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4887B1 - 나무타일 모따기용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나무타일 모따기용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4887B1
KR101884887B1 KR1020160070970A KR20160070970A KR101884887B1 KR 101884887 B1 KR101884887 B1 KR 101884887B1 KR 1020160070970 A KR1020160070970 A KR 1020160070970A KR 20160070970 A KR20160070970 A KR 20160070970A KR 101884887 B1 KR101884887 B1 KR 1018848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fer
plate
adjusting plate
tile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0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8757A (ko
Inventor
이정복
Original Assignee
나무의숨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무의숨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나무의숨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70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4887B1/ko
Publication of KR20170138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87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4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48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GACCESSORY MACHINES OR APPARATUS FOR WORKING WOOD OR SIMILAR MATERIALS; TOOLS FOR WORKING WOOD OR SIMILAR MATERIALS; SAFETY DEVICES FOR WOOD WORKING MACHINES OR TOOLS
    • B27G17/00Manually-operated tools
    • B27G17/02Hand planes
    • B27G17/025Hand planes for forming profiles on wood; for trimming or chamfering 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GACCESSORY MACHINES OR APPARATUS FOR WORKING WOOD OR SIMILAR MATERIALS; TOOLS FOR WORKING WOOD OR SIMILAR MATERIALS; SAFETY DEVICES FOR WOOD WORKING MACHINES OR TOOLS
    • B27G21/00Safety guards o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other wood-working machines auxiliary devices facilitating proper operation of said wood-working machi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무타일과 관련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나무타일의 가장자기 모서리 부분으로 평평한 형태로 모따기를 하고, 중앙 부분으로는 둥근 홈을 형성하면서, 일부분의 채색된 면에는 사포 등의 연마로 채색된 무늬와 나무색 무늬로 하는 무늬 영역을 구비하는 등에 의해 심미감을 향상시기 위해 마련되는 나무타일에 모따기면을 형성하기 위한 나무타일 모따기용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나무타일용 면모따기장치(10)의 베이스평판(11) 상에 놓이는 고정베이스(21); 상기 고정베이스(21)와 소정 각도로 경사진 모따기경사조절판(23); 상기 모따기경사조절판(23)에 결합되고 나무타일용 소재의 배면이 접하는 절삭두께조절판(24); 및 상기 절삭두께조절판(24) 상에 놓이는 소재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하방지지접촉판(2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나무타일 모따기용 고정장치{FIXING APPARATUS FOR CUTTING FOR WOOD TILE}
본 발명은 나무타일과 관련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나무타일의 가장자기 모서리 부분으로 평평한 형태로 모따기를 하고, 중앙 부분으로는 둥근 홈을 형성하면서, 일부분의 채색된 면에는 사포 등의 연마로 채색된 무늬와 나무색 무늬로 하는 무늬 영역을 구비하는 등에 의해 심미감을 향상시기 위해 마련되는 나무타일에 모따기면을 형성하기 위한 나무타일 모따기용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실내 벽면을 장식하기 위해, 페인트 등으로 색칠하거나 벽지 등으로 실내 벽면을 꾸미기도 한다. 또한 근래에는 벽돌 조각이나 장식 물품을 벽면에 부착하여 다양한 벽면 디자인을 이루기도 한다.
아울러 황토벽돌이나 자연석 느낌을 주는 돌과 같이 친환경 소재를 이용하기도 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서처럼 나무 소재를 이용하여 장식하기도 하며, 일반적인 경우의 나무장식물은 단순한 형태를 이루어 벽면을 장식하거나 또는 나무 나이테가 그대로 드러나도록 하여 장식하곤 한다.
나무장식의 경우 단순한 형태로 조각을 만들어서 부착하기 때문에 특별한 심미감을 갖기는 곤란하고 다만 나무를 오래동안 보존이 가능하도록 하는 정도여서 벽면 장식으로써는 특별한 가치를 갖기에는 곤란한 것이다.
따라서 나무 장식으로 건축물 벽면을 장식하더라도 보다 심미감을 가지는 소재와 제조기술의 제안이 절실히 요구되는 것이다.
