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1151B1 - 가시광 통신 기반 led-id 기술을 이용한 도어록 장치 - Google Patents

가시광 통신 기반 led-id 기술을 이용한 도어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1151B1
KR101881151B1 KR1020160149978A KR20160149978A KR101881151B1 KR 101881151 B1 KR101881151 B1 KR 101881151B1 KR 1020160149978 A KR1020160149978 A KR 1020160149978A KR 20160149978 A KR20160149978 A KR 20160149978A KR 101881151 B1 KR101881151 B1 KR 1018811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authentication information
light
door lock
ligh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9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2877A (ko
Inventor
김정현
사기동
김영우
김자연
Original Assignee
한국광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광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광기술원
Priority to KR1020160149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1151B1/ko
Publication of KR20180052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28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1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11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11Arrangements specific to free-space transmission, i.e. transmission through air or vacuum
    • H04B10/114Indoor or close-range type systems
    • H04B10/116Visible light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519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94Mechanical aspects of remotely controlled locks
    • E05B2047/0095Mechanical aspects of locks controlled by telephone signals, e.g. by mobile 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시광 통신 기반 LED-ID 기술을 이용한 도어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 스마트폰에 장착된 플래시 또는 LED 및 디스플레이의 광을 이용하여 OCC(Optical Camera Communication) 및 VLC(Visual Light Communication)통신을 통해 도어록을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가시광 통신 기반 LED-ID 기술을 이용한 도어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시광 통신 기반 LED-ID 기술을 이용한 도어록 장치는 OCC 및 VLC 통신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디지털 도어록에 설치된 키패드에 기설정된 비밀번호를 터치, 입력하는 접촉식 방식에 의한 비밀번호 유출, 비밀번호 오류에 따른 문제 등을 해결하고, 외부의 광 노이즈에 강하며 해킹 등의 보안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반 가정집에 적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호텔이나 무인텔, 피트니트 센터의 개인 라커룸 등에 적용할 수 있어 안내데스크 및 상주 인력이 없어도 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가시광 통신 기반 LED-ID 기술을 이용한 도어록 장치{Door lock device using the visible light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LED-ID technology}
본 발명은 가시광 통신 기반 LED-ID 기술을 이용한 도어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 스마트폰에 장착된 플래시 또는 LED 및 디스플레이의 광을 이용하여 OCC(Optical Camera Communication) 및 VLC(Visual Light Communication)통신을 통해 도어록을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가시광 통신 기반 LED-ID 기술을 이용한 도어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도어록은 비밀번호 입력, 지문 인식 또는 RFID카드, 버스카드 등과 같은 전자식 열쇠의 접촉 또는 근접 등에 의해 잠금이 해제되도록 되어 있다.
종래의 일반적인 디지털 도어록은 전면에 숫자를 입력할 수 있는 키패드가 구비되어, 사람이 비밀번호를 누를 경우 개폐되게 되어 있다.
