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3975B1 - 동시통역음성을 활용한 컨퍼런스 컨텐츠 제공시스템 - Google Patents

동시통역음성을 활용한 컨퍼런스 컨텐츠 제공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3975B1
KR101883975B1 KR1020160038184A KR20160038184A KR101883975B1 KR 101883975 B1 KR101883975 B1 KR 101883975B1 KR 1020160038184 A KR1020160038184 A KR 1020160038184A KR 20160038184 A KR20160038184 A KR 20160038184A KR 101883975 B1 KR101883975 B1 KR 1018839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unit
streaming
video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8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1905A (ko
Inventor
송재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플렉싱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플렉싱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플렉싱크
Priority to KR1020160038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3975B1/ko
Publication of KR20170111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19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3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39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communicating with other users, e.g. chatting
    • G06F17/2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40Processing or translation of natural langu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6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language selection, e.g. for the menu or subtit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5Conference systems

Abstract

본 발명은 동시통역음성을 활용한 컨퍼런스 컨텐츠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동시통역음성, 발표영상 등을 수집하여 디지털데이터로 변환하고 저장하는 수집서버와, 수집서버로부터 동시통역음성, 발표영상 등을 수신하여 스트리밍데이터로 변환하는 스트리밍서버를 별도로 형성하고, 스트리밍서버는 수집서버로부터 전달된 동시통역음성 및 발표영상의 디지털데이터를 디코딩하여 다시 스트리밍데이터로 인코딩하도록 함으로써 동시통역음성 및 발표영상의 음질 및 화질저하를 줄일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의 스마트디바이스를 통해 스트리밍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스트리밍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면서, 동시에 상기 수집서버에 저장된 동시통역음성, 발표영상 등의 디지털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동시통역음성 및 발표영상 등의 실시간 출력뿐만 아니라, 동시통역음성 및 발표영상 등의 다시 듣기 및 다시 보기가 가능하도록 하는 동시통역음성을 활용한 컨퍼런스 컨텐츠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동시통역음성을 활용한 컨퍼런스 컨텐츠 제공시스템{A Conference Contents Providing System Using the Simultaneous Interpretation Sound}
본 발명은 동시통역음성을 활용한 컨퍼런스 컨텐츠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동시통역음성, 발표영상 등을 수집하여 디지털데이터로 변환하고 저장하는 수집서버와, 수집서버로부터 동시통역음성, 발표영상 등을 수신하여 스트리밍데이터로 변환하는 스트리밍서버를 별도로 형성하고, 스트리밍서버는 수집서버로부터 전달된 동시통역음성 및 발표영상의 디지털데이터를 디코딩하여 다시 스트리밍데이터로 인코딩하도록 함으로써 동시통역음성 및 발표영상의 음질 및 화질저하를 줄일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의 스마트디바이스를 통해 스트리밍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스트리밍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면서, 동시에 상기 수집서버에 저장된 동시통역음성, 발표영상 등의 디지털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동시통역음성 및 발표영상 등의 실시간 출력뿐만 아니라, 동시통역음성 및 발표영상 등의 다시 듣기 및 다시 보기가 가능하도록 하는 동시통역음성을 활용한 컨퍼런스 컨텐츠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세계화의 가속화로 기업회의, 국제회의, 전시산업 등에 있어서 언어소통 문제가 현안으로 대두되고 있으며, 동시통역을 통하여 언어장벽을 해소하고 보다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이 국제협력 등의 활동을 펼치도록 하고 있고, 한류의 확산, 외국인의 국내활동 기반 강화, 국제 무역의 확대, 관광산업의 진흥 등의 측면에서 동시통역기술 개발의 필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다국어로 진행되는 국제회의장, 전시장 및 세미나 등에서 둘 이상의 동시통역사가 강연자의 강연 내용을 통역하여 이를 통역 마이크를 통해 음성신호를 입력하며, 이를 전용 수신기를 통하여 강연 참가자들이 통역사가 통역한 음성을 청취하는 방식으로 동시통역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스마트폰을 통한 동시통역음성의 청취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아래 특허문헌과 같이 스트리밍 데이터를 이용한 동시통역시스템이 개발되었으나, 인코딩된 음성을 다시 스트리밍데이터로 변환하는 경우 음질의 저하가 현저하며, 최근에는 동시통역시스템에 있어 발표자의 영상이 함께 제공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므로, 인코딩된 데이터를 그대로 스트리밍데이터로 변환하는 경우에는 화질의 열화가 심하여 정상적인 영상을 제공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동시통역음성과 발표자의 영상을 음질 및 화질의 저하 없이 전달할 수 있는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특허문헌)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23975호(2013. 01. 14, 등록) "멀티 코덱, 멀티 채널 기반의 동시 통역 음성 전송 시스템 및 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동시통역음성 및 발표영상의 음질 및 화질저하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동시통역음성을 활용한 컨퍼런스 컨텐츠 제공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동시통역음성 및 발표영상 등의 실시간 출력뿐만 아니라, 동시통역음성 및 발표영상 등의 다시 듣기 및 다시 보기가 가능하도록 하는 동시통역음성을 활용한 컨퍼런스 컨텐츠 제공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컨퍼런스 컨텐츠 제공시스템은 동시통역음성, 발표영상 및 발표관련자료를 수집하여 디지털데이터로 변환하고 저장하며, 저장된 디지털데이터를 스트리밍서버로 전달하는 수집서버와; 상기 수집서버에서 전달된 디지털데이터를 스트리밍데이터로 변환하여 스마트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스트리밍서버와; 상기 스트리밍서버로부터 동시통역음성, 발표 및 발표관련자료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스마트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스트리밍서버는 상기 수집서버로부터 전달된 동시통역음성 및 발표영상을 다시 디코딩하여 스트리밍데이터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컨퍼런스 컨텐츠 제공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트리밍서버는 상기 수집서버로부터 전달되는 동시통역음성을 스트리밍데이터로 변환하는 오디오스트리밍부와, 상기 수집서버로부터 전달되는 발표영상을 스트리밍데이터로 변환하는 비디오스트리밍부를 포함하고, 상기 오디오스트리밍부는 상기 수집서버로부터 전달되는 동시통역음성의 디지털데이터를 디코딩하는 오디오디코딩모듈과, 상기 오디오디코딩모듈에 의해 디코딩된 동시통역음성을 스트리밍데이터로 변환하는 오디오스트리밍변환모듈과, 상기 오디오스트리밍변환모듈에 의해 스트리밍데이터로 변환된 동시통역음성을 상기 스마트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오디오스트리밍송신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비디오스트리밍부는 상기 수집서버로부터 전달되는 발표영상의 디지털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비디오디코딩모듈과, 상기 비디오디코딩모듈에 의해 디코딩된 발표영상을 스트리밍데이터로 변환하는 비디오스트리밍변환모듈과, 상기 비디오스트리밍변환모듈에 의해 스트리밍데이터로 변환된 발표영상을 상기 스마트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비디오스트리밍송신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컨퍼런스 컨텐츠 제공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수집서버는 동시통역음성을 입력받아 저장하는 오디오수집부와, 발표영상을 입력받아 저장하는 비디오수집부와, 발표와 관련된 