등록특허번호 제10-1144534호(2012년 05월 11일 공고) 등록실용신안번호 제20-0329330호(2003년 10월 08일 공고) 공개특허번호 제10-2009-0069351호(2009년 07월 01일 공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건축물의 벽면에 다수로 부착되는 나무타일에 있어서 모서리 부분으로 모따기된 평면이 구비되고, 중앙으로는 둥근 홈으로 하는 등의 나무타일을 구비하며, 모따기된 면의 형태나 중앙의 둥근 속파기 홈 등의 형태를 다양하게 마련하여 심미감을 갖도록 벽면을 장식하도록 하는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나무타일의 모서리 부분에 평면을 이루는 모따기면을 형성하기 위해 모서리 부분을 절단하는 과정이 손쉽게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나무타일 모서리 부분을 절단하는 과정에서, 절단날로 절단하는 순간에서도 나무타일이 요동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이동되어 균일하면서도 작업자나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모따기면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나무타일용 면모따기장치의 베이스평판 상에 놓이는 고정베이스; 상기 고정베이스와 소정 각도로 경사진 모따기경사조절판; 상기 모따기경사조절판에 결합되고 나무타일용 소재의 배면이 접하는 절삭두께조절판; 및 상기 절삭두께조절판 상에 놓이는 소재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하방지지접촉판을 포함하고, 상기 모따기경사조절판에 대해 절삭두께조절판(24)이 평행한 상태 및 소정 경사진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를 이루며, 상기 모따기경사조절판과 절삭두께조절판 사이의 경사진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모따기두께조절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모따기두께조절부재에 의해서 절삭두께조절판의 아래측이 모따기경사조절판에 밀착되게 하거나 또는 전방으로 이격시키며, 상기 절삭두께조절판(24)의 전면 좌측 또는 우측에서 돌출되는 틸팅각도조절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틸팅각도조절부재가 절삭두께조절판의 좌측 또는 우측에서 돌출됨에 의하여 절삭두께조절판에 대해서 나무타일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타일 모따기용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고정베이스와 모따기경사조절판 사이에서 고정베이스에 대해 모따기경사조절판의 경사 각도를 조절하는 모따기경사각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따기경사각조절부는, 상기 고정베이스에 고정되는 베이스결착부; 상기 모따기경사조절판에 고정되는 경사결착부; 및 상기 베이스결착부에 대해 경사결착부가 소정 각도로 경사진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경사각도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타일 모따기용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아울러, 상기 모따기두께조절부재는, 모따기경사조절판 후방에서 체결되는나사로 이루어져, 모따기경사조절판에 나사결합되는 정도에 따라 전방의 틸팅각도조절판 아래 측을 전방으로 밀어내고, 상기 틸팅각도조절부재는, 틸팅각도조절판의 전방으로 체결되는 나사로 이루어져, 틸팅각도조절판에 나사결합되는 정도에 따라 틸팅각도조절판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타일 모따기용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하방지지접촉판의 아래 부분을 접하여 지지하면서 모따기경사조절판 고정되는 하방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타일 모따기용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한 고정장치; 상기 고정장치가 이동가능하게 상부로 놓이는 베이스평판; 상기 베이스평판 상에 고정되고 고정장치가 이동되는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이동가이드부; 및 이동되는 상기 고정장치에 놓인 모따기 대상의 나무타일용 소재의 일측을 절단하여 모따기면을 형성하는 모따기절단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타일용 면모따기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건축물의 벽면에 다수로 부착되는 나무타일에 있어서 모서리 부분으로 모따기된 평면이 구비되고, 중앙으로는 둥근 홈으로 하는 등의 나무타일을 구비하며, 모따기된 면의 형태나 중앙의 둥근 속파기 홈 등의 형태를 다양하게 마련하여 심미감을 갖도록 벽면을 장식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나무타일의 모서리 부분에 평면을 이루는 모따기면을 형성하기 위해 모서리 부분을 절단하는 과정이 손쉽게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나무타일 모서리 부분을 절단하는 과정에서, 절단날로 절단하는 순간에서도 나무타일이 요동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이동되어 균일하면서도 작업자나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모따기면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모따기된 면에 색채로 된 무늬와 나무색을 갖는 무늬 등으로 하는 다채로운 무늬를 형성함으로써 생동감이 더욱 가미되도록 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이러한 건축물의 벽면을 심미감이 있게 장식하게 되는 나무타일을 소정의 제조방법과 모따기 장치 및 속파기장치 등을 