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3780B1 - Fe계 자성 합금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Fe계 자성 합금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83780B1 KR101883780B1 KR1020170119547A KR20170119547A KR101883780B1 KR 101883780 B1 KR101883780 B1 KR 101883780B1 KR 1020170119547 A KR1020170119547 A KR 1020170119547A KR 20170119547 A KR20170119547 A KR 20170119547A KR 101883780 B1 KR101883780 B1 KR 10188378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gnetic alloy
- alloy
- present
- based magnetic
- emu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01F1/0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 H01F1/1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 H01F1/14—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 H01F1/147—Alloy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 H01F1/153—Amorphous metallic alloys, e.g. glassy metals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45/00—Amorphous alloys
- C22C45/02—Amorphous alloys with iron as the major constituen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01F1/0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 H01F1/1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 H01F1/14—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 H01F1/147—Alloy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206—Manufacturing of magnetic cores by mechanical means
- H01F41/0246—Manufacturing of magnetic circuits by moulding or by pressing pow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oft Magnetic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Fe계 자성 합금으로서, 중량%로, B: 2~4 %, P: 4 % 이하, N: 0.15 % 이하, Hf: 2~5 %, C: 0.5~1.5 %,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비정질상과 나노결정상을 모두 포함하는 Fe계 자성 합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Fe계 자성 합금은 우수한 자기적 특성을 갖는 Fe계 자성 합금으로, 전자기기의 소형화 및 고효율화에 부응할 수 있는 자기적 특성을 보유할 수 있으며, Fe계 자성 합금에 포함된 N의 함량, 비정질상의 vol.% 및 P과 N의 총 함량에 따라 다양한 범위의 자화값(M)을 가져 사용 용도에 따라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Fe계 자성 합금은 우수한 자기적 특성을 갖는 Fe계 자성 합금으로, 전자기기의 소형화 및 고효율화에 부응할 수 있는 자기적 특성을 보유할 수 있으며, Fe계 자성 합금에 포함된 N의 함량, 비정질상의 vol.% 및 P과 N의 총 함량에 따라 다양한 범위의 자화값(M)을 가져 사용 용도에 따라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Fe계 자성 합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Fe계 자성 합금에 포함된 N의 함량, 비정질상의 vol.% 및 P과 N의 총 함량에 따라 우수한 자기적 특성을 갖는 Fe계 자성 합금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금속 합금은 액상으로부터 응고 시 원자의 배열이 규칙적인 결정상이 형성된다. 그러나 응고 시 냉각속도가 임계 값 이상으로 충분히 커서 결정상의 핵 생성 및 성장이 제한되어 질 수 있다면, 액상의 불규칙적인 원자 구조가 그대로 고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합금을 통상 비정질 합금(amorphous alloy) 혹은 금속기 비정질(metallic glass)이라 칭한다. 비정질 금속재료는 원자 구조 배열의 성질에 의해 결정질 금속재료보다 훨씬 더 높은 인장강도를 가지며, 인성 및 내식성 등 우수한 특성을 가진다.
