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4186B1 - 유격방지 기능을 구비한 자동차 시트 슬라이드용 기어박스 - Google Patents

유격방지 기능을 구비한 자동차 시트 슬라이드용 기어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4186B1
KR101884186B1 KR1020170152694A KR20170152694A KR101884186B1 KR 101884186 B1 KR101884186 B1 KR 101884186B1 KR 1020170152694 A KR1020170152694 A KR 1020170152694A KR 20170152694 A KR20170152694 A KR 20170152694A KR 101884186 B1 KR101884186 B1 KR 1018841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m wheel
wheel nut
support portion
gear box
pre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2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9659A (ko
Inventor
허윤호
김경욱
Original Assignee
대원정밀공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원정밀공업(주) filed Critical 대원정밀공업(주)
Priority to KR1020170152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4186B1/ko
Publication of KR20170129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96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4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41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3Mounting or installation of gears or shafts in the gearboxes, e.g. methods or means for assemb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67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by linear actuators, e.g. linear screw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1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 F16H1/16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comprising worm and worm-whe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2057/02039Gearbox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격방지 기능을 구비한 자동차 시트 슬라이드용 기어박스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기어박스의 하우징과 웜휠너트, 웜샤프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축방향으로 서로 반대되는 예압을 발생시키는 예압부재를 설치하여, 하우징, 웜휠너트, 웜샤프트 간의 유격을 방지하고, 웜휠너트 및 웜샤프트의 회전중심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는 유격방지 기능을 구비한 자동차 시트 슬라이드용 기어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 슬라이드 장치에 설치되는 기어박스에 있어서; 상기 기어박스는, 웜휠너트의 양단에 예압부재가 연결설치되되, 상기 예압부재는, 접촉지지부가 웜휠너트의 외부면에 접촉지지되고, 탄성지지부에 구비된 복수개의 탄성지지편 외측단이 하우징에 접촉지지되도록 설치되어, 예압부재의 예압 및 지지에 의해 하우징내에서 웜휠너트의 유동이 방지되고, 웜휠너트가 동심원을 구비하며 회전작동되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유격방지 기능을 구비한 자동차 시트 슬라이드용 기어박스{Gear Box Assembly of apparatus for moving seats for vehicle}
본 발명은 유격방지 기능을 구비한 자동차 시트 슬라이드용 기어박스에 관한 것으로, 웜휠너트의 양단에 예압부재가 연결설치되어 기어박스의 하우징내 웜휠너트의 축방향 마찰을 최소화하고, 웜휠너트의 유격을 방지할 수 있는 유격방지 기능을 구비한 자동차 시트 슬라이드용 기어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시트는 시트백과 시트쿠션을 포함하고, 차체의 전후방향으로 시트쿠션을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시트트랙의 슬라이드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시트트랙은 플로어패널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레일과, 상기 하부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되고 시트쿠션이 연결설치되는 