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5578B1 - 온도유지 성능이 향상된 적재구조물용 복합패널 - Google Patents

온도유지 성능이 향상된 적재구조물용 복합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5578B1
KR101885578B1 KR1020170140042A KR20170140042A KR101885578B1 KR 101885578 B1 KR101885578 B1 KR 101885578B1 KR 1020170140042 A KR1020170140042 A KR 1020170140042A KR 20170140042 A KR20170140042 A KR 20170140042A KR 101885578 B1 KR101885578 B1 KR 1018855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
inner layer
sheet
stapl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0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소공주
Original Assignee
소공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공주 filed Critical 소공주
Priority to KR1020170140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55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55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55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1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45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being a foam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34Inserts
    • B32B2305/345Heat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7/00Walls, panels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온도유지 성능이 향상된 적재구조물용 복합패널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구체예들에 따른 복합패널은 열경화성 접착수지의 경화 과정에서 발생되는 가스(기포)가 단섬유 결합체에 형성되는 공극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바, 잦은 진동이나 시간이 지나도 박리되지 않으며, 단섬유 결합체는 폴리에스테르 단섬유, 유리 섬유 단섬유, 탄소 섬유 단섬유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바 복합패널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나아가 복합패널의 최외측 외면에 탈부착 가능한 쿨링패드층을 부착시켜 외부온도를 저감시키도록 함으로써 필요열량을 절감시키고 적재구조물의 온도유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온도유지 성능이 향상된 적재구조물용 복합패널{COMPOSITE PANEL FOR LOADING STRUCTURE}
본 발명은 복합패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침습되어도 손상율이 낮고(높은 내침습성) 내구성 및 온도유지 성능이 향상된 적재구조물용 복합패널에 관한 것이다.
물류산업 시장은 날이 갈수록 성장하고 있다. 수요 중심적 시장이 크게 성장함에 따라 공급자들은 보다 다양한 채널을 통해 물품을 공급하게 되었고, 물류 경쟁력은 중요한 경쟁요소가 되었다. 이에 따라 적재구조물을 갖춘 특수 차량들에 대한 수요도 함께 증가하고 있으며, 이들 차량들의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개발 역시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택배나 화물 운송을 위해 적재구조물을 갖춘 특수 차량들에 있어서, 적재구조물의 기능과 성능은 이들 차량을 운용하는 주체들에게 매우 중요하다. 또한 안정적인 수익을 거두기 위해서는 서비스 단가와 직결되는 적재구조물의 내구성과 경량성도 중요하다. 따라서 적재구조물에 관한 연구개발은 적재구조물의 기능, 성능의 향상뿐만 아니라 내구성, 경량성 등을 함께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적재구조물은 복합패널을 박스형으로 조립함으로써 형성된다. 이 때, 복합패널은 종이나, 발포 플라스틱과 같은 심재(core materials)와, 상기 심재의 양면에 목재 합판(주로 플라이우드)을 부착하고 다시 목재 합판의 외측면에 마감재를 부착하는 형태로 제조된다. 상기 심재, 목재 합판, 마감재의 부착은 접착제를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와 같이 제조되는 복합패널의 경우 몇 가지 문제가 있다.
첫째, 목재 합판으로 수분이 침투하는 문제다. 적재구조물은 내외부 온도차가 발생하기 마련이다. 적재된 화물이 식료품 등 인 경우, 적재구조물 내부 온도를 낮게 유지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적재구조물의 내외부 온도차는 결로를 발생시킨다. 적재구조물은 복수의 복합패널이 조립된 형태를 가지므로 결로에 의해 목재 합판으로 수분이 침투하기 쉽다. 목재 합판은 수분에 취약하다. 시간이 지날수록 곰팡이가 발생하거나 목재가 ?거나 목재가 수분에 의해 뒤틀리는 현상이 나타난다. 따라서 목재 합판은 주기적으로 교체가 이루어져야 한다. 유지 보수 비용 내지 교체 비용이 과도하게 발생한다.
둘째, 내구성이 약하다. 심재, 목재 합판, 마감재를 상호 부착시키는 접착제는 열경화성 접착제다. 이러한 접착제들은 가열되면서 기포가 발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심재, 목재 합판, 마감재가 상호 접합되어 형성되는 적재구조물에서 이러한 기포들이 외부로 배출되기가 어렵다. 기포들이 기공 형태로 접착제에 존재하는 이유다. 기공들은 온도 변화가 반복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수축과 팽창을 반복한다. 수축, 팽창의 반복은 접착력과 접착강도를 저하시키는 요인이다. 따라서 지역적 요인(비포장 도로, 산간 지역 등)에 따라 진동이 잦아지거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심재, 목재 합판, 마감재가 접착력 저하로 인해 박리된다(소위 뜸 불량 현상). 또한 목재 합판은 딱딱하여 진동 흡수능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바, 진동이 잦아짐에 따라 체결부위(볼트, 리벳 등)가 헐거워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마찬가지로 유지 보수 비용 내지 교체 비용이 과도하게 발생한다.