철계 비정질 연자성 재료는 단가가 낮고, 포화자화(Saturation Magnetization)가 높고, 보자력(Coercivity)이 낮고, 투자율(Permeability)이 높은 특성 때문에 개발이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뛰어난 기계적 특성과 동시에 전자기기의 소형화 및 고효율화에 부응할 수 있는 우수한 자기적 특성 보유한 Fe계 자성 합금 기술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우수한 자기적 특성을 가지는 Fe계 자성 합금으로 전자기기의 소형화 및 고효율화에 부응할 수 있는 자성 특성 보유하는 Fe계 자성 합금을 제공하는데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우수한 자기적 특성을 갖는 Fe계 자성 합금 분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Fe계 자성 합금은 중량%로, B: 2~4 %, P: 4 % 이하(0% 제외), N: 0.15 % 이하(0% 제외), Hf: 2~5 %, C: 0.5~1.5 %,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비정질상과 나노결정상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중량%로, N: 0.1 % 이하(0% 제외) 를 포함하고, 자화값(M)이 170 내지 240 emu/g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중량%로, N: 0.005~0.08 % 를 포함하고, 자화값(M)이 190 내지 240 emu/g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중량%로, N: 0.01~0.06 % 를 포함하고, 자화값(M)이 210 내지 240 emu/g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Fe계 자성 합금은 비정질상이 85 vol% 이상 100 vol.% 미만이고, 자화값(M)이 170 내지 240 emu/g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Fe계 자성 합금은 비정질상이 87 내지 97 vol.%이고, 자화값(M)이 190 내지 240 emu/g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자성 합금은 P과 N 함량의 합이 3 중량% 이하이고, 자화값(M)이 170 내지 240 emu/g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자성 합금은 P과 N 함량의 합이 2.5 중량% 이하이고, 자화값(M)이 190 내지 240 emu/g 일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Fe계 자성 합금 제조방법은 Fe계 자성 합금 재료를 용해하여 모합금을 제조하는 단계, 질화철(Fe Nitride) 분말을 소결하여 벌크화하는 단계 및 상기 모합금에 상기 벌크 질화철을 배합하고 급속응고법(melt spinning)을 통하여 리본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중량%로, B: 2~4 %, P: 4 % 이하(0% 제외), N: 0.15 % 이하(0% 제외), Hf: 2~5 %, C: 0.5~1.5 %,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비정질상과 나노결정상을 모두 포함하는 합금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Fe계 자성 합금은 우수한 자기적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Fe계 자성 합금은 전자기기의 소형화 및 고효율화에 부응할 수 있는 자성 특성 보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Fe계 자성 합금에 포함된 N의 함량, 비정질상의 vol.% 및 P과 N의 총 함량에 따라 다양한 범위의 자화값(M)을 가져 사용 용도에 따라 적용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효과들은 예시적으로 기재되었고, 이러한 효과들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합금의 미세조직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합금의 N 함량(wt%)에 따른 자화값 평균(M-avg)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합금의 비정질분율(vol.%)에 따른 자화값 평균(M-avg)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합금의 N 함량(wt%)에 따른 자화값 평균(M-avg)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합금의 비정질분율(vol.%)에 따른 자화값 평균(M-avg)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동일한 부호는 시종 동일한 요소를 의미한다. 나아가, 도면에서의 다양한 요소와 영역은 개략적으로 그려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Fe계 자성 합금은 중량%로, B: 2~4 %, P: 4 % 이하(0% 제외), N: 0.15 % 이하(0% 제외), Hf: 2~5 %, C: 0.5~1.5 %,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비정질상과 나노결정상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Fe는 본 발명에 따른 자성 합금에 해당하게 하는 핵심 원소로서, 특히, Fe 원소를 85 내지 95 wt% 포함하여 합금의 연자성 특성 및 우수한 자기적 특성을 확보할 수 있다. 단. Fe 원소가 85 wt% 미만에서는 포화자속밀도가 저하한다. 저비용의 Fe 이 주성분인 합금조성으로 우수한 자기적 특성을 갖는 합금을 낮은 가격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B는 첨가되어 내마모성을 증가시키고, 결정질-비정질 변태를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B의 함량이 본 발명에 따른 합금용 조성물에서 2 wt% 미만일 경우 상기와 같은 보론 첨가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없고, 4 wt%를 초과할 경우에는 과다 보론 함유로 인한 Fe계 비정질 합금의 취성이 증가되어 내충격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B은 Fe에 비해 원자반경이 32% 작기 때문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합금계의 액상온도를 저하시키면서 비정질 형성능이 증가하고, 4 wt% 초과할 경우는 Fe2B, Fe23B6 등의 결정상이 석출되어 비정질 형성능이 감소한다.
또한, 상기 P 역시 비정질을 형성하는 핵심 원소로서, 합금의 성형성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강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첨가량이 4 wt% 를 초과할 경우 강도 상승에도 불구하고, Fe계 비정질 합금의 취성이 급격히 증가할 수 있다. 특히, 5 wt% 이상에서 열적안정성의 저하가 문제되므로 P의 첨가량은 4 wt% 이하(0% 제외)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Hf 를 2 wt% 이상을 포함하여 합금의 연자성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6 wt% 이상에서 열적안정성의 저하가 문제되므로 2 내지 5 wt% 가 바람직하다.
