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3677B1 - 무기성 및 유기성 건설오니 이중 감속형 탈수 및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무기성 및 유기성 건설오니 이중 감속형 탈수 및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3677B1
KR101553677B1 KR1020140162479A KR20140162479A KR101553677B1 KR 101553677 B1 KR101553677 B1 KR 101553677B1 KR 1020140162479 A KR1020140162479 A KR 1020140162479A KR 20140162479 A KR20140162479 A KR 20140162479A KR 101553677 B1 KR101553677 B1 KR 1015536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inorganic
sprocket wheel
shaf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2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기
Original Assignee
대한환경산업(주)
(주)태산파우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환경산업(주), (주)태산파우텍 filed Critical 대한환경산업(주)
Priority to KR1020140162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36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3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36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3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he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6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drum 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기성 및 유기성 건설오니 이중 감속형 탈수 및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프레임의 일측 상부에 열풍공급부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열풍공급부의 토출측으로 구동부에 의하여 회전되는 회전드럼이 내장된 건조룸이 구비되어지고, 상기 회전드럼에 무기성 및 유기성 건설오니 공급부를 통해 무기성 및 유기성 건설오니가 투입되게 구비되고, 상기 건조룸의 하부에 배출부가 구비된 무기성 및 유기성 건설오니 이중 감속형 탈수 및 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드럼은 높이가 다른 각각의 지지대 양측에 지지축이 베어링으로 결합되며, 상기 구동부는 구동모터가 가지는 제1구동스프라켓휘일에 제1체인의 하부가 감겨지며, 상기 제1체인의 상부가 제1피동스프라켓휘일에 감겨지되, 상기 제1피동스프라켓휘일은 스프라켓축에 결합되어지며, 상기 스프라켓축에 제2구동스프라켓휘일이 결합되어 제2체인의 하부가 감겨지고, 상기 제2체인의 상부가 지지축에 구비된 제2피동스프라켓휘일에 감겨지되, 상기 구동부가 구비된 프레임 상부와 상기 구동모터가 결합된 하부지지판 하부 사이에 볼트를 관통한 제1코일스프링이 삽입되어지고, 상기 제1피동스프라켓휘일은 지지다리에 결합된 상부지지판의 스프라켓축에 결합되어지되, 상기 상부지지판의 하부와 지지다리의 상부 사이에 볼트를 관통한 제2코일스프링이 삽입되며, 상기 건설오니 공급부는 공급컨베이어벨트에 잔류오니제거부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잔류오니 제거부는 컨베이어프레임에 제거축이 회동되게 구비되어지고, 상기 제거축에 스크래퍼가 얹혀져 보강판으로 눌려지며, 상기 제거축의 단부에 아암이 구비되어지고, 상기 아암의 끝에 인장스프링의 일측이 걸려지고, 상기 공급컨베이어벨트에 공급호퍼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공급호퍼는 배출측에 오니조절구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오니조절구는 가이드홀 및 관통홀이 형성된 조절지지대가 배출측 상부에 구비되어지고, 상기 관통홀을 관통한 조절숫나사와 가이드홀에 삽입되는 가이드봉의 하부에 조절판의 상부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기성 및 유기성 건설오니 이중 감속형 탈수 및 건조장치{Inorganic and organic building sludge dewatering and drying equipment type double deceleration}
본 발명은 무기성 및 유기성 건설오니 이중 감속형 탈수 및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열풍이 공급되는 건조룸의 내부에서 회전되는 회전드럼의 일측으로 수분이 함유된 유기성 오니가 공급되어 타측으로 이송되어지는 과정에서 건조 및 배출되어지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처리장, 음식물류폐기물 처리공장, 식품공장과 섬유 및 제지공장 등의 각종 산업현장, 축산 농가에서 발생된 폐수를 후처리한 후 잔류물이나 분뇨 등의 유, 무기성 슬러지가 다량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슬러지는 함수율이 약 60~85% 정도에 이른다.