셋째, 복수의 심재의 접합 부위에서 냉기가 누출되거나 외기가 유입되어 단열효율이 낮아지는 문제다.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적재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복수의 심재(core materials)를 측면끼리 접하도록 배치시킨다. 이 때, 심재와 심재 사이의 접합 부위는 완전히 기밀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상기 접합 부위를 통해 냉기가 누출되거나 외기가 유입될 수 있으며 이는 단열효율의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
상술한 문제들은 차량 운용 주체들의 비용을 증가시키는 주된 요인이다. 개선이 필요한 이유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64919호(2002.02.21 공고)
본 발명은 침습되어도 손상율이 낮고, 뜸 불량이 발생하지 않아 수명, 내구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목재 합판 보강재와 대비할 때 우수한 단열성과 경량성을 가지며, 나아가 외부온도를 저감시켜 적재구조물의 온도유지 성능을 향상시키는 적재구조물용 복합패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발포 폴리에틸렌 폼, 발포 폴리우레탄 폼, 발포 폴리스티렌 폼 또는 압축 스티로폼으로 형성되는 내층과, 내층의 양면에 각각 접합되는 외층과, 내층의 외측에 접합되는 외층의 외면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부착되는 쿨링패드층을 포함하고, 외층은, 내층의 일면에 접합하는 제1 시트와, 제1 시트에 적층되고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또는 알루미늄으로 형성되는 제2 시트를 포함하고, 제1 시트는, 단섬유로 형성된 웨브가 상호 결합된 면상의 단섬유 결합체가 열경화성 접착수지로 형성된 시트체와 일체화 된 형태를 가지며, 상기 단섬유 결합체는 폴리에스테르 섬유인 제1 단섬유로 형성된 웨브와, 유리섬유인 제2 단섬유로 형성된 웨브와, 탄소섬유인 제3 단섬유로 형성된 웨브를 포함하고, 상기 단섬유 결합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제2 단섬유의 함량이 제1 단섬유의 함량보다 작고, 제3 단섬유의 함량이 제2 단섬유의 함량보다 작으며, 쿨링패드층은, 기체투과성 소재로 형성되는 패드와, 패드 내부에 채워지는 복수의 다공성 소재를 포함하고, 다공성 소재의 기공에는 흡열물질이 담지되는, 적재구조물의 복합패널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발포 폴리에틸렌 폼, 발포 폴리우레탄 폼, 발포 폴리스티렌 폼 또는 압축 스티로폼으로 형성되는 내층과, 내층의 양면에 각각 접합되는 외층과, 내층의 외측에 접합되는 외층의 외면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부착되는 복수의 쿨링패드층을 포함하고, 내층은, 제1 내층과, 제1 내층의 일면에 접합되는 제2 내층을 포함하되, 제1 내층 및 제2 내층은 각각 복수개의 부재로 분할 형성되어 각 부재의 측면이 접합된 형태를 가지며, 제1 내층을 이루는 부재들의 접합 부분이 제2 내층을 이루는 부재들의 접합 부분과 서로 어긋나도록 상기 부재들이 배치되고, 외층은, 내층의 일면에 접합하는 제1 시트와, 제1 시트에 적층되고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또는 알루미늄으로 형성되는 제2 시트를 포함하고, 제1 시트는, 단섬유로 형성된 웨브가 상호 결합된 면상의 단섬유 결합체가 열경화성 접착수지로 형성된 시트체와 일체화 된 형태를 가지며, 상기 단섬유 결합체는 폴리에스테르 섬유인 제1 단섬유로 형성된 웨브와, 유리섬유인 제2 단섬유로 형성된 웨브와, 탄소섬유인 제3 단섬유로 형성된 웨브를 포함하고, 상기 단섬유 결합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제2 단섬유의 함량이 제1 단섬유의 함량보다 작고, 제3 단섬유의 함량이 제2 단섬유의 함량보다 작으며, 쿨링패드층은, 기체투과성 소재로 형성되는 패드와, 패드 내부에 채워지는 복수의 다공성 소재를 포함하고, 다공성 소재의 기공에는 흡열물질이 담지되는, 적재구조물의 복합패널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들에 따른 복합패널은 열경화성 접착수지의 경화 과정에서 발생되는 가스(기포)가 단섬유 결합체에 형성되는 공극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바, 잦은 진동이나 시간이 지나도 박리되지 않으며, 단섬유 결합체는 폴리에스테르 단섬유, 유리 섬유 단섬유, 탄소 섬유 단섬유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바 복합패널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복합패널의 외층을 이루는 제1 시트는 수분이 침투하여도 곰팡이가 발생하거나 ?거나 뒤틀리지 않는 바, 종래 목재 합판을 이용하는 경우에 비해 제품 수명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나아가 목재 합판 대비 경량이므로 적재구조물 형성시에 공차중량을 낮출 수 있어 적재구조물이 탑재된 차량의 연비효율성을 증가시킨다.
나아가 복합패널의 최외측 외면에 탈부착 가능한 쿨링패드층을 부착시켜 외부온도를 저감시키도록 함으로써 필요열량을 절감시키고 적재구조물의 온도유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적재구조물용 복합패널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적재구조물용 복합패널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을 구체적인 예시를 들어 기술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하기의 설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각 부재의 두께나 크기 등은 설명의 편의 등을 위해 과장, 생략,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본 발명 구조에 대한 설명에서 위치관계나 방향은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기준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본 발명 구조에 대한 설명에서 공간에 대한 설명이나 위치관계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을 이루는 구성요소들 간의 상대적인 위치를 의미한다. 또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 사이의 공간에는 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하나의 구성요소의 "상부에" 또는 "위에" 다른 구성요소가 위치함을 언급하는 경우, 하나의 구성요소의 바로 위에 다른 구성요소가 위치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위치하는 경우까지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적재구조물용 복합패널(100)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복합패널(100)은 내층(110)과, 내층(110)의 양면에 각각 접합되는 외층(120)와, 내층(110)의 외측에 접합되는 외층(120)의 외면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부착되는 쿨링패드층(130)을 포함한다.
내층(110)은 일정 규격을 갖는 발포 폴리에틸렌 폼, 발포 폴리우레탄 폼, 발포 폴리스티렌 폼 또는 압축 스티로폼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내층(110)은 보온, 차음, 방음, 단열 등의 기능 및 역할을 한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내층(110)은 압출보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내층(110)의 밀도는 30-60kg/m3이고, 압축강도는 10N/cm2 이상일 수 있다. 내층(110)의 두께는 약 3cm - 5cm 일 수 있다.
내층(110)에서 외측(120) 방향의 면(즉, 도 1에서 내층(110)의 상하부면)에는 복수의 슬롯(a)이 형성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슬롯(a)은 V자 형의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슬롯(a)은 폭이 1mm, 깊이가 2-3mm 가량의 'V자 홈'형상일 수 있다. 슬롯(a) 사이의 간격은 특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5-10cm 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슬롯(a)은 내층(110)에 외층(120)을 접합함에 있어, 내층(110)의 양면에 도포된 열경화성 접착수지의 경화 과정에서 발생되는 가스(기포)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또한 상기 열경화성 접착수지가 내층(110)의 양면에 도포되는 과정에서 일부가 슬롯(a)을 채우게 됨으로써, 내층(110)과 외층(120)의 접합력을 높일 수 있다.
외층(120)은 제1 시트(121)와, 제1 시트(121)에 적층되는 제2 시트(122)를 포함한다.
제1 시트(121)는 내층(110)의 일면에 접합한다. 제1 시트(121)는 단섬유 결합체(121a)와 시트체(122b)를 포함한다. 제1 시트(121)의 두께는 약 1.5mm - 3.0mm 일 수 있으며, 단섬유 결합체(121a)와 시트체(121b)의 두께 역시 상기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단섬유 결합체(121a)는 제1 단섬유로 형성된 웨브(web)와, 제2 단섬유로 형성된 웨브와, 제3 단섬유로 형성된 웨브가 상호 결합된 면상으로 형성된다. 제1 단섬유, 제2 단섬유, 제3 단섬유는 상이한 단섬유다.
