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5135B1 - 퇴행성뇌질환의 생지표인 세포내 응집체 기반 나노신경독성 생지표 조성물 - Google Patents

퇴행성뇌질환의 생지표인 세포내 응집체 기반 나노신경독성 생지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5135B1
KR101885135B1 KR1020160076570A KR20160076570A KR101885135B1 KR 101885135 B1 KR101885135 B1 KR 101885135B1 KR 1020160076570 A KR1020160076570 A KR 1020160076570A KR 20160076570 A KR20160076570 A KR 20160076570A KR 101885135 B1 KR101885135 B1 KR 1018851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noparticles
neurotoxicity
gene
registration numb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6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42684A (ko
Inventor
신태환
푸칸 기티카
백만정
이현성
박형진
이다연
이광
Original Assignee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76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5135B1/ko
Priority to PCT/KR2017/004948 priority patent/WO2017222180A1/ko
Priority to US16/311,161 priority patent/US11261475B2/en
Publication of KR20170142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26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5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51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02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viable microorganisms
    • C12Q1/025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viable microorganisms for testing or evaluating the effect of chemical or biological compounds, e.g. drugs, cosme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3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iseases caused by alterations of genetic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13Hybridisation assays
    • C12Q1/6834Enzymatic or biochemical coupling of nucleic acids to a solid phas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13Hybridisation assays
    • C12Q1/6834Enzymatic or biochemical coupling of nucleic acids to a solid phase
    • C12Q1/6837Enzymatic or biochemical coupling of nucleic acids to a solid phase using probe arrays or probe chip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1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tissue or cell typing, e.g. human leukocyte antigen [HLA] prob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005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 G01N33/500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for testing or evaluating the effect of chemical or biological compounds, e.g. drugs, cosmetics
    • G01N33/502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for testing or evaluating the effect of chemical or biological compounds, e.g. drugs, cosmetics for testing non-proliferative effects
    • G01N33/503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for testing or evaluating the effect of chemical or biological compounds, e.g. drugs, cosmetics for testing non-proliferative effects involving detection of metabolites per s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005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 G01N33/500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for testing or evaluating the effect of chemical or biological compounds, e.g. drugs, cosmetics
    • G01N33/5044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for testing or evaluating the effect of chemical or biological compounds, e.g. drugs, cosmetics involving specific cell types
    • G01N33/5058Neurological ce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 G01N33/6803General methods of protein analysis not limited to specific proteins or families of proteins
    • G01N33/6848Methods of protein analysis involving mass spectrometry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06Pharmacogenomics, i.e. genetic variability in individual responses to drugs and drug metabolism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12Disease subtyping, staging or classific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42Toxicological screening, e.g. expression profiles which identify toxicity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56Polymorphic or mutational mark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58Expression mark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6Primer sets for multiplex assay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Immu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노입자의 신경독성 여부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MNPs@SiO2(RITC)와 같은 나노입자는 세포내 폴리아민 대사체, 예를들어 푸트레신은 증가시키고 스페르미딘과 스페르민은 감소시키며, 또한 폴리아민의 대사와 관련된 유전자인 ODC1, SAT1, PAOX 및 SRM1의 발현을 증가시켜 봉입체 형성을 증가시키고 신경 부전을 야기할 수 있는 바, 나노입자에 의한 세포내 응집체 형성을 통한 나노신경독성을 판단하는 지표로서 폴리아민 대사체 및 폴리아민 대사와 관련된 유전자를 이용하여 나노 신경독성 생지표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퇴행성뇌질환의 생지표인 세포내 응집체 기반 나노신경독성 생지표 조성물{Biomarker Composition for Diagnosing Nanoparticles Neurotoxicity by Increasing Cytoplasmic Inclusion Bodies in vitro}
본 발명은 나노입자의 신경독성 여부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나노입자 신경독성 여부 진단용 마이크로어레이 칩, 이를 이용한 나노입자의 신경독성 평가방법에 관한 것이다.
