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3971B1 - 음식 폐기물 처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음식 폐기물 처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3971B1
KR101883971B1 KR1020170060834A KR20170060834A KR101883971B1 KR 101883971 B1 KR101883971 B1 KR 101883971B1 KR 1020170060834 A KR1020170060834 A KR 1020170060834A KR 20170060834 A KR20170060834 A KR 20170060834A KR 101883971 B1 KR101883971 B1 KR 1018839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unit
food
weight
absor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0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선미
Original Assignee
(주)청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청광 filed Critical (주)청광
Priority to KR1020170060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39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3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39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2101/00Type of solid waste
    • B09B2101/02Gases or liquids enclosed in discarded articles, e.g. aerosol cans or cooling systems of refrigerators
    • B09B3/0058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1/00Apparatus for weighing a continuous stream of material during flow; Conveyor belt weighers
    • G01G11/003Details; specially adapted accesso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2Mechanical processing of waste for the recovery of materials, e.g. crushing, shredding, separation or disassembly
    • Y02W30/522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급되는 음식물 폐기물을 후처리 공정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포장하는 공정으로 이송시키는 동시에 후처리 공정에 알맞은 조건으로 함수율을 조절 및 유지할 수 있도록 함수량을 정량화적 방식으로 처리하는 음식 폐기물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운송되어진 음식물 폐기물에서 이물질을 제거한 후 탈수 및 처리과정을 거친 후 일부를 퇴비나 동물 사료로 사용하기 위하여 함수율을 조절하여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음식 폐기물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사전처리가 완료된 음식물 폐기물을 1차적으로 이송하는 제1이송부, 상기 제1이송부에 의해 공급받은 음식물 폐기물을 이송시키는 이송밸트, 상기 이송밸트에 의해 이송하는 음식물 폐기물에 수분흡수제를 투입하는 흡수제투입부, 상기 이송밸트에서 공급받은 음식물 폐기물을 이송시키는 제2이송부로 구성하여; 음식물 폐기물의 후처리를 위해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폐기물 내의 함유 수분을 흡수하기 위하여 함수율에 따른 폐기물에 수분흡수제를 투입하며, 진동기를 이용하여 이송되는 폐기물에 수분흡수제의 균일한 투입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음식 폐기물 처리시스템{Food waste treatment system}
본 발명은 음식 폐기물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후처리 공정에 알맞은 조건으로 이송하는 과정에서 함수율을 조절 및 유지할 수 있도록 함수량을 정량화적 방식으로 처리하는 음식 폐기물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통계에 의하면 우리나라는 무절제한 음식문화로 인해 하루 1만 1390톤, 즉 8톤 트럭 1400대 분에 달하는 음식물쓰레기가 발생하며 연간 15조원의 돈을 낭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무런 조치 없이 이 상태로 가다가는 넘쳐나는 음식물쓰레기로 환경오염은 점점 심각해질 것이 불 보듯 뻔한 일이다.
더욱이 OECD 국가 중 우리나라만 유일하게 음식 물쓰레기를 수집, 운반, 매립하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어 환경오염에 관한 대책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러한 가운데 정부는 나날이 심각해지는 환경오염을 개선시키기 위해 2005년 1월1일부터 음식물쓰레기를 바로 매립하는 것을 법으로 금하며 소각, 퇴비화, 사료화 후 잔재물만 매립하기로 폐기물관리법 시행규칙 제16조 3항에 규정했다.
즉, 종래에는 음식 물쓰레기를 매립장에 직접 매립할 경우 자원낭비는 물론 매립지 주변의 파리, 모기 등 해충발생의 원인이 되고 있으며, 유기물 분해에 따른 악취발생과 침출수 발생으로 매립장 유지관리에도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음식물쓰레기 발생량 전체 생활쓰레기의 23%(01년 11,237톤/일) 정부는 음식물쓰레기 직매립에 따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폐기물 관리법 시행규칙을 개정(97.7.19) 2005년 1월 1일부터 음식물쓰레기 직매립을 금지할 예정이다.
그동안 직매립 금지에 대비하여 음식물쓰레기 공공처리시설 및 민간처리시설을 지속적으로 확충하여 2003. 6월 현재 음식물쓰레기 발생량의 76%를 처리할 수 있는 1일 8,575톤의 시설을 설치 내년에는 05년부터 직매립이 금지되는 점을 감안하여 음식물 쓰레기 공공처리시설 및 전용수거차량 확대를 위해 금년보다 대폭 증액된 289억원을 국고에서 지원할 계획이다.