상기 C는 합금 내에서 침입형 고용 강화(interstitial solid solution hardening) 효과를 나타내고, Fe에 비해 원자반경이 47% 작기 때문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합금계의 액상온도를 저하시키면서 비정질 형성능이 증가한다. 반면에 C가 0.5 wt% 미만에서는 원하는 비정질 형성능을 얻을 수 없고, 첨가량이 1.5 wt%를 초과하는 경우 취성이 강하여 내충격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어 0.5 내지 1.5 wt% 첨가가 바람직하다. 상기 C를 0.5 내지 1.5 wt%를 포함하여 적정 비정질 형성능(Glass-forming ability, GFA)의 합금 제조할 수 있다.
상기 N은 철과 함께 자성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상기 N을 0.15 wt% 이하(0% 제외) 포함하여 핵생성을 조장하고 낮은 냉각속도로 결정을 성장시킬 수 있는 동시에 자성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Fe계 자성 합금은 중량%로, N: 0.1 % 이하(0% 제외) 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170 내지 240 emu/g 범위의 자화값(M)을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중량%로, P: 3 % 이하(0% 제외) 및 Hf: 3~4 %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중량%로, N: 0.005~0.08 % 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190 내지 240 emu/g 범위의 자화값(M)을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중량%로, P: 2.5 % 이하(0% 제외)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중량%로, N: 0.01~0.06 % 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210 내지 240 emu/g 범위의 자화값(M)을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중량%로, P: 2 % 이하(0% 제외)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자성 합금에 포함된 N 함량에 따라 자성 특성 향상에 영향을 주며, 0.01~0.06 중량%의 N를 포함하는 경우, 210 내지 240 emu/g 범위의 자화값(M)을 가져 우수한 자기적 특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Fe계 자성 합금은 비정질상과 나노결정상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Fe계 자성 합금은 비정질 기지 내에 나노미터 크기의 결정상이 부분결정화 된 비정질 기지 복합재일 수 있다. 나노 결정상이 부분결정화된 비정질 기지 복합재는 뛰어난 기계적 특성과 우수한 자기적 성질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Fe계 자성 합금은 비정질상이 85 vol% 이상 100 vol.%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170 내지 240 emu/g 범위의 자화값(M)을 가진다. 또한, 상기 Fe계 자성 합금은 비정질상이 87 내지 97 vol.%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190 내지 240 emu/g 범위의 자화값(M)을 가진다. 이와 같이 상기 자성 합금의 비정질상 vol.%가 자성 특성 향상에 영향을 주며, 90vol.%의 비정질상 및 10vol.% 나노결정을 가질 때 220 내지 240 emu/g 범위의 자화값(M)을 가져 우수한 자기적 특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Fe계 자성 합금은 P과 N 함량의 합이 3 중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이 경우, 170 내지 240 emu/g 범위의 자화값(M)을 가진다. 또한, 상기 자성 합금은 P과 N 함량의 합이 2.5 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190 내지 240 emu/g 범위의 자화값(M)을 가진다. 이와 같이 상기 자성 합금의 P과 N 총 중량%이 자성 특성 향상에 영향을 주며, P과 N 함량의 합이 2 중량% 이하에서 최대 자화값(M)을 가질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Fe계 자성 합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인덕터 또는 트렌스포머 등에 사용될 수 있으며, 기존의 Fe-Si-Al계 합금보다 투자율이 높고, 철손이 낮아 이를 대체할 수 있다. 높은 자화값을 가져 전자기기의 소형화 및 고효율화에 부응할 수 있는 자기적 특성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Fe계 자성 합금 제조방법은 Fe계 자성 합금 재료를 용해하여 모합금을 제조하는 단계, 질화철(Fe Nitride) 분말을 소결하여 벌크화하는 단계 및 상기 모합금에 상기 벌크 질화철을 배합하고 급속응고법(melt spinning)을 통하여 리본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중량%로, B: 2~4 %, P: 4 % 이하(0% 제외), N: 0.15 % 이하(0% 제외), Hf: 2~5 %, C: 0.5~1.5 %,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비정질상과 나노결정상을 모두 포함하는 합금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Fe계 자성 합금은 리본 형상일 수 있으며, 상기 Fe계 자성 합금 제조방법은 모합금 제조단계, 벌크 질화철 제조 단계 및 리본 제조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모합금 제조단계는 Fe계 자성 합금 재료를 용해하여 모합금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용탕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자성 합금 조성물을 용융 도가니 내부로 장입시키고, 용융 도가니 내부의 온도를 1500℃ 이상으로 높여 용탕을 형성한다.