나노 기술의 발달은 나노 물질의 산업적 이용뿐만 아니라, 의료와 연구를 목적으로 하는 분야에 이르기까지 이용성이 다양해 지고 있다. 이에 따라, 나노 물질을 생산하는 노동자뿐만 아니라 일반인들도 나노 물질에 대한 빈번한 노출과 접촉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나노기술은 산업분야 전반에 걸쳐 새로운 기술혁명이라 인식될 정도로 많은 이로움과 유익함을 제공하는 것이기는 하나, 그 반면에 잠재적 위험성을 지니고 있는 것 또한 주지의 사실인 바, 이러한 잠재적 위험성은 바로 나노기술의 특성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즉, 작은 입자일수록 비표면적비는 넓어지고, 이와 같이 비표면적비가 넓어진 작은 입자는 생체조직과 반응시 독성이 증가하게 되는데, 그 일 예로서 이산화티타늄, 탄소분말, 디젤입자 등과 같은 몇 가지 나노입자는 크기가 줄어들수록 염증을 유발하는 등 독성이 강해진다는 것이 그동안의 학문적 실험을 통해 이미 밝혀진 사실이다. 또한, 초미세 나노입자는 기도나 점막에 걸러지지 않고 폐포 깊숙이 박히거나 뇌로 이동할 수도 있고, 더욱이 최근 여러 연구에 의하면 나노입자가 체내에 축적될 경우 질병이나 중추신경 장애를 일으킨다는 이론들이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 나노입자에 의한 나노신경독성에 대해서는 연구가 초보적인 단계이자만 사회적으로 나노신경독성에 대한 잠재적 독성에 대한 위험성 증가되고 있다고 예측되고 있다. 나노입자는 작은 입자일수록 비표면적비는 넓어지고, 이와 같이 비표면적비가 넓어진 작은 입자는 생체조직과 반응시 독성이 증가하게 되는데, 아직 신경세포에서는 그 유해성이 잘 규명되지 않고 있다.
현재 국제적으로 나노독성 평가 지표를 구축하려는 노력들이 있으나, 아직 종래의 화학적 독성법에 머물고 있지만 앞으로 나노신경독성 생지표 개발이 활발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98149호
본 발명의 목적은 나노물질 신경독성에 있어 대사체 전사체를 접목한 통합오믹스적 분석 방법을 세포내 응집체 형성 세포주에 적용하여 실리카 코팅 자성나노입자에 의한 나노신경독성 생지표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폴리아민 대사체를 포함하는 나노입자의 신경독성 여부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폴리아민 대사체를 검출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나노입자 신경독성 여부 진단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푸트레신, N 1 -아세틸스페르미딘, N 8 -아세틸스페르미딘, N 1 -아세틸스페르민 및 스페르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폴리아민 대사체의 유전자의 핵산서열의 전부; 또는 상기 유전자의 단편인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또는 그의 상보가닥 분자가 집적된, 나노입자 신경독성 여부 진단용 마이크로어레이 칩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나노입자에 노출된 포유동물의 조직 또는 세포 샘플을 얻는 단계; 상기 샘플 내에서 푸트레신, N 1 -아세틸스페르미딘, N 8 -아세틸스페르미딘, N 1 -아세틸스페르민 및 스페르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폴리아민 대사체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폴리아민 대사체의 발현 정도를 대조군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나노입자의 신경독성 평가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ODC1(유전자 등록번호: NM_002539), SAT1(유전자 등록번호: NM_002970), PAOX(유전자 등록번호: NM_152911) 및 SRM1(유전자 등록번호: NM_00313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전자를 포함하는, 나노입자의 신경독성 여부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ODC1(유전자 등록번호: NM_002539), SAT1(유전자 등록번호: NM_002970), PAOX(유전자 등록번호: NM_152911) 및 SRM1(유전자 등록번호: NM_00313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전자를 검출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나노입자 신경독성 여부 진단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ODC1(유전자 등록번호: NM_002539), SAT1(유전자 등록번호: NM_002970), PAOX(유전자 등록번호: NM_152911) 및 SRM1(유전자 등록번호: NM_00313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전자의 핵산서열의 전부; 또는 상기 유전자의 단편인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또는 그의 상보가닥 분자가 집적된, 나노입자 신경독성 여부 진단용 마이크로어레이 칩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나노입자에 노출된 