이들 공공처리시설이 확충되면 음식물쓰레기의 적정처리를 통해 음식물쓰레기 자원재활용 증가와 함께 직매립금지 제도의 정착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와 같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방법의 대안으로는 처리 시에도 왕겨나 톱밥 등과 같은 부수적인 수분조절제나 발효제 등의 사용을 요구하고 있다.
즉, 상기 수분조절제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음식물 쓰레기를 직 매립하여 폐기하는 방법을 탈피하여 후 가공을 통해 퇴비 등으로 재 가공하기 위하여 음식물 쓰레기에 함유된 수분을 흡수하기 위하여 첨가하는 것이다.
그러나, 처리를 위하여 공급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양과 수분조절제를 투입한 후 음식물 쓰레기 양의 정확히 측정하기 어려워 함수율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날씨 또는 계절적 특성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에 함유되는 수분의 양이 달라져 수분조절제의 투입량을 알맞게 조절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수분조절제는 이송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상부측에 고른 분포가 어려워 수분흡수 효율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하여 공급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정확한 양과 수분조절제가 투입된 후 정확한 양을 측정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함수량을 정확히 판단하여 후처리 조건에 알맞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음식물 폐기물 처리시스템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등록번호 제10-0711087호 (음식물쓰레기처리설비 호퍼와 이를 이한음식물쓰레기처리방법) 등록번호 제10-0523873호 (음식물 쓰레기의 자원화 설비장치와 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후처리를 위해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폐기물 내의 함유 수분을 흡수하기 위하여 함수율에 따른 폐기물에 수분흡수제(를 투입하도록 하는 음식물 폐기물 처리시스템을 제공하는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진동기를 이용하여 이송되는 폐기물에 수분흡수제의 고른 투입하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진동기의 메쉬망의 메쉬공의 크기를 다르게 형성하여 입경이 다른 수분흡수제가 잔여없이 원활히 투입되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공급되는 폐기물과 수분흡수제가 투입된 폐기물의 무게를 측정하여 정확한 함수율 측정으로 후처리 조건에 알맞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컨베이어에 분산판을 형성하여 공급되는 폐기물을 넓게 분산시켜 수분흡수제가 골고루 투입되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폐기물 처리시스템은 운송되어진 음식물 폐기물에서 이물질을 제거한 후 탈수 및 처리과정을 거친 후 일부를 퇴비나 동물 사료로 사용하기 위하여 함수율을 조절하여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음식 폐기물 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탈수 및 처리과정을 거친 음식물 폐기물의 중량을 체크하며 제1스크류를 통해 이송시키는 제1이송부, 상기 제1이송부에서 이송하는 음식물 폐기물을 상부로 이송시키는 이송밸트, 상기 이송밸트의 상부에 이동하는 음식물 폐기물에 수분흡수제를 정량적이며 자동화방식으로 투입하여 음식물 폐기물의 함수량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흡수제투입부, 상기 이송밸트에 의해 이송되는 음식물 폐기물의 중량을 체크하며 제2이송부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폐기물 처리시스템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기 제1,2이송부에는 각각 중량을 체크하기 위해 양 끝단에 체크센서가 형성되는 중량체크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폐기물 처리시스템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상기 이송밸트의 외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제1이송부에 의해 공급되는 음식물 폐기물을 분산시키기 위하여 역 브이자 형태의 날개판을 밸트의 외면에 다수 개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폐기물 처리시스템을 제공한다.
