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2623B1 - A grill movable type roast board - Google Patents

A grill movable type roast boar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2623B1
KR101882623B1 KR1020170124586A KR20170124586A KR101882623B1 KR 101882623 B1 KR101882623 B1 KR 101882623B1 KR 1020170124586 A KR1020170124586 A KR 1020170124586A KR 20170124586 A KR20170124586 A KR 20170124586A KR 101882623 B1 KR101882623 B1 KR 1018826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sting
chain
rods
rod
gri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45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근호
Original Assignee
이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근호 filed Critical 이근호
Priority to KR1020170124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262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2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262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9Details of the food supports not specially adapted to one of the preceding types of food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grill movable type roaster, which includes a bucket groove and a rod rolling unit on a ch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oasting rods forming a grill roasting plate are sequentially transported by the chain while rotating, thereby preventing meat from sticking to the roasting rods; and the sequentially transported roasting rods are aligned in a stable position to form the grill roasting plate and prevent the meat from falling between the rods. When the roasting rods are dropped into a collecting case though a drop guiding piece, the dropped roasting rods are uniformly distributed inside the collecting case instead of being concentrated on one point, and the usage convenience for supplying, meat grilling, and roasting rod collecting processes are improved.

Description

그릴 이동형 구이기 {A grill movable type roast board}A grill movable type roast board

본 발명은 그릴 이동형 구이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버킷 일체형의 체인으로 이루어지는 이송부를 따라 전개되는 구이용 봉이 회전하면서 순차 이송하여 조밀하게 놓여지게 함으로서 하나의 그릴형 구이판이 형성되도록 하며, 구이용 봉의 공급이 시작되는 지점에 고기를 올려 놓으면 체인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버킷에 양단이 거치된 상태로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구이용 봉 위의 고기는 숯불 위를 서서히 지나면서 골고루 익히게 되는 그릴 이동형 구이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ill moving type grill, and more particularly, to a grill moving type grill, in which a grill rod developed along a conveying portion composed of a chain having a bucket integrated type is sequentially transferred and densely placed so as to form a single grill type grill, The meat on the roasting bar, which is continuously fed with the both ends thereof mounted on a bucket integrally formed in the chain, is gradually grasped over the charcoal fire to grill the roasting grill.

일반적으로, 음식점 등에서 사용되고 있는 숯불 구이판은 원형 또는 사각형태의 단순한 석쇠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종래의 석쇠를 숯불 구이판으로 사용하는 경우, 고기가 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통상 3∼4회 정도의 구이판 교체가 요구되고 있으며, 종래의 숯불 구이판은 잦은 교체로 인한 사용상의 불편과 종업원에 의한 구이판 교체시 안전사고의 발생 위험이 많고, 또한 숯불 구이판의 늦은 교체로 인해 발생되는 고객 불만과 종업원의 증가로 인한 인건비 상승 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Generally, a charcoal grill used in a restaurant or the like is made of a simple grill in a round or square shape. When such a conventional grill is used as a charcoal grill plate, it is usually required to replace the grill plate about 3 to 4 times in order to prevent the meat from burning. The conventional charcoal grill plate is inconvenient to use due to frequent replacement, There was a great risk of safety accidents during replacement, and there were many problems such as customer complaints caused by late replacement of the charcoal grills and labor cost increase due to an increase in employees.

또한, 숯불 구이판의 세척에 있어서도 별도의 종업원이 숯불 구이판을 일일이 수작업으로 세척함에 따라 발생되는 작업의 곤란성으로 인한 작업시간의 증가와 인건비의 상승으로 관리 비용이 증가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Further, even in the cleaning of the charcoal grill,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dditional cost is increased due to an increase in the work time and an increase in the labor cost due to the difficulty of the operation caused by the separate cleaning of the charcoal grill plate by the employee.

한편, 야외 바베큐 형으로 사용되는 숯불 구이판의 경우에 있어서도 상술한 종래의 숯불 구이판과 같이 단순한 형태로 석쇠 등이 올려져 사용되고 있으며, 이 또한 고기가 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구이판의 교체가 요구되고 있으나 별도의 구비가 어려워 그대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고, 세척에 있어서도 작업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On the other hand, even in the case of a charcoal grill used as an outdoor barbecue type, a grill or the like is raised and used in a simple form lik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char grill, and in order to prevent burning of meat, It is often used as it is, an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work even in cleaning.

이에, 종래에는 체인 이동형 숯불 구이판이 개시되었지만, 이러한 이동형 숯불 구이판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소하지 못하는 것이었다. Accordingly, although a chain-type charcoal grilling plate has been disclosed in the past, such a mobile charcoal grilling plate has not effectively solved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구이용 봉이 이송시 이탈하는 문제를 보이고 있다.first; The roasting stick is dislodged when it is transported.

둘째; 호퍼형태로 제공되는 공급부에 수납되어 있는 많은 량의 봉들이 일정 공간 내에 상호 적층되어 있는 까닭에 자중에 의해 눌리면서 하부로 원활히 배출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second; There is a problem that a large amount of rods housed in a hopper-shaped supply part are stacked in a certain space and are not pumped by the self-weight and discharged smoothly to the bottom.

셋째; 공급부에 수납되어 있는 구이용 봉이 소량인 경우 내부의 누름압이 현저히 저하되므로 구이용 봉의 공급이 중단되는 사태가 발생하고 있다.third; In the case where the number of the roasting rods stored in the supply portion is small, the pressing pressure inside the roasting rod is significantly lowered, so that the supply of the roasting rods is interrupted.

넷째;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구이용 봉을 체인을 따라 단지 수평 이동하는 것으로 만족하고 있어서 공급되는 구이용 봉이 가열됨에 따른 봉의 표면에 고기가 눌러 붙는 현상을 해소하지 못하고 있다.fourth; It is satisfactory to continuously move the roasting rods continuously horizontally along the chain so that the pushing of the roasting rods supplied does not solve the phenomenon of pushing meat on the rod rods.

다섯째; 고기 구이를 마치고 숯불을 제거하기 위하여 체인을 따라 공급되는 구이용 봉들을 인위적으로 제거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다.fifth;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the roasting rods supplied along the chain must be artificially removed after the roasting of the meat is finished and the charcoal fire is removed.

여섯째; 표면이 기름으로 오염된 구이용 봉이 수거함에 쌓이게 될 때 체인의 낙하지점에 인접한 위치에 집중 낙하되면서 엉키는 현상을 보이게 됨으로서 수거함의 유효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지 못하게 되고, 인하여 수거함을 불필요하게 빈번히 교체해 주어야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Sixth; When the roasted rods which are contaminated with oil are piled up in the collection box, the rods tend to get tangled due to the concentrated drop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dropping point of the chain, so that the effective space of the collection box can not be utilized efficiently and the collection box must be replaced frequently and unnecessarily I had a problem.

등록특허공보 제10-0468625호(등록일 2005.01.19.)Patent Registration No. 10-0468625 (registered on January 19, 2005)

등록특허공보 제10-0600657호(등록일 2006.07.06,)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600657 (filed on Jul. 2006)

등록특허공보 제10-0852583호(등록일 2008.08.08.)Patent Registration No. 10-0852583 (registered on August 8, 200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버킷 일체형의 체인으로 이루어지는 이송부를 따라 전개되는 구이용 봉이 회전하면서 순차 이송하여 조밀하게 놓여지게 함으로서 하나의 그릴형 구이판이 형성되도록 하며, 구이용 봉의 공급이 시작되는 지점에 고기를 올려 놓으면 체인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버킷에 양단이 거치된 상태로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구이용 봉 위의 고기는 숯불 위를 서서히 지나면서 골고루 익히게 되는 그릴 이동형 구이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grill- When the meat is placed at the point where the supply is started, the meat on the roasting bar, which is continuously supplied with both ends mounted on the bucket integrally formed in the chain, is provided with a grill moving type baking machine That is the purpos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체인을 따라 조밀한 간격을 유지하며 연속 공급되는 구이용 봉 상측에 상기 구이용 봉을 연속적으로 회전시키는 봉 굴림부를 부가 설치하여 줌으로서, 고기와 접촉하는 상기 구이용 봉이 연속 회전하면서 고기가 구이용 봉에 붙는 것을 방지하는 그릴 이동형 구이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asting unit for continuously rotating the roasting rods on the side of a roasting rods continuously supplied with a closely spaced interval along the chain, wherein the roasting rods in contact with the meat continuously rotate And to provide a grill-type baking machine which prevents the meat from sticking to the roasting rod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는, 구이용 봉의 순차 공급시 그 공급이 안정된 위치에서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정렬되도록 하여, 고기 구이를 위한 그릴 구이판을 형성하는 구이용 봉 사이로 고기가 낙하되고 이로인해 기름이 연소되어 유해한 가스와 발암물질을 포함하는 분진이 고기로 올라와 고기에 붙게 되면서 건강에 악영향을 끼치는 문제를 개선한 그릴 이동형 구이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grilling meat in which the supply of the grilling rods is aligned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gap at a stable position so that the meat is dropped between the grilling rods for grilling meat, And to provide a grill-type grill that improves the problem of harmful gas and harmful substances which are adhered to meat and come into contact with mea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는, 일정의 구이가 완료되어 구이기로부터 숯불을 제거하기 위하여 체인을 따라 공급되는 구이용 봉을 각기 상부로 분리시키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구이용 봉 공급 억지기능을 갖춘 그릴 이동형 구이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rill having a grill rod feed inhibiting function capable of eliminating the inconvenience of separating the grill rods supplied along the chain to remove the charcoal grill from the grill, It is intended to provide portable grilling.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는, 낙하 유도편을 통해 구이용 봉이 수거통에 낙하시 그 낙하되는 구이용 봉이 수거통 내에서 어느 한 지점에 편중되지 않고 고루게 분포되면서 수거될 수 있도록 하면서, 수거함을 불필요하게 빈번하게 교체하는 불편함을 개선하는 그릴 이동형 구이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dropping a roasting stick into a hopper through a falling guide piece so that the rods can be collected while being uniformly distributed at a certain point in the hopper, To improve the inconvenience of replacing the grill.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 그릴 이동형 구이기는, 그릴구이판을 형성하기 위한 구이용 봉을 순차 공급하는 공급부; 좌우 한 쌍으로서 상기 공급부로부터 순차 공급되는 구이용 봉이 순차적으로 안착되어 정렬되는 버킷홈을 가지며, 구동부에 의해 회전 이송하여 상기 구이용 봉을 순차 이송시키는 체인부; 상기 체인부의 버킷홈에 안착 정렬되는 구이용 봉이 순차 이송시, 상기 구이용 봉의 양측 단부에 탄력적으로 접촉되어서, 고기와 접촉하는 상기 구이용 봉을 연속적으로 회전시키는 봉 굴림부; 및, 그릴 구이판 사용이 종료되는 상기 구이용 봉이 상기 체인부에 의해 이송되면서 상기 체인부로부터 낙하시, 낙하되는 상기 구이용 봉을 수거하는 수거통; 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grill-type grill having a supply part for sequentially supplying a grill for forming a grilling plate; A chain unit having a pair of right and left bucket grooves which are sequentially aligned and aligned and sequentially fed from the supply unit and which are rotated and transferred by a driving unit to sequentially transport the roasting rods; A bar-turning unit that elastically contacts both end portions of the roasting bar and continuously rotates the roasting bar in contact with the meat when the roasting rods seated and aligned in the bucket grooves of the chain portion are sequentially transported; And a collection box for collecting the rods to be dropped when the roasting rods that are used by the grilling rods are being transported by the chain portions and falling from the chain portions; As shown in FIG.

