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5827B1 - 다용도 체 용기 및 다용도 체 용기로 고체 분말을 거르는 방법 - Google Patents

다용도 체 용기 및 다용도 체 용기로 고체 분말을 거르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5827B1
KR101885827B1 KR1020170022832A KR20170022832A KR101885827B1 KR 101885827 B1 KR101885827 B1 KR 101885827B1 KR 1020170022832 A KR1020170022832 A KR 1020170022832A KR 20170022832 A KR20170022832 A KR 20170022832A KR 101885827 B1 KR101885827 B1 KR 1018858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ntainer portion
solid powder
filtering
sandwi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2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근
이용성
Original Assignee
(주)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니스 filed Critical (주)니스
Priority to KR1020170022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58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5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58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04Stationary flat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다용도 체 용기로서, 거르기 위한 고체 분말이 담기는 제 1 용기부; 상기 제 1 용기부에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결합되는 제 2 용기부; 및 상기 제 1 용기부 및 상기 제 2 용기부의 결합시에 양자 사이에 끼워지는 거름망;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용기부 및 상기 제 2 용기부는 양자 사이에 상기 거름망이 끼워지면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밀폐되는 구성을 마련함으로써 소량의 고체 분말을 용기 내에서 거름망으로 용이하게 거를 수 있어 가루가 사방으로 날리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다용도 체 용기 및 다용도 체 용기로 고체 분말을 거르는 방법{Multipurpose Sieve Vessel and Method of Sieving Solid Powde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다용도 체 용기 및 다용도 체 용기로 고체 분말을 거르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소량의 고체 분말을 용기 내에서 거름망으로 용이하게 거를 수 있는 다용도 체 용기 및 다용도 체 용기로 고체 분말을 거르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쓰이는 체(sieve)는 목재나 철제 혹은 플라스틱으로 된 틀(frame)에 금속 망(net)을 평면 혹은 완만한 둥근 형의 입체로 설치하여, 그 안에 가루를 넣은 후 좌우로 체를 흔들면서 틀을 살짝 치는 등의 계속적인 진동을 주어 가루가 망을 스치고 내려오도록 한다.
실제로 체를 작동해 보면, 이러한 일련의 작업 중에서 가장 큰 효과를 나타내는 주요 과정은 가루가 설치된 망(net)의 표면을 스치는 과정이며, 이를 통해 가장 많은 양의 가루가 걸러짐을 알 수 있고, 체를 손으로 두드려 줄 때에 가해지는 진동은 그 과정에서 가루의 응집력으로 인해 막히기 쉬운 망(net)의 눈을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뚫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렇게 가루가 망(net)의 표면을 스치도록 하기 위하여 체를 좌우로 흔들어서 가루를 거르는 경우에, 첫째, 체의 본체 내부에 주입된 가루가 망(net)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가루의 일부가 주변에 날리거나 흩어지게 되며, 이로 인해 좁게는 가정의 주방에서부터 넓게는 각종 연구나 건설, 제약, 제조 같은 각종 광, 공업 분야를 포함한 산업 현장에서의 작업환경이 오염될 수 있다. 둘째, 평면 망(net)의 면적이 제한적이어서 거르는 시간이 길어지므로, 많은 분량을 수동으로 거르는 경우에 많은 힘이 소모된다. 셋째, 틀에 수동으로 두드려 주는 등의 경미한 진동을 계속 주지 않으면 체의 내부에 쌓인 가루가 망의 눈에 응집되면서 막혀버려 망 위에 적체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각종 산업 분야에서는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방법으로 개선한 체를 개발하여 이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제약분야 및 시멘트 등의 공업용 골자재를 사용하는 건설분야에서는 가루가 나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밀폐된 공간에 가루를 넣고 거르거나 전자적인 진동장치를 부착한 진동체를 사용하기도 하며 보통 이 두 가지를 병행한 방식도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렇게 진동 장치만으로 응집력이 강한 미세한 가루를 거를 경우, 진동이 가루에 의해 막힌 망(net)의 눈을 뚫리도록 해 주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가루가 망(net)의 틈새에 응집해서 적체되어 더 이상 가루를 거르기 어렵게 되며, 비용 면에서 볼 때에 전자적인 진동 장치를 다는 것은 생산성이 큰 산업현장에서나 활용될 수 있는 방법이다.