자료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자료수집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디바이스는 상기 스트리밍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스트리밍데이터를 수신하여 동시통역음성, 발표영상 및 발표관련자료를 실시간으로 출력하는 컨텐츠실시간출력부와, 상기 수집서버에 저장된 동시통역음성, 발표영상 및 발표관련자료의 전송을 요청하여 출력되도록 하는 컨텐츠재출력부를 포함하여, 동시통역음성 등의 실시간 출력뿐만 아니라 추후 동시통역, 발표영상 및 발표관련자료의 다시 듣기 및 다시 보기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컨퍼런스 컨텐츠 제공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수집부는 컨퍼런스별, 언어별 동시통역음성을 입력받는 오디오입력모듈과; 상기 오디오입력모듈에 의해 입력받은 동시통역음성을 디지털데이터로 인코딩하는 디지털오디오인코딩모듈과; 상기 디지털오디오인코딩모듈에 의해 인코딩된 동시통역음성을 저장하는 디지털오디오저장모듈과; 상기 디지털오디오인코딩모듈에 의해 인코딩된 동시통역음성을 상기 스트리밍서버로 전송하는 디지털오디오전송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비디오수집부는 발표영상을 입력받는 비디오입력모듈과; 상기 비디오입력모듈에 의해 입력받은 발표영상을 디지털데이터로 인코딩하는 디지털비디오인코딩모듈과; 상기 디지털비디오인코딩모듈에 의해 인코딩된 발표영상을 저장하는 디지털비디오저장모듈과; 상기 디지털비디오인코딩모듈에 의해 인코딩된 발표영상을 상기 스트리밍서버로 전송하는 디지털오디오전송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컨퍼런스 컨텐츠 제공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디바이스는 컨퍼런스 및 동시통역언어의 종류를 선택하는 컨퍼런스선택부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실시간출력부는 상기 스트리밍서버로부터 상기 컨퍼런스선택부에서 선택된 컨퍼런스 및 동시통역언어의 스트리밍데이터를 수신하는 스트리밍데이터수신모듈과; 상기 스트리밍데이터수신모듈에 의해 수신된 스트리밍데이터 중 동시통역음성을 출력하도록 하는 실시간오디오출력모듈과; 상기 스트리밍데이터수신모듈에 의해 수신된 스트리밍데이터 중 발표영상을 출력하도록 하는 실시간비디오출력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재출력부는 상기 수집서버에 저장된 동시통역음성의 디지털데이터 전송을 요청하는 디지털오디오요청모듈과; 상기 디지털오디오요청모듈에 의해 요청된 동시통역음성의 디지털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디지털오디오출력모듈과; 상기 수집서버에 저장된 발표영상의 디지털데이터 전송을 요청하는 디지털비디오요청모듈과; 상기 디지털비디오요청모듈에 의해 요청된 발표영상의 디지털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디지털비디오출력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동시통역음성, 발표영상 등을 수집하여 디지털데이터로 변환하고 저장하는 수집서버와, 수집서버로부터 동시통역음성, 발표영상 등을 수신하여 스트리밍데이터로 변환하는 스트리밍서버를 별도로 형성하고, 스트리밍서버는 수집서버로부터 전달된 동시통역음성 및 발표영상의 디지털데이터를 디코딩하여 다시 스트리밍데이터로 인코딩하도록 함으로써 동시통역음성 및 발표영상의 음질 및 화질저하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스마트디바이스를 통해 스트리밍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스트리밍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면서, 동시에 상기 수집서버에 저장된 동시통역음성, 발표영상 등의 디지털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동시통역음성 및 발표영상 등의 실시간 출력뿐만 아니라, 동시통역음성 및 발표영상 등의 다시 듣기 및 다시 보기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퍼런스 컨텐츠 제공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수집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3은 도 1의 스트리밍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4는 도 1의 스마트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퍼런스 컨텐츠 제공시스템의 구성도
도 6은 도 5의 AP컨트롤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7은 도 6의 접속개시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8은 도 6의 AP변경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9는 AP변경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10은 도 6의 AP접속분산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11은 도 6의 AP상태관리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2는 도 5의 스마트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3은 도 12의 AP접속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시통역음성을 활용한 컨퍼런스 컨텐츠 제공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시통역음성을 활용한 컨퍼런스 컨텐츠 제공시스템을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컨퍼런스 컨텐츠 제공시스템은 동시통역음성, 발표영상 및 발표관련자료를 수집하여 디지털데이터로 변환하고 저장하며, 저장된 디지털데이터를 스트리밍서버(2)로 전달하는 수집서버(1)와; 상기 수집서버(1)에서 전달된 디지털데이터를 스트리밍데이터로 변환하여 스마트디바이스(3)로 전송하는 스트리밍서버(2)와; 상기 스트리밍서버(2)로부터 동시통역음성, 발표 및 발표관련자료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스마트디바이스(3);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컨퍼런스 컨텐츠 제공시스템은 발표자의 동시통역음성, 발표영상 및 발표관련자료를 사용자의 스마트폰 등의 스마트디바이스(3)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수신 및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종래 인코딩된 동시통역음성 및 발표영상을 다시 스트리밍데이터로 변환하던 것과는 달리, 수집서버(1)와 스트리밍서버(2)를 별도로 형성하고, 스트리밍서버(2)에서는 인코딩된 동시통역음성 및 발표영상을 디코딩하여 이를 다시 스트리밍데이터로 변환하도록 함으로써 중복된 인코딩에서 발생하는 음질 및 화질의 저하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수집서버(1)에서는 발표자의 동시통역음성, 발표영상 및 발표관련자료를 저장하여 스마트디바이스(3)의 요청에 따라 언제든지 전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발표가 종료된 후에도 사용자의 스마트디바이스(3)를 통한 다시 듣기 및 다시 보기가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수집서버(1)는 동시통역음성, 발표영상 및 발표관련자료를 수집하여 디지털데이터로 변환하고 저장하며, 저장된 디지털데이터를 스트리밍서버(2)로 전달하는 구성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시통역음성을 입력받아 저장하는 오디오수집부(11)와, 발표영상을 입력받아 저장하는 비디오수집부(13)와, 발표와 관련된 자료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자료수집부(15)를 포함한다.
상기 오디오수집부(11)는 발표자의 동시통역음성을 입력받아 디지털데이터로 변환하고 저장하며, 디지털데이터로 변환된 동시통역음성을 상기 스트리밍서버(2)로 전송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오디오수집부(11)는 상기 스마트디바이스(3)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동시통역음성의 디지털데이터를 스마트디바이스(3)로 전송하여 실시간이 아니더라도 동시통역음성의 다시 듣기가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오디오수집부(11)는 컨퍼런스별, 언어별 동시통역음성을 입력받는 오디오입력모듈(111)과; 상기 오디오입력모듈(111)에 의해 입력받은 동시통역음성을 디지털데이터로 인코딩하는 디지털오디오인코딩모듈(112)과; 상기 디지털오디오인코딩모듈(112)에 의해 인코딩된 동시통역음성을 저장하는 디지털오디오저장모듈(113)과; 상기 디지털오디오인코딩모듈(112)에 의해 인코딩된 동시통역음성을 상기 스트리밍서버(2)로 전송하는 디지털오디오전송모듈(114);을 포함한다.
상기 오디오입력모듈(111)은 동시통역음성을 입력받는 구성으로, 다양한 언어의 동시통역음성이 입력되도록 할 수 있으며, 복수의 컨퍼런스가 동시에 진행되는 경우 컨퍼런스별로 동시통역음성을 입력받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입력모듈(111)에 의해 입력된 동시통역음성은 상기 디지털오디오인코딩모듈(112)에 의해 디지털데이터로 변환된다.
상기 디지털오디오인코딩모듈(112)은 상기 오디오입력모듈(111)에 입력된 동시통역음성을 디지털데이터화하고 인코딩하여 압축하는 구성으로, MP3 등의 다양한 압축방식으로 인코딩될 수 있다. 상기 디지털오디오인코딩모듈(112)에 의하여 인코딩된 동시통역음성은 상기 디지털오디오저장모듈(113)에 의해 상기 수집서버(1)에 저장되며, 상기 디지털오디오전송모듈(114)에 의해 상기 스트리밍서버(2)로 전달된다.
상기 디지털오디오저장모듈(113)은 상기 디지털오디오인코딩모듈(112)에 의해 인코딩된 동시통역음성을 저장하는 구성으로, 저장된 동시통역음성은 상기 스마트디바이스(3)에 의해 요청되어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다시 듣기가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디지털오디오저장모듈(113)은 컨퍼런스별, 동시통역언어별로 저장되도록 하며, 이에 따라 복수의 컨퍼런스, 동시통역언어에 대한 다시 듣기가 가능하다.