또한, 상기 공급부는 분리 이동형으로 바닥면이 경사진 호퍼로서, 상기 호퍼의 하단에는 수용되는 구이용 봉이 자중에 의하여 인출되도록 봉 인출구를 형성하고, 상기 호퍼의 내측에는 구이용 봉들이 누름압에 의해 정체되는 현상을 방지하며 상기 구이용 봉들에 대한 하중을 분산시키는 하중분산판을 좌우 양측에 교차되게 설치 구성한 것이다. In addition, the supply portion is a hopper whose bottom surface is inclined in a removable manner, and a rod outlet is formed so that the roasting rod received in the lower end of the hopper is drawn out by its own weight, and the rods are stagnated inside the hopper And a load distribution plate for dispersing a load on the rods is install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또한, 상기 봉 인출구 외측에는 체인과 한몸을 이루고 있는 상기 버킷 위에 연속적으로 적재되는 상기 구이용 봉의 공급을 일시적으로 차단시키게 되는 인출차단부재를 형성하는 것이다.In addition, a draw-out blocking member is formed outside the bar-in-out opening to temporarily block the supply of the roasting bar which is continuously stacked on the bucket which is integral with the chain.

또한, 상기 인출차단부재는 수직부와 수평부를 가지면서 꺽임부를 힌지로 하여 회전하는 "ㄴ"자형 구조의 막대형 차단레버로서, 상기 수직부는 상기 꺽임부를 힌지로 하여 작동바아로 작동하고, 상기 수평부는 상기 봉 인출구를 가리우는 억지편으로 작동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Further, the draw-out blocking member is a bar-like cut-off lever having a vertical part and a horizontal part and rotating with a bent part as a hinge, the vertical part operates as an operating bar with the bent part as a hinge, Is configured to operate as a detent piece that covers the rod outlet.

또한, 상기 막대형 차단레버는 사용자의 조작으로 수동 제어되거나 또는 상기 구동부와 연계되어 회전하는 전동형으로 구성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rod-shaped blocking lever may be manually controlled by a user's operation, or may be of a transmission type that rotates in conjunction with the driving portion.

또한, 상기 인출차단부재는 편심구동모터와 이를 링크부재로 연결하는 수평 막대형 차단레버로 구성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drawing-out blocking member is composed of an eccentric driving motor and a horizontal bar-like breaking lever connecting the eccentric driving motor with a link member.

또한, 상기 구이용 봉이 숯불구이용으로 사용시, 단일 직경을 가지는 봉 형상의 구조물인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roasting rod is used for charcoal grilling, it is a rod-shaped structure having a single diameter.

또한, 상기 구이용 봉이 양념없는 고기 구이용으로 사용시, 고기 접촉용의 메인봉과, 상기 메인봉의 양단에서 상기 메인봉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거치봉으로 구성되는 것이다.When the roasting rod is used for grilling meat without sauce, it is composed of a main rod for meat contact and a stationary rod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main rod at both ends of the main rod.

또한, 상기 메인봉은 1∼2㎜ 범위내의 이격거리를 유지하면서 지속적으로 회전하는 원형 단면을 가짐으로써, 고기로부터 흘러나오는 기름이 상기 메인봉들 사이에 머물면서 숯불로 낙하하여 연소되는 것을 방지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main rod has a circular cross section continuously rotating while maintaining a distance in the range of 1 to 2 mm so as to prevent the oil flowing out from the meat from staying between the main rods and falling down into coals and burning. .

또한, 상기 메인봉은 2㎜ 이상의 이격거리를 유지하면서 지속적으로 회전하는 각형 단면으로 구성하여서, 고기로부터 흘러나오는 기름이 상기 메인봉들 표면에 머물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하여 숯불로 낙하하여 연소되는 것을 방지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main rods are formed to have a rectangular cross section continuously rotating while maintaining a separation distance of 2 mm or more, so that oil flowing out from the meat can stay on the surface of the main rods, You can do it.

또한, 상기 구동부는, 구동기어를 회전시키도록 구동하는 모터; 상기 구동기어와 구동벨트로 연결되는 피동기어; 및, 상기 피동기어의 일면에 고정축으로 연결되며, 폐회로를 이루는 상기 체인부가 연결되는 제 1 체인기어; 상기 제 1 체인기어와 일정거리 이격되고 구이용 봉의 공급측에 마련되는 제 2 체인기어; 및, 상기 제 2 체인기어와 일정거리 이격되는 구이용 봉의 수거측에 마련되는 제 3 체인기어; 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다.The driving unit may include: a motor that drives the driving gear to rotate; A driven gear connected to the drive gear and the drive belt; And a first chain gear connected to one surface of the driven gear by a fixed shaft and connected to the chain portion constituting a closed circuit; A second chain gear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hain gea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provided on a supply side of the roasting rod; And a third chain gear provided on a collection side of a rope rod spaced a certain distance from the second chain gear; .

또한, 상기 체인부는 양단에 한 쌍의 제 1 중공홀을 천공하고 이들 한 쌍의 제 1 중공홀 중심선을 기준 폭으로 상부 연장 꺽임되는 복수의 상부안착면과, 상기 상부안착면들 사이에 구이용 봉의 양단이 안착되는 버킷홈을 형성한 단위블럭체인 제 1 체인연결편; 양단에 한쌍의 제 2 중공홀을 천공되며, 인접한 2개의 상기 제 1 체인연결편을 상호 연결하는 제 2 체인연결편; 및, 상기 제 1,2 중공홀에 양단이 끼움 결합된 핀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 1,2 체인연결편이 비틀림이 억제되면서 안정된 지지력을 유지하도록 상기 제 1,2 체인연결편을 결합시키는 체인결합핀; 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다.The chain por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upper seating surfaces that are formed by punching a pair of first hollow holes at both ends and bending upward at a base width of the pair of first hollow hole center lines, A first chain connecting piece as a unit block forming a bucket groove on which both ends are seated; A second chain connecting piece which is formed at both ends with a pair of second hollow holes and interconnects the two adjacent first chain connecting pieces; And a pin connecting portion having both ends thereof fit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hollow holes. The first and second chain connecting pieces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a chain coupling pin ; As shown in FIG.

또한, 상기 핀부는, 상기 제 1 중공홀에 끼워지며, 그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최종 리벳마감부를 마련하게 되는 제 1 핀부; 및, 상기 제 1 핀부 보다는 굵고 체인결합핀 중심부보다는 가늘게 구성되어 상기 제 1 핀부 및 체인결합핀 중심부와 단턱으로 분리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 2 체인연결편의 두께보다 미세하게 길게 형성되는 제 2 핀부; 로 구성하여, 상기 제 1,2 체인연결편이 최소 이격거리를 유지하면서 마찰 간섭이 억제된 상태로 결합되는 것이다.The fin portion may include a first fin portion that is fitted in the first hollow hole and has an end exposed to the outside to provide a final rivet finish portion; And a second fin portion that is formed to be finer than the center portion of the coupling pin, which is thicker than the first fin portion, and is separated from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fin portion and the chain coupling pin at a step,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chain connecting pieces are coupled in a state in which frictional interference is suppressed while maintaining a minimum separation distance.

