의 차를 연산한 후 연산된 모터 회전력에 대한 목표치 및 실측치의 차를 기반으로 도출된 보정치로 상기 목표 회전력에 대한 목표치를 보정한 후 상기 보정된 목표치를 모터에 제공함에 따라, 연속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에 대한 응답성 저하로 인해 발생되는 운전자의 요구에 대한 반응 속도 저하 및 연비 저하를 근복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보정부(15)는 모터 회전력에 대한 목표치와 실측치에 대한 차를 기반으로 도출된 보정치로 상기 모터 회전력에 대한 목표치를 보정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모터 회전력에 대한 목표치와 실측치에 대한 차를 기반으로 도출된 응답성을 도출한 후 도출된 응답성에 대한 연속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에 대한 부하량으로부터 도출된 보정치로 모터 회전력에 대한 목표치로 보정할 수도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연속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의 모터 제어 장치에 따르면, 모터 회전력에 대한 목표치와 연속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의 콘트롤 샤프트로부터 공급되는 가변 밸브의 위치값을 토대로 도출된 모터 회전력에 대한 실측치의 차를 연산한 후 연산된 모터 회전력에 대한 목표치 및 실측치의 차를 기반으로 도출된 보정치로 상기 목표 회전력에 대한 목표치를 보정한 후 상기 보정된 목표치를 모터에 제공함에 따라, 연속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에 대한 응답성 저하로 인해 발생되는 운전자의 요구에 대한 반응 속도 저하 및 연비 저하를 근복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연속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의 모터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적용할 경우, 엔진 정밀 측면에서 매우 큰 진보를 가져올 수 있으며, 적용되는 차량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 : 제어부
11 : 목표치 설정부
13 : 연산부
15 : 보정부

Claims (5)

  1. 제어부에서 운전 조건 및 회전수를 기반으로 설정된 모터의 회전력에 대한 목표치에 따라 모터가 회전하고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연속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의 흡기 배기 밸브 리프트를 제어하는 연속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의 모터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터 회전력에 대한 목표치와 연속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의 콘트롤 샤프트로부터 공급되는 가변 밸브의 위치값을 토대로 도출된 모터 회전력에 대한 실측치의 차를 연산하는 연산 단계와,
    상기 모터 회전력에 대한 목표치 및 실측치의 차를 기반으로 도출된 보정치로 상기 목표치를 보정한 후 상기 보정된 목표치를 모터에 제공하는 보정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의 모터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회전력에 대한 목표치는
    상기 목표치에 대응되는 전압을 PWM 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모터로 제공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의 모터 제어 방법.
  3. 제어부에서 운전 조건 및 회전수를 기반으로 설정된 모터의 회전력에 대한 목표치에 따라 모터가 회전하고,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연속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의 흡기 배기 밸브 리프트를 제어하는 연속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의 모터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터 회전력에 대한 실측치와 목표치의 차를 토대로 연속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에 대한 응답성을 저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판정 결과를 토대로 연속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에 대한 부하량을 판정하고 상기 부하량에 따라 도출된 보정치로 상기 목표치를 보정한 후 보정된 목표치를 상기 모터에 제공하는 단계를 도록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의 모터 제어 방법.
  4. 운전 조건 및 엔진 회전수를 기반으로 모터 회전력에 대한 목표치를 설정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목표치에 대응되는 전압을 제공받아 상기 전압을 PWM 신호를 변환하는 모터 제어부와, 상기 모터 제어부의 PWM 신호를 제공받아 회전하여 연속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를 구동하는 모터 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전 조건 및 엔진 회전수를 기반으로 설정된 모터 회전력에 대한 목표치와 상기 연속 가변 밸브 리프트의 위치값을 기반으로 도출된 모터 회전력의 실측치의 차를 연산하는 연산부와,
    연산된 목표치와 실측치와의 차를 기반으로 모터 회전력에 대한 목표치에 대응되는 상기 전압을 보정하고 보정된 전압을 상기 모터 제어부로 제공하는 보정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의 모터 제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부는,
    상기 모터 회전력에 대한 실측치와 목표치의 차를 토대로 연속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에 대한 응답성을 저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판정 결과를 토대로 연속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에 대한 부하량을 판정하고, 상기 판정된 부하량으로부터 도출된 보정치로 상기 모터 회전력에 대한 목표치에 대응되는 전압을 보정한 후 보정된 전압을 상기 모터 제어부로 제공하도록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의 모터 제어 장치.


KR1020120057071A 2012-05-30 2012-05-30 연속 가변 밸브리프트 장치의 모터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8862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7071A KR101886234B1 (ko) 2012-05-30 2012-05-30 연속 가변 밸브리프트 장치의 모터 제어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7071A KR101886234B1 (ko) 2012-05-30 2012-05-30 연속 가변 밸브리프트 장치의 모터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3941A KR20130133941A (ko) 2013-12-10
KR101886234B1 true KR101886234B1 (ko) 2018-08-07

Family

ID=49981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7071A KR101886234B1 (ko) 2012-05-30 2012-05-30 연속 가변 밸브리프트 장치의 모터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62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4577B1 (ko) * 2019-12-12 2021-02-10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연속 가변 밸브 시스템의 제어 방법 및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32600A (ja) 2003-05-06 2004-11-25 Denso Corp 内燃機関の可変バルブ制御装置
JP2007288948A (ja) 2006-04-18 2007-11-01 Toyota Motor Corp モータ制御装置
JP2008291765A (ja) 2007-05-25 2008-12-04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2010255495A (ja) 2009-04-23 2010-11-11 Hirata Corp バルブクリアランスの調整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32600A (ja) 2003-05-06 2004-11-25 Denso Corp 内燃機関の可変バルブ制御装置
JP2007288948A (ja) 2006-04-18 2007-11-01 Toyota Motor Corp モータ制御装置
JP2008291765A (ja) 2007-05-25 2008-12-04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2010255495A (ja) 2009-04-23 2010-11-11 Hirata Corp バルブクリアランスの調整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3941A (ko) 2013-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92710B2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US8374769B2 (en)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variable valve operating mechanism
WO2014030244A1 (ja) ウェイストゲートバルブの制御装置
US20100139601A1 (en) Control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8055430B2 (en) Valve performance controlle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20140182547A1 (en)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oil pump of engine provided with variable valve lift apparatus
US7305950B1 (en) Method for control of dilution in engines during variable camshaft phasing
JP5747583B2 (ja) 可変圧縮比内燃機関の制御装置
KR101886234B1 (ko) 연속 가변 밸브리프트 장치의 모터 제어 방법 및 장치
JP5104421B2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JP2007297964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2010043544A (ja) 可変圧縮比内燃機関
JP2011256802A (ja) 内燃機関の可変動弁装置
JP4650219B2 (ja) 内燃機関の吸気制御装置
KR101859165B1 (ko) 연속 가변 밸브리프트 장치의 모터 제어 방법 및 장치
JP4877209B2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KR101956824B1 (ko) 연속 가변 밸브리프트 장치의 고장 진단 방법
KR101877718B1 (ko) 연속 가변 밸브리프트 장치의 모터 제어 방법 및 장치
JP2006214349A (ja) 内燃機関の燃料噴射制御装置
JP2009191703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KR20130133939A (ko) 연속 가변 밸브리프트 장치의 모터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673335B1 (ko)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배기가스 재순환 제어방법
JP2006105095A (ja) 可変圧縮比機構を備えた内燃機関
JP5930126B2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JP2006207433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