일반적인 가정에서는 소량의 밀가루 등을 체로 치는 과정이 필요한 경우가 있는데, 체로 칠 때마다 가루가 사방에 날리는 탓에 체로 친 후에 청소를 해야 했으며 가루가 날려 호흡기로 들어가 호흡기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리고, 유아 또는 어린이들은 다양한 체험활동을 통하여 두뇌 계발이 촉진되게 되는데, 특히 흙이나 모래 등을 만지고 노는 과정은 재미있는 동시에 두뇌 계발 촉진 효과도 높은 장점이 있으나, 유아 또는 어린이들의 특성상 흙이나 모래 등을 거름망 등으로 거르는 과정에서 주변으로 흙이나 모래가 흩어져서 쉽게 지저분해 지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02519호(공개일자 2011년 01월 10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15101호(공고일자 2014년 06월 27일)
특허문헌 1은 차의 잎이나 티백의 이물질이 물에 섞이지 않도록 하고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물의 저장용량을 늘일 수 있도록 한 차 거름용기를 제안한 바 있고, 특허문헌 2는 밀가루 등과 같이 날리기 쉬운 각종 가루를 주변에 날리지 않으면서 안전하고 빠르게 거르기 위해 개발된, 체를 포함한 거르는 장치의 구조와 작용 원리, 작동 방식 및 원리 등을 포함하는 장치 시스템을 제안한 바 있으나, 양자 모두 가정에서 밀가루 등의 고체 분말을 체로 치는 용도나 유아 또는 어린이들이 흙이나 모래 등을 거름망 등으로 거르는 체험활동 등에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1 용기부와 제2 용기부가 양자 사이에 거름망이 끼워지면서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결합되어 밀폐될 수 있는 다용도 체 용기 및 다용도 체 용기로 고체 분말을 거르는 방법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용도 체 용기로서, 거르기 위한 고체 분말이 담기는 제 1 용기부; 상기 제 1 용기부에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결합되는 제 2 용기부; 및 상기 제 1 용기부 및 상기 제 2 용기부의 결합시에 양자 사이에 끼워지는 거름망;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용기부 및 상기 제 2 용기부는 양자 사이에 상기 거름망이 끼워지면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용기부는, 상측 개구부의 내측에 형성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용기부는, 하측 개구부의 테두리로부터 원주를 따라 외측으로 절곡되어 돌출 형성되는 돌출테두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용기부는 상기 돌출테두리부가 상기 결합부에 끼워지면서 상기 제 1 용기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 1 용기부의 측벽부 상측으로부터 원주를 따라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절곡부; 상기 절곡부의 외측 단부로부터 원주를 따라 상부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결합홈부; 및 상기 결합홈부로부터 원주를 따라 상부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안내스커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용기부는 상기 돌출테두리부가 상기 결합홈부에 끼워지면서 상기 제 1 용기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는, 강도의 향상을 위하여 상기 결합홈부 및 상기 안내스커트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보강변형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체 용기로 고체 분말을 거르는 방법은, (a) 상기 제 1 용기부에 거르기 위한 고체 분말을 담는 단계; (b) 상기 제 1 용기부와 상기 제 2 용기부의 사이에 상기 거름망이 끼워지도록 상기 제 2 용기부를 상기 제 1 용기부에 결합시키는 단계; (c) 다용도 체 용기를 뒤집은 다음, 흔들면서 상기 제 1 용기부에 담긴 고체 분말을 상기 거름망으로 걸러서 상기 제 2 용기부로 이동시키는 단계; (d) 상기 제 1 용기부를 상기 제 2 용기부로부터 분리시키고 상기 제 1 용기부에 남은 굵은 고체 분말을 제거한 다음, 상기 거름망 대신에 상기 거름망보다 메시(mesh)의 구멍 크기가 더 작은 제 2 거름망이 상기 제 1 용기부와 상기 제 2 용기부의 사이에 끼워지도록 상기 제 1 용기부를 상기 제 2 용기부에 결합시키는 단계; 및 (e) 다용도 체 용기를 뒤집은 다음, 흔들면서 상기 제 2 용기부에 담긴 고체 분말을 상기 제 2 거름망으로 걸러서 상기 제 1 용기부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f) 상기 제 2 용기부를 상기 제 1 용기부로부터 분리시키고 상기 제 2 용기부에 남은 굵은 고체 