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5310B1 - 부스바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부스바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5310B1
KR101885310B1 KR1020170165711A KR20170165711A KR101885310B1 KR 101885310 B1 KR101885310 B1 KR 101885310B1 KR 1020170165711 A KR1020170165711 A KR 1020170165711A KR 20170165711 A KR20170165711 A KR 20170165711A KR 101885310 B1 KR101885310 B1 KR 1018853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bus bar
body portion
open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5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남
Original Assignee
서정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정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정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5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53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5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53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04Mounting thereon of switches or of other devices in general, the switch or device having, or being without, casing
    • H02B1/042Mounting on perforated supports by means of screws or locking members

Abstract

부스바의 외측을 둘러싸게 될 원통형의 본체부로서, 상기 본체부의 일 측면에 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제1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부, 및 상기 제1 개방부의 양측에 위치하며, 상기 본체부와 일체로 형성된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의 내부면에는 제1 나사산이 복수 개 마련되어 있고, 복수의 제1 나사산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제1 오목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바 연결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부스바 연결장치{APPARATUS FOR CONNECTING BUS BAR}
본 발명은 부스바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통형의 본체부 내부면에 복수의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접촉 저항이 낮아지면서 전류(전력)손실이 감소하고, 발열이 적어지며, 제품 수명이 길어져 경제성이 우수하고, 복수의 나사산을 가로질러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접촉면에서 발생된 열을 자연스럽게 외부로 방출 및 방사시키게 되므로 열적 스트레스에 의한 피로를 줄일 수 있어 기기의 과열 방지가 가능하고 전력 손실을 감소시키는 부스바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동일한 정격전류에서 원형 부스바는 판형 부스바에 비해 중량이 가볍고, 전류의 흐름이 원활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주 부스바와 분기 부스바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부스바의 접속부위를 평면으로 압착하고 중앙에 통공을 형성한 후 볼트를 이용하여 결합해야 하는 등 연결방식이 복잡한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발명으로서 도 1a의 클램프가 있다.
도 1a를 참조하면, 원형 부스바(5), 상기 원형 부스바(5)의 일정부위에 접합되는 클램프(10), 상기 클랩프(10)에 결합되는 분기 부스바(15)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클램프(10)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부스바(5)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하기 위하여 양측에 통공(6a)이 형성된 플랜지(6)를 포함하는 반원형상의 협지편(7)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개가 1조를 이루고 있다. 상기 플랜지(6)는 분기 부스바(15)의 외측 단부를 삽입하여 고정수단인 볼트(16)와 너트(17)를 이용하여 플랜지(6)와 분기 부스바(15)를 결합시킨다.
그런데, 도 1a의 클램프는 도 1b의 개략적인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의 양 끝단에서 볼트가 체결되므로 원형 부스바(5)와 클램프(10)의 접촉 면적이 "a" 구간에 지나지 않는다. 즉, 실질적으로 원형 부스바(5)와 클램프(10)가 접촉되지 않는 부분인 "b"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열 발생의 우려가 있으며, 원형 부스바에 흐르는 전류만큼 전류를 흘려보낼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클램프(10)의 양 끝단에서의 볼트 체결 작업이 좁은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관계로 원형 부스바(5)와 클램프(10)의 연결 작업이 용이하지 않는 문제가 있다.
삭제
삭제
한국공개특허 제10-2006-009849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부스바, 특히 원형 부스바와의 접촉 저항이 낮아지면서 전류(전력)손실이 감소하고, 발열이 적어지며, 제품 수명이 길어져 경제성이 우수하고, 접촉면에서 발생된 열을 자연스럽게 외부로 방출 및 방사시키게 되므로 열적 스트레스에 의한 피로를 줄일 수 있어 기기의 과열 방지가 가능하고 전력 손실을 감소시키는 부스바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부스바 연결장치는, 부스바의 외측을 둘러싸게 될 원통형의 본체부로서, 상기 본체부의 일 측면에 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제1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부, 및 상기 제1 개방부의 양측에 위치하며, 상기 본체부와 일체로 형성된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의 내부면에는 제1 나사산이 복수 개 마련되어 있고, 복수의 제1 나사산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제1 오목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다.