상부레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시트 슬라이드 장치는 상부레일을 슬라이드 시키기 위한 구동수단과, 구동수단에 의해 하부레일에 설치되는 리드스크류를 따라 회동하여 상부레일을 전후 슬라이드 시키는 기어박스를 포함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기어박스는 내부에 웜샤프트와 웜휠너트가 서로 맞물림상태를 유지하도록 직교설치되어 있으며, 구동수단에 의해 웜샤프트가 회전되면, 리드스크류에 결합되어 있는 웜휠너트가 회전되어, 리드스크류를 따라 기어박스가 전후 슬라이딩 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기어박스는 웜샤프트와 웜휠너트가 하우징내에 정밀하게 조립되어야 구동수단에 의한 시트의 슬라이드가 이루어질 수 있으나, 종래의 기어박스는 하우징과 웜샤프트 및 웜휠너트가 단순히 치수조정에 의해 서로 연결설치되도록 되어 있어, 웜샤프트와 웜휠너트 및 하우징간의 조립공차 또는, 차량의 주행중에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하우징내에 설치된 웜샤프트와 웜휠너트, 하우징과 웜샤프트, 하우징과 웜휠너트 사이에 유격현상이 발생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유격발생에 의해 웜샤프트와 웜휠너트에 마찰로 인한 손상이 발생되고, 웜샤프트와 웜휠너트간의 동력전달에 손실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특히, 시트에 하중 또는 진동이 가해지게 될 경우, 웜휠너트와 리드스크류 사이에 축방향 틈새로인한 이음 및 유격이 생기며, 오랜 작동(내구품질)으로 인한 마모로 틈새가 발생되어 유격 및 이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어박스내의 웜샤프트와 웜휠너트는 서로 정확하게 직교하도록 정밀조립된 상태를 유지하여야 하나, 웜휠너트의 유격으로 인해 웜샤프트와 웜휠너트가 정확하게 직교하지 않아, 구동 시, 이음 및 진동이 발생하게 되는 등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0-0045820(2010.05.04)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136823(2012.04.09)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468163(2014.11.26)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705691(2007.04.03)
본 발명의 목적은 기어박스의 하우징과 웜휠너트, 웜샤프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축방향으로 서로 반대되는 예압을 발생시키는 예압부재를 설치하여, 하우징, 웜휠너트, 웜샤프트 간의 유격이 방지되고, 웜휠너트 및 웜샤프트가 동심원으로 회전작동될 수 있도록 지지되는 유격방지 기능을 구비한 자동차 시트 슬라이드용 기어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 슬라이드 장치에 설치되는 기어박스에 있어서; 상기 기어박스는, 웜휠너트의 양단에 예압부재가 연결설치되되, 상기 예압부재는, 접촉지지부가 웜휠너트의 외부면에 접촉지지되고, 탄성지지부에 구비된 복수개의 탄성지지편 외측단이 하우징에 접촉지지되도록 설치되어, 예압부재의 예압 및 지지에 의해 하우징내에서 웜휠너트의 유동이 방지되고, 웜휠너트가 동심원을 구비하며 회전작동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축방향으로 예압이 작용되는 예압부재를 웜휠너트의 양측에 삽입설치하여,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작용되는 예압에 의해 하우징내 웜휠너트의 유동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예압부재와 웜휠너트 사이에 지지링이 더 설치되어, 웜휠너트의 축방향 마찰을 최소화하고, 예압부재의 예압을 웜휠너트에 균일하게 전달하여, 웜휠너트의 유격이 방지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웜휠너트와 하우징 사이의 유격이 예압부재의 예압에 의해 보상되므로, 웜샤프트와 웜휠너트이 우수한 작동력을 유지하게 되고, 이로 인해 시트 슬라이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예압부재에 의해 웜휠너트가 축방향 및 축에 수직되는 방향으로 동시에 탄성지지되므로, 웜휠너트의 안정적인 작동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하우징내에 웜휠너트, 웜샤프트가 예압부재에 의해 탄성지지되므로, 기어박스에 외부충격 또는 과도한 하중이 걸리더라도 하중 및 충격이 흡수되어 진동, 소음 및 유격이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웜휠너트의 양단 또는 웜샤프트의 양단에 예압부재가 삽입설치되는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어 조립이 간편하고, 구동수단에 의한 동력의 전달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되며,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예압부재의 접촉지지부가 웜휠너트의 나사산측면에 접촉지지됨과 동시에, 웜휠너트 양단의 외부면 둘레를 따라 접촉지지되도록 되어 있어, 시트 슬라이딩 작동시, 웜휠너트와 하우징간의 축방향 마찰이 