상기 벌크 질화철 제조 단계는 질화철(Fe Nitride) 분말을 소결하여 벌크화하는 단계이다. 분말 질소를 첨가하는 경우, 질소가 분산되어 날아갈 수 있으나, 벌크 질화철을 제조하여 용해하여 필요량의 질소 첨가가 가능하다.
상기 리본 제조 단계는 상기 모합금에 상기 벌크 질화철을 배합하고 급속응고법(melt spinning)을 통하여 리본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리본 제조 단계는 상기 모합금 및 상기 벌크 질화철을 배합하여 급속응고법(melt spinning)을 통하여 리본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2500 내지 3500rpm으로 폭 2~3mm의 리본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성 합금은 170 내지 240 emu/g 범위의 자화값(M)을 가진다. 이와 같이, 높은 자화값을 가져 전자기기의 소형화 및 고효율화에 부응할 수 있는 자기적 특성을 보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성 합금에 포함된 N의 함량, 비정질상의 vol.% 및 P과 N의 총 함량에 따라 다양한 범위의 자화값(M)을 가져 사용 용도에 따라 적용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 과정의 세부 사항을 설명하고자 한다.
표 1은 질소를 포함하지 않은 Fe-B-P-Hf-C 합금 및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수한 자기적 특성을 갖는 Fe-B-P-N-Hf-C 합금의 조성을 나타낸 표이다.
아래 표1과 같은 합금 조성을 가진 합금을 진공 arc 용해로를 통해 용해하여 모합금을 제조하고, 상기 모합금을 melt spinning(급속 응고법)을 활용하여 리본을 제조(ribbon의 폭 2~3mm) 하였다.
구분 | B | P | N | Hf | C |
비교예 1 | 2.91 | 3.21 | 0 | 3.7 | 1 |
비교예 2 | 2.92 | 2.58 | 0.0024 | 3.72 | 1 |
실시예 1 | 2.94 | 1.94 | 0.0064 | 3.72 | 1 |
실시예 2 | 2.95 | 1.3 | 0.0205 | 3.74 | 1 |
실시예 3 | 2.96 | 0.65 | 0.0164 | 3.75 | 1 |
실시예 4 | 2.92 | 2.58 | 0.0921 | 3.72 | 1 |
실시예 5 | 2.95 | 1.3 | 0.0704 | 3.73 | 1 |
실시예 6 | 2.96 | 0.65 | 0.0779 | 3.75 | 1 |
도 1은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합금의 미세조직 사진으로 각각 (a) 리본 합금의 [Ⅰ] 비정질 영역 [Ⅱ] 결정상 (b) 비정질 영역 이미지, (c) 비정질 영역 회절패턴, (d) 결정상 이미지, (e) 결정상 회절패턴, (f) 결정상 고해상도 이미지 이다.
도 1과 같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합금의 비정질 기지 내의 결정상은 나노결정립으로 확인되며, 비정질 기지 내에 나노미터 크기의 결정상이 부분결정화 된 비정질 기지 복합재는 뛰어난 기계적 특성과 우수한 자기적 성질을 가질 수 있다.
표 2는 제조된 합금의 특성치(N 함량(ppm), 비정질분율(vol.%), N+P 함량(wt%), 자화값(emu/g)의 최대, 최소 및 평균)를 나타낸 표이다.
구분 | N (ppm) |
Amorphous fraction (vol.%) |
N+P (wt%) |
M-max (emu/g) |
M-min (emu/g) |
M-ave (emu/g) |
비교예 1 | 0 | 100 | 3.21 | 152.93 | 141.86 | 147.395 |
비교예 2 | 24 | 100 | 2.58 | 168.2 | 167.93 | 168.065 |
실시예 1 | 64 | 93.4 | 1.95 | 196.05 | 195.98 | 196.015 |
실시예 2 | 205 | 93.3 | 1.32 | 217.05 | 213.75 | 215.4 |
실시예 3 | 164 | 90.85 | 0.67 | 232.2 | 225.04 | 228.62 |
실시예 4 | 921 | 85.63 | 2.67 | 179.67 | 175.02 | 177.345 |
실시예 5 | 704 | 94.21 | 1.37 | 205.95 | 200.4 | 203.175 |
실시예 6 | 779 | 95.83 | 0.73 | 209.74 | 197.83 | 203.785 |
본 발명에 따른 Fe계 자성 합금은 중량%로, B: 2~4 %, P: 4 % 이하(0% 제외), N: 0.15 % 이하(0% 제외), Hf: 2~5 %, C: 0.5~1.5 %,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한다.