또한, 상기 버킷홈은 상기 구이용 봉의 양단 거치부 일부를 노출되도록 상기 구이용 봉의 높이보다 낮게 구성되고, 상기 상부안착면의 일단에는 상기 버킷홈으로 상기 구이용 봉의 진입을 가이드하는 경사면을 형성하며, 상기 상부안착면의 타단에는 상기 버킷홈으로 일부가 노출되도록 안착되는 상기 구이용 봉의 이탈을 방지시키는 걸림턱을 형성한 것이다.In addition, the bucket groove may be formed to be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rods so as to expose a part of both ends of the rods, and an inclined surface for guiding entrance of the rods into the bucket grooves is formed at one end of the upper seating surface, And the other end of the seating surface is formed with a latching jaw for preventing the roaring stick, which is seated so as to be partially exposed by the bucket groove, from being released.

또한, 상기 봉 굴림부는 버킷홈에 안착되어 상기 체인부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구이용 봉의 양측 상단에 접촉되어 상기 구이용 봉을 회전시키는 고무막대로서, 좌우 한 쌍을 이루는 상기 체인부의 수평구간 상측에 형성되는 것이다.The rod portion is a rubber rod which is seated in the bucket groove and contacts the upper ends of both ends of the rope to be conveyed by the chain portion to rotate the rope, and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horizontal section of the left and right chain portions will be.

또한, 상기 구이용 봉에 닿는 고기면에 충분한 열 전달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구이용 봉은 상기 봉 굴림부에 의해 상기 체인부의 회전 이송속도에 대하여 1/2의 회전속도를 유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roasting rod is configured to maintain a rotation speed of 1/2 of the rotational feed rate of the chain portion by the rod portion so that sufficient heat transfer to the meat surface contacting the roasting rod is achieved.

또한, 상기 수거통에 인접하는 상기 제 3 체인기어와 벨트로 연결되는 제 1 라쳇기어를 구성하고, 상기 제 1 라쳇기어에는 상기 제 3 라쳇기어 회전시 버컷홈으로부터 낙하되는 상기 구이용 봉을 상기 수거통에 순차적으로 낙하시키도록 기울임각이 변화되는 낙하유도판을 연결 구성하는 것이다.The third ratchet gear includes a first ratchet gear connected to the third chain gear adjacent to the bin and connected to the first ratchet gear by a belt, And a drop induction plate whose inclination angle is changed so as to drop sequentially.

또한, 상기 낙하유도판은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물결무늬의 플레이트 구조물이고, 상기 물결무늬의 플레이트 구조물 일단에는 회전축이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의 양단에는 상기 제 1 라쳇기어와 맞물림 결합되는 제 2 라쳇기어를 형성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drop guide plate is a wavy plate structure in which a horizontal state is maintained, a rotary shaft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plate structure of the wavy pattern, and a second ratchet, which is engaged with both ends of the rotary shaft, Thereby forming a gear.

또한, 상기 수거통의 내부 저면에는 상기 낙하유도판에 의해 순차적으로 상기 구이용 봉이 낙하시, 낙하되는 상기 구이용 봉이 어느 한 위치에서 집중 적층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봉 정렬부를 형성하는 것이다.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receptacle is formed with a rod aligning portion for preventing the roasting rods falling down when the roasting rods are sequentially dropped by the falling guide plate from being concentrated at any position.

본 발명은 이송부인 체인에 버킷홈과 봉 굴림부를 구성하는 한편, 공급부와 수거통에 구이용 봉의 공급과 수거를 정렬하는 정렬부재를 구성하여서, 그릴 구이판을 이루는 구이용 봉을 이송부인 체인을 통해 순차 이송시 그 구이용 봉이 회전하면서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bucket groove and a bar turning part are formed in a chain which is a conveying part and an aligning member for aligning the supply and collection of the roasting rods to the supply part and the collection bin is constituted so that the roasting rods constituting the baking grill are sequentially transported So that the roasting rod can be transported while being rotated. Thus,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expected.

첫째; 이송되는 구이용 봉이 이탈하는 문제를 개선한 것이다.first; The problem that the roasted rods that are fed out deviates is improved.

둘째; 호퍼형태로 제공되는 공급부에 수납되어 있는 많은 량의 봉들이 일정공간 내에 상호 적층되더라도 이들이 자중에 의해 순차 배출시켜, 구이용 봉들의 공급이 중단되는 문제를 개선한 것이다.second; Even if a large number of rods stored in a supply portion provided in the form of a hopper are stacked in a certain space, they are sequentially discharged by their own weight, thereby preventing the supply of rods from being stopped.

셋째; 순차 이송하는 구이용 봉들이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그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고기 구이를 위한 그릴 구이판을 형성하는 구이용 봉 사이로 고기가 낙하되고 이로인해 기름이 연소되어 유해한 가스와 발암물질을 포함하는 분진이 고기로 올라와 고기에 붙게 되면서 건강에 악영향을 끼치는 문제를 개선한 것이다.third; The meat is dropped between the roasting rods which form the grill plate for roasting the meat, so that the oil is burnt and the dust containing the harmful gas and the carcinogenic substance It has improved the problem of adversely affecting your health by being raised on meat and sticking to meat.

넷째, 고기 구이를 마치고 숯불을 제거하기 위하여 체인을 따라 공급되는 구이용 봉들이 수거통에 낙하되어 수거될 때 그 구이용 봉들이 낙하 유도편에 의해 어느 한 지점에 편중되지 않고 고루게 분포되면서 낙하되도록 하여, 체인의 낙하지점에 인접한 위치에 집중 낙하되면서 엉키는 현상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수거통의 유효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면서 수거통을 불필요하게 빈번히 교체하는 문제를 개선한 것이다.Fourth, when the roasting rods supplied along the chain to collect charcoal are roasted and fall down to the receptacle, the rods are lowered uniformly without being concentrated at one point by the falling rods,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problem of preventing unnecessary frequent replacement of the collection bin while effectively utilizing the effective space of the collection bin by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a tangling phenomenon due to a concentrated drop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dropping point of the chain.

본 발명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 들과 함께, 체인의 진행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구이용 봉 양측 단부에 봉 굴림부를 설치하여 줌으로서 이동하는 봉이 회전하면서 공급되도록 설치함으로 인하여,
첫째; 구이용 봉 위에 올려지는 고기가 구이용 봉의 표면에 눌러붙지 않도록 하는 역활을 수행하게 된다.
둘째; 숯불에 달구어진 구이용 봉의 표면이 회전에 의해 언제나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게 되는 것으로써, 구이용 봉의 회전 공급은 결국 고기와 닿은 상면에서 손실된 열을 지속적으로 보전해 주는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셋째; 구이용 봉의 회전은 고기로부터 스며나와 봉의 표면에 뭍은 기름이 숯불 위로 떨어지는 것을 지연시키거나 또는 막아주게 된다.
뿐만 아니라, 앞에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r rolling portion provided at both ends of a roasting rod continuously fed along a traveling direction of a chain,
first; So that the meat roasted on the roasting bar is prevented from pressing on the surface of the roasting rods.
second; As the surface of the roasted rods heated by charcoal always maintains a constant temperature by the rotation, the roasting supply of the roasting rods finally provides the function of continuously preserving the heat lost from the upper surface contacting the meat.
third; The rotation of the roasting rods exudes from the meat to delay or prevent the oil on the surface of the rods falling onto the charcoal fire.
In addition, other effects not mentioned above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그릴 이동형 구이기에 대한 전체적인 단면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도 1의 'A' 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도 1의 'C' 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공급부에 대한 단면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체인 구조의 분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체인 구조의 단면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양념된 고기 구이용 봉이 체인연결편의 버킷홈에 안착된 상태를 보인 단면 개략도.
도 8의 (a)(b)(c)(d)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고기 구이용 봉의 구조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생고기 구이용 봉인 도 8의 (b)가 체인연결편의 버킷홈에 안착된 상태를 보인 단면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낙하유도판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공급부인 호퍼의 봉 인출구에 인출차단부재에 포함되는 차단레버가 적용된 상태를 보인 확대 사시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grill-type griddle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n enlarged view of the 'A' portion of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C' of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schematic view of a feeder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view of a chai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chai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roast meat roasting seaso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ated in a bucket groove of a chain connecting piece; FIG.
8 (a), 8 (b), 8 (c) and 8 (d) are views showing the structure of a meat roasting r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raw meat roasting seal (b) is seated in a bucket groove of a chain connecting piec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drop induction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hutoff lever included in a draw-out blocking member is applied to a rod exit of a hopper which is a suppl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그릴 이동형 구이기에 대한 전체적인 단면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도 1의 'A' 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도 1의 'C' 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공급부에 대한 단면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FIG. 1 is an overall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grill-type ba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of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the portion 'C' of FIG. 1, showing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supply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릴 이동형 구이기는, 공급부(10), 구동부(20), 좌우 한 쌍의 체인부(30), 봉 굴림부(50), 수거통(60)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다.1 to 4, a grill-type ba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ly unit 10, a driving unit 20, a pair of left and right chain units 30, a bar rolling unit 50, And a receptacle (60).

상기 공급부(10)는 그릴 구이판을 형성하기 위한 구이용 봉(100)을 순차 공급하는 것으로, 이는 분리 이동형으로 바닥면이 경사진 호퍼로서, 하단에는 수용되는 구이용 봉(100)이 자중에 의하여 인출되도록 봉 인출구(11)를 형성한 것이다.The supply unit 10 sequentially supplies the roasting rods 100 for forming the roasting grill, so that the roasting rods 100, which are accommodated in the bottom of the hopper, Out port 11 is formed.