함수율이 높은 슬러지를 그대로 매립할 경우에는 체적이 커서 운송비용이 증대되고 매립 용적 또한 많이 차지하게 될 뿐만 아니라, 대량으로 발생되는 침출수에 의해 토질 및 지하수 오염은 물론 환경공해를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대부분의 슬러지는 일정 함수율 이하로 탈수 또는 건조시킨 후 소각, 재활용, 지중 매립, 해양투기 등의 방법으로 처리한다.
슬러지는 함유된 수분을 대략 10~40% 이하로 탈수, 건조시키면 연소원료 또는 비료나 사료 등의 에너지 자원으로 재활용 가치가 충분하다. 따라서 슬러지를 건조하여 재활용하는 기술은 석유류 에너지비용 상승에 따라 경제성이 있고 악취 등 2차적인 문제발생이 적고, 또한 매립 물로서의 기준치에 적합하여 매립처리도 가능하기 때문에 매력 있는 슬러지 처리방안으로 사용되어지고 있다.
슬러지의 건조는 크게 열풍 건조방식과 열전도 건조방식 및 마이크로파 가열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대량처리의 적합성 측면에서 열풍식과 열전도식이 많이 실용화되고 있다.
열풍식은 중유, LPG 등의 연소가스 즉, 약 300~450℃의 건조가스를 직접 건조공간 내부로 주입하거나, 연소가스를 직접 주입하지 않고 열풍 발생기나 열교환을 통해 생성된 열풍 건조가스을 건조공간 내부로 주입하는 방식이다.
이때, 건조공간은 망사형태를 갖는 원통체가 별도의 구동부에 의하여 일정한 속도록 회전되는 가운데 원통체가 일측인 투입구에서 타측이 배출구를 향하여 기울어진 상태에 있음으로써, 슬러지 공급부를 통해 원통체로 투입된 슬러지가 이동되는 과정중에 건조되어 함수율이 일정한도 이상으로 낮아지게 된다.
그러나 원통체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는 구동모터와 원통체가 각각 체인과 스프라켓휘일에 의하여 구동됨으로써, 원통체를 일정한 회전속도 이하로 낮추는 것에 어려움이 있었고, 원통체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구동력의 전달이 용이치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슬러지 공급부를 통해 원통체로 투입되는 슬러지 투입량이 슬러지 공급 호퍼에 있는 전체가 컨베이어벨트를 통해 이송 공급됨에 따라 슬러지의 건조가 불균일하게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젖은 상태의 슬러지가 슬러지 공급부의 컨베이어벨트에 실려 원통체로 투입되는 과정에서 컨베이어벨트의 표면에 일부가 잔류됨으로써, 컨베이어벨트의 하부를 포함하는 주변으로 슬러지가 비산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 10-1277150호(2013.06.14)
본 발명은 회전드럼을 일정한 회전속도 이하로 낮추는 가운데 구동력의 전달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슬러지 공급부를 통해 일정량의 슬러지가 회전드럼으로 투입되도록 하여 균일한 건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슬러지 공급과정에서 슬러지 공급부의 컨베이어벨트에 잔류된 슬러지가 주변으로 슬러지가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프레임(10)의 일측 상부에 열풍공급부(20)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열풍공급부(20)의 토출측으로 구동부(30)에 의하여 회전되는 회전드럼(40)이 내장된 건조룸(50)이 구비되어지고, 상기 회전드럼(40)에 무기성 및 유기성 건설오니 공급부(60)를 통해 무기성 및 유기성 건설오니가 투입되게 구비되고, 상기 건조룸(50)의 하부에 배출부(70)가 구비된 무기성 및 유기성 건설오니 이중 감속형 탈수 및 건조장치(A)에 있어서, 상기 회전드럼(40)은 높이가 다른 각각의 지지대(11)(11') 양측에 지지축(41)이 베어링(42)으로 결합되며, 상기 구동부(30)는 구동모터(31)가 가지는 제1구동스프라켓휘일(311)에 제1체인(33)의 하부가 감겨지며, 상기 제1체인(33)의 상부가 제1피동스프라켓휘일(34)에 감겨지되, 상기 제1피동스프라켓휘일(34)은 스프라켓축(37)에 결합되어지며, 상기 스프라켓축(37)에 제2구동스프라켓휘일(38)이 결합되어 제2체인(39)의 하부가 감겨지고, 상기 제2체인(39)의 상부가 지지축(41)에 구비된 제2피동스프라켓휘일(38')에 감겨지되, 상기 구동부(30)가 구비된 프레임(10) 상부와 상기 구동모터(31)가 결합된 하부지지판(32) 하부 사이에 볼트(B)를 관통한 제1코일스프링(CS)이 삽입되어지고, 상기 제1피동스프라켓휘일(34)은 지지다리(35)에 결합된 상부지지판(36)의 스프라켓축(37)에 결합되어지되, 상기 상부지지판(36)의 하부와 지지다리(35)의 상부 사이에 볼트(B)를 관통한 제2코일스프링(CS')이 삽입되며, 상기 건설오니 공급부(60)는 공급컨베이어벨트(61)에 잔류오니제거부(62)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잔류오니 제거부(62)는 컨베이어프레임(64)에 