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5353B1 -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열저감 구조체 - Google Patents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열저감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5353B1
KR101885353B1 KR1020160115353A KR20160115353A KR101885353B1 KR 101885353 B1 KR101885353 B1 KR 101885353B1 KR 1020160115353 A KR1020160115353 A KR 1020160115353A KR 20160115353 A KR20160115353 A KR 20160115353A KR 101885353 B1 KR101885353 B1 KR 1018853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induction
induction cooking
support portion
st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5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8122A (ko
Inventor
김주홍
Original Assignee
김주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홍 filed Critical 김주홍
Priority to KR1020160115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5353B1/ko
Publication of KR20180028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81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5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53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2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 A47J27/022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with enlarged botto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1/00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 A47J41/0055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lements forming the thermal insulation
    • A47J41/0072Double walled vessels comprising a single insulating layer between inner and outer wa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열전달 저감 구조체는, 인덕션 렌지로부터 유도되는 자기장에 반응하는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를 통해 음식을 조리하는 경우, 상기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상기 열에 의한 사고를 방지하는 구조체일 수 있다.

Description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열저감 구조체{REDUCING HEAT STRUCTURE OF COOKING CONTAINER FOR INDUCTION RAGE}
본 발명은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열저감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열에 의한 사고를 방지하는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열저감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덕션 렌지(Induction Range)에는 전원을 공급받아 고전압이 인가되어 자기장을 발생하기 위한 코일이 내장되어 있으며, 이러한 인덕션 렌지는 코일에 고전압이 인가되면 자기장이 유도되고, 이 자기장이 미치는 영역에 있는 금속체가 가열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이러한 인덕션 렌지를 사용하면 유해가스가 발생되지 않아 실내 공기를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순간적으로 조리용기를 가열하기 때문에 단시간에 조리를 할 수 있다.
그러나 조리용기 자체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한 사용자의 화상이 발생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를 수용하며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에서 발생되는 열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시켜 사용자의 화상위험을 감소시키는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열저감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열전달 저감 구조체는, 인덕션 렌지로부터 유도되는 자기장에 반응하는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를 통해 음식을 조리하는 경우, 상기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상기 열에 의한 사고를 방지하는 구조체로, 소정의 내부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내부공간에 상기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를 분리 가능하게 수용하는 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하는 상기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포위하는 포위부 및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하는 상기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를 지지하여 상기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가 상기 내부공간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가 상기 자기장에 의해 반응하여 상기 음식이 조리되는 경우, 상기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로부터의 발생되는 열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상기 자기장에 반응하지 않도록 부도체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하는 상기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가 상기 자기장에 의해 반응하여 상기 음식이 조리되는 경우, 상기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가 상기 인덕션 렌지와 비접촉되도록 하여 상기 자기장에 의해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상기 인덕션 렌지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의 바닥면이 상기 인덕션 렌지의 상면과 연통되도록, 하단 중앙부에 개구가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개구보다 큰 바닥면을 구비하는 임의의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의 바닥면과의 접촉에 의해 상기 임의의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포위부의 하측단으로부터 상기 내부공간을 향하여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열전달 저감 구조체의 상기 지지부는, 상기 포위부의 하측단으로부터 상기 인덕션 렌지의 상면을 향해 상기 내부공간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열전달 저감 구조체의 상기 지지부는, 상기 내부공간에 상기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가 위치하는 경우, 상기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의 측면 및 상기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의 바닥면 사이에 각각 제1 이격공간 및 제2 이격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제1 이격공간 및 상기 제2 이격공간은, 상기 지지부와 상기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의 바닥면의 모서리와의 접촉에 의해, 공간적으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열전달 저감 구조체의 상기 포위부는, 상기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의 측면 사이에 상기 제1 이격공간과 공간상으로 연결되는 제3 이격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열전달 저감 구조체의 상기 지지부는, 상기 포위부의 하측단으로부터 상기 인덕션 렌지의 상면을 향해 상기 내부공간으로 제1 경사각을 구비하도록 연장되거나 제1 곡률반경을 구비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1 지지부의 단부로부터 제2 경사각을 구비하도록 연장되거나 제2 곡률반경을 구비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제2 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열전달 저감 구조체의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제1 지지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인덕션 렌지의 상면과 평행하도록 하는제2 경사각을 구비하도록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열전달 저감 구조체의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제1 지지부의 단부로부터 축 방향 상측을 향해 상기 내부공간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지지부와의 경계가 상기 인덕션 렌지의 상면과 접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열전달 저감 구조체의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의 바닥면과 면접촉이 구현되도록 상기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의 바닥면과 평행한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열전달 저감 구조체의 상기 포위부는,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하는 상기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를 파지할 수 있도록 상측단의 적어도 일부가 개구되어 형성되는 제1 개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열전달 저감 구조체의 상기 지지부는, 상기 인덕션 렌지와 상기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사이의 공기 흐름을 원활히 하여 상기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로부터 상기 인덕션 렌지로 전달되는 열이 외부로 방출되도록 개구되어 형성되는 제2 개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열저감 구조체에 의하면,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에서 발생되는 열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열저감 구조체 및 이에 수용되는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의 개략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열저감 구조체의 개략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가 수용된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열저감 구조체의 개략 단면도.