분말을 제거한 다음, 상기 제 2 거름망 대신에 상기 제 2 거름망보다 메시(mesh)의 구멍 크기가 더 작은 제 3 거름망이 상기 제 1 용기부와 상기 제 2 용기부의 사이에 끼워지도록 상기 제 2 용기부를 상기 제 1 용기부에 결합시키는 단계; 및 (g) 다용도 체 용기를 뒤집은 다음, 흔들면서 상기 제 1 용기부에 담긴 고체 분말을 상기 제 3 거름망으로 걸러서 상기 제 2 용기부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체 용기에 의하면, 소량의 고체 분말을 용기 내에서 거름망으로 용이하게 거를 수 있어 가루가 사방으로 날리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얻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체 용기를 이용하여 유아 또는 어린이들이 흙이나 모래 등을 거르는 체험활동을 함으로써 두뇌 계발이 촉진되게 되며, 흙이나 모래 등을 거름망으로 거르는 과정에서 주변으로 흙이나 모래가 흩어져서 지저분해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체 용기로 고체 분말을 거르는 방법에 의하면, 제 1 용기부와 제 2 용기부를 분리하여 거르고 남은 굵은 고체 분말을 제거한 후, 이전 거름망보다 메시(mesh)의 구멍 크기가 더 작은 다른 거름망이 제 1 용기부와 제 2 용기부 사이에 끼워지도록 제 1 용기부와 제 2 용기부를 결합시킨 다음, 다용도 체 용기를 뒤집고 흔들어 거름으로써, 입자의 크기가 더 작은 고체 분말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체 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다용도 체 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제 1 용기부의 측단면도,
도 4는 제 2 용기부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체 용기로 고체 분말을 거르는 방법의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체 용기(1)의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체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다용도 체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체 용기(1)는 일반적인 컵 형태로 형성되는 제 1 용기부(10) 및 제 2 용기부(20)가 양자 사이에 거름망(30)이 끼워지도록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밀폐되는 구성을 갖는다.
제 1 용기부(10)는 거름망(30)으로 거르기 위한 고체 분말이 최초로 담기는 부분으로서, 일반적인 컵 형태로 형성되며, 상측 개구부의 내측에는 제 2 용기부(20)가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11)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 1 용기부(10)는 충분한 강도를 갖는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합성수지재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며, 고체 분말이 걸러지는 과정 및 결과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합성수지재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용기부(10)의 결합부(11)에는 후술하게 될 제 2 용기부(20)의 돌출테두리부(21)가 끼워짐으로써 제 2 용기부(20)가 제 1 용기부(10)에 결합되게 되며, 제 2 용기부(20)도 충분한 강도를 갖는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바, 사용자가 제 1 용기부(10)와 제 2 용기부(20)을 손으로 잡고 충분한 힘을 가하면 탄성 변형이 일어나면서 양자가 분리되게 된다.
제 2 용기부(20)는 제 1 용기부(10)에 담긴 고체 분말이 거름망(30)에 의해 일차적으로 걸러진 후에 담겨지게 되는 부분으로서, 일반적인 컵 형태로 형성되고, 하측 개구부의 테두리로부터 원주를 따라 외측으로 절곡되어 돌출 형성되는 돌출테두리부(21)가 구비되며, 제 2 용기부(20)의 상면과 평행하게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 2 용기부(20)도 충분한 강도를 갖는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합성수지재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며, 고체 분말이 걸러지는 과정 및 결과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합성수지재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 2 용기부(20)는 돌출테두리부(21)가 제 1 용기부(10)의 결합부(11)에 끼워짐으로써 제 1 용기부(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밀폐되게 된다.