제거축(621)이 회동되게 구비되어지고, 상기 제거축(621)에 스크래퍼(622)가 얹혀져 보강판(623)으로 눌려지며, 상기 제거축(621)의 단부에 아암(624)이 구비되어지고, 상기 아암(624)의 끝에 인장스프링(625)의 일측이 걸려지고, 상기 공급컨베이어벨트(61)에 공급호퍼(63)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공급호퍼(63)는 배출측에 오니조절구(631)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오니조절구(631)는 가이드홀(633) 및 관통홀(632)이 형성된 조절지지대(634)가 배출측 상부에 구비되어지고, 상기 관통홀(632)을 관통한 조절숫나사(635)와 가이드홀(633)에 삽입되는 가이드봉(636)의 하부에 조절판(637)의 상부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열풍이 공급되는 건조룸의 내부에서 수분이 함유된 유기성 오니가 회전되는 회전드럼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이송되어 건조 및 배출되는 과정에서 회전드럼의 구동이 다단 스프라켓과 체인에 의하여 구동되도록 함으로써, 회전속도가 저속으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구동력의 전달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또한, 슬러지 공급부의 공급호퍼의 배출측에 오니조절구가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일정량의 슬러지가 원통체로 투입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슬러지의 균열한 건조가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무기성 및 유기성 건설오니 공급부의 공급컨베이어벨트에 잔류오니제거부가 구비되어지도록 함으로써, 슬러지 공급과정에서 슬러지 공급부의 컨베이어벨트에 잔류된 슬러지가 주변으로 슬러지가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무기성 및 유기성 건설오니 이중 감속형 탈수 및 건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무기성 및 유기성 건설오니 이중 감속형 탈수 및 건조장치 중 구동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무기성 및 유기성 건설오니 이중 감속형 탈수 및 건조장치 중 구동부를 도시한 확대 예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무기성 및 유기성 건설오니 이중 감속형 탈수 및 건조장치 중 건설오니 제거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무기성 및 유기성 건설오니 이중 감속형 탈수 및 건조장치 중 건설오니 제거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무기성 및 유기성 건설오니 이중 감속형 탈수 및 건조장치 중 건설오니 제거부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무기성 및 유기성 건설오니 이중 감속형 탈수 및 건조장치 중 건설오니 제거부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무기성 및 유기성 건설오니 이중 감속형 탈수 및 건조장치 중 건설오니 공급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무기성 및 유기성 건설오니 이중 감속형 탈수 및 건조장치 중 건설오니 공급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무기성 및 유기성 건설오니 이중 감속형 탈수 및 건조장치 중 건설오니 공급부를 도시한 종단면도.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무기성 및 유기성 건설오니 이중 감속형 탈수 및 건조장치(A)는 도1 내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 열풍공급부(20), 구동부(30), 회전드럼(40), 건조룸(50), 무기성 및 유기성 건설오니 공급부(60) 및 배출부(70)로 구비된 것으로 프레임(10)의 일측 상부에 열풍공급부(20)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열풍공급부(20)의 토출측으로 구동부(30)에 의하여 회전되는 회전드럼(40)이 내장된 건조룸(50)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드럼(40)에 무기성 및 유기성 건설오니 공급부(60)를 통해 무기성 및 유기성 건설오니가 투입되게 구비되고, 상기 건조룸(50)의 하부에 배출부(70)가 구비되어 열풍공급부(20)를 통해 열풍이 공급되는 건조룸(50)의 내부에서 수분이 함유된 건설오니(유기성 오니)가 회전되는 회전드럼(40)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이송되어 건조 및 배출되는 