상기 부스바 연결장치는, 상기 본체부의 제1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에서 상기 본체부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있는 원통형의 서브 본체부를 더욱 포함하고, 상기 서브 본체부에는 상기 본체부의 제1 개방부와 이어지는 개방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방틈의 양측에는 상기 서브 본체부와 일체로 형성된 조임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서브 본체부의 내부면에는 제2 나사산이 복수 개 마련되어 있고, 복수의 상기 제2 나사산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제2 오목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제1 개방부의 대향하는 위치에 제2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부스바 연결장치는 상기 제2 개방부의 양측에 위치하며, 상기 본체부와 일체로 형성된 판 형상의 플랜지부를 더욱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부에는 결합공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구부러진 원통형이고,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제1 개방부의 대향하는 위치에 오픈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오픈부의 양측에는 상기 본체부와 일체로 형성된 체결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본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은 상기 본체부의 구부러진 영역에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제1 개방부의 대향하는 위치에 뚫림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뚫림부의 양측에는 상기 본체부와 일체로 형성된 결합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부의 일 단부에는 판 형상의 연결편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편에는 결합홀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부스바 연결장치는 구리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홀은 상기 제1 오목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서브 본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통공은 상기 제2 오목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원통형의 본체부 내부면에 복수의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서 접촉 저항이 낮아지면서 전류(전력)손실이 감소하고, 발열이 적어지며, 제품 수명이 길어져 경제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부스바 연결장치의 볼트 체결 부위가 서로에 대하여 이격되어 있어 대전류에 의해서 생성되는 전하 집중 현상 및 연면 방전의 발생 가능성이 낮아지므로 접속되는 부분의 전기적인 스트레스가 작아서 기기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체부 내부면의 복수의 나사산을 가로질러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접촉면에서 발생된 열을 자연스럽게 외부로 방출 및 방사시키게 되므로 열적 스트레스에 의한 피로를 줄일 수 있어 기기의 과열 방지가 가능하고 전력 손실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부스바 연결장치는 본체부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있는 원통형의 서브 본체부를 구비하고 있어 원형 부스바와 원형 부스바가 분기되어 진행될 때 원형 부스바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부스바 연결장치는 판 형상의 플랜지부 또는 연결편을 구비하고 있어 패널과의 연결시 원형 부스바의 다양한 연결이 가능하고, 또 원형 부스바를 하부 방향으로 구부릴 필요 없이 원형 부스바와 케이블 단말부의 자연스런 연결도 가능하다.
또한, 부스바 연결장치는 구부러진 원통형의 본체부를 구비하고 있어 좁은 공간에서 원형 부스바의 밴딩 없이도 원형 부스바의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종래 기술에 따른 클램프를 사용하여 원형 부스바를 연결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b는 도 1a의 클램프에 원형 부스바가 연결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스바 연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2의 부스바 연결장치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스바 연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스바 연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스바 연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스바 연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지만, 하기 예에 본 발명의 범주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스바 연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2의 부스바 연결장치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 및 3을 참조하면, 부스바 연결장치(100)는 본체부(110) 및 장착부(120a, 120b)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110)는 원형 부스바(미도시)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형으로 되어 있고, 상기 본체부(110)의 일측면에 본체부(110)의 길이방향으로 제1 개방부(1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착부(120a, 120b)는 상기 제1 개방부(112)의 