그러나, 비밀번호 입력에 의해 도어록을 개폐하는 경우 비밀번호가 타인에게 노출되기 쉽고 지문 등이 키패드에 남아 있어 보안성이 매우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자식 열쇠를 이용하여 도어록을 개폐하는 경우 사용자의 별도로 전자식 열쇠를 소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3-0077824호(도어록 시스템)에는 리모콘을 이용하여 도어록부의 개폐동작을 원격 제어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공개특허 제10-2003-0060864호(중계기를 이용한 도어록 인터폰 시스템)에는 도어록과 방문자의 단말기를 외부의 중계기를 이용하여 연결하여, 거주자가 부재중에도 방문자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고 방문자의 신원을 확인한 후 방문을 허용할 수 있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도어록 시스템에 의하면 도어록 개폐를 위해서 별도의 사용자가 항상 소지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고, 중계기를 이용하는 도어록 인터폰 시스템의 경우 중계기가 별도로 설치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중계기가 거주자의 비상연락처로 전화걸기를 수행하여 정보를 송수신한 후 도어록을 개폐하는 방식이므로 전화선망 사용에 의한 과금이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KR 10-2003-0077824 A KR 10-2003-0060864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존 스마트폰의 플래시, LED 및 디스플레이의 광을 이용하여 OCC(Optical Camera Communication) 및 VLC(Visual Light Communication)통신을 통해 도어록을 개폐할 수 있는 가시광 통신 기반 LED-ID 기술을 이용한 도어록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OCC 및 VLC 통신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디지털 도어록에 설치된 키패드에 기설정된 비밀번호를 터치, 입력하는 접촉식 방식에 의한 비밀번호 유출, 비밀번호 오류에 따른 문제 등을 해결하고, 외부의 광 노이즈에 강하며 해킹 등의 보안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시광 통신 기반 LED-ID 기술을 이용한 도어록 장치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시광 통신 기반 LED-ID 기술을 이용한 도어록 장치는 서버에 인증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인증정보요청신호를 송출하는 인증정보요청부와, 상기 서버로부터 인증정보를 수신하는 제1인증정보수신부와, 상기 인증정보수신부에 수신된 인증정보를 광제어신호로 변조하는 제1변조부와, 상기 제1변조부에서 변조된 광제어신호에 따라 발광하는 제1광원부와, 외부에서 발생하는 광신호를 수신하는 제1이미지센서와, 상기 제1이미지센서에서 수신되는 광신호를 복조하는 제1복조부와, 상기 제1복조부에서 복조된 정보를 저장 및 상기 제1변조부 및 제1복조부를 제어하는 제1제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단말부와; 상기 서버에서 인증정보요청신호가 수신될 시 상기 서버로부터 인증정보를 수신하는 제2인증정보수신부와, 외부에서 발생하는 광신호를 수신하는 제2이미지센서와, 상기 제2이미지센서에서 수신되는 광신호를 복조하는 제2복조부와, 상기 제2복조부에서 복조된 정보와 상기 제2인증정보수신부에서 수신된 인증정보의 동일 여부를 판정하는 비교판정부와, 상기 비교판정부의 동일 여부에 따라 도어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도어록과, 상기 사용자단말부로 추가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추가정보생성부와, 상기 추가정보생성부에서 생성된 추가정보를 광제어신호로 변조하는 제2변조부와, 제2변조부에서 변조된 광제어신호에 따라 발광하는 제2광원부 및 상기 제2복조부와 상기 도어록 및 상기 제2변조부를 제어하는 제2제어부를 포함하는 개폐단말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광원부 및 제2광원부는 각각 상기 제1제어부 및 제2제어부에 의해 서로 다른 파장을 갖는 광을 선택적으로 방출할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제2광원부로부터 방출되어 상기 제1이미지센서에서 수신되는 광의 파장에 대응되는 파장을 갖는 광이 상기 제1광원부로부터 방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제1광원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제2이미지센서에 촬영된 이미지를 상기 추가정보생성부에 실시간 저장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시광 통신 기반 LED-ID 기술을 이용한 도어록 장치는 기존 스마트폰에 장착된 플래시 또는 LED 및 디스플레이의 광을 이용하여 OCC(Optical Camera Communication) 및 VLC(Visual Light Communication)통신을 통해 도어록을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OCC 및 VLC 통신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디지털 도어록에 설치된 키패드에 기설정된 비밀번호를 터치, 입력하는 접촉식 방식에 의한 비밀번호 유출, 비밀번호 오류에 따른 문제 등을 해결하고, 외부의 광 노이즈에 강하며 해킹 등의 보안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반 가정집에 적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호텔이나 무인텔, 피트니트 센터의 개인 라커룸 등에 적용할 수 있어 안내데스크 및 상주 인력이 없어도 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시광 통신 기반 LED-ID 기술을 이용한 도어록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시광 통신 기반 LED-ID 기술을 이용한 도어록 장치의 제2이미지센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시광 통신 기반 LED-ID 기술을 이용한 도어록 장치의 제2이미지센서 동작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시광 통신 기반 LED-ID 기술을 이용한 도어록 장치의 제2이미지센서에 획득된 영상을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시광 통신 기반 LED-ID 기술을 이용한 도어록(250) 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가시광 통신 기반 LED-ID 기술을 이용한 도어록(250)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가시광 통신 기반 LED-ID 기술을 이용한 도어록(250) 장치는 사용자단말부(100)와, 개폐단말부(200) 및 서버(300)를 구비한다.
