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2245B1 - 차량용 제동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제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2245B1
KR101882245B1 KR1020110134045A KR20110134045A KR101882245B1 KR 101882245 B1 KR101882245 B1 KR 101882245B1 KR 1020110134045 A KR1020110134045 A KR 1020110134045A KR 20110134045 A KR20110134045 A KR 20110134045A KR 101882245 B1 KR101882245 B1 KR 1018822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ust
lamp
retainer
housing
spring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4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7172A (ko
Inventor
심재환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4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2245B1/ko
Publication of KR20130067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71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2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22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14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 F16D65/28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apart from the bra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05Components of axially engaging brak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6D65/0068Brake calipers
    • F16D65/0075Brake calipers assembled from a plurality of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1/00Type of actuator operation force
    • F16D2121/14Mechan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관통홀이 형성되는 하우징부와, 하우징부에 삽입되는 스프링시트부와, 스프링시트부에 삽입되고 관통홀을 관통하여 회전되는 로터리램프부와, 로터리램프부와 연동되어 회전되는 볼판부와, 볼판부에 접촉되고 볼판부가 회전됨에 따라 볼판부에 의해 밀려나는 트러스트램프부와, 트러스트램프부를 감싸는 탄성부와, 탄성부를 커버하고 스프링시트부와 결합되는 스프링가이드부 및 스프링가이드부의 외측면을 압박하며 하우징부의 내부에 걸림 고정되는 리테이너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제동장치는 리테이너부가 하우징부의 내부에 장착됨으로써, 외부충격으로 인해 리테이너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제동장치{BRAKING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부품간의 조립 유격을 억제하고, 외부 충격에 의한 고정 상태의 손상을 방지하는 차량용 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장착되는 브레이크는 주행 중의 차량을 감속시키거나 정지시키기 위한 장치로써 드럼 브레이크와 디스크 브레이크가 있다.
차량의 주차시에 차량을 정지 상태로 유지시키는 주차 브레이크는 통상 드럼 브레이크에 일체로 구비되는 드럼 타입과, 디스크 브레이크에 일체로 구비되는 디스크 타입이 있다.
주차 브레이크는 이를 작동시키기 위한 주차 케이블과 연결되고, 주차 케이블은 운전자가 직접 조작하는 주차레버나 전동장치에 의해 작동되는 케이블 조작장치와 연결되어서 수동 또는 자동으로 작동된다.
이 중에서 디스크 타입의 주차 브레이크는 차량의 휠과 함께 회전하는 디스크의 양면에 디스크 패드를 압착하여 마찰을 일으킴으로써 제동력을 얻는다.
일반적인 디스크 타입의 주차 브레이크는 차량의 휠과 함께 회전하는 디스크와, 디스크의 내측 및 외측에 설치되는 내측 및 외측 디스크 패드와, 이들 내측 및 외측 디스크 패드를 작동시키기 위한 캘리퍼 하우징 및 캘리퍼 하우징에 설치되는 피스톤과, 캘리퍼 하우징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캐리어와, 피스톤을 작동시키기 위한 액츄에이터를 포함한다.
캘리퍼 하우징은 디스크의 외주 일측에 위치되도록 차체의 너클에 고정되는 캐리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캘리퍼 하우징에는 피스톤이 진퇴 가능하게 수용되는 실린더가 구비된다.
피스톤은 실린더 내에서 전진하면서 내측 디스크 패드를 디스크에 밀착시키도록 가압한다.
액추에이터는 주차 케이블과 연결되며, 주차 케이블이 작동되면 피스톤을 디스크 쪽으로 가압한다.
이러한 액추에이터로는 주차 케이블의 작동에 의해 회전하는 캠과, 캠과 피스톤 사이에 설치되는 스트러트를 이용한 소위, 캠-스트러트(cam-strut) 방식이 있다.
그 외, 볼 인 램프(ball in ramp) 방식 액추에이터에는 캘리퍼하우징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트러스트램프와, 주차 케이블의 작동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리램프와, 트러스트램프와 로터리램프 사이에 설치되는 볼판과, 로터리램프와 인접하여 피스톤을 밀어주는 푸시로드가 구비된다.