양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본체부(1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착부(120a, 120b)에는 볼트가 삽입되는 삽입공(h)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부(110)의 내부면에는 제1 나사산(114)이 복수 개 마련되어 있고, 복수의 제1 나사산(114)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제1 오목부(116)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110)에는 홀(118)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홀(118)은 상기 제1 오목부(116)의 일부 영역에 위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스바 연결장치(100)의 사용시, 상기 본체부(110)의 양 단부에서 상기 본체부(110)의 내측으로 원형 부스바(미도시)가 각각 끼워진다. 이후, 장착부(120a, 120b)의 삽입공(h)에 볼트(미도시)가 삽입되고, 볼트의 단부에 너트(미도시)가 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원통형의 본체부(110) 내부면에 복수의 제1 나사산이(114)이 형성되어 있어서 접촉 저항이 낮아지면서 전류(전력)손실이 감소하고, 발열이 적어지며, 제품 수명이 길어져 경제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볼트 체결 부위인 장착부(120a, 120b)는 장착부(120a)와 장착부(120b)가 서로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대전류에 의해서 생성되는 전하 집중 현상 및 연면 방전의 발생 가능성이 낮아지므로 접속되는 부분의 전기적인 스트레스가 작아서 기기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체부(110) 내부면에 형성된 복수의 제1 나사산(114)을 가로질러 제1 오목부(116)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접촉면에서 발생된 열을 자연스럽게 외부로 방출 및 방사시키게 되므로 열적 스트레스에 의한 피로를 줄일 수 있어 기기의 과열 방지가 가능하고 전력 손실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체부(110)의 제1 오목부(116)가 형성된 영역의 일부에 홀(118)이 형성되어 있어서, 물리적인 충격 및 진동을 받았을 때 완충 역할을 할 수 있고 신축 기능이 있어서 부스바 연결장치에서 발생되는 기기의 소손 및 성능 저하 발생을 억제시켜 접속 부분의 안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패널과 패널 열반시 각 패널에 있는 원형 부스바의 상호 연결이 원활해지고, 그 결과 작업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장착부(120a, 120b)가 3개 마련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대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1개, 2개 또는 4개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부(110)에 형성된 홀(118)이 좌우측에 각각 3개씩 마련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대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홀(118)이 형성되어 있지 않거나, 좌우측에 각각 1개, 2개 또는 4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부(110) 내부에 형성된 제1 오목부(116)가 좌우측에 각각 1개씩 마련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대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좌우측에 각각 2개 이상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스바 연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부스바 연결장치(200)는 본체부(210), 장착부(220a, 220b), 서브 본체부(230) 및 조임부(234a, 234b)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210)는 원형 부스바(미도시)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형으로 되어 있고, 상기 본체부(210)의 일 측면에 본체부(210)의 길이방향으로 제1 개방부(2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착부(220a, 220b)는 상기 본체부(210)의 제1 개방부(212)의 양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본체부(2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서브 본체부(230)는 상기 본체부(210)의 상기 제1 개방부(212)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에서 상기 본체부(21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있다. 상기 서브 본체부(230)는 원형 부스바(미도시)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형으로 되어 있다. 상기 서브 본체부(230)에는 상기 본체부(210)의 제1 개방부(212)와 이어지는 개방틈(23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방틈(232)의 양측에는 상기 서브 본체부(230)와 일체로 형성된 조임부(234a, 234b)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장착부(220a, 220b)와 상기 조임부(234a, 234b)에는 볼트가 삽입되는 삽입공(h)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부(210)의 내부면에는 제1 나사산(214)이 복수 개 마련되어 있고, 복수의 제1 나사산(214)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제1 오목부(216)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210)에는 홀(218)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홀(218)은 상기 제1 오목부(216)의 일부 영역에 위치되어 있다.