상기 사용자단말부(100)는 사용자가 소지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가시광 통신 기반 LED-ID 기술을 이용한 도어록(250) 장치에서 상기 사용자단말부(100)는 일반적인 스마트폰을 적용한다.
상기 사용자단말부(100)는 인증정보요청부(110)와, 제1인증정보수신부(120), 제1변조부(130), 제1광원부(140), 제1이미지센서(150), 제1복조부(160), 제1제어부(170)를 구비한다.
상기 인증정보요청부(110)는 서버(300)에 인증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인증정보요청신호를 송출하는 것으로서, 사용자단말부(100)에 탑재된 인증정보요청모듈의 실행과 동시에 서버(300)로 인증정보요청신호를 송출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인증정보요청모듈은 스마트폰에 탑재되는 일반적인 응용프로그램(Application)이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실행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인증정보요청부(110)는 사용자가 미리 지정해 둔 지역 또는 영역(지정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사용자가 상기 인증정보요청모듈을 실행하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서버(300)에 인증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인증정보요청신호가 자동으로 송출되게 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지정위치에 위치하는지 아닌지의 여부는 사용자단말부(100)에 구비된 GPS수신부에서 수신된 위치정보에 기반하여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상기의 지정위치를 집으로 지정한 후, 사용자가 집 근방(일 예로, 수 미터 내지 수십 미터)에 위치하는 경우, 인증정보요청신호가 송출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인증정보요청모듈을 꼭 실행해야만 하는 번거러움을 없앨 수 있다.
상기 제1인증정보수신부(120)는 서버(300)로부터 인증정보를 수신하며, 수신된 인증정보는 제1제어부(170)에 의해 제1변조부(130)에 전달된다. 이때 제1변조부(130)로 전달되는 인증정보는 이진(Binary) 데이터 형태로 전달된다.
상기 제1변조부(130)는 제1인증정보수신부(120)에 수신된 디지털 인증정보를 아날로그 광제어신호로 변조하는 것으로서, 제1변조부(130)를 통해 변조되는 광제어신호는 펄스 또는 구형파 형태의 전기신호이며, 이 전기신호에 따라 제1광원부(140)가 온/오프 된다.
상기 제1변조부(130)는 기존의 여러 변조 방식을 적용하여 변조할 수 있으며, 일 예로, 제1변조부(130)는 온-오프 키잉(OOK; On-Off keying), 펄스진폭변조(PAM;Pulse Amplitude Modulation), 펄스위상변조(PPM;Pulse Phase Modulation), 펄스폭변조(PWM;Pulse Width Modulation) 방식으로 해당 인증정보를 변조할 수 있다.
상기 제1광원부(140)는 제1변조부(130)에서 변조된 광제어신호에 따라 발광하도록 된 것으로서, 스마트폰의 후면에 장착된 플래시용 LED 및 전면에 장착된 디스플레이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플래시용 LED는 백색광을 방출하며, 디스플레이에서는 다양한 색상의 빛 즉, 다양한 파장의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상기 제1광원부(140)는 제1제어부(170)에 의해 플래시용 LED가 구동 또는 디스플레이가 구동될 수 있으며, 이는 후술하는 추가정보생성부(260)에서 생성되어 전송되는 추가정보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제1이미지센서(150)는 조명을 위한 조명광 또는 태양광 등 외부에서 발생하는 광이나, 후술하는 개폐단말부(200)의 제2광원에서 방출되는 광신호를 수신하여 이미지를 생성하는 카메라를 적용한다. 상기 제1이미지센서(150)는 CCD 또는 CMOS 이미지센서를 적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CMOS 이미지센서를 적용한다.
상기 제1복조부(160)는 제1이미지센서(150)에서 수신되는 광신호 즉, 후술하는 개폐단말부(200)의 제2광원부(280)에서 송출되는 광신호를 복조한다. 이때 복조되는 정보는 서버(300)로부터 개폐단말부(200)로 전송되는 인증정보이거나 추가정보생성부(260)에서 생성된 추가정보일 수 있다.
상기 제1제어부(170)는 인증정보요청부(110), 제1인증정보수신부(120), 제1변조부(130), 제1이미지센서(150)의, 제1복조부(160)의 동작을 각각 제어하며, 제1복조부(160)에서 복조된 정보를 내부에 장착된 메모리(180)에 저장처리한다.