더불어, 본 발명의 상기 날개판에는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음식물 폐기물내의 이물질을 추가적으로 제거하는 걸림핀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폐기물 처리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흡수제투입부는 코코넛 비트로 형성되는 수분흡수제가 담겨지는 호퍼, 상기 호퍼의 투입구를 개폐하는 개폐구, 상기 개폐구를 통해 배출되는 수분흡수제가 담겨지는 진동분산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폐기물 처리시스템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기 진동분산부는 상하부가 개방된 틀 형태의 몸체, 상기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직경이 작은 제1메쉬홀과 제1메쉬홀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는 제2메쉬홀이 형성된 메쉬망, 상기 메쉬망을 진동시키는 진동기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폐기물 처리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음식물 폐기물의 후처리를 위해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폐기물 내의 함유 수분을 흡수하기 위하여 함수율에 따른 폐기물에 수분흡수제를 투입하며, 진동기를 이용하여 이송되는 폐기물에 수분흡수제의 균일한 투입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진동기의 메쉬망의 메쉬공의 크기를 다르게 형성하여 입경이 다른 수분흡수제가 잔여없이 원활히 투입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공급되는 폐기물과 수분흡수제가 투입된 폐기물의 무게를 측정하여 정확한 함수율 측정으로 후처리 조건에 알맞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컨베이어에 분산판을 형성하여 공급되는 폐기물을 넓게 분산시켜 수분흡수제가 골고루 투입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 폐기물 처리시스템의 개략적 외부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 폐기물 처리시스템 개략적 부분 단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 폐기물 처리시스템의 이송밸트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밸트의 날개판에 걸림핀이 형성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밸트의 날개판에 의해 음식물 폐기물이 골고루 분산되는 평면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밸트와 흡수제투입부의 설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흡수제투입부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 폐기물 처리시스템에 의해 음식물 폐기물이 처리되는 과정을 나타낸 개략적 작동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흡수제투입부의 진동분산부에 의해 입자가 다른 수분흡수제가 메쉬망을 통해 배출되는 작동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본 발명 음식 폐기물 처리시스템의 구성을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운송되어진 음식물 폐기물에서 이물질을 제거한 후 탈수 및 처리과정을 거친 후 일부를 퇴비나 동물 사료로 사용하기 위하여 함수율을 조절하여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음식 폐기물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사전처리가 완료된 음식물 폐기물을 1차적으로 이송하는 제1이송부(10), 상기 제1이송부(10)에 의해 공급받은 음식물 폐기물을 이송시키는 이송밸트(20), 상기 이송밸트(20)에 의해 이송하는 음식물 폐기물에 수분흡수제(31)를 투입하는 흡수제투입부(30), 상기 이송밸트(20)에서 공급받은 음식물 폐기물을 이송시키는 제2이송부(40)로 처리시스템(100)을 구성한다.
상기 처리시스템(100)의 제1이송부(10)는 탈수 및 처리과정을 거친 음식물 폐기물의 중량을 체크하며 제1스크류(11)를 통해 이송시키는데 상기 제1스크류(11)는 제1이송관(12)의 내부에 설치되어 구성한다.
상기 제1이송부(10)에는 중량을 체크하기 위해 양 끝단에 체크센서(51)가 형성되는 중량체크부(50)를 구성한다.
상기 중량체크부(50)는 제1이송관(12)이 설치되는 제1프레임(13)의 상부에 설치되어 제1이송관(12)을 떠받는 체크프레임(52)의 상부면에 체크센서(51)를 구성한다.
즉, 상기 중량체크부(50)는 음식물 폐기물이 이송하지 않는 제1이송부(10)의 자체 중량을 체크 한 후 음식물 폐기물이 이송할 때 체크센서(51)에서 측정하여 변화율을 감지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1이송부(10)에서 이송하는 음식물 폐기물을 상부로 이송시키는 이송밸트(20)를 형성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컨베이어밸트 형태로 구성한다.
상기 이송밸트(20)의 외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제1이송부(10)에 의해 공급되는 음식물 폐기물을 분산시키기 위하여 역 브이자 형태의 날개판(21)을 밸트(22)의 외면에 다수 개로 구성한다.
상기 날개판(21)에는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음식물 폐기물내의 이물질을 추가적으로 제거하는 걸림핀(23)을 구성한다.
상기 날개판(21)과 걸림핀(23)은 부식이 발생하지 않는 스테인리스 재질로 구성함이 바람직하고, 걸림핀(23)의 끝단에는 수나선이 형성되고 날개판(21)의 상부면에는 나선홈이 형성되어 나선체결과 해체가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아울러, 상기 이송밸트(20)의 밸트(22)는 밸트케이스(24)로 커버되어 있으며 상부면에는 수분흡수제(31)가 투입되는 개방홀(24a)을 형성한다.
상기 이송밸트(20)의 상부에 이동하는 음식물 폐기물에 수분흡수제(31)를 정량적이며 자동화방식으로 투입하여 음식물 폐기물의 함수량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흡수제투입부(30)를 구성한다.