상기 서브 본체부(230)의 내부면에는 제2 나사산(236)이 복수 개 마련되어 있고, 복수의 상기 제2 나사산(236)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제2 오목부(238)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서브 본체부(230)에는 통공(239)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통콩(239)은 상기 제2 오목부(238)의 일부 영역에 위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스바 연결장치(200)의 사용시, 상기 본체부(210)의 양 단부에서 상기 본체부(210)의 내측으로 원형 부스바(미도시)가 각각 끼워진다. 또한, 상기 서브 본체부(230)의 내측으로 원형 부스바(미도시)가 끼워진다. 이후, 장착부(220a, 220b)에 볼트(미도시)가 삽입되고, 볼트의 단부에 너트(미도시)가 체결된다. 또한, 조임부(234a, 234b)에도 볼트(미도시)가 삽입되고, 볼트의 단부에 너트(미도시)가 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부(210) 내부면과 서브 본체부(230) 내부면에 복수의 제1 나사산(114)과 제2 나사산(236)이 각각 형성되어 있어서 접촉 저항이 낮아지면서 전류(전력)손실이 감소하고, 발열이 적어지며, 제품 수명이 길어져 경제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볼트 체결 부위인 장착부(220a, 220b)와 조임부(234a, 234b)의 경우, 장착부(120a)와 장착부(120b)가 서로 이격되어 있고, 조임부(234a)와 조임부(234b)가 서로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대전류에 의해서 생성되는 전하 집중 현상 및 연면 방전의 발생 가능성이 낮아지므로 접속되는 부분의 전기적인 스트레스가 작아서 기기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수의 제1 나사산(114)과 제2 나사산(236)을 가로질러 제1 오목부(116)와 제2 오목부(238)가 각각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접촉면에서 발생된 열을 자연스럽게 외부로 방출 및 방사시키게 되므로 열적 스트레스에 의한 피로를 줄일 수 있어 기기의 과열 방지가 가능하고 전력 손실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체부(210)의 제1 오목부(116)가 형성된 영역의 일부 위치에 홀(218)이 형성되어 있고, 서브 본체부(230)의 제2 오목부(238)가 형성된 영역의 일부 위치에 통공(239)이 형성되어 있어서, 물리적인 충격 및 진동을 받았을 때 완충 역할을 할 수 있고 신축 기능이 있어서 부스바 연결장치에서 발생되는 기기의 소손 및 성능 저하 발생을 억제시켜 접속 부분의 안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패널과 패널 열반시 각 패널에 있는 원형 부스바의 상호 연결이 원활해지고, 그 결과 작업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고, 부스바가 분기되어 진행될 때 부스바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장착부(220a, 220b)와 조임부(234a, 234b)가 각각 2개씩 마련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대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각각 4개, 각각 6개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부(210)에 형성된 홀(218)이 좌우측에 각각 3개씩 마련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대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홀(218)이 형성되어 있지 않거나, 좌우측에 각각 1개, 2개 또는 4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서브 본체부(230)에 형성된 통공(239)이 좌우측에 각각 1개씩 마련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대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통공(239)이 형성되어 있지 않거나, 좌우측에 각각 2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부(210) 내부에 형성된 제1 오목부(216)가 좌우측에 각각 1개씩 마련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대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좌우측에 각각 2개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서브 본체부(230) 내부에 형성된 제2 오목부(238)가 좌우측에 각각 1개씩 마련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대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좌우측에 각각 2개 이상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스바 연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부스바 연결장치(300)는 본체부(310), 장착부(320a, 320b) 및 플랜지부(33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310)는 원형 부스바(미도시)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형으로 되어 있고, 본체부(310)의 일 측면에 본체부(310)의 길이방향으로 제1 개방부(312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착부(320a, 320b)는 상기 본체부(310)의 제1 개방부(312a)의 양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본체부(3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착부(320a, 320b)에는 볼트가 삽입되는 삽입공(h)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장착부(320a, 320b)가 2개 마련되어 있으나, 대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1개이거나 3개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본체부(310)의 내부면에는 제1 나사산(314)이 복수 개 마련되어 있고, 복수의 제1 나사산(314)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제1 오목부(316)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310)에는 홀(318)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홀(318)은 상기 제1 오목부(316)의 일부 영역에 위치되어 있다.
상기 본체부(310)에는 상기 제1 개방부(312a)의 대향하는 위치에 제2 개방부(312b)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플랜지부(330)는 상기 제2 개방부(312b)의 양측에 위치되어 상기 본체부(3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수직 방향으로 뻗어 있다. 상기 플랜지부(330)는 판 형상이며, 상기 플랜지부(330)에는 패널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공(332)이 마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스바 연결장치(300)의 사용시, 상기 본체부(310)의 양 단부에서 상기 본체부(310)의 내측으로 원형 부스바(미도시)가 각각 끼워진다. 볼트 체결 과정은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플랜지부(330) 사이에 패널(미도시)의 연결단자가 삽입된 후 결합공(332)에 볼트 및 너트가 체결됨으로써 패널에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원형 부스바 자체의 소성가공(예를 들면, 밴딩, 절단, 절곡 등)을 최소화시켜 원형 부스바 준비 작업을 단순화시키고 조립 공정 단순화하여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과 생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부스바 연결장치를 사용함으로써 패널과의 연결시 원형 부스바의 다양한 형태의 연결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패널의 크기도 축소시킬 수 있다.