상기 디지털오디오전송모듈(114)은 상기 디지털오디오인코딩모듈(112)에 의해 인코딩된 동시통역음성을 상기 스트리밍서버(2)로 전송하는 구성으로, 전송된 동시통역음성은 상기 스트리밍서버(2)에서 스트리밍데이터로 변환되어 상기 스마트디바이스(3)를 통해 실시간 출력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디지털오디오전송모듈(114)은 상기 스마트디바이스(3)의 요청에 의해 상기 디지털오디오저장모듈(113)에 의해 저장된 동시통역음성을 상기 스마트디바이스(3)로 직접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비디오수집부(13)는 발표자의 발표영상을 입력받아 디지털데이터로 변환하고 저장하며, 디지털데이터로 변환된 발표영상을 상기 스트리밍서버(2)로 전송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비디오수집부(13)는 상기 스마트디바이스(3)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발표영상의 디지털데이터를 스마트디바이스(3)로 전송하여 실시간이 아니더라도 발표영상의 다시 보기가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비디오수집부(13)는 발표영상을 입력받는 비디오입력모듈(131)과; 상기 비디오입력모듈(131)에 의해 입력받은 발표영상을 디지털데이터로 인코딩하는 디지털비디오인코딩모듈(132)과; 상기 디지털비디오인코딩모듈(132)에 의해 인코딩된 발표영상을 저장하는 디지털비디오저장모듈(133)과; 상기 디지털비디오인코딩모듈(132)에 의해 인코딩된 발표영상을 상기 스트리밍서버(2)로 전송하는 디지털비디오전송모듈(134);을 포함한다. 상기 비디오입력모듈(131), 디지털비디오인코딩모듈(132), 디지털비디오저장모듈(133) 및 디지털비디오전송모듈(134)에 관한 설명은 상기 오디오입력모듈(111), 디지털오디오인코딩모듈(112), 디지털오디오저장모듈(113) 및 디지털오디오전송모듈(114)과 동시통역음성, 발표영상에 관한 내용만 다를 뿐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참고로, 발표영상의 인코딩은 H.264, AVC 등의 방식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자료수집부(15)는 발표에 관련된 문서, 사진 등의 자료를 입력받아 저장하며, 저장된 자료를 상기 스트리밍서버(2)로 전송하는 구성으로, 자료를 입력받는 자료입력모듈(151), 입력받은 자료를 저장하는 자료저장모듈(152), 입력받은 자료를 상기 스트리밍서버(2) 또는 스마트디바이스(3)로 전송하는 자료전송모듈(153)을 포함한다. 상기 자료수집부(15) 역시 스트리밍서버(2)로 전송되어 스마트디바이스(3)를 통한 실시간 출력이 가능하도록 하며, 또한 상기 스마트디바이스(3)의 요청에 따라 자료를 직접 스마트디바이스(3)로 전송하여 자료의 다시 보기가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스트리밍서버(2)는 상기 수집서버(1)로부터 전달된 디지털데이터를 스트리밍데이터로 변환하여 스마트디바이스(3)로 전송하는 구성으로, 스마트디바이스(3)를 통한 실시간 출력이 가능하도록 하며, 특히 상기 수집서버(1)로부터 전달된 디지털데이터를 다시 디코딩하여 스트리밍데이터로 변환되도록 함으로써 동시통역음성 및 발표영상의 품질 저하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스트리밍서버(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집서버(1)로부터 전달되는 동시통역음성을 스트리밍데이터로 변환하는 오디오스트리밍부(21)와, 상기 수집서버(1)로부터 전달되는 발표영상을 스트리밍데이터로 변환하는 비디오스트리밍부(2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스트리밍서버(2)는 상기 자료수집부(15)에 의해 수집되어 전송된 발표관련자료를 스트리밍데이터로 변환하여 스마트디바이스(3)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으며, 문서, 그림 등의 발표관련자료는 화질, 음질 등의 품질저하와는 큰 관련이 없으므로, 그대로 스트리밍데이터로 변환하여 전송해도 무방하다고 볼 수 있다.
상기 오디오스트리밍부(21)는 상기 수집서버(1)로부터 전달되는 동시통역음성의 디지털데이터를 스트리밍데이터로 변환하여 스마트디바이스(3)로 전송하는 구성으로, 상기 수집서버(1)로부터 전달되는 동시통역음성의 디지털데이터를 디코딩하는 오디오디코딩모듈(211)과, 상기 오디오디코딩모듈(211)에 의해 디코딩된 동시통역음성을 스트리밍데이터로 변환하는 오디오스트리밍변환모듈(212)과, 상기 오디오스트리밍변환모듈(212)에 의해 스트리밍데이터로 변환된 동시통역음성을 상기 스마트디바이스(3)로 전송하는 오디오스트리밍송신모듈(213)을 포함한다.
상기 오디오디코딩모듈(211)은 상기 수집서버(1)로부터 전달된 동시통역음성의 디지털데이터, 더욱 정확하게는 상기 디지털오디오인코딩모듈(112)에 의해 인코딩되어 상기 디지털오디오전송모듈(114)에 의해 전송된 동시통역음성의 디지털데이터를 디코딩하는 구성으로, 동시통역음성의 압축을 해제하도록 한다. 상기 오디오디코딩모듈(211)에 의해 디코딩된 동시통역음성은 상기 오디오스트리밍변환모듈(212)로 전달되어 스트리밍데이터로 변환된다.
상기 오디오스트리밍변환모듈(212)은 상기 오디오디코딩모듈(211)에 의해 디코딩된 동시통역음성을 스트리밍데이터로 변환하는 구성으로, 스트리밍이란 영상이나 음성, 애니메이션 등의 파일을 다운로드 없이 실시간으로 재생해주는 기법을 말하며, 이를 위해 상기 오디오스트리밍변환모듈(212)은 디코딩된 동시통역음성을 아주 작은 조각의 스트리밍데이터로 나누어 스마트디바이스(3)를 통한 실시간 재생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오디오스트리밍변환모듈(212)은 상기 디지털오디오인코딩모듈(112)에 의해 인코딩되어 압축된 동시통역음성이 아닌, 상기 오디오디코딩모듈(211)에 의해 디코딩된 동시통역음성을 작은 조각의 스트리밍데이터로 변환되도록 하므로, 음질의 저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 오디오스트리밍변환모듈(212)에 의해 스트리밍데이터로 변환된 동시통역음성은 상기 오디오스트리밍송신모듈(213)로 전달되어 상기 스마트디바이스(3)로 전송된다.
상기 오디오스트리밍송신모듈(213)은 상기 오디오스트리밍변환모듈(212)에 의해 스트리밍데이터로 변환된 동시통역음성을 상기 스마트디바이스(3)로 전송하는 구성으로,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전송하도록 할 수 있으며, 실시간으로 상기 스마트디바이스(3)에 동시통역음성을 전송하여 스마트디바이스(3)를 통한 동시통역음성의 실시간 청취가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비디오스트리밍부(23)는 상기 수집서버(1)로부터 전달되는 발표영상을 스트리밍데이터로 변환하여 스마트디바이스(3)로 전송하는 구성으로, 상기 수집서버(1)로부터 전달되는 발표영상의 디지털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비디오디코딩모듈(231)과, 상기 비디오디코딩모듈(231)에 의해 디코딩된 발표영상을 스트리밍데이터로 변환하는 비디오스트리밍변환모듈(232)과, 상기 비디오스트리밍변환모듈(232)에 의해 스트리밍데이터로 변환된 발표영상을 상기 스마트디바이스(3)로 전송하는 비디오스트리밍송신모듈(233)을 포함한다.
상기 비디오디코딩모듈(231)은 상기 수집서버(1)로부터 전달된 발표영상의 디지털데이터, 더욱 정확하게는 상기 디지털비디오인코딩모듈(132)에 의해 인코딩되어 상기 디지털비디오전송모듈(134)에 의해 전송된 발표영상의 디지털데이터를 디코딩하는 구성으로, 발표영상의 압축을 해제하도록 한다. 상기 비디오디코딩모듈(231)에 의해 디코딩된 발표영상은 상기 비디오스트리밍변환모듈(232)로 전달되어 스트리밍데이터로 변환된다.