제1 단섬유는 테레프탈산과 에틸렌글리콜의 중합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중합체를 방사 및 연신함으로써 수득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제1 단섬유는 섬유 직경이 약 1 - 8 마이크로미터, 섬유 길이가 20 - 120mm 범위의 섬유 길이를 갖는 단섬유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제1 단섬유로 형성된 웨브는 중량이 200 - 500 g/m2, 융점이 254 - 284℃, 파단신도가 200 - 500%, 160℃ 에서의 건열수축율이 20 - 60%, 섬유 굵기는 2 - 10 데니어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제1 단섬유는 폴리에스테르 섬유일 수 있다.
제2 단섬유는 유리 섬유일 수 있다. 제2 단섬유는 단섬유 결합체(121)의 강도를 보강한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제2 단섬유의 길이는 10mm 내지 100mm의 길이, 더욱 구체적으로는 10mm 내지 90mm의 길이, 더욱 더 구체적으로는 10mm 내지 80mm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특히 제2 단섬유의 길이가 10mm 미만인 경우에는 제1 단섬유와의 결합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제3 단섬유는 탄소 섬유일 수 있다 .제3 단섬유는 단섬유 결합체(121)의 내구성을 보강한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단섬유 결합체(121a)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제1 단섬유는 50-70wt%, 제2 단섬유는 10-20wt%, 제3 단섬유는 10-40wt%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때, 제2 단섬유의 함량은 제1 단섬유의 함량보다 작고, 제3 단섬유의 함량은 제2 단섬유의 함량보다 작을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웨브는 상기 단섬유를 연속적으로 순환하는 타공 벨트 상에 열풍과 함께 분사하고, 상기 타공 벨트의 하부에서는 에어 석션을 하여 상기 단섬유들이 상기 타공 벨트 상에 달라붙게 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단섬유 결합체(121a)는 3 종의 단섬유로 형성된 각 웨브가 상호 결합되어 형성되는 바, 공극을 갖는다. 이 때, 단섬유 결합체(121a)에 형성되는 공극의 평균 기공크기(pore size)는 1 내지 6 마이크로미터일 수 있다. 상기 기공크기가 1 마이크로미터 미만인 경우에는 시트체(121b)를 이루는 열경화성 접착수지가 기공을 통해 침투하기 어렵고, 반대로 상기 기공크기가 6 마이크로미터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에서 의도하는 단섬유 결합체(121a)의 강도를 확보하기 어렵다. 한편 단섬유 결합체(121a)에 형성되는 공극은 랜덤(random) 형상을 갖는다. 공극률은 25% - 60% 정도일 수 있다.
시트체(121b)는 열경화성 접착수지가 경화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열경화성 접착수지는 폴리우레탄 수지, 에폭시 수지, 아크릴 수지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열경화성 접착수지는 60 - 80℃ 상에서 열 반응에 의해 경화되는 이액형 폴리우레탄 수지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액형 폴리우레탄 수지는 주제인 폴리에테르 폴리올과, 분자량 350 - 400 가량의 메틸렌 비스페닐을 함유한 디페닐메탄 디아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테르 폴리올과 상기 경화제는 중량비로 100:23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이액형 폴리우레탄 수지는 약 4,000 mPa.s의 점도, 약 1.5 - 1.7 가량의 비중(g/cm3), ASTM-D297로 측정된 인장 강도가 12MPa 이상이고, ASTM-D1002로 측정된 전단 강도는 약 10 MPa일 수 있다.
제1 시트(121)는 단섬유 결합체(121a)가 시트체(121b)와 일체화 된 형태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단섬유 결합체(121a)에 형성되는 공극에 시트체(121b)를 구성하는 열경화성 접착수지가 기공을 통해 침투한 후에 경화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제1 시트(121)는 단섬유 결합체(121a)가 시트체(121b)에 파묻힌 형태일 수 있다.
시트체(121b)를 경화시켜 제1 시트(121)를 형성함에 있어, 상기 경화 과정에서 열경화성 접착수지로부터 발생되는 가스(기포)는 단섬유 결합체(121a)에 형성되는 공극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시트(121)의 시트체(121b)에는 상기 가스가 배출되지 못해 발생하는 기공이 형성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잦은 진동이나 시간이 지나도 제1 시트(121)와 제2 시트(122)가 박리되지 않아 내구성이 향상된다. 다시 말해 뜸 불량 현상이 일어나지 않아, 제품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
제1 시트(121)는 ASTM-D5470에 따라 측정된 열저항이 0.085 m2K/W 이상일 수 있다. 즉, 제1 시트(121)는 목재 합판의 평균 열저항인 0.01-0.02 m2K/W 보다 5배 이상의 열저항을 갖는다. 따라서 단열성이 목재 합판 대비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1 시트(121)는 단섬유 결합체(121a)와 시트체(121b)로 형성되므로, 목재 합판에 비해 침습에 강하다. 수분이 침투하여도 곰팡이가 발생하거나 ?거나 뒤틀리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복합패널(100)의 수명이 크게 늘어난다.
또한 제1 시트(121)는 단섬유 결합체(121a)와 시트체(121b)로 형성되므로, 목재 합판에 비해 경량이다. 따라서 복합패널(100)로 적재구조물을 형성하여 차량에 설치하였을 때에 공차중량을 크게 낮출 수 있어 차량의 연비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제2 시트(122)는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또는 알루미늄 소재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제2 시트(122)의 소재로는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은 폴리프로필렌, 섬유유리(fibrous glass) 및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은 폴리프로필렌 25 내지 75중량%, 섬유유리(fibrous glass) 25 내지 75중량%, 첨가제 0 내지 5중량%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시트(122)의 두께는 약 0.8mm - 1.6mm 일 수 있다.
쿨링패드층(130)은 내층(110)의 외측에 접합되는 외층(120)의 외면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부착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쿨링패드층(130)이 복합패널(100)의 최외측에 부착된 것과 같다. 여기에서 "최외측"은 복합패널(100)로 적재구조물을 형성하였을 때, 외부 공간쪽 방향을 의미한다. 쿨링패드층(130)은 외층(120)의 외면에 부착되어 외부온도를 저감시켜 복합패널(100)로 형성된 적재구조물의 온도유지 성능을 보완한다.