제1 나사산(314), 제1 오목부(316), 홀(318)로 인한 효과는 앞서 도 2 및 3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볼트 체결 부위인 장착부(320a, 320b)가 서로 이격되어 있어 발생하는 효과 역시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부(310)에 형성된 홀(318)이 좌우측에 각각 2개씩 마련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대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홀(318)이 형성되어 있지 않거나, 좌우측에 각각 1개, 또는 3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부(310) 내부에 형성된 제1 오목부(316)는 좌우측에 각각 1개씩 마련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대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좌우측에 각각 2개 이상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플랜지부(330)에 결합공(332)이 각각 2개씩 형성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대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결합공(332)이 각각 1개, 또는 3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스바 연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부스바 연결장치(400)는 본체부(410), 장착부(420a, 420b), 및 체결부(430a, 430b)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410)는 원형 부스바(미도시)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형이되, 구부러진 원통형으로 되어 있다.
상기 본체부(410)의 일측면에 본체부(410)의 길이방향으로 제1 개방부(412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착부(420a, 420b)는 상기 제1 개방부(412a)의 양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본체부(4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착부(420a, 420b)에는 볼트가 삽입되는 삽입공(h)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부(410)의 상기 제1 개방부(412a)의 대향하는 위치에 오픈부(412b)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오픈부(412b)의 양측에는 상기 본체부(410)와 일체로 형성된 체결부(430a, 430b)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체결부(430a, 430b)에는 볼트가 삽입되는 삽입공(h)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부(410)의 내부면에는 제1 나사산(414)이 복수 개 마련되어 있고, 복수의 제1 나사산(414)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제1 오목부(416)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410)에는 홀(418)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홀(418)은 상기 제1 오목부(416)의 일부 영역에 위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410)에는 공(419)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공(419)은 본체부(410)의 구부러진 영역에 위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스바 연결장치(400)의 사용시, 상기 본체부(410)의 양 단부에서 상기 본체부(410)의 내측으로 원형 부스바(미도시)가 각각 끼워진다. 이후, 장착부(420a, 420b)와 체결부(430a, 430b)의 삽입공(h)에 볼트(미도시)가 삽입되고, 볼트의 단부에 너트(미도시)가 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부(410)가 구부러진 원통형의 형상을 취하고 있어 좁은 공간에서 원형 부스바의 밴딩 없이도 원형 부스바의 상호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제1 나사산(414), 제1 오목부(416), 홀(418)로 인한 효과는 앞서 도 2 및 3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볼트 체결 부위인 장착부(420a, 420b)가 서로 이격되어 있어 발생하는 효과 역시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그러한 효과는 체결부(430a, 430b)에서도 동일하게 도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부(410)의 구부러진 영역에 공(419)이 형성되어 있어서, 발생되는 열의 외부 방사 및 방열이 용이하고, 사고의 발생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도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장착부(420a, 420b)와 체결부(430a, 430b)가 각각 2개 마련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대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각각 3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부(410)에 형성된 홀(418)이 좌우측에 각각 2개씩 마련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대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홀(418)이 형성되어 있지 않거나, 좌우측에 각각 1개, 또는 3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오목부(416)가 좌우측에 각각 1개씩 마련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대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좌우측에 각각 2개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부(410)에 형성된 공(419)이 좌우측에 각각 1개씩 마련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대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공(419)이 형성되어 있지 않거나, 좌우측에 각각 2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스바 연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부스바 연결장치(500)는 본체부(510), 장착부(520a, 520b), 결합부(530a, 530b) 및 연결편(540)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510)는 원형 부스바(미도시)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형으로 되어 있다.