거름망(30)은 제 1 용기부(10)와 제 2 용기부(20)의 결합시에 양자 사이에 끼워지는 구성요소로서, 일반적인 얇은 그물망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거르고자 하는 고체 분말의 입자 크기에 따라 메시(mesh)의 구멍 크기가 서로 다른 여러 종류의 그물망이 선택적으로 또는 순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거름망(30)은 충분히 얇은 두께를 갖는바, 제 1 용기부(10)와 제 2 용기부(20)의 결합시에 결합부(11)와 돌출테두리부(21) 사이에 끼워지면서 고정되게 되며, 결합부(11)와 돌출테두리부(21) 사이의 틈을 메우게 되어 다용도 체 용기(1)를 흔들면서 고체 분말을 거름망(30)으로 거르는 과정에서 고체 분말이 결합부(11)와 돌출테두리부(21) 사이로 새어 나오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제 1 용기부(10)의 결합부(11)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제 1 용기부의 측단면도이고, 도 4는 제 2 용기부의 측단면도이다.
제 1 용기부(10)의 결합부(11)는 절곡부(111), 결합홈부(112) 및 안내스커트부(1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절곡부(111)는 제 1 용기부(10)의 측벽부 상측으로부터 원주를 따라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부분으로서, 제 1 용기부(10)의 바닥면과 평행하게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홈부(112)는 절곡부(111)의 외측 단부로부터 원주를 따라 상부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오목하게 형성되는 부분으로서, 제 2 용기부(20)의 돌출테두리부(21)의 외측 단부가 끼워져서 고정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안내스커트부(113)는 결합홈부(112)로부터 원주를 따라 상부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부분으로서, 제 2 용기부(20)가 제 1 용기부(10)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돌출테두리부(21)의 외측 단부가 안내스커트부(113)의 내측면에 접촉된 상태로 미끄러지면서 안내되어 결합홈부(112)에 끼워지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제 2 용기부(20)를 제 1 용기부(10)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제 2 용기부(20)를 제 1 용기부(10) 방향으로 미는 과정에서 안내스커트부(113)에 의해 안내되면서 돌출테두리부(21)가 탄성 변형되어 결합홈부(112)에 용이하게 끼워지도록, 안내스커트부(113)는 수평보다는 수직에 가까운 경사도로 기울어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 1 용기부(10)의 결합부(11)는 결합홈부(112) 및 안내스커트부(113)의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보강변형홈(1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용기부(10)의 결합부(11)는 제 1 용기부(10)와 제 2 용기부(20)가 반복적으로 착탈되는 과정에서 응력이 집중되어 탄성 변형이 일어나는 부분인바, 하중의 집중에 의해 소성 변형이 일어나기 쉬우며, 일단 소성 변형이 일어나면 소성 변형이 일어난 부분 주위의 강도도 함께 낮아져서 제 1 용기부(10)와 제 2 용기부(20)의 결합력이 떨어지고 고체 분말이 결합홈부(112)와 돌출테두리부(21) 사이로 쉽게 새어 나오게 된다.
따라서, 결합부(11)의 강도를 보강하고 하중이 일부분으로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결합홈부(112) 및 안내스커트부(113)의 사이에 복수 개의 보강변형홈(114)이 오목하게 변형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 개의 보강변형홈(114)이 결합홈부(112) 및 안내스커트부(113)의 사이에 물방울 모양과 유사한 유선형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균등한 간격으로 인접하게 복수 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다용도 체 용기로 고체 분말을 거르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체 용기로 고체 분말을 거르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체 용기로 고체 분말을 거르는 방법은, 제 1 용기부(10)에 거르기 위한 고체 분말을 담는 단계(S10); 제 1 용기부(10)와 제 2 용기부(20)의 사이에 거름망(30)이 끼워지도록 제 2 용기부(20)를 제 1 용기부(10)에 결합시키는 단계(S20); 다용도 체 용기(1)를 뒤집은 다음, 흔들면서 제 1 용기부(10)에 담긴 고체 분말을 거름망(30)으로 걸러서 제 2 용기부(20)로 이동시키는 단계(S30); 제 1 용기부(10)를 제 2 용기부(20)로부터 분리시키고 제 1 용기부(10)에 남은 굵은 고체 분말을 제거한 다음, 거름망(30) 대신에 거름망(30)보다 메시(mesh)의 구멍 크기가 더 작은 제 2 거름망이 제 1 용기부(10)와 제 2 용기부(20)의 사이에 끼워지도록 제 1 용기부(10)를 제 2 용기부(20)에 결합시키는 단계(S40); 그리고, 다용도 체 용기(1)를 뒤집은 다음, 흔들면서 제 2 용기부(20)에 담긴 고체 분말을 제 2 거름망으로 걸러서 제 1 용기부(10)로 이동시키는 단계(S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S10) 단계에서는 거르기 위한 고체 분말을 제 1 용기부(10)에 적정량을 담게 되며, (S20) 단계에서는 제 1 용기부(10)와 제 2 용기부(20) 사이에 거름망(30)이 끼워지도록 제 2 용기부(20)를 제 1 용기부(10)에 결합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거름망(30)이 결합부(11)와 돌출테두리부(21) 사이에 끼워지면서 밀폐되게 되는바,고체 분말이 결합부(11)와 돌출테두리부(21) 사이로 새어 나오는 것이 최소화되게 된다.