쿨링패드층(130)은 패드(131)와, 패드(131) 내부에 채워지는 다공성 소재(132)를 포함한다. 패드(131)는 플레이트 형 또는 박스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기체투과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기체투과성 소재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체투과성 물질을 이용할 수 있으며, 특정 소재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기체투과성 소재의 예로는 부직포, 중공섬유를 비롯하여 폴리프로필렌, 폴리프로필렌 필름,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나일론,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에틸렌비닐알콜, 폴리염화비닐 등의 합성수지 소재가 있다.
다공성 소재(132)는 패드(131) 내부에 채워지는 것으로 표면에 복수의 기공들이 형성된 소재라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다공성 소재(132)의 예로는 제올라이트, 메조기공 실리카(sponge mesoporous silica), 다공성 금속소재 등이 있다.
다공성 소재(132)의 기공에는 흡열물질(133)이 담지된다. 흡열물질(133)은 예컨대 물과 반응하여 흡열반응을 일으키는 물질을 말한다. 흡열물질(133)의 예로는 무기염; 질산암모늄, 황산암모늄, 산성황산암모늄, 인산암모늄, 인산수소 2암모늄, 메타바나드산 암모늄, 염화암모늄, 브롬화암모늄, 요오드암모늄 등의 무기암모늄염; 또는 질산나트륨, 질산칼륨 등의 알칼리 금속염; 질산금속염; 및 우레아(요소) 등이 있으며, 상기 나열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쿨링패드층(130)의 패드(131) 배면에는 외층(120)의 외측면과 탈부착 가능하도록 접착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착층은 통상의 접착제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고무계 접착제, 아크릴 수지계 접착제, 실리콘계 접착제, 광학계 접착제, 가열성 접착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쿨링패드층(130)은 적재구조물이 위치된 공간에서의 외부온도를 저감시킬 수 있다. 적재구조물이 특정 위치에 있거나, 이동 중인 경우 모두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적재구조물이 고온 건조한 환경에 놓여 있는 경우를 가정한다. 쿨링패드층(130)에 물을 공급하면 패드(131) 내부에 채워진 다공성 소재(132)에 담지된 흡열물질(133)들이 반응하여 흡열반응을 일으킨다. 구체적으로 흡열물질(133)들이 기화하면서 흡열반응을 일으킴에 따라 적재구조물의 주변 온도를 2~5℃ 가량 저감시킨다. 흡열물질(133)의 기화로 발생하는 기화열은 기체 투과성 소재로 형성되는 패드(13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적재구조물의 외부온도가 저감되는 바, 적재구조물에서 요구되는 필요열량을 절감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적재구조물용 복합패널(200)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복합패널(200)은 내층(210)과, 내층(210)의 양면에 각각 접합되는 외층(220)과, 내층(210)의 외측에 접합되는 외층(220)의 외면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부착되는 복수의 쿨링패드층(230)을 포함한다.
내층(210)은 일정 규격을 갖는 발포 폴리에틸렌 폼, 발포 폴리우레탄 폼, 발포 폴리스티렌 폼 또는 압축 스티로폼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내층(210)은 보온, 차음, 방음, 단열 등의 기능 및 역할을 한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내층(210)은 압출보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내층(210)의 밀도는 30-60kg/m3이고, 압축강도는 10N/cm2 이상일 수 있다. 내층(210)의 두께는 약 3cm - 5cm 일 수 있다.
내층(210)에서 외측(220) 방향의 면(즉, 도 2에서 내층(210)의 상하부면)에는 복수의 슬롯(a)이 형성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슬롯(a)은 V자 형의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슬롯(a)은 폭이 1mm, 깊이가 2-3mm 가량의 'V자 홈'형상일 수 있다. 슬롯(a) 사이의 간격은 특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5-10cm 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슬롯(a)은 내층(210)에 외층(220)을 접합함에 있어, 내층(210)의 양면에 도포된 열경화성 접착수지의 경화 과정에서 발생되는 가스(기포)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또한 상기 열경화성 접착수지가 내층(210)의 양면에 도포되는 과정에서 일부가 슬롯(a)을 채우게 됨으로써, 내층(210)과 외층(220)의 접합력을 높일 수 있다.
내층(210)은 제1 내층(211)과 제2 내층(212)을 포함한다. 제1 내층(211)과 제2 내층(212)은 상호 접합되어 적층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 내층(211)과 제2 내층(212)은 각각 복수개의 부재로 분할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내층(211)은 복수의 제1 내층(211)이 측면끼리 접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내층(212)은 복수의 제2 내층(212)이 측면끼리 접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1 내층(211)을 이루는 부재들의 접합 부분이 제2 내층(212)을 이루는 부재들의 접합 부분과 서로 어긋나도록 상기 부재들이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도 2에서 제1 내층(211)의 중간에 도시되어 있는 세로선들은 복수의 제1 내층(211)들의 접합부위에 해당한다. 마찬가지로 도 2에서 제2 내층(212)의 중간에 도시되어 있는 세로선들은 복수의 제2 내층(212)들의 접합부위에 해당한다. 이 때, 제1 내층(211)의 접합부위(세로선)는 제2 내층(212)의 접합부위(세로선)와는 서로 어긋나도록 상기 부재들이 배치된다. 상술한 것과 같이 제1 내층(211)을 이루는 부재들의 접합 부분을 제2 내층(212)을 이루는 부재들의 접합 부분과 서로 어긋나도록 상기 부재들을 배치하는 경우에는, 제1 내층(211)들의 접합 부위(세로선) 또는 제2 내층(212)들의 접합 부위(세로선)을 통해 냉기가 누출되거나 외기가 유입되는 것을 기밀하게 차단할 수 있으므로, 단열효율을 높일 수 있다.
외층(220)은 제1 시트(221)와, 제1 시트(221)에 적층되는 제2 시트(222)를 포함한다.
제1 시트(221)는 내층(210)의 일면에 접합한다. 제1 시트(221)는 단섬유 결합체(221a)와 시트체(222b)를 포함한다. 제1 시트(221)의 두께는 약 1.5mm - 3.0mm 일 수 있으며, 단섬유 결합체(221a)와 시트체(221b)의 두께 역시 상기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단섬유 결합체(221a)는 제1 단섬유로 형성된 웨브(web)와, 제2 단섬유로 형성된 웨브와, 제3 단섬유로 형성된 웨브가 상호 결합된 면상으로 형성된다. 제1 단섬유, 제2 단섬유, 제3 단섬유는 상이한 단섬유다.