그리고, 제1제어부(170)는 제1광원부(140)로서 디스플레이를 선택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로부터 서로 다른 파장의 광이 방출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제어부(170)는 후술하는 개폐단말부(200)의 제2광원부(280)로부터 방출되어 제1이미지센서(150)에서 수신된 광신호의 파장에 대응되는 파장을 갖는 광신호가 제1광원부(140)로부터 방출될 수 있도록 제1광원부(140)를 제어한다.
상기 개폐단말부(200)는 출입문 등에 설치되어 출입문의 개폐를 담당하는 것으로서, 제2인증정보수신부(210)와, 제2이미지센서(220)와, 제2복조부(230)와, 비교판정부(240)와, 도어록(250)과, 추가정보생성부(260)와, 제2변조부(270)와, 제2광원부(280) 및 제2제어부(290)를 구비한다. 상기의 구성요소들은 출입문에 설치 고정되는 본체에 내장된다.
상기 제2인증정보수신부(210)는 사용자단말부(100)에서 송출된 인증정보요청신호가 서버(300)에 수신될 시, 서버(300)로부터 인증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제2인증정보수신부(210)는 사용자가 요청한 인증정보와 제2이미지센서(220) 및 제2변조부(270)를 통해 획득한 정보를 비교하기 위한 기준을 마련하는 것으로서 후술하는 비교판정부(240)에서 비교시 사용된다.
상기 제2이미지센서(220)는 외부에서 발생하는 광신호를 수신하는 것으로서, 제1이미지센서(150)와 마찬가지로 조명을 위한 조명광 또는 태양광 등의 외부 광이나, 사용자단말부(100)의 제1광원부(140)에서 방출되는 광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카메라이다.
상기 제2복조부(230)는 제2이미지센서(220)에서 수신되는 광신호를 복조하는 것으로서, 제1복조부(160)와 동일한 방식으로 복조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2복조부(230)에서 복조되는 정보는 펄스 또는 구형파 형태의 아날로그 전기신호이며, 상기 제2복조부(230)에서 복조된 전기신호는 일반적인 디지털 샘플링 및 양자화를 통해 이진데이터로 변환된다.
상기 비교판정부(240)는 제2복조부(230)에서 복조된 정보와 제2인증정보수신부(210)에서 수신된 인증정보의 동일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상기 도어록(250)은 출입문에 설치되어 비교판정부(240)의 판정 결과에 따라 출입문이 개방될 수 있게 잠금상태를 해제하거나, 출입문이 폐쇄될 수 있도록 잠금상태를 유지하며, 제2제어부(290)에 의해 동작된다.
상기 추가정보생성부(260)는 사용자단말부(100)로 추가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것으로서, 추가정보생성부(260)에서 생성되는 추가정보는 제2인증정보수신부(210)에서 수신한 인증정보일 수도 있고, 제2이미지센서(220)에서 수신한 이미지정보 또는 기타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제2변조부(270)는 추가정보생성부(260)에서 생성된 추가정보를 제2광원부(280)를 통해 사용자단말부(100)로 전송할 수 있도록 광제어신호로 변조한다.