도 5 내지 도 18은 도 3의 A에 대한 제1 변형예 내지 제 14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열저감 구조체사용상태를 도시한 개략 종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인덕션 렌지(IR)는 열을 직접 발생시키는 방식이 아닌, 열을 유도하여 전용 용기를 가열하는 방식으로 사용된다. 이때, 인덕션 렌지(IR)에는 열이 발생되지 않아 인덕션 렌지(IR)에 의한 사용자의 화상은 발생되지 않는다.
그러나 인덕션 렌지(IR)를 사용하더라도 가열된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C)에 의한 사용자의 화상 위험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인덕션 렌지(IR)로부터 유도되는 자기장에 반응하는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C)를 통해 음식을 조리하는 경우,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C)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열에 의한 사고를 방지하는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열저감 구조체(1000)에 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열저감 구조체(100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열저감 구조체(1000) 및 이에 수용되는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C)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열저감 구조체(1000)의 개략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열저감 구조체(1000)는, 소정의 내부공간(1160)을 구비하며, 내부공간(1160)에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C)를 분리 가능하게 수용하는 본체부(11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100)는 내부공간(1160)에 위치하는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C)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포위하는 포위부(1120) 및 내부공간(1160)에 위치하는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C)를 지지하여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C)의 내부공간(1160)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포위부(1120)로부터 내부공간(1160)을 향해 절곡되어 형성되는 지지부(114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본체부(1100)는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C)가 자기장에 의해 반응하여 음식이 조리되는 경우,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C)로부터의 발생되는 열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자기장에 반응하지 않도록 부도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본체부(1100)는 멜라민 수지, 목재, 내열성 유리, 석재, 오자기(烏瓷器), 종이, 폴리 프로필렌(PP), 폴리 에틸렌(PE), 폴리 카보네이트(PC), 합성 고무, 티타늄 및 자기 등의 부도체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포위부(1120)는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C)의 측면 일부를 포위하거나, 측면전체를 포위할 수도 있다. 이때, 포위부(1120)는 사용자의 화상위험을 최소화 하도록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C)의 전체를 포위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포위부(1120)가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C) 측면의 일부만 포위할 경우 외부로 노출되는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C)로 인해, 사용자의 화상위험이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포위부(1120)는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C)를 내부공간(1160)에 장착하거나, 내부공간(1160)에서 분리할 때,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C)를 파지할 수 있도록 포위부(1120)의 상단 부분이 개구된 제1 개구부(11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손잡이가 장착된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C)가 내부공간(1160)에 삽입될 경우, 손잡이는 제1 개구부(1122)에 끼워질 수 있다.
한편, 내부공간(1160)에 삽입되는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C)는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C)의 상단 부분이 제1 개구부(1122)를 통해 노출되어 파지될 수 있는 높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포위부(1120)의 상단에서부터 지지부(1140)에 가까운 영역까지 개구되는 제1 개구부(1122)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내부공간(1160)에 어떠한 높이의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C)가 수용되더라도 제1 개구부(1122)를 통해 인던션 렌지용 조리용기(C)의 상단이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C)가 수용된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열저감 구조체(1000)를 꺼낼 수 있도록, 포위부(1120)에는 손잡이가 장착될 수 있다.