이 중에서 볼 인 램프 방식은 로터리램프가 회전함과 동시에 전진하면서 푸시로드를 밀어주고, 푸시로드는 피스톤을 밀어 디스크 패드를 디스크에 밀착시키도록 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11-0093320호(2011.08.18 공개, 발명의 명칭: 차량 제동장치의 카트리지 어셈블리)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볼 인 램프 방식에서는 로터리램프가 캘리퍼하우징의 외부에서 리테이너에 의해 결합되므로, 외부 충격으로 인해 결합부위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볼 인 램프 방식에서는 스프링가이드가 트러스트램프와 결합되어 트러스트램프의 회전을 방지하고 있으나, 스프링가이드의 강도가 트러스트램프 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강성을 가져, 스프링가이드가 변형되거나 마찰력에 의해 입출력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외부 충격으로 인한 리테이너의 손상을 억제하고, 스프링가이드의 변형을 방지하는 차량용 제동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관통홀이 형성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에 삽입되는 스프링시트부; 상기 스프링시트부에 삽입되고,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회전되는 로터리램프부; 상기 로터리램프부와 연동되어 회전되는 볼판부; 상기 볼판부에 접촉되고, 상기 볼판부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볼판부에 의해 밀려나는 트러스트램프부; 상기 트러스트램프부를 감싸는 탄성부; 상기 탄성부를 커버하고, 상기 스프링시트부와 결합되는 스프링가이드부; 및 상기 스프링가이드부의 외측면을 압박하며,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걸림 고정되는 리테이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동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리테이너부는 일부가 절개된 링 형상을 하며, 상기 리테이너부의 내측면은 상기 스프링가이드부를 압박하고, 상기 리테이너부의 외측면은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삽입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프링시트부에는 돌기홀이 형성되고, 상기 트러스트램프부의 외측에는 상기 돌기홀에 삽입되는 삽입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회전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제동장치는 리테이너부가 하우징부의 내측에 장착됨으로써, 외부충격으로 인한 리테이너부의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제동장치는 상당한 강성을 갖는 스프링시트부에 트러스트램프부가 걸림고정됨으로써, 트러스트램프부의 회전이 제한되어 축방향으로의 안정적인 이동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동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동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동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제동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동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동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동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동장치(1)에는 하우징부(10), 스프링시트부(20), 로터리램프부(30), 볼판부(40), 트러스트램프부(50), 탄성부(60), 스프링가이드부(70) 및 리테이너부(80)가 구비된다.
하우징부(10)에는 관통홀(11)이 형성되고, 스프링시트부(20)는 하우징부(10)에 삽입된다.
스프링시트부(20)에는 로터리램프(30)가 관통되도록 시트홀(21a)이 형성되고 하우징부(10)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시트관(21), 시트관(21)의 단부에서 외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확장판(22) 및 확장판(22)에서 구부러져 원통 형상을 하는 시트통(23)이 구비된다.
로터리램프부(30)는 스프링시트부(20)에 삽입되어 회전된다. 이러한 로터리램프부(30)에는 시트통(23)에 삽입되는 로터리판(31) 및 로터리판(31)에 연결되고 관통홀(11)을 관통하여 주차 케이블과 연결되는 로터리축(32)이 구비된다. 이러한 주차 케이블의 작동에 의해 로터리램프부(30)가 회전된다.
이때, 베어링(33)은 로터리축(32)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로터리축(32)의 회전이 원활하도록 유도한다.
볼판부(40)는 로터리램프부(30)와 접촉되어, 로터리램프부(30)와 연동되어 회전된다. 이러한 볼판부(40)에는 원판(41)과 원판(41)에 장착되는 볼(42)이 구비된다.
원판(41)은 하우징부(10)에 내장되고 로터리램프부(30)와 트러스트램프부(50) 사이에 배치된다. 볼(42)은 원판(41)에 결합되어 원판(41)의 양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볼(42)의 일측은 로터리판(31)과 접촉되고, 볼(42)의 타측은 트러스트램프부(50)와 접촉된다.
이때, 볼(42)의 일측은 로터리판(31)에 형성된 홈에 걸려 로터리판(31)이 회전되면, 볼(42)이 결합된 원판(41)이 회전된다.