제1 단섬유는 테레프탈산과 에틸렌글리콜의 중합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중합체를 방사 및 연신함으로써 수득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제1 단섬유는 섬유 직경이 약 1 - 8 마이크로미터, 섬유 길이가 20 - 120mm 범위의 섬유 길이를 갖는 단섬유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제1 단섬유로 형성된 웨브는 중량이 200 - 500 g/m2, 융점이 254 - 284℃, 파단신도가 200 - 500%, 160℃ 에서의 건열수축율이 20 - 60%, 섬유 굵기는 2 - 10 데니어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제1 단섬유는 폴리에스테르 섬유일 수 있다.
제2 단섬유는 유리 섬유일 수 있다. 제2 단섬유는 단섬유 결합체(221)의 강도를 보강한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제2 단섬유의 길이는 10mm 내지 100mm의 길이, 더욱 구체적으로는 10mm 내지 90mm의 길이, 더욱 더 구체적으로는 10mm 내지 80mm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특히 제2 단섬유의 길이가 10mm 미만인 경우에는 제1 단섬유와의 결합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제3 단섬유는 탄소 섬유일 수 있다 .제3 단섬유는 단섬유 결합체(221)의 내구성을 보강한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단섬유 결합체(221a)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제1 단섬유는 50-70wt%, 제2 단섬유는 10-20wt%, 제3 단섬유는 10-40wt%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때, 제2 단섬유의 함량은 제1 단섬유의 함량보다 작고, 제3 단섬유의 함량은 제2 단섬유의 함량보다 작을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웨브는 상기 단섬유를 연속적으로 순환하는 타공 벨트 상에 열풍과 함께 분사하고, 상기 타공 벨트의 하부에서는 에어 석션을 하여 상기 단섬유들이 상기 타공 벨트 상에 달라붙게 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단섬유 결합체(221a)는 3 종의 단섬유로 형성된 각 웨브가 상호 결합되어 형성되는 바, 공극을 갖는다. 이 때, 단섬유 결합체(221a)에 형성되는 공극의 평균 기공크기(pore size)는 1 내지 6 마이크로미터일 수 있다. 상기 기공크기가 1 마이크로미터 미만인 경우에는 시트체(221b)를 이루는 열경화성 접착수지가 기공을 통해 침투하기 어렵고, 반대로 상기 기공크기가 6 마이크로미터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에서 의도하는 단섬유 결합체(221a)의 강도를 확보하기 어렵다. 한편 단섬유 결합체(221a)에 형성되는 공극은 랜덤(random) 형상을 갖는다. 공극률은 25% - 60% 정도일 수 있다.
시트체(221b)는 열경화성 접착수지가 경화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열경화성 접착수지는 폴리우레탄 수지, 에폭시 수지, 아크릴 수지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열경화성 접착수지는 60 - 80℃ 상에서 열 반응에 의해 경화되는 이액형 폴리우레탄 수지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액형 폴리우레탄 수지는 주제인 폴리에테르 폴리올과, 분자량 350 - 400 가량의 메틸렌 비스페닐을 함유한 디페닐메탄 디아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테르 폴리올과 상기 경화제는 중량비로 100:23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이액형 폴리우레탄 수지는 약 4,000 mPa.s의 점도, 약 1.5 - 1.7 가량의 비중(g/cm3), ASTM-D297로 측정된 인장 강도가 12MPa 이상이고, ASTM-D1002로 측정된 전단 강도는 약 10 MPa일 수 있다.
제1 시트(221)는 단섬유 결합체(221a)가 시트체(221b)와 일체화 된 형태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단섬유 결합체(221a)에 형성되는 공극에 시트체(221b)를 구성하는 열경화성 접착수지가 기공을 통해 침투한 후에 경화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제1 시트(221)는 단섬유 결합체(221a)가 시트체(221b)에 파묻힌 형태일 수 있다.
시트체(221b)를 경화시켜 제1 시트(221)를 형성함에 있어, 상기 경화 과정에서 열경화성 접착수지로부터 발생되는 가스(기포)는 단섬유 결합체(221a)에 형성되는 공극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시트(221)의 시트체(221b)에는 상기 가스가 배출되지 못해 발생하는 기공이 형성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잦은 진동이나 시간이 지나도 제1 시트(221)와 제2 시트(222)가 박리되지 않아 내구성이 향상된다. 다시 말해 뜸 불량 현상이 일어나지 않아, 제품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
제1 시트(221)는 ASTM-D5470에 따라 측정된 열저항이 0.085 m2K/W 이상일 수 있다. 즉, 제1 시트(221)는 목재 합판의 평균 열저항인 0.01-0.02 m2K/W 보다 5배 이상의 열저항을 갖는다. 따라서 단열성이 목재 합판 대비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1 시트(221)는 단섬유 결합체(221a)와 시트체(221b)로 형성되므로, 목재 합판에 비해 침습에 강하다. 수분이 침투하여도 곰팡이가 발생하거나 ?거나 뒤틀리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복합패널(200)의 수명이 크게 늘어난다.
또한 제1 시트(221)는 단섬유 결합체(221a)와 시트체(221b)로 형성되므로, 목재 합판에 비해 경량이다. 따라서 복합패널(100)로 적재구조물을 형성하여 차량에 설치하였을 때에 공차중량을 크게 낮출 수 있어 차량의 연비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제2 시트(222)는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또는 알루미늄 소재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제2 시트(222)의 소재로는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은 폴리프로필렌, 섬유유리(fibrous glass) 및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은 폴리프로필렌 25 내지 75중량%, 섬유유리(fibrous glass) 25 내지 75중량%, 첨가제 0 내지 5중량%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시트(222)의 두께는 약 0.8mm - 1.6mm 일 수 있다.
쿨링패드층(230)은 내층(210)의 외측에 접합되는 외층(220)의 외면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부착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쿨링패드층(230)이 복합패널(200)의 최외측에 부착된 것과 같다. 여기에서 "최외측"은 복합패널(200)로 적재구조물을 형성하였을 때, 외부 공간쪽 방향을 의미한다. 쿨링패드층(230)은 외층(220)의 외면에 부착되어 외부온도를 저감시켜 복합패널(200)로 형성된 적재구조물의 온도유지 성능을 보완한다.
쿨링패드층(230)은 패드(231)와, 패드(231) 내부에 채워지는 다공성 소재(232)를 포함한다. 패드(231)는 플레이트 형 또는 박스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기체투과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기체투과성 소재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체투과성 물질을 이용할 수 있으며, 특정 소재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기체투과성 소재의 예로는 부직포, 중공섬유를 비롯하여 폴리프로필렌, 폴리프로필렌 필름,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나일론,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에틸렌비닐알콜, 폴리염화비닐 등의 합성수지 소재가 있다. 패드(231)는 복수개가 외층(220)의 외측면에 부착될 수 있으며, 도 2에서와 같이 소정 간격을 두어 부착될 수 있다.