지지부(1140)는 내부공간(1160)에 위치하는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C)가 자기장에 의해 반응하여 음식이 조리되는 경우,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C)의 바닥면이 인덕션 렌지(IR)의 상면과 연통되도록 하단 중앙부가 개구가 형성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포위부(1120)의 하측단으로부터 인덕션 렌지(IR)의 상면을 향해 내부공간(1160)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140)는 내부공간(1160)에 위치하는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C)가 자기장에 의해 반응하여 음식이 조리되는 경우,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C)가 인덕션 렌지(IR)와 비접촉되도록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C)를 지지하여 자기장에 의해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C)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인덕션 렌지(IR)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1140)는 인덕션 렌지(IR)와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C) 사이의 공기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C)에서 인덕션 렌지(IR)로 전해지는 열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도록 일부가 개구된 제2 개구부(1146)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2 개구부(1146)는 상기 지지부(1140)의 하단 측면부의 적어도 일부가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 도 3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2 개구부(1146)는 상기 인덕션 렌지(IR)와 접촉되는 상기 지지부(1140)의 하단부로부터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개구부(1146)는 서로 대칭되도록 개구될 수 있으며, 일측의 제2 개구부(1146)로 공기가 유입되면 타측의 제2 개구부(1146)로 공기가 방출될 수 있다. 여기서, 타측의 제2 개구부(1146)로 공기가 방출될 때,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C)에서 인덕션 렌지(IR)로 전해지는 열이 함께 방출될 수 있다.
한편, 제2 개구부(1146)의 크기 및 개수는 변화 가능하며, 서로 대칭되는 제2 개구부(1146)가 많을수록 열이 잘 배출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가 수용된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열저감 구조체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C)와 본체부(1100)사이에는 제1 이격공간(1164), 제2 이격공간(1162) 및 제3 이격공간(1166)이 형성될 수 있다.
내부공간(1160)에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C)가 위치하는 경우,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C)의 측면과 지지부(1140)의 사이에는 제1 이격공간(1164)형성될 수 있으며,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C)의 바닥면과 지지부(1140)의 사이에는 제2 이격공간(116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제1 이격공간(1164) 및 제2 이격공간(1162)은 지지부(1140)와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C)의 바닥면의 모서리와의 접촉에 의해 공간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렇게 제1 이격공간(1164)과 제2 이격공간(1162)이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C)의 바닥면의 모서리를 통해 공간상 차단됨으로써,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C)에서 발생된 열이 지지부(1140)의 하단 중앙부의 개구된 부분을 통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C)에서 발생된 열이 인덕션 렌지(IR)로 전달되어 인덕션 렌지(IR)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C)의 측면과 포위부(1120)사이에는 제1 이격공간(1164)과 공간상으로 연결되는 제3 이격공간(1166)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3 이격공간(1166)은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C)에서 발생된 열이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열저감 구조체(1000)로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열저감 구조체(1000)를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열저감 구조체(1000)가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C)를 수용한 채로 인덕션 렌지(IR)에 안착된 상태를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며, 도 5 내지 도 18에서는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C) 및 인덕션 렌지(IR)는 미도시 하였다.
도 5는 도 3의 A에 대한 제1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변형예에 따른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열저감 구조체(1000)는 지지부(1140)를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열저감 구조체(1000)와 구성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지지부(1140) 이외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1 변형예에 따른 지지부(1140)는 포위부(1120)의 하측단으로부터 인덕션 렌지(IR)의 상면을 향해 내부공간(1160)으로 둔각(제1 경사각)을 형성하도록 연장되는 제1 지지부(1142) 및 제1 지지부(1142)의 단부로부터 인덕션 렌지(IR)의 상면과 평행(제2 경사각)하도록 연장되는 제2 지지부(1144)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C)는 제1 지지부(1142) 및 제2 지지부(1144)의 내면에 안착될 수 있다. 제2 지지부(1144)의 내면에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C)의 하면이 접촉될 경우, 인덕션 렌지(IR)의 상면과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C)의 하면은 제2 지지부(1144)의 두께만큼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도 6은 도 3의 A에 대한 제2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변형예에 따른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열저감 구조체(1000)는 지지부(1140)를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열저감 구조체(1000)와 구성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지지부(1140) 이외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2 변형예에 따른 지지부(1140)는 포위부(1120)의 하측단으로부터 인덕션 렌지(IR)의 상면을 향해 내부공간(1160)으로 둔각(제1 경사각)을 형성하도록 연장되는 제1 지지부(1142) 및 제1 지지부(1142)의 단부로부터 예각(제2 경사각)을 형성하도록 축 방향 상측을 향해 연장되는 제2 지지부(1144)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2 지지부(1144)의 끝단에는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C)가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C)는 제2 지지부(1144)의 높이만큼 인덕션 렌지(IR)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열저감 구조체(1000)에 안착될 수 있다.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C)의 하면과 인덕션 렌지(IR)의 상면 사이의 간격이 넓을수록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C)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인덕션 렌지(IR)로 전달되는 것이 줄어들 수 있다.