그리고, 상기 호퍼내의 좌우 양측에는 상기 구이용 봉(100)들에 대한 하중을 분산시키는 하중분산판(12)을 교차되게 설치 구성하였으며, 상기 하중분산판(12)은 구이용 봉(100)들이 누름압에 의해 정체되면서 상기 봉 인출구(11)를 통한 인출이 중단되는 것을 방지시키게 되는 것이다.The load distribution plate 12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hopper so as to cross the load distribution plate 12 for dispersing the load on the rods 100. The load distribution plate 12 is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opper, So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ithdrawal through the rod outlet 11 from being interrupted.

한편, 첨부된 도 11에서와 같이, 상기 봉 인출구(11)에는 구이 중단시, 상기 구이용 봉(100)의 인출을 일시적으로 차단되도록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수동 제어되거나 또는 상기 구동부(20)와 연계하는 전동형의 인출차단부재(70)가 형성되는데, 수동 제어형의 상기 인출차단부재(70)는 수직부(71)와 수평부(72)를 가지면서 꺽임부(73)를 힌지로 하여 회전하는 "ㄴ"자형 구조의 막대형 차단레버로서, 상기 수직부(71)는 상기 꺽임부(73)를 힌지로 하여 작동바아로 기능하게 되고, 수직부(71)의 하단으로 부터 연장되는 상기 수평부(72)는 상기 봉 인출구(11)를 가리우는 억지편으로 기능하게 되는 것이다.As shown in FIG. 11, the rod outlet 11 is manually controlled by a user's operation so as to temporarily disconnect the roaring rod 100 when the rod is stopped, The draw-out blocking member 70 of the manually controlled type has a vertical portion 71 and a horizontal portion 72 and rotates with the bent portion 73 as a hinge The vertical portion 71 serves as an actuating bar with the bent portion 73 as a hinge. The vertical portion 71 serves as an actuating bar, and the horizontal portion 71 extends from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portion 71, (72) functions as a detent piece for covering the rod outlet (11).

이같은 상기 인출차단부재(70)는 전동형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이는 도 1에 예시하고 있듯이 편심구동모터(700)와 이를 풀리와 벨트로 이루어지는 링크부재(800)로 연결하는 수평 막대형 차단레버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As shown in FIG. 1, the draw-out blocking member 70 may be installed in a motor-driven manner, and the horizontal bar-like cut-off lever 70, which connects the eccentric drive motor 700 with a link member 800 comprising a pulley and a belt, Of course.

여기서, 상기 구이용 봉(100)은 양념없는 고기 구이용 또는 숯불구이용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구이용 봉(100)이 숯불구이용으로 사용시, 첨부된 도 8의 (a)에서와 같이 단일 직경을 가지는 봉 형상의 구조물이 적용되는 것이다.Here, the roasting rod 100 is used for grilling meat without a sauce or for charcoal grilling. When the roasting rod 100 is used for charcoal grilling, the rod 100 having a single diameter as shown in FIG. 8 (a) Is applied.

반면, 첨부된 도 8의 (b)(c)(d)에서와 같이, 상기 구이용 봉(100')이 양념없는 고기 구이용으로 사용시, 고기 접촉용의 메인봉(101)과, 상기 메인봉(101)의 양단에서 상기 메인봉(101)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거치봉(102)으로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8 (b), (c) and (d) of FIG. 8, when the roasting rod 100 'is used for roasting meat without sauce, the main rod 101 for meat contact, 101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the main rods 101 at both ends thereof.

이때, 첨부된 도 8의 (b) 및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메인봉(101)들은 1∼2㎜ 범위내의 이격거리를 유지하면서 지속적으로 회전하는 원형 단면이거나, 첨부된 도 8의 (c) 및 도 8의 (d)에서와 같이 2㎜ 이상의 이격거리를 유지하면서 지속적으로 회전하는 각형 단면으로 구성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상기 메인봉(101)을 원형 단면 또는 각형 단면으로 구성하는 것은, 상기 메인봉(101)들 사이는 고기로부터 흘러나오는 기름이 봉들 사이, 또는 이들의 표면에 머물면서 숯불로 낙하하여 연소되는 것을 방지시키기 위함인 것이다.8 (b) and 9, the main rods 101 are circular cross sections that continuously rotate while maintaining a distance within a range of 1 to 2 mm, 8A. As shown in FIG. 8A and FIG. 8D, the main rod 101 can be configured to have a rectangular cross section that continuously rotates while maintaining a separation distance of 2 mm or more. The main rod 101 has a circular section or a square section, The main rods 101 are for preventing the oil flowing out from the meat from falling on the surface of the rods or on the surface thereof to fall down into charcoal and burn.

상기 구동부(20)는 구동기어(21a)를 회전시키도록 구동하는 모터(21)와, 상기 구동기어(21a)와 구동벨트(22a)로 연결되는 피동기어(22)와, 상기 피동기어(22)의 일면에 고정축으로 연결되며 폐회로를 이루는 상기 체인부(30)가 연결되는 제 1 체인기어(23)와, 상기 제 1 체인기어(23)와 일정거리 이격되고 구이용 봉(100)의 공급측에 마련되는 제 2 체인기어(24), 상기 제 2 체인기어(24)와 일정거리 이격되는 구이용 봉(100)의 수거측에 마련되는 제 3 체인기어(25)가 포함되는 것이다.The driving unit 20 includes a motor 21 driven to rotate the driving gear 21a, a driven gear 22 connected to the driving gear 21a by a driving belt 22a, A first chain gear 23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rst chain gear 23 by a fixed shaft and to which the chain portion 30 constituting a closed circuit is connected; And a third chain gear 25 provided on the collection side of the roasting bar 100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chain gear 24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상기 체인부(30)는 상기 구동부(20)에 포함되는 제 1,2,3 체인기어(23)(24)(25)에 연결되어 폐회로를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제 1,2 체인기어(23)(24)로 진행하는 상기 체인부(30)는 상기 공급부(10)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구이용 봉(100)을 안정적이면서도 순차적으로 연속 탑재하기 위하여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제 2,3 체인기어(24)(25)로 진행하는 상기 체인부(30)는 상기 구이용 봉(100)이 숯불의 상면을 일정속도로 지나며 고기 구이용 그릴 판부재를 형성할 수 있도록 수평을 유지하며 설치되는 것이다.The chain portion 30 is connected to the first, second and third chain gears 23, 24 and 25 included in the driving portion 20 to constitute a closed circuit. The first and second chain gears 23 The chain portion 30 traveling to the chain 24 is inclined to continuously and serially mount the roasting rod 100 supplied from the supply portion 10 in a stable manner and the second and third chain gears 24 The chain 30 is installed to maintain the level of the grill plate 100 such that the grill rod 100 passes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charcoal at a predetermined speed and forms a grill plate for grilling meat.

이에 따라, 상기 체인부(30)는 첨부된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제 1,2 체인연결편(31)(32)과 체인결합핀(33)이 결합되는 구조를 이룬 것이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S. 5 and 6, the chain portion 3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chain connecting pieces 31 and 32 and the chain coupling pin 33 are coupled.

상기 제 1 체인연결편(31)은 상면에 연장된 높이의 버킷부(40)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서, 하단의 체인결합부 양단에는 한 쌍의 제 1 중공홀(31a)을 천공하고 이들 한 쌍의 제 1 중공홀(31a) 중심선을 기준 폭으로 상부 연장 꺽임되는 복수의 상부안착면(31b)과, 상기 상부안착면(31b)들 사이에 버킷홈(41)을 형성한 것이다.The first chain connecting piece 31 is integrally formed with a bucket portion 40 having an extended height on the upper surface. A pair of first hollow holes 31a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chain connecting portion at the lower end, A plurality of upper seating surfaces 31b bent upwardly at a center width of the center line of the pair of first hollow holes 31a and a bucket groove 41 formed between the upper seating surfaces 31b.

여기서, 첨부된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버킷홈(41)은 상기 구이용 봉(100)의 높이보다 낮게 설계되어 상기 구이용 봉(100)의 일부를 노출시킬 수 있는 것이고, 상기 상부안착면(31b)의 일단에는 상기 버킷홈(41)으로 상기 구이용 봉(100)의 진입을 가이드하는 경사면(42)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안착면(31b)의 타단에는 상기 버킷홈(41)으로 일부가 노출되도록 안착되는 상기 구이용 봉(100)의 이탈을 방지시키게 되는 걸림턱(43)을 형성한 것이다.1 and 2, the bucket groove 41 is designed to be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roasting bar 100 to expose a part of the roasting bar 100, An inclined surface 42 for guiding the entrance of the roasting bar 100 into the bucket groove 41 is formed at one end of the surface 31b and the bucket groove 41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upper seating surface 31b. And a catching protrusion 43 is formed to prevent the roasting rod 100 from being separated from a part of the catching rods 100 so that a part thereof is exposed.