상기 비디오스트리밍변환모듈(232)은 상기 비디오디코딩모듈(231)에 의해 디코딩된 발표영상을 스트리밍데이터로 변환하는 구성으로, 디코딩된 발표영상을 아주 작은 조각의 스트리밍데이터로 나누어 스마트디바이스(3)를 통한 실시간 재생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비디오스트리밍변환모듈(232)은 상기 디지털비디오인코딩모듈(132)에 의해 인코딩되어 압축된 발표영상이 아닌, 상기 비디오디코딩모듈(231)에 의해 디코딩된 발표영상을 작은 조각의 스트리밍데이터로 변환되도록 하므로, 화질의 저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 비디오스트리밍변환모듈(232)에 의해 스트리밍데이터로 변환된 발표영상은 상기 비디오스트리밍송신모듈(233)로 전달되어 상기 스마트디바이스(3)로 전송된다.
상기 비디오스트리밍송신모듈(233)은 상기 비디오스트리밍변환모듈(232)에 의해 스트리밍데이터로 변환된 발표영상을 상기 스마트디바이스(3)로 전송하는 구성으로,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전송하도록 할 수 있으며, 실시간으로 상기 스마트디바이스(3)에 발표영상을 전송하여 스마트디바이스(3)를 통한 발표영상의 실시간 재생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스마트디바이스(3)는 상기 스트리밍서버(2) 또는 수집서버(1)로부터 전달되는 동시통역음성, 발표영상 및 발표관련자료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구성으로, 무선통신이 가능한 스마트폰, 태블릿 등의 모바일 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디바이스(3)는 오디오, 비디오 및 문서, 그림 등의 출력이 가능하면 충분하며, 본 발명에 따른 컨퍼런스 컨텐츠 제공시스템을 사용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만 설치하면 동시통역음성, 발표영상의 실시간 출력 및 다시 보기가 가능해진다. 상기 스마트디바이스(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퍼런스 및 동시통역언어의 종류를 선택하는 컨퍼런스선택부(31)와, 상기 스트리밍서버(2)로부터 전송되는 스트리밍데이터를 수신하여 동시통역음성, 발표영상 및 발표관련자료를 실시간으로 출력하는 컨텐츠실시간출력부(33)와, 상기 수집서버(1)에 저장된 동시통역음성, 발표영상 및 발표관련자료의 전송을 요청하여 출력되도록 하는 컨텐츠재출력부(35)를 포함한다.
상기 컨퍼런스선택부(31)는 컨퍼런스 및 동시통역언어의 종류를 선택하는 구성으로, 선택되는 컨퍼런스에 따른 동시통역음성, 발표영상 및 발표관련자료가 수신되어 출력되도록 하며, 선택된 컨퍼런스 내의 동시통역음성 중에서 원하는 동시통역음성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컨퍼런스선택부(31)는 컨퍼런스의 종류를 선택하는 컨퍼런스종류선택모듈(311)과 동시통역언어를 선택하는 동시통역음성선택모듈(312)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컨퍼런스 컨텐츠 제공시스템을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스마트디바이스(3)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컨텐츠를 제공받고자 하는 컨퍼런스 및 동시통역언어의 종류를 선택하도록 함으로써 원하는 컨퍼런스 및 동시통역언어의 동시통역음성, 발표영상, 발표관련자료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실시간출력부(33)는 상기 컨퍼런스선택부(31)에서 선택한 컨퍼런스 및 동시통역언어에 관한 동시통역음성, 발표영상, 발표관련자료를 실시간으로 출력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스트리밍서버(2)로부터 스트리밍데이터를 수신하여 스마트디바이스(3)를 통해 출력하도록 한다. 상기 컨텐츠실시간출력부(33)는 상기 스트리밍서버(2)로부터 상기 컨퍼런스선택부(31)에서 선택된 컨퍼런스 및 동시통역언어의 스트리밍데이터를 수신하는 스트리밍데이터수신모듈(331)과; 상기 스트리밍데이터수신모듈(331)에 의해 수신된 스트리밍데이터 중 동시통역음성을 출력하도록 하는 실시간오디오출력모듈(332)과; 상기 스트리밍데이터수신모듈(331)에 의해 수신된 스트리밍데이터 중 발표영상을 출력하도록 하는 실시간비디오출력모듈(333)과; 상기 스트리밍데이터수신모듈(331)에 의해 수신된 스트리밍데이터 중 발표관련자료를 출력하도록 하는 실시간자료출력모듈(334)을 포함한다.
상기 스트리밍데이터수신모듈(331)은 상기 스트리밍서버(2)로부터 전송되는 동시통역음성, 발표영상, 발표관련자료의 스트리밍데이터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상기 컨퍼런스선택부(31)에서 선택된 컨퍼런스 및 동시통역언어의 스트리밍데이터를 수신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스마트디바이스(3)를 통한 동시통역음성 등의 실시간 출력이 가능해지며, 동시통역음성, 발표영상에 있어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코딩된 데이터를 스트리밍데이터로 변환하도록 하므로, 높은 품질의 동시통역음성과 발표영상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스트리밍데이터수신모듈(331)에 의해 수신된 동시통역음성, 발표영상, 발표관련자료는 각각 상기 실시간오디오출력모듈(332), 실시간비디오출력모듈(333), 실시간자료출력모듈(334)에 의해 실시간으로 출력된다.
상기 실시간오디오출력모듈(332)은 상기 스트리밍데이터수신모듈(331)에 의해 수신된 스트리밍데이터 중 동시통역음성의 스트리밍데이터를 출력하는 구성으로, 실시간으로 동시통역음성의 청취가 가능하도록 하며, 스마트디바이스(3)의 음성출력모듈을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
상기 실시간비디오출력모듈(333)은 상기 스트리밍데이터수신모듈(331)에 의해 수신된 스트리밍데이터 중 발표영상의 스트리밍데이터를 출력하는 구성으로, 실시간으로 발표영상의 재생이 가능하도록 하며, 스마트디바이스(3)의 화면을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
상기 실시간자료출력모듈(334)은 상기 스트리밍데이터수신모듈(331)에 의해 수신된 스트리밍데이터 중 문서, 그림 등 발표관련자료의 스트리밍데이터를 출력하는 구성으로, 실시간으로 발표관련자료가 출력되도록 하며, 스마트디바이스(3)의 화면을 통해 출력된다.
상기 컨텐츠재출력부(35)는 상기 수집서버(1)에 저장된 동시통역음성, 발표영상, 발표관련자료의 전송을 요청하여 출력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컨텐츠실시간출력부(33)에 의한 동시통역음성 등의 실시간 출력을 듣거나 보지 못하더라도 언제든지 상기 수집서버(1)에 저장된 데이터를 요청하여 동시통역음성, 발표영상, 발표관련자료의 다시 듣기 및 다시 보기가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컨텐츠재출력부(35)는 상기 수집서버(1)에 저장된 동시통역음성의 디지털데이터 전송을 요청하는 디지털오디오요청모듈(351)과; 상기 디지털오디오요청모듈(351)에 의해 요청된 동시통역음성의 디지털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디지털오디오출력모듈(352)과; 상기 수집서버(1)에 저장된 발표영상의 디지털데이터 전송을 요청하는 디지털비디오요청모듈(353)과; 상기 디지털비디오요청모듈(353)에 의해 요청된 발표영상의 디지털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디지털비디오출력모듈(354)과; 상기 수집서버(1)에 저장된 발표관련자료의 디지털데이터 전송을 요청하는 자료요청모듈(355)과; 상기 자료요청모듈(355)에 의해 요청된 발표관련자료의 디지털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자료출력모듈(356); 을 포함한다.