상기 본체부(510)의 일측면에 본체부(510)의 길이방향으로 제1 개방부(512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착부(520a, 520b)는 상기 제1 개방부(512a)의 양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본체부(5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착부(520a, 520b)에는 볼트가 삽입되는 삽입공(h)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부(510)의 상기 제1 개방부(512a)의 대향하는 위치에 뚫림부(512b)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뚫림부(512b)의 양측에는 상기 본체부(510)와 일체로 형성된 결합부(530a, 530b)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결합부(530a, 530b)에는 볼트가 삽입되는 삽입공(h)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부(510)의 내부면에는 제1 나사산(514)이 복수 개 마련되어 있고, 복수의 제1 나사산(514)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제1 오목부(516)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510)에는 홀(518)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홀(518)은 상기 제1 오목부(516)의 일부 영역에 위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510)의 일 단부에는 판 형상의 연결편(540)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본체부(510)의 일 단부는 막혀있는 형상이고, 타 단부는 오픈되어 있는 형상이다. 상기 연결편(540)에는 결합홀(542)이 마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스바 연결장치(500)의 사용시, 상기 본체부(510)의 내측으로 원형 부스바(미도시)가 끼워진다. 볼트 체결 과정은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판 형상의 연결편(540)의 일측 또는 양측으로 케이블 단말부(미도시)가 위치되고, 케이블 단말부와 연결편(540)의 결합홀(542)에 볼트 및 너트가 체결됨으로써 케이블 단말부와 부스바 연결장치가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부스바 연결장치는 판 형상의 연결편을 구비하고 있어 원형 부스바를 하부 방향으로 구부릴 필요 없이 원형 부스바와 케이블 단말부의 자연스런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제1 나사산(514), 제1 오목부(516), 홀(518)로 인한 효과는 앞서 도 2 및 3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볼트 체결 부위인 장착부(520a, 520b)가 서로 이격되어 있어 발생하는 효과 역시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그러한 효과는 결합부(530a, 530b)에서도 동일하게 도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장착부(520a, 520b)와 결합부(530a, 530b)가 각각 2개씩 마련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대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각각 1개 또는 3개 이상씩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부(510)에 형성된 홀(518)이 좌우측에 각각 2개씩 마련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대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홀(518)이 형성되어 있지 않거나, 좌우측에 각각 1개, 또는 3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부(510) 내부에 형성된 제1 오목부(516)는 좌우측에 각각 1개씩 마련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대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좌우측에 각각 2개 이상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결합홀(542)이 2개 마련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대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1개, 또는 3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앞서, 도 2 내지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부스바 연결장치는 구리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형은 청구 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200, 300, 400, 500: 부스바 연결장치
110, 210, 310, 410, 510: 본체부
230: 서브 본체부
112, 212, 312a, 412a, 512a: 제1 개방부
114, 214, 314, 414, 514: 제1 나사산
116, 216, 316, 416, 516: 제1 오목부
118, 218, 318, 418, 518: 홀
120a, 120b, 220a, 220b, 320a, 320b, 420a, 420b, 520a, 520b: 장착부
234a, 234b: 조임부
430a, 430b: 체결부
330: 플랜지부
332: 결합공
540: 연결편
542: 결합홀

Claims (9)

  1. 부스바의 외측을 둘러싸게 될 원통형의 본체부로서, 상기 본체부의 일 측면에 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제1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부; 및
    상기 제1 개방부의 양측에 위치하며, 상기 본체부와 일체로 형성된 장착부;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의 내부면에는 제1 나사산이 복수 개 마련되어 있고,
    복수의 제1 나사산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제1 오목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본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홀은 상기 제1 오목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바 연결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제1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에서 상기 본체부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있는 원통형의 서브 본체부;를 더욱 포함하고,
    상기 서브 본체부에는 상기 본체부의 제1 개방부와 이어지는 개방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방틈의 양측에는 상기 서브 본체부와 일체로 형성된 조임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서브 본체부의 내부면에는 제2 나사산이 복수 개 마련되어 있고,
    복수의 상기 제2 나사산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제2 오목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바 연결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제1 개방부의 대향하는 위치에 제2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개방부의 양측에 위치하며, 상기 본체부와 일체로 형성된 판 형상의 플랜지부;를 더욱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부에는 결합공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바 연결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구부러진 원통형이고,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제1 개방부의 대향하는 위치에 오픈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오픈부의 양측에는 상기 본체부와 일체로 형성된 체결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바 연결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은 상기 본체부의 구부러진 영역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바 연결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제1 개방부의 대향하는 위치에 뚫림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뚫림부의 양측에는 상기 본체부와 일체로 형성된 결합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부의 일 단부에는 판 형상의 연결편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편에는 결합홀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바 연결장치.