포유동물의 조직 또는 세포 샘플을 얻는 단계; 상기 샘플 내에서 ODC1(유전자 등록번호: NM_002539), SAT1(유전자 등록번호: NM_002970), PAOX(유전자 등록번호: NM_152911) 및 SRM1(유전자 등록번호: NM_00313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전자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유전자의 발현 정도를 대조군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나노입자의 신경독성 평가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MNPs@SiO2(RITC)와 같은 나노입자는 세포내 폴리아민 대사체, 예를들어 푸트레신은 증가시키고 스페르미딘과 스페르민은 감소시키며, 또한 폴리아민의 대사와 관련된 유전자인 ODC1, SAT1, PAOX 및 SRM1의 발현을 증가시켜 봉입체 형성을 증가시키고 신경 부전을 야기할 수 있는 바, 나노입자에 의한 세포내 응집체 형성을 통한 나노신경독성을 판단하는 지표로서 폴리아민 대사체 및 폴리아민 대사와 관련된 유전자를 이용하여 나노신경독성 생지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MNPs@SiO2(RITC)가 처리된 신경세포주 SH-SY5Y 세포에서 GC/MS로 폴리아민을 정량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MNPs@SiO2(RITC)가 처리된 신경세포주 SH-SY5Y 세포에서 폴리아민 대사체 관련 유전자 발현 분석 결과로서, a는 RT-PCR, b는 real-time PCR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나노입자의 노출에 의한 신경독성을 평가하기 위해 연구하던 중, 일정 농도 이상의 나노입자 처리시 신경세포 내에서 폴리아민 대사체 및 관련 유전자 발현이 변화함을 확인하고, 이를 나노입자의 신경독성 평가 지표로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한 후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폴리아민 대사체를 포함하는 나노입자의 신경독성 여부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폴리아민 대사체를 검출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나노입자 신경독성 여부 진단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폴리아민 대사체는 푸트레신, N 1 -아세틸스페르미딘, N 8 -아세틸스페르미딘, N 1 -아세틸스페르민 및 스페르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푸트레신, N 1 -아세틸스페르미딘, N 8 -아세틸스페르미딘, N 1 -아세틸스페르민 및 스페르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폴리아민 대사체의 유전자의 핵산서열의 전부; 또는 상기 유전자의 단편인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또는 그의 상보가닥 분자가 집적된, 나노입자 신경독성 여부 진단용 마이크로어레이 칩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나노입자에 노출된 포유동물의 조직 또는 세포 샘플을 얻는 단계; 상기 샘플 내에서 푸트레신, N 1 -아세틸스페르미딘, N 8 -아세틸스페르미딘, N 1 -아세틸스페르민 및 스페르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폴리아민 대사체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폴리아민 대사체의 발현 정도를 대조군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나노입자의 신경독성 평가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분석은 GC/MS 분석 등의 방법으로 정량적으로 폴리아민 대사체를 분석하는 것이며, 푸트레신의 발현이 증가하고, N 1 -아세틸스페르미딘, N 8 -아세틸스페르미딘, N 1 -아세틸스페르민 및 스페르민의 발현이 감소할 경우 나노입자가 신경세포내 봉입체 형성을 증가시켜 신경독성을 유발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대사체의 증가는 나노입자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의 통상 발현량의 2배 이상인 상태를 의미하며, 대사체의 감소는 나노입자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의 통상 발현량의 1/2배 이하인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ODC1(유전자 등록번호: NM_002539), SAT1(유전자 등록번호: NM_002970), PAOX(유전자 등록번호: NM_152911) 및 SRM1(유전자 등록번호: NM_00313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전자를 포함하는, 나노입자의 신경독성 여부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ODC1(유전자 등록번호: NM_002539), SAT1(유전자 등록번호: NM_002970), PAOX(유전자 등록번호: NM_152911) 및 SRM1(유전자 등록번호: NM_00313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전자를 검출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나노입자 신경독성 여부 진단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ODC1(유전자 등록번호: NM_002539), SAT1(유전자 등록번호: NM_002970), PAOX(유전자 등록번호: NM_152911) 및 SRM1(유전자 등록번호: NM_00313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전자의 핵산서열의 전부; 또는 상기 유전자의 단편인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또는 그의 상보가닥 분자가 집적된, 나노입자 신경독성 여부 진단용 마이크로어레이 칩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나노입자에 노출된 포유동물의 조직 또는 세포 샘플을 얻는 단계; 상기 샘플 내에서 ODC1(유전자 등록번호: NM_002539), SAT1(유전자 등록번호: NM_002970), PAOX(유전자 등록번호: NM_152911) 및 SRM1(유전자 등록번호: NM_00313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전자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유전자의 발현 정도를 대조군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나노입자의 신경독성 평가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분석은 RT-PCR 또는 real-time PCR 등의 방법으로 유전자의 발현 양을 분석하는 것이며, ODC1(유전자 등록번호: NM_002539), SAT1(유전자 등록번호: NM_002970), PAOX(유전자 등록번호: NM_152911) 및 SRM1(유전자 등록번호: NM_003132)의 발현이 증가할 경우 나노입자가 신경세포내 봉입체 형성을 증가시켜 신경독성을 유발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유전자 발현 증가는 나노입자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의 통상 발현량의 2배 이상인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상기 나노입자는 생체조직과 반응시 신경독성이 증가하는 나노입자는 모두 해당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대기중의 나노입자, 화장료 조성물로 포함된 나노입자, 의약 조성물에 포함된 나노입자, 반도체 나노입자 등이 이에 해당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나노입자는 코어-쉘 형태일 수 있으며, 쉘은 실리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어레이 칩은 당업자에게 알려진 방법으로 제작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어레이 칩을 제작하는 방법은 하기와 같다. 상기 탐색된 단백질이나 유전자 바이오마커를 탐침 DNA 분자로 이용하여 DNA 칩의 기판 상에 고정화시키기 위해 파이조일렉트릭(piezoelectric) 방식을 이용한 마이크로피펫팅(micropipetting)법 또는 핀(pin) 형태의 스폿터(spotter)를 이용한 방법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DNA 마이크로어레이 칩의 기판은 아미노-실란(amino-silane), 폴리-L-라이신(poly-L-lysine) 및 알데히드(aldehyd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활성기가 코팅된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기판은 슬라이드 글라스, 플라스틱, 금속, 실리콘, 나일론 막, 및 니트로셀룰로스 막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마이크로어레이 칩을 포함하는 나노입자 신경독성 여부 진단용 키트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키트에 추가적으로 형광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형광물질은 스트렙아비딘-알칼리 탈인화효소 접합물질(strepavidin-like phosphatease conjugate), 화학형광물질(chemiflurorensce) 및 화학발광물질(chemiluminescent)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상기 키트에 추가적으로 반응 시약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반응 시약은 혼성화에 사용되는 완충용액, RNA로부터 cDNA를 합성하기 위한 역전사효소, cNTPs 및 rNTP(사전 혼합형 또는 분리 공급형), 형광염색제의 화학적 유도제와 같은 표식시약, 세척 완충용액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당업자에게 알려진 DNA 마이크로어레이 칩의 혼성화 반응에 필요한 반응 시약은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바이오마커 유전자에 상보적이고, 바이오마커 유전자를 증폭할 수 있는 프라이머 쌍을 포함하는 나노입자 신경독성 여부 진단용 키트를 제공한다.