상기 제2광원부(280)는 제2변조부(270)에서 변조된 광제어신호에 따라 발광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제2광원부(280)는 백색광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파장의 광을 선택적 또는 함께 방출할 수 있도록 R, G, B LED를 갖는 LED모듈을 적용할 수 있으며, 제2제어부(290)는 각각의 LED를 선택 구동함으로써 제2광원부(280)로부터 다양한 색상의 광이 방출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2제어부(290)는 제2인증정보수신부(210), 제2이미지센서(220), 제2복조부(230), 도어록(250) 및 제2변조부(270)의 동작을 각각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2제어부(290)는 제2인증정보수신부(210)에 인증정보가 수신되면, 이와 동시에 사용자단말부(100)의 제1광원부(140)로부터 송출되는 광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제2이미지센서(220)를 작동시킬 수도 있고, 이와 다르게 인증정보의 수신 여부에 관계없이 제2이미지센서(220)가 외부에서 발생하는 광을 실시간 수신할 수 있도록 상시 작동시킬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제2제어부(290)는 제2이미지센서(220)에서 수신된 광신호 즉, 촬영된 이미지정보를 추가정보생성부(260)에 저장 및 제2변조부(270)로 송출 후 제2광원부(280)를 통해 사용자단말부(100)로 해당 이미지정보를 전송되게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를 추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2제어부(290)는 제2이미지센서를 롤링셔터(Rolling Shutter) 방식을 통해 제1광원부(140)로부터 송출되는 광신호에 노출시켜 광을 수신하도록 제어한다. 이 방식은 제2이미지센서(220)를 구성하는 매트릭스 형태의 픽셀들을 복수의 픽셀어레이로 구분하여 순차적으로 동작시키는 것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즉, X×Y로 배치된 픽셀들 중 세로방향으로 어레이된 픽셀들을 가로방향을 따라 제1픽셀어레이 내지 제Y픽셀어레이(#1~#Y)로 구분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픽셀어레이 내지 제Y픽셀어레이(#1~#Y)를 제1광원부(140)에서 송출되는 광신호에 순차적으로 노출되게 제어함으로써, 각 픽셀어레이에 광신호가 수신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제1픽셀어레이 내지 제Y픽셀어레이(#1~#Y)를 각각 하나의 픽셀로 설정하고, 제1픽셀어레이 내지 제Y픽셀어레이(#1~#Y)에 각각 수신되는 광신호를 종합하여 제1광원부(140)에서 송출되는 광신호를 이진데이터로 결정하기 위함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광원부에서 송출되는 광신호의 상태가 ON이면 제2이미지센서의 첫 열 즉, 제1픽셀어레이만 노출되어 이를 인식하고, 그 다음 광신호의 상태가 OFF이면, 둘째 열의 제2픽셀어레이만 노출되어 이를 인식하는 방식이다. 그러므로, 이미지센서의 각 열은 ON이나, OFF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이때, 각 픽셀어레이의 노출시간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신호의 데이터전송시간에 맞춰 동기화함으로써 하나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시간 동안에 하나의 선택된 픽셀어레이에 광신호가 수신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픽셀어레이 내지 제Y픽셀어레이(#1~#Y)에 각각 수신되는 광신호는 전기신호로 변환되고, 변환된 전기신호는 샘플링 및 양자화를 통해 각각의 전압값으로 산출되며, 각각의 전압값은 임계값과의 대조를 통해 0 또는 1의 이진 데이터로 결정된다.
제1픽셀어레이 내지 제Y픽셀어레이(#1~#Y)에 대한 데이터의 결정이 완료되면, 일련의 이진데이터가 생성되며, 생성된 이진데이터는 비교판정부(240)에 의해 인증정보와 비교된다.
도면 2에서 미설명부호 `P`, `A`, `C`는 각각 픽셀, 증폭기,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이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가시광 통신 기반 LED-ID 기술을 이용한 도어록(250) 장치의 동작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사용자단말부(100)에 탑재된 인증정보요청모듈을 실행하면, 서버(300)에서는 사용자단말부(100) 및 개폐단말부(200)도 인증번호를 발송한다.
사용자단말부(100)는 수신한 인증정보를 제1변조부(130)를 통해 광제어신호로 변환시키며, 제1제어부(170)는 제1광원부(140)가 광제어신호에 맞춰 동작하도록 제1광원부(140)를 제어함으로써 제1광원부(140)로부터 광신호가 발생하도록 한다. 이때, 사용자는 개폐단말부(200)의 제2이미지센서(220)측으로 제1광원부(140)에서 발생하는 광신호가 도달할 수 있도록 제2이미지센서(220) 측으로 근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개폐단말부(200)측에서는 서버(300)에서 발송된 인증번호를 수신 및 메모리에 수신된 인증번호를 저장하며, 제2이미지센서(220)를 통해 제1광원부(140)로부터 발생한 광신호를 수신한다. 제2이미지센서(220)에 수신된 광신호는 제1복조부(160)를 통해 디지털 정보로 변환되며 이 정보는 비교판정부(240)에 의해 이전에 이미 수신한 인증정보와 일치하는지 또는 불일치한지를 비교 및 판정하며, 판정정보를 제2제어부(290)로 송출한다.