이용함으로써 작업자나 사용자 등이 원하는 문양을 갖도록 나무타일을 구비할 수 있는 등 장식물로써의 나무타일을 손쉽게 마련할 수 있는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이처럼 나무소재로 하여 나무타일을 마련함에 있어서 샌딩실러조성물 등과 같이 나무타일을 외부 이물로부터 보호하면서, 채색무늬와 나무무늬 등을 연마로 구비하는 중에도 샌딩실러조성물을 활용함으로써 나무 소재의 보호와 함께 무늬의 형성에도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나무타일의 모따기면을 형성하기 위해 나무타일을 고정시키는 고정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나무타일 제조방법에 의해 각 단계별로 제조되는 과정의 나무타일에 대한 예시도로, 도 2a는 나무 재료를 나무타일에 맞게 재단한 상태의 예를 보인 것이고, 도 2b는 나무타일 일측 모서리를 절단하여 하나의 모따기면을 형성한 예를 보인 것이며, 도 2c는 나무타일 다른 모서리를 절단하여 두 개의 모따기면을 형성한 예를 보인 것이고, 도 2d는 나무타일 또 다른 모서리를 절단하여 세 개의 모따기면을 형성한 예를 보인 것이며, 도 2e는 나무타일 나머지 모서리를 절단하여 네 개의 모따기면을 형성한 예를 보인 것이고, 도 2f는 모따기된 나무타일에 대해 샌딩실러조성물을 도포한 상태의 예를 보인 것이며, 도 2g는 나무타일에 채색조성물을 도포한 상태의 예를 보인 것이고, 도 2h는 나무타일 중앙으로 속파기홈을 형성한 상태를 보인 것이며, 도 2i는 속파기홈을 비롯한 나무타일에 대해서 중벌도포조성물이 도포된 상태를 보인 것이고, 도 2j는 나무타일 모따기면에 대한 연마과정을 거친 상태를 보인 것이며, 도 2k는 나무타일에 대해서 마무리도포조성물로 도포된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나무타일이 제조가 완료된 상태에서의 무늬부분에 대한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나무타일이 제조가 완료된 상태에서의 무늬부분에서 채색홈무늬 부분에 대한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나무타일이 제조가 완료된 상태에서의 무늬부분에서 나무돌출무늬 부분에 대한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나무타일에 의해 장식된 벽면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나무타일을 제조하는 과정 중에서 중앙부분의 속파기홈을 형성하기 위한 속파기장치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나무타일을 제조하는 과정 중에서 전면의 모서리 부분에 모따기면을 형성하기 위한 면모따기장치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나무타일의 모따기면을 형성하기 위한 고정장치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나무타일의 모따기면을 형성하기 위한 고정장치에 나무타일이 탑재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나무타일에 대해서 모따기면이 균등모따기면 및 편중모따기면으로 이루어지는 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나무타일(50) 모따기용 고정장치(20) 및 나무타일(50)용 면모따기장치(10)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11 등에서와 같이, 주택 등의 건축물 벽면에 부착되어 벽면을 장식하기 위한 나무 소재의 나무타일(50)에 대해서, 나무타일(50) 전면의 일측을 평평하게 모따기로 절삭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에 건축물의 실내 벽면을 장식하기 위해, 페인트 등으로 색칠하거나 벽지 등으로 실내 벽면을 꾸미기도 한다. 또한 근래에는 벽돌 조각이나 장식 물품을 벽면에 부착하여 다양한 벽면 디자인을 이루기도 한다.
아울러 황토벽돌이나 자연석 느낌을 주는 돌과 같이 친환경 소재를 이용하기도 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서처럼 나무 소재를 이용하여 장식하기도 하며, 일반적인 경우의 나무장식물은 단순한 형태를 이루어 벽면을 장식하거나 또는 나무 나이테가 그대로 드러나도록 하여 장식하곤 한다.
이에 본 발명에서의 나무타일(50)은, 일정한 형태의 나무타일을 마련하고, 원하는 문양을 전면으로 형성하여 벽면을 장식할 수 있도록 마련한 것이다.
특히 나무타일(50)의 전면 부분에 원하는 줄문양을 형성하여 줄문양에 따라 채색된 부분을 나타냄으로써 심미감을 갖도록 하면서, 중앙으로 둥근 홈을 형성하여, 도 6에서처럼 전체적으로 장식된 벽면에서의 부드러운 심미감을 갖게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나무타일(50)용 면모따기장치(10)는, 도 8 등의 예에서처럼 고정장치(20)가 마련되고, 이러한 상기 고정장치(20)가 이동가능하게 상부로 놓이는 베이스평판(11)이 마련된다.
그리고 이러한 상기 베이스평판(11) 상에 고정되고 고정장치(20)가 이동되는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이동가이드부(12)가 마련되면서, 이동가이드부(12)를 따라 이동되는 상기 고정장치(20)에 놓인 모따기 대상의 나무타일용 소재의 일측을 절단하여 모따기면을 형성하는 모따기절단날(13)을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사각 형태의 나무타일(50)의 모서리 부분으로 경사지는 각도를 이루어 일부분이 절단되면서, 경사면의 평평한 면을 이루는 모따기면(52)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모따기면(52)은 도 2의 예에서처럼 나무타일(50)의 위치를 바꾸어가면서 하나 이상으로 모따기면(52)을 구비할 수 있다.
이처럼 나무타일(50)에 모따기 과정을 거쳐 모따기면(52)을 형성하기 위해, 면모따기장치(10)에 이용되는 나무타일용 고정장치(20)는, 전면 방향으로 나무타일이 탑재된 상태에서 모따기절단날(13) 부근을 이동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이다.