상기 디지털오디오요청모듈(351)은 상기 수집서버(1)의 디지털오디오저장모듈(113)에 의해 저장된 동시통역음성의 인코딩된 디지털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하는 구성으로, 상기 컨퍼런스선택부(31)에 의해 요청하고자 하는 컨퍼런스 및 동시통역음성의 종류를 선택하여 전송을 요청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오디오요청모듈(351)에 의해 동시통역음성의 전송이 요청되면, 상기 수집서버(1)에 저장된 동시통역데이터가 상기 디지털오디오전송모듈(114)에 의해 스마트디바이스(3)로 전송되며, 상기 디지털오디오출력모듈(352)에 의해 스마트디바이스(3)로 출력된다.
상기 디지털오디오출력모듈(352)은 상기 디지털오디오요청모듈(351)에 의해 요청되어 상기 수집서버(1)로부터 전송된 동시통역음성을 출력하는 구성으로, 원하는 컨퍼런스 및 동시통역언어의 동시통역음성을 언제든지 다시 들을 수 있으며, 스마트디바이스(3)의 음성출력모듈을 통해 동시통역음성이 출력되도록 한다.
상기 디지털비디오요청모듈(353)은 상기 수집서버(1)의 디지털비디오저장모듈(133)에 의해 저장된 발표영상의 인코딩된 디지털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하는 구성으로, 상기 컨퍼런스선택부(31)에 의해 요청하고자 하는 컨퍼런스의 종류를 선택하여 전송을 요청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비디오요청모듈(353)에 의해 발표영상의 전송이 요청되면, 상기 수집서버(1)에 저장된 발표영상이 상기 디지털비디오전송모듈(134)에 의해 스마트디바이스(3)로 전송되며, 상기 디지털비디오출력모듈(354)에 의해 스마트디바이스(3)로 출력된다.
상기 디지털비디오출력모듈(354)은 상기 디지털비디오요청모듈(353)에 의해 요청되어 상기 수집서버(1)로부터 전송된 발표영상을 출력하는 구성으로, 원하는 컨퍼런스의 발표영상을 언제든지 다시 재생할 수 있으며, 스마트디바이스(3)의 화면을 통해 발표영상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자료요청모듈(355)은 상기 수집서버(1)의 자료저장모듈(152)에 의해 저장된 문서, 그림 등 발표관련자료의 전송을 요청하는 구성으로, 상기 컨퍼런스선택부(31)에 의해 요청하고자 하는 컨퍼런스의 종류를 선택하여 전송을 요청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자료요청모듈(355)에 의해 발표관련자료의 전송이 요청되면, 상기 수집서버(1)에 저장된 발표관련자료가 상기 자료전송모듈(153)에 의해 스마트디바이스(3)로 전송되며, 상기 자료출력모듈(356)에 의해 스마트디바이스(3)로 출력된다.
상기 자료출력모듈(356)은 상기 자료요청모듈(355)에 의해 요청되어 상기 수집서버(1)로부터 전송된 발표관련자료를 출력하는 구성으로, 원하는 컨퍼런스의 발표관련자료를 언제든지 다시 볼 수 있으며, 스마트디바이스(3)의 화면을 통해 문서, 그림 등의 발표관련자료가 출력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시통역음성을 활용한 컨퍼런스 컨텐츠 제공시스템을 도 5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컨퍼런스 컨텐츠 제공시스템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수집서버(1), 스트리밍서버(2), 스마트디바이스(3)에 AP컨트롤부(4)와 AP장치부(5)를 추가로 포함하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디바이스(3')는 AP접속부(37)를 추가로 포함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수집서버(1), 스트리밍서버(2), 스마트디바이스(3)에 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상기 AP컨트롤부(4), AP장치부(5), AP접속부(37)를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퍼런스 컨텐츠 제공시스템은 상기 수집서버(1) 및 스트리밍서버(2)로부터 전송되는 동시통역음성, 발표영상, 발표관련자료 등이 Wi-fi 등의 무선통신을 통하여 스마트디바이스(3')에 전송되도록 하고, 복수의 구역에 AP장치를 설치하여 스마트디바이스(3')에 대해 AP장치를 통한 무선신호의 전송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컨퍼런스 컨텐츠 제공시스템은 AP컨트롤부(4)를 통해 AP장치부(5)의 상태를 관리하고, AP장치부(5)와 스마트디바이스(3')의 접속을 제어하도록 하여 AP장치부(5)와 스마트디바이스(3') 간의 안정적인 통신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많은 사람들이 밀집되는 대규모 행사에 있어서도 높은 품질의 동시통역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AP컨트롤부(4)는 상기 AP장치부(5)의 상태를 관리하고, 이에 대한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를 통해 AP장치부(5)와 스마트디바이스(3') 간의 통신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AP컨트롤부(4)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마트디바이스(3')와 AP장치부(5)의 접속을 개시하도록 하는 AP접속개시부(41), 상기 스마트디바이스(3')로부터 AP장치부(5)의 변경요청이 있는 경우, 최적의 AP장치부(5)를 검색하여 전송하는 AP변경부(43), 특정 AP장치부(5)에 접속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는 AP접속분산부(45), 각 AP장치부(5)의 상태를 파악하여 관리하도록 하는 AP상태관리부(47)를 포함한다.
상기 AP접속개시부(41)는 상기 스마트디바이스(3')와 AP장치부(5)의 접속이 개시되도록 하여 상기 스마트디바이스(3')가 동시통역음성, 발표영상 등의 컨퍼런스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스마트디바이스(3')로부터 접속요청을 수신하는 접속요청수신모듈(411)과, 상기 접속요청을 송신한 스마트디바이스(3') 주변의 AP장치부(5)에 관한 정보를 스마트디바이스(3')로 전송하는 AP정보전송모듈(412)을 포함한다.
상기 접속요청수신모듈(411)은 상기 스마트디바이스(3')로부터 접속요청을 수신하는 구성으로, 상기 스마트디바이스(3')의 후술할 접속요청모듈(371), 예를 들어 스마트폰의 어플에 표시된 아이콘을 터치하여 접속을 요청하면, 상기 접속요청수신모듈(411)은 접속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AP정보전송모듈(412)로 전달한다.
상기 AP정보전송모듈(412)은 상기 접속요청수신모듈(411)로부터 접속요청과 접속요청을 송신한 스마트디바이스(3')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스마트디바이스(3') 주변의 AP장치부(5)를 검색하며, 검색된 AP장치부에 관한 정보를 상기 스마트디바이스(3')로 전송하도록 한다. 상기 AP장치부(5)에 관한 정보는 복수의 AP장치부(5)에 관한 리스트와, 상기 AP컨트롤부(4)와의 스캔 시간, 각 AP장치부(5)의 문턱값(Threshold), 수신강도(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등일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를 상기 스마트디바이스(3')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적절한 장소로 이동하거나 적절한 AP장치부(5)를 선택하여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AP변경부(43)는 상기 스마트디바이스(3')로부터 AP장치부(5)의 접속변경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 AP장치부(5)를 제외한 주변의 AP장치부(5) 중 최적의 AP장치부(5)를 검색하여 접속된 AP장치부(5)의 변경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AP변경부(43)는 동시통역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가 통신 품질이 떨어진다고 판단하여 스마트디바이스(3')를 통해 AP장치부(5)의 변경을 요청할 경우, 주변 AP장치부(5)에서 해당 스마트디바이스(3')의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여 비교하도록 하고, 이에 따라 최적의 AP장치부(5)를 찾아 전달하도록 함으로써 최적의 통신품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AP변경부(43)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마트디바이스(3')로부터 AP장치부(5) 변경의 요청을 수신하는 AP변경요청수신모듈(431)과, AP장치부(5) 변경을 요청한 스마트디바이스(3') 주변의 AP장치부(5)를 검색하는 AP스캔모듈(432)과, 상기 AP스캔모듈(432)에서 검색된 AP장치부(5)로부터 AP장치부(5) 변경을 요청한 스마트디바이스(3')의 신호를 측정하여 전달받는 단말신호세기측정모듈(433)과, 상기 단말신호세기측정모듈(433)에 의하여 측정된 스마트디바이스(3')의 신호 세기에 따라 최적의 AP장치부(5)를 선택하여 해당 정보를 전달하는 최적AP정보송신모듈(434)을 포함한다.