상기 흡수제투입부(30)는 코코넛 비트로 형성되는 수분흡수제(31)가 담겨지는 호퍼(32)를 형성하는데 상기 호퍼(32)는 별도의 호퍼프레임(32a)에 고정시키거나 이송밸트(20)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호퍼(32)의 투입구(33)를 개폐하는 개폐구(34)를 형성하는데 상기 개폐구는 수동방식으로 작동시키거나 작동 신호를 전달받아 작동하는 솔레노이드밸브 방식이나 모터로 회전하는 로터리 방식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개폐구(34)를 통해 배출되는 수분흡수제(31)가 담겨지는 진동분산부(35)를 구성한다.
이러한, 상기 진동분산부(35)는 상하부가 개방된 틀 형태의 몸체(36)를 형성하는 몸체(36)는 사각틀 형태로써 이송밸트(2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별도의 몸체프레임(36a)에 고정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몸체(36)의 내부에 설치되며 직경이 작은 제1메쉬홀(37a)과 제1메쉬홀(37a)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는 제2메쉬홀(37b)이 형성된 메쉬망(37)을 형성한다.
상기 몸체(36)의 내측 공간에 위치하는 메쉬망(37)은 사방이 스프링(39)를 이용하여 몸체(36)의 내면과 연결되어 진동기(38)에 의해 진동이 발생할 때 자유롭게 흔들리며 스프링(39)의 탄성력에 의해 큰 진동력을 발휘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송밸트(20)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흡수제투입부(30)도 동일한 경사를 따라 형성하는데 메쉬망(37)의 제1메쉬홀(37a)은 상부에 배치하고 제2메쉬홀(37b)은 하부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수분흡수제(31)가 메쉬망(37)의 상부로 배출되면 입자가 작은 수분흡수제(31)는 제1메쉬홀(37a)을 통해 배출되고 입자가 큰 수분흡수제(31)는 제1메쉬홀(37a)을 따라 이동한 후 제2메쉬홀(37b)을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 메쉬망(37)을 진동시키는 진동기(38)를 구성하는데 상기 진동기(38)는 작업자가 별도의 스위치를 조작하여 작동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이송밸트(20)에 의해 이송되는 음식물 폐기물의 중량을 체크하며 제2이송부(40)를 구성한다.
상기 제2이송부(40)는 이송밸트(20)를 통해 이송하는 음식물 폐기물을 직접 전달받아 수분흡수제(31)와 교반을 진행하도록 제3스크류(42)가 제3이송관(43)의 내부에 설치된 제3이송부(41)와 수분흡수제(31)와 교반이 이루어진 음식물 폐기물을 이송하기 위해 제4스크류(45)가 제4이송관(46)의 내부에 설치된 제4이송부(44)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이송부(40)에는 중량을 체크하기 위해 양 끝단에 체크센서(51)가 형성되는 중량체크부(50)를 구성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제4이송부(44)에 구성함이 바람직 할 것이다.
상기 중량체크부(50)는 제4이송관(46)이 설치되는 제4프레임(47)의 상부에 설치되어 제4이송관(46)을 떠받는 체크프레임(52)의 상부면에 체크센서(51)를 구성한다.
즉, 상기 중량체크부(50)는 음식물 폐기물이 이송하지 않는 제2이송부(40)의 제4이송부(44) 자체 중량을 체크 한 후 음식물 폐기물이 이송할 때 체크센서(51)에서 측정하여 변화율을 감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음식 폐기물 처리시스템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처리시스템(100)은 중량체크부(50)는 제1이송부(10)의 제1이송관(12) 및 제2이송부(40)의 제4이송관(46)이 설치되는 구조물(200)의 상부에 체크프레임(52)을 각각 설치한다.
이후, 상기 체크프레임(52)의 체크프레임(52) 상부로 체크센서(51)를 설치한 다음 체크센서(51)의 상부로 제1이송관(12)과 제4이송관(46)을 설치한다.
이때, 상기 제1이송관(12)과 제4이송관(46)은 체크센서(51)에 의해 음식물 폐기물이 이동하지 않는 상태를 우선 체크하여 별도의 제어부로 신호를 전달하여 표시한다.
다음으로, 상기 이송밸트(20)가 형성된 주변으로 호퍼프레임(32a)을 설치한 후 이송밸트(20)의 상부로 수분흡수제(31)가 저장되는 호퍼(32)를 호퍼프레임(32a)에 설치한다.