최소화되고, 웜휠너트가 동심원으로 회전작동되어 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하우징내에 웜휠너트의 나사산이 삽입되는 웜휠공간과 연통되도록 예압부재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예압부재공간은 예압부재의 접촉지지부가 삽입설치되는 제1예압공간과 예압부재의 탄성지지부가 삽입설치되는 제2예압공간으로 형성되어, 예압부재가 예압발생을 위한 탄성복원력을 구비하도록 안정적으로 지지되고, 웜휠너트 양단에 예압부재가 끼워진 상태에서 하우징에 동시끼움될 수 있어,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웜휠너트, 웜샤프트가 양단에 예압부재가 끼워진 상태에서 하우징내에 조립되어 결합되므로, 기어박스의 작동시 웜휠너트 및 웜샤프트의 조립공차로 인한 소음발생이 방지되는 등 많은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분해된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조립된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예압부재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기어박스의 결합관계를 보인 예시도
도 1 은 본 발명의 분해된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2 는 본 발명의 조립된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예압부재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기어박스의 결합관계를 보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 슬라이드 장치에 설치되는 기어박스에 있어서; 상기 기어박스(100)는, 하우징(10)내에 설치되고 구동축(60)이 연결되는 웜샤프트(20); 웜샤프트(20)와 치합되도록 하우징(10)내에 설치되고 리드스크류(40)가 연결설치되는 웜휠너트(30); 웜휠너트 양단(31)의 외부면(32) 둘레를 따라 일측이 접촉지지되고 타측이 하우징(10)에 접촉지지도록 하우징(10)과 웜휠너트(30) 사이에 설치되어 웜휠너트(30)에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예압을 발생시키는 예압부재(50);를 포함하여, 예압부재(50)의 예압 및 지지에 의해 하우징(10)내에서 웜휠너트(30)의 유동이 방지되고, 웜휠너트(30)가 동심원을 구비하며 회전작동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의 예압은 하우징(10)의 설치공간(11)내에서 웜휠너트(30) 또는 웜샤프트(20)의 작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정도로, 웜휠너트(30) 또는 웜샤프트(20)를 가압하여 조립공차의 유격에 의한 하우징의 설치공간(11)내 웜휠너트(30) 또는 웜샤프트(20)의 유동을 방지하는 정도의 힘을 의미한다.
상기 웜샤프트(20)는 구동축(60)이 축결합되고, 웜휠너트(30)에 일측이 치합되는 나사산(23)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우징(10)의 설치공간(11)내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웜휠너트(30)는 하우징의 설치공간(11)내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고, 리드스크류(40)가 관통되도록 나사결합되며, 웜샤프트(20)의 나사산(23)과 일측이 치합되는 나사산(33)이 소정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웜휠너트(30)는 중앙에 나사산(33)이 형성되고, 양단이 예압부재(50)내로 삽입설치되며, 상기 나사산은 웜휠너트 양단(31)의 외부면(32)으로부터 일정두께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웜샤프트(20)와 웜휠너트(30)는 하우징(10)내에서 회전축이 서로 직교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구동축(60)에 의한 웜샤프트(20)의 회전에 의해 웜휠너트(30)가 회전된다. 이와 같은 웜샤프트(20)와 웜휠너트(30)의 결합구성은 공지의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예압부재(50)는 하우징의 설치공간(11)내에서 웜휠너트(30)의 유격을 보상하여 웜휠너트(30)의 유동을 방지함과 동시에, 웜휠너트(30)가 동심원으로 회전되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상기 예압부재(50)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웜휠너트 양단(31)의 외부면(32) 둘레에 일측단이 접촉지지되도록 테이퍼진 형상을 구비하는 접촉지지부(51)와, 접촉지지부(51)의 타측단에 플랜지 형상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하우징(10)에 끝단이 접촉지지되는 탄성지지부(52)를 포함하며, 접촉지지부(51)와 탄성지지부(52)를 웜휠너트 양단이 삽입되어 끼워지도록 설치된다.
상기 접촉지지부(51)는 탄성지지부(52)가 연결설치되는 타측단에서 웜휠너트 양단(31)의 외부면(32)에 접촉되는 일측단으로 외경이 일정한 비율로 감소되는 테이퍼 구조로 형성되고, 웜휠너트 양단(31)이 삽입관통된다.