즉, 상기 공급부(10) 하단에 위치하는 상기 봉 인출구(11)로 부터 하나씩 인출되는 구이용 봉(100)의 양측 단부가 상기 버킷홈(41)에 안착될 때, 상기 경사면(42)은 상기 구이용 봉(100)의 투입을 가이드하여 중앙에 정렬되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걸림턱(43)은 상기 버킷홈(41)으로 안착된 구이용 봉(100)이 상기 버킷홈(4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시키게 되는 것이다.That is, when both end portions of the roasting rod 100 drawn out from the rod outlet 11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supply portion 10 are seated in the bucket groove 41, the inclined surface 42, And the guiding jaws 43 prevent the rods 100 seated in the bucket grooves 41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bucket grooves 41. [ .

상기 제 2 체인연결편(32)은 양단에 한쌍의 제 2 중공홀(32a)을 천공되면서 상기 상기 제 1,2,3 체인기어(23)(24)(25)들이 안착되며, 복수의 상기 제 1 체인연결편(31)을 연결하도록 구성한 것이다.The second chain connecting piece 32 is formed with a pair of second hollow holes 32a at both ends thereof to receive the first, second and third gears 23, 24 and 25, One chain connecting piece 31 is connected to the other.

상기 체인결합핀(33)은 상기 제 1,2 중공홀(31a)(32a)에 양단이 끼움 결합된 제 1,2 핀부(33a)(33b)를 형성한 것으로, 상기 제 1,2 체인연결편(31)(32)이 비틀림이 억제되면서 안정된 지지력을 유지하도록 상기 제 1,2 체인연결편(31)(32)을 결합시키는 것이다.The chain coupling pin 33 is formed with first and second pin portions 33a and 33b having both ends thereof fit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hollow holes 31a and 32a, The first and second chain connecting pieces 31 and 32 are engag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chain connecting pieces 31 and 32 are kept from twisting and maintaining a stable supporting force.

상기 제 1 핀부(33a)는 상기 제 1 중공홀(31a)에 끼워지도록 상기 제 1 중공홀(31a)보다 미세하게 작은 굵기로 이루어지며, 그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최종 리벳마감부를 마련하는 것이다.The first fin portion 33a has a finer thickness than that of the first hollow hole 31a so as to be fitted into the first hollow hole 31a and its end port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to provide a final rivet finish portion .

상기 제 2 핀부(33b)는 상기 제 1 핀부(33a) 보다는 굵고 체인결합핀(33)의 중심부보다는 가늘게 구성되어 상기 제 1 핀부(33a) 및 체인결합핀(33) 중심부와 단턱으로 분리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 1 중공홀(31a)의 직경보다 큰 상기 제 2 중공홀(32a)에 끼워지도록 상기 제 2 중공홀(32a)보다 미세하게 작은 굵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체인연결편(32)의 두께보다 길게 형성한 것이다.The second fin portion 33b is narrower than the central portion of the coupling pin 33 which is thicker than the first fin portion 33a and is separated from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fin portion 33a and the chain coupling pin 33 And the second hollow hole 32a has a smaller diameter than the second hollow hole 32a so as to be fitted in the second hollow hole 32a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rst hollow hole 31a, Is formed longer than the thickness.

따라서, 상기 체인결합핀(33)의 제 1,2 핀부(33a)(33b)를 통해 제 1,2 체인연결편(31)(32)의 결합이 이루어질 때, 상기 제 1,2 체인연결편(31)(32)은 최소 이격거리를 유지하면서 접촉면의 눌림 마찰에 의한 저항이 억제된 상태로 결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first and second chain connecting pieces 31 and 32 are coupl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fin portions 33a and 33b of the chain coupling pin 33, ) 32 can be engaged with a state in which the resistance due to the pressing friction of the contact surface is suppressed while maintaining the minimum separation distance.

상기 봉 굴림부(50)는 상기 제 1 체인연결편(31)의 버킷홈(41) 상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버킷홈(41)에 안착되어 상기 체인부(30)을 따라 이송되는 상기 구이용 봉(100) 상단에 접촉되어 상기 구이용 봉(100)을 회전시키는 고무막대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무막대는 좌우 한 쌍을 이루는 상기 체인부(30)의 수평구간 상측에 형성한 것이다.The bar turning portion 50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bucket groove 41 of the first chain connecting piece 31 and more specifically is mounted on the bucket groove 41 and is transported along the chain portion 30 And a rubber rod which contacts the upper end of the roasting bar 100 to rotate the roasting bar 100. The rubber bar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horizontal section of the chain part 30 forming a pair of left and right chains.

상기 수거통(60)은 그릴 구이판 사용이 종료되는 상기 구이용 봉(100)이 상기 체인부(30)에 의해 이송되면서 상기 버킷홈(41)으로부터 낙하시, 낙하되는 상기 구이용 봉(100)을 수거하도록 구성한 것이다.The receptacle 60 collects the falling rods 100 that fall when the roasting bar 100 is released from the bucket groove 41 while being transported by the chain portion 30 Respectively.

이때, 첨부된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수거통(60)에 인접하는 제 3 체인기어(25)에는 벨트(81)로 제 1 라쳇기어(82)가 연결되며, 상기 제 1 라쳇기어(82)에는 상기 제 1 라쳇기어(82) 회전시 상기 버킷홈(41)으로부터 낙하되는 상기 구이용 봉(100)을 상기 수거통(60)에 순차적으로 낙하시키도록 기울임각이 변화되는 낙하유도판(83)을 연결하였다.3, a first ratchet gear 82 is connected to a third chain gear 25 adjacent to the bin 60 and a belt 81 is connected to the first ratchet gear 82, A falling guide plate 83 having a tilt angle which is changed so as to sequentially drop the roasting bar 100 falling from the bucket groove 41 when the first ratchet gear 82 is rotated into the receptacle 60 Respectively.

이러한 낙하유도판(83)은 도 10에서 보이고 있듯이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물결무늬의 플레이트 구조물로 구성되는 것이고, 상기 물결무늬의 플레이트 구조물 일단에는 회전축(821a)이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821a)의 양단에는 상기 제 1 라쳇기어(82)에 맞물림 결합되는 제 2 라쳇기어(821)를 형성한 것이다.10, a rotation shaft 821a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wave structure, and the rotation shaft 821a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wave structure. And a second ratchet gear 821 engaged with the first ratchet gear 82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second ratchet gear 82.

그리고, 상기 수거통(60)의 내부 저면에는 상기 낙하유도판(83)에 의해 순차적으로 상기 구이용 봉(100)이 낙하시, 낙하되는 상기 구이용 봉(100)이 어느 한 위치에서 집중 적층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봉 정렬부(91)를 형성한 것이다.The dropping guide plate 83 prevents the dropping of the guide rods 100 when the dropping rods 100 are sequentially dropp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60, And a bar-arranging portion 91 is formed.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릴 이동형 구이기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11에서와 같이, 우선 호퍼로 이루어진 공급부(10)의 내부에 첨부된 도 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숯불 구이용 봉(100) 또는 첨부된 도 8의 (b)(c)(d)에 도시되는 것들 중 하나의 형상을 갖는 양념없는 고기 구이용 봉(100')을 투입한 후, 상기 공급부(10)의 상부 개구부를 덮개로 밀폐시킨다.As described above, the grill moving type gril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grill type gri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 to 11, After the roasted meat roasting bar 100 'having the shape of one of those shown in FIG. 8 (b), (c) and (d) The upper opening is sealed with a cover.

이후, 구동부(20)의 모터(21)를 구동시키면, 상기 모터(21)의 구동에 따라 구동기어(21a)가 회전하고, 이에 구동벨트(22a)로 연결된 피동기어(22)의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Thereafter, when the motor 21 of the driving unit 20 is driven, the driving gear 21a is rotated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motor 21, and the driven gear 22 connected to the driving belt 22a is rotated .

이때, 상기 피동기어(22)에는 고정축으로 제 1 체인기어(23)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체인기어(23)보다 높은 위치에서 경사진 각도에는 제 2 체인기어(24)가 형성됨은 물론, 상기 제 2 체인기어(24)와 일정거리 이격된 수평라인에는 제 3 체인기어(25)가 형성되면서, 상기 제 1,2,3 체인기어(23)(24)(25)에는 체인부(30)의 제 2 체인연결편(32)이 연결되어 폐회로를 이루는 바, 상기 피동기어(22)의 회전으로부터 상기 제 1,2,3 체인기어(23)(24)(25)가 연동 회전하면서, 좌우 한 쌍을 이루는 체인부(30)가 회전하게 되고, 이에따라 상기 제 1 체인연결편(31)의 상측에 형성되는 버킷홈(41)에는 상기 공급부(10)의 봉 인출구(11)에서 인출되는 구이용 봉(100)이 하나씩 안착되어 이송 가능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driven gear 22 is provided with a first chain gear 23 as a fixed shaft, a second chain gear 24 is formed at an inclined angle higher than the first chain gear 23, The third chain gear 25 is formed on the horizontal line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chain gear 24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chain gears 23, The first and second chain gears 23, 24 and 25 of the first and second chains 30 and 30 constitute a closed circuit connected to the second chain connecting piece 32 of the driven gear 22, The pair of right and left chain portions 30 are rotated so that the bucket grooves 41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chain connecting piece 31 are inserted into the bucket openings 11 of the supply portion 10, The rods 100 are placed one by one and transported.