상기 AP변경요청수신모듈(431)은 상기 스마트디바이스(3')로부터의 접속변경요청을 수신하는 구성으로, 상기 스마트디바이스(3')에서 통신의 품질이 불량하다고 판단하여 접속변경을 요청할 경우 해당 스마트디바이스(3')에 관한 정보를 상기 AP스캔모듈(432)로 전달하도록 한다.
상기 AP스캔모듈(432)은 상기 AP변경요청수신모듈(431)로부터 접속변경요청과 이에 관한 스마트디바이스(3')의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스마트디바이스(3') 주변의 AP장치부(5)를 검색한다. 검색된 AP장치부(5)에 관한 정보는 상기 단말신호세기측정모듈(433)로 전달되어 각 AP장치부(5)에서 스마트디바이스(3')의 신호세기가 측정되도록 한다.
상기 단말신호세기측정모듈(433)은 상기 AP스캔모듈(432)에서 검색된 AP장치부(5)에 대하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속변경을 요청한 스마트디바이스(3')의 신호를 측정하도록 한다. 측정된 신호세기 정보는 상기 최적AP정보송신모듈(434)로 전달되어 최적의 AP를 판단하는 기준이 된다.
상기 최적AP정보송신모듈(434)은 상기 단말신호세기측정모듈(433)에 의하여 측정된 각 AP장치부(5)의 단말세기정보에 따라 최적의 AP를 판단하여 이에 관한 정보를 접속변경을 요청한 스마트디바이스(3')로 전달하도록 한다. 상기 최적AP정보송신모듈(434)은 스마트디바이스(3')의 신호세기가 측정된 AP장치부 중 가장 높은 신호세기를 갖는 AP장치부(5)를 최적의 AP로 선택하여 이에 관한 정보를 상기 스마트디바이스(3')로 전송하며, 전송된 AP장치부(5) 정보에 따라 상기 스마트디바이스(3')의 접속 AP장치부(5)는 자동으로 변경된다.
상기 AP접속분산부(45)는 복수의 AP장치부(5) 중 특정 AP장치부(5)에 접속이 집중되어 트래픽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으로, 각 AP장치부(5)의 접속자수를 모니터링하여 이에 따른 신호 세기의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AP접속분산부(45)는 각 AP장치부(5)의 접속자수를 모니터링하는 접속자수모니터링모듈(451)과, 상기 접속자수모니터링모듈(451)에 의하여 모니터링되는 접속자수에 따라 AP장치부(5)의 신호 세기를 조절하는 송출신호조절모듈(452)을 포함한다.
상기 AP접속자수모니터링모듈(451)은 각 AP장치부(5)의 접속자수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며, 모니터링된 접속자수가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송출신호조절모듈(452)에 의하여 AP장치부(5)의 신호세기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송출신호조절모듈(452)은 상기 AP접속자수모니터링모듈(451)에 의하여 특정 AP장치부(5)의 접속자수가 설정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모니터링 된 경우, 해당 AP장치부(5)와 주변 AP장치부(5)의 신호세기를 조절하여 트래픽이 자동으로 감소되도록 한다. 다시 말해, 상기 AP접속개시부(41), AP변경부(43)에서는 신호의 세기가 강한 AP장치부(5)를 선별하여 스마트디바이스(3')의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바, 설정된 접속자수를 초과하는 AP장치부(5)에 대해서는 AP장치부(5)의 신호세기를 감소시켜 접속이 자연스럽게 감소하도록 유도함으로써 트래픽을 줄이고, 주변 AP장치부(5) 중 접속자수가 적은 AP장치부(5)의 신호세기를 증가시켜 접속이 자연스럽게 증가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접속 트래픽이 분산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AP장치부(B)는 3개의 스마트디바이스(3')가 접속되어 설정값을 초과한 경우, 특정 AP장치부(B)의 신호의 세기(B')를 줄이도록 하고, 접속자수가 적은 AP장치부(A)의 신호세기(A')를 증가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자동으로 각 AP장치부(5)에 대한 접속자가 분산되어 트래픽의 집중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AP상태관리부(47)는 각 AP장치부(5)의 상태를 파악하여 관리하는 구성으로, AP장치부(5)의 출력이 감소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 경우 출력의 증가와 진단테스트, 재부팅 등을 통해 AP장치부(5)의 복구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통신 품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AP상태관리부(47)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AP장치부(5)의 정보를 수신하는 AP정보수집모듈(471), 상기 AP정보수집모듈(471)에 의해 수집된 정보에 따라 출력이 감소된 것으로 판단된 AP장치부(5)에 대하여 출력을 증가시키도록 하는 AP출력증가모듈(472), 상기 AP출력증가모듈(472)에 의하여 출력을 증가시켰음에도 출력 감소가 계속되는 경우 해당 AP장치부(5)에 접속된 스마트디바이스(3')에 대하여 AP장치부(5)의 변경을 전달하는 AP변경명령모듈(473), 출력이 감소된 AP장치부(5)의 진단테스트를 실행하여 복구하도록 하는 AP진단테스트모듈(474), 상기 AP진단테스트모듈(474)의 실행에도 출력이 회복되지 않는 경우 AP장치부(5)의 재부팅을 실시하는 AP재부팅모듈(475), 상기 AP진단테스트모듈(474) 또는 AP재부팅모듈(475)의 실행에 의해 해당 AP장치부(5)의 출력이 회복되는 경우 상기 AP변경명령모듈(473)이 전달된 스마트디바이스(3')에 대하여 해당 AP장치부(5)로의 재접속을 명령하는 재변경명령모듈(476)을 포함한다.
상기 AP정보수집모듈(471)은 일정 주기로 각 AP장치부(5)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여 각 AP장치부(5)의 상태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특히 각 AP장치부(5)의 출력을 모니터링 하도록 한다. 따라서, AP장치부(5)의 출력이 일정 정도 이상으로 감소할 경우 상기 AP출력증가모듈(472)에 의하여 출력이 증가되도록 한다.
상기 AP출력증가모듈(472)은 상기 AP정보수집모듈(471)에 의하여 수집되는 정보에 따라 AP장치부(5)의 출력이 일정 정도 이상으로 감소하는 경우, 해당 AP장치부(5)의 출력을 증가시키도록 하는 것으로, 음영지역, 품질저하 등으로 인한 출력을 감소를 보강하여 AP장치부(5)와 스마트디바이스(3')의 통신 품질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AP변경명령모듈(473)은 상기 AP출력증가모듈(472)에 의하여 AP장치부(5)의 출력을 증가시켰음에도 불구하고, AP장치부(5)의 출력이 회복되지 않는 경우, 해당 AP장치부(5)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해당 AP장치부(5)에 접속된 스마트디바이스(3')에 대하여 AP변경을 명령하도록 한다. 상기 AP변경명령모듈(473)은 상기 AP변경부(43)와 마찬가지로 주변 AP장치부(5)의 스마트디바이스(3')와의 신호세기를 측정하여 가장 높은 신호세기를 갖는 AP장치부(5)에 관한 정보를 상기 스마트디바이스(3')로 전송하도록 하며, 이에 따라 상기 스마트디바이스(3')의 AP장치부(5)는 자동으로 변경된다.