또한, 상기 접촉지지부(51)는 직경이 작은 일측단의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절개홈(54)에 의해 일정한 강성 및 탄성을 구비하는 복수개의 테이퍼 탄성편(5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테이퍼 탄성편(55)은 웜휠너트 양단에 예압부재가 설치될 시, 끝단이 웜휠너트 양단의 외부면(32)에 접촉지지되어, 웜휠너트(30)의 회전시, 탄성력에 의해 웜휠너트의 양단(31)을 안정적으로 압지하여 웜휠너트(30)가 동심원을 구비하며 회전되도록 하는 기능 및, 웜휠너트(30)의 축방향으로 전달되는 외력을 흡수하여 웜휠너트(30)가 안정적으로 회전구동되도록 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상기 테이퍼 탄성편(55)은 웜휠너트의 나사산 측면(34) 및 웜휠너트 양단의 외부면(32)에 소정면적으로 면접촉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지지부(52)는 접촉지지부(51)의 타측단 둘레를 따라 플랜지 타입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하우징(10)에 접촉지지되는 외측단(59)의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절개홈(56)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홈(56)에 의해 일정한 강성 및 탄성을 구비하는 복수개의 탄성지지편(57)을 구비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탄성지지부(52)는 접촉지지부(51)에 내측단(58)이 일체로 연결형성되고, 외측단(59)이 하우징의 설치공간(11) 일측에 접촉지지되며, 상기 외측단(59)을 따라 복수개의 탄성지지편(5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측단(58)은 접촉지지부(51)에 일체로 연결되는 탄성지지부의 일측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탄성지지부(52)는 내측단(58)에서 외측단(59)까지 소정폭(W)을 구비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접촉지지부의 중심축(O)에 대하여 내측단(58)에서 외측단(59)방향으로 예각의 경사각(θ)을 구비하도록 경사면 또는, 내측단에서 외측단방향으로 소정의 반경을 구비하는 곡면형상을 구비하도록 형성되어, 지지력과 함께 소정의 탄성력을 구비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탄성지지부(52)는 중심축(O)에 대하여 내측단(58)에서 외측단(59)방향으로 예각의 경사각(θ)을 구비하는 곡면 또는 경사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예압부재(50)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지지부(51) 또는 접촉지지부(51)의 테이퍼 탄성편(55)이, 웜휠너트의 나사산 측면(34) 및 웜휠너트 양단의 외부면(32)에 접촉지지되고, 탄성지지부(52)의 탄성지지편(57)이 하우징의 설치공간(11)내 일측에 접촉지지되도록 웜휠너트(30)와 하우징의 설치공간(11) 사이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예압부재(50)는, 탄성지지부(52)의 탄성에 의해 웜휠너트(30)를 축방향으로 또한, 웜휠너트(30)의 나사산(33)의 양쪽 측면(34)을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예압하여, 하우징의 설치공간(11)내에서 웜휠너트(30)의 축방향 유동을 방지하고, 접촉지지부의 테이퍼 탄성편(55)에 의해 웜휠너트의 양단 외부면(32)이 접촉되어 웜휠너트(30)의 회전작동시 웜휠너트(30)가 동심원을 유지하며 회전되도록 지지한다.
즉, 상기 예압부재(50)는 웜휠너트 양단(31)에 끼움되어 하우징의 설치공간(11)내에 결합되게 되면, 조립결합에 의해 탄성지지부(52)의 곡률(또는 경사각)이 변형되면서 탄성지지부의 탄성지지편(57)이 설치공간(11)내 일측면에 탄성접촉되고, 상기 탄성지지편(57)의 탄성접촉에 의해 탄성지지부(52)에 자체복원력이 발생되며, 이와 같은 탄성지지부(52)의 자체복원력에 의해 접촉지지부(51)가 A 방향으로 힘을 작동하여, 웜휠너트의 나사산 측면(34)에 접촉지지부의 테이퍼 탄성편(55)이 접촉지지되어 탄성적으로 가압하게 됨으로써, 설치공간(11)내에서 웜휠너트(30)의 양측에 축방향으로 예압을 가하여 웜휠너트(30)의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하우징내 웜휠너트(30)와 예압부재(50)의 삽입설치시, 웜휠너트 양단의 외부면(32)에, 접촉지지부(51) 또는 접촉지지부의 테이퍼 탄성편(55)이 접촉지지되므로, 웜휠너트(30)는 축방향에 수직되는 방향으로도 탄성지지되므로, 웜샤프트(20)에 의한 회전작동시, 동심원을 유지하며 회전되게 된다.