여기서, 상기 봉 인출구(11)를 통해 구이용 봉(100)이 순차적으로 하나씩 인출될 때, 상기 공급부(10)내의 좌우 양측에 형성되는 하중분산판(12)이 상기 구이용 봉(100)들에 대한 하중을 분산시키게 되므로, 상기 구이용 봉(100)들은 누름압에 의해 정체되지 않고, 상기 봉 인출구(11)를 통해 그 인출이 하나씩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Here, when the rods 100 are sequentially drawn one by one through the rod outlet 11, the load distribution plate 12 formed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eeder 10 is positioned on the rods 100 The rods 100 are not stagnated due to the pressing force and can be easily taken out one by one through the rod outlet 11.

한편, 상기 버킷홈(41)에 안착되어 이송되는 상기 구이용 봉(100)은 수평구간을 지날 때에 그 양측단이 봉 굴림부(50)에 접촉하게 되므로, 상기 구이용 봉(100)은 균일한 속도로 정속 회전하게 된다.The rods 100 that are seated in the bucket grooves 41 and are transported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rods 50 at both sides when passing the horizontal section so that the rods 100 are moved at a uniform speed .

여기서, 상기 구이용 봉(100)이 상기 봉 굴림부(50)에 회전시 그 회전속도는 상기 체인부(30)의 회전 이동속도에 대하여 1/2을 유지하게 되며, 이는 상기 구이용 봉(100)에 닿는 고기면에 충분한 열 전달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다.When the roasting rod 100 rotates to the rod 50, the rotational speed of the roasting rod 100 is maintained at 1/2 of the rotational speed of the chain 30, To ensure that sufficient heat transfer to the meat surface is reached.

따라서, 그릴 이동형 구이기의 구이 영역에 체인을 따라 연속적으로 구이용 봉(100)이 공급되며 상면을 체우게 되는 것이며, 이로서 조밀한 간격의 봉으로 이루어지는 그릴 구이판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roasting rod 100 is continuously supplied along the chain to the roasting area of the grill-type roasting grill, and the roasting roasting grill is formed with the rods having a tight interval.

이후 사용자는 새로운 구이용 봉(100)이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상기 그릴 구이판 위에 고기를 올릴 수 있는 것이다.Thereafter, the user can raise the meat on the grill plate to which the new roasting bar 100 is continuously fed.

즉, 상기 구이용 봉(100)은 체인을 따라 회전 이송이 정지되는 것이 아니라 연속적으로 공급되면서 그 위에 올려진 고기는 회전하여 이동하는 상기 구이용 봉(100)을 따라 한쪽으로 옮겨지게 되는 것이므로, 충분히 익은 고기는 한쪽에 쌓이게 되는 반면, 새로이 공급되는 상기 구이용 봉(100)의 위에 추가로 고기를 올려 놓으면, 올려진 고기가 다시 구워지면서 이동하는 순환 과정이 반복되며, 이에따라 고기가 타는 것을 염려함이 없이 필요한 량의 고기를 올려 놓고 대화를 나누면서도 식사를 즐길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roasting bar 100 is not continuously rotated and transferred along the chain but is continuously fed, and the meat put on the roasting bar 100 is moved to one side along the roasting bar 100 which rotates and moves. Therefore, On the other hand, when the meat is further placed on the fresh roasting bar 100, the roasted meat is roasted again, and the circulation process is repeated so that the meat is not burnt You can enjoy your meal while you are having conversations with the necessary amount of meat.

여기서, 상기 구이용 봉(100)의 공급이 시작되는 지점에 고기를 올려 놓으면, 체인부(30)를 따라 버킷(40)위에 양단이 거치된 상태로 조밀하고도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상기 구이용 봉(100) 위의 고기는 숯불 위를 서서히 지나면서 골고루 익게 되는 것인데, 이는 상기 구이용 봉(100)이 지속적으로 회전하면서 이동하는 까닭에 고기가 타지 않고 골고루 구워질 수 있는 것이다.When the meat is placed on the point where the feeding of the roasting rod 100 is started, the roasting rod 100 (see FIG. 1), which is supplied densely and continuously in a state where both ends thereof are placed on the bucket 40 along the chain portion 30 ) The above meat is gradually ripened on the charcoal, and the roasted roast 100 moves continuously while rotating, so that the meat can be burnt evenly without burning.

한편, 고기의 구이를 마치고 한쪽으로 이동한 오염된 구이용 봉(100)은 수거통(60)에 근접하게 되고, 제 3 체인기어(25)에 이를 때에 체인부(30)의 상부에 형성되는 버킷홈(41)으로부터 분리되면서 수거통(60)으로 자유 낙하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contaminated roasting rod 100 moved to one side after the roasting of the meat is close to the receptacle 60, and when reaching the third chain gear 25, And is freely dropped to the receptacle 60 while being separated from the receptacle 41.

이때에도 공급부(10)로부터의 구이용 봉(100)에 대한 공급을 계속된다. 다시말해 숯불 위에는 구이용 봉(100)이 지속적으로 공급 이동하게 되는 것이고, 식사를 모두 마치고 숯불 위에 고기가 놓여 있지 아니한 경우에도 구이용 봉(100)은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것이므로 숯불 위는 이동하는 구이용 봉(100)으로 가리워져 있게 된다. At this time, the supply to the roasting rod 100 from the supply unit 10 is continued. In other words, the roasting rods (100) are constantly supplied and moved on the charcoal fire, and the roasting rods (100) are continuously supplied even when the meat is not placed on the charcoal fire after all the meal is finished. 100).

따라서 고기 구이를 끝내고 숯불을 꺼내려 하거나, 숯불을 보충하여 체우기 위하여서, 또는 구이용 고기의 종류를 바꾸기 위해서 구이용 봉(100)의 종류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구이용 봉(100)의 공급을 일시 억제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Therefore, in order to change the type of roasting rods 100 in order to finish the roasting of the roasted roasted meat, to remove the charcoal, to supplement the charcoal, or to change the type of roasted meat, the supply of the roasting rods 100 must be temporarily suppressed There is a need.

이때에도 체인부(30)를 계속하여 이동한다. 다만 체인부(30)에 구이용 봉(100)이 올려지지 않은 빈 체인부(30)로 이동하게 하는 것이다. 그러면 체인부(30)에 올려진 구이용 봉(100)이 수거통(60)으로 모두 수거되는 순간 그릴을 이루고 있던 구이용 봉(100)들은 체인의 수평구간 내에서 빈 상태가 되고 숯불위의 그릴이 제거된 상태, 즉 숯불의 상부를 덮고 있던 그릴이 없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the chain portion 30 is continuously moved. However, the chain 30 is moved to the empty chain 30 where the roasting rod 100 is not mounted. The grill rods 100 having been grilled at a moment when the grill rods 100 mounted on the chain portion 30 are all collected in the receptacle 60 are empty in the horizontal section of the chain and the grill on the charcoal grill is removed The grill covering the upper part of the charcoal can be maintained in a state of being removed.

여기서, 상기 구이용 봉(100)의 공급을 일시적으로 차단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 인출차단부재(70)이며, 상기 인출차단부재(70)는 상기 공급부(10)의 봉 인출구(11) 일부를 일시적으로 가리워서 구이용 봉(100)이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인출차단부재(70)의 수평부(72)에 의해서 기능하게 되는 이러한 가림막대는 좌우 한쌍의 체인부(30)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따라서 체인부(30)의 이동에 간섭없이 동작할 수 있게 된다.Here, it is a draw-out blocking member 70 that is used for temporarily interrupting the supply of the roasting bar 100, and the draw-out blocking member 70 temporarily holds a part of the rod withdrawal opening 11 of the feeding portion 10 Shielding bar 100 can be prevented from escaping by being covered by the horizontal portion 72 of the draw-out blocking member 70. Such a curtain wall which functions as the horizontal portion 72 of the draw- Therefore, it is possible to operate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movement of the chain portion 30.

즉, 차단레버인 인출차단부재(70)의 수직부(71)를 수동 또는 연계되는 상기 구동부(20)의 구동으로부터 꺽임부(73)를 힌지로 하여 회전작동시키면, 상기 인출차단부재(70)를 이루는 수평부(72)가 상기 봉 인출구(11)를 일시적으로 폐쇄시키게 되며, 이에 상기 봉 인출구(11)를 통한 구이용 봉(100)의 연속적인 인출은 차단된다.That is, when the vertical portion 71 of the draw-out blocking member 70, which is a blocking lever, is rotated and operated from the driving of the driving unit 20 manually or with the bent portion 73 as a hinge, And the horizontal portion 72 constituting the bar opening / closing member 11 temporarily closes the bar opening / closing port 11, so that the continuous withdrawal of the bar 100 through the bar opening /

여기서, 상기 인출차단부재(70)를 상기 구동부(20)와 연계되는 전동형으로 설명하였지만, 첨부된 도 1에서와 같이 독립적인 구동부로서 편심구동모터(700)와 이를 풀리와 벨트로 이루어지는 링크부재(800)로 연결하는 수평 막대형 차단레버(72a)로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1, the eccentric drive motor 700 and the link member 70, which is a pulley and a belt, is used as an independent drive unit, as shown in FIG. 1, And a horizontal bar cut-off lever 72a connected to the horizontal bar cut-off lever 800.