이에 좀더 상세히 살펴보면, 고정장치(20)는, 나무타일용 면모따기장치(10)의 베이스평판(11) 상에 놓이는 고정베이스(21)를 구비한다. 고정베이스(21)는 고정장치(20)의 베이스 부분으로 비교적 넓은 면적을 이루어 모따기절단날(13)에 대해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중에서도 나무타일(50)과 모따기절단날(13)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상기 고정베이스(21)와 소정 각도로 경사진 모따기경사조절판(23)이 마련된다.
특히 상기 고정베이스(21)와 모따기경사조절판(23) 사이에서 고정베이스(21)에 대해 모따기경사조절판(23)의 경사 각도를 조절하는 모따기경사각조절부(22)를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이러한 모따기경사각조절부(22)에 의하여 고정베이스(21)에 대해서 모따기경사조절판(23)이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경사진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모따기경사각조절부(22)에 대해서 상세한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고정베이스(21)에 고정되는 베이스결착부(221)가 마련되고, 상기 모따기경사조절판(23)에 고정되는 경사결착부(222)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결착부(221)에 대해 경사결착부(222)가 소정 각도로 경사진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경사각도고정부(223)를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경사각도고정부(223)를 중심으로 하여, 고정베이스(21) 및 베이스결착부(221)에 대해 회전하는 경사결착부(222) 및 모따기경사조절판(23)이 회전하면서,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를 이루면 나사 등으로 이루어진 경사각도고정부(223)로 조이게 됨으로써 경사진 각도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모따기경사조절판(23)이 경사진 각도의 정도는, 모따기경사조절판(23) 전면으로 탑재되는 나무타일(50)의 기울어진 정도가 되는 것이며, 결국 모따기절단날(13)에 의해 나무타일(50)의 모서리 부분이 절단되는 두께가 결정되는 것이다.
즉 모따기경사조절판(23) 및 나무타일(50)이 직립되게 세워지는 경사를 이루는 경우에는, 나무타일(50) 모서리 끝 부분이 얇은 두께로 절단될 것이다.
반면 모따기경사조절판(23) 및 나무타일(50)이 좀더 눕혀진 상태의 경사를 이루는 경우에는, 나무타일(50) 모서리 끝 부분이 두꺼운 두께로 절단되면서도, 절단으로 평평한 면을 이루는 모따기면(52)의 넓이도 넓게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고정장치(20)에 있어서, 상기 모따기경사조절판(23)에 결합되고 나무타일용 소재의 배면이 접하는 절삭두께조절판(24)을 구비한 것이다.
이에 상기 모따기경사조절판(23)에 대해 절삭두께조절판(24)이 평행한 상태 및 소정 경사진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를 이루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모따기경사조절판(23)과 절삭두께조절판(24) 사이의 경사진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모따기두께조절부재(241)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에 상기 모따기두께조절부재(241)는, 모따기경사조절판(23) 후방에서 체결되는나사로 이루어져, 모따기경사조절판(23)에 나사결합되는 정도에 따라 전방의 틸팅각도조절판(24) 아래 측을 전방으로 밀어내는 것이다.
즉 상기 모따기경사조절판(23)에 대해서 모따기두께조절부재(241)에 의해서 절삭두께조절판(24)의 아래측을 모따기경사조절판(23)에 밀착되게 하거나 또는 전방으로 이격시키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9의 예에서처럼 모따기경사조절판(23)의 아래에 위치되는 모따기두께조절부재(241)를 후방으로 나사를 풀어 도 1에서처럼 모따기경사조절판(23) 아래로 절삭두께조절판(24)의 아래가 밀착되어 두 판들은 서로 평행한 상태를 갖는다.
그리하여 모따기경사조절판(23)과 절삭두께조절판(24)이 서로 평행한 상태로 절삭될 경우, 나무타일(50)의 아래 모서리 부분에서 약간의 얇은 두께로 모따기가 이루어질 것이다.