상기 프라이머 쌍은 바이오마커 유전자의 증폭 산물이 100 내지 300 bp가 되도록 설계된 15 내지 50머 길이의 정방향 및 역방향 프라이머 쌍은 모두 사용 가능하다. 또한 아울러, 상기 키트에 추가적으로 반응 시약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반응 시약은 RNA로부터 cDNA를 합성하기 위한 역전사효소, cNTPs 및 rNTP(사전 혼합형 또는 분리 공급형), 형광 염색제의 화학적 유도제와 같은 표식시약, 세척 완충용액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당업자에게 알려진 RT-PCR 반응에 필요한 반응 시약은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르면, 1) 실험군으로서 나노입자에 노출된 포유동물의 조직 또는 세포 샘플에서 RNA를 분리하는 단계; 2) 단계 1)의 실험군 및 대조군의 RNA를 cDNA로 합성하면서 실험군과 대조군을 각기 다른 형광물질로 표지하는 단계; 3) 단계 2)의 각기 다른 형광물질로 표지된 cDNA를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어레이 칩과 혼성화시키는 단계; 4) 단계 3)에서 반응한 DNA 마이크로어레이 칩을 분석하는 단계; 및 5) 단계 4)에서 분석한 데이터에서 실험군의 마커 유전자의 발현 정도를 대조군과 비교하여 확인하는 단계를 거쳐 나노입자의 신경독성을 평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1) 실험군으로서 나노입자에 노출된 포유동물의 조직 또는 세포 샘플에서 RNA를 분리하는 단계; 2) 단계 1)의 실험군 및 대조군의 RNA를 대상으로, 본 발명의 바이오마커 유전자에 상보적이고 바이오마커 유전자를 증폭할 수 있는 프라이머 쌍을 사용하여 실시간 RT-PCR(Real-time reverse transcript polymerase chain reaction)을 수행하는 단계; 및 3) 단계 2)의 유전자 산물의 양을 대조군과 비교하여 확인하는 단계를 거쳐 나노입자의 신경독성을 평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세포 배양 및 MNPs@SiO 2 (RITC) 처리
1. 세포 배양
인간 신경세포 SH-SY5Y 세포는 ATCC로부터 구매하였고, 10% 우태혈청(FBS, Gibco, USA), 100 units/ml 페니실린 및 100 μg/mL 스트렙토마이신(Gibco, USA)을 포함하는 Dulbecco’s modified Eagle’s 배지(DMEM, Gibco, USA)에서 배양하였다. 세포는 37℃에서 5% 습도, CO2 대기조건 하에서 배양되었다.
2. MNPs@SiO 2 (RITC) 입자 준비 및 세포 처리
MNPs@SiO2(RITC) 입자는 종래 알려진 방법(Angew Chem Int Ed Engl 44, 1068-1071, 2005)에 따라 CoFe2O3를 코어로 하고 실리카를 쉘로 하고, 로다민 이소티오시아네이트 염료와 화학적으로 결합시켜 준비하였다.
SH-SY5Y 세포에 0.1 및 1.0 ㎍/㎕의 MNPs@SiO2(RITC)를 각각 12시간 동안 처리하여 배양하였다.
<실시예 2>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질량 분석(GC/MS 분석)
MNPs@SiO2(RITC)로 처리된 세포에서의 폴리아민 분석을 위해 GC/MS 분석을 수행하였다. 즉, GC-MS 분석은 Agilent 6890 가스 그로마토그래프와 인터페이스로 Agilent 5973 mass-selective detector (70 eV, electron impact mode)를 사용하고, Ultra-2 (5% phenyl-95% methylpolysiloxane bonded phase; 25 m x 0.20 mm i.d., 0.11 μm 필름두께) 교차결합된 모세관 컬럼(Agilent Technologies, USA)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주입기, 인터페이스 및 이온 원료는 각각 260, 300, 및 230 ℃였다. 지속적인 이동속도 0.5 mL/min 의 헬륨이 이동가스로 사용되었고, 샘플은 나눔-주입모드(10:1)로 주입하였다.