(S30) 단계에서는 다용도 체 용기(1)를 뒤집은 다음 흔들면서 고체 분말을 거름망(30)으로 걸러서 제 2 용기부(20)로 이동시키게 되며, 고체 분말이 거름망(30)에 의해 일차적으로 걸러진 후, (S40) 단계에서는 제 1 용기부(10)를 제 2 용기부(20)로부터 분리시키고 제 1 용기부(10)에 남은 굵은 고체 분말을 제거한 다음 거름망(30) 대신에 거름망(30)보다 메시(mesh)의 구멍 크기가 더 작은 제 2 거름망이 제 1 용기부(10)와 제 2 용기부(20)의 사이에 끼워지도록 제 1 용기부(10)를 제 2 용기부(20)에 결합시키게 된다.
(S50) 단계에서는 다용도 체 용기(1)를 뒤집은 다음 흔들면서 제 2 용기부(20)에 담긴 고체 분말을 제 2 거름망으로 걸러서 제 1 용기부(10)로 이동시키게 되며, 고체 분말이 제 2 거름망에 의해 이차적으로 걸러진 후, 제 2 용기부(20)를 제 1 용기부(10)로부터 분리시켜 남은 굵은 고체 분말을 제거한 다음, 걸러진 고체 분말을 회수하면 된다. 따라서, 고체 분말이 제 2 거름망에 의해 이차적으로 걸러짐에 따라 입자의 크기가 더 작은 고체분말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체 용기로 고체 분말을 거르는 방법은, 제 2 용기부(20)를 제 1 용기부(10)로부터 분리시키고 제 2 용기부(20)에 남은 굵은 고체 분말을 제거한 다음 제 2 거름망 대신에 제 2 거름망보다 메시(mesh)의 구멍 크기가 더 작은 제 3 거름망이 제 1 용기부(10)와 제 2 용기부(20)의 사이에 끼워지도록 제 2 용기부(20)를 제 1 용기부(10)에 결합시키는 단계(S60); 그리고, 다용도 체 용기(1)를 뒤집은 다음 흔들면서 제 1 용기부(10)에 담긴 고체 분말을 제 3 거름망으로 걸러서 제 2 용기부(20)로 이동시키는 단계(S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S60) 단계 및 (S70) 단계를 실행하여 고체 분말이 제 3 거름망에 의해 다시 걸러진 후, 제 1 용기부(10)를 제 2 용기부(20)로부터 분리시켜 남은 굵은 고체 분말을 제거한 다음, 걸러진 고체 분말을 회수하면 된다.
이와 같이, 메시(mesh)의 구멍 크기가 서로 다른 여러 종류의 그물망을 순차적으로 사용하면 원하는 입자 크기를 갖는 고체 분말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체 용기에 의하면, 소량의 고체 분말을 용기 내에서 거름망으로 용이하게 거를 수 있어 가루가 사방으로 날리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체 용기를 이용하여 유아 또는 어린이들이 흙이나 모래 등을 거르는 체험활동을 함으로써 두뇌 계발이 촉진되게 되며, 흙이나 모래 등을 거름망으로 거르는 과정에서 주변으로 흙이나 모래가 흩어져서 지저분해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체 용기로 고체 분말을 거르는 방법에 의하면, 메시(mesh)의 구멍 크기가 서로 다른 여러 종류의 그물망을 순차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입자의 크기가 더 작은 고체 분말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얻어진다.