특히, 중량%로, N: 0.1 % 이하(0% 제외) 를 포함하는 경우, 170 내지 240 emu/g 범위의 자화값(M)을 가지고, N: 0.005~0.08 % 를 포함하는 경우, 190 내지 240 emu/g 범위의 자화값(M)을 가지며, N: 0.005~0.08 % 를 포함하는 경우, 210 내지 240 emu/g 범위의 자화값(M)을 가진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합금의 N 함량(wt%)에 따른 자화값 평균(M-avg)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와 같이 상기 자성 합금에 포함된 N 함량이 자성 특성 향상에 영향을 주며, 0.01~0.06 중량%의 N를 포함하는 경우 최대 자화값(M)을 가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합금의 비정질분율(vol.%)에 따른 자화값 평균(M-avg)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에 따른 Fe계 자성 합금은 비정질상과 나노결정상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Fe계 자성 합금의 비정질상이 85 vol% 이상 100 vol.% 미만인 경우, 170 내지 240 emu/g 범위의 자화값(M)을 가지고, 비정질상이 87 내지 97 vol.%인 경우, 190 내지 240 emu/g 범위의 자화값(M)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자성 합금의 비정질상 vol.%가 자성 특성 향상에 영향을 주며, 90vol.%의 비정질상 및 10vol.% 나노결정을 가질 때 최대 자화값(M)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Fe계 자성 합금은 P과 N 함량의 합이 3 중량% 이하인 경우, 170 내지 240 emu/g 범위의 자화값(M)을 가지고, 상기 자성 합금은 P과 N 함량의 합이 2.5 중량% 이하인 경우, 190 내지 240 emu/g 범위의 자화값(M)을 가진다.
상기 P과 N 함량의 합이 3 중량%을 초과하는 비교예의 경우 140 내지 155 emu/g 범위의 자화값(M)을 가져 필요한 자기적 특성을 가질 수 없다. 이와 같이 상기 자성 합금의 P과 N 총 중량%이 자성 특성 향상에 영향을 주며, P과 N 함량의 합이 2 중량% 이하에서 최대 자화값(M)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성 합금은 170 내지 240 emu/g 의 높은 자화값을 가져 전자기기의 소형화 및 고효율화에 부응할 수 있는 자기적 특성을 보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성 합금에 포함된 N의 함량, 비정질상의 vol.% 및 P과 N의 총 함량에 따라 다양한 범위의 자화값(M)을 가져 사용 용도에 따라 적용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속하는 기술 분야 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Claims (9)
- 중량%로, B: 2~4 %, P: 4 % 이하(0% 제외), N: 0.15 % 이하(0% 제외), Hf: 2~5 %, C: 0.5~1.5 %,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며,
비정질상이 85 vol% 이상 100 vol.% 미만이고, 자화값(M)이 170 내지 240 emu/g 인, 비정질상과 나노결정상을 모두 포함하는 Fe계 자성 합금.
- 제1항에 있어서,
중량%로, N: 0.1 % 이하(0% 제외) 를 포함하고, 자화값(M)이 170 내지 240 emu/g 인 Fe계 자성 합금.
- 제1항에 있어서,
중량%로, N: 0.005~0.08 % 를 포함하고, 자화값(M)이 190 내지 240 emu/g 인 Fe계 자성 합금.