과정에서 회전드럼(40)의 구동이 저속으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프레임(10)은 소정 길이를 가지면서 바닥으로 부터 일정 높이를 갖도록 구비된 것으로 다수개의 수직형태를 갖는 프레임 지지다리(11)에 의하여 수평형태를 갖는 프레임 지지대(12)로 구비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 지지대(12)의 상부 일측에 열풍공급부(20), 회전드럼(40), 건조룸(50) 및 구동부(30)가 안정되게 지지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열풍공급부(20)는 외부로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하여 히터(21)에서 발생되는 열이 블로워(22)를 통해 건조룸(50)의 내부로 공급되도록 구비되어 있고, 건조룸(50)으로 공급된 열풍은 내부를 경유한 후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때, 히터(21)의 용량은 65KW-12V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부(30)는 회전드럼(40)의 회전속도가 저속으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충분한 구동력의 전달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프레임(10)의 상부로 볼트와 너트(BN)에 의하여 하부지지판(32)이 결합되어지고, 상기 하부지지판(32)의 상부에 제1구동스프라켓휘일(311)을 갖는 구동모터(31)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1구동스프라켓휘일(311)에 제1체인(33)의 하부가 감겨지며, 상기 제1체인(33)의 상부가 제1피동스프라켓휘일(34)에 감겨지게 구비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피동스프라켓휘일(34)은 상부지지판(36)에 구비된 구비된 스프라켓축(37)에 결합된 것으로 상기 상부지지판(36)은 4개의 지지다리(35)에 볼트와 너트(BN)로 안정되게 지지되도록 결합되어 있다.
상기 스프라켓축(37)에는 제2구동스프라켓휘일(38)이 결합되어 제2체인(39)의 하부가 감겨지며, 상기 제2체인(39)의 상부가 지지축(41)에 구비된 제2피동스프라켓휘일(38')에 감겨짐으로써, 회전속도가 저속으로 유지되는 가운데 충분한 구동력이 전달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한편, 상기 구동부(30)가 구비된 프레임(10) 상부와 하부지지판(32)의 하부 사이에 볼트(B)를 관통한 제1코일스프링(CS)이 삽입되어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비되어 있고, 상기 상부지지판(36)의 하부와 지지다리(35)의 상부 사이에 볼트(B)를 관통한 제2코일스프링(CS')이 삽입되어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더 방지하는 가운데 어느 정도의 유동이 발생되더라도 이를 흡수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회전드럼(40)은 타공체(401)로 형성된 것으로 높이가 다른 각각의 지지대(11)(11') 양측에 지지축(41)의 양단이 베어링(42)으로 결합되며, 상기 지지축(41)에 타공체(402)가 +형 로드(43)에 의하여 결합되어지게 구비되어 있다. 이때, 지지대(41)를 포함하는 타공체(401)가 소정 경사각을 갖도록 구비되어 있음으로써, 타공체(401)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내부로 투입된 무기성 및 유기성 건설오니는 기울어진 방향으로 혼합된 상태로 이동되면서 열풍에 의하여 건조되어지게 되고, 건조된 일부의 무기성 및 유기성 건설오니는 하부로 배출되어 배출컨베이어벨트(80)를 통해 외부로 적재된다. 한편, 지지축(41)의 양측단 또는 일측단부에는 축방향으로 밀리는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트러스트 베어링이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조룸(50)은 프레임(10)의 상부에 무기성 및 유기성 건설오니가 투입되는 투입측 및 건조된 무기성 및 유기성 건설오니가 배출되는 배출측을 제외한 모든 면이 폐쇄된 형태를 갖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무기성 및 유기성 건설오니 공급부(60)는 공급호퍼(63)의 배출측에 오니조절구(631)가 구비되어 일정량의 슬러지가 원통체로 투입될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슬러지 공급과정에서 공급컨베이어벨트(61)에 잔류된 슬러지가 주변으로 슬러지가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공급컨베이어벨트(61)의 일측에 잔류오니제거부(62)가 구비되어지며, 타측에 공급호퍼(63)가 구비되어있다.