또한 도 9의 예에서와 같은 모따기두께조절부재(241)를 전방으로 나사를 조이게 되면, 모따기두께조절부재(241)가 절삭두께조절판(24) 아래 부분을 전방으로 밀게 되며, 결국 이로써 절삭두께조절판(24)의 아래 부분이 전방으로 이격된 상태로 하여, 모따기경사조절판(23)에 대해서 절삭두께조절판(24)의 아래 방향이 벌어진 상태의 경사진 상태를 이루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절삭될 경우 절삭두께조절판(24)에 의해 나무타일(50)의 아래 부분 모서리 부분이 전방으로 밀리게 되어, 절삭시 모서리 부분이 두껍게 절삭될 수 있으며, 이로써 절삭에 의해 형셩되는 모따기면(52)의 너비도 넓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절삭두께조절판(24)의 전면 좌측 또는 우측에서 돌출되는 틸팅각도조절부재(242)를 구비하여, 상기 틸팅각도조절부재(242)가 절삭두께조절판(24)의 좌측 또는 우측에서 돌출됨에 의하여 절삭두께조절판(24)에 대해서 나무타일(50)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울어지는 정도를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틸팅각도조절부재(242)는, 틸팅각도조절판(24)의 전방으로 체결되는 나사로 이루어져, 틸팅각도조절판(24)에 나사결합되는 정도에 따라 틸팅각도조절판(24)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것이다.
이에 틸팅각도조절부재(242)의 전방으로는 나무타일(50) 배면이 접하게 되며, 틸팅각도조절부재(242)가 절삭두께조절판(24)의 전방으로 튀어나오지 않게 할 경우, 나무타일(50)이 절삭두께조절판(24)에 밀착된 상태를 이루기 때문에, 절삭 시 절삭된 부분인 모따기면(52)은 좌우로 편중되지 않고 균형된 상태의 균등모따기면(521)을 형성되는 것이다.
반면 좌측이나 우측의 틸팅각도조절부재(242)가 전방으로 나온 상태에서는, 결국 나무타일(50)도 절삭두께조절판(24)에 대해서 좌측이나 우측이 전방으로 기울어져 나온 상태를 이루기 때문에, 나무타일(50)에 대한 절삭 시, 모따기면(52)은 좌측이나 우측이 더 많이 절삭된 편중모따기면(522)을 이루는 것이다.
즉 모따기절단날(13)이 있는 방향으로 더 많이 나온 좌측이나 우측으로 절단으로 평면을 이루는 면적이 더 넓게 되어 일측으로 편중된 평면 형태의 모따기면인 편중모따기면(522)을 형성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이처럼 틸팅각도조절부재(242)가 절삭두께조절판(24)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모따기면(52)을 형성하게 되므로, 다양한 형태의 모따기면을 갖는 다수 나무타일을 구비하여, 도 6의 예에서처럼 다양한 나무타일을 벽면에 장식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이러한 상기 절삭두께조절판(24) 상에 놓이는 소재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하방지지접촉판(25)을 구비한 것이다. 그리하여 절삭두께조절판(24) 상에 놓이는 나무타일(50)이 아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에 사용자는 절삭두께조절판(24) 및 하방지지접촉판(25)에 놓인 나무타일(50)의 상측 부분을 살짝 누르면서 모따기절단날(13)을 이용하여 모따기면(52)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방지지접촉판(25)의 아래 부분을 접하여 지지하면서 모따기경사조절판(23)에 고정되는 하방지지부재(26)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러한 하방지지부재(26)에 대해 첨부된 도면의 예에서는 어느 정도 두꺼운 두께로 하여 하방지지부재(26)가 마련됨을 보인 것이며, 이처럼 두꺼운 두께로 형성됨으로써, 상측으로 놓이는 나무타일(50)을 견고하게 지지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나무타일의 원재를 이용하여 나무타일을 제조하는 과정에 대해서 도 2를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일반적으로 나무 소재를 다루는 기술에 의해 어느 정도의 크기로 제공된 상태에서, 나무 재질의 원재를 나무타일의 소정 크기로 재단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이렇게 재단된 원재는 도 2a에서와 같이 마련될 수 있는 것으로, 대체로 사각형상을 이루고 두께가 균일한 평판형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나무타일의 재단된 다음 면모따기장치(10)를 이용하여 모따기면(52)을 하나 이상 형성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그리하여 도 2b에서는 일측 모서리 부분에서 경사진 면으로 절단된 상태의 모따기면(52)이 하나 형성된 것이고, 도 2c에서는 다른 모서리 부분에서 경사진 면으로 절단된 것으로 모따기면(52)이 두 개 형성된 것이며, 도 2d에서는 세 번째 모서리 부분에서 경사진 면으로 절단된 것으로 모따기면(52)이 세 개 형성된 것이고, 도 2e는 나머지 모서리 부분에서 경사진 면으로 절단된 것으로 모따기면(52)이 총 네 개 형성된 것이다.
다음으로 샌딩실러조성물을 도포하여 초벌도색을 수행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이에 상기 샌딩실러조성물은, 아미노알키드수지, 폴리우레탄수지, 멜라민수지, 불소수지, 올레핀계 수지, 스틸렌계 수지, 비닐/에멀젼 도료, 유성페인트, 니스, 에나멜페인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투명 또는 반투명의 래커(lacquer) 등으로 도포되는 것이다.