다공성 소재(232)는 패드(231) 내부에 채워지는 것으로 표면에 복수의 기공들이 형성된 소재라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다공성 소재(232)의 예로는 제올라이트, 메조기공 실리카(sponge mesoporous silica), 다공성 금속소재 등이 있다.
다공성 소재(232)의 기공에는 흡열물질(233)이 담지된다. 흡열물질(233)은 예컨대 물과 반응하여 흡열반응을 일으키는 물질을 말한다. 흡열물질(233)의 예로는 무기염; 질산암모늄, 황산암모늄, 산성황산암모늄, 인산암모늄, 인산수소 2암모늄, 메타바나드산 암모늄, 염화암모늄, 브롬화암모늄, 요오드암모늄 등의 무기암모늄염; 또는 질산나트륨, 질산칼륨 등의 알칼리 금속염; 질산금속염; 및 우레아(요소) 등이 있으며, 상기 나열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쿨링패드층(230)의 패드(231) 배면에는 외층(220)의 외측면과 탈부착 가능하도록 접착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착층은 통상의 접착제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고무계 접착제, 아크릴 수지계 접착제, 실리콘계 접착제, 광학계 접착제, 가열성 접착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쿨링패드층(230)은 적재구조물이 위치된 공간에서의 외부온도를 저감시킬 수 있다. 적재구물이 특정 위치에 있거나, 이동 중인 경우 모두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적재구조물이 고온 건조한 환경에 놓여 있는 경우를 가정한다. 쿨링패드층(230)에 물을 공급하면 패드(231) 내부에 채워진 다공성 소재(232)에 담지된 흡열물질(233)들이 반응하여 흡열반응을 일으킨다. 구체적으로 흡열물질(233)들이 기화하면서 흡열반응을 일으킴에 따라 적재구조물의 주변 온도를 2~5℃ 가량 저감시킨다. 흡열물질(233)의 기화로 발생하는 기화열은 기체 투과성 소재로 형성되는 패드(23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적재구조물의 외부온도가 저감되는 바, 적재구조물에서 요구되는 필요열량을 절감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복합패널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복합패널(100)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외층(120)을 먼저 제조한다.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또는 알루미늄 중에서 선택되는 제2 시트(122)의 일면에 액상의 제1 열경화성 접착수지를 도포한다. 다음으로 3종의 단섬유로 형성된 웨브가 상호 결합된 면상의 단섬유 결합체(121a)를 제2 시트(122)의 상기 일면에 배치한다. 단섬유 결합체(121a)를 배치하고 일정 시간이 지나면 제1 열경화성 접착수지는 단섬유 결합체(121a)에 형성된 공극에 침투된다. 이에 따라 단섬유 결합체(121a)는 제1 열경화성 접착수지 내로 파묻히게 된다. 다음으로 제1 열경화성 접착수지를 경화시킨다. 구체적으로, 60 - 80℃ 상에서 핫프레싱 함으로써 제1 열경화성 접착수지를 경화시킬 수 있다. 제1 열경화성 접착수지가 경화되면 시트체(121b)를 형성하게 된다. 단섬유 결합체(121a)와 시트체(121b)는 일체화 된 형태를 가지며, 이를 제1 시트(121)로 칭한다.
한편, 단섬유 결합체(121a)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단섬유 결합체(121a)는 단섬유를 연속적으로 순환하는 타공 벨트 상에 열풍과 함께 분사하고, 상기 타공 벨트의 하부에서는 에어 석션을 하여 상기 단섬유들이 상기 타공 벨트 상에 달라붙게 함으로써 웨브를 형성하는 단계; 니들펀칭(Needle Punching)을 통해 상기 웨브를 기계적으로 상호 결합시켜 면상의 결합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결합체를 열압처리하여 상기 결합체의 평활도를 높이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 때, 중요한 것은 상기 니들펀칭을 통해 면상의 결합체를 형성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추가적으로 열압처리함으로써 결합체의 평활도를 높이는 공정이 추가된다는 점이다. 니들펀칭은 섬유 웨브의 표면에 대해 양방향으로 니들(Needle)을 상하 운동시켜 상기 웨브를 기계적으로 상호 결합하는 공정이다. 니들펀칭을 통해 웨브는 면상의 결합체가 될 수 있다. 하지만 니들펀칭만을 거쳐 형성된 면상 결합체의 경우 평활도가 매우 떨어진다. 니들의 상하 운동에 의해 결합체 표면에 굴곡도가 높아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면상의 결합체를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단섬유 결합체에 열경화성 접착수지가 침투함에 있어서, 불균일하게 침투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시트(121)의 부위에 따라 다른 물성(예컨대 열저항)이 나타날 수 있다. 하지만 본 구체예에서와 같이, 니들펀칭을 통해 면상의 결합체를 형성한 후에 추가적으로 열압처리하는 경우에는 면상 결합체의 평활도가 증가하므로, 이후 열경화성 접착수지의 침투가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시트(121)의 부위에 따른 물성 차이가 매우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상기 단섬유는 폴리에스테르 섬유인 제1 단섬유, 유리 섬유인 제2 단섬유, 탄소 섬유인 제3 단섬유를 포함한다. 제1 단섬유, 제2 단섬유 및 제3 단섬유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상술하였는 바,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단섬유 결합체(121a)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제1 단섬유는 50-70wt%, 제2 단섬유는 10-20wt%, 제3 단섬유는 10-40wt%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때, 제2 단섬유의 함량은 제1 단섬유의 함량보다 작고, 제3 단섬유의 함량은 제2 단섬유의 함량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열경화성 접착수지는 이액형 폴리우레탄 수지로서, 수지는 주제인 폴리에테르 폴리올과, 분자량 350 - 400 가량의 메틸렌 비스페닐을 함유한 디페닐메탄 디아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탄산칼슘 등의 필러가 일정량 첨가될 수 있다. 상기 폴리에테르 폴리올과 상기 경화제는 중량비로 100:23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이액형 폴리우레탄 수지는 약 4,000 mPa.s의 점도, 약 1.5 - 1.7 가량의 비중(g/cm3), ASTM-D297로 측정된 인장 강도가 12MPa 이상이고, ASTM-D1002로 측정된 전단 강도는 약 10 MPa일 수 있다.