이상 본 발명을 상기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수정 및 변형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다용도 체 용기
10: 제 1 용기부 11: 결합부
111: 절곡부 112: 결합홈부
113: 안내스커트부 114: 보강변형홈
20: 제 2 용기부 21: 돌출테두리부
30: 거름망

Claims (6)

  1. 개구부 내측에 형성되는 결합부가 구비된 제 1 용기부;
    개구부의 원주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 1 용기부의 결합부에 끼워지는 돌출테두리부가 구비된 제 2 용기부; 및
    상기 제 1 용기부 및 상기 제 2 용기부의 결합시에 양자 사이에 끼워져서 결합부와 돌출테두리부 사이의 틈을 메우는 거름망;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 1 용기부의 측벽부 상측으로부터 원주를 따라 외측 방향으로 제 1 용기부의 바닥면과 평행하게 절곡 형성되는 절곡부와,
    상기 절곡부의 외측 단부로부터 원주를 따라 상부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돌출테두리부가 끼워져서 고정되는 결합홈부와,
    상기 결합홈부로부터 원주를 따라 상부 외측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제 2 용기부가 제 1 용기부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돌출테두리부가 접촉하여 미끄러지면서 안내되어 상기 결합홈부에 끼워지도록 하는 안내스커트부와,
    상기 결합홈부와 안내스커트부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보강변형홈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거름망은 메시의 구멍 크기가 다른 여러 종류의 그물망을 포함하여,
    유아 또는 어린이들이 흙이나 모래를 포함하는 고체 분말을 거름망으로 거르는 체험활동을 통해 유아 또는 어린이들의 두뇌 개발이 촉진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체 용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결합홈을 포함하는 결합부가 구비되며 거르기 위한 고체 분말이 담기는 제 1 용기부, 상기 제 1 용기부에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결합되며 상기 결합홈에 끼워지는 돌출테두리부가 구비되는 제 2 용기부, 그리고 상기 제 1 용기부 및 상기 제 2 용기부의 결합시에 양자 사이에 끼워지는 거름망을 포함하는 다용도 체 용기로 고체 분말을 거르는 방법으로서,
    (a) 상기 제 1 용기부에 거르기 위한 고체 분말을 담는 단계;
    (b) 상기 제 1 용기부와 상기 제 2 용기부의 사이에 상기 거름망이 끼워지도록 상기 제 2 용기부를 상기 제 1 용기부에 결합시켜 상기 거름망이 상기 결합홈과 돌출테두리부 사이에 끼워지면서 결합부와 돌출테두리부 사이의 틈을 메우도록 하는 단계;
    (c) 다용도 체 용기를 뒤집은 다음, 흔들면서 상기 제 1 용기부에 담긴 고체 분말을 상기 거름망으로 걸러서 상기 제 2 용기부로 이동시키는 단계;
    (d) 상기 제 1 용기부를 상기 제 2 용기부로부터 분리시키고 상기 제 1 용기부에 남은 굵은 고체 분말을 제거한 다음, 상기 거름망 대신에 상기 거름망보다 메시(mesh)의 구멍 크기가 더 작은 제 2 거름망이 상기 제 1 용기부와 상기 제 2 용기부의 사이에 끼워지도록 상기 제 1 용기부를 상기 제 2 용기부에 결합시켜 상기 제 2 거름망이 상기 결합홈과 돌출테두리부 사이에 끼워지면서 결합부와 돌출테두리부 사이의 틈을 메우도록 하는 단계;
    (e) 다용도 체 용기를 뒤집은 다음, 흔들면서 상기 제 2 용기부에 담긴 고체 분말을 상기 제 2 거름망으로 걸러서 상기 제 1 용기부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유아 또는 어린이들이 흙이나 모래를 포함하는 고체 분말을 거름망으로 거르는 체험활동을 통해 유아 또는 어린이들의 두뇌 개발이 촉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체 용기로 고체 분말을 거르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f) 상기 제 2 용기부를 상기 제 1 용기부로부터 분리시키고 상기 제 2 용기부에 남은 굵은 고체 분말을 제거한 다음, 상기 제 2 거름망 대신에 상기 제 2 거름망보다 메시(mesh)의 구멍 크기가 더 작은 제 3 거름망이 상기 제 1 용기부와 상기 제 2 용기부의 사이에 끼워지도록 상기 제 2 용기부를 상기 제 1 용기부에 결합시켜 상기 제 3 거름망이 상기 결합홈과 돌출테두리부 사이에 끼워지면서 결합부와 돌출테두리부 사이의 틈을 메우도록 하는 단계; 및
    (g) 다용도 체 용기를 뒤집은 다음, 흔들면서 상기 제 1 용기부에 담긴 고체 분말을 상기 제 3 거름망으로 걸러서 상기 제 2 용기부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체 용기로 고체 분말을 거르는 방법.