- 제1항에 있어서,
중량%로, N: 0.01~0.06 % 를 포함하고, 자화값(M)이 210 내지 240 emu/g 인 Fe계 자성 합금.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Fe계 자성 합금은 비정질상이 87 내지 97 vol.%이고, 자화값(M)이 190 내지 240 emu/g 인 Fe계 자성 합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합금은 P과 N 함량의 합이 3 중량% 이하이고, 자화값(M)이 170 내지 240 emu/g 인 Fe계 자성 합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합금은 P과 N 함량의 합이 2.5 중량% 이하이고, 자화값(M)이 190 내지 240 emu/g 인 Fe계 자성 합금.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19547A KR101883780B1 (ko) | 2017-09-18 | 2017-09-18 | Fe계 자성 합금 및 이의 제조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19547A KR101883780B1 (ko) | 2017-09-18 | 2017-09-18 | Fe계 자성 합금 및 이의 제조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83780B1 true KR101883780B1 (ko) | 2018-08-01 |
Family
ID=63227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19547A KR101883780B1 (ko) | 2017-09-18 | 2017-09-18 | Fe계 자성 합금 및 이의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83780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945696A (zh) * | 2020-01-16 | 2022-08-26 | 可隆工业株式会社 | 复合材料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62205B1 (ko) | 1995-01-13 | 2000-07-15 | 에모또 간지 | 연자기특성이 우수한 저붕소 비정질 합금 |
KR100561891B1 (ko) | 2002-09-11 | 2006-03-16 |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 비정질 연자성 합금분말 및 이를 이용한 압분 코어와 전파흡수체 |
KR20170045995A (ko) * | 2015-10-20 | 2017-04-28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연자성 합금 |
-
2017
- 2017-09-18 KR KR1020170119547A patent/KR10188378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62205B1 (ko) | 1995-01-13 | 2000-07-15 | 에모또 간지 | 연자기특성이 우수한 저붕소 비정질 합금 |
KR100561891B1 (ko) | 2002-09-11 | 2006-03-16 |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 비정질 연자성 합금분말 및 이를 이용한 압분 코어와 전파흡수체 |
KR20170045995A (ko) * | 2015-10-20 | 2017-04-28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연자성 합금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945696A (zh) * | 2020-01-16 | 2022-08-26 | 可隆工业株式会社 | 复合材料 |
CN114945696B (zh) * | 2020-01-16 | 2024-07-23 | 可隆工业株式会社 | 复合材料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181346B2 (ja) | 合金組成物、Fe基ナノ結晶合金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磁性部品 | |
US6053989A (en) | Amorphous and amorphous/microcrystalline metal alloys and methods for their production | |
JP4863377B2 (ja) | サマリウム−鉄系永久磁石材料 | |
JP5916983B2 (ja) | 合金組成物、Fe基ナノ結晶合金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磁性部品 | |
KR20200049641A (ko) | 연자성 합금 분말, 압분 자심, 자성 부품 및 전자 기기 | |
JP5059035B2 (ja) | 高弾性・恒弾性合金及びその製造法並びに精密機器 | |
KR101883780B1 (ko) | Fe계 자성 합금 및 이의 제조 방법 | |
CN108475567B (zh) | 合金组合物、磁性材料、粘结磁体及其制造方法 | |
CN105755345A (zh) | 一种具有磁场可控变形的稀土磁性材料及其制备方法 | |
KR101783553B1 (ko) | 질소가 첨가된 비정질 연자성 합금 및 이의 제조 방법 | |
US11651879B2 (en) | Fe-based soft magnetic allo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KR101473763B1 (ko) | 연자성 비정질 합금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2614171B1 (ko) | 하이엔트로피 합금 | |
KR101562830B1 (ko) | 철계 연자성 나노 결정질상을 포함하는 복합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 |
KR20220087349A (ko) | 고강도 중엔트로피 합금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708114B1 (ko) | 비정질 연자성 합금 | |
JP2021134374A (ja) | Fe基アモルファス合金及びその製造方法 | |
KR20220100037A (ko) | 적층 제조용 금속 분말 | |
CN114008728A (zh) | 钐铁氮系磁性材料 | |
KR20240080854A (ko) | 철계 비정질 연자성 합금 | |
KR102723485B1 (ko) | 연자성 비정질 합금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2202259B1 (ko) | 편상 흑연 주철,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카운터 웨이트 | |
JP6376840B2 (ja) | 永久磁石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 |
KR20240018015A (ko) | 연자성 비정질 합금 및 이의 제조방법 | |
JP3380575B2 (ja) | R−B−Fe系鋳造磁石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