다음으로, 내층(110)을 마련한다. 내층(110)은 발포 폴리에틸렌 폼, 발포 폴리우레탄 폼, 발포 폴리스테린폼 또는 압축 스티로폼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내층(110)은 상기 나열한 소재 및 그의 변형예들 중에서 밀도가 30-60kg/m3이고, 압축강도는 10N/cm2 이상의 물성을 갖는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내층(110)의 양면에는 복수의 슬롯(a)을 소정 간격을 두어 형성한다. 슬롯(a)은 V 컷팅기 등의 장비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내층(110)의 양면에 외층(120)을 위치시킨다. 외층(120)의 제1 시트(121)가 내층(110)의 양면에 접하도록 외층(120)을 위치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내층(110) 및 외층(120)을 가열 압착하여 제1 열경화성 접착수지, 제2 열경화성 접착수지를 경화시켜 복합패널(100)을 제조할 수 있다. 제1,2 열경화성 접착수지는 동일하므로, 복합패널(100)이 일체화 된 형태를 갖게 된다.
한편, 본 제조방법에 따르면, 외층(120)을 별도로 제작하고, 마련된 내층(110)의 각 양면에 외층(120)을 접합하는 방법을 이용하게 되는 바, 공정 시간이 절감되고 공정이 간단해지는 장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복합패널을 제조할 때에는 코어층을 기준으로 코어층의 양면에 다른 층들을 순차적으로 적층시키는 방법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 경우에는 공정이 복잡해질 뿐더러 공정 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이다.
내층(110) 및 외층(120)을 가열 압착한 후에는, 기 제조된 쿨링패드층(130)을 외층(120)의 외측면에 부착시킴으로써, 복합패널(100)의 제조가 완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복합패널(200)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외층(220)을 먼저 제조한다. 외층(220)은 도 1에 도시된 복합패널(100)의 외층(120)과 동일 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는 바,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내층(210)을 마련한다. 내층(210)은 발포 폴리에틸렌 폼, 발포 폴리우레탄 폼, 발포 폴리스티렌폼 또는 압축 스티로폼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내층(210)은 상기 나열한 소재 및 그의 변형예들 중에서 밀도가 30-60kg/m3이고, 압축강도는 10N/cm2 이상의 물성을 갖는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내층(211)의 일면과 제2 내층(212)의 일면에 각각 슬롯(a)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슬롯(a)은 V컷팅기 등의 장비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복수의 제1 내층(211)들을 측면끼리 각각 접합하고, 복수의 제2 내층(212)들도 마찬가지로 측면끼리 각각 접합한다. 예컨대 제1 내층(211) 및 제2 내층(212)의 측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에, 다른 제1 내층(211) 및 제2 내층(212)을 부착시키고 상기 접착제를 경화시키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제1 내층(211) 및 제2 내층(212) 들이 연결된 상태를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하여, 스테이플(staple) 등의 고정 부재를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인접한 제1 내층(211) 또는 제2 내층(212)의 연결 부위에 스테이플(staple)을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스테이플(staple)은 후에 제거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제1 내층(211)은 슬롯(a)이 형성된 면이 제1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하고, 제2 내층(212)은 슬롯(a)이 형성된 면이 제1 방향과 정반대되는 방향인 제2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한 후에, 제1 내층(211)과 제2 내층(212)의 접합면들에 대해 접착제를 도포하고, 제1 내층(211) 및 제2 내층(212)을 상호 부착한 후에 상기 접착제를 경화시킴으로써 제1 내층(211)과 제2 내층(212)을 접합시킬 수 있다. 이 때, 제1 내층(211)의 접합부위(도 3의 세로선)와 제2 내층(212)의 접합부위(도 3의 세로선)이 서로 어긋나도록 제1 내층(211)과 제2 내층(212)을 부착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내층(211)과 제2 내층(212)에서 슬롯(a)이 형성된 면에 제2 열경화성 접착수지를 도포할 수 있다. 이 때, 사용되는 제2 열경화성 접착수지는 앞서 도 1의 복합패널(100)의 제조방법에서 설명되었던 제1 열경화성 접착수지와 동일할 수 있다.
다음으로, 내층(210)의 양면에 외층(220)을 위치시킨다. 외층(220)의 제1 시트(221)가 내층(210)이 양면에 접하도록 외층(220)을 위치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내층(210) 및 외층(220)을 가열 압착함으로써 복합패널(200)을 제조할 수 있다. 이어 기 제조된 쿨링패드층(230) 복수개를 외층(220)의 외측면에 간격을 두어 부착시킴으로써, 복합패널(200)의 제조가 완성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현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기술의 구체적 적용에 따른 단순한 설계변경, 일부 구성요소의 생략, 단순한 용도의 변경 등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형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됨은 자명하다.
100: 복합패널 110: 내층
120: 외층 121: 제1 시트
121a: 단섬유 결합체 121b: 시트체
122: 제2 시트 130: 쿨링패드층
131: 패드 132: 다공성 소재
133: 흡열 물질 200: 복합패널
210: 내층 220: 외층
221: 제1 시트 221a: 단섬유 결합체
221b: 시트체 230: 쿨링패드층
231: 패드 232: 다공성 소재
233: 흡열 물질

Claims (4)

  1. 발포 폴리에틸렌 폼, 발포 폴리우레탄 폼, 발포 폴리스티렌 폼 또는 압축 스티로폼으로 형성되는 내층과, 내층의 양면에 각각 접합되는 외층과, 내층의 외측에 접합되는 외층의 외면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부착되는 쿨링패드층을 포함하고,
    외층은, 내층의 일면에 접합하는 제1 시트와, 제1 시트에 적층되고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또는 알루미늄으로 형성되는 제2 시트를 포함하고,
    제1 시트는, 단섬유로 형성된 웨브가 상호 결합된 면상의 단섬유 결합체가 열경화성 접착수지로 형성된 시트체와 일체화 된 형태를 가지며, 상기 단섬유 결합체는 폴리에스테르 섬유인 제1 단섬유로 형성된 웨브와, 유리섬유인 제2 단섬유로 형성된 웨브와, 탄소섬유인 제3 단섬유로 형성된 웨브를 포함하고, 상기 단섬유 결합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제2 단섬유의 함량이 제1 단섬유의 함량보다 작고, 제3 단섬유의 함량이 제2 단섬유의 함량보다 작으며,
    쿨링패드층은, 기체투과성 소재로 형성되는 패드와, 패드 내부에 채워지는 복수의 다공성 소재를 포함하고, 다공성 소재의 기공에는 흡열물질이 담지되는, 적재구조물의 복합패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 단섬유로 형성된 웨브는 중량이 200 - 500 g/m2, 융점이 254 - 284℃, 파단신도가 200 - 500%, 160℃ 에서의 건열수축율이 20 - 60%, 섬유 굵기는 2 - 10 데니어이고, 제2 단섬유는 10mm 내지 80mm의 섬유 길이를 갖는, 적재구조물의 복합패널.