트러스트램프부(50)는 볼판부(40)에 접촉되고, 볼판부(40)가 회전됨에 따라 볼판부(40)에 의해 밀려난다.
트러스트램프부(50)에는 트러스트판(51), 트러스트판(51)에서 로터리램프부(40) 반대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트러스트축(52)이 구비된다. 이러한 트러스트축(52)은 피스톤을 밀어주는 푸시로드와 연결된다.
트러스트판(51)은 볼(42)과 접촉되며, 볼(42)이 삽입되는 홈의 깊이가 상이하여 볼판부(40)가 회전되면 볼(42)에 의해 밀려난다.
탄성부(60)는 트러스트램프부(50)를 감싼다. 이러한 탄성부(60)는 코일스프링 형상을 하며, 트러스트축(52)을 감싼다.
스프링가이드부(70)는 탄성부(60)를 커버하여 탄성부(60)의 이탈을 방지한다.
스프링가이드부(70)에는 링 형상을 하는 가이드링(71) 및 가이드링(71)에서 연장 형성되고 탄성부(60)를 감싸는 복수의 가이드커버(72)가 구비된다.
가이드커버(72)에는 시트통(23)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고정돌기(24)에 걸려 고정되도록 중앙에 홀이 형성되는 결합판(73)이 구비된다.
리테이너부(80)는 스프링가이드부(70)의 외측면을 압박하며, 하우징부(10)의 내부에 걸림 고정된다.
리테이너부(80)는 일부가 절개된 링 형상을 하여 수축 및 팽창이 가능하다. 이러한 리테이너부(80)의 내측면은 스프링가이드부(70)의 가이드커버(72)를 압박하고, 외측면은 하우징부(10)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삽입홈(12)에 삽입되어 하우징부(10)에 고정된다.
스프링시트부(20)에는 돌기홀(25)이 형성된다. 이러한 돌기홀(25)은 시트통(23)의 단부에 형성된다.
한편, 트러스트램프부(50)의 외측에는 돌기홀(25)에 삽입되는 삽입돌기(55)가 돌출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트러스트판(51)은 시트통(23) 내부로 삽입되고, 트러스트판(51)의 외측에서 돌출 형성되는 삽입돌기(55)는 돌기홀(25)에 삽입되어 회전이 제한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동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우징부(10)에는 스프링시트부(20)가 삽입되고, 로터리램프부(30)는 스프링시트부(20)에 삽입된 상태에서 주차 케이블과 연결된다.
볼판부(40)는 트러스트램프부(50)와 로터리램프부(30) 사이에 배치되고, 로터리램프부(30)와 연동되어 회전된다.
트러스트램프부(50)의 외측에는 탄성부(60)가 감기고, 탄성부(60)를 감싸는 스프링가이드부(70)는 스프링시트부(20)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한 상태에서, 주차 케이블이 작동되면, 로터리램프부(30)가 회전되고, 로터리램프부(30)와 연동되어 회전되는 볼판부(40)에 의해 트러스트램프부(50)가 밀려나 피스톤을 밀어주는 푸시로드를 가압한다.
상기한 상태에서, 주차 케이블의 작동이 해제되면, 탄성부(60)의 복원력에 의해 트러스트램프부(50)가 원위치로 복귀된다.
한편, 스프링가이드부(70)를 감싸는 리테이너부(80)는 하우징부(10)의 내측에 형성되는 삽입홈(12)에 삽입되어 스프링가이드부(70)의 유동을 제한한다. 이러한 리테이너부(80)는 하우징부(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외부 충격으로 인한 손상이 억제된다.
그리고, 스프링가이드부(70) 보다 두꺼운 단면적을 가져 상대적으로 강성이 높은 스프링시트부(20)에 돌기홀(25)이 형성되고, 트러스트램프부(50)의 외측에 형성되는 삽입돌기(55)가 돌기홀(25)에 삽입된다.