상기 오니조절구(631)는 공급호퍼(63)의 배출측에 구비된 것으로 관통홀(632)의 양측으로 가이드홀(633)(633')이 형성된 조절지지대(634)가 배출측 상부에 구비되어있다.
상기 관통홀(632)에 관통되게 결합되는 조절숫나사(635)와 가이드홀(633)에 삽입되는 가이드봉(636)의 하부에 조절판(637)의 상부가 결합되어 조절숫나사(635)에 의하여 조절판(637)의 위치가 가변되어 오니량이 조절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조절숫나사(635)에 조절너트(638)이 나사결합되어 있어 가능해진다.
상기 잔류오니 제거부(62)는 컨베이어프레임(64)에 스크래퍼(622)가 구비된 제거축(621)이 회동되게 구비된것으로 상기 제거축(621)에는 다수개의 볼트(B)가 축방향으로 일정간격 유지되게 구비되어지고, 상기 스크래퍼(622)가 제거축(621)에 얹혀져 보강판(623)으로 눌려지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스크래퍼(622)와 보강판(623)을 관통하여 노출된 볼트(B)에 너트(N)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제거축(621)의 단부에 아암(624)이 구비되어있다.
상기 아암(624)의 끝에 인장스프링(625)의 일측이 걸려지며, 상기 인장스프링(625)의 타측이 고정핀(626)에 걸려져 인장스프링(625)의 탄성력에 의하여 스크래프(622)의 단부가 공급컨베이어벨트(61)에 항상 맞대어진 상태가 유지됨에 따라 공급컨베이어벨트(61)에 잔류된 무기성 및 유기성 건설오니가 제거되어 회전드럼(40)의 타공체(401) 내부로 투입되어지게 된다.
상기 배출부(70)는 프레임(10)의 하부에 구비된 것으로 열풍공급부(20)가 구비된 하부로는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컨베이어벨트(80)가 구비되어 있고, 건조룸(50)과 무기성 및 유기성 건설오니 공급부(60)의 하부로는 재공급컨베이어벨트(81)가 구비되어 있어 미건조된 무기성 및 유기성 건설오니 공급부(60)를 통해 재공급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무기성 및 유기성 건설오니 이중 감속형 탈수 및 건조장치(A)에 의하여 무기성 및 유기성 건설오니가 건조되어지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구동부(30)의 구동모터(31)를 구동시킴과 동시에 제1구동스프라켓휘일(311)과 제1체인(33)에 의하여 제1피동스프라켓휘일(34)이 회전되어지고, 제1피동스프라켓휘일(34)의 회전에 의하여 스프라켓축(37) 및 제2구동스프라켓휘일(38)이 회전되고, 이어 제2체인(39)에 의하여 제2피동스프라켓휘일(38')이 회전됨으로써, 지지축(41)에 의하여 타공체(401)로 이루어진 회전드럼(40)이 회전되어지게 된다.