폴리아민(putrescine, spermidine, spermine, N 1 -acetylputrescine, N 1 -acetylcadaverine, N 1 -acetylspermidine, N 8 -acetylspermidine, N 1 -acetylspermine, and cadaverine) 분석을 위한 온도는 초기 2분간 140℃로 설정되었고, 240℃로 5℃/분 속도로 승온된 후 30℃/분 속도 300℃로 승온시켜 3분간 유지하였다. 질량 범위는 50-600u 이며 스캔속도는 0.99 scans/s 로 설정하였다.
도 1과 같이, 나노입자를 고농도 (1.0 ㎍/㎕)로 처리했을 때 푸트레신이 약 300% 증가하였고, N 1 -아세틸스페르미딘, N 8 -아세틸스페르미딘, N 1 -아세틸스페르민, 스페르민이 30% 정도 감소하였다.
<실시예 3> 폴리아민 대사체 관련 유전자 발현 분석
1. 총 RNA 샘플 준비
MNPs@SiO2(RITC)가 처리되거나 처리되지 않은 세포의 RNA는 RNAzol B (Tel-Test, Inc., USA)을 사용하여 분리되었고, RNeasy Mini Kit (Qiagen, USA)를 사용하여 정제되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2x106 세포를 500 ㎕의 RNAzol B 용액으로 처리하여 수득하고, 이후 70 ㎕의 클로로포름을 가한 후 4 ℃에서 5분간 배양하였다. 세포를 600㎕의 이소프로필알콜로 처리하여 RNA를 침전시키고, RNA 펠렛을 70% 에탄올로 세척한 후 공기 건조하고 RNA는 RNase-free water (WelGene, Korea)를 사용하여 펠렛으로부터 용출되었다. RNA의 순도는 분광 광도계 (Eppendorf, USA)로 정량화되었다. PCR 실험에 사용된 RNA의 순도는 광학밀도(OD) 260/230 및 260/280에 기초할 때 1.8-2.0 이었다.
2. 유전자 발현 분석
유전자 발현을 정량화하기 위해, 총 RNA 샘플은 RealMOD™ SYBR Green Real-time PCR kit (iNtRON Biotechnology, Seongnam, Korea)을 사용하여 역전사되었고 각 단편에 맞는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증폭되었다. 반응은 5℃ 에서 2분간, 95℃에서 30초간 수행된 후 95℃에서 5초 및 53℃에서 30초 반응을 40회 반복 수행하였다. PCR 산물은 MJ Opticon Monitor Version 3.1 (Bio-Rad, Hercules, CA)을 사용하여 녹는 곡선을 형성함으로써 분석되었다.
유전자 명명 Symbol NCBI
Ref Seq
Direction Primer sequence (5’-3’)
Homo sapiens ornithine decarboxylase 1 ODC1 NM_002539 Forward GAG CCC GGC AGA TAC TAT GT (서열 1)
Reverse GCT TTA CAT GTG CGT GGT CA (서열 2)
Homo sapiens spermidine synthase 1 SRM1 NM_003132 Forward CGA AAG GTG CTG ATC ATC GG (서열 3)
Reverse CAA AAC CGT CAC CCA CAT GT (서열 4)
Homo sapiens spermidine/spermine acetyltransferase 1 SAT1 NM_002970 Forward ACC TAT GAC CCG TGG ATT GG (서열 5)
Reverse TGC TAC CAA GAA GTG CAT GC (서열 6)
Homo sapiens polyamine oxidase PAOX NM_152911 Forward CAA GAA GGA GAT TGG CCA GC (서열 7)
Reverse CAG CAC GGT ATA CTC CCC AA (서열 8)
Homo sapiens glyceraldehyde 3-phosphate dehydrogenase GAPDH NM_002046 Forward GAA GAC TGT GGA TGG CCC (서열 9)
Reverse CCA TGC CAG TGA GCT TCC (서열 10)
표 1 및 도 2를 참조하면, ODC1, SAT1, PAOX 및 SRM1 유전자의 발현이 증가한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SRM1 유전자의 발현이 상대적으로 다른 유전자보다 발현 정도가 높지 않았다.