도 7은 도 3의 A에 대한 제3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변형예에 따른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열저감 구조체(1000)는 지지부(1140)를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열저감 구조체(1000)와 구성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지지부(1140) 이외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3 변형예에 따른 지지부(1140)는 포위부(1120)의 하측단으로부터 인덕션 렌지(IR)의 상면을 향해 내부공간(1160)으로 둔각(제1 경사각)을 형성하도록 연장되는 제1 지지부(1142) 및 제1 지지부(1142)의 단부로부터 아래로 볼록하게 기울기가 감소하는 제2 곡률반경 가지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제2 지지부(1144)를 구비할 수 있다.
도 8은 도 3의 A에 대한 제4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변형예에 따른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열저감 구조체(1000)는 지지부(1140)를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열저감 구조체(1000)와 구성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지지부(1140) 이외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4 변형예에 따른 지지부(1140)는 포위부(1120)의 하측단으로부터 인덕션 렌지(IR)의 상면을 향해 내부공간(1160)으로 둔각(제1 경사각)을 형성하도록 연장되는 제1 지지부(1142) 및 제1 지지부(1142)의 단부로부터 위로 볼록하게 기울기가 감소하는 제2 곡률반경 가지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제2 지지부(1144)를 구비할 수 있다.
도 9는 도 3의 A에 대한 제5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변형예에 따른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열저감 구조체(1000)는 지지부(1140)를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열저감 구조체(1000)와 구성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지지부(1140) 이외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5 변형예에 따른 지지부(1140)는 포위부(1120)의 하측단으로부터 인덕션 렌지(IR)의 상면을 향해 내부공간(1160)으로 예각(제1 경사각)을 형성하도록 축 방향 상측을 향해 연장되는 제1 지지부(1142) 및 제1 지지부(1142)의 단부로부터 위로 볼록하게 기울기가 감소하는 제2 곡률반경 가지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제2 지지부(1144)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0은 도 3의 A에 대한 제6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6 변형예에 따른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열저감 구조체(1000)는 지지부(1140)를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열저감 구조체(1000)와 구성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지지부(1140) 이외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6 변형예에 따른 지지부(1140)는 포위부(1120)의 하측단으로부터 인덕션 렌지(IR)의 상면을 향해 내부공간(1160)으로 예각(제1 경사각)을 형성하도록 축 방향 상측을 향해 연장되는 제1 지지부(1142) 및 제1 지지부(1142)의 단부로부터 아래로 볼록하게 기울기가 감소하는 제2 곡률반경 가지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제2 지지부(1144)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1은 도 3의 A에 대한 제7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7 변형예에 따른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열저감 구조체(1000)는 지지부(1140)를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열저감 구조체(1000)와 구성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지지부(1140) 이외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7 변형예에 따른 지지부(1140)는 포위부(1120)의 하측단으로부터 인덕션 렌지(IR)의 상면을 향해 내부공간(1160)으로 둔각(제1 경사각)을 형성하도록 연장되는 제1 지지부(1142) 및 제1 지지부(1142)의 단부로부터 예각(제2 경사각)을 형성하도록 축 방향 상측을 향해 연장되며, 인덕션 렌지(IR)의 상면과 평행(제2 경사각)하도록 연장되는 평면을 포함하는 제2 지지부(1144)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2 지지부(1144)의 내면에는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C)가 안착될 수 있다.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C)는 제2 지지부(1144)에 의해 제2 지지부(1144)의 높이만큼 인덕션 렌지(IR)와 이격될 수 있다.