  3. 발포 폴리에틸렌 폼, 발포 폴리우레탄 폼, 발포 폴리스티렌 폼 또는 압축 스티로폼으로 형성되는 내층과, 내층의 양면에 각각 접합되는 외층과, 내층의 외측에 접합되는 외층의 외면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부착되는 복수의 쿨링패드층을 포함하고,
    내층은, 제1 내층과, 제1 내층의 일면에 접합되는 제2 내층을 포함하되, 제1 내층 및 제2 내층은 각각 복수개의 부재로 분할 형성되어 각 부재의 측면이 접합된 형태를 가지며, 제1 내층을 이루는 부재들의 접합 부분이 제2 내층을 이루는 부재들의 접합 부분과 서로 어긋나도록 상기 부재들이 배치되고,
    외층은, 내층의 일면에 접합하는 제1 시트와, 제1 시트에 적층되고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또는 알루미늄으로 형성되는 제2 시트를 포함하고,
    제1 시트는, 단섬유로 형성된 웨브가 상호 결합된 면상의 단섬유 결합체가 열경화성 접착수지로 형성된 시트체와 일체화 된 형태를 가지며, 상기 단섬유 결합체는 폴리에스테르 섬유인 제1 단섬유로 형성된 웨브와, 유리섬유인 제2 단섬유로 형성된 웨브와, 탄소섬유인 제3 단섬유로 형성된 웨브를 포함하고, 상기 단섬유 결합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제2 단섬유의 함량이 제1 단섬유의 함량보다 작고, 제3 단섬유의 함량이 제2 단섬유의 함량보다 작으며,
    쿨링패드층은, 기체투과성 소재로 형성되는 패드와, 패드 내부에 채워지는 복수의 다공성 소재를 포함하고, 다공성 소재의 기공에는 흡열물질이 담지되는, 적재구조물의 복합패널.
  4. 청구항 3에 있어서,
    제1 단섬유로 형성된 웨브는 중량이 200 - 500 g/m2, 융점이 254 - 284℃, 파단신도가 200 - 500%, 160℃ 에서의 건열수축율이 20 - 60%, 섬유 굵기는 2 - 10 데니어이고, 제2 단섬유는 10mm 내지 80mm의 섬유 길이를 갖는, 적재구조물의 복합패널.
KR1020170140042A 2017-10-26 2017-10-26 온도유지 성능이 향상된 적재구조물용 복합패널 KR1018855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0042A KR101885578B1 (ko) 2017-10-26 2017-10-26 온도유지 성능이 향상된 적재구조물용 복합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0042A KR101885578B1 (ko) 2017-10-26 2017-10-26 온도유지 성능이 향상된 적재구조물용 복합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5578B1 true KR101885578B1 (ko) 2018-08-06

Family

ID=63252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0042A KR101885578B1 (ko) 2017-10-26 2017-10-26 온도유지 성능이 향상된 적재구조물용 복합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557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4919Y1 (ko) 2001-11-06 2002-02-21 성우에스피 주식회사 샌드위치 패널
KR20060073456A (ko) * 2004-12-23 2006-06-28 롬 앤드 하아스 컴패니 폴리머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접착제 조성물
KR20130000904U (ko) * 2011-07-29 2013-02-06 성우에스피 주식회사 단열 패널 컨테이너를 가지는 냉장차
KR20130143221A (ko) * 2012-06-21 2013-12-31 (주) 에스비코리아 건축용 샌드위치 패널 및 그 패널의 제조방법
KR20150021461A (ko) * 2013-08-19 2015-03-02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단열 시트, 그 제조 방법 및 단열 패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4919Y1 (ko) 2001-11-06 2002-02-21 성우에스피 주식회사 샌드위치 패널
KR20060073456A (ko) * 2004-12-23 2006-06-28 롬 앤드 하아스 컴패니 폴리머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접착제 조성물
KR20130000904U (ko) * 2011-07-29 2013-02-06 성우에스피 주식회사 단열 패널 컨테이너를 가지는 냉장차
KR20130143221A (ko) * 2012-06-21 2013-12-31 (주) 에스비코리아 건축용 샌드위치 패널 및 그 패널의 제조방법
KR20150021461A (ko) * 2013-08-19 2015-03-02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단열 시트, 그 제조 방법 및 단열 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89037C (en) Panels utilizing a precured reinforced co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7972698B2 (en) Carbon foam core panels
US5518796A (en) Near-surface enhancement of honeycomb sandwich structures to improve durability using a foaming fiber-filled adhesive
KR101892648B1 (ko) 컨테이너 적재구조물용 복합패널
CN109153807B (zh) 通过双条发泡法或块状发泡法获得的纤维增强反应性泡沫材料
JP2005523180A5 (ko)
US20150204065A1 (en) Method for Making Fire-Resistant Foam Insulation Panels
US6509078B1 (en) Composite material
JP6113851B2 (ja) 軽量サンドイッチパネルの連続製造方法及びその方法で製造された軽量サンドイッチパネル
JPH1044281A (ja) 複合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801560B1 (ko) 복합패널 및 그 제조방법
CA2132118A1 (en) Method for continuous manufacture of foam boards with isocyanate-impregnated facers
KR101672722B1 (ko) 샌드위치 복합 성형품의 제조방법
US20240190089A1 (en) Thermoplastic prepreg based foam product
KR101885578B1 (ko) 온도유지 성능이 향상된 적재구조물용 복합패널
KR101892645B1 (ko) 내침습성, 내구성 및 기밀성이 향상된 적재구조물용 복합패널
CN113462145A (zh) 一种纤维增强聚氨酯仿木及其成型方法
CN117261374A (zh) 一种lng船用复合材料型层压木及其制备方法
CN101791863B (zh) 一种枕木成型模具
KR102114835B1 (ko) 접착력 및 내구성이 향상된 적재구조물용 복합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54312B1 (ko) 적재구조물용 복합패널의 제조방법
US20120015137A1 (en) Paper-based composite material
KR100203381B1 (ko) 자동차내장마감재및그제조방법
JP2014151473A (ja) パネル
JP2000204267A (ja) 複合材料、その製造方法及び合成枕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