이러한 샌딩실러(sanding sealer) 조성물은 나무타일의 표면에 대해 다른 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나무타일에 대해서 제일 먼저 도포하는 것이다. 나무타일은 단단하다고 하여도 미세한 공극들이 많기 때문에 습기나 다른 물질들이 쉽게 침투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이후에 작업되는 착색단계의 채색조성물이 나무타일 깊숙이 침투될 수 있으며 이는 후공정에서 무늬 디자인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원하는 무늬 디자인이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어, 채색조성물이 나무타일 내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샌딩실러조성물이 이루게 된다.
이처럼 샌딩실러조성물로 도포된 상태에 대한 일 예로 도 2f에 도시된 것으로, 전체적으로 나무 색상에 비해서 약간 어두운 투명한 상태로 도포된 것임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이러한 샌딩실러조성물을 도포한 다음에 채색조성물로 도포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이에 상기 채색조성물은 아미노알키드수지, 폴리우레탄수지, 열경화성아크릴수지, 멜라민수지, 불소수지, 올레핀계 수지, 스틸렌계 수지, 비닐/에멀젼 도료, 유성페인트, 니스, 에나멜페인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불투명의 래커(lacquer) 등으로 도포되어 층을 이루는 것이다.
이처럼 채색조성물로 도포된 상태에 대한 일 예로 도 2g에 도시된 것으로, 전체적으로 어두운 색채로 도포된 것임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속파기장치(60)를 이용하여 소정 위치에 둥근 홈인 속파기홈(53)을 형성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즉 나무타일 주변으로는 모서리 부분으로 모따기면(52)을 형성한 반면, 중앙 부분은 특별한 가공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중앙 부분에 대해 둥근 홈인 속파기홈(53)을 형성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도 6의 예에서처럼 각 나무타일의 중앙 부분이 둥글게 홈을 형성하므로 둥근 형태에 의한 심미감을 갖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속파기장치(60)는 도 7에서처럼 모따기원재(512)를 거치하게 되는 나무타일장착부(61)가 마련된다. 도 7의 예에서는 사각 형태의 나무타일에 대해 네 변을 지지하는 네 개의 지그가 마련되는 것이며, 이러한 지그의 간격은 나무타일의 크기에 따라 알맞게 정하여 견고하게 나무타일이 장착된 상태에서 속파기홈을 형성하게 된다. 대체로 속파기홈용 속파기기구(62)는 일반적으로 나무를 가공하기 위한 도구로써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닌 일반적인 나무 가공용 도구를 이용할 수 있다.
이처럼 속파기홈(53)이 형성된 상태에 대한 일 예로 도 2h에 도시된 것으로, 주변 모따기면(52)은 어두운 색채로 도포된 것이고 중간의 속파기홈(53)은 나무 색으로 드러난 것임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중벌도포조성물로 모따기면(52) 및 속파기홈(53)에 도포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즉 나무타일의 전면 부분 중에서 가장자리들은 모따기면(52)을 형성하고 샌딩실러조성물과 채색조성물로 도포되어 있는 반면, 중간 부분은 속파기홈(53)으로 나무 속재료가 드러난 상태이다. 이러한 속파기홈(53)에 대해 중벌도포조성물로 도포하게 된다.
이에 상기 중벌도포조성물은 아미노알키드수지, 폴리우레탄수지, 멜라민수지, 불소수지, 올레핀계 수지, 스틸렌계 수지, 비닐/에멀젼 도료, 유성페인트, 니스, 에나멜페인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투명 또는 반투명의 래커(lacquer) 등으로 도포될 수 있다.
이처럼 중벌도포조성물로 도포된 상태에 대한 일 예로 도 2i에 도시된 것으로, 주변 모따기면(52)은 어두운 색채로 도포된 것이고 중간의 속파기홈(53) 부분은 나무 색상에 비해서 약간 어두운 투명한 상태로 도포된 것임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모따기면에 대해 표면 연마를 통하여 돌출된 부분의 연마에 의해 홈으로 채색부분과 연마로 드러난 나무색 부분으로 이루어진 무늬를 형성시키는 연마단계를 수행하는 것이다.