제2제어부(290)는 비교판정부(240)에서 송출되는 판정정보에 따라 도어록(250)을 폐쇄상태에서 개방상태로 전환시키거나, 폐쇄상태로 유지시킨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가시광 통신 기반 LED-ID 기술을 이용한 도어록(250) 장치는 개폐단말부(200) 주변의 조명광 또는 태양광 등에 의해 제1광원부(140)에서 발생하는 광신호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제1광원부(140)에서 발생하는 광의 파장을 단색상으로 가변하여 송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가시광 통신 기반 LED-ID 기술을 이용한 도어록(250) 장치는 기존 스마트폰에 장착된 플래시 또는 LED 및 디스플레이의 광을 이용하여 OCC(Optical Camera Communication) 및 VLC(Visual Light Communication)통신을 통해 도어록(250)을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OCC(Optical Camera Communication) 및 VLC(Visual Light Communication)통신을 통해 디지털 도어록(250)에 설치된 키패드에 기설정된 비밀번호를 터치, 입력하는 접촉식 방식에 의한 비밀번호 유출, 비밀번호 오류에 따른 문제 등을 해결하고, 외부의 광 노이즈에 강해 해킹 등의 보안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가시광 통신 기반 LED-ID 기술을 이용한 도어록(250) 장치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사용자단말부
110 : 인증정보요청부
120 : 제1인증정보수신부
130 : 제1변조부
140 : 제1광원부
150 : 제1이미지센서
160 : 제1복조부
170 : 제1제어부
200 : 개폐단말부
210 : 제2인증정보수신부
220 : 제2이미지센서
230 : 제2복조부
240 : 비교판정부
250 : 도어록
260 : 추가정보생성부
270 : 제2변조부
280 : 제2광원부
290 : 제2제어부
300 : 서버

Claims (4)

  1. 서버에 인증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인증정보요청신호를 송출하는 인증정보요청부와, 상기 서버로부터 인증정보를 수신하는 제1인증정보수신부와, 상기 인증정보수신부에 수신된 인증정보를 광제어신호로 변조하는 제1변조부와, 상기 제1변조부에서 변조된 광제어신호에 따라 발광하는 제1광원부와, 외부에서 발생하는 광신호를 수신하는 제1이미지센서와, 상기 제1이미지센서에서 수신되는 광신호를 복조하는 제1복조부와, 상기 제1복조부에서 복조된 정보를 저장 및 상기 제1변조부 및 제1복조부를 제어하는 제1제어부 및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GPS수신부를 포함하는 사용자단말부와;
    상기 서버에서 인증정보요청신호가 수신될 시 상기 서버로부터 인증정보를 수신하는 제2인증정보수신부와, 외부에서 발생하는 광신호를 수신하는 제2이미지센서와, 상기 제2이미지센서에서 수신되는 광신호를 복조하는 제2복조부와, 상기 제2복조부에서 복조된 정보와 상기 제2인증정보수신부에서 수신된 인증정보의 동일 여부를 판정하는 비교판정부와, 상기 비교판정부의 동일 여부에 따라 도어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도어록과, 상기 사용자단말부로 추가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추가정보생성부와, 상기 추가정보생성부에서 생성된 추가정보를 광제어신호로 변조하는 제2변조부와, 제2변조부에서 변조된 광제어신호에 따라 발광하는 제2광원부 및 상기 제2복조부와 상기 도어록 및 상기 제2변조부를 제어하는 제2제어부를 포함하는 개폐단말부;를 구비하고,
    상기 인증정보요청부는 상기 GPS수신부에서 수신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미리 지정해 둔 지역 또는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사용자가 인증정보요청모듈을 실행하지 않더라도 상기 서버에 인증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인증정보요청신호가 자동으로 송출되고,
    상기 제1광원부 및 제2광원부는 각각 상기 제1제어부 및 제2제어부에 의해 서로 다른 파장을 갖는 광을 선택적으로 방출할 수 있게 되며,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제2광원부로부터 방출되어 상기 제1이미지센서에서 수신되는 광의 파장에 대응되는 파장의 광이 상기 제1광원부로부터 방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제1광원부를 제어하고, 상기 개폐단말부 주변의 조명광 또는 태양광 등에 의해 제1광원부에서 발생하는 광신호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제1광원부에서 발생하는 광의 파장을 단색상으로 가변하여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시광 통신 기반 LED-ID 기술을 이용한 도어록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제2이미지센서에 촬영된 이미지를 상기 추가정보생성부에 실시간 저장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시광 통신 기반 LED-ID 기술을 이용한 도어록 장치.