또한, 상기 예압부재(50)는 웜휠너트(30) 또는 하우징(10)에 진동발생시, 발생되는 진동을 접촉지지부의 테이퍼 탄성편(55) 또는 탄성지지부의 탄성지지편(57)에 의해 흡수하는 기능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예압부재(50)는 접촉지지부(51)와 탄성지지부(52) 사이에 위치하도록 접촉지지부(51)에 연장되는 원통형상의 연결지지부(53)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지지부(53)는 일정반경을 구비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일측이 접촉지지부(51)에 일체로 연장연결되고, 타측에 탄성지지부(52)가 연결형성된다. 이와 같이 연결지지부(53)는 절개홈이 없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 예압부재에 소정의 강성을 부여하는 기능을 구비할 뿐 아니라, 연결지지부(53)가 형성될 경우, 접촉지지부(51)의 길이가 최소화될 수 있어 접촉지지부(51)의 변형을 방지하는 기능을 구비하게 되고, 탄성지지부(52)의 지지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예압부재(50)는 그 재질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탄성복원력에 의해 예압을 발생시키고 소정의 강성을 구비하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예압부재는 합성수지재질 또는 금속재질 등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웜휠너트(30)의 회전마찰력을 저감시키고, 회전시 마모를 줄이며, 예압부재(50)에 의해 발생되는 예압을 웜휠너트(30)에 균일하게 전달하는 지지링(70)이 예압부재(50)와 웜휠너트(30) 사이 즉, 예압부재(50)와 웜휠너트 나사산의 측면(34) 사이에 위치하도록 웜휠너트(30)의 양단(31)에 끼움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링(70)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면에 예압부재의 접촉지지부(51)가 접촉되고, 타측면이 웜휠너트 나사산의 측면(34)에 접촉지지되어 예압부재(50)로부터 발생되는 예압을 웜휠너트(30)에 전달하게 된다.
상기 예압부재(50) 및 지지링(70)은, 웜휠너트(30)뿐 아니라, 유격으로 인한 웜샤프트(20)의 유동이 방지되도록 웜샤프트 양단(21)에 끼움설치되어 하우징(10)내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예압부재(50) 또는 예압부재(50)와 지지링(70)은, 웜휠너트(30)와 웜샤프트(2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내에는 웜샤프트(20)와 웜휠너트(30)가 삽입설치되는 설치공간(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10)은 웜샤프트(20), 웜휠너트(30), 예압부재(50)의 조립설치를 위하여, 제1,2하우징(10a,10b)으로 분리형성되고, 제1,2하우징의 결합에 의해 하나의 설치공간이 형성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2하우징(10a,10b)은 볼트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일체로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설치공간(11)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웜샤프트(20)가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1공간(12)과, 웜휠너트(30)가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2공간(13)을 포함한다.
상기 제1공간(12)은 웜샤프트의 양단(21)에 부시(22)가 설치되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부시(22)는 제1공간(12)과 연통되도록 하우징(10)에 형성된 관통홀(14)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2공간(13)은 제1공간(12)과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웜휠너트(30)가 수용되는 웜휠공간(15)과, 상기 웜휠공간(15)의 양측에 웜휠공간(15)과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예압부재(50)가 삽입설치되는 예압부재공간(16)이 형성되되, 상기 예압부재공간(16)은 웜휠공간(15)과 연통되고 예압부재의 접촉지지부(51)가 삽입설치되는 제1예압공간(17)과, 상기 제1예압공간(17)과 연통되고 예압부재의 탄성지지부(52)가 삽입설치되어 지지되는 제2예압공간(18)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예압공간(17)과 제2예압공간(18)은 서로 다른 직경을 구비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제2예압공간(18)은 탄성지지부(52)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삽입경사면(18b)과, 탄성지지부의 탄성지지편(57)이 접촉지지되는 지지면(18a)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예압부재(50)가 연결지지부(53)를 구비할 경우, 상기 연결지지부(53)는 접촉지지부(51)와 같이 제1예압공간(17)내로 삽입설치된다.