앞서도 살펴본 바와 같이 고기의 구이를 마치고 한쪽으로 이동한 오염된 구이용 봉(100)이 버킷홈(41)으로부터 분리되면서 수거통(60)으로 자유 낙하되는 것인데, 이때 기름으로 오염된 구이용 봉(100)은 그 표면에 뭍은 기름 또는 양념 등의 점성을 가지고 있고, 또한 무질서하게 수거통(60) 안으로 떨어지게 되는 것이므로 각기 다른 방향으로 엉키며 저장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를 가져오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contaminated roasting bar 100 moved to one side after roasting the meat is freely dropped into the receptacle 60 while being separated from the bucket groove 41. At this time, the roasting bar 100 contaminated with oil It has a viscosity such as oil or seasoning on the surface thereof, and it also falls into the receptacle 60 in disorder. Therefore, the storage space can not be efficiently used due to tangling in different directions.

따라서 이를 수평 정렬된 상태로 최소 낙하위치까지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수거통(62)의 상측에 낙하유도판(83)을 부가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a drop induction plate 83 is additionally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receptacle 62 so that it can be guided to the minimum fall position in a horizontal alignment state.

이같은 상기 낙하유도판(83)은 물결무늬의 플레이트 구조물로 구성된다. 이는 낙하되는 오염된 구이용 봉(100)이 수평 정렬된 상태로 최소 낙하위치까지 안내할 수 있도록 하여 무질서한 수납에 의한 저장공간의 비효율적인 사용을 방지하기 위함이다.The falling guide plate 83 is formed of a wavy plate structure. This is to prevent the inefficient use of the storage space due to disordered storage by allowing the contaminated roasting rods 100 to fall down to be guided to the minimum drop position in a horizontal alignment state.

이같은 낙하유도판(83)은, 상기 수거통(60) 일측에 마련되는 제 1 라쳇기어(82)와 연계하여 기울임각이 변화되도록 설치되는 것이며, 이를 통해 상기 버킷홈(41)으로부터 낙하되는 상기 구이용 봉(100)을 상기 수거통(60)에 균등 분포되게 순차적으로 낙하시키게 된다.The falling guide plate 83 is installed to vary the tilt angle in conjunction with the first ratchet gear 82 provided at one side of the receptacle 60, So that the rods 100 are successively dropped in the receptacle 60 in an evenly distributed manner.

다시말해 상기 낙하유도판(83)은 상기 제 1 라쳇기어(82)의 회전이 이루어질 때 첨부된 도 3 및 도 11에서와 같이, 회전축(821a)을 중심으로 좌우 양단에 형성되는 제 2 라쳇기어(821)가 상기 제 1 라쳇기어(82)에 맞물림 결합되어 있으므로 기울임각이 순차적으로 변화될 수 있는 것이며, 이러한 기울임각의 변화를 통해 상기 버킷홈(41)으로부터 낙하되는 상기 구이용 봉(100)이 상기 수거통(60) 안에 골고루 담길 수 있게 되는 것이다.3 and 11, when the first ratchet gear 82 is rotated, the falling guide plate 83 rotates about the rotation axis 821a, The inclination angle can be sequentially changed since the first ratchet gear 821 is engaged with the first ratchet gear 82. The angle of the tilt angle of the rope 100 falling from the bucket groove 41, So that it can be evenly contained in the receptacle 60.

이때, 상기 수거통(60)의 내부 바닥면에는 봉 정렬부(91)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낙하유도판(83)에 의해 순차적으로 자유낙하되는 구이용 봉(100)은 상기 수거통(60)의 내부에서 상기 봉 정렬부(91)에 의해 어느 한 위치에서 집중 적층되는 것이 방지되는 즉, 고루게 분포되는 적층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In this case, since the rod-arranging portion 91 is form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receptacle 60, the roasting rod 100, which is freely dropped by the falling guide plate 83,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laminated state in which the concentrated arrangement is prevented by the rod arranging unit 91 at a certain position.

이상에서 본 발명의 그릴 이동형 구이기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Therefore, it is intend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not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embodiment described and that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And such changes are, of cours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10; 공급부 11; 봉 인출구
12; 하중분산판 20; 구동부
21; 모터 21a; 구동기어
22; 피동기어 22a; 구동벨트
23; 제 1 체인기어 24; 제 2 체인기어
25; 제 3 체인기어 30; 체인부
31; 제 1 체인연결편 31a; 제 1 중공홀
31b; 상부안착면 32; 제 2 체인연결편
32a; 제 2 중공홀 33; 체인결합핀
33a; 제 1 핀부 33b; 제 2 핀부
41; 버킷홈 42; 경사면
43; 걸림턱 50; 봉 굴림부
60; 수거통 70; 차단레버
71; 수직부 72; 수평부
73; 꺽임부 81; 벨트
82; 제 1 라쳇기어 821; 제 2 라쳇기어
821a; 회전축 83; 낙하유도판
91; 봉 정렬부 100; 구이용 봉
101; 메인봉 102; 거치봉
700; 편심회전모터 800; 링크부재
10; A supply unit 11; Bar exit
12; A load distribution plate 20; The driving unit
21; Motor 21a; Drive gear
22; Driven gear 22a; Drive belt
23; A first chain gear 24; The second chain gear
25; A third chain gear 30; Chain portion
31; A first chain connecting piece 31a; The first hollow hole
31b; Upper seating surface 32; The second chain connecting piece
32a; A second hollow hole 33; Chain coupling pin
33a; A first fin portion 33b; The second fin
41; A bucket groove 42; incline
43; A latching jaw 50; [0035]
60; A receptacle 70; Blocking lever
71; Vertical portion 72; Horizontal portion
73; Bending portion 81; belt
82; A first ratchet gear 821; The second ratchet gear
821a; A rotating shaft 83; Drop guide plate
91; Rod arranging unit 100; Roasting rods
101; Main rods 102; Mounting rod
700; An eccentric rotation motor 800; Link member

Claims (16)