KR1020160149978A 2016-11-11 2016-11-11 가시광 통신 기반 led-id 기술을 이용한 도어록 장치 KR1018811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9978A KR101881151B1 (ko) 2016-11-11 2016-11-11 가시광 통신 기반 led-id 기술을 이용한 도어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9978A KR101881151B1 (ko) 2016-11-11 2016-11-11 가시광 통신 기반 led-id 기술을 이용한 도어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2877A KR20180052877A (ko) 2018-05-21
KR101881151B1 true KR101881151B1 (ko) 2018-07-23

Family

ID=62453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9978A KR101881151B1 (ko) 2016-11-11 2016-11-11 가시광 통신 기반 led-id 기술을 이용한 도어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11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8397B1 (ko) 2020-08-24 2021-04-09 (주)한국에스웨이 스마트 키를 이용한 호텔 관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75862B (zh) * 2020-02-14 2022-07-0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解锁方法、门锁及门锁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71009A (ja) * 2008-09-19 2010-04-02 Ntt Docomo Inc 開錠システム及び開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7824A (ko) 2002-03-27 2003-10-04 김영수 도어락 시스템
KR20030060864A (ko) 2003-07-01 2003-07-16 차기만 중계기를 이용한 도어락 인터폰 시스템
KR20080097881A (ko) * 2007-05-03 2008-11-06 한국광기술원 디지털 도어록 개폐 제어장치
TW201250099A (en) * 2011-06-03 2012-12-16 Lattice Energy Technology Corp Optical ke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71009A (ja) * 2008-09-19 2010-04-02 Ntt Docomo Inc 開錠システム及び開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8397B1 (ko) 2020-08-24 2021-04-09 (주)한국에스웨이 스마트 키를 이용한 호텔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2877A (ko) 2018-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426221B (zh) 带双向认证的光控门禁方法
US8093988B2 (en) Entry control system and entry control method
CN107074487B (zh) 用于保护电梯系统中人员的隐私的系统和方法
KR101881151B1 (ko) 가시광 통신 기반 led-id 기술을 이용한 도어록 장치
CN103456062B (zh) 一种带双向认证的光控门禁装置
CN204926231U (zh) 一种门禁及门禁系统
KR101716406B1 (ko) 스마트 초인종 시스템 및 그 실행방법
EP3166088A1 (fr) Procede de gestion d'acces a un local
JP2005062990A (ja) 虹彩認証装置
JP7193263B2 (ja) 解錠システムおよび解錠方法
US10339738B2 (en) Systems and methods of access control in security systems with augmented reality
JP2006090006A (ja) 電気錠施錠/解錠機能付きテレビドアホン、及びそれを用いた共同玄関施解錠システム
KR20150035644A (ko) 디지털 도어락, 도어락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5069578B2 (ja) 撮像装置
CN110853202A (zh) 物联网远程控制的二维码机柜的控制方法、装置及系统
CN105960832A (zh) 具有集成安全概念的照明系统和该照明系统的操作方法
KR101741500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동차 제어 시스템
KR101407443B1 (ko) 근거리무선통신 기능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사용자 인증 방법
Yoon et al. IoT open-source and AI based automatic door lock access control solution
CN209000095U (zh) 基于居民身份证实名认证的智能联网锁装置
JP2008158966A (ja) 入退場管理システム
KR101883676B1 (ko) 지문 및 지정맥의 인증처리시 비밀번호입력을 위한 키패드모듈이 형성된 도어록
US20190212088A1 (en) Systems and methods to prevent hot-wiring of electronic gun racks
KR101815610B1 (ko) 지문 및 지정맥의 인증처리시 도어록 lcd표시창에 광고를 연계한 사용자 얼굴을 표출시키는 보안인증시스템 및 그 처리방법
CN111275850A (zh) 一种门禁控制方法和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