  7. 제1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스바 연결장치는 구리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바 연결장치.
  8. 삭제
  9.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본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통공은 상기 제2 오목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바 연결장치.
KR1020170165711A 2017-12-05 2017-12-05 부스바 연결장치 KR1018853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5711A KR101885310B1 (ko) 2017-12-05 2017-12-05 부스바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5711A KR101885310B1 (ko) 2017-12-05 2017-12-05 부스바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5310B1 true KR101885310B1 (ko) 2018-08-03

Family

ID=63250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5711A KR101885310B1 (ko) 2017-12-05 2017-12-05 부스바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531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1722A (ja) * 1999-05-17 2000-11-30 Mitsubishi Electric Corp 分岐導体及びこれを用いた電気装置
JP2005155744A (ja) * 2003-11-25 2005-06-16 Tokyo Gasket Kogyo Kk 配線・配管用クリップ
KR20060098498A (ko) 2005-03-03 2006-09-19 제일중전기산업 주식회사 고,저압폐쇄 배전반의 모선과 분기모선 연결용 클램프의 구조
KR100757776B1 (ko) * 2007-01-30 2007-09-12 김진열 부스바 연결용 클램프
KR101070643B1 (ko) * 2010-07-02 2011-10-07 일성이앤지(주) 원형 부스바용 연결홀더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1722A (ja) * 1999-05-17 2000-11-30 Mitsubishi Electric Corp 分岐導体及びこれを用いた電気装置
JP2005155744A (ja) * 2003-11-25 2005-06-16 Tokyo Gasket Kogyo Kk 配線・配管用クリップ
KR20060098498A (ko) 2005-03-03 2006-09-19 제일중전기산업 주식회사 고,저압폐쇄 배전반의 모선과 분기모선 연결용 클램프의 구조
KR100757776B1 (ko) * 2007-01-30 2007-09-12 김진열 부스바 연결용 클램프
KR101070643B1 (ko) * 2010-07-02 2011-10-07 일성이앤지(주) 원형 부스바용 연결홀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218319A1 (en) Vacuum Circuit Breaker
US20030213582A1 (en) Radiator with heat dissipation pieces connected in series
KR101885310B1 (ko) 부스바 연결장치
US9731666B2 (en) Circuit assembly and electrical junction box
KR200303366Y1 (ko) 케이블트레이 연결구조
KR100886812B1 (ko) 전원 배전장치
KR20170025729A (ko) 케이블 트레이
KR100825379B1 (ko) 배전반용 접속장치
US20160196896A1 (en) Main bus-bar, a branch bus-bar, a transfer connector and a bus-bar assembly
KR102375263B1 (ko) 화재예방에 효과적인 부스덕트 연결구
KR20160089261A (ko) 파이프 결합용 고정구
US9931937B2 (en) Vehicle installation structure
KR100757776B1 (ko) 부스바 연결용 클램프
KR101216149B1 (ko) 시트 레일 설치 구조
CN214412192U (zh) 一种节能型自锁式母线槽
KR20060098498A (ko) 고,저압폐쇄 배전반의 모선과 분기모선 연결용 클램프의 구조
KR20190114192A (ko) 분전반의 버스바의 접속구
KR100766612B1 (ko) 열전소자 방열모듈
JP2019204635A (ja) 接続部材
KR100766613B1 (ko) 열전소자 방열모듈
ES2824398T3 (es) Método y dispositivo mejorados para conectar un conductor eléctrico a una barra de metal
KR101972738B1 (ko) 애자 어셈블리
CN213185065U (zh) 一种压延板材制备的配电柜
CN113309224B (zh) 钢结构集成房屋建筑体系的侧边固定件
KR101728851B1 (ko) 케이블 랙의 지지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