그릴 구이판을 형성하기 위한 구이용 봉을 순차 공급하는 공급부; 좌우 한 쌍으로서 상기 공급부로부터 순차 공급되는 구이용 봉이 순차적으로 안착되어 정렬되는 버킷홈을 가지며, 구동부에 의해 회전 이송하여 상기 구이용 봉을 순차 이송시키는 체인부; 상기 체인부의 버킷홈에 안착 정렬되는 구이용 봉이 순차 이송시, 상기 구이용 봉의 양측 단부에 탄력적으로 접촉되어서, 고기와 접촉하는 상기 구이용 봉을 연속적으로 회전시키는 봉 굴림부; 및, 그릴 구이판 사용이 종료되는 상기 구이용 봉이 상기 체인부에 의해 이송되면서 상기 체인부로부터 낙하시, 낙하되는 상기 구이용 봉을 수거하는 수거통; 을 포함하고,
상기 공급부는 바닥면이 경사진 호퍼로서, 상기 호퍼의 하단에는 수용되는 구이용 봉이 자중에 의하여 인출되도록 봉 인출구를 형성하고, 상기 봉 인출구 외측에는 구이 중단시 체인부에 설치되는 버킷 위에 연속적으로 적재되는 상기 구이용 봉의 공급을 일시적으로 차단시키게 되는 인출차단부재를 형성하되,
상기 인출차단부재는 수직부와 수평부를 가지면서 꺽임부를 힌지로 하여 회전하는 "ㄴ"자형 구조의 막대형 차단레버로서, 상기 수직부는 상기 꺽임부를 힌지로 하여 작동바아로 작동하고, 상기 수평부는 상기 봉 인출구를 가리우는 억지편으로 작동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릴 이동형 구이기.
A supply part for sequentially supplying a roasting rod for forming a grilling plate; A chain unit having a pair of right and left bucket grooves which are sequentially aligned and aligned and sequentially fed from the supply unit and which are rotated and transferred by a driving unit to sequentially move the roasting rods; A bar-turning unit that elastically contacts both end portions of the roasting bar and continuously rotates the roasting bar in contact with the meat when the roasting rods seated and aligned in the bucket grooves of the chain portion are sequentially transported; And a collection box for collecting the rods to be dropped when the roasting rods that are used by the grilling rods are being transported by the chain portions and falling from the chain portions; / RTI >
The hopper has a bottom surface inclined with a bottom surface. The hopper is formed with a rod outlet through which the rope is received by its own weight, and the hopper is continuously loaded on the bucket Wherein the outflow blocking member is provided to temporarily block the supply of the roasting bar,
Wherein the draw-out blocking member is a bar-like cut-off lever having a vertical part and a horizontal part and rotating with a bent part as a hinge, the vertical part operates as an operating bar with the bent part as a hinge, And is structured so as to function as a detent piece covering the rod outle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이용 봉이 양념없는 고기 구이용으로 사용시, 고기 접촉용의 메인봉과, 상기 메인봉의 양단에서 상기 메인봉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거치봉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릴 이동형 구이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oasting rod comprises a main rod for meat contact when used for roasting meat without sauce and a stationary rod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main rod at both ends of the main rod.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봉은, 1∼2㎜ 범위내의 이격거리를 유지하면서 회전하는 원형 단면, 또는 2㎜ 이상의 이격거리를 유지하면서 회전하는 각형 단면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릴 이동형 구이기.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main rod is selectively used as a circular cross section that rotates while maintaining a spacing distance within a range of 1 to 2 mm or a rectangular cross section that rotates while maintaining a spacing distance of 2 mm or mor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구동기어를 회전시키도록 구동하는 모터; 상기 구동기어와 구동벨트로 연결되는 피동기어; 상기 피동기어의 일면에 고정축으로 연결되며, 폐회로를 이루는 상기 체인부와 연결되는 제 1 체인기어; 상기 제 1 체인기어와 일정거리 이격되고 구이용 봉의 공급측에 마련되는 제 2 체인기어; 및, 상기 제 2 체인기어와 일정거리 이격되는 구이용 봉의 수거측에 마련되는 제 3 체인기어; 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릴 이동형 구이기.
The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 motor for driving the driving gear to rotate; A driven gear connected to the drive gear and the drive belt; A first chain gear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driven gear by a fixed shaft and connected to the chain portion constituting a closed circuit; A second chain gear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hain gea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provided on a supply side of the roasting rod; And a third chain gear provided on a collection side of a rope rod spaced a certain distance from the second chain gear; Wherein the grill-type baking machine compris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부는,
양단에 한 쌍의 제 1 중공홀을 천공하고 이들 한 쌍의 제 1 중공홀 중심선을 기준 폭으로 상부 연장 꺽임되는 복수의 상부안착면과, 상기 상부안착면들 사이에 구이용 봉의 양단이 안착되는 버킷홈을 형성한 단위블럭체인 제 1 체인연결편; 양단에 한쌍의 제 2 중공홀을 천공되며, 인접한 2개의 상기 제 1 체인연결편을 상호 연결하는 제 2 체인연결편; 및, 상기 제 1,2 중공홀에 양단이 끼움 결합된 핀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 1,2 체인연결편이 비틀림이 억제되면서 안정된 지지력을 유지하도록 상기 제 1,2 체인연결편을 결합시키는 체인결합핀; 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핀부는,
상기 제 1 중공홀에 끼워지며, 그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최종 리벳마감부를 마련하게 되는 제 1 핀부; 및, 상기 제 1 핀부 보다는 굵고 체인결합핀 중심부보다는 가늘게 구성되어 상기 제 1 핀부 및 체인결합핀 중심부와 단턱으로 분리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 2 체인연결편의 두께보다 길게 형성되는 제 2 핀부; 로 구성하여, 상기 제 1,2 체인연결편이 최소 이격거리를 유지하면서 마찰간섭이 억제된 상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릴 이동형 구이기.
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 pair of first hollow holes formed at both ends of the pair of first hollow holes and bent upwardly at a reference width of the pair of first hollow hole center lines; A first chain connecting piece as a unit block forming a groove; A second chain connecting piece which is formed at both ends with a pair of second hollow holes and interconnects the two adjacent first chain connecting pieces; And a pin connecting portion having both ends thereof fit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hollow holes. The first and second chain connecting pieces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a chain coupling pin ; Lt; / RTI >
Wherein the pin portion includes:
A first fin portion which is fitted in the first hollow hole and whose end is exposed to the outside to provide a final rivet finish portion; And a second fin portion that is formed to be thinner than a center portion of the coupling pin, which is thicker than the first fin portion, and which is separated from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fin portion and the chain coupling pin at a step lon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econd chain coupling portion.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chain connecting pieces are coupled in a state in which frictional interference is suppressed while maintaining a minimum separation distance.
삭제delet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버킷홈은 상기 구이용 봉의 양단 거치부 일부를 노출되도록 상기 구이용 봉의 높이보다 낮게 구성되고, 상기 상부안착면의 일단에는 상기 버킷홈으로 상기 구이용 봉의 진입을 가이드하는 경사면을 형성하며, 상기 상부안착면의 타단에는 상기 버킷홈으로 일부가 노출되도록 안착되는 상기 구이용 봉의 이탈을 방지시키는 걸림턱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릴 이동형 구이기.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bucket grooves are formed to be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rods so as to expose a part of the both end mounting portions of the roasting rods and one end of the upper seating surface forms an inclined surface for guiding the entrance of the roasting rods into the bucket grooves, Is formed at the other end thereof with a catching protrusion for preventing the detachment of the roasting stick which is seated so as to be partially exposed by the bucket groov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봉 굴림부는 상기 버킷홈에 안착되어 상기 체인부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구이용 봉의 양측 상단에 접촉되어 상기 구이용 봉을 회전시키는 고무막대로서, 상기 고무막대는 좌우 한 쌍을 이루는 상기 체인부의 수평구간 상측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릴 이동형 구이기.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rod portion is a rubber rod which is seated in the bucket groove and contacts the upper ends of both ends of the rope to be conveyed by the chain portion to rotate the rope rod,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grill.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구이용 봉에 닿는 고기면에 충분한 열 전달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구이용 봉은 상기 봉 굴림부에 의해 상기 체인부의 회전 이송속도에 대하여 1/2의 회전속도를 유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릴 이동형 구이기.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roasting rod is configured to maintain a rotation speed of 1/2 with respect to the rotational feed rate of the chain portion by the bar rolling portion so that sufficient heat transfer to the meat surface contacting the roasting rod is achieved.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통에 인접하는 상기 제 3 체인기어와 벨트로 연결되는 제 1 라쳇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라쳇기어에는 제 1 라쳇기어 회전시 상기 버킷홈으로부터 낙하되는 상기 구이용 봉을 상기 수거통에 순차적으로 낙하시키도록 기울임각이 변화되는 낙하유도판을 연결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릴 이동형 구이기.
9. The method of claim 8,
And a first ratchet gear connected to the third chain gear adjacent to the bin, the first ratchet gear being rotatably supported by the first ratchet gear, And a falling guide plate having a tilt angle changed so as to fall down.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낙하유도판은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물결무늬의 플레이트 구조물이고, 상기 물결무늬의 플레이트 구조물 일단에는 회전축이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의 양단에는 상기 제 1 라쳇기어에 맞물림 결합되는 제 2 라쳇기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릴 이동형 구이기.
15. The method of claim 14,
And a second ratchet gear engaged with the first ratchet gear at both ends of the rotatable shaft to engage with the first ratchet gear, Wherein the grill-type griddle is formed by grinding the grill.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통의 내부 저면에는 상기 낙하유도판에 의해 순차적으로 상기 구이용 봉이 낙하시, 낙하되는 상기 구이용 봉이 어느 한 위치에서 집중 적층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봉 정렬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릴 이동형 구이기.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a rod-shaped portion is formed on an inner bottom surface of the receptacle so as to prevent the rods falling down when the rods are dropped by the falling guide plate from being concentrated at any position.
KR1020170124586A 2017-09-26 2017-09-26 A grill movable type roast board KR10188262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4586A KR101882623B1 (en) 2017-09-26 2017-09-26 A grill movable type roast boar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4586A KR101882623B1 (en) 2017-09-26 2017-09-26 A grill movable type roast boar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2623B1 true KR101882623B1 (en) 2018-08-24

Family

ID=63454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4586A KR101882623B1 (en) 2017-09-26 2017-09-26 A grill movable type roast boar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262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9871B1 (en) 2023-12-08 2024-04-22 이근호 a portable grilling machine with a flipping functio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2066Y1 (en) * 2002-10-23 2003-01-24 안민아 food roasted
KR100630881B1 (en) * 2006-03-14 2006-10-04 조흥율 A changing apparatus of gridiron for roast
US20070169769A1 (en) 2004-10-27 2007-07-26 Sang Seon Oh Grill
KR100763576B1 (en) * 2006-01-26 2007-10-04 김용민 Automatic supply and transfer apparatus of roast bar
KR101102693B1 (en) * 2008-04-17 2012-01-05 양노민 An auto roaster
KR101624427B1 (en) * 2014-12-29 2016-05-25 최현철 Apparatus for roasting easily replacable by user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2066Y1 (en) * 2002-10-23 2003-01-24 안민아 food roasted
US20070169769A1 (en) 2004-10-27 2007-07-26 Sang Seon Oh Grill
KR100763576B1 (en) * 2006-01-26 2007-10-04 김용민 Automatic supply and transfer apparatus of roast bar
KR100630881B1 (en) * 2006-03-14 2006-10-04 조흥율 A changing apparatus of gridiron for roast
KR101102693B1 (en) * 2008-04-17 2012-01-05 양노민 An auto roaster
KR101624427B1 (en) * 2014-12-29 2016-05-25 최현철 Apparatus for roasting easily replacable by user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9871B1 (en) 2023-12-08 2024-04-22 이근호 a portable grilling machine with a flipping fun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0881B1 (en) A changing apparatus of gridiron for roast
KR101882623B1 (en) A grill movable type roast board
WO2017209405A1 (en) Fish cutting apparatus
US6471042B1 (en) Transporting device for food products
JP4873350B2 (en) Rotating charcoal grill
KR101902741B1 (en) A grill movable type roast board
KR100468625B1 (en) A turn roast board
KR20090044190A (en) An automatic equipment for a fried dish
KR100852583B1 (en) A turning type roast board
JP3862986B2 (en) toaster
KR100949476B1 (en) Charcoal fire roaster
CN210095447U (en) Stewing and frying device
CN209995972U (en) automatic making machine for tea-cakes
KR101023663B1 (en) Auto roasting apparatus
KR100661086B1 (en) A gridiron apparatus for roast
KR102659871B1 (en) a portable grilling machine with a flipping function
JP3582787B2 (en) Fried rice cracker manufacturing equipment
KR20120007809U (en) Machine for roasting meat using the rotation
KR20140063129A (en) Meat burning device
TW201429402A (en) Automatic roasting machine
CN214856149U (en) Full-automatic smokeless barbecue machine
KR102591752B1 (en) A rotating type roaster
KR20220106514A (en) Manufacturing device for food
KR20220106515A (en) Manufacturing device for food
KR20220106513A (en) Manufacturing device for fo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