그 다음으로, 상기 몸체프레임(36a)을 이송밸트(20)의 주변으로 설치한 후 진동분산부(35)의 몸체(36)를 호퍼(32)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36)의 내부에 메쉬망(37)을 설치하고 몸체(36)의 외면 일측에 메쉬망(37)과 연결되게 진동기(38)를 설치한다.
아울러, 상기 이송밸트(20)의 밸트(22) 외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날개판(21)을 고정하고 필요에 따라 날개판(21)에 걸림핀(23)을 설치한다.
이때, 상기 제1이송부(10)의 제1스크류(11), 제2이송부(40)의 제3이송부(41)에 형성된 제3스크류(42) 및 제4이송부(44)에 형성된 제4스크류(45), 중량체크부(50)의 체크센서(51), 호퍼(32)의 개폐구(34), 진동기(38) 등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연결하며 제어를 위하여 도면상 미도시한 별도의 제어반에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처리장치(100)의 조립을 완료한다.
이러한, 상기 처리장치(100)는 이물질 제거와 각종 처리가 완료된 후 제1이송부(10)에 의해 이송되는 음식물 폐기물은 제1스크류(11)의 회전으로 이송밸트(20) 측으로 이송한다.
이때, 상기 중량체크부(50)의 체크센서(51)에 제1이송관(12)이 음식물 폐기물의 무게로 가압되어 실시간으로 중량이 체크되는 특징이 있다.
이후, 상기 이송밸트(20)의 밸트(22)로 이송된 음식물 폐기물은 이송을 위하여 회전하는 밸트(22)에 올려지면 날개판(21)에 의해 융기되지 않고 밸트(22)의 양 측으로 펼쳐져 수분흡수제(31)가 넓은 면적에 분포될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아울러, 상기 날개판(21)에 걸림핀(23)이 형성된 경우에는 음식물 폐기물에 이물질을 추가적으로 걸러 낼 수 있으며 걸림핀(23)에 의해 걸러진 이물질은 밸트(22)의 회전으로 하부로 위치할 경우 낙하되는 특징이 있다.
이때, 상기 흡수제투입부(30)의 호퍼(32) 개폐구(34)가 개방되면서 코코넛 껍질을 분쇄한 코코넛 비트분말이 진동분산부(35)의 메쉬망(37) 상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메쉬망(37)은 진동기(38)에 의해 지속적으로 바이브레이션 되어 제1메쉬홀(37a)과 제2메쉬홀(37b)을 통과하며 이송밸트(20)에 의해 이동하는 음식물 폐기물의 상부로 뿌려진다.
여기서, 상기 수분흡수제(31)의 입자의 직경이 작을 경우에는 제1메쉬망(37a)을 통과해 뿌려지고 입자의 직경이 큰 경우에는 진동에 의해 제1메쉬홀(37a)의 상부를 따라 이동하여 제2메쉬홀(37b)을 통과해 뿌려지는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흡수제투입부(30)를 통한 수분흡수제(31)의 투입량은 제1이송부(10)를 통해 공급되는 음식물 폐기물의 부피를 계산하여 미리 설정한다.
이후, 상기 이송밸트(20)를 통해 수분흡수제(31)가 뿌려진 음식물 폐기물은 제2이송부(40)의 제3이송부(41)에 형성된 제3스크류(42)에 의해 제3이송관(43)을 따라 이동한 후 제4이송부(44)로 이송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4이송부(44)의 제4스크류(45)의 회전으로 제4이송관(46)을 따라 이송한다.
이때, 상기 중량체크부(50)의 체크센서(51)에 제4이송관(46)이 음식물 폐기물의 무게로 가압되어 실시간으로 중량이 체크되는 특징이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제4이송부(44)에 의해 이송된 음식물 폐기물은 다음 과정을 위해 별도로 저장하거나 이송을 위해 포장할 수 배출된다.