다음, 열풍구동부(30)의 히터(21)를 통해 발생된 열풍이 건조룸(50)의 내부로 공급되어 이동되는 과정에서 무기성 및 유기성 건설오니 공급부(60)를 통해 수분이 함유된 무기성 및 유기성 건설오니가 회전드럼(40)의 내부로 투입되어지게 되고, 이 과정에서 투입되는 무기성 및 유기성 건설오니의 투입량은 오니조절구(631)의 조절판(637)의 개도량에 의하여 정해지게 된다. 이때, 공급컨베이어벨트(61)의 표면에 잔류된 무기성 및 유기성 건설오니는 스크래퍼(62)에 의하여 제거되며, 제거된 무기성 및 유기성 건설오니는 회전드럼(40)의 내부로 투입되어지게 된다.
다음, 회전드럼(40)의 내부로 투입된 무기성 및 유기성 건설오니는 고온의 열풍에 의하여 건조됨과 동시에 회전드럼(40)의 경사각에 의하여 투입측에서 배출측으로 이동되는 가운데 혼합되어지면서 더 용이하게 건조되어지게 되고, 건조된 후 배출구(7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지게 된다. 이때, 배출되어지는 무기성 및 유기성 건설오니의 일부 즉, 건조되지 않은 무기성 및 유기성 건설오니는 순환컨베이어벨트(81)를 통해 무기성 및 유기성 건설오니 공급부(60)의 공급호퍼(63)로 재공급되어 회전드럼(40)으로 재투입되어지고, 건조된 무기성 및 유기성 건설오니 배출구(70)에 구비된 배출컨베이어벨트(80)를 통해 외부로 적재되어지게 된다.
10:프레임 11,11':지지대
20:열풍공급부 30:구동부
31:구동모터 32:하부지지판
33:제1체인 34:제1피동스프라켓휘일
35:지지다리 36:상부지지판
37:스프라켓축 38:제2구동스프라켓휘일
39:제2체인 38':제2피동스프라켓휘일
40:회전드럼 41:지지축
42:베어링 43:로드
50:건조룸 60:무기성 및 유기성 건설오니 공급부

Claims (4)

  1. 프레임(10)의 일측 상부에 열풍공급부(20)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열풍공급부(20)의 토출측으로 구동부(30)에 의하여 회전되는 회전드럼(40)이 내장된 건조룸(50)이 구비되어지고, 상기 회전드럼(40)에 무기성 및 유기성 건설오니 공급부(60)를 통해 무기성 및 유기성 건설오니가 투입되게 구비되고, 상기 건조룸(50)의 하부에 배출부(70)가 구비된 무기성 및 유기성 건설오니 이중 감속형 탈수 및 건조장치(A)에 있어서,
    상기 회전드럼(40)은 높이가 다른 각각의 지지대(11)(11') 양측에 지지축(41)이 베어링(42)으로 결합되며, 상기 구동부(30)는 구동모터(31)가 가지는 제1구동스프라켓휘일(311)에 제1체인(33)의 하부가 감겨지며, 상기 제1체인(33)의 상부가 제1피동스프라켓휘일(34)에 감겨지되, 상기 제1피동스프라켓휘일(34)은 스프라켓축(37)에 결합되어지며, 상기 스프라켓축(37)에 제2구동스프라켓휘일(38)이 결합되어 제2체인(39)의 하부가 감겨지고, 상기 제2체인(39)의 상부가 지지축(41)에 구비된 제2피동스프라켓휘일(38')에 감겨지되,
    상기 구동부(30)가 구비된 프레임(10) 상부와 상기 구동모터(31)가 결합된 하부지지판(32) 하부 사이에 볼트(B)를 관통한 제1코일스프링(CS)이 삽입되어지고, 상기 제1피동스프라켓휘일(34)은 지지다리(35)에 결합된 상부지지판(36)의 스프라켓축(37)에 결합되어지되, 상기 상부지지판(36)의 하부와 지지다리(35)의 상부 사이에 볼트(B)를 관통한 제2코일스프링(CS')이 삽입되며,
    상기 건설오니 공급부(60)는 공급컨베이어벨트(61)에 잔류오니제거부(62)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잔류오니 제거부(62)는 컨베이어프레임(64)에 제거축(621)이 회동되게 구비되어지고, 상기 제거축(621)에 스크래퍼(622)가 얹혀져 보강판(623)으로 눌려지며, 상기 제거축(621)의 단부에 아암(624)이 구비되어지고, 상기 아암(624)의 끝에 인장스프링(625)의 일측이 걸려지고,