도 12는 도 3의 A에 대한 제8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8 변형예에 따른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열저감 구조체(1000)는 지지부(1140)를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열저감 구조체(1000)와 구성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지지부(1140) 이외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8 변형예에 따른 지지부(1140)는 포위부(1120)의 하측단으로부터 인덕션 렌지(IR)의 상면을 향해 내부공간(1160)으로 기울기가 감소하는 제1 곡률 반경을 가지도록 라운드지게 연장될 수 있다.
지지부(1140)의 내면에는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C)의 하면 모서리가 안착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부(1140)의 내면에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C)의 하면 모서리가 안착되는 높이에 따라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C)와 인덕션 렌지(IR) 사이의 간격이 변할 수 있다.
도 13은 도 3의 A에 대한 제9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9 변형예에 따른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열저감 구조체(1000)는 지지부(1140)를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열저감 구조체(1000)와 구성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지지부(1140) 이외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9 변형예에 따른 지지부(1140)는 포위부(1120)의 하측단으로부터 인덕션 렌지(IR)의 상면을 향해 내부공간(1160)으로 기울기가 감소하는 제1 곡률 반경을 가지도록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제1 지지부(1142) 및 제1 지지부(1142)에서 내부공간(1160)을 향하여 수평(제2 경사각)으로 연장되는 제2 지지부(114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부(1142) 및 제2 지지부(1144)의 내면에는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C)가 안착될 수 있으며, 제1 지지부(1142)에는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C)의 하면 모서리가 접촉될 수 있으며, 제2 지지부(1144)의 내면에는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C)의 하면이 접촉될 수 있다.
제1 지지부(1142)에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C)가 안착될 경우,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C)는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C)의 하면 모서리가 제1 지지부(1142)에 접촉되는 높이만큼 인덕션 렌지(IR)와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지지부(1144)에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C)가 안착될 경우,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C)는 제2 지지부(1144)의 두께만큼 인덕션 렌지(IR)와 이격될 수 있다.
도 14는 도 3의 A에 대한 제10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10 변형예에 따른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열저감 구조체(1000)는 지지부(1140)를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열저감 구조체(1000)와 구성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지지부(1140) 이외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10 변형예에 따른 지지부(1140)는 포위부(1120)의 하측단으로부터 인덕션 렌지(IR)의 상면을 향해 내부공간(1160)으로 아래로 볼록하게 기울기가 감소하는 제1 곡률 반경을 가지도록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제1 지지부(1142) 및 제1 지지부(1142)에서 내부공간(1160)으로 아래로 볼록하게 기울기가 증가하는 제2 곡률반경을 가지도록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제2 지지부(1144)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포위부(1120)의 끝단으로부터 기울기가 감소하였다가 증가하는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1140)의 끝단에는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C)가 안착될 수 있으며,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C)는 지지부(1140)의 높이만큼 인덕션 렌지(IR)와 이격될 수 있다.
도 15는 도 3의 A에 대한 제11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11 변형예에 따른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열저감 구조체(1000)는 지지부(1140)를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열저감 구조체(1000)와 구성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지지부(1140) 이외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11 변형예에 따른 지지부(1140)는 포위부(1120)의 하측단으로부터 인덕션 렌지(IR)의 상면을 향해 내부공간(1160)으로 아래로 볼록하게 기울기가 감소하는 제1 곡률 반경을 가지도록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제1 지지부(1142) 및 제1 지지부에서 내부공간(1160)으로 아래로 볼록하게 기울기가 증가하는 제2 곡률반경을 가지도록 라운드지며 인덕션 렌지(IR)의 상면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2 지지부(1144)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지지부(1142)는 포위부(1120)의 끝단으로부터 기울기가 감소하는 곡면이고, 제2 지지부(1144)는 제1 지지부(1142)의 끝단으로부터 기울기가 증가하는 곡면에서 기울기가 0이되는 평면이 연결된다.