또한, 웜샤프트(20)에 예압부재가 더 설치될 경우, 상기 제1공간(12)은 웜샤프트가 수용되는 웜샤프트공간과, 예압부재가 삽입설치되는 예압부재공간을 구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공간의 구조는 제2공간의 구조와 대등하므로, 별도의 도면 및 도면부호에 의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10)의 양측에는 제1공간(12)과 연통되고 리드스크류(40)가 삽입관통되는 스크류홀(19)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크류홀(19)은 예압부재공간(16)과 동일 중심축을 구비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 슬라이드 장치용 기어박스의 조립공정에 관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하우징(10)의 제2공간내로 지지링(70) 및 예압부재(50)가 끼움설치된 웜휠너트(30)를 축설하고, 제1공간(12)내로 부시(22)가 결합된 웜샤프트(20)을 웜휠너트(30)과 교차되도록 삽입설치한다.
이때, 상기 웜휠너트(30)와 웜샤프트(20)의 조립은 하우징(10)을 제1,2하우징(10a,10b)으로 분리한 후 조립되며, 지지링(70)은 제2공간의 웜휠공간(15)내로 삽입되고, 예압부재(50)는 예압부재공간(16)의 제1,2예압공간내로 끼움삽입시킨다.
이때, 상기 제2예압공간(18)은 삽입경사면(18b)을 구비하고 있어, 웜휠너트 양단(31)에 예압부재(50)가 끼움된 상태에서 웜휠너트(30)와 예압부재(50)가 제2공간의 웜휠공간(15)과 제2예압공간(18)내로 삽입될 경우, 예압부재의 탄성지지부(52)가 삽입경사면(18b)에 접촉되면서 끼워지는 힘에 의해 지지면(18a)방향으로 압축되며 이동되어, 탄성지지부의 탄성지지편(57)이 지지면(18a)에 접촉지지되도록 조립결합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우징의 제1,2설치공간((12,13)내로 웜샤프트(20)와 웜휠너트(30)가 삽입되어 조립완료되면, 예압부재 탄성지지부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웜휠너트(30)의 양측에 예압이 발생되게 되므로, 하우징내에서의 웜휠너트의 유동이 방지되도록 조립되게 되며, 웜샤프트와 웜휠너트의 조립이 완료되면, 볼트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제1,2하우징(10a,10b)을 결합하여 기어박스(100)를 조립한 후, 조립된 기어박스(100)를 브래킷(110)에 안착시킨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 : 하우징 (11) : 설치공간
(12) : 제1공간 (13) : 제2공간
(14) : 관통홀 (15) : 웜휠공간
(16) : 예압부재공간 (17) : 제1예압공간
(18) : 제2예압공간 (18a) : 제2예압공간의 지지면
(19) : 스크류홀 (20) : 웜샤프트
(21,31) : 양단 (22) : 부시
(23,33): 나사산 (30) : 웜휠너트
(32) : 외부면 (34) : 나사산 측면
(40) : 리드스크류 (50) : 예압부재
(51) : 접촉지지부 (52) : 탄성지지부
(53) : 연결지지부 (54,56) : 절개홈
(55) : 테이퍼 탄성편 (57) : 탄성지지편
(58) : 내측단 (59) : 외측단
(60) : 구동축 (70) : 지지링
(100) : 기어박스 (110) : 브래킷

Claims (1)

  1. 차량용 시트 슬라이드 장치에 설치되는 기어박스에 있어서;
    상기 기어박스는, 웜휠너트의 양단에 축방향으로 서로 반대되는 예압이 발생되도록 연결설치된 예압부재에 의해 웜휠너트가 축방향으로 지지되면서 동심원을 구비하며 회전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예압부재는,
    웜휠너트 양단의 외부면에 일측단이 접촉지지되고, 웜휠너트의 외부면 둘레에 접촉되는 일측단 방향으로 감소되도록 테이퍼진 형상을 구비하는 접촉지지부;
    내측단이 접촉지지부에 일체로 연결형성되고, 접촉지지부의 중심축(O)에 대하여 내측단에서 외측단 방향으로 예각의 경사각(θ)을 구비하는 곡면 또는 경사면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우징에 접촉지지되도록 외측단을 따라 복수개의 탄성지지편이 형성된 탄성지지부; 및,
    접촉지지부와 탄성지지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일측이 접촉지지부에 연장연결되고, 타측이 탄성지지부에 연장연결되어 웜휠너트 양단부의 외부면이 삽입되며, 절개홈이 없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진 연결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격방지 기능을 구비한 자동차 시트 슬라이드용 기어박스.