이러한, 상기 처리장치(100)를 통해 수분흡수재를 투입하여 음식물 폐기물의 함수량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제1이송부(10)로 공급되는 음식물 폐기물의 양과 이송밸트(20)에 의한 이송시 흡수제투입부(30)를 통한 수분흡수재가 분사되어 제3이송부(41)에 의한 교반과 제4이송부(44)에서 혼합무게를 측정하여 알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즉, 상기 제2이송부(40)의 제4이송부(44)를 통과한 음식물 폐기물의 함수량을 측정함으로써 습식사료의 경우 함수율을 약 80%로 유지하고, 건식사료의 경우 함수율을 약 20%로 균일한 함수율을 유지할 수 있도록 자동화 방식으로 수분흡수제(31)를 투입할 수 있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발명인 음식 폐기물 처리시스템을 설명함에 있어 특정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제1이송부 11 : 제1스크류
12 : 제1이송관 13 : 제1프레임
20 : 이송밸트 21 : 날개판
22 : 밸트 23 : 걸림핀
30 :흡수제투입부 31 : 수분흡수제
32 : 호퍼 32a : 호퍼프레임
33 : 투입구
34 : 개폐구 35 : 진동분산부
36 : 몸체 36a : 몸체프레임
37 : 메쉬망 37a : 제1메쉬홀
37b : 제2메쉬홀 38 : 진동기
40 : 제2이송부 41 : 제3이송부
42 : 제3스크류 43 : 제3이송관
44 : 제4이송부 45 : 제4스크류
46 : 제4이송관 47 : 제4프레임
50 : 중량체크부 51 : 체크센서
52 : 체크프레임 100 : 처리장치
200 : 구조물

Claims (6)

  1. 운송되어진 음식물 폐기물에서 이물질을 제거한 후 탈수 및 처리과정을 거친 후 일부를 퇴비나 동물 사료로 사용하기 위하여 함수율을 조절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음식 폐기물 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탈수 및 처리과정을 거친 음식물 폐기물의 중량을 체크하며 제1스크류(11)를 통해 이송시키는 제1이송부(10),
    상기 제1이송부(10)에서 이송하는 음식물 폐기물을 상부로 이송시키는 이송밸트(20),
    상기 이송밸트(20)의 상부에 이동하는 음식물 폐기물에 수분흡수제(31)를 정량적이며 자동화방식으로 투입하여 음식물 폐기물의 함수량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흡수제투입부(30),
    상기 이송밸트(20)에 의해 이송되는 음식물 폐기물의 중량을 체크하며 제2이송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흡수제투입부(30)는, 수분흡수제(31)가 담겨지는 호퍼(32)와, 상기 호퍼(32)의 투입구(33)를 개폐하는 개폐구(34)와, 상기 개폐구(34)를 통해 배출되는 수분흡수제(31)가 담겨지는 것으로서, 상하부가 개방된 틀 형태의 몸체(36), 상기 몸체(36)의 내부에 설치되며 직경이 작은 제1메쉬홀(37a)과 제1메쉬홀(37a)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는 제2메쉬홀(37b)이 형성된 메쉬망(37), 상기 메쉬망(37)을 진동시키는 진동기(38)를 갖춘 진동분산부(35)를 포함하고,
    상기 메쉬망(37)은 상기 몸체(36)와 스프링(39)에 의해 연결되어 진동기(38)에 의한 진동이 이루어지며,
    상기 제1이송부(10)에 설치되는 중량체크부(50)는, 상기 제1이송부(10)에 음식물 폐기물이 이송하지 않는 상태의 자체 중량과, 음식물 폐기물이 이송될 때의 중량을 측정하여 변화율을 감지함으로써, 제1이송부(10)에 적재된 음식물 폐기물의 중량에 대응하는 수분흡수제(31)가 상기 흡수제투입부(30)를 통해 투입되고,
    상기 이송밸트(20)의 외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제1이송부(10)에 의해 공급되는 음식물 폐기물을 분산시키기 위하여 이송되는 방향에 대해 역 브이자 형태의 날개판(21)을 밸트(22)의 외면에 다수 개로 구성되며,
    상기 날개판(21)에는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음식물 폐기물내의 이물질을 추가적으로 제거하는 걸림핀(23)을 구성하고,
    상기 메쉬망(37)은 상기 제1메쉬홀(37a)을 통과하지 못한 수분흡수제(31)가 흘러내려 상기 제2메쉬홀(37b)을 통해 배출되도록 상기 제1메쉬홀(37a)보다 상기 제2메쉬홀(37b)이 낮은 위치에 위치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제2이송부(40)는 음식물 폐기물과 수분흡수제를 교반하는 제3이송부(41), 및 상기 제3이송부(41)에서 교반된 음식물 폐기물과 수분흡수제의 중량을 체크하기 위한 제4이송부(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폐기물 처리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이송부(10)(40)에는 각각 중량을 체크하기 위해 양 끝단에 체크센서(51)가 형성되는 중량체크부(50)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폐기물 처리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70060834A 2017-05-17 2017-05-17 음식 폐기물 처리시스템 KR1018839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0834A KR101883971B1 (ko) 2017-05-17 2017-05-17 음식 폐기물 처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0834A KR101883971B1 (ko) 2017-05-17 2017-05-17 음식 폐기물 처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3971B1 true KR101883971B1 (ko) 2018-07-31