제2 지지부(1144)의 내면에는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C)의 하면이 접촉되어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C)는 제2 지지부(1144)의 높이만큼 인덕션 렌지(IR)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도 16은 도 3의 A에 대한 제12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제12 변형예에 따른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열저감 구조체(1000)는 지지부(1140)를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열저감 구조체(1000)와 구성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지지부(1140) 이외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12 변형예에 따른 지지부(1140)는 포위부(1120)의 하측단으로부터 인덕션 렌지(IR)의 상면을 향해 내부공간(1160)으로 아래로 볼록하게 기울기가 감소하는 제1 곡률 반경을 가지도록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제1 지지부(1142) 및 제1 지지부에서 내부공간(1160)으로 위로 볼록하게 기울기가 감소하는 제2 곡률반경을 가지도록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제2 지지부(114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7은 도 3의 A에 대한 제13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제13 변형예에 따른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열저감 구조체(1000)는 지지부(1140)를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열저감 구조체(1000)와 구성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지지부(1140) 이외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13 변형예에 따른 지지부(1140)는 포위부(1120)의 하측단으로부터 인덕션 렌지(IR)의 상면을 향해 내부공간(1160)으로 아래로 볼록하게 기울기가 감소하는 제1 곡률 반경을 가지도록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제1 지지부(1142) 및 제1 지지부에서 내부공간(1160)으로 축 방향 상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 지지부(114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지지부(1144)의 제2 경사각은 제1 지지부(1142)와 예각 또는 둔각을 형성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도 18은 도 3의 A에 대한 제14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4 변형예에 따른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열저감 구조체(1000)는 지지부(1140)를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열저감 구조체(1000)와 구성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지지부(1140) 이외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14 변형예에 따른 지지부(1140)는 포위부(1120)의 하측단으로부터 내부공간(1160)으로 인덕션 렌지(IR)의 상면과 평행(제2 경사각)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지지부(1140)의 내면에는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C)가 안착될 수 있으며, 지지부(1140)에 의해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C)는 지지부(1140)의 두께만큼 인덕션 렌지(IR)와 이격될 수 있다.
한편, 지지부(1140)의 형상은 상술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C)를 지지할 수 있는 형태이면 어떠한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이하에서는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열저감 구조체(1000)의 사용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열저감 구조체(1000)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개략 종단면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열저감 구조체(1000)는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C)를 수용한 채로 인덕션 렌지(IR)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이때, 인던션 렌지의 상면에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열저감 구조체(1000)를 안착한 후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C)를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열저감 구조체(1000)에 안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C)를 내부공간(1160)에 삽입할 때에는,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C)를 파지하고 있는 부분을 제1 개구부(1122)에 맞추어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C)의 삽입시 발생될 수 있는 손가락 끼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가 장착된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C)를 내부공간(1160)에 삽입할 때에는, 손잡이가 제1 개구부(1122)에 끼워질 수 있도록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C)는 지지부(1140)에 의해 인덕션 렌지(IR)의 상면과 비접촉될 수 있으며,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C)와 인덕션 렌지(IR)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공간은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C)에서 인덕션 렌지(IR)로 전달되는 열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공간으로,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C)와 인덕션 렌지(IR) 사이의 간격이 넓을수록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C)에서 인덕션 렌지(IR)로 전달되는 열이 더 감소될 수 있다.
이때, 지지부(1140)의 제2 개구부(1146)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이 공간으로 유입되어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C)에서 발생되는 열과 함께 대류될 수 있다.
이렇게 공기와 함께 열이 대류되면 열이 감소되고 대류 도중 일부가 지지부(1140)의 제2 개구부(1146)로 열이 방출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0: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열저감 구조체
1100: 본체부
1120: 포위부
1140: 지지부
1160: 내부공간
IR: 인덕션 렌지
C: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Claims (10)

  1. 인덕션 렌지로부터 유도되는 자기장에 반응하는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를 통해 음식을 조리하는 경우, 상기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상기 열에 의한 사고를 방지하는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열전달 저감 구조체에 있어서,