고농도(1.0 μg/μL)의 나노입자를 처리하게 되면 폴리아민 대사체 및 이와 관련된 유전자의 발현 변화가 유도될 수 있어서 고농도의 나노입자는 유전적, 대사체적 측면에서 생체에 영향을 줄 수 있다. 현재 나노입자의 안전성을 평가할 수 있는 명확한 방법론적 지침이나 생물학적 지표가 규격화되어 있지 않은 상황에서 본 발명을 통해 이를 명확하게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이 제시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110> AJOU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120> Biomarker Composition for Diagnosing Nanoparticles Neurotoxicity by Increasing Cytoplasmic Inclusion Bodies in vitro <130> ADP-2016-0285 <160> 10 <170> KopatentIn 2.0 <210> 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for ODC1 <400> 1 gagcccggca gatactatgt 20 <210> 2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for ODC1 <400> 2 gctttacatg tgcgtggtca 20 <210> 3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for SRM1 <400> 3 cgaaaggtgc tgatcatcgg 20 <210> 4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for SRM1 <400> 4 caaaaccgtc acccacatgt 20 <210> 5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for SAT1 <400> 5 acctatgacc cgtggattgg 20 <210> 6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for SAT1 <400> 6 tgctaccaag aagtgcatgc 20 <210> 7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for PAOX <400> 7 caagaaggag attggccagc 20 <210> 8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for PAOX <400> 8 cagcacggta tactccccaa 20 <210> 9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for GAPDH <400> 9 gaagactgtg gatggccc 18 <210> 10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for GAPDH <400> 10 ccatgccagt gagcttcc 18

Claims (14)

  1. 폴리아민 대사체인 푸트레신, N1 -아세틸스페르미딘, N8 -아세틸스페르미딘, N1 -아세틸스페르민 및 스페르민을 포함하는 나노입자의 신경독성 여부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나노입자에 노출된 포유동물로부터 분리된 조직 또는 세포 샘플 내에서 푸트레신, N1 -아세틸스페르미딘, N8 -아세틸스페르미딘, N1 -아세틸스페르민 및 스페르민을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푸트레신, N1 -아세틸스페르미딘, N8 -아세틸스페르미딘, N1 -아세틸스페르민 및 스페르민의 발현 정도를 대조군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나노입자의 신경독성 평가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분석은 푸트레신의 발현이 증가하고, N 1 -아세틸스페르미딘, N 8 -아세틸스페르미딘, N 1 -아세틸스페르민 및 스페르민의 발현이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입자의 신경독성 평가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ODC1(유전자 등록번호: NM_002539), SAT1(유전자 등록번호: NM_002970), PAOX(유전자 등록번호: NM_152911) 및 SRM1(유전자 등록번호: NM_00313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전자를 더 포함하는, 나노입자의 신경독성 여부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60076570A 2016-06-20 2016-06-20 퇴행성뇌질환의 생지표인 세포내 응집체 기반 나노신경독성 생지표 조성물 KR1018851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6570A KR101885135B1 (ko) 2016-06-20 2016-06-20 퇴행성뇌질환의 생지표인 세포내 응집체 기반 나노신경독성 생지표 조성물
PCT/KR2017/004948 WO2017222180A1 (ko) 2016-06-20 2017-05-12 퇴행성뇌질환의 생지표인 세포내 응집체 기반 나노신경독성 생지표 조성물
US16/311,161 US11261475B2 (en) 2016-06-20 2017-05-12 Nano-neurotoxicity bio-marker composition based on intracellular aggregates which are biomarkers of degenerative brain diseas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6570A KR101885135B1 (ko) 2016-06-20 2016-06-20 퇴행성뇌질환의 생지표인 세포내 응집체 기반 나노신경독성 생지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2684A KR20170142684A (ko) 2017-12-28
KR101885135B1 true KR101885135B1 (ko) 2018-08-06

Family

ID=60784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6570A KR101885135B1 (ko) 2016-06-20 2016-06-20 퇴행성뇌질환의 생지표인 세포내 응집체 기반 나노신경독성 생지표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261475B2 (ko)