이에 모따기면(52)에 대한 연마는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사포를 이용하여 사포질에 의해 돌출된 부분이 연마되어 제거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돌출된 부분은 앞선 과정에서 채색된 부분이 연마로 제거되는 것이며, 이로써 연마로 제거된 부분은 나무 색상이 그대로 드러나게 된다. 반면 홈 부분은 채색조성물이 그대로 남아 있기 때문에 채색조성물의 색상을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이에 이러한 홈을 형성하는 과정은 앞선 샌딩실러조성물을 도포하기 이전에 추가과정으로 진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홈 형성과정에 의하여 작업자가 원하는 문양을 더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하여 좀더 심미감 있는 문양의 무늬를 모따기면(52)에 마련하여 전체적으로 심미감을 더하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홈이 형성된 상태에서 바로 채색조성물을 도포하기 보다는 샌딩실러조성물로 먼저 도포함으로써, 돌출로 연마되는 부분에서 채색조성물이 더 이상 나무 속으로 침투되지 않게 하여, 약간의 연마로도 나무색상이 그대로 드러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샌딩실러조성물은 그 성분 특성으로써 채색조성물이 나무 속재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성분으로 선정함이 좀더 바람직할 수 있다.
이처럼 모따기면연마단계에서 모따기면(52)에 대해 사포 등으로 연마된 상태에 대한 일 예로 도 2j에 도시된 것으로, 주변 모따기면(52)에서 전체적으로 어두운 색채를 이루던 것이 줄문양으로 하여 나무색상을 나타낸 것이고, 기존의 채색된 부분은 어두운 상태로 줄무늬를 이루는 것으로 보인 것이다.
다음으로 마무리도포조성물로 모따기면(52) 및 속파기홈(53)에 도포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이다.
이에 상기 마무리도포조성물은 아미노알키드수지, 폴리우레탄수지, 멜라민수지, 불소수지, 올레핀계 수지, 스틸렌계 수지, 비닐/에멀젼 도료, 유성페인트, 니스, 에나멜페인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투명 또는 반투명의 래커(lacquer) 등으로 도포될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마무리도포조성물로 도포된 상태에 대한 일 예로 도 2k에 도시된 것으로, 주변 모따기면(52)은 어두운 색채의 줄문양과, 연마로 인해 나무색상을 이루는 줄문양 부분이 마무리도포조성물에 의해 도포된 것이며, 중간의 속파기홈(53) 부분은 또다시 마무리도포조성물에 의해 더 도포된 것으로 나무 색상을 비추는 것이다.
그리하여 전체적으로 나무타일(50)은 중간의 속파기홈(53)의 둥근 부분이 나무색상을 갖게 되고 주변의 모따기면(52)은 평면을 이루면서 채색된 색상과 나무색상들이 서로 줄무늬를 이루는 것이며, 이와 같이 마련되는 다양한 무늬와 채색된 나무타일(50)이 도 6에서처럼 벽면에 장식됨으로써 실내 벽면 장식으로써 심미감을 갖게 되는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일실시예를 기재한 것이므로, 상기 실시예의 기재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10 : 모따기장치 11 : 베이스평판
12 : 이동가이드부 13 : 모따기절단날
20 : 고정장치 21 : 고정베이스
22 : 모따기경사각조절부 23 ; 모따기경사조절판
24 : 절삭두께조절판 25 : 하방지지접촉판
50 : 나무타일 52 : 모따기면

Claims (6)

  1. 나무타일용 면모따기장치(10)의 베이스평판(11) 상에 놓이는 고정베이스(21);
    상기 고정베이스(21)와 소정 각도로 경사진 모따기경사조절판(23);
    상기 모따기경사조절판(23)에 결합되고 나무타일용 소재의 배면이 접하는 절삭두께조절판(24); 및
    상기 절삭두께조절판(24) 상에 놓이는 소재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하방지지접촉판(25)을 포함하고,
    상기 모따기경사조절판(23)에 대해 절삭두께조절판(24)이 평행한 상태 및 소정 경사진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를 이루며,
    상기 모따기경사조절판(23)과 절삭두께조절판(24) 사이의 경사진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모따기두께조절부재(241)를 포함하여,
    상기 모따기두께조절부재(241)에 의해서 절삭두께조절판(24)의 아래측이 모따기경사조절판(23)에 밀착되게 하거나 또는 전방으로 이격시키며,
    상기 절삭두께조절판(24)의 전면 좌측 또는 우측에서 돌출되는 틸팅각도조절부재(242)를 구비하여,
    상기 틸팅각도조절부재(242)가 절삭두께조절판(24)의 좌측 또는 우측에서 돌출됨에 의하여 절삭두께조절판(24)에 대해서 나무타일(50)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타일 모따기용 고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베이스(21)와 모따기경사조절판(23) 사이에서 고정베이스(21)에 대해 모따기경사조절판(23)의 경사 각도를 조절하는 모따기경사각조절부(22)를 포함하고,
    상기 모따기경사각조절부(22)는,
    상기 고정베이스(21)에 고정되는 베이스결착부(221);
    상기 모따기경사조절판(23)에 고정되는 경사결착부(222); 및
    상기 베이스결착부(221)에 대해 경사결착부(222)가 소정 각도로 경사진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경사각도고정부(2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타일 모따기용 고정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따기두께조절부재(241)는, 모따기경사조절판(23) 후방에서 체결되는나사로 이루어져, 모따기경사조절판(23)에 나사결합되는 정도에 따라 전방의 틸팅각도조절판(24) 아래 측을 전방으로 밀어내고,
    상기 틸팅각도조절부재(242)는, 틸팅각도조절판(24)의 전방으로 체결되는 나사로 이루어져, 틸팅각도조절판(24)에 나사결합되는 정도에 따라 틸팅각도조절판(24)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타일 모따기용 고정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방지지접촉판(25)의 아래 부분을 접하여 지지하면서 모따기경사조절판(23)에 고정되는 하방지지부재(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타일 모따기용 고정장치.