    소정의 내부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내부공간에 상기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를 분리 가능하게 수용하는 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하는 상기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포위하는 포위부 및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하는 상기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를 지지하여 상기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가 상기 내부공간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가 상기 자기장에 의해 반응하여 상기 음식이 조리되는 경우, 상기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로부터의 발생되는 열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상기 자기장에 반응하지 않도록 부도체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하는 상기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가 상기 자기장에 의해 반응하여 상기 음식이 조리되는 경우, 상기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가 상기 인덕션 렌지와 비접촉되도록 하여 상기 자기장에 의해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상기 인덕션 렌지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의 바닥면이 상기 인덕션 렌지의 상면과 연통되도록, 하단 중앙부에 개구가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개구보다 큰 바닥면을 구비하는 임의의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의 바닥면과의 접촉에 의해 상기 임의의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포위부의 하측단으로부터 상기 내부공간을 향하여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인덕션 렌지와 상기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사이의 공기 흐름을 원활히 하여 상기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로부터 상기 인덕션 렌지로 전달되는 열이 외부로 방출되도록, 상기 인덕션 렌지와 접촉되는 하단부로부터 절개되어 하단 측면부의 적어도 일부에 개구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열저감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포위부의 하측단으로부터 상기 인덕션 렌지의 상면을 향해 상기 내부공간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열저감 구조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내부공간에 상기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가 위치하는 경우, 상기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의 측면 및 상기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의 바닥면 사이에 각각 제1 이격공간 및 제2 이격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제1 이격공간 및 상기 제2 이격공간은,
    상기 지지부와 상기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의 바닥면의 모서리와의 접촉에 의해, 공간적으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열저감 구조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포위부는,
    상기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의 측면 사이에 상기 제1 이격공간과 공간상으로 연결되는 제3 이격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열저감 구조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포위부의 하측단으로부터 상기 인덕션 렌지의 상면을 향해 상기 내부공간으로 제1 경사각을 구비하도록 연장되거나 제1 곡률반경을 구비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1 지지부의 단부로부터 제2 경사각을 구비하도록 연장되거나 제2 곡률반경을 구비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제2 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열저감 구조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제1 지지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인덕션 렌지의 상면과 평행하도록 하는제2 경사각을 구비하도록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열저감 구조체.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제1 지지부의 단부로부터 축 방향 상측을 향해 상기 내부공간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지지부와의 경계가 상기 인덕션 렌지의 상면과 접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열저감 구조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의 바닥면과 면접촉이 구현되도록 상기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의 바닥면과 평행한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열저감 구조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위부는,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하는 상기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를 파지할 수 있도록 상측단의 적어도 일부가 개구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열저감 구조체.
  10. 삭제
KR1020160115353A 2016-09-08 2016-09-08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열저감 구조체 KR1018853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5353A KR101885353B1 (ko) 2016-09-08 2016-09-08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열저감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5353A KR101885353B1 (ko) 2016-09-08 2016-09-08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열저감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8122A KR20180028122A (ko) 2018-03-16
KR101885353B1 true KR101885353B1 (ko) 2018-09-13

Family

ID=61910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5353A KR101885353B1 (ko) 2016-09-08 2016-09-08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열저감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535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75251A (ja) * 2005-09-13 2007-03-29 Shunzo Matsuo 電子レンジ加熱用容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8121A (ko) * 2004-05-11 2005-11-16 주식회사 라이프키 인덕션렌지용 용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75251A (ja) * 2005-09-13 2007-03-29 Shunzo Matsuo 電子レンジ加熱用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8122A (ko) 2018-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32893C2 (ru) Комплект контейнеров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пищи на пару в микроволновой печи
JP5906211B2 (ja) 加熱調理容器
KR101817780B1 (ko) 초음파 진동장치가 구비된 조리용기
JPH07231853A (ja) 加熱調理装置
US10610053B2 (en) Portable stove for s'mores
KR102075568B1 (ko) 인덕션 렌지의 온도퓨즈 장착구조체
KR101885353B1 (ko)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열저감 구조체
US9131536B2 (en) Induction cook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e
KR101536219B1 (ko) 내열 세라믹 냄비
KR102166418B1 (ko) 인덕션 렌지용 스크래치 방지 패드
KR200490402Y1 (ko) 전기레인지 안전 장치
JP2014200628A (ja) 加熱調理容器
EP3062025B1 (en) Rubber foot for heatable metal device
JP3193085U (ja) 加熱調理器
KR101605612B1 (ko) 직화 조리용 뚜껑
KR102603217B1 (ko) 복합 오븐
KR102576022B1 (ko) 열원을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한 바베큐 그릴
KR20170138369A (ko) 조리 용기용 거치대
KR20160048447A (ko) 전기레인지용 패드
KR101754358B1 (ko) 휴대용 전기 조리기기
KR20140004586U (ko) 조리용기 뚜껑 손잡이
JP6419743B2 (ja) 加熱用調理器及び電子レンジ
JP6395669B2 (ja) 加熱用調理器
JP6339971B2 (ja) 加熱用容器及び加熱用調理器
JP5442882B2 (ja) 加熱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