상기 AP진단테스트모듈(474)은 상기 AP출력증가모듈(472)에 의한 출력의 증가에도 출력이 회복되지 않는 경우, 상기 AP변경명령모듈(473)에 의해 AP장치부(5)의 변경을 명령함과 동시에 문제가 발생한 AP장치부(5)의 진단테스트를 실시하도록 한다. 상기 진단테스트는 AP장치부(5)의 연결상태를 체크하는 일반적인 구성과 동일하며, 자동으로 복구절차를 진행하도록 함으로써 이상이 발생한 AP장치부(5)의 회복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AP재부팅모듈(475)은 상기 AP진단테스트모듈(474)의 실행에도 불구하고 AP장치부(5)의 출력이 회복되지 않는 경우 해당 AP장치부(5)의 재부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재변경명령모듈(476)은 상기 AP진단테스트모듈(474) 또는 AP재부팅모듈(475)의 실행에 의하여 AP장치부(5)의 출력이 회복된 경우, 상기 AP변경명령모듈(473)에 의하여 변경된 AP장치부(5)를 다시 회복된 AP장치부(5)로 재변경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스마트디바이스(3')로 재변경명령을 전송하여 AP장치부(5)의 재변경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AP장치부(5)는 상기 스트리밍서버(2)와 연결되어 스트리밍데이터를 전달받으며, 이를 무선신호로 전송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Wi-fi 무선신호를 이용하여 신호를 전달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AP장치부(5)는 유선신호를 무선신호로 전환하여 일정 영역에 출력할 수 있는 Access Point 장치가 적용될 수 있으며, 복수개가 형성되어 넓은 영역에 걸쳐 동시통역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AP장치부(5)는 상기 AP컨트롤부(4)에 의하여 출력상태와 상기 스마트디바이스(3')와의 접속상태 등이 관리되므로, 최적인 통신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고품질 동시통역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스마트디바이스(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컨퍼런스선택부(31), 컨텐츠실시간출력부(33), 컨텐츠재출력부(35)를 포함하며, AP접속부(37)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AP접속부(37)는 AP장치부(5)와 스마트디바이스(3')와의 접속을 관리 및 제어하는 구성으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AP장치부(5)에 관한 접속을 요청하는 접속요청모듈(371), 상기 AP컨트롤부(4)로부터 AP정보를 수신하는 AP정보수신모듈(372), 상기 AP정보수신모듈(372)에서 수시되는 AP정보에 따라 접속할 AP장치부(5)를 선택하는 AP선택모듈(373), 접속된 AP장치부(5)의 변경을 요청하는 AP변경요청모듈(374), 상기 AP변경부(43)로부터 전송되는 최적AP정보에 따라 AP장치부(5)를 변경하는 AP변경모듈(375)을 포함한다.
상기 접속요청모듈(371)은 동시통역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자가 자신의 스마트디바이스(3')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접속을 요청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접속버튼을 터치하는 등의 방식으로 접속을 요청할 수 있으며, 상기 AP컨트롤부(4)의 접속요청수신모듈(411)에 접속요청이 전달되고, 상기 AP정보전송모듈(412)에 의해 AP장치부(5)에 관한 정보가 전달되도록 한다.
상기 AP정보수신모듈(372)은 상기 AP정보전송모듈(412)에 의해 전송된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접속가능한 AP장치부(5)의 리스트와, AP컨트롤부(4)의 스캔시간, 각 AP장치부(5)의 문턱값, 수신강도 등이 표시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적절한 위치로 이동하거나 적절한 AP장치부(5)를 선택하여 상기 AP선택모듈(373)에 의해 AP장치부(5)와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AP선택모듈(373)은 상기 AP정보수신모듈(372)에 의하여 수신된 정보에 따라 적절한 AP장치부(5)를 선택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해당 스마트디바이스(3')와 AP장치부(5)의 접속이 이루어지며, 접속된 AP장치부(5)를 통해 동시통역음성, 발표영상, 발표관련자료 등의 컨텐츠를 전달받을 수 있게 된다.
상기 AP변경요청모듈(374)은 통신품질이 저하되는 경우 사용자가 접속된 AP장치부(5)의 변경을 요청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접속요청모듈(371)과 같이 스마트디바이스(3')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요청하도록 할 수 있고, 상기 AP변경요청에 의해 상기 AP컨트롤부(4)의 AP변경부(43)가 실행되어 최적AP정보를 전달받게 된다.
상기 AP변경모듈(375)은 상기 AP변경요청모듈(374)에 의해 AP장치부(5)의 변경이 요청되어 상기 AP변경부(43)가 실행되고, 상기 최적AP정보송신모듈(434)에 의해 최적AP정보가 전송되면, 이에 따라 AP장치부(5)의 변경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컨퍼런스 컨텐츠를 제공받는 사용자는 동시통역음성, 발표영상 등의 품질이 저하될 경우 AP장치부(5)의 변경을 요청하여 자동으로 최적 AP장치부(5)로의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최적의 통신품질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수집서버
11: 오디오수집부 111: 오디오입력모듈 112: 디지털오디오인코딩모듈
113: 디지털오디오저장모듈 114: 디지털오디오전송모듈
13: 비디오수집부 131: 비디오입력모듈 132: 디지털비디오인코딩모듈
133: 디지털비디오저장모듈 134: 디지털비디오전송모듈
15: 자료수집부 151: 자료입력모듈
152: 자료저장모듈 153: 자료전송모듈
2: 스트리밍서버
21: 오디오스트리밍부 211: 오디오디코딩모듈
212: 오디오스트리밍변환모듈 213: 오디오스트리밍송신모듈
23: 비디오스트리밍부 231: 비디오디코딩모듈
232: 비디오스트리밍변환모듈 233: 비디오스트리밍송신모듈
3(3'): 스마트디바이스
31: 컨퍼런스선택부
311: 컨퍼런스종류선택모듈 312: 동시통역음성선택모듈
33: 컨텐츠실시간출력부 331: 스트리밍데이터수신모듈
332: 실시간오디오출력모듈 333: 실시간비디오출력모듈
334: 실시간자료출력모듈
35: 컨텐츠재출력부 351: 디지털오디오요청모듈
352: 디지털오디오출력모듈 353: 디지털비디오요청모듈
354: 디지털비디오출력모듈 355: 자료요청모듈 356: 자료출력모듈
37: AP접속부 371: 접속요청모듈 372: AP정보수신모듈
373: AP선택모듈 374: AP변경요청모듈 375: AP변경모듈
4: AP컨트롤부
41: AP접속개시부 411: 접속요청수신모듈 412: AP정보전송모듈
43: AP변경부 431: AP변경요청수신모듈 432: AP스캔모듈
433: 단말신호세기측정모듈 434: 최적AP정보송신모듈
45: AP접속분산부 451: 접속자수모니터링모듈 452: 송출신호조절모듈
47: AP상태관리부 471: AP정보수집모듈 472: AP출력증가모듈
473: AP변경명령모듈 474: AP진단테스트모듈
475: AP재부팅모듈 476: 재변경명령모듈
5: AP장치부

Claims (5)

  1. 동시통역음성, 발표영상 및 발표관련자료를 수집하여 디지털데이터로 변환하고 저장하며, 저장된 디지털데이터를 스트리밍서버로 전달하는 수집서버와; 상기 수집서버에서 전달된 디지털데이터를 스트리밍데이터로 변환하여 AP장치부로 송신하는 스트리밍서버와; 상기 스트리밍서버로부터 전달된 스트리밍데이터를 무선 신호의 형태로 전송하는 AP장치부와; 상기 AP장치부로부터 송신되는 동시통역음성, 발표 및 발표관련자료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스마트디바이스와; 상기 AP장치부의 접속정보 및 상태를 관리하고 제어하는 AP컨트롤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트리밍서버는 상기 수집서버로부터 전달된 동시통역음성 및 발표영상을 다시 디코딩하여 스트리밍데이터로 변환하며,
    상기 AP컨트롤부는,
    특정 AP장치부에 접속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는 접속분산부와, 각 AP장치부의 상태를 파악하여 관리하도록 하는 AP상태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분산부는,
    설정된 접속자수를 초과하는 AP장치부에 대해서는 AP장치부의 신호세기를 감소시켜 접속이 감소하도록 유도하고, 접속자수가 적은 AP장치부의 신호세기를 증가시켜 접속이 증가하도록 유도하여 자동으로 각 AP장치부에 대한 접속자가 분산되어 트래픽의 집중을 방지하는 송출신호조절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AP상태관리부는,
    일정 주기로 각 AP장치부의 정보를 수신하는 AP정보수집모듈과; 상기 AP정보수집모듈에 의해 수집된 정보에 따라 출력이 감소된 것으로 판단된 AP장치부에 대하여 출력을 증가시키도록 하는 AP출력증가모듈과; 상기 AP출력증가모듈에 의하여 출력을 증가시켰음에도 출력 감소가 계속되는 경우 해당 AP장치부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해당 AP장치부에 접속된 모바일기기부에 대하여 AP장치부의 변경을 전달하고, 주변 AP장치부와 모바일기기부와의 신호세기를 측정하여 가장 높은 신호세기를 갖는 AP장치부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도록 하는 AP변경명령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스트리밍서버는 상기 수집서버로부터 전달되는 동시통역음성을 스트리밍데이터로 변환하는 오디오스트리밍부와, 상기 수집서버로부터 전달되는 발표영상을 스트리밍데이터로 변환하는 비디오스트리밍부를 포함하며,