  6. 제 1항 또는 제2항 또는 제4항 또는 제 5항 중 어느 한 항의 고정장치(20);
    상기 고정장치(20)가 이동가능하게 상부로 놓이는 베이스평판(11);
    상기 베이스평판(11) 상에 고정되고 고정장치(20)가 이동되는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이동가이드부(12); 및
    이동되는 상기 고정장치(20)에 놓인 모따기 대상의 나무타일용 소재의 일측을 절단하여 모따기면을 형성하는 모따기절단날(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타일용 면모따기장치.
KR1020160070970A 2016-06-08 2016-06-08 나무타일 모따기용 고정장치 KR1018848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0970A KR101884887B1 (ko) 2016-06-08 2016-06-08 나무타일 모따기용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0970A KR101884887B1 (ko) 2016-06-08 2016-06-08 나무타일 모따기용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8757A KR20170138757A (ko) 2017-12-18
KR101884887B1 true KR101884887B1 (ko) 2018-08-02

Family

ID=60923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0970A KR101884887B1 (ko) 2016-06-08 2016-06-08 나무타일 모따기용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4887B1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82892U (ko) * 1976-12-10 1978-07-08
KR200192923Y1 (ko) * 2000-03-02 2000-08-16 은언기 인조보석의 가공장치
KR200329330Y1 (ko) 2003-06-26 2003-10-08 김대욱 금속박막이 부착되어 있는 나무타일
KR100921024B1 (ko) * 2007-08-29 2009-10-08 박영복 나무매트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매트
KR20090069351A (ko) 2007-12-26 2009-07-01 심정택 조립식 나무 타일
KR101068247B1 (ko) * 2009-01-20 2011-09-28 주식회사 새한텅스텐 로드 단부의 모서리 버어 제거장치
KR101144534B1 (ko) 2009-12-30 2012-05-11 조광페인트주식회사 바닥재 코팅용 아이소레이터 조성물을 이용한 바닥재 코팅방법
KR101218970B1 (ko) * 2010-08-02 2013-01-18 주식회사 케이엔제이 기판 연마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8757A (ko) 2017-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43846A (ko) 자연 노화형의 나이테 요철무늬합판 및 판재
CN105437200A (zh) 一种用于木板切割的基准线设置装置
KR101884887B1 (ko) 나무타일 모따기용 고정장치
KR101932010B1 (ko) 나무타일 및 그 제조방법
EP2207655B1 (en) Element for covering a surface, covering obtained therewith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n element for covering a surface
EP0267997A1 (en) Process for producing mosaic articles
CN103306456B (zh) 一种镶有装饰石材的拼花地板加工方法
KR101379975B1 (ko) 장식 패널 및 그 제조방법
US20180201056A1 (en) Method for working wood paste
KR101089689B1 (ko) 상감 장식품 및 그 제조방법
CN208310077U (zh) 一种自由拼接的条型拼花地板
JP3185007U (ja) ギターのヘッドストックの装飾構造
US20150104615A1 (en) Method for minimizing the appearance of undesirable tool marks during CNC operations
JP3243447U (ja) 組子様相を呈した装飾性テーブル
KR200430184Y1 (ko) 인조 대리석 부분 장식 판재
US11247420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artisanal decorative veneers
JP3113393U (ja) 年輪凹凸板材
KR100453075B1 (ko) 폐자재를 이용한 인테리어 소품
JP7162197B2 (ja) 化粧面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328442Y1 (ko) 건축 마감재
KR100572231B1 (ko) 폴리우레탄을 이용한 칠공예품 제조방법 및 그러한 방법에의한 칠공예품
KR20100015230A (ko) 이종(異種) 색상의 무늬모양 판재가 조합된 건축물 장식용마감재의 제조방법 및 그 제품
JP3217083U (ja) 樹脂で修正した欠落部装飾模様をもつ無垢木製テーブル
WO2000046044A1 (en) Production method of relief marble surfaces
KR20020014495A (ko) 인조석 판재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