KR (1) KR101885135B1 (ko)
WO (1) WO20172221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1415B1 (ko) * 2023-07-03 2024-04-26 주식회사 셀스토머 페루목시톨 자성체 나노입자의 내분비계 독성 여부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8149B1 (ko) 2005-12-28 2008-01-24 조명행 나노입자 유해성 실험장치
EP2105511A1 (en) * 2008-03-28 2009-09-30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Medicament compositions and substances for treatment and identifying adenocarcinoma of the lung
DK201000969A (en) * 2010-10-25 2012-04-26 Entomopharm Aps Insect-based ex vivo model for testing blood-brainbarrier penetration and method for exposinginsect brain to nanoparticles
WO2012170998A1 (en) * 2011-06-10 2012-12-13 Cornell University Immobilized protein system for rapid and enhanced multiplexed diagnostics
KR101470692B1 (ko) * 2012-07-23 2014-12-09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나노입자의 독성 여부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US9689019B2 (en) 2012-07-23 2017-06-27 Ajou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Biomarker for diagnosing toxicity of nanoparticles and method for evaluating toxicity of nanoparticles using the sam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PLoS One. 8(6):e64810 (2013.06.1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261475B2 (en) 2022-03-01
US20190194715A1 (en) 2019-06-27
KR20170142684A (ko) 2017-12-28
WO2017222180A1 (ko) 2017-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edziorek et al. Gene expression profiling reveals early cellular responses to intracellular magnetic labeling with superparamagnetic iron oxide nanoparticles
CA2840196C (en) Microrna biomarkers indicative of alzheimer&#39;s disease
Vasikova et al. A distinct expression of various gene subsets in CD34+ cells from patients with early and advanced myelodysplastic syndrome
CN108474018B (zh) 精神疾病生物标记
US20080299125A1 (en) Genetic basis of treatment response in depression patients
JP2010510769A (ja) 食道癌の診断ならびに患者の生存の予後および改善のための方法および組成物
CN105008551B (zh) Rna修饰的简易检测方法及用该检测方法的2型糖尿病的检查方法
CN107427614A (zh) 脑损伤的检测
CN111518884B (zh) miRNA30簇作为阿尔茨海默病诊断标志物的应用
CN109295221B (zh) 环状rna作为结直肠癌分子标志物的应用
WO2010010000A2 (en) Screening method, diagnostic method and small nucleic acid for the treatment of cns disorders
KR101885135B1 (ko) 퇴행성뇌질환의 생지표인 세포내 응집체 기반 나노신경독성 생지표 조성물
CN111944809B (zh) 帕金森病的诊断标志物及其应用
WO2007094870A2 (en) Toxicology and cellular effect of manufactured nanomaterials
KR101470692B1 (ko) 나노입자의 독성 여부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CA2803677C (en) Gene expression analyses for characterizing and identifying genotoxic compounds
CN112522425B (zh) Dpc细胞鉴定分类用标记物基因、筛选方法及应用
CN111118007B (zh) 一种长非编码rna在制备治疗宫颈癌药物中的应用
KR20140013390A (ko) 나노입자의 독성 평가방법
KR101398547B1 (ko) 저급 지방족 포화 알데하이드류 노출 여부 확인용 마이크로 rna 및 이를 이용한 확인 방법
US9689019B2 (en) Biomarker for diagnosing toxicity of nanoparticles and method for evaluating toxicity of nanoparticles using the same
US11466305B2 (en)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diagnostic composition using acid sphingomyelinase, and method for detecting diagnostic markers
KR101758701B1 (ko) 엑소좀과 세포주 유래 톨루엔 노출 여부 확인용 마이크로 rna 및 이를 이용한 확인 방법
KR20170022361A (ko) 디젤 배기 미립자(diesel exhaust particle) 노출에 따른 염증반응 관련 유전자 발현 여부 확인용 바이오마커 및 이를 이용한 확인 방법
US20040234969A1 (en) Mehtod for examining steroid-responsiven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