Family

ID=63078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0834A KR101883971B1 (ko) 2017-05-17 2017-05-17 음식 폐기물 처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397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9297A (ko) * 1999-09-30 2001-04-06 양창옥 음식물 쓰레기 재활용 방법및 그 설비장치
JP2001152483A (ja) * 1999-11-26 2001-06-05 Nakayama Iron Works Ltd 土壌混合改良機
KR20010091622A (ko) * 2000-03-16 2001-10-23 박재하 음식쓰레기의 처리장치
JP2004292085A (ja) * 2003-03-26 2004-10-21 Ube Machinery Corporation Ltd 浮上式ベルトコンベヤ装置
KR100523873B1 (ko) 2005-04-19 2005-10-24 임종덕 음식물 쓰레기의 자원화 설비장치와 방법
KR100711087B1 (ko) 2005-06-01 2007-04-24 오인숙 음식물쓰레기처리설비용 호퍼와 이를 이용한음식물쓰레기처리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9297A (ko) * 1999-09-30 2001-04-06 양창옥 음식물 쓰레기 재활용 방법및 그 설비장치
JP2001152483A (ja) * 1999-11-26 2001-06-05 Nakayama Iron Works Ltd 土壌混合改良機
KR20010091622A (ko) * 2000-03-16 2001-10-23 박재하 음식쓰레기의 처리장치
JP2004292085A (ja) * 2003-03-26 2004-10-21 Ube Machinery Corporation Ltd 浮上式ベルトコンベヤ装置
KR100523873B1 (ko) 2005-04-19 2005-10-24 임종덕 음식물 쓰레기의 자원화 설비장치와 방법
KR100711087B1 (ko) 2005-06-01 2007-04-24 오인숙 음식물쓰레기처리설비용 호퍼와 이를 이용한음식물쓰레기처리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3891B1 (ko) 요동식 분산수단이 포함된 비위생 매립폐기물 선별장치
KR20180027123A (ko) 고형원료 제조시스템
CN102974607B (zh) 一种砷污染土壤及废弃物的淋洗修复装置与修复方法
KR101921692B1 (ko) 슬러지와 가축분뇨와 음식물쓰레기와 음폐수의 교반 소멸장치
KR101034569B1 (ko) 슬러지 고화처리장치
US20160114364A1 (en) Portable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waste to be placed in landfill
KR101744153B1 (ko) 고형 폐기물 자동 처리장치
JP2004507358A (ja) 有機物処理装置、システム及び方法
CN202052757U (zh) 飞灰固化稳定化处理系统
CN106391682B (zh) 城市环卫垃圾填埋场的土壤有机修复系统及其工作方法
KR100930324B1 (ko) 건설폐기물에 포함된 폐목재 및 가연물의 입도·성상별 선별방법
KR101883971B1 (ko) 음식 폐기물 처리시스템
CN206898060U (zh) 一种移动式全集成土壤淋洗快速修复系统
CA2657073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solid waste processing
KR200455199Y1 (ko) 슬러지 고화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슬러지 처리 시스템
KR101698296B1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 시스템
CN109747042B (zh) 一种能够检测的中子研究的防辐射混凝土浆配置机构
KR100421812B1 (ko) 이물질 분류기
KR102203422B1 (ko) 이동식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374650B1 (ko) 오염토양 경작 설비
KR100887622B1 (ko) 하수고도처리장의 슬러지 건조장치
CN204747052U (zh) 一种重金属废渣稳定化固化处理装置
CN210546976U (zh) 一种工业固体废料在回转窑的回收再利用装置
KR101553677B1 (ko) 무기성 및 유기성 건설오니 이중 감속형 탈수 및 건조장치
KR101796953B1 (ko) 음식 폐기물 처리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