    상기 오디오스트리밍부는 상기 수집서버로부터 전달되는 동시통역음성의 디지털데이터를 디코딩하는 오디오디코딩모듈과, 상기 오디오디코딩모듈에 의해 디코딩된 동시통역음성을 스트리밍데이터로 변환하는 오디오스트리밍변환모듈과, 상기 오디오스트리밍변환모듈에 의해 스트리밍데이터로 변환된 동시통역음성을 상기 스마트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오디오스트리밍송신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비디오스트리밍부는 상기 수집서버로부터 전달되는 발표영상의 디지털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비디오디코딩모듈과, 상기 비디오디코딩모듈에 의해 디코딩된 발표영상을 스트리밍데이터로 변환하는 비디오스트리밍변환모듈과, 상기 비디오스트리밍변환모듈에 의해 스트리밍데이터로 변환된 발표영상을 상기 스마트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비디오스트리밍송신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퍼런스 컨텐츠 제공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서버는
    동시통역음성을 입력받아 저장하는 오디오수집부와, 발표영상을 입력받아 저장하는 비디오수집부와, 발표와 관련된 자료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자료수집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디바이스는,
    상기 스트리밍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스트리밍데이터를 수신하여 동시통역음성, 발표영상 및 발표관련자료를 실시간으로 출력하는 컨텐츠실시간출력부와, 상기 수집서버에 저장된 동시통역음성, 발표영상 및 발표관련자료의 전송을 요청하여 출력되도록 하는 컨텐츠재출력부를 포함하여, 동시통역음성 등의 실시간 출력뿐만 아니라 추후 동시통역, 발표영상 및 발표관련자료의 다시 듣기 및 다시 보기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퍼런스 컨텐츠 제공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수집부는
    컨퍼런스별, 언어별 동시통역음성을 입력받는 오디오입력모듈과; 상기 오디오입력모듈에 의해 입력받은 동시통역음성을 디지털데이터로 인코딩하는 디지털오디오인코딩모듈과; 상기 디지털오디오인코딩모듈에 의해 인코딩된 동시통역음성을 저장하는 디지털오디오저장모듈과; 상기 디지털오디오인코딩모듈에 의해 인코딩된 동시통역음성을 상기 스트리밍서버로 전송하는 디지털오디오전송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비디오수집부는,
    발표영상을 입력받는 비디오입력모듈과; 상기 비디오입력모듈에 의해 입력받은 발표영상을 디지털데이터로 인코딩하는 디지털비디오인코딩모듈과; 상기 디지털비디오인코딩모듈에 의해 인코딩된 발표영상을 저장하는 디지털비디오저장모듈과; 상기 디지털비디오인코딩모듈에 의해 인코딩된 발표영상을 상기 스트리밍서버로 전송하는 디지털오디오전송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퍼런스 컨텐츠 제공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디바이스는
    컨퍼런스 및 동시통역언어의 종류를 선택하는 컨퍼런스선택부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실시간출력부는,
    상기 스트리밍서버로부터 상기 컨퍼런스선택부에서 선택된 컨퍼런스 및 동시통역언어의 스트리밍데이터를 수신하는 스트리밍데이터수신모듈과; 상기 스트리밍데이터수신모듈에 의해 수신된 스트리밍데이터 중 동시통역음성을 출력하도록 하는 실시간오디오출력모듈과; 상기 스트리밍데이터수신모듈에 의해 수신된 스트리밍데이터 중 발표영상을 출력하도록 하는 실시간비디오출력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재출력부는,
    상기 수집서버에 저장된 동시통역음성의 디지털데이터 전송을 요청하는 디지털오디오요청모듈과; 상기 디지털오디오요청모듈에 의해 요청된 동시통역음성의 디지털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디지털오디오출력모듈과; 상기 수집서버에 저장된 발표영상의 디지털데이터 전송을 요청하는 디지털비디오요청모듈과; 상기 디지털비디오요청모듈에 의해 요청된 발표영상의 디지털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디지털비디오출력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퍼런스 컨텐츠 제공시스템.
KR1020160038184A 2016-03-30 2016-03-30 동시통역음성을 활용한 컨퍼런스 컨텐츠 제공시스템 KR1018839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8184A KR101883975B1 (ko) 2016-03-30 2016-03-30 동시통역음성을 활용한 컨퍼런스 컨텐츠 제공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8184A KR101883975B1 (ko) 2016-03-30 2016-03-30 동시통역음성을 활용한 컨퍼런스 컨텐츠 제공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1905A KR20170111905A (ko) 2017-10-12
KR101883975B1 true KR101883975B1 (ko) 2018-08-17

Family

ID=60140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8184A KR101883975B1 (ko) 2016-03-30 2016-03-30 동시통역음성을 활용한 컨퍼런스 컨텐츠 제공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39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50484A (zh) * 2018-06-29 2018-10-12 中译语通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音视频通讯的远程同声传译的方法及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1312B1 (ko) * 2011-10-25 2013-04-05 주식회사 어니언텍 동영상 변환 서버에서의 동영상 탐색요청 처리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4936A (ko) * 2012-10-30 2014-05-09 리아컴즈 주식회사 저작도구를 활용한 실시간 온라인 및 모바일 개인 동영상 강의서비스 구현방법
KR101454745B1 (ko) * 2013-03-28 2014-11-06 주식회사 두드림 멀티 코덱, 멀티 채널 기반의 동시통역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1312B1 (ko) * 2011-10-25 2013-04-05 주식회사 어니언텍 동영상 변환 서버에서의 동영상 탐색요청 처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1905A (ko) 2017-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85362B2 (en) Enhanced video sharing
US987207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tributing audio/video feed of a live event via satellite
US2014032066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Cameras at Live Events
US952136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laying conference signal, video conference terminal, and mobile device
US2011003546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vent programming via a remote media player
US9357215B2 (en) Audio output distribution
KR20100022833A (ko) 통화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통화 장치
JP2013516901A (ja) 通信の途切れることのない転送
KR101883975B1 (ko) 동시통역음성을 활용한 컨퍼런스 컨텐츠 제공시스템
RU2628569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спределения контента для просмотра с множеством экранов
US20130291011A1 (en) Transcoding server and method for overlaying image with additional information therein
KR101703251B1 (ko) Fm, 디지털라디오 수신칩 내장형 이어마이크폰을 활용한 동시통역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1339835B1 (ko) 이동 단말의 실시간 화면 재생기, 그 시스템 및 화면 재생 방법
KR102009303B1 (ko) Fm동시통역수신기 일체형 이어폰을 이용하는 동시통역시스템
KR102009307B1 (ko) 포터블 fm동시통역송신기를 이용하는 동시통역시스템
JP6932075B2 (ja) 再送出システム、再送出装置、受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CN103248860B (zh) 适应性调整视频传输频宽的方法及其相应装置与系统
JP2013046319A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CN101340589B (zh) 影音分流且同步的数据传输方法及影音系统
JP2011259114A (ja) データ配信装置
JP2004166189A (ja) マルチメディアデータ管理装置、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マルチメディアデータ管理方法
KR20210065636A (ko) 휴대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화면의 실시간 송수신 시스템 및 장치
KR20170062681A (ko) Wi-fi 기반의 스마트 동시통역시스템
JP6971138B2 (ja) 配信状況管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445620B1 (ko)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did의 음향신호 무선 송수신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