삽입돌기(55)가 돌기홀(25)에 삽입되면 트러스트램프부(50)의 회전이 제한되므로, 트러스트램프부(50)는 축방향으로 안정적인 이동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하우징부 12 : 삽입홈
20 : 스프링시트부 25 : 돌기홀
30 : 로터리램프부 40 : 볼판부
50 : 트러스트램프부 60 : 탄성부
70 : 스프링가이드부 80 : 리테이너부

Claims (3)

  1. 관통홀이 형성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에 삽입되는 스프링시트부;
    상기 스프링시트부에 삽입되고,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회전되는 로터리램프부;
    상기 로터리램프부와 연동되어 회전되는 볼판부;
    상기 볼판부에 접촉되고, 상기 볼판부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볼판부에 의해 밀려나는 트러스트램프부;
    상기 트러스트램프부를 감싸는 탄성부;
    상기 탄성부를 커버하고, 상기 스프링시트부와 결합되는 스프링가이드부; 및
    상기 스프링가이드부의 외측면을 압박하며,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걸림 고정되는 리테이너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시트부에는 돌기홀이 형성되며,
    상기 트러스트램프부의 외측에는 상기 돌기홀에 삽입되는 삽입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회전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부는 일부가 절개된 링 형상을 하며,
    상기 리테이너부의 내측면은 상기 스프링가이드부를 압박하고,
    상기 리테이너부의 외측면은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삽입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동장치.
  3. 삭제
KR1020110134045A 2011-12-13 2011-12-13 차량용 제동장치 KR1018822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4045A KR101882245B1 (ko) 2011-12-13 2011-12-13 차량용 제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4045A KR101882245B1 (ko) 2011-12-13 2011-12-13 차량용 제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7172A KR20130067172A (ko) 2013-06-21
KR101882245B1 true KR101882245B1 (ko) 2018-08-24

Family

ID=48863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4045A KR101882245B1 (ko) 2011-12-13 2011-12-13 차량용 제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22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6371B1 (ko) * 2014-03-06 2021-04-29 주식회사 만도 차량용 주차 브레이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849B1 (ko) * 2006-11-23 2007-11-2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테이퍼 롤러 인 램프타입 브레이크 캘리퍼를 이용한 차량의주차 브레이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9381B1 (ko) * 2005-06-22 2010-12-09 주식회사 만도 디스크 브레이크의 주차브레이크 장치
KR20110093320A (ko) * 2010-02-12 2011-08-1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 제동장치의 카트리지 어셈블리
KR20110124599A (ko) * 2010-05-11 2011-11-17 주식회사 만도 주차 브레이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849B1 (ko) * 2006-11-23 2007-11-2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테이퍼 롤러 인 램프타입 브레이크 캘리퍼를 이용한 차량의주차 브레이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7172A (ko) 2013-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511830A (ja) フットブレーキとパーキングブレーキを組み合せた車両用ディスク式制動装置
US20110278106A1 (en) Parking brake
CN109114132B (zh) 电动致动器及电动驻车制动装置
JP2013113378A (ja) ディスクブレーキ
CN109114133B (zh) 鼓式制动装置
US20190277355A1 (en) Drag reducing structure and electric disk brake having the same
KR20110029267A (ko) 차량용 주차 브레이크
KR101882245B1 (ko) 차량용 제동장치
JP3911656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
KR101668732B1 (ko) 파킹 브레이크를 내장한 건설기계용 엑슬장치
TWI667167B (zh) 具有剎車片間隔件之自行車碟剎卡鉗
KR101405190B1 (ko) 디스크 타입 주차 브레이크 실링부재
CN111396480B (zh) 车辆鼓式制动装置
KR20080023876A (ko) 차량용 주차 브레이크
JP5623905B2 (ja) ブレーキキャリパの駐車装置、ブレーキキャリパ及びディスクブレーキ
JP2016028215A (ja) ディスクブレーキ
KR20080012468A (ko) 차량용 주차 브레이크
JP7363309B2 (ja) 接続構造
KR20170010545A (ko) 디스크 브레이크
JP2007255597A (ja) ディスクブレーキ
JP4583921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
KR20100083576A (ko) 파킹 브레이크를 내장한 건설기계용 엑슬장치
KR101787998B1 (ko) 디스크 브레이크
KR101964596B1 (ko) 차량용 주차 브레이크장치
KR20090043187A (ko) 차량용 디스크브레이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