    상기 공급컨베이어벨트(61)에 공급호퍼(63)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공급호퍼(63)는 배출측에 오니조절구(631)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오니조절구(631)는 가이드홀(633) 및 관통홀(632)이 형성된 조절지지대(634)가 배출측 상부에 구비되어지고, 상기 관통홀(632)을 관통한 조절숫나사(635)와 가이드홀(633)에 삽입되는 가이드봉(636)의 하부에 조절판(637)의 상부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성 및 유기성 건설오니 이중 감속형 탈수 및 건조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40162479A 2014-11-20 2014-11-20 무기성 및 유기성 건설오니 이중 감속형 탈수 및 건조장치 KR1015536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2479A KR101553677B1 (ko) 2014-11-20 2014-11-20 무기성 및 유기성 건설오니 이중 감속형 탈수 및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2479A KR101553677B1 (ko) 2014-11-20 2014-11-20 무기성 및 유기성 건설오니 이중 감속형 탈수 및 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3677B1 true KR101553677B1 (ko) 2015-09-17

Family

ID=54248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2479A KR101553677B1 (ko) 2014-11-20 2014-11-20 무기성 및 유기성 건설오니 이중 감속형 탈수 및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36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27753A (zh) * 2018-03-30 2018-11-16 南京亚底米电子科技有限公司 具有自动传送系统的土壤烘干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9108B1 (ko) * 2014-01-27 2014-08-12 (주)대원환경산업 건설 오니 및 잔골재의 탈수 건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9108B1 (ko) * 2014-01-27 2014-08-12 (주)대원환경산업 건설 오니 및 잔골재의 탈수 건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27753A (zh) * 2018-03-30 2018-11-16 南京亚底米电子科技有限公司 具有自动传送系统的土壤烘干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14363B2 (ja) 廃棄物をプレス処理及び脱水するための装置
KR20180027123A (ko) 고형원료 제조시스템
KR101471168B1 (ko) 건조기능이 향상된 음식물 쓰레기처리기
KR100591201B1 (ko) 슬러지 건조장치
KR102057682B1 (ko) 오니 건조장치
KR101921692B1 (ko) 슬러지와 가축분뇨와 음식물쓰레기와 음폐수의 교반 소멸장치
JP5193284B2 (ja) 有機汚泥の資源化装置
US20130019493A1 (en) Method of processing and drying waste in a cyclic continuous process
KR100267141B1 (ko)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1034569B1 (ko) 슬러지 고화처리장치
JP5627159B1 (ja) 固形燃料製造装置、及び固形燃料製造方法
KR0177364B1 (ko) 유.무기성 슬러지의 건조방법 및 그 장치
KR101553677B1 (ko) 무기성 및 유기성 건설오니 이중 감속형 탈수 및 건조장치
JP2001124474A (ja) 乾燥機
KR101696689B1 (ko) 복합 회전형 건습식 혐기소화조 시스템
KR101330504B1 (ko) 슬러지 처리장치
KR101250757B1 (ko) 고형연료 제조시스템
KR20140003135A (ko) 유·무기성 슬러지 건조를 위한 난류접촉식 슬러지 건조 시스템
KR20140110256A (ko) 참하나신개념건조시스템
KR100887622B1 (ko) 하수고도처리장의 슬러지 건조장치
KR101698296B1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 시스템
KR100561484B1 (ko) 폐열 및 폐가스를 이용한 오폐수 및 상하수도 슬러지케이크 건조장치
KR101929788B1 (ko) 유기성슬러지 처리를 위한 바이오 드라잉 시스템
KR20030054134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277150B1 (ko) 유기성 오니 건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