KR1020170152694A 2017-11-16 2017-11-16 유격방지 기능을 구비한 자동차 시트 슬라이드용 기어박스 KR1018841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2694A KR101884186B1 (ko) 2017-11-16 2017-11-16 유격방지 기능을 구비한 자동차 시트 슬라이드용 기어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2694A KR101884186B1 (ko) 2017-11-16 2017-11-16 유격방지 기능을 구비한 자동차 시트 슬라이드용 기어박스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9976A Division KR101803901B1 (ko) 2016-04-25 2016-04-25 유격방지 기능을 구비한 자동차 시트 슬라이드용 기어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9659A KR20170129659A (ko) 2017-11-27
KR101884186B1 true KR101884186B1 (ko) 2018-08-01

Family

ID=60811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2694A KR101884186B1 (ko) 2017-11-16 2017-11-16 유격방지 기능을 구비한 자동차 시트 슬라이드용 기어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41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0869A (ko) 2021-12-15 2023-06-22 대원정밀공업(주) 강도가 개선된 자동차 시트 슬라이드용 기어박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54873B (zh) * 2017-12-05 2020-04-21 海信(山东)空调有限公司 一种柔性连接齿轮及立式空调器
CN110242724A (zh) * 2019-07-11 2019-09-17 恒丰泰精密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精密双轴传动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85327A (ja) * 2006-04-12 2007-11-01 Enplas Corp 歯車装置
KR101468163B1 (ko) 2013-09-03 2014-12-03 계양전기 주식회사 시트 슬라이드 조절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85327A (ja) * 2006-04-12 2007-11-01 Enplas Corp 歯車装置
KR101468163B1 (ko) 2013-09-03 2014-12-03 계양전기 주식회사 시트 슬라이드 조절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0869A (ko) 2021-12-15 2023-06-22 대원정밀공업(주) 강도가 개선된 자동차 시트 슬라이드용 기어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9659A (ko) 2017-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3901B1 (ko) 유격방지 기능을 구비한 자동차 시트 슬라이드용 기어박스
US20150360587A1 (en) Spindle gear unit for an adjusting mechanism in a motor vehicle and vehicle seat
CN105782350B (zh) 汽车减速器
JP5735094B2 (ja) ヘリカルギヤ装置及び電動補助ステアリングシステム
US8931362B2 (en) Recirculating ball gear
KR102033558B1 (ko)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US20060062505A1 (en) Electrical machine
JP2004130928A (ja) 車両ステアリング用伸縮軸
KR101884186B1 (ko) 유격방지 기능을 구비한 자동차 시트 슬라이드용 기어박스
EP1884446A1 (en) Steering apparatus equipped with ring type support yoke
EP3552839B1 (en) Assembling structure for tire wheel, brake rotor, and hub
US20190381915A1 (en) Power seat slide device
JP5212710B2 (ja) 車輪用軸受装置
CN111075916A (zh) 具有轴向盘片的传动装置壳体单元
EP3357711A1 (en) Assembled structure for tire wheel, brake rotor, and hub
US10359102B2 (en) Friction roller-type reduction gear
JP5250942B2 (ja) 車輪用転がり軸受装置
KR101935420B1 (ko) 휠 베어링 어셈블리 및 휠 베어링
KR101338447B1 (ko) 휠 베어링 체결 구조
CN110998144B (zh) 变速箱及包括该变速箱的致动器
KR101989476B1 (ko) 차량용 너클 및 허브베어링의 어셈블리
JP2008279860A (ja) 軸受ユニット
KR20160053075A (ko) 차량용 전동 스티어링 장치의 안티래틀장치
CN114802143B (zh) 一种压力控制单元及制动系统
KR101322428B1 (ko) 휠 베어링 체결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