KR1020170022832A 2017-02-21 2017-02-21 다용도 체 용기 및 다용도 체 용기로 고체 분말을 거르는 방법 KR1018858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2832A KR101885827B1 (ko) 2017-02-21 2017-02-21 다용도 체 용기 및 다용도 체 용기로 고체 분말을 거르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2832A KR101885827B1 (ko) 2017-02-21 2017-02-21 다용도 체 용기 및 다용도 체 용기로 고체 분말을 거르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5827B1 true KR101885827B1 (ko) 2018-09-06

Family

ID=63593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2832A KR101885827B1 (ko) 2017-02-21 2017-02-21 다용도 체 용기 및 다용도 체 용기로 고체 분말을 거르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58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8258A (ko) 2022-09-16 2024-03-25 소재은 체가 구비된 밀가루 보관용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2519A (ko) 2009-07-02 2011-01-10 신상철 차 거름용기
KR20130031755A (ko) * 2011-09-21 2013-03-29 주식회사 에스제이피 종이뚜껑
KR101415101B1 (ko) 2012-05-14 2014-07-08 김지선 가루가 날리지 않고 빠르게 거르기 위한, 체를 포함한 장치 시스템
JP2016041108A (ja) * 2014-08-14 2016-03-31 美恵子 井ノ上 食品容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2519A (ko) 2009-07-02 2011-01-10 신상철 차 거름용기
KR20130031755A (ko) * 2011-09-21 2013-03-29 주식회사 에스제이피 종이뚜껑
KR101415101B1 (ko) 2012-05-14 2014-07-08 김지선 가루가 날리지 않고 빠르게 거르기 위한, 체를 포함한 장치 시스템
JP2016041108A (ja) * 2014-08-14 2016-03-31 美恵子 井ノ上 食品容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8258A (ko) 2022-09-16 2024-03-25 소재은 체가 구비된 밀가루 보관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341443A1 (en) Modular supplement beverage container
JP2011212320A (ja) 化粧料容器
KR101885827B1 (ko) 다용도 체 용기 및 다용도 체 용기로 고체 분말을 거르는 방법
KR20160110925A (ko) 싱크대용 배수구거름망
TWM523396U (zh) 多功能沖泡過濾結構
KR101415101B1 (ko) 가루가 날리지 않고 빠르게 거르기 위한, 체를 포함한 장치 시스템
JP2017213069A (ja) 金属製メッシュコーヒーフィルター 並びにその製造方法
KR200487895Y1 (ko) 메쉬망과 고무배출패드가 구비된 캡슐화장품 용기
JP3180266U (ja) 網目器具の補助具、網目器具
JP6672494B2 (ja) 粉体容器及び叩き具
JP6179847B2 (ja) 収納ケース
JP3061178U (ja) パウダ―吸着用のパフケ―ス
CN205761695U (zh) 公路工程集料筛分清洗盘
CN206552572U (zh) 储存盒及相应的干湿分离装置
CN205731941U (zh) 一种食品加工车间的颗粒筛选机
KR200475211Y1 (ko) 체 내장형 봉지
CN206964473U (zh) 一种可拆分清洗茶壶冲泡器
JP4596536B2 (ja) 石鹸泡立て器
JP3178807U (ja) 線香灰篩容器
US20210084862A1 (en) Compressible animal litter sifter
KR20150091619A (ko) 이물질 제거망이 구성된 밑뚜껑 개폐식 거름망
JP3115889U (ja) 篩網内蔵漏斗型抹茶篩器
KR200488732Y1 (ko) 국물 제조용 거름망
JP3223082U (ja) 小型粉ふるい器
CN217222359U (zh) 一种防堵式圆盘振动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